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59U - 터빈축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터빈축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59U
KR20160002159U KR2020140009194U KR20140009194U KR20160002159U KR 20160002159 U KR20160002159 U KR 20160002159U KR 2020140009194 U KR2020140009194 U KR 2020140009194U KR 20140009194 U KR20140009194 U KR 20140009194U KR 20160002159 U KR20160002159 U KR 20160002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ug
holes
lug
spac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629Y1 (ko
Inventor
임재춘
김무웅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9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2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메인 러그; 상기 메인 러그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 및 상기 메인 러그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러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와이어 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빈축 인양장치{Turbine shaft lifting apparatus}
본 실시예는 양수발전소 등에 사용되는 수차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차발전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터빈축 등을 인양할 수 있는 터빈축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수발전소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차발전기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수차발전기는 다양한 구성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동한 사용한 후에는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분해 점검 등을 수행하게 된다.
수차발전기의 경우,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축 부재들이 마련될 수 있는데, 통산 로워 샤프트, 터빈 샤프트, 런너 등이 분해 결합을 위해, 크레인 등으로 인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인양작업은 별도의 러그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즉, 로워 샤프트와 터빈 샤프트, 런너 등은 분해, 조립 인양 시 각각의 형상에 맞도록 전용 러그를 설치하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인양하고 있다. 따라서 각 부품별 전용 러그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각각의 러그의 형상에 따라 와이어를 2줄로 연결하는 경우도 있고, 3줄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와이어를 연결하면, 인양하는 대상물이 바뀜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들 사이의 미세한 길이 차이로 인해 무게중심 불균형이 발생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4459호(2000.03.22. 등록)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설비 부품을 인양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터빈축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메인 러그; 상기 메인 러그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 및 상기 메인 러그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러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와이어 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러그는 중심에 대하여 제 1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통공; 상기 제 1 통공 보다 중심 이격 거리가 가까운 제 2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통공; 및 상기 스페이서와의 체결 결합을 위한 제 3 및 제 4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3 및 제 4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지름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통공은 4개가 상기 중심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통공은 상기 제 4 통공보다 상기 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메인 러그에 결합되고, 타단은 터빈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터빈 샤프트 인양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형상의 메인 러그; 및 상기 메인 러그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러그는 수차발전기의 로워 샤프트와 러너의 인양 작업시, 상기 로워 샤프트와 러너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러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한 쌍의 와이어 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워 샤프트와 터빈 샤프트 및 러너의 분해, 조립을 위한 인양장치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메인 러그와 및 스페셜 스터드 등으로 구성하여, 터빈 샤프트를 인양할 때에는 샤프트의 상단 홈에 러그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메인 러그를 조립하고, 로워 샤프트와 러너의 인양시에는 메인 러그만을 바로 조립하여 인양하기 때문에, 메인 러그에 연결된 2줄의 와이어 부재만으로도 안정적인 부품의 인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로워 샤프트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터빈 샤프트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러너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 디스크 레벨링 디바이스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로워 샤프트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터빈 샤프트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에 러너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축 인양장치(100)는 메인 러그(110)와 스페이서(120)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러그(110)는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메인 러그(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11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연결부(111)(112)는 패드아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미도시된 와이어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11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11)는 측면이 대략 삼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앙 상측 부분에는 제 1 와이어 연결부(11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와이어 연결부(111a)는 일정 지름을 가지는 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와이어 부재가 직접 후킹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후크부재 등이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지지편(111b)은 상기 제 1 연결부(111)가 메인 러그(110)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 하중 등에 의해 수직 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지지편(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111)의 좌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최대한 변형을 유발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중앙 부근에 1개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2개가 한 쌍이 되어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결부(111)는 메인 러그(11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조 등의 방법으로 메인 러그(110)를 형성할 경우, 금형을 통해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연결부(112)는 상기한 제 1 연결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111)와 제 2 연결부(112)는 메인 러그(110)의 중심에 대하여, 일정 거리 이격되되, 상호 대칭이 되는 위치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연결부(112) 역시 제 2 와이어 연결부(112a)와 제 2 지지편(11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 및 역할은 앞서 설명한 제 1 와이어 연결부(111a)와 제 1 지지편(111b)과 동일하다.
한편, 메인 러그(110)는 도 2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몸체에 복수 개의 통공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통공들은 각각 서로 다른 부품들과 선택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것들이다.
즉, 중앙 부근에 형성된 중심 홀(101)을 기준으로 가장 멀리 이격된 제 1 거리 이격된 부분에 제 1 통공(113)이 형성되고, 그보다 조금 안쪽인 제 2 거리 이격된 부분에는 제 2 통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111)(112)의 안쪽 공간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통공(115)(1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통공(113)(114)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각도 틀어진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홀(101)과 제 1 통공(113)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들과, 중심 홀(101)와 제 2 통공(114)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 통공(1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 샤프트(10)와 연결될 경우, 상기 로워 샤프트(1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들에 체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통공(11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너(30)와 연결될 경우, 상기 러너(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들에 체결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 3 및 제 4 통공(115)(116)은 제 1 및 제 2 연결부(111)(112)의 안쪽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스페이서(120)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접촉 면적이 좁은 터빈 샤프트(20)와의 인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 3 통공(115)은 4개가 상기 중심 홀(101)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제 3 통공(115)들을 연결한 가상의 선이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정사각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 3 통공(1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4 통공(116)과 비교할 때, 상기 중심 홀(101)과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4 통공(116)은 한 쌍이 마련되되, 상기 제 3 통공(115)과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4 통공(116)은 제 3 통공(115)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120)는 상기 메인 러그(11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스페이서(12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 샤프트(10)나 러너(30)와 연결될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샤프트(20)의 인양 작업시에만 상기 메인 러그(1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12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러그(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되는 부분이 대응되는 형상의 돌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들 통공은 상기한 제 3 및 제 4 통공(115)(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20)에는 스페이서 중심 홀(121), 제 1 스페이서 홀(125) 및 제 2 스페이서 홀(126)이 마련될 수 있다.
스페이서 중심 홀(121)은 상기 메인 러그(110)의 중심 홀(101)과 대응되고, 제 1 스페이서 홀(125)은 제 3 통공(115)과 대응되며, 제 2 스페이서 홀(126)은 제 4 통공(116)과 대응될 수 있다. 이들의 결합에 의해 스페이서(120)는 메인 러그(110) 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통공들을 관통한 볼트부재 등과 같은 체결요소들이 터빈 샤프트(20) 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되어, 손쉬운 인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워 샤프트(10)와 터빈 샤프트(20) 및 러너(30)의 분해, 조립을 위한 인양장치를 단일 메인 러그(110)를 이용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메인 러그(110)와 및 스페셜 스터드(미도시) 등으로 구성하려, 터빈 샤프트(20)를 인양할 때에는 샤프트(20)의 상단 홈에 러그 스페이서(120)를 삽입하여, 메인 러그(110)를 조립하고, 로워 샤프트(10)와 러너(30)의 인양시에는 메인 러그(110)만을 바로 조립하여 인양하기 때문에, 메인 러그(110)에 연결된 2줄의 와이어 부재만으로도 안정적인 부품의 인양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각각의 요소 부품들마다 별도의 러그부재를 사용할 경우, 와이어 부재의 연결 위치나 개수 등이 일정하지 않아, 크레인을 이용한 인양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러그(110)에 항상 한 쌍의 와이어 부재를 직접 또는 샤클 등을 이용하여 평행하게 연결하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인양 대상물을 메인 러그(110)에 직접 또는 스페이서(120)를 이용한 간접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터빈축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터빈축 인양장치 110; 메인 러그
111; 제 1 연결부 111a; 제 1 와이어 연결부
111b; 제 1 지지편 112; 제 2 연결부
112a; 제 2 와이어 연결부 112b; 제 2 지지편
113; 제 1 통공 114; 제 2 통공
120; 스페이서 121; 스페이서 중심 홀
125; 제 1 스페이서 홀 126; 제 2 스페이서 홀

Claims (7)

  1. 디스크 형상의 메인 러그;
    상기 메인 러그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 및
    상기 메인 러그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러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와이어 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를 지지하는 터빈축 인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러그는,
    중심에 대하여 제 1 거리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통공;
    상기 제 1 통공 보다 중심 이격 거리가 가까운 제 2 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통공; 및
    상기 스페이서와의 체결 결합을 위한 제 3 및 제 4 통공;을 포함하는 터빈축 인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3 및 제 4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 및 지름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체결공;을 포함하는 터빈축 인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공은,
    4개가 상기 중심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 이격 배치되는 터빈축 인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공은,
    상기 제 4 통공보다 상기 중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터빈축 인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은 상기 메인 러그에 결합되고, 타단은 터빈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터빈 샤프트 인양시 사용되는 터빈축 인양장치.
  7. 디스크 형상의 메인 러그; 및
    상기 메인 러그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러그는 수차발전기의 로워 샤프트와 러너의 인양 작업시, 상기 로워 샤프트와 러너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러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와이어 부재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메인 러그를 지지하는 터빈축 인양장치.
KR2020140009194U 2014-12-12 2014-12-12 터빈축 인양장치 KR200481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94U KR200481629Y1 (ko) 2014-12-12 2014-12-12 터빈축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194U KR200481629Y1 (ko) 2014-12-12 2014-12-12 터빈축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59U true KR20160002159U (ko) 2016-06-23
KR200481629Y1 KR200481629Y1 (ko) 2016-10-25

Family

ID=5634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194U KR200481629Y1 (ko) 2014-12-12 2014-12-12 터빈축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3100A (zh) * 2017-12-23 2018-05-29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水轮机主轴拆装吊具及吊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794A (ko) 2021-12-28 2023-07-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 터빈 디스크 인양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058U (ja) * 1983-02-04 1984-08-18 株式会社フジクラ 巻取ドラム連結用スペ−サ
JPH09151074A (ja) * 1995-11-30 1997-06-10 Marufuji Shiitopairu Kk 形鋼材用吊り具
KR200184459Y1 (ko) 1999-12-28 2000-06-01 한전기공주식회사 터빈축 인양공구
JP2014159823A (ja) * 2013-02-19 2014-09-04 Maezawa Ind Inc スペーサ、弁部材の連結機構、及び空気弁の連結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3058U (ja) * 1983-02-04 1984-08-18 株式会社フジクラ 巻取ドラム連結用スペ−サ
JPH09151074A (ja) * 1995-11-30 1997-06-10 Marufuji Shiitopairu Kk 形鋼材用吊り具
KR200184459Y1 (ko) 1999-12-28 2000-06-01 한전기공주식회사 터빈축 인양공구
JP2014159823A (ja) * 2013-02-19 2014-09-04 Maezawa Ind Inc スペーサ、弁部材の連結機構、及び空気弁の連結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3100A (zh) * 2017-12-23 2018-05-29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水轮机主轴拆装吊具及吊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29Y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629Y1 (ko) 터빈축 인양장치
KR20130002160U (ko)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EP2971355B1 (en) Rail system for jacking tower
KR101410778B1 (ko) 터빈로터의 버켓의 조립지그장치
KR20110039224A (ko) 배선용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방법
KR101516296B1 (ko) 블록 턴오버 지그
CN209143632U (zh) 一种撬棍装置
CN103161807A (zh) 用于支承结构部件的装置
CN203097273U (zh) 脚手架扣盘
KR20160033928A (ko) 중량물 인양 작업용 러그 조립체
JP6160548B2 (ja) 半導体製造装置用の設置構造
US20170117080A1 (en) Support device of an active part of a current transformer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CN112777478A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CN203649683U (zh) 焊接防飞溅挡板
CN204338670U (zh) 一种新型冲床
CN104729051B (zh) 检修结构及空调器
CN204175814U (zh) 一种轴承座
CN205817323U (zh) 一种快速装拆治具
CN111604683B (zh) 一种船用曲轴红套法兰件专用起升调整装置
CN209428075U (zh) 举升机支撑装置
CN106639063A (zh) 一种简易房搭建用墙板拼装组件
KR20110088023A (ko) 볼트 너트 고정 앙카
CN108063369B (zh) 一种新型高承重底座
CN107758115A (zh) 一种盘卷钢带放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