KR20160002363U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63U
KR20160002363U KR2020140009620U KR20140009620U KR20160002363U KR 20160002363 U KR20160002363 U KR 20160002363U KR 2020140009620 U KR2020140009620 U KR 2020140009620U KR 20140009620 U KR20140009620 U KR 20140009620U KR 20160002363 U KR20160002363 U KR 20160002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mera
vehicle
receiving means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주환
Original Assignee
(주)씨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캠스 filed Critical (주)씨캠스
Priority to KR2020140009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363U/ko
Publication of KR20160002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수동으로 용이하게 카메라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 실내 카메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렌즈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부;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부를 수용하며, 단면이 원형인 삽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수단과, 차량에의 부착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삽입부에는 표면에 적어도 2개의 탄성력을 가진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카메라의 각도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Tiltable room camera for vehicle}
본 고안은 상하 각도 조절(이하, '틸트'라 함)이 가능한차량 실내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용이하게 카메라의 틸트 각도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 실내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후방 및 측방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차량의 내부 상황을 촬영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차량 종류에 따라서, 또는 설치 위치 등에 따라서 수동으로 카메라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카메라의 틸트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로서는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912082호가 있다. 이 특허에서는 프레임에 모터를 설치하고, 카메라가 설치되는 카메라 브라켓트를 프레임에 대해서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를 틸트 업 또는 틸트 다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카메라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메라의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한편, 차량은 운행 도중에 도로 상황이 좋지 않거나 과속방지턱이 있는 곳에서는 상하로 흔들리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수동으로 틸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의 경우에는 조절된 틸트 각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조정된 각도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실내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명이 없는 야간에 자동차 실내의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차량 실내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카메라는, 카메라 센서, 카메라 렌즈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부;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부를 수용하며, 단면이 원형인 삽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수단과, 차량에의 부착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하우징의 삽입부에는 표면에 탄성력을 가진 돌기가 적어도 2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의 하우징 수용수단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쪽의 내면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원둘레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하우징을 홀더의 하우징 수용수단에 삽입할 때에 길이방향 홈과 돌기를 정렬한 상태에서 하우징을 하우징 수용수단에 완전히 밀어넣으면, 돌기가 원둘레방향 홈에 안착되어 하우징을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을 원하는 각도로 회동 시키면, 상기 돌기가 원둘레방향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홈과 상기 돌기의 정렬이 어긋나게 되므로, 상기 돌기에 걸려서 하우징을 바깥으로 꺼낼 수 없게 된다.
또한, 삽입부의 끝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홀더의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 내에 일정 한도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톱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카메라 렌즈의 원형 주변을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조도센서와 복수의 적외선 LED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의 고정수단은 양면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의 크기를 하우징 수용수단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의 삽입부에는 표면에 탄성력을 가진 탄성 돌기가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의 하우징 수용수단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쪽의 내면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원둘레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 사용자가 용이하게 카메라 틸트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조정된 각도로 카메라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렌즈부의 원형 주변을 따라 조도센서와 복수의 적외선 LED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야간에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실내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카메라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카메라의 (a) 좌측면도 및 (b)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카메라(100)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이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카메라(100)는 하우징(190)과, 하우징(19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180)를 구비한다.
홀더(180)는 하우징(190)의 일 부분이 삽입되는 하우징 수용수단(181)과, 홀더(180)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88)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88)에는 양면 테이프(189)가 부착되어, 양면 테이프(189)에 의해 홀더(180)가 차량에 부착된다. 한편,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양면 테이프(189)의 면적은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90)에는 카메라 렌즈(111), 복수의 적외선 LED(115), 조도센서(114), 카메라가 동작중임을 알려주기 위한 보안 LED(11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적외선 LED(115)로부터의 빛을 카메라 렌즈(111)에 대해서 최대한 균등하게 비추기 위하여, 복수의 적외선 LED(115), 조도센서(114), 보안 LED(116)는 카메라 렌즈(111)의 원형 주변을 따라 카메라 렌즈(111)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카메라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차량 실내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차량 실내 카메라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하우징(190)은 전면 케이스(140)와 후면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140)와 후면 케이스(150)는 스크류(155)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하우징(190)을 형성한다.
하우징(190)의 내부에는 카메라 센서(112), 카메라 렌즈(111)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부(110)가 수용된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적외선 LED(115), 조도센서(114), 카메라가 동작중임을 알려주기 위한 보안 LED(116)가 별도의 제2회로기판(120) 상에 조립되어 있으며, 제2회로기판(120)은 커넥터에 의해 회로기판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홀더(188)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하우징(19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에 삽입되는 삽입부(191)는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하우징(190)의 삽입부(191)가 하우징 수용수단(181) 내에 삽입되어 하우징 수용수단(181) 내에서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하우징(190)의 삽입부(191)에는 표면에 탄성력을 가진 탄성돌기(195)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돌기(195)와 홀더(18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차량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카메라의 회전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돌기(195)의 갯수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
홀더(18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내면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18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돌기(182)가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입구에 접해서 마련되어 있지만, 돌기(182)를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좀더 안쪽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기(182)의 갯수는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하우징(190)의 삽입부(191)의 표면에는 돌기(182)에 대응되는 길이방향 홈(192)과, 원둘레방향 홈(193)이 형성되어 있다. 원둘레방향 홈(193)은 삽입부(191)가 하우징 수용수단(181)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182)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부(19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190)을 홀더(18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에 삽입할 때에 길이방향 홈(192)과 돌기(182)를 정렬한 상태에서 하우징(190)을 하우징 수용수단(181)에 완전히 밀어넣으면, 돌기(182)가 원둘레방향 홈(193)에 안착되어 하우징(190)을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90)을 원하는 각도로 회동 시키면, 돌기(182)가 원둘레방향 홈(193)에 안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홈(192)과 돌기(182)의 정렬이 어긋나게 되므로, 돌기(182)에 걸려서 하우징(190)을 바깥으로 꺼낼 수 없게 된다. 다시 하우징(190)을 바깥으로 꺼내려면, 하우징(190)을 회동시켜서 길이방향 홈(192)과 돌기(182)가 정렬되도록 한 다음에 하우징(190)을 바깥으로 빼내면 된다.
한편, 삽입부(191)의 끝 부분에는 하우징(190)이 홀더(18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 내에 일정 한도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톱퍼(19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180)의 하우징 수용수단(181)의 끝 부분에도 스톱퍼(183)를 마련하여 하우징(190)이 일정 한도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톱퍼(194)는 하우징(190)의 원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일부분에서만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우징의 좌측면에는 회로기판부(110)에 실장된 커넥터(113)(예를 들면, USB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 실내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에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실내 카메라,
110 회로기판부,
120 제2 회로기판,
140 전면 케이스,
150 후면 케이스,
180 홀더,
190 하우징.

Claims (6)

  1. 카메라 센서, 카메라 렌즈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부;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부를 수용하며, 단면이 원형인 삽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수단과, 차량에의 부착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홀더
    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에는 표면에 적어도 2개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의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는 쪽의 내면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부의 표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길이방향 홈과, 상기 삽입부가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원둘레방향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끝 부분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홀더의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 내에 일정 한도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톱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원형 주변을 따라 상기 카메라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조도센서와 복수의 적외선 LE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고정수단은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며,
    상기 양면 테이프의 크기는 상기 하우징 수용수단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카메라.

KR2020140009620U 2014-12-29 2014-12-2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KR201600023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20U KR20160002363U (ko) 2014-12-29 2014-12-2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20U KR20160002363U (ko) 2014-12-29 2014-12-2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63U true KR20160002363U (ko) 2016-07-07

Family

ID=5649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620U KR20160002363U (ko) 2014-12-29 2014-12-29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363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084A (ko)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아이카네트웍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30100754A (ko) * 2012-03-02 2013-09-11 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스(주) 후방카메라가 탈착되는 블랙박스
KR101334391B1 (ko) * 2013-01-25 2013-11-29 (주)월드뷰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채널 차량용 블랙박스
KR20140038000A (ko) * 2012-09-19 2014-03-28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084A (ko)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아이카네트웍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30100754A (ko) * 2012-03-02 2013-09-11 테라링크 커뮤니케이션스(주) 후방카메라가 탈착되는 블랙박스
KR20140038000A (ko) * 2012-09-19 2014-03-28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KR101334391B1 (ko) * 2013-01-25 2013-11-29 (주)월드뷰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채널 차량용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8935B2 (en) Modular video camera system
US10272849B2 (en) In-vehicle camera attached to windshield forming inhibition space therebetween
KR100750733B1 (ko) 외장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KR101712366B1 (ko) 상하 각도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차량용 카메라
WO2005039934A3 (fr) Montage d’une camera de vision arriere dans un boitier de protection comportant une fenetre de vision
US9426340B2 (en) Vehicle CCTV camera apparatus
US9031400B2 (en) Camera with hot shoe unit
JP6363424B2 (ja) 後方視認装置
US9475421B2 (en) Reflector damper bracket
CN108810359B (zh) 用于摄像头系统的可调节模块化附件
JP6643585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US10321029B2 (en) Modular coupling for a video camera system
US20160185296A1 (en) Vehicle black box mountable on rear-view mirror support
JP201200649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2016000236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 실내 카메라
JP6402404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KR101234356B1 (ko) 스위블 힌지유닛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30002816U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고 장치
US9010948B2 (en) Photography lighting fixture
KR20150066770A (ko) 후방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
KR200403448Y1 (ko) 감시카메라장치
ES2813474B2 (es) Sistema de fijacion e inclinacion de dispositivos de captacion de imagenes a dispositivos luminosos de vehiculos prioritarios
KR200430380Y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방 감시카메라
JP6923491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CN215601389U (zh) 一种摄像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