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004U -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004U
KR20160002004U KR2020140008875U KR20140008875U KR20160002004U KR 20160002004 U KR20160002004 U KR 20160002004U KR 2020140008875 U KR2020140008875 U KR 2020140008875U KR 20140008875 U KR20140008875 U KR 20140008875U KR 20160002004 U KR20160002004 U KR 20160002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ain body
smoke
moxa
moxi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국
Original Assignee
정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국 filed Critical 정순국
Priority to KR2020140008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004U/ko
Publication of KR20160002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뜸을 뜰 때 쑥을 인체에 직접 맞닿게 놓고 뜨는 경우 너무 뜨거워서 물집이나 상처가 발생하므로 손잡이를 갖는 주걱 형태의 쑥뜸기와 쑥뜸기 내부에 내장되는 망체에 쑥을 놓고 뜸을 뜨면 뜨거울 때 주걱을 들면서 뜨겁지 않게 하여 화상을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뜸을 뜰 수 있으며, 또한 혈위치에 따라 뜸을 뜨는 위치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손쉽게 위치를 옮길 수 있으며, 쑥뜸기를 소형으로 형성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쑥뜸기 본체에 연기를 흡입하여 옥외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환자가 냄새 없이 뜸을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A pick mugwort appliance}
본 고안은 한방용으로 뜸을 뜰 때 사용하는 휴대용 쑥뜸기와 쑥이 타들어 가면서 발생되는 쑥뜸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휴대용 쑥뜸기 및 쑥뜸기의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뜸을 뜰 때 쑥을 인체에 직접 맞닿게 놓고 뜨는 경우 너무 뜨거워서 물집이나 상처가 발생하므로 손잡이를 갖는 주걱 형태의 쑥뜸기와 쑥뜸기 내부에 내장되는 망체에 쑥을 놓고 뜸을 뜨면 뜨거울 때 주걱을 들면서 뜨겁지 않게 하여 화상을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뜸을 뜰 수 있으며, 또한 혈위치에 따라 뜸을 뜨는 위치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손쉽게 위치를 옮길 수 있으며, 쑥뜸기를 소형으로 형성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쑥뜸기 본체에 연기를 흡입하여 옥외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환자가 냄새 없이 뜸을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따라 과도한 냉난방으로 인하여 우리 인체가 냉하거나 장기간에 걸쳐 몸이 아픈 환자들이 뜸을 시술받게 되는 바, 한방에서 뜸을 뜰 때에는 쑥을 경혈에 놓고 선향으로 불을 붙여 경혈을 자극하여 치료하게 되는 바, 이때 인체에 쑥뜸을 직접 놓고 뜸을 뜨는 경우 쑥이 타들어 가면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도 쑥뜸을 뜨는 도중에는 너무 뜨거워도 타는 쑥을 뗄 수도 없고 옆으로 이동도 전혀 불가능하다.
따라서 쑥뜸을 뜨면 화상으로 인한 물집이나 상처가 나서 2차 감염으로 번질 우려가 있으며, 흉터가 생기게 되는 과도한 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뜸을 시술받는 장소가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연기를 환자와 시술자가 받게 되는 바, 쑥 자체의 연기가 상당히 맵고 냄새가 역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냄새와 연기로 부터 고통 받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심할 경우 기관지나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쑥 냄새가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됨으로서 쑥뜸을 시술하고 난 후에도 방안에 냄새가 남아 있게 되어 상당한 시간동안 환기를 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쑥뜸은 인체에 아주 유익한 것으로 알고는 있으나 휴대시에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도중에 쑥뜸을 뜨고자 하는 경우에도 밀폐된 좁은 공간에서 쑥뜸을 실시할 수 없어 인체에 유익함을 알고도 냄새 때문에 쑥뜸을 뜬다는 것은 생각조차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뜸을 시술받는 사람의 근처에 팬(FAN)을 설치하고 팬(FAN)의 후단으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된 배출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배출장치는 시술자의 근처에서 팬으로 연기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연기가 효과적으로 빨려 들어가지 못하는 단점과, 배출단의 맨 끝단은 단순히 외부로 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쑥뜸연기가 다시 방안으로 흘러들어오는 폐단과 아파트 같은 경우 배출관을 늘어트림으로 인하여 오히려 주변의 가구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허다한 단점이 있다.
또한 팬으로 주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방법이므로 휴대는 전혀 불가능하고 어느 특정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그나마 효과를 볼 수 있어 과도한 투자비에 비하여 효과가 미약하여 가정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이 등록한 등록번호 10-1440683호의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본원출원인이 선 등록한 쑥뜸기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몸체에 경첩으로 개폐되는 뚜껑을 형성하고 뚜껑에 연기를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고안은 몸체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인체에 닿는 부분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손이나 몸에 올려놓으면 주변을 밀폐하면서 쑥뜸을 효과적으로 뜰수 있다.
그러나 인체에 닿는 부분이 평면으로만 구성되므로 크기가 큰 경우 손이나 발등에 쑥뜸을 뜰 경우 밀폐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면이 평면으로만 구성되므로 항상 한 손에는 뜸을 뜨고 다른 한 손은 쑥뜸기를 잡고 있어야 뜸을 뜰 때 뜨거울 경우 쑥뜸기를 위로 올리면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양손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양손을 번갈아 뜸을 뜰 경우 교대로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40683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갖는 주걱 형태의 쑥뜸기와 쑥뜸기 내부에 내장되는 망체에 쑥을 놓고 뜸을 뜨다가 인체에 화상을 입을 정도로 쑥이 과열되면 쑥뜸기에서 손을 바로 뺄 수 있도록 하여 화상을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뜸을 뜰 수 있으며, 또한 뜸을 뜨는 위치도 사용자의 의도대로 손쉽게 위치를 옮길 수 있으며, 쑥뜸기를 소형으로 형성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쑥뜸기 본체에 연기를 흡입하여 옥외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환자가 냄새 없이 뜸을 시술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쑥뜸기 본체와 배출장치를 연결하여 쑥뜸을 뜰 때 발생하는 쑥뜸 연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된 좁은 공간에서도 냄새에 대한 염려가 없는 쑥뜸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가 용이하고 배출장치를 설치하여 달리는 자동차에서도 간편하게 쑥뜸을 뜰 수 있으며 쑥뜸기 본체가 뚜껑을 개재하여 밀폐된 구조를 취하여 자유롭게 이동하여도 쑥이 이탈되는 현상이 없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항상 누워있는 자세가 아닌 앉은 상태에서 목, 등 인체의 어느 곳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쉽게 뜸을 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는 오목한 주걱같이 형성된 쑥뜸기 본체와, 본체의 상부를 밀폐 가능하도록 한 뚜껑과, 상기 뚜껑을 경첩 등으로 열리게 구성하면서 뚜껑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이를 외부에 설치된 배출장치와 연결하여 냄새를 옥외로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쑥뜸기는 뜸을 뜰때 쑥뜸기를 잡고 옮기는 것이 아닌 손이나 발을 쑥뜸기에서 즉각 뺄 수 있도록 하여 화 상등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쑥뜸을 뜰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소형 휴대용으로 제공하여 밀폐된 자동차 안에서도 효과적으로 쑥뜸을 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옥외 배출장치는 아파트나 주택의 베란다 등의 난간에 설치되며 미 사용시에는 베란다에 밀착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만 배출장치를 회전시켜 연기가 보다 멀리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냄새와 연기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쑥뜸기와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는 쑥뜸 연기와 냄새를 옥외로 배출할 수 있어 밀폐된 공간에서도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도 쑥뜸을 뜰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장치이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배출장치 이외에 휴대용으로 구성된 본체와 본체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구성되므로 자동차와 같이 이동시에도 쑥뜸을 효과적으로 뜰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기와 냄새를 옥외로 충분히 멀리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 방안은 물론 화장실 등에서 여성의 좌욕에 아주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는 주걱 형태의 쑥뜸기와 쑥뜸기 내부에 내장되는 망체로 구성되어 뜸을 뜨다가 인체에 화상을 입을 정도로 쑥이 과열되면 쑥뜸기에서 손을 즉각적으로 빼낼 수 있어 화상을 예방하면서 안전하게 쑥뜸을 뜰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쑥뜸기 본체와 배출호스가 연결되어 옥외로 배출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옥외 배출장치의 개략도로서 난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옥외 배출장치를 난간에서 멀리 떨어트린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쑥뜸기를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사용자의 발을 쑥뜸을 뜨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쑥뜸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쑥뜸기 본체와 배출호스가 연결되어 옥외로 배출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옥외 배출장치를 난간에서 멀리 떨어트린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옥외 배출장치의 개략도로서 난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도.
도 5는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6은 쑥뜸기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사용자의 발을 쑥뜸을 뜨는 예시도.
본 고안의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표는 휴대가 용이하고, 쑥뜸을 뜰 때 쑥이 과열되어 인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을 때 사용자가 쑥뜸기에서 손을 즉각적으로 빼내어 화상을 예방함과 동시에 쑥뜸기를 탁자나 테이블등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여 한 손은 물론 양손을 동시에 쑥뜸을 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쑥뜸기 및 쑥뜸기 옥외 배출장치는 사용자에게 직접 뜸을 뜰 수 있도록 한 쑥뜸기 본체와 상기 쑥뜸기 본체와 연결되는 연기 배출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와 연결되어 연기를 옥외로 멀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옥외에 구성되는 배출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쑥뜸기 본체(2)는 상하로 개구된 원통형이나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2)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4)과, 상기 본체와 뚜껑을 연결하는 경첩으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단에는 배출관(31)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배출관에는 배출호스(8)가 연결되어 옥외에 설치된 배출장치(A)에 연결되어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절대 퍼지지 않고 배출호스(8)를 타고 배출장치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상기한 쑥뜸기 본체(2)의 측벽은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절개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접하여 내벽면으로 단턱(4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쑥찜판(40)이 내재된다.
상기한 단턱(42)에는 복수개의 고정핀(35)이 돌출형성되고 쑥찜판(40)에는 고정구멍(37)이 천공되어 고정핀에 끼워져 쑥찜판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의 외측으로는 손잡이(10)가 형성되어 쑥뜸을 뜰 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거나 또는 탁자에 쑥뜸기를 올려놓고 쑥 뜸을 인체에 직접 맞닿게 하면서 쑥뜸을 뜰 수 있다.
이때 쑥이 타들어 갈 때 나는 냄새는 배출관과 배출호스에 의하여 외부로 연기와 냄새는 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쑥뜸기는 본체에 손잡이와 뚜껑이 형성되어 쑥뜸을 뜰 때 쑥이 과열되어 너무 뜨거울 때 쑥뜸기 본체를 살짝 위로 올려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인체와 이격하여 화상에 의한 물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는 탁자에 올려놓고 절개부를 통하여 넣어둔 손이 너무 뜨거울 경우 손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쑥뜸을 뜰 수 있어 화상에서 예방되는 것이며 탁자에 올려놓고 사용가능하므로 양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그만큼 쑥뜸을 뜨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뚜껑에 형성된 배출관은 내부가 빈 관 타입으로 구성하여 이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연기와 냄새를 옥외로 배출하는 상태가 가능하며 이때 배출호스와 옥외에 설치된 배출장치의 중간에 팬(FAN)을 설치함으로서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빨아 당겨 배출 할 수 있다.
배출호스와 연결되는 옥외 배출장치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기둥(20)을 삼각형상으로 구성하여 연장관(45)을 평행한 상태로 길게 연장하여 무게중심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기둥에 향하도록 하여 어떠한 상태에서도 종 방향으로 구성된 기둥과 연장관은 평행한 상태로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기둥(20)의 상하에 클램프(41)를 고정하여 기둥과 베란다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한 기둥의 하단에는 주름관(43)이 끼워지며 상기 주름관에는 배출관과 연결된 배출호스가 끼워져 연기를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한 클램프는 나사 조임식으로 나사를 풀어 기둥을 회전하는 방식으로 난간에 기둥을 밀착하여 보관하거나 또는 멀리 펼쳐서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기둥의 외면에 결합된 클램프에 형성된 나사를 풀어 기둥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베란다 난간에 밀착 가능한 상태로 고정 가능하며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베란다에서 멀리 떨어진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둥은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아닌 지면에서 상부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설치하여 굴뚝과 같은 원리로 연기가 효율적으로 빨리면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연장관의 끝단에는 T자형 관을 설치하여 바람에 의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우천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기둥 및 연장관은 플라스틱 파이프로도 가능하나 장시간 사용시 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내부가 빈 관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본 고안의 휴대 가능한 쑥듬기와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는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쑥뜸기 본체와, 본체와 연결되는 배출장치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쑥뜸을 뜰 수 있으며 연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본체 4: 뚜껑
8: 배출호스 33:절개부

Claims (2)

  1. 사용자에게 직접 뜸을 뜰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2), 상기 본체의 상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뚜껑(4), 상기 뚜껑과 본체를 연결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경첩으로 구성된 쑥뜸기 본체에 형성된 뚜껑에 배출호스(8)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호스는 옥외에 설치된 배출장치(A)에 연결되어 연기와 냄새가 배출호스(8)를 타고 배출장치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되도록 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쑥뜸기 본체(2)의 측벽은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절개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 접하여 내벽 상면으로 단턱(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턱(42)에는 복수개의 고정핀(35)이 돌출 형성되고 단턱에 올려지는 쑥찜판(40)에는 고정구멍(37)이 천공되어 고정핀에 끼워져 쑥찜판이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외 배출장치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에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기둥(20)을 삼각형상으로 구성하면서 연장관(45)을 평행한 상태로 길게 연장하여 무게중심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기둥에 향하도록 하여 어떠한 상태에서도 종 방향으로 구성된 기둥과 연장관은 평행한 상태로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기둥(20)의 상하에 클램프(41)를 고정하여 기둥과 베란다 난간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KR2020140008875U 2014-12-03 2014-12-03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KR201600020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5U KR20160002004U (ko) 2014-12-03 2014-12-03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875U KR20160002004U (ko) 2014-12-03 2014-12-03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04U true KR20160002004U (ko) 2016-06-13

Family

ID=5613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875U KR20160002004U (ko) 2014-12-03 2014-12-03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00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6669A1 (en) Appliance for disinfecting the hands of a user
JP2006513810A (ja) 漢方医料補助用附缸ヨモギ灸器
CN105902385A (zh) 一种自动艾灸设备
KR101440683B1 (ko)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101697938B (zh) 温和炙盒
KR20160002004U (ko) 휴대 가능한 쑥뜸기 및 쑥뜸 연기 옥외 배출장치
CN204972217U (zh) 一种多功能艾灸盒
CN209713675U (zh) 一种高效艾灸仪
CN105395361B (zh) 内置式艾灸仪
CN204274293U (zh) 一种干脚机
CN108524250A (zh) 可控温的分体式艾灸器
US9655812B2 (en) Pedicure spa apparatuses with ventilating systems
CN202526556U (zh) 一种新型双层艾灸炉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CN202490167U (zh) 一种多功能艾灸凳
CN206138394U (zh) 一种艾灸装置
CN209301705U (zh) 一种无烟艾灸仪器
CN104644426A (zh) 一种带有手机支架的自动排烟艾灸床
JP3116293U (ja) 灸器
CN204814831U (zh) 一种新型艾灸盒
CN103239358B (zh) 恒温多灸艾疗器
CN204840246U (zh) 医用艾灸排烟排湿器
CN204995781U (zh) 一种散热通气良好的气孔灸罐
KR20140000917U (ko) 뜸 연기배출용 후드장치
CN206063450U (zh) 一种紫外线消毒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