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115A -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115A
KR20160002115A KR1020140080956A KR20140080956A KR20160002115A KR 20160002115 A KR20160002115 A KR 20160002115A KR 1020140080956 A KR1020140080956 A KR 1020140080956A KR 20140080956 A KR20140080956 A KR 20140080956A KR 20160002115 A KR20160002115 A KR 2016000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uxiliary
image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678B1 (ko
Inventor
최문규
김지홍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감시의 주기능과, 보조 기기를 이용한 상기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조 기기의 신호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센서 보드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보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보드부는, 상기 보조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보드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FOR VIDEO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이미지 센서와 메인 DSP 간의 거리가 늘어나더라도 별도의 추가적인 케이블 없이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Sensor)로부터 데이터(data)를 받아 메인 DSP(Main Digital Signal Processor)에서 처리하는 방식에서는 센서와 메인 DSP간의 거리가 매우 가깝다. 즉, 센서 보드(Sensor Board)와 메인 보드(Main Board)가 같은 보드 상에 위치하게 하여, 데이터 손실이 없도록 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장거리 데이터 전송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장거리 데이터 전송 구조에서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5)에서 획득된 영상은 센서 보드(10)에서 치리되며, 상기 센서 보드(10)에서 처리된 데이터(DATA)는 메인 보드(20)로 전송된다. 센서 보드(10)와 메인 보드(20) 간에는 케이블이 연결되며,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케이블(43)과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케이블(41)이 각각 2개씩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 보드(10)와 메인 보드(20)가 분리되어 연결되더라도 그 거리가 수십 cm 이내로 설계하여야 한다. 이는 센서의 영상 데이터가 고속이기 때문이며, 전송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감쇄나 왜곡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또한,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30)를 제어하여 보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R LED(31), D/N 필터(33), 조도 센서(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신호가 전송되어어 하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케이블(45)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CCTV 시장 등 영상 관련 일부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센서 보드(10)와 메인 보드(20)가 분리되어 설치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센서의 병렬 데이터(parallel data)를 고속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pair signal)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는 장거리 전송을(수 m 정도) 가능하게 한다. 차동 신호는 일반적인 병렬 데이터(parallel data)보다 신호 감쇄 및 노이즈 등에 신호 왜곡이 덜 되기 때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er(15, Serializer)는 센서 보드(10)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받아, 고속의 차동 신호를 생성하여 Des(25, Deserializer)로 전송하며, Des(25)는 이 차동(differential) 신호를 다시 병렬 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하여 메인 보드(20)에 전송한다. 이 때, 센서를 제어하는 신호(예를 들어, I2C, SPI 등)도 Ser(15)/Des(25)를 통해 고속신호로 변환되어 전송한다. 여기에서, 전원(Power)은 별도의 Line(41)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Ser(15)/Des(25)는 각각 센서 보드(10)와 메인 보드(20)에 칩 형태로 장착될 수 있고, 디지털 정보를 케이블(43)을 통해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를 결합하여 신호의 장거리 전송과 함께 IR(Infra Red), D/N(Day/Night)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도 센서(35), IR LED(31), D/N 필터(33) 등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 전송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35)는 이미지 센서(5)가 촬영하고 있는 방향의 조도를 측정해야 하므로 센서 보드(10) 측에 위치해야 하며, IR LED(31)도 센서 보드(10) 측에 위치하여 이미지 센서(5)가 촬영하고 있는 방향으로 IR(적외선)을 조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IR LED(31) 및 조도 센서(35)는 메인 보드(20)의 DSP(미도시) 측에서 다음과 같은 입/출력 신호를 사용한다.
- 조도 센서의 Analog 입력신호(DSP에서 ADC를 통해 값(level) 판독)
- IR LED ON/OFF 시에 사용되는 PWM 출력신호
도 3에서, 조도 센서(35)의 아날로그(Analog) 신호와 IR LED(31)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메인 보드(20)와 센서 보드(10) 간에 전송하려면, 새로운 Line의 연결, 즉 추가적인 케이블(45)이 필요하다. 특히, 조도 센서(35)의 아날로그 신호의 경우, 그 신호의 레벨(level)이 작고 민감하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 시에 별도의 앰프(AMP)나 data 처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세싱이 필요하다. 또한, 전송하는 신호의 종류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되는 케이블 선의 굵기가 커지고, 사용하는 케이블(45)의 규격 결정도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별도의 라인(케이블)을 추가하지 않고도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25083호 (2011. 11. 18.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40664호 (2014. 04. 03.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35608호 (2011. 12. 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케이블을 추가하지 않고 센서 보드에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센서 보드에 추가된 컨트롤러에서 자체적으로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감시의 주기능과, 보조 기기를 이용한 상기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조 기기의 신호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센서 보드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보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보드부는, 상기 보조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보드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와 메인 보드의 DSP 간의 거리가 늘어나더라도 별도의 라인(케이블) 없이 센서 보드에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보드에 추가된 컨트롤러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장거리 데이터 전송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장거리 데이터 전송 구조에서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센서 보드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메인 보드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서브 컨트롤러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는, 이미지 센서(105)를 이용한 영상 감시의 주기능과, 보조 기기(130)를 이용한 상기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105)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조 기기(130)의 신호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센서 보드부(110),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05) 및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보드부(11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105) 및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 보드부(110)는 보조 기기(13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메인 보드부(1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115)를 더 포함한다.
도 4에서, Long distance(장거리 전송) 부분은 도 3의 구조와 변경되는 사항 없이, 동일하게 라인(Line)이 구성되어 있다. 다만, 센서 보드부(110) 에서 서브 컨트롤러(115)가 추가되어, 기존의 센서 보드(10)에서 사용되던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등의 신호를 통해 제어되며, 서브 컨트롤러(115)는 보조 기기(130), 예를 들어 IR LED(131), 조도 센서(135) 등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구성을 통해, 기존의 장거리 전송 부분은 변경 없이 IR LED(131), 조도 센서(135) 등에서 획득되는 값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서브 컨트롤러(115)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여 신호선 수의 증가에 따른 케이블 선 수가 늘어나지 않게 된다. 다만, 도 4에서 보조 기기(130)가 조도 센서(135), IR LED(131), D/N 필터(133), MIC(137) 만이 도시되었으나, 영상 감시 시스템을 위한 당업자가 채택 가능한 여러 보조 기기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IR LED(131)는 야간에 적외선(IR)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기기이며, D/N 필터(133)는 밤(Night)에 ON되고 낮(Day)에 OFF되는 필터이고, 조도 센서(135)는 감지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MIC(137)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기기이다. 이외에도, 보조 기기(13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 등 여러 보조 기기들이 더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도 5는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센서 보드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메인 보드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지 센서(105)는 렌즈에 의해 모아진 빛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105)는 크게 촬상관과 고체 영상 센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고체 영상 센서는 대표적인 예로써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ilicon; MOS)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이미지 센서(105)가 센서 보드부(110)와 분리되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05)는 센서 보드부(110)에 하나의 칩(chip)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고, 센서 보드부(11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서 보드부(110)는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기(111), 병렬 데이터인 상기 영상 데이터를 직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리얼라이저(Serializer, 113), 그리고 보조 기기(13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메인 보드부(1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기(111)는 이미지 센서(105)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도록 영상을 압축한 압축 포맷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압축 포맷 형태의 영상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또는 MPEG-4 등의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시리얼라이저(113)는 영상 처리기(110)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에서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시리얼라이저(113)는 직렬 데이터를 케이블(43)을 통해 메인 보드부(120), 특히 디시리얼라이저(123)로 보낸다. 시리얼라이저(113)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생성하여 디시리얼라이저(123)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시리얼라이저(113)는 디시리얼라이저(123)와 쌍을 이루어 직렬 데이터(serial data)를 1000Mbps 속도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서브 컨트롤러(115)는 보조 기기(130)로부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메인 보드부(1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12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한다. 즉, 서브 컨트롤러(115)가 보조 기기(130)와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시리얼라이저(113)를 통해 메인 보드부(120)로 전송함으로써, 메인 보드부(120)와 보조 기기들(13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45)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서브 컨트롤러(115)는 조도 센서(135)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를 시리얼라이저(113)에서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메인 보드부(120)로 전송한다. 또한, IR LED(131)나 D/N 필터(133), MIC(137) 등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메인 보드부(120)가 신호 케이블(45)을 통해 연결되지 않더라도, 메인 보드부(120)의 제어 신호를 시리얼라이저(113)를 통해 서브 컨트롤러(115)가 받아 이를 처리하여 IR LED(131)나 D/N 필터(133), MIC(137)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보드부(120)는 직렬 영상 데이터를 병렬 영상 데이터로 재변환하는 디시리얼라이저(Deserializer, 123), 및 상기 병렬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영상 감시 시스템의 주기능 및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121)는 이미지 센서(105), 보조 기기들(130)을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을 총괄 제어하며, 영상 감시의 주기능과, 보조 기기를 이용한 상기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121)는 이미지 센서(105) 및 보조 기기들(130)에서 획득된 여러 데이터 및 신호들을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05) 및 보조 기기들(13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121)는 디시리얼라이저(123)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 센서(105) 및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보드부(11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105) 및 보조 기기(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러(121)의 제어 기능 중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은 센서 보드부(110)의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디시리얼라이저(Deserializer, 123)는 시리얼라이저(113)에서 케이블(43)을 통해 전송된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의 직렬 데이터(serial data)를 병렬 데이터(parallel data)로 변환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통해, 시리얼라이저(113)와 디시리얼라이저(123)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장거리로 전송할 수 있고, 서브 컨트롤러(115)를 통해 보조 기기(130)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됨으로써 상기 보조 기기(130)와 연결되어야 하는 별도의 추가적인 신호 케이블(45)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서브 컨트롤러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4의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컨트롤러(115)가 보조 기기(130), 일례로 조도 센서(135), MIC(137) 등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시리얼라이저(113) 및 디시리얼라이저(123)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1)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21)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시리얼라이저(123) 및 시리얼라이저(113)를 통해 서브 컨트롤러(115)로 전송하여 IR LED(131), D/N 필터(133) 등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135)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 값을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읽고, 상기 조도 값을 시리얼라이저(113) 및 디시리얼라이저(123)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1)로 전송하면, 메인 컨트롤러(121)가 상기 조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 이하이면 밤으로 판단하여 D/N 필터(133) 또는 IR LED(131) 중 적어도 하나를 ON시키는 보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보조 제어 신호는 디시리얼라이저(123) 및 시리얼라이저(113)를 통해 서브 컨트롤러(115)를 통해 전송되어 보조 기기(130)의 D/N 필터(133) 또는 IR LED(131)를 ON 시키게 된다.
또한,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받은 조도 값, 입력 음성 신호 값 등을 메인 컨트롤러(121)로 전달하여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바로 조도 값, 입력 음성 신호 값 등을 분석하여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면, 메인 보드부(120)와 센서 보드부(110) 간의 전송 라인, 즉 전송 케이블(43)에 보조 기기에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하를 막을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브 컨트롤러(115)가 시리얼라이저(113) 및 디시리얼라이저(123)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1)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직접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고 있다. 즉,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바로 조도 값, 입력 음성 신호 값 등을 분석하여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서브 컨트롤러(115)는 보조 기기(130)에서 획득하여 전송되는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보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기기(130)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121)인 Main DSP로 전달하지 않고 센서 보드부(110)에서 서브 컨트롤러(115)에 입력되는 입력값을 분석하여 바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메인 보드부(120)와 센서 보드부(110) 간의 데이터 라인인 데이터 전송 케이블(43)에 별다른 추가적인 부하가 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135)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소정의 기준 조도 이하인 경우,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직접 조도 값이 작은 것을 판단하여(메인 보드에서 판단하지 않는다.) 상기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자체적으로 IR LED(131)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된다. 이외에도,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MIC(137)의 입력 음성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MIC(137)를 직접 제어하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컨트롤러(115)에서 당업자가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채택 가능한 여러 보조 기기에서 얻은 신호를 분석하여 자체적으로 여러 보조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를 통해, 메인 보드와 보조 기기를 연결하는 전송 라인인 별도의 케이블을 추가하지 않고 센서 보드에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센서 보드에 추가된 컨트롤러에서 자체적으로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 감시 시스템의 보조 기기들을 상기 컨트롤러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센서 보드부
111: 영상 처리기 113: 시리얼라이저
115: 서브 컨트롤러
120: 메인 보드부
121: 메인 컨트롤러 123: 디시리얼라이저

Claims (6)

  1.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영상 감시의 주기능과, 보조 기기를 이용한 상기 영상 감시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조 기기의 신호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센서 보드부;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 보드부를 통해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보드부는, 상기 보조 기기로부터 상기 신호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인 보드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보드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보드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기; 및
    병렬 데이터인 상기 영상 데이터를 직렬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리얼라이저(Serializer)를 더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부는,
    상기 직렬 영상 데이터를 병렬 영상 데이터로 재변환하는 디시리얼라이저(Deserializer); 및
    상기 병렬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기능 및 상기 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영상 감시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보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기기를 제어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기는,
    조도 센서, IR LED, D/N 필터 또는 M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조도가 소정의 기준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D/N 필터 또는 상기 IR LED 중 적어도 하나를 ON시키는 상기 보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0140080956A 2014-06-30 2014-06-30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218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56A KR102188678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56A KR102188678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15A true KR20160002115A (ko) 2016-01-07
KR102188678B1 KR102188678B1 (ko) 2020-12-08

Family

ID=5516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956A KR102188678B1 (ko) 2014-06-30 2014-06-30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67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5B1 (ko) * 2007-10-09 2008-08-04 오닉스시스템주식회사 Utp 드라이버가 내장된 조명 제어 ccd 카메라
KR20110125083A (ko) 2010-05-12 2011-11-18 (주)다비치 경관조명용 엘이디 발열 제어시스템 및 발열 제어방법
KR20110135608A (ko)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코아리버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23954A (ko) * 2011-05-02 2012-11-12 (주)스마트모션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20140024707A (ko) * 2012-08-21 201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40040664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 라온텍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015B1 (ko) * 2007-10-09 2008-08-04 오닉스시스템주식회사 Utp 드라이버가 내장된 조명 제어 ccd 카메라
KR20110125083A (ko) 2010-05-12 2011-11-18 (주)다비치 경관조명용 엘이디 발열 제어시스템 및 발열 제어방법
KR20110135608A (ko)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코아리버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23954A (ko) * 2011-05-02 2012-11-12 (주)스마트모션 스마트폰을 이용한 멀티 관제 시스템
KR20140024707A (ko) * 2012-08-21 2014-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140040664A (ko) 2012-09-26 2014-04-03 주식회사 라온텍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678B1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930B2 (en) Video system, video processing method, program, camera system, and video converter
US20060013291A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recept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JP2013041282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及びその照明制御方法
EP3402179B1 (en) Image-capturing system, image-capturing method, and program
JP2016025587A5 (ko)
JPH07274057A (ja) ビデオカメラ、画像入力装置及び画像入力システム
KR101948480B1 (ko) 양방향 영상 통화가 가능한 tv 시청 제어 장치
KR102188678B1 (ko) 영상 감시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1359579B1 (ko) 풀 디지털 멀티 디브이알 인터폰
JP2005530409A5 (ko)
CN103648364B (zh) 摄像系统
EP2197198A3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US10108188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aerial vehicle
US10602071B2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20124782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38250B1 (ko) 감시 카메라
KR101369374B1 (ko) 풀 디지털 디브이알 레코더
KR100854577B1 (ko) 영상처리장치내장 독립구동형 카메라
CN203537504U (zh) 高清内窥镜系统
KR101454836B1 (ko) 인공지능 조명 돔 카메라
TW201503866A (zh) 數位訊號傳輸之內視鏡系統
KR101627632B1 (ko) 비압축 다중 비디오 및 제어 신호 전송 장치
KR20160016451A (ko) 감시 시스템
US20190373223A1 (en) Channel inspection and/or maintenance system
KR20150082814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