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66A -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66A
KR20160001866A KR1020140079722A KR20140079722A KR20160001866A KR 20160001866 A KR20160001866 A KR 20160001866A KR 1020140079722 A KR1020140079722 A KR 1020140079722A KR 20140079722 A KR20140079722 A KR 20140079722A KR 20160001866 A KR20160001866 A KR 2016000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music content
production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연
Original Assignee
윤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연 filed Critical 윤수연
Priority to KR102014007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866A/ko
Publication of KR2016000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음악 콘텐츠의 제작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을 선택해서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이 음악 콘텐츠의 제작을 상기 선택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의 단말기로 요청해서 생성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제작 서비스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음악제작 공모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에 대해 응모 음악 콘텐츠를 수신해서 소정의 심사절차를 거쳐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를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을 요청한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판권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악 판권 거래 서비스부; 온라인상에 미리 마련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게시판에 업로드 하고 이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게시판에 업로드된 음악 콘텐츠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부; 및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원 거래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AGENT SERVICE SYSTEM OF PRODUCTING AND TRADING OF MUSIC CONTENTS}
본 발명은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곡들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동시에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과 같은 언더 뮤지션이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하도록 하여 상기 언더 뮤지션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수 등이 취입한 곡은 음반, 예를 들어 노래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 CD, DVD 등에 수록(가수별 노래 수록, 장르별 노래 수록, 최신곡 수록 등)되어 판매점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되는 방식(즉, 전형적인 오프라인 판매방식)으로 매매되고 있다.
한편, 음악 매니어들은 각각의 취향에 따라 특정 가수를 선호하거나 특정한 장르(예를 들면, 팝송, 댄스, 샹송, 발라드, 블루스, 재즈, 클래식, 트로트 등) 또는 특정가수의 특정장르에 대한 음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음악 매니어들은 자신이 원하는 곡이 수록된 음반을 구입하여 원하는 곡의 음반을 소유하거나 원할 때마다 해당 곡을 청취하고 있다.
그런데, 음반 제작사들은 흥행 위주의 곡 또는 인기가수의 곡이 담긴 음반을 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송에 소개되는 오버그라운드 뮤지션과 달리 방송에 소개되지 않은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곡 또는 실용음악 대학 및 학원에서 작업한 곡 또는 상업 음반 제작사로부터 독립적이고 자주적이며 DIY(Do-It-Yourself) 원칙에 따라 음반을 제작하고 발매하는 인디 뮤지션의 곡들은 특정 매니어들에게만 주로 관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음반 제작사들은 인디 뮤지션의 곡,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곡 또는 실용음악 대학 및 학원에서 작업한 곡들을 포함한 음반제작에 있어서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즉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 및 학원에서 작업된 곡들이 판매될 수 있는 시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서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은 자신의 곡을 통한 수입이 없거나 미비한 상태에 처해 있다.
한편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이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는 루트는 음원 사이트에서의 음원 판매 또는 공연 수익 등이다. 하지만 음원 사이트에서의 음원 판매의 경우도 음원 유통사의 불공정한 수익 배분으로 인해서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의 수익 창출원으로서의 구실을 못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오프라인상에서 음반산업의 활성화 및 음악시장의 다양화를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추세에 불구하고도 10cm, 빈지노, 요조 등 대중의 사랑을 받은 인디 뮤지션들을 통해 볼 때 고객들로부터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곡들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동시에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과 같은 언더 뮤지션이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하도록 하여 상기 언더 뮤지션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3664호(공개일: 2004년 02월 14일)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곡들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동시에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과 같은 언더 뮤지션이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하도록 하여 상기 언더 뮤지션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은,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음악 콘텐츠의 제작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을 선택해서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이 음악 콘텐츠의 제작을 상기 선택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의 단말기로 요청해서 생성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제작 서비스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음악제작 공모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에 대해 응모 음악 콘텐츠를 수신해서 소정의 심사절차를 거쳐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를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을 요청한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판권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악 판권 거래 서비스부; 온라인상에 미리 마련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게시판에 업로드 하고 이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게시판에 업로드된 음악 콘텐츠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부; 및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원 거래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벨소리, 컬러링, 컬러링 중 적어도 하나의 2차 콘텐츠로 생성하는 부가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홍보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제품에 패키지화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거래 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가 성사된 경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고객별 취향정보를 반영하여 재가공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거래 서비스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들을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에 맞는 음악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곡들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동시에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과 같은 언더 뮤지션이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하도록 하여 상기 언더 뮤지션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음악제작 서비스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서비스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음악 공모전 서비스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1)은 다양한 종류의 곡들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동시에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과 같은 언더 뮤지션이 고객들의 다양한 음악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하고 판매하도록 하여 상기 언더 뮤지션이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원정보 저장부(11), 음악제작 서비스부(12), 음악공모전 서비스부(13), 음악판권 거래 서비스부(14), 커뮤니티 서비스부(15), 음원거래 서비스부(16), 부가서비스부(17)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18)를 포함한다.
회원정보 저장부(11)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음악콘텐츠 제작 회원들의 회원정보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이 구비한 단말기의 번호 또는 네트워크 주소와 음악 콘텐츠 제작회원의 음악 콘텐츠 제작 전문분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전문분야는 작사, 작곡, 편곡, 보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컬의 경우 장르별 즉 팝송, 댄스, 샹송, 발라드, 블루스, 재즈, 클래식, 트로트 별로 구분될 수 있다.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에는 인디 뮤지션, 언더그라운드 뮤지션 또는 실용음악 대학의 학생 및 실용음악학원의 학원생들이 있을 수 있다. 이외에 회원정보 저장부(11)는 고객들의 회원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객들의 회원정보는 고객이 구비한 단말기의 번호 또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들에는 기업, 개인, 기획사, 프로덕션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악제작 서비스부(12)는 고객 단말기(2)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음악 콘텐츠의 제작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을 선택해서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이 음악 콘텐츠의 제작을 상기 선택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의 단말기(3)로 요청해서 생성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고객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러한 음악제작 서비스부(12)에 의해서 수행되는 서비스 흐름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객 단말기(2)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용도, 길이, 가사, 장르 등을 포함함)을 수신하면, 음악제작 서비스부(12)는 상기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음악 콘텐츠를 제작할 음원 콘텐츠 제작 회원을 선택하고 이를 고객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후 음악 콘텐츠 제작에 대한 비용 결제가 완료되면 선택된 음악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음악콘텐츠의 제작을 의뢰한다. 음악 콘텐츠 제작회원에 의해서 음악 콘텐츠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를 고객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렇게 음악제작을 통한 수익은 상기 시스템(1)의 관리자와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계약에 의해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13)는 고객 단말기(2)로부터 음악제작 공모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에 대해 응모 음악 콘텐츠를 수신해서 소정의 심사절차를 거쳐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를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을 요청한 고객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때 음악제작 공모전의 요청은 기획사 또는 프로덕션 등으로부터 있을 수 있으며, 음악제작 공모전의 심사를 통해서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의 판권은 고객, 예를 들어 기획사 또는 프로덕션에 귀속될 수 있으며, 상기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응모 음악 콘텐츠를 제작한 회원에게 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13)에 의해서 수행되는 음악 공모전 서비스의 흐름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객 단말기(2)로부터 고객의 공모전 요구사항, 예를 들어 용도, 길이, 가사, 느낌, 장르 등이 포함된 음악제작 공모전 정보를 수신하면,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13)는 상기 고객의 공모전 요구사항을 온라인상, 예를 들어 음악 공모전 서비스만을 위해 구축된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한다. 상기 웹사이트 상에 업로드 된 음악제작 공모전 정보에 따라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제작한 응모 음악 콘텐츠들을 수신하면,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13)는 소정의 심사방식에 의해서 상기 수신된 응모 음악 콘텐츠들에 대한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심사결과 선정된 우수 응모 음악 콘텐츠를 고객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렇게 음악 공모전을 통한 상금은 상기 시스템(1)의 관리자와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계약에 의해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음악 판권 거래 서비스부(14)는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판권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한다. 이때,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판권은 거래가 완료되면 해당 음악 콘텐츠를 제작한 음악 콘텐츠 제작회원과 구매자의 동시 소유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저작권은 해당 음악 콘텐츠 제작회원에게 귀속될 수 있다. 이렇게 음악 판권 거래를 통한 수익은 상기 시스템(1)의 관리자와 음악 판권을 판매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계약에 의해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커뮤니티 서비스부(15)는 온라인상에 미리 마련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서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게시판에 업로드 하고 이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게시판에 업로드된 음악 콘텐츠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게시판에 업로드 된 음악 콘텐츠의 평가에 사용되는 단어들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취향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음원거래 서비스부(16)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한다. 음원 거래 서비스부(16)는 음질, 선정성, 적합성 등의 심사기준을 통과한 음악 콘텐츠만을 온라인 거래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심사기준을 통과한 음악 콘텐츠의 거래가 되는 경우 해당 음악 콘텐츠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고객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음원 거래를 통한 수익은 상기 시스템(1)의 관리자와 음원 거래가 된 음악 콘텐츠를 제작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계약에 의해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부가서비스부(17)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벨소리, 컬러링, 컬러링 중 적어도 하나의 2차 콘텐츠로 생성한다.
또한 부가서비스부(17)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상에서 홍보할 수 있다. 홍보의 실시예로 홍보의 대상이 되는 음악 콘텐츠의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배너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부가서비스부(17)는 배너를 통해서 음악 콘텐츠를 홍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부가서비스부(17)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제품에 패키지화한다. 이러한 패키지에 대한 예를 들어보면 포토 앨범에 BGM으로 음악이 깔리는 경우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18)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고객별 취향정보를 반영하여 재가공하여 저장한다. 상기 고객별 취향정보는 고객 단말기(2)로부터 고객이 전송한 고객 취향정보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8)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1)의 외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음원 거래 서비스부(18)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8)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들을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에 맞는 음악 콘텐츠, 예를 들어 곡 또는 아티스트를 추천해주는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한 수익은 상기 시스템(1)의 관리자와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의 대상이 된 음악 콘텐츠를 제작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에게 계약에 의해서 설정된 비율에 따라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시스템
2 : 고객 단말기
3 :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의 단말기
11 : 회원정보 저장부
12 : 음악제작 서비스부
13 : 음악공모전 서비스부
14 : 음악판권 거래 서비스부
15 : 커뮤니티 서비스부
16 : 음원거래 서비스부
17 : 부가 서비스부
18 : 데이터베이스 서버

Claims (7)

  1.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저장부;
    고객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음악 콘텐츠의 제작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는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을 선택해서 상기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이 음악 콘텐츠의 제작을 상기 선택된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의 단말기로 요청해서 생성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제작 서비스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음악제작 공모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에 대해 응모 음악 콘텐츠를 수신해서 소정의 심사절차를 거쳐 선정된 응모 음악 콘텐츠를 상기 음악제작 공모전을 요청한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악 공모전 서비스부;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판권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악 판권 거래 서비스부;
    온라인상에 미리 마련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게시판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게시판에 업로드 하고 이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통해서 상기 게시판에 업로드된 음악 콘텐츠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부; 및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음원 거래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벨소리, 컬러링, 컬러링 중 적어도 하나의 2차 콘텐츠로 생성하는 부가서비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온라인 상에서 해당 음악 콘텐츠를 제작한 음악 콘텐츠 제작회원을 함께 홍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가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제품에 패키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거래 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의 온라인 거래가 성사된 경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음악 콘텐츠, 상기 선택된 응모 음악 콘텐츠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응모 음악 콘텐츠, 상기 음악 콘텐츠 제작 회원들이 스스로 제작한 음악 콘텐츠를, 고객별 취향정보를 반영하여 재가공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원 거래 서비스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음악 콘텐츠들을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에 맞는 음악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음악 큐레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79722A 2014-06-27 2014-06-27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KR20160001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22A KR20160001866A (ko) 2014-06-27 2014-06-27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22A KR20160001866A (ko) 2014-06-27 2014-06-27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66A true KR20160001866A (ko) 2016-01-07

Family

ID=5516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22A KR20160001866A (ko) 2014-06-27 2014-06-27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8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52A (ko) 2017-07-07 2019-01-16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4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매입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5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6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분할 매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5103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루나르트 전자계약을 통한 음원 제작과 권리이전 및 발매에 따른 수익 분배 시스템
KR20220008656A (ko) 2020-07-14 2022-01-21 노영현 저작권 매매/공유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4053971A1 (ko) * 2022-09-05 2024-03-14 남기원 커뮤니티 기능이 부가된 nft 창작물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64A (ko) 2002-08-08 2004-02-14 정만 새음반 및 새음악과 새상품 및 새제품의 홍보가 인터넷 온라인상에서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64A (ko) 2002-08-08 2004-02-14 정만 새음반 및 새음악과 새상품 및 새제품의 홍보가 인터넷 온라인상에서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552A (ko) 2017-07-07 2019-01-16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4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매입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5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경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226A (ko) 2017-07-10 2019-01-18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분할 매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5103A (ko) 2019-06-20 2020-12-30 주식회사 루나르트 전자계약을 통한 음원 제작과 권리이전 및 발매에 따른 수익 분배 시스템
KR20220008656A (ko) 2020-07-14 2022-01-21 노영현 저작권 매매/공유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4053971A1 (ko) * 2022-09-05 2024-03-14 남기원 커뮤니티 기능이 부가된 nft 창작물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866A (ko) 음악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중개 서비스 시스템
US2019013916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third party web-based application to build and automatically generate project web pages offering crowdfunding opportunities for artists
Burnett The global jukebox: The international music industry
KR101505335B1 (ko) 비디오 클립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비디오 클립의 작성
Cottrell Ethnomusicology and the Music Industries: an overview
US20010025259A1 (en) Radio station digital music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Gomes et al. Crowdsourcing for music: Survey and taxonomy
Bourreau et al. Does digitization lead to the homogenization of cultural content?
Kribs The artist-as-intermediary: musician labour in the digitally networked era
Montoro‐Pons et al. From pirates to subscribers: 20 years of music consumption research
Perritt Jr New Architectures for Music: Law Should Get Out of the Way
Morris Anti-market research: Piracy, new media metrics, and commodity communities
Sirois et al.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recorded music industry: Redefinitions and new trajectories in the digital age
Wikström Reluctantly virtual: Modelling copyright industry dynamics
US20030014320A1 (en) Method of promoting a recording by providing rough mixes over the internet
Hermawan et al. Factors identifying musician entrepreneurship in a less-developed country: a case of Indonesia's independent musician
Morgan Music, metrics, and meaning: Australian music industries and streaming services
KR100863074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McGuire et al. Consumer taste sharing is driving the online music business and democratizing culture
Kuyucu Music marketing evolution from traditional to digital marketing
KR102643151B1 (ko) 음악 종류를 이용한 음악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Bernardo The impact of disintermediation on independent music business models
Thorley et al. Crowdfunding and Alternative Modes of Production
Paolucci Developing a Forward-Looking Strategy for the Music Industry
Polak et al. Write, record, optimize? How musicians reflect on music optimization strategies in the creative produc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