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24A -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24A
KR20160002124A KR1020140080976A KR20140080976A KR20160002124A KR 20160002124 A KR20160002124 A KR 20160002124A KR 1020140080976 A KR1020140080976 A KR 1020140080976A KR 20140080976 A KR20140080976 A KR 20140080976A KR 20160002124 A KR20160002124 A KR 2016000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network
la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484B1 (ko
Inventor
강현구
강준석
조경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484B1/ko
Priority to EP15173974.5A priority patent/EP2963888A1/en
Priority to CN201580036083.2A priority patent/CN106471769A/zh
Priority to PCT/KR2015/006551 priority patent/WO2016003119A1/en
Priority to US14/755,661 priority patent/US9888381B2/en
Publication of KR2016000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무선으로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METHOD OF CONTROLLING ELECTONIC DEVICE, ELE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케이블 연결 없이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망 환경을 구현하는 개념이다. 무선 랜 통신을 할 수 있는 각종 전자 장치들은 무선으로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들은 직접 인터넷 망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라 불리는 무선 접속 장치를 통해 인터넷 망에 연결되게 된다. 즉, 액세스 포인트가 한편으로는 인터넷 망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 장치들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들이 무선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무선 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페어링(Pairing)에 관하여는 현재 SSID 및 비밀번호 방식,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방식, NFC(Near Field Connedtion)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이용에 불편함이 있거나 보안상의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SSID 및 비밀 번호 방식이나 PIN 방식의 경우, 이를 기억하고 수회의 사용자 조작을 통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비밀 번호나 PIN 넘버가 타인에게 노출될 수 있어 보안상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또한, PBC 방식의 경우에도 타인의 악의적인 해킹에 취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무선 랜을 이용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할 때 사용자는 직접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값들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에서 설정해 준 대로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통신사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를 제한하거나 다른 전자 장치의 연결을 허용하지 않고 인터넷만 가능하게 설정하는 등 해당 통신사의 기준에 맞춰 제한된 옵션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값들을 설정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액세스 포인트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 다른 전자 장치들을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값들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기술 용어의 생소함이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를 서로 무선으로 연결하거나 액세스 포인트를 설정할 때, 사용자의 번거로움이나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를 무선으로 연결할 때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고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자동으로 무선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GUI 상에서 상기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Subnet)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무선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자동으로 무선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GUI 상에서 상기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Subnet)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은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무선으로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쉽고 보안상으로 안전하게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용이하게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안내 메세지가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가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설정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가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방법 및 그 방법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 따르면, 무선 랜 통신을 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는 무선으로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20)이며, 액세스 포인트(20)가 인터넷 망과 LAN 케이블(11)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가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 장치(10)와 액세스 포인트(20) 사이는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연결할 대상을 구분하고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와 액세스 포인트(2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방법으로 SSID(Service Set Identifier)/비밀번호 방식, PBC(Push Button Configuration) 방식,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방식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리더를 이용하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SSID/비밀번호 방식의 경우, 전자 장치(10)가 액세스 포인트(20)와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와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이를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전자 장치(10)는 자신이 연결할 액세스 포인트(20)의 SSID와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이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액세스 포인트(20)와 무선 연결할 수 있다. PIN 방식 역시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의 PIN 번호를 액세스 포인트(20)에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자 장치(10)와 액세스 포인트(20)를 연결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이러한 과정들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나 PIN 번호가 타인에게 노출된 경우 타인의 무단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보안상의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PBC 방식의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20)의 WPS(WiFi Protected Setup) 버튼을 누른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WPS을 누르는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과정은 필요 없게 되지만, 일정 시간 내에 버튼이 눌려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 시간 내에 타인이 다른 전자 장치의 WPS 버튼을 누르는 경우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한 액세스 포인트(20)의 접속을 허용하게 되어 보안상 취약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0)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WPS 버튼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는 데 이 경우에는 PBC 방식의 연결이 불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방식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은 전자 장치(10)와 액세스 포인트(20)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본격적으로 통신을 하기 전 단계 즉, 두 기기 간의 페어링(Pairing)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와 액세스 포인트(20)가 페어링되어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라도, 액세스 포인트(20)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워 사용자가 직접 설정을 변경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가 하나로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새로운 전자 장치(미도시)를 액세스 포인트(20)에 무선연결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액세스 포인트(20)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에 대한 설정 값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보안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20)의 SSID 및 비밀번호를 변경하고자하는 경우나 가정 내 서브넷(Subnet)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도 액세스 포인트(20)의 설정 값의 변경이 필요하다.
이 경우, 노트북이나 데스크 탑 등에 액세스 포인트(20)를 LAN 케이블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 값을 변경해 주어야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일반 사용자가 느끼기에 불가능하거나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2를 통해 상술한 종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TV 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외부 망이나 기기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 장치이면, 세탁기, 냉장고를 포함하는 각종 가전 기기, 휴대폰을 포함하는 각종 모바일 기기, 룸 스피커를 포함하는 각종 오디오 기기 및 노트북, PC, 전자 액자, 스마트 TV 등을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어떠한 장치라도 전자 장치(100)가 될 수 있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유선으로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연결된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a)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200)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 (200)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가 수신된 후,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LAN 케이블(300)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 도 2의 (b)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 연결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설정 정보를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도 2의 (b)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a)와 같은 상태에서,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Subnet)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의 블럭도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통신부(110), 제 2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110)는 LAN 케이블(300)을 통해 인터넷 망이나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나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제 1 통신부(11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통신부(110)는 RJ 45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액세스 포인트(200)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
제 2 통신부(120)는 무선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제 2 통신부(120)는 무선 랜 방식으로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통신부(120)는 무선 랜 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가 LAN 케이블(300)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유선으로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 1 통신부(110)에 LAN 케이블이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인터넷 망에 연결된 것인지 아니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후, 제 1 통신부(110)에서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LAN 케이블(300)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가 인터넷 망과 LAN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로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가 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자동으로 무선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주변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들 중 LAN 케이블(300)을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 에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200)를 선택하고 수신된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200)의 PIN 번호나 MAC address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는 LAN 케이블(3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SSID, 비밀번호, PIN 번호, MAC address 등과 같은 두 기기 간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서로 교환하게 되므로, 설정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될 가능성 없이 보안상으로 안전하게 무선으로 연결할 상대 기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제 1 통신부(410), 제 2 통신부(420), 제어부(430), 저장부(440), 입력부(450) 및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제 1 통신부(410), 제 2 통신부(420) 및 제어부(43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의 예에 따른 제 1 통신부(110), 제 2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의 구성 및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전자 장치(4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의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440)는 전자 장치(400)의 구동 및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440)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 액세스 포인트(200)의 고유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수신된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 네트워크 상태 정보,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연결 이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440)는 HDD, 각종 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45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450)는 전자 장치(400)의 종류에 따라 키보드, 마우스, 소프트 키보드, 버튼, 터치 패드, 리모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6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60)는 제어부(430)의 제어를 받아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연결에 관한 안내 메세지 및 각종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부(460)는 제어부(430)의 제어를 받아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 및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460)는 전자 장치(4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6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30)는 전자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기기 정보가 저장부(440)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410)와 연결된 LAN 케이블이 제 1 통신부(410)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것이 액세스 포인트(200)인지 아니면 인터넷 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로 전송되는 신호가 인터넷 연결 신호인지 액세스 포인트(200)와 약속된 프로토콜에 의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제 1 통신부(410)와 연결된 것이 액세스 포인트(2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0)의 제조 업체나 기기의 고유 식별 번호와 같은 기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수신된 기기 정보가 저장부(440)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현재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것이 인터넷 망이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200)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와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는 제조업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에 연결된 것이 특정 제조 업체에서 제조된 액세스 포인트(200)인 경우에만,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400)와 무선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전자 장치(400)의 설정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400)와 무선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전자 장치(400)의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400)의 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 및 전자 장치(4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의 기기 정보, 전자 장치(400)의 PIN 번호, 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AN 케이블을 통한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제 1 통신부(410)의 연결이 해제되면, 제어부(430)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400)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 제어부(430)는 주위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고, 제 1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들 중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30)는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연결에 관한 안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된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연결에 관한 안내 메세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LAN 케이블이 제 1 통신부(410)에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고 제 1 통신부(41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 및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실시 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400)와 무선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전자 장치(400)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30)는 도 5의 참조부호 510과 같이, 현재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상술한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안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상술한 정보 교환이 완료되면, 제어부(430)는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안내 메세지를 도 5의 참조부호 520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이후 전자 장치(400)가 수신하거나 전송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5의 참조부호 530과 같이 전자 장치(400)로부터 LAN 케이블을 제거할 것을 안내하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은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의 연결에 관한 메세지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령, 제어부(430)는 도 5의 참조부호 530과 달리 "무선 연결을 위해 LAN 케이블을 뽑아 인터넷에 연결하세요"와 같은 안내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수신한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입력부(450)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하고,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는 팝업(Pop-Up) 메세지 또는 OSD(On-Screen Display)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와 같이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보안상 이점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430)가 설정 정보 변경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실시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와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참조 부호 610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0)부터 수신된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611) 및 비밀번호(612)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와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XXXX라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611)와 OPQR이라는 비밀번호(612)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정 정보(611, 612) 및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묻는 메세지(613, 613-1, 613-2)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입력부(450)를 통해 YES(613-1)을 선택하면,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새로운 SS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G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참조 부호 620은 입력부(450)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621)가 YYYY로, 비밀번호(622)가 STUV로 변경된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확인(623)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43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비밀번호를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된 설정 정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200)는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자신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30)는 참조 부호 630과 같이 설정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세지와 LAN 케이블을 제거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LAN 케이블을 전자 장치(400)로부터 분리하여 제 1 통신부(410)에서 LAN 케이블이 해제되면, 제어부(410)는 이를 감지하고,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가 인터넷 망과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면, 제어부(430) 주위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들 중 변경된 설정 정보에 대응되는 액세스 포인트(200) 즉, SSID가 YYYY 이며,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가 STUV 인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6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 및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 와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변경되 SSID 및 비밀번호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정 정보가 SSID 및 비밀번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PIN 번호나 MAC address,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개수 등과 같은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이를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를 통해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가정 내의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1(730)과 이에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들(400, 732)이 Subnet 1(710)이라는 이름의 서브넷을 구성하고, 액세스 포인트 2(740)와 이에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들(741, 742)이 Subnet 2(720)라는 이름의 서브넷을 구성하며, Subnet 1(710)과 Subnet 2(720)를 포함하는 Subnet(700)이 ROUTER(72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730, 740)과 연결되어 Subnet 1(710) 및 Subnet 2(720)의 상위 서브넷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7의 전자 장치(400)는 자신이 속하는 서브넷인 Subnet 1(710)의 다른 전자 장치(732)와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지만, 전자 장치(400)는 다른 서브넷인 Subnet 2(720)에 속하는 전자 장치들(741, 742)과는 비록 ROUTER(75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속하는 서브넷이 상이하므로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없다.
즉, 예를 들어, 가정 내에 2 개의 방 가운데, 하나의 방에서 액세스 포인트 1(730)을 통해 무선으로 노트북(400)을 연결하여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으로 원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다른 방의 액세스 포인트 2(740)와 무선으로 연결된 룸 스피커(741)를 통해 현재 청취하고 있는 음악을 재생하고자 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1(710)이 속하는 서브넷과 액세스 포인트 2(740)가 속하는 서브넷이 서로 상이하여 불가능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위해서는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730 또는 740)에 노트북이나 PC를 연결하여 복잡한 과정을 거쳐 서브넷의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액세스 포인트(730)와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때, 액세스 포인트(73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GUI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예에서,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와 액세스 포인트 1(730)이 연결되면, 제어부(430)는 이를 감지하고, 액세스 포인트 1(73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1(730)이 연결된 네트워크의 설정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서브넷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의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730)은 자신이 속하는 서브넷인 Subnet 1(710)과 다른 서브넷인 Subnet 2(720) 그리고, Subnet 1(710)과 Subnet 2(720)를 포함하는 Subnet(700)으로 구성된 서브넷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 1(730)이 LAN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되면, 이러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제 1 통신부(410)를 통해 전자 장치(4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400)의 제어부(430)는 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30)는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1(73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과 같은 네트워크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가 액세스 포인트 1(730)과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730)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참조부호 810과 같이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현재 네트워크는 Subnet (811), Subnet 1(812) 및 Subnet 2(813)가 참조부호 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으며, 현재 전자 장치(400)는 Subnet 1(812)에 포함됨 알 수 있다.
이후, 제어부(4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참조부호 8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 서브넷으로 변경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부(450)를 통해 YES(821)를 선택하면, 제어부(430)는 Subnet 1 및 Subnet 2를 모두 하나의 동일한 서브넷인 Subnet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73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30)는 참조부호 830과 같이, 네트워크 내의 모든 서브넷이 하나의 동일한 서브넷인 Subnet(831)으로 변경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730)는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넷 명칭인 Subnet 1 및 Subnet 2를 모두 상위 서브넷 명칭인 Subnet으로 동일하게 변경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730)가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일반적인 공지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참조부호 820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450)를 통해 NO(822)를 선택한다면, 제어부(430)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지 않고, 참조부호 830과 같은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설정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4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하여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전자 장치(400)를 통해 쉽게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된 경우에, 이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400)와 제 1 통신부(410)가 연결되면,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와 저장부(440)에 저장된 긱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네트워크 설정 변경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자동으로 모든 서브넷을 동일한 서브넷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가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LAN 케이블을 통해 특정 업체의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모든 네트워크를 동일 서브넷으로 변경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의 예에서는, 네트워크 설정의 예로 서브넷 설정에 대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네트워크 설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GUI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60)에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저장부(440)는 이전에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었던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었던 이력 정보는 전자 장치(400)와 무선으로 연결되었던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 및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3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41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여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해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와 저장부(440)에 저장된 연결 이력 정보를 비교하여 연결 이력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일 LAN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연결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저장부(440)에 저장된 해당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연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S910),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920).
여기서,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전자 장치(100)는 주위의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되면(S1010),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200)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면(S1030, Y), 전자 장치(40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 및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S1040). 반면, 액세스 포인트(200)의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S1030, N), 설정 정보나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지 않는다.
이후,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설정 정보 및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정보 및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S1050),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S1030, Y), 변경된 설정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한다(S1070).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200)는 자신의 설정 정보를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변경한다. 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면(S1080, Y), 전자 장치(400)는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S1090).
한편,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S1060, N), 전자 장치(40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기를 기다려(S1080, Y), LAN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게 된다(S1090).
한편, 네트워크 상태 정보의 변경은 참조 부호 S1090 단계에서 전자 장치(400)가 액세스 포인트(200)와 무선 연결할 때, 수신한 설정 정보를 이용할지 아니면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할지 여부와는 무관하다. 다만,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S1060, Y),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전송한다(S1070).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20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1 통신부(210), 제 2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21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 망 또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제 1 통신부(21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와 연결되어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망을 포함한 각종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서버나 기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 1 통신부(210)는 RJ 45 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장치(100, 40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
제 2 통신부(220)는 무선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제 2 통신부(220)는 무선 랜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 4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제 1 통신부(210) 및 제 2 통신부(2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액세스 포인트의 구성과 같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230)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30)는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될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는 전자 장치(100, 400)의 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 및 전자 장치(100, 400)의 고유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와 네트워크 설정 정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40)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와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정보가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 400)로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제 1 통신부와 전자 장치(100, 400)가 연결되면, 이를 감지하고,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된 기기 정보와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기기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정 정보를 전자 장치(100, 4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정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200)의 무선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100, 400)의 설정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 400)의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 400)의 제조 업체에 관한 정보 및 전자 장치(100, 4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400)의 기기 정보, 전자 장치(400)의 PIN 번호, 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전자 장치(100, 4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LAN 케이블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 전송한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정 정보 또는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수신한 전자 장치(100, 400)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4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SSID 및 비밀번호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와 연결되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정보와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기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 및 비밀 번호를 전자 장치(100, 4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100, 4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비컨(Beacon)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의 존재를 알리고, 전자 장치(100, 400)가 이를 수신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연결하기 위해 SSID와 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제어부(240)는 이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전자 장치(100, 400)와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4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되어, 제어부(240)가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정 정보를 제 1 통신부(200)를 통해 전자 장치(4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400)는 이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400)에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설정 정보가 변경되어, LAN 케이블을 통해 변경된 설정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240)는 변경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한 후,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변경된 SSID 및 비밀 번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의 SSID 및 비밀 번호를 변경하고, 이후,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변경된 SSID 및 비밀번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0, 400)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제 2 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SSID 및 비밀 번호 방식의 경우만을 예로 들었으나, PIN 방식이나 MAC address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도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교환된 설정 정보들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와 전자 장치(100, 400)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저장부(230)에 저장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하고, 제 1 통신부(210)를 통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24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400)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한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 상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LAN 케이블을 통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4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후, 전자 장치(4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은 네트워크의 서브넷 상태에 관한 정보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 (230)에 저장한다. 이후,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400)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에 관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400)가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서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을 모두 동일하게 변경하도록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LAN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면, 제어부(24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 1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4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제어부(24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을 모두 동일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는 변경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40)가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종래에 네트워크의 서브넷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노트북과 연결한 후 수동으로 5 단계의 조작이 필요했다고 가정하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서브넷 설정의 변경인 경우, 제어부(240)는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5 단계의 조작을 순서대로 실행하여 자동으로 서브넷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0)가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와 연결되면(S1210), 액세스 포인트(2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20).
수신된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와 기저장된 전자 장치(100, 400)의 기기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S1230, Y), 액세스 포인트(2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 전자 장치(100, 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40).
이후,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자 장치(100, 400)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고(S1250, Y),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S1260, Y)되는 것을 기다려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S127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2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변경된 설정 정보에 따라 전자 장치(100, 4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00)는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 400)로 기저장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 400)로부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전송되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정보로 SSID, 비밀번호, PIN 번호, MAC address 만을 예로 들었지만, 액세스 포인트(200)나 전자 장치(400)의 기기 정보 역시 두 기기 상호 간에 서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43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LAN 케이블을 통해 수신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 간의 무선연결을 하도록 제 2 통신부(420)를 제어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400) 제조업체와 액세스 포인트(200) 제조업체가 각 기기의 제조업체에 관한 정보 또는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상호 교환하여 각 기기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되면, 상호 기기 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400)와 액세스 포인트(2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쉽고 보안상으로 안전하게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용이하게 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의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탑재되는 전자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는 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시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LAN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로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자 장치와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제 1 통신부 120 : 제 2 통신부
130 : 제어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i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자동으로 무선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GUI 상에서 상기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Subnet)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무선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비밀번호, PIN(Personal Identifer Number) 및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자동으로 무선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GUI 상에서 상기 설정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GUI 상에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서브넷(Subnet)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기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18.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LAN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무선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기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기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연결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한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상기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변경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AN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KR1020140080976A 2014-06-30 2014-06-3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KR10217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76A KR102176484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EP15173974.5A EP2963888A1 (en) 2014-06-30 2015-06-26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CN201580036083.2A CN106471769A (zh) 2014-06-30 2015-06-26 控制电子装置的方法、电子装置、控制接入点的方法和接入点
PCT/KR2015/006551 WO2016003119A1 (en) 2014-06-30 2015-06-26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US14/755,661 US9888381B2 (en) 2014-06-30 2015-06-30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76A KR102176484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24A true KR20160002124A (ko) 2016-01-07
KR102176484B1 KR102176484B1 (ko) 2020-11-09

Family

ID=5349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976A KR102176484B1 (ko) 2014-06-30 2014-06-3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8381B2 (ko)
EP (1) EP2963888A1 (ko)
KR (1) KR102176484B1 (ko)
CN (1) CN106471769A (ko)
WO (1) WO2016003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3194A (zh) * 2015-09-18 2016-01-2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移动设备与固定设备之间通信连接的建立方法及装置
JP6659170B2 (ja) * 2016-05-2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85429B (en) * 2019-02-28 2021-08-11 Fujitsu Client Computing Ltd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6358A1 (en) * 2005-08-10 2007-02-15 Nguyen Bao T Secure and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s
US20090103547A1 (en) * 2007-10-22 2009-04-23 Sony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 for rou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0794A (ja) * 2003-11-11 2005-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40229606A1 (en) 2003-04-16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apparatus, wireless terminal apparatus, wireless system, method of setting wireless system, computer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N1780245A (zh) * 2004-11-23 2006-05-31 徐洁 利用有线电视线缆实现wlan接入的方法
JP2007020037A (ja) 2005-07-11 2007-01-25 Nikon Corp 電子カメラ
WO2008095127A2 (en) * 2007-01-31 2008-08-07 Advanced Technologues Holdings, Inc. A hybrid wired and wireless universal access network
JP4886861B2 (ja) * 2010-01-07 2012-02-29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メディア再生装置
US20110244798A1 (en) * 2010-02-24 2011-10-06 Wherepro, Llc Data Packet Generator and Implementations of Same
JP5429075B2 (ja) * 2010-06-25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2109944A (ja) * 2010-10-29 2012-06-07 Buffalo Inc 無線lan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の共有方法
US8555047B2 (en) * 2011-03-16 2013-10-08 Rammohan Malasani Wi-Fi router with integrated touch-screen and enhanced security features
JP5716586B2 (ja) * 2011-07-15 2015-05-1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無線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WO2013032448A1 (en) * 2011-08-30 2013-03-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os network access
CN103781098B (zh) * 2012-10-25 2017-08-11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无线网络适配器及其自配置方法
CN202949574U (zh) * 2012-11-15 2013-05-22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接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6358A1 (en) * 2005-08-10 2007-02-15 Nguyen Bao T Secure and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s
US20090103547A1 (en) * 2007-10-22 2009-04-23 Sony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 for ro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3119A1 (en) 2016-01-07
US20150382194A1 (en) 2015-12-31
US9888381B2 (en) 2018-02-06
KR102176484B1 (ko) 2020-11-09
CN106471769A (zh) 2017-03-01
EP2963888A1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7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94300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90271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wireless lan of device
EP3192218B1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1540245B2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AU201535592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3159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KR20140082223A (ko) 블루투스 기기 페어링 방법과 그 블루투스 기기
KR20140094252A (ko) 블루투스 기기 관련 정보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블루투스 기기
US1165947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197830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76484B1 (ko)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및 액세스 포인트
KR102189653B1 (ko) 메시지 송수신 방법,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비 일시적 기록매체
KR20230041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