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936U - A stone sorting go board - Google Patents

A stone sorting go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936U
KR20160001936U KR2020160002125U KR20160002125U KR20160001936U KR 20160001936 U KR20160001936 U KR 20160001936U KR 2020160002125 U KR2020160002125 U KR 2020160002125U KR 20160002125 U KR20160002125 U KR 20160002125U KR 20160001936 U KR20160001936 U KR 201600019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checkerboard
stone
padd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1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3172Y1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식 filed Critical 최경식
Publication of KR20160001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93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2Chess; Simila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574Connections between board and 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574Connections between board and playing pieces
    • A63F3/00634Sliding connections, e.g. playing pieces sliding in a groo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 A63F2003/00324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with slidable parts of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63F2003/00943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 A63F2003/00952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with a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63F2003/00943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 A63F2003/00955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with a lid
    • A63F2003/00958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with a lid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1Ball collecting devices o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5Ball return mechanisms; Ball delivery
    • A63F2007/346G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바둑판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둑판 상판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바둑돌을 떨어뜨리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떨어진 바둑돌을 내려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바둑돌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바둑판 밑면에는 상기 바둑돌 통로를 통해 내려온 바둑돌을 내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checkerboard in which a bar is s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eckerboar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has a space formed in the checkerboard, and an opening for dropping a staircase into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at a certain portion of the checkerboard upper plate Wherein at least one inclined passage for lowering the stone wall away from the entrance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ne stone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tone passage is formed on the bottom wall of the wall. do.

Description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A STONE SORTING GO BOARD}{A STONE SORTING GO BOARD}

본 고안은 바둑판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바둑돌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바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er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eckerboard in which a breaker is automatically classified.

바둑은 바둑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 앉은 사람이 흑과 백의 바둑돌을 가지고 하는 게임으로 각각의 돌이 차지한 집의 수에 따라서 승패가 판가름나는 게임이다. 흑과 백의 바둑돌이 바둑판 위에 섞여서 놓이고 바둑판에 더 이상 돌을 놓을 곳이 없을 때까지 게임이 진행되므로 바둑을 마친 후에는 뒤섞인 흑과 백의 바둑돌을 각각 수작업으로 분류하여 바둑돌 수납통에 넣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Go is a game in which a person who is seated across a checkerboard has black and white stones, and the game is dec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s each stone occupies. The game is played until the black and white blocks are placed on the checkers and there is no more room for the stones on the checkers. After the game is finished, the black and white blocks are mixed by hand and so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s hav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작업으로 바둑돌을 분류할 필요가 없는 바둑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heckerboard which does not need to be classified manual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바둑판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둑판 상판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바둑돌을 떨어뜨리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떨어진 바둑돌을 내려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바둑돌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바둑판 밑면에는 상기 바둑돌 통로를 통해 내려온 바둑돌을 내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eckerboar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a space is formed in the checkerboard, an inlet for dropping the breaker into the inside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heckerboard upper plate, Wherein at least one inclined passage for lowering the stone wall away from the entrance is provided and at the bottom of the board is formed at least on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ne from the passage through the passage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둑돌 통로는 제1 바둑돌 통로와 제2 바둑돌 통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와 상기 제2 바둑돌 통로는 각각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중 제1 출구와 제2 출구로 이어지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와 제2 바둑돌 통로는 각각 바둑돌이 옆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통로를 따라 양 측면에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는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의 벽 하부측면 일부에는 제1 바둑돌보다 작은 제2 바둑돌만이 빠져나갈 수 있는 높이의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둑돌 통로는 상기 틈새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제2 바둑돌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둑돌 통로보다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at least one peg passage is provided with a first peg passage and a second peg passage, wherein the first peg passage and the second peg passage each have a first outlet of the at least one outlet and a second outlet, And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 passages are provided with walls on both sides along the passageway so that the passageways do not protrude laterally, the first passageway is bent at least o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a clearance of a height at which a second stepped block smaller than the first stepped portion can escape is formed in a part of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tepped passageway, and the second stepped passage 1 < / RTI >

또한 여기서,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의 경사는 70도 이상 80도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topper passage may be in the range of 70 to 80 degrees.

또한 여기서, 상기 바둑판 밑면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하부에는 각각 상기 바둑돌 통로를 통해 떨어지는 바둑돌을 담을 수 있는 바둑돌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heckerboar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and at the bottom of the at least one outlet, there is provided a countertop storage unit capable of holding a staircase falling through the stairway.

또한 여기서, 상기 바둑돌 수납부는 상기 바둑판 측면에서 상기 바둑판 내부로 밀어넣고 뺄 수 있는 서랍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ackstop housing part is provided in a drawer type which can be pushed into and pulled out from the side of the checkerboard into the checkerboard.

또한 여기서, 상기 입구에는 상기 바둑판 상판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일부분은 상기 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inlet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in which a part of the checkerboard is cut, and a part of the upper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let.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을 이용할 경우에는 바둑판 상판에 바둑돌을 내려보낼 수 있도록 바둑돌 입구를 형성하고, 바둑판 내부에 흑돌과 백돌을 위한 두 개의 바둑돌 통로를 구비하고, 바둑알이 입구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모두 위쪽에 있는 제1 바둑돌 통로에 떨어져서 내려오다가, 흑돌보다 작은 백돌이 제1 바둑돌 통로 벽에 구비된 틈새를 통해서 나가서 제2 바둑돌 통로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흑돌은 제1 바둑돌 통로 쪽에 구비된 흑돌 보관함에 투입되고, 백돌은 제2 바둑돌 통로 쪽에 구비된 백돌 보관함에 투입되어 바둑알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둑통과 바둑판을 일체로 하여 분류와 보관이 좀 더 편리해 진다.In the case of using the checkerboard in which the ston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irway entrance is formed so that the stairway can be sent down to the upper board of the checkerboard, the stairway has two stairway passages for the black stone and the white stone, All of the black stones fall down to the first straddle passage at the upper side, and the black stones smaller than the black stones go out through the gaps provided in the first straddle passage wall to fall into the second straddle passage, And the white stones are put into a stow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second stalk passage side, and the stone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In addition, it is more convenient to sort and store by making the badchat and checkerboard togeth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제1 바둑돌 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제2 바둑돌 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ecker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heckered board in which a bar is s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pendulum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op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바둑을 둘 때 사용되는 돌은 일반적으로 흑돌과 백돌로 분류되는데, 이 두 종류의 돌이 크기가 동일하지 않다. 즉, 동일한 크기의 경우 흑돌이 백돌보다 시각적으로 작아 보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흑돌을 백돌보다 조금 더 크게 제작하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흑돌과 백돌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다는 특징을 이용한다.The stones used to hold Go are usually classified as black and white, but these two types of stones are not the same size.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lack stone is visually smaller than the white stone in the case of the same size, so the black stone tends to be made slightly larger than the white ston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eature that the sizes of the black and white stones are not the same.

일반적으로 바둑판의 높이는 다양하다. 얇은 판으로 제작되어 책상에 올려놓는 것도 있지만, 바둑판을 그대로 놓고 앉아서 바둑을 둘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제작된 것도 있다. 바둑판 높이에 정해진 규격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프로 기사들이 편안해 하는 높이는 바둑판 다리를 포함해 24 cm 정도이다.In general, the height of checkerboard varies. Some are made of thin plates and placed on a desk, but some have been made to have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board can be left sitting on. There is no standard for board height, but the height at which professional knights are generally comfortable is about 24 cm, including checkerboard legs.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바둑판의 높이와 바둑돌의 크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바둑돌을 바둑판 내부로 떨어뜨리는 것만으로 바둑돌이 흑돌과 백돌로 분류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one is divided into a black stone and a white stone by simply dropping the stone stone into the checkerboar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checkerboard and the size of the stone ston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ecker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heckered board in which a bar is so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둑돌 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irst stoppage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둑돌 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econd stoppage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둑돌이 분류되는 바둑판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바둑판으로, 바둑판 내부는 공간이 형성된다. 바둑판 상판의 일정부분에는 바둑판 내부 공간 속으로 바둑돌을 떨어뜨릴 수 있도록 입구(10)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0)에는 바둑판 상판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의 통공이 형성하고, 절개된 상판의 일부분은 입구(10)에 탈부착 가능한 바둑판 무늬의 뚜껑(11)으로 구비하여 사용에 따라 입구(10)를 덮거나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뚜껑(11)은 바둑판 바깥쪽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방식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한쪽을 고정하고 위도 들어올리는 방식 등 바둑판의 다른 부분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면서 열릴 수 있는 어떠한 어느 방식으로도 구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a checker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eckerboar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checkerboard. An inlet (10) may be formed at a certain portion of the board top board to allow the bottom board to fall into the board internal space. In the inlet 10, a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t-away part of the checkerboard, and a part of the cut-out upper plate is provided as a checkered lid 11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inlet 10, It can be covered or opened. The lid 11 may be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pushing it outwardly of the checkerboard, or may be provided in any manner that can be opened while being connected with other parts of the checkerboard such as a method of fixing one side and lifting a latitude.

한편, 바둑판 밑면에는 입구(10)에서 떨어진 바둑돌을 내보내기 위한 적어도 출구(21, 22), 예를 들면, 흑돌과 백돌이 분류되어 각각 빠져나올 수 있는 두 개의 출구(21, 2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둑판 내부 공간에는 입구(10)로부터 각각의 출구(21, 22)로 이어지는 두 개의 경사진 제1 바둑돌 통로(40)와 제2 바둑돌 통로(5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ard, at least two outlets 21 and 22, for example, a black stone and a white stone, can be formed and the two outlets 21 and 22 can be formed, respectively, for exporting the stones away from the entrance 10 . The checkerboard inner space may be provided with two inclined first and second overflow passages 40 and 50 leading from the inlet 10 to the respective outlets 21 and 22.

바둑돌 통로(40, 50)는 바둑돌이 옆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통로를 따라 양측면에 벽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바둑돌 통로(40)의 벽 하부측면 일부에는 흑돌보다 작은 크기의 백돌이 빠져나갈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틈새(41)를 벽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입구(10)에서 떨어진 백돌이 제1 바둑돌 통로(40)를 지나가다가 틈새(40)를 통과하여 제2 바둑돌 통로(50)를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때, 틈새(41)의 높이는 백돌은 빠져나가되 흑돌은 빠져나갈 수 없는 크기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바둑돌 통로의 경사는 대략 65도에서 80도 사이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75도 정도로 구비하면 바둑돌이 중간에 멈추지 않고 적당한 속도로 틈새를 빠져나갈 수 있다.It is preferred that the pendulum passages 40 and 50 are provided with walls on both sides along the passage so that the pendulum does not protrude sideways. In addition, a gap 41 having a height enough to allow a stone stone of a size smaller than a black stone to escape is formed long along the wall on a part of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wall of the first paddle passage 40, It is preferable to pass through the passage 40 and pass through the gap 40 so that the second passage 50 is separated from the passag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gap (41) is such that the white stone is removed but the black stone can not escape. Also,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topper passage is suitably between about 65 degrees and 80 degrees, preferably about 75 degrees, so that the stopper can escape through the gap at a proper speed without stopping in the middle.

이를 위해서는 제2 바둑돌 통로는 제1 바둑돌 통로(40)의 틈새(41)를 통해 떨어지는 백돌을 받을 수 있도록 제1 바둑돌 통로(50) 아래쪽에 충분한 넓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바둑돌 통로를 바둑돌이 타고 내려오면서 측면에 부딪히면서 틈새(4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하여 구부러진 길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틈새(41)는 마주하는 벽 중 더 아래쪽에 있는 벽, 즉 돌이 내려오는 방향 쪽에 구비된 벽 쪽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The second paddle passage may be provided to have a sufficient width under the first paddle passage 50 so as to receive the falling stone through the clearance 41 of the first paddle passage 40. [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rst bogie passage is bent at least o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allow the first bogie passage to pass through the gap 41 while colliding with the side surface while descend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rance 41 is provided on a lower wall of the facing wall, that is, on the wall provided on the side in which the stone descends.

이때, 바둑판 밑면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구비되어, 또한, 각 바둑돌 출구(21, 22) 하부에는 바둑돌 수납부(31, 32)를 각각 구비하여 바둑돌 통로를 통해(40, 50)를 통해 떨어지는 바둑돌을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둑판 밑면에 통공을 형성하여 출구(21, 22)를 만들고, 출구(21, 22)를 통과한 바둑돌이 바둑돌 수납부(31, 32)로 떨어지도록 한다. 바둑돌 수납부(31, 32)는 사용자가 바둑판 측면 외부로 빼내어 바둑돌을 꺼내고 다시 내부공간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서랍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구(21, 22)는 서랍이 구비되는 바둑판 측면에 가까운 곳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underside of the check board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under each of the outlets 21 and 22, there are pegs 31 and 32, Can be stored. That i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eck board to make the outlets 21 and 22, and the passageways passing through the outlets 21 and 22 fall into the passageway accommodating portions 31 and 32. The podium storage compartments (31, 32) can be configured as a drawer type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outside of the checkerboard side to take out the stool and push it back into the interior space. Therefore, the outlets 21 and 22 are preferably formed close to the checkerboard side where the drawer is provided.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바둑을 두려는 경우, 본 고안의 바둑판 하부 측면의 바둑돌 수납부(31, 32)를 열어놓거나, 또는 별도로 빼놓고 게임을 시작할 것이다. 또한 게임 중에는 바둑판 상판 한쪽 모퉁이에 구비된 투입구(10)의 뚜껑(11)을 덮은 상태로 바둑을 두다가, 게임이 끝난 후에, 뚜껑(11)을 열고 바둑돌을 입구(10)에 넣으면, 투하된 흑돌과 백돌은 일단 제1 바둑돌 통로(40)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제1 바둑돌 통로(40)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던 바둑돌이 제1 바둑돌 통로(40)의 벽 하부에 구비된 틈새(41)를 만나게 되면 백돌은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제2 바둑돌 통로(50)로 떨어지게 된다. 특히 제1 바둑알 통로(40)가 적어도 한번 절곡되어 방향이 바뀌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통로를 타고 내려오던 바둑돌은 주로 제1 바둑돌 통로(40)의 절곡된 부분 근처에서 벽에 부딪히면서 백돌은 틈새(4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고, 백돌보다 큰 흑돌은 틈새(41)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방향을 바꾸어 그대로 제1 바둑돌 통로(40)를 통해 미끄러져 내려와서 흑돌 수납부(31)에 담겨 진다. 한편, 틈새(41)를 빠져나온 백돌은 제2 바둑돌 통로(50)를 통해 미끄러져 내려와서 백돌 수납부(32)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바둑돌이 자동으로 분류되어 바둑돌 수납부(31, 32)에 담기면 사용자는 따로 바둑돌을 분류할 필요없이 게임을 끝내기만 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ishes to play Go, he / she will start the game with the pendulum compartments 31 and 32 on the lower side of the checkered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or removed separately. During the game, if the player puts the Go 11 in the state of covering the lid 11 of the slot 10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top board of the checkered board and then opens the lid 11 and puts the stones into the entrance 10 after the game is over, The black stone and the white stone are slid down along the first pillar passage 40 once. When the stone that has slid down along the first turning passage 40 meets a gap 41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wall of the first turning passage 40, the stone is removed from the second turning passage 50, .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passageway 40 is bent at least once to change its direction, the passageways that descend along the passageway bump against the walls mainly near the bent portions of the first passageway 40, The black stones larger than the white stones can not escape through the gap 41 and are tur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slid down through the first stalk passage 40 and are contained in the black stones storage portion 31. On the other hand, the white ston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gap 41 slide down through the second paddle passage 50, and fall into the ball stowage compartment 32. In this way, if the ball is automatically classified and placed in the ball holders 31 and 32, the user need only finish the game without having to classify the ball.

본 실시예에서는 흑돌이 백돌보다 크다는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구성은 바둑돌의 크기의 차이에 착안한 것일 뿐, 백돌이 큰지 흑돌이 큰지 여부나 돌의 색깔이 본 고안의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Although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example that the black stone is larger than the white ston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stone stone. Whether or not the white stone is large or the black stone is larg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 입구, 11 뚜껑
21, 22 출구
31, 32 바둑돌 수납부
40, 제1 바둑돌 통로, 41 틈새
50, 제2 바둑돌 통로
10 inlet, 11 lid
21, 22 exit
31, 32 rest room
40, a first rest passage, 41 crevice
50, the second staged passage

Claims (6)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바둑판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둑판 상판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바둑돌을 떨어뜨리기 위한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떨어진 바둑돌을 내려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바둑돌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바둑판 밑면에는 상기 바둑돌 통로를 통해 내려온 바둑돌을 내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In a checkerboard having a constant height,
A space is formed in the checkerboard,
An inlet for dropping the stones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board,
Wherein the inner sp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clined paddle passage for lowering the pillar away from the inlet,
Wherein at least one outlet for discharging the stones descending through the steg passag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hecker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둑돌 통로는 제1 바둑돌 통로와 제2 바둑돌 통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와 상기 제2 바둑돌 통로는 각각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중 제1 출구와 제2 출구로 이어지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와 제2 바둑돌 통로는 각각 바둑돌이 옆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통로를 따라 양 측면에 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는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절곡되고,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의 벽 하부측면 일부에는 제1 바둑돌보다 작은 제2 바둑돌만이 빠져나갈 수 있는 높이의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둑돌 통로는 상기 틈새로부터 떨어지는 상기 제2 바둑돌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둑돌 통로보다 아래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pendulum passage is provided with a first peg passage and a second peg passage, the first peg passage and the second peg passage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lets of the at least one outlet, Following,
The first and second pedestal passages are provided with walls on both sides along the passageway so that the passageways do not protrude laterally,
The first straddle passage is bent at least o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gap of a height at which a second stump,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stave, can escape is formed in a part of the lower side wall of the first straddle passage,
And the second paddle passage is provided below the first paddle passage so as to receive the second paddle falling from the gap.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둑돌 통로의 경사는 70도 이상 80도 이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addle passage is set to 70 degrees or more and 80 degrees or le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둑판 밑면은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서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 하부에는 각각 상기 바둑돌 통로를 통해 떨어지는 바둑돌을 담을 수 있는 바둑돌 수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checkerboard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t least one outlet is provided with a lower portion which can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둑돌 수납부는 상기 바둑판 측면에서 상기 바둑판 내부로 밀어넣고 뺄 수 있는 서랍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ckstop housing part is provided in a drawer type which can be pushed into and pulled out from the side of the checkerboard into the checkerboar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바둑판 상판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의 통공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일부분은 상기 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둑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through-hole in which a part of the checkerboard upper plate is cut, and a part of the upper plat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let.
KR2020160002125U 2014-06-10 2016-04-20 A stone sorting go board KR200483172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338 2014-06-10
KR1020140070338 2014-06-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6A Division KR20150141858A (en) 2014-06-10 2014-08-14 A stone soring go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936U true KR20160001936U (en) 2016-06-07
KR200483172Y1 KR200483172Y1 (en) 2017-04-11

Family

ID=55083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6A KR20150141858A (en) 2014-06-10 2014-08-14 A stone soring go board
KR2020160002125U KR200483172Y1 (en) 2014-06-10 2016-04-20 A stone sorting go boar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86A KR20150141858A (en) 2014-06-10 2014-08-14 A stone soring go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14185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382A1 (en) * 2021-04-23 2022-10-26 Memory Games BV New sudoku board desig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964B1 (en) * 2017-09-22 2019-07-23 김용혁 A paduk board with box for paduk-stone sorting
CN107998650B (en) * 2017-12-19 2020-09-15 中北大学 Automatic separating chessboard for black and white pieces of go ch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57662Y (en) * 2008-02-01 2008-12-03 刘志锐 Separation device for I-go
CN103223242A (en) * 2012-01-26 2013-07-31 陈世杰 Quick separator for black pieces and white pieces of go ch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57662Y (en) * 2008-02-01 2008-12-03 刘志锐 Separation device for I-go
CN103223242A (en) * 2012-01-26 2013-07-31 陈世杰 Quick separator for black pieces and white pieces of go ch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382A1 (en) * 2021-04-23 2022-10-26 Memory Games BV New sudoku board design
BE1029332B1 (en) * 2021-04-23 2022-11-28 Memory Games Bv NEW DESIGN SUDOKUB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58A (en) 2015-12-21
KR200483172Y1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172Y1 (en) A stone sorting go board
US7766337B2 (en) Game apparatus
US20050255928A1 (en) Game table storage
US9033806B2 (en) Gaming machine
WO2007059310A3 (en) Method for teams to play poker tournaments
US3941378A (en) Convertible pool-dining table with retractable ball box
US7322642B2 (en) Furniture system
US10610765B2 (en) Pool table
KR200493297Y1 (en) Study cafe desk
US20090211496A1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US5782351A (en) Container
US20080265510A1 (en) Floating game table
US8479663B2 (en)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US344062A (en) Thomas t
US7651094B1 (en) Multi-level board game
US11577154B2 (en) Game table and game equipment
US20050218598A1 (en) Combined baccarat and blackjack game
US2810579A (en) Devices for playing card games with balls
CN104415551B (en) The method of piece distributor and distribution piece
US20130237302A1 (en) Poker table accommodating multiple dealers to facilitate play of multiple poker games simultaneously
US20050148435A1 (en) Children's climbing playsets
KR102366876B1 (en) Slide for versatile use
KR102366877B1 (en) Slide for versatile use
US20190321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a card shuffler for table mounting
KR102001964B1 (en) A paduk board with box for paduk-stone s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