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47A -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47A
KR20160002247A KR1020140081310A KR20140081310A KR20160002247A KR 20160002247 A KR20160002247 A KR 20160002247A KR 1020140081310 A KR1020140081310 A KR 1020140081310A KR 20140081310 A KR20140081310 A KR 20140081310A KR 20160002247 A KR20160002247 A KR 2016000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angiogenic
multifunc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민
홍기성
김정모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247A/ko
Publication of KR2016000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Vascular Endotheli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4Vessels;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Endothelial cells;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mbryonic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질 특이적 부착배양에 의한 자연선택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은 유세포 분류 또는 자성 세포 분류 등의 추가적인 과정 없이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여 증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특징적 다분화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순수하게 분리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들이 특이적 마커들에 대해 양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확인을 위한 마커 표지자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심혈관 질환 또는 망막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세포치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multifunctional angiogenesis pericyte and composition for cell therap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란, 각종 세포로 분화(differentiation)할 수 있는 줄기성(stemness)을 가지고 있는 미분화 세포들을 총칭하며, 줄기세포는 특정 분화 인자 및/또는 환경에 의해 특정 세포로의 분화가 진행된다. 줄기세포의 종류에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배아생식세포(embryonic germ cell),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 등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손상된 조직의 재생, 당뇨병, 백혈병, 파킨슨병, 심장병, 척수외상 등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줄기세포를 특정 세포로 분화시키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분화가 끝난 세포를 역분화를 통해 줄기세포로 만든 역분화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등도 세포분화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분화된 세포들이 각종 장기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을 치료할 수 있는 인간 세포치료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즉,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성상을 정확히 규명할 수 있고, 임상 치료 시, 기능부전의 세포를 새로운 세포로 치환하기 위한 세포를 풍부히 공급할 수 있는 강력한 후보자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의 원료를 수득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는데 많은 연구자들이 역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도된 각종 장기를 구성하는 분화 세포들은 정상적인 분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해당 세포들과 동일한 성상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가정되어 왔고 이 가능성에 기반하여, 발달 단계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분화 유도법이 췌장 호르몬-발현 내분비세포 (D'Amour, et al., Nat. Biotechnol., 2006; 24: 1392-401), 신경세포 (Pankratz, et al., Stem Cells 2007; 25: 1511-20), 근육세포 (Barberi et al., Nat. Med., 2007; 13: 642-8), 혈관내피세포 (Wang, et al., Nat. Biotechnol., 2007; 25: 317-8) 분화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한편,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혈관내피의 바깥쪽 부위를 10 내지 50% 가량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이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와 혈관내피세포의 형태와 비율에 따라 혈관을 둘러싸고 있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골격근에서 이들의 비율은 1:100(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혈관내피세포) 정도이며 망막에서는 그 비율이 1:1에 달한다.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혈관을 가장 많이 둘러싸고 있는 곳은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미세혈관이다. 다른 기관보다 중추신경계에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분포가 높은 이유는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의 형성과 유지에 기여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존재하는 기관에 따라 형태적인 다양성이 나타난다. 중추신경계에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형태는 평평하거나 길쭉한 모양이다. 그리고 혈관 바깥쪽 부위에 접촉하고 있는 방사성 형태를 가진 혈관주위세포에서부터 사구체의 사구체 관막세포(mesangial cell)처럼 둥글거나, BM에 국지적인 접촉을 하고 있는 형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섬유아세포, 조골세포, 연골세포 그리고 지방세포 등으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도 지닌다. 최근에는 인체에서 동정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심근세포로의 분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다양한 분화능력을 통해 전구세포로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혈관의 발생, 안정화, 성숙 및 리모델링에 중요한 조절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혈관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타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조직에서 동정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동정하고 이를 세포 치료제의 용도로 사용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마커들이 부족하고, 인체 조직에서 수요에 맞는 충분한 세포를 동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대량 제조 방법을 찾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분리 및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특히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표지자, 즉, 마커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85308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로부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주위세포, 평활근세포, 근세포, 지방세포 또는 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줄기세포 유래의 배상체(embryoid body)에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성장인자를 처리하여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에서 분화된 중배엽성 세포를 포함하는 배상체를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분리된 단일세포를 기질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여 부착된 세포만을 자연선택으로 증식시키는 단계; 및 4) 증식된 자연선택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BDK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에 양성인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로부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및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 SCNT)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세포분리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기질은 콜라겐 또는 라미닌을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DKRB1(bradykinin receptor B1)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DSC3(desmocollin 3)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HSPB6(heat shock protein B6)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형성 성장인자(angiogenic growth factors),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EGF(epidermal growth factor), 아스코르브산, 및 GA-1000을 포함하는 EGM-2MV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주위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NEAA(minimum essential medium non-essential amino acids), PS(penicillin/streptomycin), 및 β-머캅토에탄올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평활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말혈청, 계배추출물, 및 PS를 포함하는 고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인슐린, 덱사메타손, 이소부틸메틸크산틴, 및 인도메타신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덱사메타손,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브산-2-인산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상기 심혈관 질환은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실중격결손,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증, 심낭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동맥류,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및 고혈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망막질환은 습성 황반변성,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습성 망막병증, 미숙아 망막병증 및 망막혈관장벽파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망막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질 특이적 부착배양에 의한 자연선택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제조방법은 유세포 분류 또는 자성 세포 분류 등의 추가적인 과정 없이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여 증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특징적 다분화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순수하게 분리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들이 특이적 마커들에 대해 양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확인을 위한 마커 표지자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심혈관 질환 또는 망막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세포치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로부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방법은 줄기세포 유래의 배상체(embryoid body)에 BMP4 성장인자를 처리하여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는 제1단계; 분화된 중배엽성 세포를 포함하는 배상체를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제2단계; 및 분리된 단일세포를 기질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여 부착된 세포만을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으로 증식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증식된 자연 선택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BDK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에 양성인지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는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상체에 BMP 4 성장인자를 처리하여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이다.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된 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상체를 적정 분화조건에서 배양하여 중배엽성 표지인자들의 발현이 적어도 하나 이상 증가한 세포군집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때, 중배엽성 표지인자의 발현은 생화학적 또는 면역화학적 방법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중배엽성 표지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배엽성 표지인자에 결합하는 특이적인 다클론성 항체 또는 단일 클론 항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줄기세포”란 동물의 내배엽(endoderm), 중배엽(mesoderm) 및 외배엽(ectoderm) 유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pluripotency), 또는 조직 또는 기능에 있어 밀접하게 관련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multipotency)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한다. 자기 복제 능력을 가지면서 두 개 이상의 새로운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는 세포를 의미하며, 만능 줄기세포(totipotent stem cells), 전분화능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s), 다분화능(다능성) 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s)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아줄기세포”란 동물 수정란이 모체의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inner cell mass)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 동물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pluripotency)을 가진 세포를 의미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넓은 의미로는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배아체(embryoid body) 또는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cell)와 같은 유사 줄기세포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성체줄기세포”란 각 조직 내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분리해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 다분화능(multipotency)을 가지는 세포를 의미하며, 골수줄기세포, 망막줄기세포, 망막 내 뮐러아교세포, 신경줄기세포 등이 있다.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쥐, 랫트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 유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이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및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 SCN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아줄기세포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 유래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BMP4”란 인간에서 BMP4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로서 성장인자를 의미한다. BMP(bond morphogenetic protein)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 슈퍼 패밀리에 속하는 신호전달계 단백질로서 초기 태생기 분화, 태생기 조직형성 및 성인 조직의 항상성 유지 등을 조절한다. 특히, 초기 태생기에서 BMP의 농도 차이는 배아의 등배 형성과정에서 축 형성에 결정적 작용을 한다. 세포 외로 분비된 BMP는 세포막의 제1형과 제2형 세린/트레오닌 키나제(type I and type II serine/threonine kinase) 수용체들에 결합하여 BMP 신호전달을 시작한다. 제2형 수용체는 제1형 수용체를 인산화시키고, 인산화된 제1형 수용체는 세포내의 기질인 Smad 단백질을 인산화시켜 세포 내의 신호전달이 이루어진다. 수용체에 의해 조절되는 Smad 단백질을 R-Smad(receptor regulated Smad)라고 하며, Smad-1, 2, 3, 5 및 8이 R-Smad에 속한다. 이들은 세포 내의 파트너인 Co-Smad(common partner Smad)인 Smad-4와 결합하여 세포핵 내로 이동하여 전사인자와 결합하여 목표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한다(Yamamoto & Oelgeschlager, Naturwissenschaften, 91: 519-34, 2004).
본 발명의 용어 “배상체(embryoid body)”란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세포 응집체를 의미한다. 세포 응집은 전형적인 집락 증식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에 세포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울 배양, 비처리 세포 배양 접시 배양 또는 교반 배양에 의해 발생한다. 응집과 함께 분화가 시작되고, 세포는 제한된 정도의 배발생을 반복하기 시작한다. 상기 배상체는 다분화능 세포로부터 유도되고 따라서 매우 다양한 분화된 세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배상체 내에서의 분화는, 3차원적 방식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신중히 조직된 정상 배발생의 경우에 비해 매우 체계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배상체는 여전히 연구가 어려운 발생 초기단계에서의 세포 및 분자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특히 인간에서, 좋은 모델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상체를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배상체를 형성한 첫날부터 BMP4 성장인자를 처리하여 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중배엽성 세포”는 혈액세포, 혈관내피세포, 평활근 및 심근 등을 포함하는 근육세포, 골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 망상세포 또는 기타 결합조직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분화된 중배엽성 세포를 포함하는 배상체를 단일세포로 분리시키는 단계로, 본 발명에서는 배상체의 단일세포화를 위하여 효소를 처리하였다. 상기 효소는 세포간 결합에 관여하는 세포 표면 단백질을 분해하여 세포간 결합을 저해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트립신, 트립신-EDTA,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자극성 효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rypLE(Invitrogen)일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분리된 단일세포를 기질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여 부착된 세포만을 자연선택으로 증식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용어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이란, 당업계에서 분화된 특정세포를 고순도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세포 분류(flow cell sorting) 또는 자성 세포 분류(magnetic cell sorting) 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세포 고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세포 분류 또는 자성 세포 분류 기술의 경우 세포특이적 표지인자를 통해 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그 이유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변형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시약, 기계 등의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기계 등이 필요 없으며, 단순한 자연선택을 이용하여 세포의 변형이나 고비용의 문제점이 없이 분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자연선택 기술은 세포 특이적 표지인자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구별될 수 있는 세포의 기능적 특성에 집중하고 있다. 배지 적합성 또는 특이적 표면 부착성에 기인한 선택적 배양이 그 예이다. 본 발명의 “기질”은 배양접시에 대한 세포의 선택적 부착을 도울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콜라겐 또는 라미닌을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콜라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16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연선택된 고순도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계속하여 증식시키거나, 다양한 조직세포로 분화시키거나, 회수하여 냉동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특이 기질로서 5 mg/ml 콜라겐을 배양접시에 코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BMP4 성장인자 유도 중배엽성 세포 배상체를 효소 처리하여 단일세포화 한 후, 콜라겐이 코팅된 배양접시에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교환을 통해 콜라겐 특이적으로 부착된 세포만을 자연선택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단계에서 자연선택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표지자를 발굴하였는데, 상기 자연선택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에 대해 양성 발현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BDKRB1(bradykinin receptor B1)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나타낸 것이며,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나타낸 것이고, DSC3(desmocollin 3)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나타낸 것이며, HSPB6(heat shock protein B6)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고,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며,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선택 기술에 의한 배양 전과 후 세포에 대하여 유세포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자연선택 기술에 의한 배양 후 증식되는 세포는 상기 6개의 표지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양성인 세포들만이 고순도로 배양 증식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유세포 분류에 의해 상기 표지자들에 대해 양성인 세포들만을 선택 배양한 것과 유사한 수준의 순도를 보여주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혈관주의 전구세포 특이적인 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 CD44, CD146 및 NG2와 중간엽 줄기세포 특이적 마커인 CD73 및 CD90 등에 양성의 발현 패턴을 보이는 한편, 혈관내피세포 특이적 마커인 CD31 및 CD144와 조혈세포 특이적 마커인 CD34 및 CD45 등은 발현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연골, 조골 및 지방세포와 같은 중간엽세포 유래 분화체, 평활근세포 및 근세포로의 분화능을 가지며, 심혈관 질환 모델에서 세포치료 조성물로 적용시 상실된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용어 “전구세포(progenitor cell)”란 비대칭적 분열(asymmetric division)을 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구체(precursor)라고도 불리며, 비대칭적 분열로 인해 각 세포마다 계대수가 같더라도, 분화되는 부분도 있고, 증식되는 부분도 있어, 나이 및 성질이 다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형성 성장인자(angiogenic growth factors),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EGF(epidermal growth factor), 아스코르브산, GA-1000을 포함하는 EGM-2MV(SingleQuots, Cambrex Bio Science) 배지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주위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EGM-2MV 배지에 5%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 ng/ml angiogenic growth factor, 10 ng/ml FGF, 20 ng/ml VEGF, 10 ng/ml IGF, 10 ng/ml EGF, 아스코르브산, GA-1000을 포함하는 혈관주위 세포화 분화 배지에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혈관주위 세포(pericyte)”란, 혈관내피와 특이한 국소접촉을 형성하는, 미세혈관계의 기저막 내에 묻혀있는 혈관 벽세포를 말한다. Rouget 세포, 외막세포(adventitial cell) 또는 벽세포(mural cell)로도 불리는 소혈관 주위에 생기는 결합조직 세포로, 혈관내피의 바깥쪽 부위를 10 내지 50% 가량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늘고 긴 수축성 세포이며 기저막 밖에서 모세혈관이전세동맥 주위를 싸고 있다. 상대적으로 미분화된 다분화능 세포이며 혈관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섬유아세포, 평활근 또는 대식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다. 혈관 신생 뿐 아니라 혈-뇌 장벽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 내 세포에 대한 접착력으로 미세혈관계에서 혈류 조절인자로 대두되고 있으며, 사실상 모세혈관 수준에서 혈류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혈관주위세포에 대한 연구는 혈관생리학을 이해하고, 혈관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연구하는 중요한 타겟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최소 필수 배지 비필수 아미노산(minimum essential medium non-essential amino acids; NEAA, Invitrogen),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PS, Invitrogen), β-머캅토에탄올(Invitrogen)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평활근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5% FBS, 1% NEAA, 1% PS, 0.1 mM β-머캅토에탄올을 포함하는 평활근 세포화 분화 배지에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평활근 세포(smooth muscle cell)”란, 근육 중에서 가로무늬가 없는 근으로 척추동물의 심장근 이외의 내장근은 모두 민무늬 근이다. 수축속도는 느리지만,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는 불수의 근이다. 가늘고 긴 방추형이며, 드물게는 다핵인 것도 있으나 보통 중앙부에 하나의 타원형의 핵을 가진다. 혈관벽과 위, 장, 자궁과 같은 속이 빈 장기의 벽 등, 신체의 각 부위에 존재한다. 각종 인체기능의 조절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므로 상당수의 인체 질환이 평활근의 기능이상과 관련이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말혈청(horse serum; HS, Invitrogen), 계배추출물(chicken embryo extract; CEE, Sera Lab, Sussex, UK), PS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농도 글루코스 DMEM(DMEM high glucose) 배지에 10% FBS, 10% HS, 1% CEE, 1% PS를 포함하는 근세포화 분화 배지에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근세포(myocyte)”란, 일명 근육세포(muscle cell)로 근모세포(myoblast)로부터 발생한다. 각각의 근세포는 긴 근원섬유(myofibril), 근섬유분절(sarcomere)의 긴 사슬, 세포의 수축단위를 포함한다. 근세포는 심장, 골격, 또는 평활근 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성질의 다양한 분화된 형태를 갖는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인슐린(Sigma-Aldrich),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Sigma-Aldrich), 이소부틸메틸크산틴(isobutylmethylxanthine, Sigma-Aldrich), 인도메타신(indomethacin, Sigma-Aldrich)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 10% FBS, 5 μg/ml 인슐린, 1 μM 덱사메타손, 0.5 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 60 μM 인도메타신을 포함하는 지방세포화 분화 배지에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지방세포(adipocyte)”란 지방의 형태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지방 조직을 구성하는 주된 세포이다. 이는 세포질 층으로 둘러싸인 커다란 지방 방울을 포함하는 백색지방세포와 지방 방울이 고루 흩어져있는 상당량의 세포질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갈색지방세포의 두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백색지방세포는 레지스틴, 아디포넥틴 및 렙틴과 같은 아디포카인(adipokine)으로 작용하는 단백질을 분비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덱사메타손,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2-인산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 10% FBS, 1 μM 덱사메타손, 10 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60 μM 아스코르브산-2-인산을 포함하는 골세포화 분화 배지에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골세포(osteocyte)”란 촘촘한 골조직에 가장 풍부한 별모양의 세포로 핵과 세포질의 얇은 고리를 포함한다. 골모세포가 스스로 분비한 기질에 갇혀 골세포를 형성한다. 골세포는 간극결합을 통해 영양분과 폐기물을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소관계라 불리는 작은 관을 채우는 긴 세포질 신장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골세포는 합성 능력이 감소되어 유사분열하지 않으며 중간엽에서 생성되고, 수산화인회석, 탄산칼슘, 및 인산칼슘이 세포 주위에 축적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심혈관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심혈관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심혈관 질환”이란, 심장질환과 혈관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심장을 비롯한 동맥, 정맥에 발생하여 심장 및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을 의미한다. 고지혈증, 당뇨병 및 흡연 등의 위험인자는 모두 혈관을 손상시키는 원인이며, 심혈관질환을 발병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통 뚜렷한 증상이 없어 보통 침묵의 질환이라고 한다. 무증상으로 시작하고 자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악화되어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질환이 심각해진 상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들 심혈관 질환의 다수가 성인병과 관계된다. 그 예로는, 혈액순환이 안되어 혈관 속에 노폐물인 콜레스테롤과 지방성분이 많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고지혈증, 동맥이 노쇠하여 굳어가는 동맥경화증, 심장이 수축과 이완을 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높아져 생기는 고혈압, 낮아서 생기는 저혈압, 심장주위 관상동맥의 이상으로 생기는 협심증, 심장 근육의 이상에 의해 생기는 심근경색증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치료 가능한 심혈관 질환은 그 예로,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실중격결손,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증, 심낭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동맥류,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및 뇌혈관장벽파괴(Blood-Brain Barrier breakdown disease), 간질성 방광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에 이식시킨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허혈성 후지에서 허혈 사지 구제/혈류의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허혈성 심근에서 모세혈관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세포치료 조성물로서 심혈관 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세포치료 조성물”과 혼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람으로부터 분리, 배양 및 특수한 조작을 통해 제조된 세포 및 조직으로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미국 FDA규정)으로서, 세포 혹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동종, 또는 이종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선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행위를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포치료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종 제형의 형태로 통용되는 기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인 세포치료제는 질병부위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지 투여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줄기세포를 병변으로 향하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 비히클에 로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협측, 설하, 피부 및 안내 투여를 포함), 비경구 (피하, 피내, 근육내, 점적, 정맥 내, 동맥 내, 관절 내 및 뇌척수액 내를 포함) 또는 경피성 투여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발병부위에 직접 투여한다. 일 양태로서 줄기세포는 적합한 희석제에 약 1×103 내지 5×106 세포/ml의 농도로 현탁시켜 개체에 투여할 수 있는데, 이 희석제는 세포를 보호 및 유지하고, 목적하는 조직에 주입시 사용에 용이하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희석제로는 생리식염수, 인산완충용액, HBSS 등의 완충용액, 혈장, 뇌척수액, 또는 혈액성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약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주사제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Hank 용액 또는 멸균된 수용액 등의 수성용제, 올리브 오일 등의 식물유, 에틸올레인산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비수성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점막 투과를 위해,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당업계에 공지된 비침투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변질방지를 위한 안정화제로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과,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의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 등의 약학적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망막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망막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망막질환”이란, 시혈관 주위세포(pericyte)가 손상된 후 재생되지 않아 혈관내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수반하거나 혈액 또는 체액이 누출되어 망막변성을 일으킴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따라서, 망막에 혈관주위세포 또는 이로 분화가능한 세포를 이식함으로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치료 가능한 망막질환의 예로는 습성 황반변성(wet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eovascular or exudative AMD), 녹내장(glaucoma),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습성 망막병증(wet age related retinopathy), 미숙아 망막변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및 망막혈관장벽파괴(Blood-Retinal Barrier breakdown disease)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당뇨성 망막질환 마우스모델의 망막에 이식시킨 본 발명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손상된 혈관의 혈관주위에 생착하여 손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체유래 줄기세포를 이식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이식된 성체유래 줄기세포는 원하는 위치에 생착되지 못하고 망막박리, 렌즈-망막협착 과도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세포치료 조성물로서 망막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여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위와 같은 심혈관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투여하여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및 “투여”는 상기 본문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기질 특이적 부착배양에 의한 자연선택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유세포 분류 또는 자성 세포 분류 등의 추가적인 과정없이,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여 증식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특징적 다분화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심혈관 질환 또는 망막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세포치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인간 배아줄기세포( humanembryonicstemcell ; hESC )의 배양
미분화 상태의 인간 배아줄기세포(H9, CHA11-hESC)를0.1% 젤라틴으로 코팅한 배양접시(Nunc, Roskide, Denmark)에서, 세포 성장 억제물질인 미토마이신 C(mitomycin C; Sigma, St. Louis, MO, USA)를 10 μg/ml의 농도로 90분간 처리하여 준비한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를 지지세포로 하여 공배양하였다. 이때, hESC는 DMEM/F12(50:50, Invitrogen, Carlsbad, CA, USA), 20%(v/v) 혈청 대체물(serum replacement; SR), 1% 비필수 아미노산(Invitrogen),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0.1% 베타-머캅토에탄올(Invitrogen), 4 ng/ml bFGF(basix fibroblast growth factor; Invitrogen)로 구성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은 매일 교체해주고, 5일 내지 7일 간격으로 새로운 지지세포에 계대배양하였으며, 세포배양은 37℃, 5% 이산화탄소, 95% 습도를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배상체(embryoid body)의 형성
분화 유도를 위한 배상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디스파아제로 지지세포와 분리시킨 후 새로운 배양접시(Falcon/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에 옮겨, 한번 세척하고, DMEM/F12(50:50, Invitrogen)에 2%(v/v) 혈청 대체물(serum replacement; SR; Invitrogen)가 첨가된 배양액에 45분 동안 부유배양하면서 응집을 유도하였다. 응집된 배상체는 10%(v/v) SR, 1 mM L-글루타민(Invitrogen), 1% 비필수 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NEAA; Invitrogen), 1%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Invitrogen), 0.1% 베타-머캅토에탄올(Invitrogen)로 조성된 배양액으로 옮겨 부유배양하였다. 배양액은 이틀에 한번씩 교체하였고, 5 내지 6일 동안 유지배양하였다.
실시예 3: BMP4 성장인자 처리에 의한 배상체 내 중배엽성 세포군집의 증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배상체를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배상체를 형성한 첫날 1mM L-글루타민, 1% 비필수 아미노산, 0.1% 베타-머캅토에탄올 및 10% SR을 첨가한 DMEM/F12 배양액에 20 ng/ml BMP4 성장인자(Peprotech Inc., Rocky Hill, NJ, USA)를 처리하였으며, 다음날부터 이틀에 한번씩 BMP4 성장인자를 처리한 배양액으로 교체해 주었다.
그 결과, BMP4 성장인자를 처리한 배양일 수가 증가함에 따라 중배엽성 세포의 마커인 KDR과 PDGFRβ에 대해 양성을 나타내는 세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BMP4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NT)과 배양 6일째에 상기 두가지 마커 KDR과 PDGFRβ의 발현을 유세포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특히 KDR의 발현 비율이 BMP4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저자극 효소처리에 의한 중배엽성 배상체의단일세포화
BMP4 성장인자 처리에 의한 중배엽 세포군집 유도 배상체를 인산완충용액(Invitrogen 1X)으로 1 내지 2회 세척하고, 35 mm 배양 접시에 상기 배상체를 두고천연물질 유래 저자극 효소인 Tryp-LE(Invitrogen)를 처리하여 배상체의 세포간 결합이 풀어지는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결합이 풀어진 세포들을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겨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35 μm 나일론 그물 세포 여과기(35 μm nylon mesh cell straine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단일세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나의 60 mm 배양접시에 유지배양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얻어지는 배상체는 평균 80 내지 100개이며, 하나의 배상체는 평균 2,500개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1회 공정에 있어, 6개의 60 mm 배양접시의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얻어지는 배상체는 평균적으로 500 내지 600개이며, 이들로부터 얻어지는 단일세포는 1.5 내지 2×106개이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세포배양접시에 분주한 미분화 H9 hESC 단일세포, 도 1B는 코팅되지 않은 플라스틱 페트리접시에 분주한 BMP4 유도 6일째 EB로부터의 단일세포, 1C 및 1D는 콜라겐 코팅된 접시에 분주한 자연분화된 EB로부터의 단일세포, 및 1E 및 1F는 콜라겐 코팅된 접시에 분주한 BMP4 유도 6일째 EB로부터의 단일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C 및 1D는 상피세포와 섬유세포 등이 함께 관찰되는 균일하지 않은 세포 군집을 보이는 반면, 도 1E 및 1F는 균일한 세포군집을 보인다.
실시예 5: 코팅 기질 특이적인 부착배양을 통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자연선택( Naturalselection )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단일세포를 미리 준비한 콜라겐 코팅 배양접시에 EGM2-MV(Lonza) 배지와 함께 37℃, 5% 이산화탄소 조건의 세포배양기에서 밤새도록 배양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배양된 단일세포는 부유군집과 부착군집으로 나누어지고, 부유군집은 인산완충용액 세척과 배지교환 과정을 통해 자연선택에 의해 제거되었다. 상기 과정에서 자연선택을 통해 부착된 세포를 계대 0으로 정하였다. 2 내지 3일 마다 계대배양하고, 계대 0으로부터 배양 10일 이내에 계대 3까지 증식된다. 본 발명의 1회 공정에 있어 1.5 내지 2×106개의 단일세포는 35 mm 콜라겐 코팅 배양접시에 50 내지 80%가 부착되고, 계대 3에서는 5개의 T-75 플라스크에 3 내지 5×107개로 증식된다.
코팅에 사용된 콜라겐은 3 mg/ml 농도의 콜라겐 용액(Stem Cell Tech.)의 3차 증류수 희석용액을 사용하였다. 계대 0을 위한 콜라겐 코팅은 5배 희석된 콜라겐 용액을 사용하였고, 이후의 계대배양에는 20배 희석된 콜라겐 용액을 사용하였다. 코팅은 상온의 무균작업대에서 배양접시를 해당 농도의 콜라겐 용액에 1시간 이상 노출시켜 수행하였다.
먼저 유세포 분석기로 후부 표지자를 분석하기 위해 후부 표지자들에 대한 각 양성과 음성의 세포 군집을 분류하여 배양한 세포의 형태 및 각각에 대한 유세포 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수일의 배양 후 유세포 분석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배양 방법의 특징적인 단계인 기질 특이적 자연선택에 의해, 유세포 분류 또는 자성 세포 분류 등의 추가적인 과정 없이,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었으며, 분리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BDK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에 대해 양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표지마커 검색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세포를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표지마커를 이용하여 유세포 분석기(FACSCalibur flow cytometer; BD Bioscience, San Jose, CA, USA)로 분석하였다. 계대 3에서 배양된 세포를 저자극 효소인 Tryp-LE를 이용하여 부유시키고, 상기 세포들을 에펜도르프 튜브에 옮겨 인산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35 μm 나일론 그물 세포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2% 소태아혈청(Terracell, Webtec Inc., Charltte, NC, USA)이 함유된 인산완충용액으로 부유시킨 후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마커로는 IgGisotype(PE, APC; BD Biosciences)를, 그 외에 PDGFRα(PE; R&D systems), PDGFRβ(PE; R&D systems), CD44(PE, APC; R&D systems), KDR(PE; R&D systems), Tie-2(PE; R&D systems), Flt-1(PE; R&D systems), VE-CAD(PE; R&D systems), CD31(PE; R&D systems), CD146(PE; R&D systems), NG2(PE; R&D systems), CD34(PE; R&D systems), CD45(PE; R&D systems), CD105(PE; R&D systems), CD90(PE; R&D systems), CXCR4(PE; R&D systems), SSEA4(PE; R&D systems) 및 CD133(APC; MiltenyiBiotec Inc.) 등을 사용하였다.
상기 유세포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a로부터,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는 PDGFRα, PDGFRβ, CD44, CD73, CD90, CD105, CD146, NG2, KDR, Tie2 및 Flt1에 대해 양성이며, CD31, CD34, CD45, CD133, CD144, CXCR4 및 c-kit에 대해서는 음성인 면역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분화능
상기 실시예 6의 방법으로 확인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지속적으로 5% FBS, 10 ng/ml angiogenic growth factors, 10 ng/ml FGF, 20 ng/ml VEGF, 10 ng/ml IGF, 10 ng/ml EGF, 아스코르브산 및 GA-1000을 포함하는 EGM-2MV(SingleQuots, Cambrex Bio Science) 배지에서 배양 시 성체 유래의 혈관주위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인간 태반 유도 혈관주위세포와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A(H9 hESC-PVPC) 및 도 3B(인간 태반 유도 혈관주위세포)에서 세포형태상의 유사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도 3C 및 도 3D에서 혈관주위세포의 특이적 마커인 NG2(Green)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성체조직 특이적 마커인 SMA(red)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도 3E의 3차원 콜라겐 젤 및 도 5F의 저부착 배양접시에서 혈관내피세포와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공동배양을 통해 분화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혈관내피세포에 의해 형성된 구조(도 3E에서는 유사혈관형태, 도 3F에서는 타원형 내부세포괴)의 외부, 즉 혈관주위영역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6의 방법으로 확인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평활근 세포화 분화배지 즉, 5% FBS, 1% NEAA, 1% PS, 0.1 mM β-머캅토에탄올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분화시켜,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평활근세포로 분화가능함을 보였다. 이를 평활근세포 특이적 마커인 αSMA의 발현을 성숙 SMLC와 비교하여 RT-PCR, 실시간 PCR 및 면역세포화학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A 및 도 4B는 평활근 분화배지로 분화 유도 경과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면역형광염색은 분화 전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에서는αSMA(red)가 발현하지 않고, 평활근세포로 분화됨에 따라 발현됨을 나타내었다(도 4C 및 도 4D). 도 4E 및 도 4F는 성숙한 평활근세포 특이적 마커인 SM-MHC(도 4E, green) 및 칼포닌(calponin; 도 4F, green)이 αSMA와 동시에 발현됨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6의 방법으로 확인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10% FBS, 10% HS, 1% CEE 및 1% PS를 포함하는 고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 배양하여 근세포로 분화시켰다. 도 5A 및 5D는 분화 전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도 5B 및 도 5E는 상기 근분화배지에서 근세포로 분화하는 세포를, 도 5C 및 도 5F는 최종적으로 근성장배지하에서 근섬유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근세포 특이적 마커인 데스민(red)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6의 방법으로 확인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10% FBS, 5 μg/ml 인슐린, 1 μM 덱사메타손, 0.5 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 및 60 μM 인도메타신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와 10% FBS, 1 μM 덱사메타손, 10 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60 μM 아스코르브산-2-인산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로 배양하여 각각 지방세포와 골세포로 분화시켜 골격형성 분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건하에서 분화하여 생성된 지방세포를 오일 레드 염색으로, 골세포를 알리자린 레드 염색으로 확인하였고 이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심혈관 세포와의 상호물질 교환성
본 발명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hESC-PVPC)와 다른 심혈관계 세포간의 색소 전이 분석을 통해 상호물질 교환성을 확인하였다. 칼신(calcein)은 세포 상호작용의 일환인 갭-정션(gap-junction)을 통해서만 이동되는 형광물질이다. 따라서, 다른 심혈관세포에 표지된 칼신이 hESC-PVPC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세포간 갭-정션 형성이 필수적이다. DiI-표지 hESC-PVPC(도 7, 상부 패널, red)를 칼신-표지 HUVEC(도 7, 중앙 패널 좌측, green), UASMC(도 7, 중앙패널 중앙, green) 또는 심근세포(도 7, 중앙 패널 우측, green)와 5% 이산화탄소의 37℃ 항온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공배양하였다. 칼신의 녹색 형광은 hESC-PVPC(도 7, 하부 패널)에서 DiI의 적색 형광과 함께 검출되었다(도 7, 하부 패널, 적녹색, 별표). 이로부터 hESC-PVPC가 다른 심혈관계 세포와 갭-정션을 형성함으로 물질이동 등의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허혈성 심혈관 질환 모델에서의 치료효과
본 발명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hESC-PVPC)를 허혈성 질환 동물 모델에 이식하여 세포치료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허혈성 심혈관 질환 마우스 모델에 hESC-PVPC를 이식하고 이식 전과 이식 후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도 8은 hESC-PVPC 이식 후 허혈성 후지에서의 허혈 사지 구제/혈류 개선을 나타낸 도이다. 이식 직후와 28일에 일련의 하지 회복정도를 구분하고 이미지를 관찰하여 분석하고 레이져 도플러 이미지로 허혈사지의 혈액 관류율 회복을 측정하였다. 도 9은 hESC-PVPC 이식으로 증가된 허혈 심근 내 모세혈관 밀도를 나타낸다. 배지를 주입한 샴그룹(도 9A), hESC-PVPC를 이식한 실험군(도 9B) 및 CB-EPC를 주입한 비교군(도 9C)의 심장 단면을 마송 삼색 염색하여 비교하였다. 도 9D 내지 도 9G는 hESC-PVPC 이식으로 인한 경색증 심근 섬유화 면적 및 경색증 심근 상흔 길이 감소와 경색증 심근에서의 모세혈관 밀도 및 경색증 벽두께의 증가를 나타낸다. 도 9H 및 도 9I는 심근증 부위 모세혈관을 GS-렉틴(green)으로 염색한 것이다. 상기 일련의 결과로부터 hESC-PVPC 이식 실험군에서 모세혈관 재생을 통한 허혈성 심근경색의 회복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심혈관 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10: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의 당뇨성 망막병증 질환모델에서의 치료효과
동물모델로서 당뇨성 망막질환을 유도한 마우스에 hESC-PVPC를 이식하여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우선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을 마우스에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다. 당뇨 유발 모델로는 최초 5회(1일 1회)의 STZ 투여 후 혈당수치를 측정하여 250 mg/dl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는 마우스를 선별하여 사용하였으며, 망막병증 유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당뇨 유발 8주 이후의 것을 사용하였다. 시각화를 위하여 DiI(적색)을 표지한 hESC-PVPC를 사용하였고, 망막 내 주입 4주 후 생착여부를 확인하였다. 망막혈관 표지를 위해서는 망막추출 전 꼬리혈관에 FITC 표지된 덱스트란(dextran-FITC, 녹색)을 주입하였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식된 hESC-PVPC는 망막 내로 생착되었고, 특히 손상된 혈관의 혈관주위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성체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인간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와 인간태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placenta-MSC)를 동일한 방법으로 이식하고 이후 한 달 동안 생착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상기 hESC-PVPC의 이식결과와 비교하였다. 상기 hESC-PVPC와 동일하게 각각의 세포는 DiI로 표지하여 STZ로 당뇨 유발 8주된 마우스의 망막에 이식하였고 1, 2, 4주 후 각각의 망막을 추출하여 생착여부를 확인하였다. hESC-PVPC의 경우 혈관주위 영역에 생착되어 추가적인 망막혈관 형태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반면, 성체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군에서는 이식된 세포가 생착되지 못하고 망막박리, 렌즈-망막협착 과도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면의 성체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군에서 나타나는 적색의 표지는 DiI에 의한 것인 아닌 염증반응에 의한 면역세포들의 자가형광발색에 기인한다. 이는 세포의 이식 경로와는 무관하게 망막혈관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명확히는 녹적색의 발광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가 망막 내 생착능이 우수하여, 시혈관 주위세포가 손상된 후 재생되지 않는 망막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Konkuk University <120> Method for producing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perivascular progenitor cell and composition for cell therapy comprising the same <130> pn1406-163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307 <212> DNA <213> BDKRB1 cDNA sequence <400> 1 aagagaaaac tcctccaaaa gcagctctca ctatcagaaa acccaactac agttgtgaac 60 gccttcattt tctgcctgag gtctcagtcc gtcggcccag actgaagtgc agtggcacaa 120 tcatagctcg ctgcagcctc gaccttccag gcttaaacga ttctcccacc tcagcctctc 180 gagttgctgg gaccacaggt cactgtgcat ggcatcatcc tggccccctc tagagctcca 240 atcctccaac cagagccagc tcttccctca aaatgctacg gcctgtgaca atgctccaga 300 agcctgggac ctgctgcaca gagtgctgcc aacatttatc atctccatct gtttcttcgg 360 cctcctaggg aacctttttg tcctgttggt cttcctcctg ccccggcggc aactgaacgt 420 ggcagaaatc tacctggcca acctggcagc ctctgatctg gtgtttgtct tgggcttgcc 480 cttctgggca gagaatatct ggaaccagtt taactggcct ttcggagccc tcctctgccg 540 tgtcatcaac ggggtcatca aggccaattt gttcatcagc atcttcctgg tggtggccat 600 cagccaggac cgctaccgcg tgctggtgca ccctatggcc agccggaggc agcagcggcg 660 gaggcaggcc cgggtcacct gcgtgctcat ctgggttgtg gggggcctct tgagcatccc 720 cacattcctg ctgcgatcca tccaagccgt cccagatctg aacatcaccg cctgcatcct 780 gctcctcccc catgaggcct ggcactttgc aaggattgtg gagttaaata ttctgggttt 840 cctcctacca ctggctgcga tcgtcttctt caactaccac atcctggcct ccctgcgaac 900 gcgggaggag gtcagcagga caaggtgcgg gggccgcaag gatagcaaga ccacagcgct 960 gatcctcacg ctcgtggttg ccttcctggt ctgctgggcc ccttaccact tctttgcctt 1020 cctggaattc ttattccagg tgcaagcagt ccgaggctgc ttttgggagg acttcattga 1080 cctgggcctg caattggcca acttctttgc cttcactaac agctccctga atccagtaat 1140 ttatgtcttt gtgggccggc tcttcaggac caaggtctgg gaactttata aacaatgcac 1200 ccctaaaagt cttgctccaa tatcttcatc ccataggaaa gaaatcttcc aacttttctg 1260 gcggaattaa aacagcattg aaccaagaaa aaaaaaaaaa aaaaaaa 1307 <210> 2 <211> 5496 <212> DNA <213> TIMP3 cDNA sequence <400> 2 ctgtggcttg ccccagagct gatccttgtc tttgtccact tctcagcgag gatggcactt 60 cagggagccc ttcccttact atcgcagaga gagcaggccc tccccagtca tgtccaaccc 120 agaactctgt tttgttttct tcatagccct agcatcacag aaaatcaccc tgtgcattca 180 tggatgtcca cgggggcaag ggctttgtgt tgcttaaccc agcatcctga accgtgtttg 240 ttgaatgaat acagaacccc gtttgctctg ggagagcaca gaaaacagtc ttctatcata 300 tatcatagcc agctgcaaac agcagatggc ttcccatatc ccagagagta agaaccagag 360 agagagagaa agagagagag tttgggtctt tctcctctgt gcctgctctc tccagagaaa 420 ctggaggggt agcagttagc attcccccgc tggttccacc aagcacagtc aaggtctcta 480 ggacatggcc acccctcacc tgtggaagcg gtcctgctgg ggtgggtggg tgttagttgg 540 ttctggtttg ggtcagagac acccagtggc ccaggtgggc gtggggccag ggcgcagacg 600 agaaggggca cgagggctcc gctccgagga cccagcggca agcaccggtc ccgggcgcgc 660 cccagcccac ccactcgcgt gcccacggcg gcattattcc ctataaggat ctgaacgatc 720 cgggggcggc cccgccccgt taccccttgc ccccggcccc gccccctttt tggagggccg 780 atgaggtaat gcggctctgc cattggtctg agggggcggg ccccaacagc ccgaggcggg 840 gtccccgggg gcccagcgct atatcactcg gccgcccagg cagcggcgca gagcgggcag 900 caggcaggcg gcgggcgctc agacggcttc tcctcctcct cttgctcctc cagctcctgc 960 tccttcgccg ggaggccgcc cgccgagtcc tgcgccagcg ccgaggcagc ctcgctgcgc 1020 cccatcccgt cccgccgggc actcggaggg cagcgcgccg gaggccaagg ttgccccgca 1080 cggcccggcg ggcgagcgag ctcgggctgc agcagccccg ccggcggcgc gcacggcaac 1140 tttggagagg cgagcagcag ccccggcagc ggcggcagca gcggcaatga ccccttggct 1200 cgggctcatc gtgctcctgg gcagctggag cctgggggac tggggcgccg aggcgtgcac 1260 atgctcgccc agccaccccc aggacgcctt ctgcaactcc gacatcgtga tccgggccaa 1320 ggtggtgggg aagaagctgg taaaggaggg gcccttcggc acgctggtct acaccatcaa 1380 gcagatgaag atgtaccgag gcttcaccaa gatgccccat gtgcagtaca tccatacgga 1440 agcttccgag agtctctgtg gccttaagct ggaggtcaac aagtaccagt acctgctgac 1500 aggtcgcgtc tatgatggca agatgtacac ggggctgtgc aacttcgtgg agaggtggga 1560 ccagctcacc ctctcccagc gcaaggggct gaactatcgg tatcacctgg gttgtaactg 1620 caagatcaag tcctgctact acctgccttg ctttgtgact tccaagaacg agtgtctctg 1680 gaccgacatg ctctccaatt tcggttaccc tggctaccag tccaaacact acgcctgcat 1740 ccggcagaag ggcggctact gcagctggta ccgaggatgg gcccccccgg ataaaagcat 1800 catcaatgcc acagacccct gagcgccaga ccctgcccca cctcacttcc ctcccttccc 1860 gctgagcttc ccttggacac taactcttcc cagatgatga caatgaaatt agtgcctgtt 1920 ttcttgcaaa tttagcactt ggaacattta aagaaaggtc tatgctgtca tatggggttt 1980 attgggaact atcctcctgg ccccaccctg ccccttcttt ttggttttga catcattcat 2040 ttccacctgg gaatttctgg tgccatgcca gaaagaatga ggaacctgta ttcctcttct 2100 tcgtgataat ataatctcta tttttttagg aaaacaaaaa tgaaaaacta ctccatttga 2160 ggattgtaat tcccacccct cttgcttctt ccccacctca ccatctccca gaccctcttc 2220 cctttgccct tctcctccaa tacataaagg acacagacaa ggaacttgct gaaaggccaa 2280 ccatttcagg atcagtcaaa ggcagcaagc agatagactc aaggtgtgtg aaagatgtta 2340 tacaccagga gctgccactg catgtcccaa ccagactgtg tctgtctgtg tctgcatgta 2400 agagtgaggg agggaaggaa ggaactacaa gagagtcgga gatgatgcag cacacacaca 2460 attccccagc ccagtgatgc ttgtgttgac cagatgttcc tgagtctgga gcaagcaccc 2520 aggccagaat aacagagctt tcttagttgg tgaagactta aacatctgcc tgaggtcagg 2580 aggcaatttg cctgccttgt acaaaagctc aggtgaaaga ctgagatgaa tgtctttcct 2640 ctccctgcct cccaccagac ttcctcctgg aaaacgcttt ggtagatttg gccaggagct 2700 ttcttttatg taaattggat aaatacacac accatacact atccacagat atagccaagt 2760 agatttgggt agaggatact atttccagaa tagtgtttag ctcacctagg gggatatgtt 2820 tgtatacaca tttgcatata cccacatggg gacataagct aattttttta caggacacag 2880 aattctgttc aatgctgtta aatatgccaa tagtttaatc tcttctattt tgttgtcgtt 2940 gcttgtttga agaaaatcat gacattccaa gttgacattt ttttttcatt ttaattaaaa 3000 tttgaaattc tgaacaccgt cagcaccctc tcttccctat catgggtcat ctgacccctg 3060 tccgtctcct tgtccctgct tcatgtttgg gggcctttct ttaactgcct tcctggctta 3120 gctcagatgg cagatgagag tgtagtcaag ggcctgggca caggagggag agctgcagag 3180 tgtcctgcct gccttggctg gagggacacc tctcctgggt gtggagacag cttggttccc 3240 tttccctagc tccctggtgg gtgaatgcca cctcctgaga tcctcacctc ttggaattaa 3300 aattgttggt cactggggaa agcctgagtt tgcaaccagt tgtagggttt ctgttgtgtt 3360 tttttttttt tttttgaaat aaaactataa tataaattct cctattaaat aaaattattt 3420 taagttttag tgtcaaaagt gagatgctga gagtaggtga taatgtatat tttacagagt 3480 gggggttggc aggatggtga cattgaacat gattgctctc tgtctctttt ttcagcttat 3540 gggtatttat cttctattag tatttgtatc ttcagttcat tccactttag gaaacagagc 3600 tgccaattga aacagaagaa gaaaaaaaaa aaaagcagca gacaacacac tgtagagtct 3660 tgcacacaca caagtgccca ggcaaggtgc ttggcagaac cgcagagtgg gaagagagta 3720 ccggcatcgg gtttccttgg gatcaatttc attaccgtgt acctttccca ttgtggtcat 3780 gccatttggc agggggagaa tgggaggctt ggccttcttt gtgaggcagt gtgagcagaa 3840 gctgatgcca gcatgtcact ggttttgaag ggatgagccc agacttgatg ttttgggatt 3900 gtccttattt taacctcaag gtctcgcatg gtggggcccc tgaccaacct acacaagttc 3960 cctcccacaa gtggacatca gtgtcttctc tgtgaggcat ctggccattc gcactccctg 4020 gtgtggtcag cctctctcac acaaggagga acttgggtga aggctgagtg tgaggcacct 4080 gaagtttccc tgcggagtcg ataaattagc agaaccacat ccccatctgt taggccttgg 4140 tgaggaggcc ctgggcaaag aagggtcttt cgcaaagcga tgtcagaggg cggttttgag 4200 ctttctataa gctatagctt tgtttatttc acccgttcac ttactgtata atttaaaatc 4260 atttatgtag ctgagacact tctgtatttc aatcatatca tgaacatttt attttgctaa 4320 atcttgtgtc atgtgtaggc tgtaatatgt gtacattgtg tttaagagaa aaatgaaacc 4380 cacatgccgc cattttcctg aatcaaattc tgcagtggaa tggagaggaa aatacttcta 4440 ggcaagcagc tagactggtg aattggggga aatagaagga actagtaact gagactcctc 4500 cagcctcctc cctattggaa tcccaatggc tcctggagta ggaaaaaagt ttaaactaca 4560 ttcatgttct tgttctgtgt cactcggccc tgggtagtct accatttact tcaccccaag 4620 tcctgctgcc catccagttg ggaagccatg attttcctaa gaatccaggg ccatgggaga 4680 tacaattcca agttctcgct tcctcctttg ggcatctctt ctgcctccca atcaaggaag 4740 ctccatgctc aggctctcag ctctcgggcc agtgctctgc tctgtccagg gtaggtaata 4800 ctgggagact cctgtctttt accctcccct cgttccagac ctgcctcatg gtggcaacat 4860 ggttcttgaa caattaaaga aacaaatgac tttttggaat agccctgtct agggcaaact 4920 gtggccccca ggagacacta cccttccatg ccccagacct ctgtcttgca tgtgacaatt 4980 gacaatctgg actaccccaa gatggcaccc aagtgtttgg cttctggcta cctaaggtta 5040 acatgtcact agagtatttt tatgagagac aaacattata aaaatctgat ggcaaaagca 5100 aaacaaaatg gaaagtaggg gaggtggatg tgacaacaac ttccaaattg gctctttgga 5160 ggcgagagga aggggagaac ttggagaata gtttttgctt tgggggtaga ggcttcttag 5220 attctcccag catccgcctt tccctttagc cagtctgctg tcctgaaacc cagaagtgat 5280 ggagagaaac caacaagaga tctcgaaccc tgtctagaag gaatgtattt gttgctaaat 5340 ttcgtagcac tgtttacagt tttcctccat gttatttatg aattttatat tccgtgaatg 5400 tatattgtct tgtaatgttg cataatgttc actttttata gtgtgtcctt tattctaaac 5460 agtaaagtgg ttttatttct atcacaaaaa aaaaaa 5496 <210> 3 <211> 5920 <212> DNA <213> DSC3 cDNA sequence <400> 3 ggcaggtctc gctctcggca ccctcccggc gcccgcgttc tcctggccct gcccggcatc 60 ccgatggccg ccgctgggcc ccggcgctcc gtgcgcggag ccgtctgcct gcatctgctg 120 ctgaccctcg tgatcttcag tcgtgatggt gaagcctgca aaaaggtgat acttaatgta 180 ccttctaaac tagaggcaga caaaataatt ggcagagtta atttggaaga gtgcttcagg 240 tctgcagacc tcatccggtc aagtgatcct gatttcagag ttctaaatga tgggtcagtg 300 tacacagcca gggctgttgc gctgtctgat aagaaaagat catttaccat atggctttct 360 gacaaaagga aacagacaca gaaagaggtt actgtgctgc tagaacatca gaagaaggta 420 tcgaagacaa gacacactag agaaactgtt ctcaggcgtg ccaagaggag atgggcacct 480 attccttgct ctatgcaaga gaattccttg ggccctttcc cattgtttct tcaacaagtt 540 gaatctgatg cagcacagaa ctatactgtc ttctactcaa taagtggacg tggagttgat 600 aaagaacctt taaatttgtt ttatatagaa agagacactg gaaatctatt ttgcactcgg 660 cctgtggatc gtgaagaata tgatgttttt gatttgattg cttatgcgtc aactgcagat 720 ggatattcag cagatctgcc cctcccacta cccatcaggg tagaggatga aaatgacaac 780 caccctgttt tcacagaagc aatttataat tttgaagttt tggaaagtag tagacctggt 840 actacagtgg gggtggtttg tgccacagac agagatgaac cggacacaat gcatacgcgc 900 ctgaaataca gcattttgca gcagacacca aggtcacctg ggctcttttc tgtgcatccc 960 agcacaggcg taatcaccac agtctctcat tatttggaca gagaggttgt agacaagtac 1020 tcattgataa tgaaagtaca agacatggat ggccagtttt ttggattgat aggcacatca 1080 acttgtatca taacagtaac agattcaaat gataatgcac ccactttcag acaaaatgct 1140 tatgaagcat ttgtagagga aaatgcattc aatgtggaaa tcttacgaat acctatagaa 1200 gataaggatt taattaacac tgccaattgg agagtcaatt ttaccatttt aaagggaaat 1260 gaaaatggac atttcaaaat cagcacagac aaagaaacta atgaaggtgt tctttctgtt 1320 gtaaagccac tgaattatga agaaaaccgt caagtgaacc tggaaattgg agtaaacaat 1380 gaagcgccat ttgctagaga tattcccaga gtgacagcct tgaacagagc cttggttaca 1440 gttcatgtga gggatctgga tgaggggcct gaatgcactc ctgcagccca atatgtgcgg 1500 attaaagaaa acttagcagt ggggtcaaag atcaacggct ataaggcata tgaccccgaa 1560 aatagaaatg gcaatggttt aaggtacaaa aaattgcatg atcctaaagg ttggatcacc 1620 attgatgaaa tttcagggtc aatcataact tccaaaatcc tggataggga ggttgaaact 1680 cccaaaaatg agttgtataa tattacagtc ctggcaatag acaaagatga tagatcatgt 1740 actggaacac ttgctgtgaa cattgaagat gtaaatgata atccaccaga aatacttcaa 1800 gaatatgtag tcatttgcaa accaaaaatg gggtataccg acattttagc tgttgatcct 1860 gatgaacctg tccatggagc tccattttat ttcagtttgc ccaatacttc tccagaaatc 1920 agtagactgt ggagcctcac caaagttaat gatacagctg cccgtctttc atatcagaaa 1980 aatgctggat ttcaagaata taccattcct attactgtaa aagacagggc cggccaagct 2040 gcaacaaaat tattgagagt taatctgtgt gaatgtactc atccaactca gtgtcgtgcg 2100 acttcaagga gtacaggagt aatacttgga aaatgggcaa tccttgcaat attactgggt 2160 atagcactgc tcttttctgt attgctaact ttagtatgtg gagtttttgg tgcaactaaa 2220 gggaaacgtt ttcctgaaga tttagcacag caaaacttaa ttatatcaaa cacagaagca 2280 cctggagacg atagagtgtg ctctgccaat ggatttatga cccaaactac caacaactct 2340 agccaaggtt tttgtggtac tatgggatca ggaatgaaaa atggagggca ggaaaccatt 2400 gaaatgatga aaggaggaaa ccagaccttg gaatcctgcc ggggggctgg gcatcatcat 2460 accctggact cctgcagggg aggacacacg gaggtggaca actgcagata cacttactcg 2520 gagtggcaca gttttactca accccgtctc ggtgaagaat ccattagagg acacactggt 2580 taaaaattaa acataaaaga aattgcatcg atgtaatcag aatgaagacc gcatgccatc 2640 ccaagattat gtcctcactt ataactatga gggaagagga tctccagctg gttctgtggg 2700 ctgctgcagt gaaaagcagg aagaagatgg ccttgacttt ttaaataatt tggaacccaa 2760 atttattaca ttagcagaag catgcacaaa gagataatgt cacagtgcta caattaggtc 2820 tttgtcagac attctggagg tttccaaaaa taatattgta aagttcaatt tcaacatgta 2880 tgtatatgat gatttttttc tcaattttga attatgctac tcaccaattt atatttttaa 2940 agccagttgt tgcttatctt ttccaaaaag tgaaaaatgt taaaacagac aactggtaaa 3000 tctcaaactc cagcactgga attaaggtct ctaaagcatc tgctcttttt tttttttacg 3060 gatattttag taataaatat gctggataaa tattagtcca acaatagcta agttatgcta 3120 atatcacatt attatgtatt cactttaagt gatagtttaa aaaataaaca agaaatattg 3180 agtatcacta tgtgaagaaa gttttggaaa agaaacaatg aagactgaat taaattaaaa 3240 atgttgcagc tcataaagaa ttgggactca cccctactgc actaccaaat tcatttgact 3300 ttggaggcaa aatgtgttga agtgccctat gaagtagcaa ttttctatag gaatatagtt 3360 ggaaataaat gtgtgtgtgt atattattat taatcaatgc aatatttaaa atgaaatgag 3420 aacaaagagg aaaatggtaa aaacttgaaa tgaggctggg gtatagtttg tcctacaata 3480 gaaaaaagag agagcttcct aggcctgggc tcttaaatgc tgcattataa ctgagtctat 3540 gaggaaatag ttcctgtcca atttgtgtaa tttgtttaaa attgtaaata aattaaactt 3600 ttctggtttc tgtgggaagg aaatagggaa tccaatggaa cagtagcttt gctttgcagt 3660 ctgtttcaag atttctgcat ccacaagtta gtagcaaact ggggaatact cgctgcagct 3720 ggggttccct gctttttggt agcaagggtc cagagatgag gtgttttttt cggggagcta 3780 ataacaaaaa cattttaaaa cttaccttta ctgaagttaa atcctctatt gctgtttcta 3840 ttctctctta tagtgaccaa catcttttta atttagatcc aaataaccat gtcctcctag 3900 agtttagagg ctagagggag ctgaggggag gatcttactg aaagcaccct ggggagattg 3960 attgtcctta aacctaagcc ccacaaactt gacacctgat caggtctggg agctacaaaa 4020 tttcattttt ctcctcactg cccttcttct gagtggcatt ggcctgaatc aaggaaagcc 4080 aggccttgtg ggcccccttc tttcggcttt ctgctaaagc aacacctcca gcagagattc 4140 ccttaagtga ctccaggttt tccaccatcc ttcagcgtga attaattttt aatcagtttg 4200 ctttctccag agaaatttta aaataataga agaaatagaa attttgaatg tataaaagaa 4260 aaagatcaag ttgtcatttt agaacagagg gaactttggg agaaagcagc ccaagtaggt 4320 tatttgtaca gtcagagggc aacaggaaga tgcaggcctt caagggcaag gagaggccac 4380 aaggaatatg ggtgggagta aaagcaacat cgtctgcttc atactttttc ctaggcttgg 4440 cactgccttt tcctttctca ggccaatggc aactgccatt tgagtccggt gagggatcag 4500 ccaacctctt ctctatggct caccttattt ggagtgagaa atcaaggaga cagagctgac 4560 tgcatgatga gtctgaaggc atttgcagga tgagcctgaa ctggttgtgc agaacaaaca 4620 aggcattcat gggaattgtt gtattccttc tgcagccctc cttctgggca ctaagaaggt 4680 ctatgaatta aatgcctatc taaaattctg atttattcct acattttctg ttttctaatt 4740 tgaccctaaa atctatgtgt tttagactta gactttttat tgcccccccc cccttttttt 4800 ttgagacgga gtctcgctct gacgcacagg ctggagtgca gtggctccga tctctgctca 4860 ctgaaagctc cgcctcccgg gttcatgcca ttctcctgcc tcagcctcct gagtagctgg 4920 gactacaggc gcccaccacc acgcccggct aattttttgt atttttaata gagacggggt 4980 ttcactgtgt tagccaggat ggtctcgatc tcctgacctc gtgatccgcc tgcctcggcc 5040 tcccaaagtg ctgggattac aggcatgacc caccgctccc ggccttgttt tccgtttaaa 5100 gtcgtcttct tttaatgtaa tcattttgaa catgtgtgaa agttgatcat acgaattgga 5160 tcaatcttga aatactcaac caaaagacag tcgagaagcc agggggagaa agaactcagg 5220 gcacaaaata ttggtctgag aatggaattc tctgtaagcc tagttgctga aatttcctgc 5280 tgtaaccaga agccagtttt atctaacggc tactgaaaca cccactgtgt tttgctcact 5340 cccactcacc gatcaaaacc tgctacctcc ccaagacttt actagtgccg ataaactttc 5400 tcaaagagca accagtatca cttccctgtt tataaaacct ctaaccatct ctttgttctt 5460 tgaacatgct gaaaaccacc tggtctgcat gtatgcccga atttgtaatt cttttctctc 5520 aaatgaaaat ttaattttag ggattcattt ctatattttc acatatgtag tattattatt 5580 tccttatatg tgtaaggtga aatttatggt atttgagtgt gcaagaaaat atatttttaa 5640 agctttcatt tttcccccag tgaatgattt agaatttttt atgtaaatat acagaatgtt 5700 ttttcttact tttataagga agcagctgtc taaaatgcag tggggtttgt tttgcaatgt 5760 tttaaacaga gttttagtat tgctattaaa agaagttact ttgcttttaa agaaacttgg 5820 ctgcttaaaa taagcaaaaa ttggatgcat aaagtaatat ttacagatgt ggggagatgt 5880 aataaaacaa tattaacttg gaaaaaaaaa aaaaaaaaaa 5920 <210> 4 <211> 1457 <212> DNA <213> HSPB6 cDNA sequence <400> 4 actgcaacgc ggaggagcag gatggagatc cctgtgcctg tgcagccgtc ttggctgcgc 60 cgcgcctcgg ccccgttgcc cggactttcg gcgcccggac gcctctttga ccagcgcttc 120 ggcgaggggc tgctggaggc cgagctggct gcgctctgcc ccaccacgct cgccccctac 180 tacctgcgcg cacccagcgt ggcgctgccc gtcgcccagg tgccgacgga ccccggccac 240 ttttcggtgc tgctagacgt gaagcacttc tcgccggagg aaattgctgt caaggtggtg 300 ggcgaacacg tggaggtgca cgcgcgccac gaggagcgcc cggatgagca cggattcgtc 360 gcgcgcgagt tccaccgtcg ctaccgcctg ccgcctggcg tggatccggc tgccgtgacg 420 tccgcgctgt cccccgaggg cgtcctgtcc atccaggccg caccagcgtc ggcccaggcc 480 ccaccgccag ccgcagccaa gtaggagggg gctgggccgc gcccgcaccc cgggagcctc 540 ctcaggctcc ctctattaaa gccgatctga ctccgcccag ccagatgtcc cgagtgcgcc 600 aaggactgtc ctctcaccca ctcctggatt ctgccctgac ctccatcctg gacactgcct 660 tgataacata gacccttcca ctgacaccct cgctctcaca ccccctccag ctttccgacc 720 ccacaccgac aactcctcgg cttccagacc ctaccagcac taccctaacc ctcagccgac 780 agtctcagcc ccaccgaccc actttcttgg catatagccc cacttaagac ccctcctcta 840 cttccttctg agtcctctac aaagacatcc gggtactaca tttccatccc ttccctattt 900 tgacaccaaa ttatggtgta gacagccctc ccccaacccc aggccagtca ggcacaatcc 960 ccccaccccc caaacgtcct ggactgcaca gacctcccac tccagaccat ccaggcctgg 1020 ttcccaagac ccgatccttc ccctgcaacc agacagtcta caactgcccc ctccagccca 1080 ttttctgccg tgaaacccca gccagccaca ccagactctg gaaccctttt tcgactgccc 1140 caactcttgg acaccaggcc aactagaaca cccaacacca aactgtacag actctcccac 1200 cccaacctcc ccagactctg cacggatgtc ctaggccccc tccccaactc taaccagacc 1260 ccatccccct aagtcccttt gtcttgaccc ccaagtcttc aaccagatat cctcggcaac 1320 ccacctccca ccctcctcct cttctccttc aagacccaac tgagcacccg ctctgattcc 1380 ccacagcctt tctccctgcc accactccct tagtctttcc caggcttact ctcccaataa 1440 atgtgctaga gctctgc 1457 <210> 5 <211> 4324 <212> DNA <213> CADM1 cDNA sequence <400> 5 ggttgggctc gcggcgctgt gattggtctg cccggactcc gcctccagcg catgtcatta 60 gcatctcatt agctgtccgc tcgggctccg gaggcagcca acgccgccag tctgaggcag 120 gtgcccgaca tggcgagtgt agtgctgccg agcggatccc agtgtgcggc ggcagcggcg 180 gcggcggcgc ctcccgggct ccggctccgg cttctgctgt tgctcttctc cgccgcggca 240 ctgatcccca caggtgatgg gcagaatctg tttacgaaag acgtgacagt gatcgaggga 300 gaggttgcga ccatcagttg ccaagtcaat aagagtgacg actctgtgat tcagctactg 360 aatcccaaca ggcagaccat ttatttcagg gacttcaggc ctttgaagga cagcaggttt 420 cagttgctga atttttctag cagtgaactc aaagtatcat tgacaaacgt ctcaatttct 480 gatgaaggaa gatacttttg ccagctctat accgatcccc cacaggaaag ttacaccacc 540 atcacagtcc tggtcccacc acgtaatctg atgatcgata tccagaaaga cactgcggtg 600 gaaggtgagg agattgaagt caactgcact gctatggcca gcaagccagc cacgactatc 660 aggtggttca aagggaacac agagctaaaa ggcaaatcgg aggtggaaga gtggtcagac 720 atgtacactg tgaccagtca gctgatgctg aaggtgcaca aggaggacga tggggtccca 780 gtgatctgcc aggtggagca ccctgcggtc actggaaacc tgcagaccca gcggtatcta 840 gaagtacagt ataagcctca agtgcacatt cagatgactt atcctctaca aggcttaacc 900 cgggaagggg acgcgcttga gttaacatgt gaagccatcg ggaagcccca gcctgtgatg 960 gtaacttggg tgagagtcga tgatgaaatg cctcaacacg ccgtactgtc tgggcccaac 1020 ctgttcatca ataacctaaa caaaacagat aatggtacat accgctgtga agcttcaaac 1080 atagtgggga aagctcactc ggattatatg ctgtatgtat acgatccccc cacaactatc 1140 cctcctccca caacaaccac caccaccacc accaccacca ccaccaccat ccttaccatc 1200 atcacagatt cccgagcagg tgaagaaggc tcgatcaggg cagtggatca tgccgtgatc 1260 ggtggcgtcg tggcggtggt ggtgttcgcc atgctgtgct tgctcatcat tctggggcgc 1320 tattttgcca gacataaagg tacatacttc actcatgaag ccaaaggagc cgatgacgca 1380 gcagacgcag acacagctat aatcaatgca gaaggaggac agaacaactc cgaagaaaag 1440 aaagagtact tcatctagat cagccttttt gtttcaatga ggtgtccaac tggccctatt 1500 tagatgataa agagacagtg atattggaac ttgcgagaaa ttcgtgtgtt tttttatgaa 1560 tgggtggaaa ggtgtgagac tgggaaggct tgggatttgc tgtgtaaaaa aaaaaaaaat 1620 gttctttgga aagtacactc tgctgtttga cacctctttt ttcgtttgtt tgtttgttta 1680 atttttattt cttcctacca agtcaaactt ggatacttgg atttagtttc agtagattgc 1740 agaaaattct gtgccttgtt ttttgtttgt ttgttgcgtt cctttctttt ccccctttgt 1800 gcacatttat ttcctccctc taccccaatt tcggattttt tccaaaatct cccattttgg 1860 aatttgcctg ctgggattcc ttagactctt ttccttccct tttctgttct agttttttac 1920 ttttgtttat ttttatggta actgctttct gttccaaatt cagtttcata aaaggagaac 1980 cagcacagct tagatttcat agttcagaat ttagtgtatc cataatgcat tcttctctgt 2040 tgtcgtaaag atttgggtga acaaacaatg aaaactcttt gctgctgccc atgtttcaaa 2100 tacttagagc agtgaagact agaaaattag actgtgattc agaaaatgtt ctgtttgctg 2160 tggaactaca ttactgtaca gggttatctg caagtgaggt gtgtcacaat gagattgaat 2220 ttcactgtct ttaattctgt atctgtagac ggctcagtat agatacccta cgctgtccag 2280 aaaggtttgg ggcagaaagg actcctcctt tttccatgcc ctaaacagac ctgacaggtg 2340 aggtctgttc cttttatata agtggacaaa ttttgagttg ccacaggagg ggaagtaggg 2400 aggggggaaa tacagttctg ctctggttgt ttctgttcca aatgattcca tccacctttc 2460 ccaatcggcc ttacttctca ctaatttgta ggaaaaagca agttcgtctg ttgtgcgaat 2520 gactgaatgg gacagagttg attttttttt ttttttcctt tgtgcttagt taggaaggca 2580 gtaggatgtg gcctgcatgt actgtatatt acagatattt gtcatgctgg gatttccaac 2640 tcgaatctgt gtgaaacttt cattccttca gatttggctt gacaaaggca ggaggtacaa 2700 aagaagggct ggtattgttc tcacactggt ctgctgtcgc tctcagttct cgataggtca 2760 gagcagaggt ggaaaaacag catgtacgga ttttcagtta cttaatcaaa actcaaatgt 2820 gagtgttttt atctttttac ctttcataca ctagccttgg cctctttcct cagccttaag 2880 aaccatctgc caaaaattac tgatcctcgc atgatggcag ccatagtgca tagctactaa 2940 aatcagtgac cttgaacata tcttagatgg ggagcctcgg gaaaaggtag aggagtcacg 3000 ttaccattta catgttttaa agaaagaagt gtggggattt tcactgaaac gtctaggaaa 3060 tctagaagta gtcctgaagg acagaaacta aactcttacc atatgtttgg taagactcca 3120 gactccagct aacagtccct atggaaagat ggcatcaaaa aagatagatc tatatatata 3180 tataaatata tattctatta cattttcagt gagtaatttt ggattttgca aggtgcattt 3240 ttactattgt tacattatgt ggaaaactta tgctgattta tttaaggggg aaaaagtgtc 3300 aactctttgt tatttgaaaa catgtttatt tttcttgtct ttattttaac ctttgataga 3360 accattgcaa tatgggggcc ttttgggaac ggactggtat gtaaaagaaa atccattatc 3420 gagcagcatt ttatttaccc ctcccctatc cctaggcact taaccaagac aaaaagccac 3480 aatgaacatc cctttttcaa tgaattttat aatctgcagc tctattccga gcccttagca 3540 cccattccga ccatagtata atcatatcaa agggtgagaa tcatttagca tgttgttgaa 3600 aggttttttt tcagttgttc tttttagaaa aaaagaaaaa caaaaacaaa aacaaaaaaa 3660 aaaaatcaca ccattgctca cagaattggc atctcatttt tgggacctcc catctttctg 3720 ttttgaaaag tgtacagtag tgcagtgttc ctgatgtaac tttatggctt acaatgttga 3780 catgtctcag gttcatgtgt tgcgattggt gttttccgtc tcaggtagat tgcaaagtgt 3840 aggccccaca cattggaaaa aataataata aaacaaagca aaaacaggaa attatggatt 3900 ttagttgtat attggtttat gtattttttc ttaagtatac agtgcactgt ttgaaatgta 3960 ttgttgagta ttactttgta caggttgatc acttttttta gagtgaagaa agaacaaact 4020 tgttttttgt gttttttaaa ggaatataaa ataatgaagg atgtataatt gatgccaaat 4080 aagcttgttc tttagtcaca ccgacgtctt atttttccct ttaggccagt tctgttttta 4140 aggtgtacat ggacaatgtt acagtgtaag aaactccata tccatatgtt cccattcgca 4200 ttttgtattg gttcatgtat accattttta caaaaaaaaa aagaaaaaaa agaagtacta 4260 taaaatatct gtcttcttaa taaaaaaaaa ttaatgttac aaagtgaaaa aaaaaaaaaa 4320 aaaa 4324 <210> 6 <211> 4071 <212> DNA <213> ARRDC4 cDNA sequence <400> 6 tgggggagcc ggtgccccat cgggtaccgc acggctgccg cggcggcctt accctgccgc 60 gagcgcctgt gacagcggcg ccgctgtgct cgcgaccccg gctccgggcc tctgccgacc 120 tcaggggcag gaaagagtcg cccggcggga tgggcggcga ggctgggtgc gcggcggccg 180 tgggtgccga gggccgcgtg aagagcctgg gtctggtgtt cgaggacgag cgcaagggct 240 gctattccag cggcgagaca gtggccgggc acgtgctgct ggaggcgtcc gagccggtgg 300 ccctgcgcgc gctgcgcctg gaggcccagg ggcgcgccac cgccgcctgg ggcccgagca 360 cctgcccccg cgcctcggcc agcgccgcgg ccctggctgt cttctcggag gtggagtacc 420 tgaacgtgcg cctcagcctg cgggagcccc cggccggtga aggcatcatt ttattacagc 480 ctggaaaaca tgaatttcca tttcgctttc aacttccatc tgaacctttg gtcacctcgt 540 ttactgggaa atatggaagc attcagtact gtgtgcgggc agtgttggaa cgacccaagg 600 tacctgatca gagtgtaaag cgggaactcc aggttgttag tcatgtcgat gtcaacacac 660 cagcattatt aacccctgta ttgaaaactc aagagaaaat ggttggctgt tggtttttca 720 cttctggtcc agtctcgctg agtgccaaaa ttgaaagaaa gggatactgt aatggagaag 780 ctattccaat ctatgcagaa atagaaaatt gttcctctcg tctgattgtt ccaaaggctg 840 ctattttcca aacgcagaca tatttggcta gtggaaaaac aaagaccatt cgacacatgg 900 tcgccaatgt gcgaggaaac cacatcgctt ctgggagcac agacacatgg aatgggaaaa 960 cgctaaaaat cccacctgtt actccatcca tcctggattg ctgcattatc agagtggact 1020 attccttagc tgtatacatt cacattcctg gtgctaaaaa attgatgctc gaactgccat 1080 tagtgatcgg tacaattcca tataatggtt ttggcagcag aaactccagc attgccagcc 1140 agttcagtat ggatatgagc tggttgacac tgaccctgcc agagcagtct gaagcaccac 1200 caaattatgc agatgtggta ccagaggaag aattctctag acacattcct ccttaccctc 1260 aaccccctaa ctgtgaggga gaagtgtgct gtcctgtgtt tgcctgtata caagaattcc 1320 ggtttcaacc cccacctctt tattcagagg ttgacccaca tcctagcgac gtagaagaga 1380 gccagcctgt ttccttcatt ctctgaacgt atttcagaaa tcactgtgtt catcatcaaa 1440 ttagaatgtt ggttcttttc cttctgcctt tttgggagag agacaggaaa gattcacttg 1500 aaaacataaa tgaacgtcaa gactgaaggc aatagaaatt aaagaatgtg agaaagttct 1560 ggtgggccgg caggattgcc gcacaagttt atatgatggt cgtatatata tccctgttaa 1620 aaactgggat gaagatgtgc aaagtcacag aatgtaatgg aagtcctgat ggttacagag 1680 taagtgaaag ggtgcctgcg ctgacgtgag agaaaggaat ctgtaaacag tggaaacact 1740 gtgggagttt cccatggtgt tttgaagagt ggaacgaagg cgatatgaac tgaaggggtg 1800 aagacttgat tttggagagg gcaacaaaac aagggtgtgt gtgcatagga gaatggccca 1860 ctccaaatac gaagtgagat cctgagtctt tgggtgcttc atgatttcct accatattca 1920 ggcctaaaga cattgaaaaa gcatcttttc ttgagatcat ggtcatatga ggtcctaatg 1980 aagtactaca gttttcattc tttcaagggt agactaaaat atagtttata aatcggcagt 2040 acagtattat gaaaccaaga aagggtttct tgaaaagctt gtcggttcaa agaggaaaga 2100 tgaatttcaa tgtgaaaaca cgttttgttg agggctgtac tttttacccc ctttaagtgc 2160 tttaacagga tatacgtttg attttcctca tatcttattt acctaggagc atgtcagaga 2220 aagaagggag agaaaaggtt gcatctgcag gatgccttga taactacaca gtcccaaata 2280 aaaggccttt ttctaaccta cctctaatgg ggttatcaga tatgttttta aatctctcgc 2340 cctgagtact cttcttggga gttgctgctg tttacagcca cagtctcatc tatcactaaa 2400 tatgaaactg ggccaagggg aaaattcagt aagttagcgt taaatggaag taaatatatg 2460 tatacctaag agaatgtcaa aataaacacc aaaccaaaag aaggtaggag tgccattttt 2520 agaaaagaca caactttaat tcctgtcaag agacctaggt ctactgatgg cagtcactgc 2580 attgtacatt attccagttc ttcagtaatt ctgtttaaac tgtgattttc tttattgtgt 2640 tggtgcaata ttttattatc atttaacctc aggatattca gaccaacagg attgtgttgc 2700 tgctgaaagt ctgagcagtg ttttaccgtc cccagccccc ctcccacatg gtcacatgtt 2760 cacttgcttt tccttccatc tgttggtttt gtgagctgag agcatctctg gacacatgga 2820 agggagccag ggattcctgt gatacagatt ttgaaccagc agagtacttt ggttttcttc 2880 atgtcctaag ggtttgatcc agaaaccctg gtgcttcccc tgcagaatac tgtacttcat 2940 ttaacagaat gattgatttt tctttcaatc agcatgttca ccaaaaatag aaaagttctt 3000 ctaaggttaa attttgtatt taaaagttag ttggccattt gatcagggaa ttttctacac 3060 acattaggca aatgtatgct tttcatcctc tgggcttacc tctctcctct gcaatcctgg 3120 aagcattgtg catagttctt tcattgtaag ccgctattta aattcccaca atgcaaaact 3180 gttagaccag taattgtgct actgaaattg tcacaaaacg ttattccttg atttggtttt 3240 taaattttgc ttttgtgtgt gtgtctttaa acaggtaatg tgtatttaag tgttgtctaa 3300 acagttgatt tttactttag aaaagatcat cttcaactgt ttattgactt ctgagttata 3360 tagttcatgc cctgccaagg cattgttcga ctccatgata ctaaaacata atgaaagaaa 3420 caaactccag tatggagaag agaaagttta attatttggt tccatctaga aaagcaacaa 3480 cttaaaggaa tccttcacta ggattgtctt atcaccttta ttagataaat catgtagtgt 3540 ccctgtgaaa ttgaagtgaa actatctctg taggacttaa gagaatagct aaaaggtgtg 3600 acttgcctta ttgaactgat actggcatat ctgactgtaa gcagtaggtt gaagatatca 3660 ttttatgaat gtggagaatt ctacattgaa acagaaaata cctgggaatg aagattaaaa 3720 atgtagctgc tgttatttgc ttggtgattc ccctcttgct cttctttagt ttgaaaaaac 3780 aaaaacgtgg ccttggaatt ttcattttga tgcagaaatt ttgaaattga aaatgtgcat 3840 gttttggtgc acaaaatcct tctgtgggca aaactttgtt tttgttttgc acagtaagaa 3900 acaataggca agcgttatgt ttttggtaag ttaactatga aagctttctt atttttatta 3960 ttaaaaatgt aacaatttaa cccacaggaa aaaaaattac tttgtatgct tgtttgaacc 4020 ctatgggttc gttttattaa taaaattatt acacaaaaaa aaaaaaaaaa a 4071

Claims (17)

  1. (a)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 SCNT)로부터 유래된 배상체에 성장인자를 처리하여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시키고, 분화된 중배엽성 세포를 포함하는 배상체를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분리된 단일세포를 기질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여 부착세포를 자연선택으로 증식시키는 단계; 및
    (c) 증식된 자연선택된 세포가 BDKRB1(bradykinin receptor B1),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 DSC3(desmocollin 3), HSPB6(heat shock protein B6),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 또는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에 양성인지를 분석하여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로부터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분리 및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인간 유래인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배상체를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것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기질은 콜라겐 또는 라미닌을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DKRB1(bradykinin receptor B1)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TIMP3(TIMP metallopeptidase inhibitor 3)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DSC3(desmocollin 3)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HSPB6(heat shock protein B6)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CADM1(cell adhesion molecule 1)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ARRDC4(arrestin domain containing 4)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
  7.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형성 성장인자(angiogenic growth factors),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EGF(epidermal growth factor), 아스코르브산, 및 GA-1000을 포함하는 EGM-2MV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혈관주위 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8.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NEAA(minimum essential medium non-essential amino acids), PS(penicillin/streptomycin), 및 β-머캅토에탄올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평활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9.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말혈청, 계배추출물, 및 PS를 포함하는 고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근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10.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인슐린, 덱사메타손, 이소부틸메틸크산틴, 및 인도메타신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11.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덱사메타손,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브산-2-인산을 포함하는 저농도 글루코스 DMEM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12.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부전,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심장판막증, 심실중격결손,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증, 심낭질환,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동맥류,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및 뇌혈관장벽파괴, 간질성 방광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습성 황반변성, 녹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습성 망막병증, 미숙아 망막병증 및 망막혈관장벽파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심혈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5. 제13항에 따른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망막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16.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17. 제6항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KR1020140081310A 2014-06-30 2014-06-30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KR20160002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10A KR20160002247A (ko) 2014-06-30 2014-06-30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310A KR20160002247A (ko) 2014-06-30 2014-06-30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47A true KR20160002247A (ko) 2016-01-07

Family

ID=5516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310A KR20160002247A (ko) 2014-06-30 2014-06-30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2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307B1 (ko) * 2020-06-30 2020-12-18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WO2022004938A1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308A (ko) 2012-01-19 2013-07-2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308A (ko) 2012-01-19 2013-07-29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307B1 (ko) * 2020-06-30 2020-12-18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WO2022004938A1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durner et al.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stem cells in hatchlings and adults in the marine platyhelminth Macrostomum sp.: a bromodeoxyuridine analysis
Deasy et al. Long-term self-renewal of postnatal muscle-derived stem cells
EP3124600B1 (en) Method for generating a cell condensate for self-organisation
RU246532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зенхимной клетк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зуба и мезенхимная клетк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зуба
Bani et al. New insights into the morphogenic role of stromal cells and their relev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 lessons from the heart
US20030031651A1 (en) Methods and reagents for cell transplantation
KR100802011B1 (ko) 층분리배양법을 이용한 골수에서의 중간엽 줄기세포분리방법
US20080145860A1 (en) Encapsulated cell indicator system
Rahman et al. CD13 regulates anchorage and differentiation of the skeletal muscle satellite stem cell population in ischemic injury
Li et al. Insights into skeletal stem cells
JP2017525393A (ja) ヒト心室前駆体細胞を単離するための細胞表面マーカーとしてのJagged1/Frizzled4の使用
JP2023052609A (ja) 細胞培養物の製造方法
KR100808546B1 (ko) 초음파 처리에 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득방법
KR20160002247A (ko) 배아줄기세포 유래 다기능성 혈관 생성 주피 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JPWO2004106502A1 (ja) 間葉系幹細胞
KR101477016B1 (ko)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Huang et al. Genetic lineage tracing identifies cardiac mesenchymal-to-adipose transition in an arrhythmogenic cardiomyopathy model
JP7100853B2 (ja) 分化誘導細胞の調製方法
CN100497602C (zh) 一种干细胞、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20190130394A (ko) 전구세포 배양액 및 다층 그래핀 필름을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Miyagi et al. Generation of a BAC transgenic mouse strain that expresses CreERT and a fluorescent protein under the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Fzd5 locus
JP2005224155A (ja) 舌組織から単離された、自動拍動する心筋細胞に分化する能力を有する細胞および細胞の培養、分化誘導法
WO2019074046A1 (ja) 歯根膜幹細胞が濃縮された細胞集団の製造方法
KR100973823B1 (ko) 배아성 암종 세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Fauzi Goat Mesenchymal Stem Cells: Effects of Source Tissue, Ex Vivo Expansion and Exposure to Bacteria 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