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95A - 접이식 컵라면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컵라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95A
KR20160001695A KR1020150091180A KR20150091180A KR20160001695A KR 20160001695 A KR20160001695 A KR 20160001695A KR 1020150091180 A KR1020150091180 A KR 1020150091180A KR 20150091180 A KR20150091180 A KR 20150091180A KR 20160001695 A KR20160001695 A KR 2016000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holder
holder memb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012B1 (ko
Inventor
박진경
Original Assignee
박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경 filed Critical 박진경
Publication of KR2016000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또는 야외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에 있어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에 하단부(110)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부(12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용물(200);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110)를 폐쇄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전체 둘레로부터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하부결합부(320)를 포함한 용기바닥틀(300);과,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부착되는 홀더고정부재(400);와,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용기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310)가 수평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110)가 지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가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닥부(310)가 상기 바닥부(310)의 장축(M)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컵라면용기{Folding noodle containers}
본 발명은 접이식 컵라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또는 야외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에 있어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에 하단부(110)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부(12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용물(200);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110)를 폐쇄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전체 둘레로부터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하부결합부(320)를 포함한 용기바닥틀(300);과,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부착되는 홀더고정부재(400);와,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용기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310)가 수평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110)가 지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가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닥부(310)가 상기 바닥부(310)의 장축(M)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용기는 물건이나 식료품 등의 내용물을 한번 담고 내용물을 사용 후에는 재활용하거나 버리는 그릇의 일종으로써,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뿐만 아니라 등산, 트레킹 등의 야외 활동 또는 해외 여행시 쉽게 보관하고 간편하게 음식물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컵 형태의 작은 용기에 포장된 면이 들어있는 컵라면은 일정온도 이상의 물만 확보되면, 언제, 어디서나 손쉽고 간편하게 식사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컵라면의 용기는, 보통 합성수지 또는 종이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그 외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컵라면의 용기는 용기 내부에 면을 익히기 위해 100℃에 가깝게 끓인 물을 붓게 되면, 물의 온도가 그대로 용기 표면으로 전달되어 면을 섭취하는 섭취자가 섭취를 용이하기 위해 용기의 표면을 잡게 되었을 때, 화상을 입거나 뜨거운 온도로 인해 용기를 놓쳐 인체에 국물을 쏟아 더 큰 화상을 입을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기 특허문헌 1의“손잡이가 구비된 컵라면(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753호)”은 용기(1) 표면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손잡이 외 표면의 미끄럼 방지를 할 수 있는 주름부(2) 및 지지부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손잡이의 재질은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로폼 재질의 손잡이로 구성됨으로써, 컵라면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용기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손잡이를 사용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손잡이가 구비된 컵라면”은 용기 표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용기의 표면을 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의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은 해소하였으나, 용기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의 구성으로 인해 용기를 포장상자에 보관하거나 적재할 경우, 손잡이의 형상만큼 보관면적이 증가하여 포장상자에 용기가 기존보다 감소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감소된 수량만큼 다른 포장상자를 더 사용하게 됨으로써, 경제성 및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75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라면 용기를 기립상태로 세울 수도 있고 접을 수 있는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보관면적을 대단히 줄임으로써, 같은 공간에 기존보다 많은 수량의 컵라면을 보관하거나 적재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컵라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컵라면 용기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홀더부재를 더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표면을 손으로 잡았을 경우 상기 컵라면 용기 내의 뜨거운 물로 인해 상기 손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컵라면 용기를 지표면에 놓았을 때 상기 컵라면 용기가 넘어지지 않고 상기 컵라면 용기가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컵라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1)는, 실내 또는 야외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에 있어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에 하단부(110)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부(12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용물(200);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110)를 폐쇄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전체 둘레로부터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하부결합부(320)를 포함한 용기바닥틀(300);과,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부착되는 홀더고정부재(400);와,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용기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310)가 수평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110)가 지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가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닥부(310)가 상기 바닥부(310)의 장축(M)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고정부(400)는, 원통형상의 수직결합부(410)와,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상부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결합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결합부(4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결합부(420)의 상부는 상기 용기뚜껑(500)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외측에는 억지끼움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 및 용기바닥틀(30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접거나 말아 올린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표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밴딩부재(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에 결합된 상기 홀더부재(600)의 홀더바닥부(6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와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과 홀더부재(600)의 외측 표면 및 상기 용기뚜껑(500)의 외측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 및 색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5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51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510)의 하부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미도시)의 표면에는 필름지(미도시)가 합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수직길이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에서 내용물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용물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6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술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600)의 표면에 국물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방지홈(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600)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홀더부재(600)가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표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홀더부재(600)의 기립상태를 가이드하는 지지롤링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컵라면 용기를 기립상태로 세울 수도 있고 접을 수 있는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보관면적을 대단히 줄임으로써, 같은 공간에 기존보다 많은 수량의 컵라면을 보관하거나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컵라면 용기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홀더부재를 더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표면을 손으로 잡았을 경우 상기 컵라면 용기 내의 뜨거운 물로 인해 상기 손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컵라면 용기를 지표면에 놓았을 때 상기 컵라면 용기가 넘어지지 않고 상기 컵라면 용기가 기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구성 중 용기본체의 하단부 및 바닥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사용 방법의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의 구성 중 바닥부가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의 정면과 측면의 모습을 각각 보인 비교도
도 6은 기존발명의 컵라면용기가 상자에 적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와 홀더부재가 상자에 적재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2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용기본체(100)과 용기바닥틀(300), 홀더고정부재(400), 용기뚜껑(500) 및 홀더부재(600)로 구성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본문에 기재되는 지표면은 토지의 표면뿐만 아니라 책상, 식탁, 거치대 등 수평을 이루고 있는 모든 사물의 평면을 통합하여 표현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4에 표현된 도면은 본 발명인 접이식 컵라면용기(1)를 측면도로 작도하여 표현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도 1 또는 도 2,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용물(200)이 보관되고 고온의 물이 수용되는 구성요소로써, 하단부(110)는 타원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는 도 2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단부(110)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단부(120)는 원형형상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는 플렉시블한 재질(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필름 등)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형상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용기바닥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바닥틀(300)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 내측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하단부(110)에서 상향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전체 둘레에서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연에 부착되는 하부결합부(3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단부(110)와 바닥부(310) 사이에는 제1 공간(S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S1)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물(W)이 수용되는 경우, 플렉시블한 상기 바닥부(310)의 성질과 상기 물(W)의 자중으로 인해 상기 바닥부(310)에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해 상기 바닥부(310)가 지표면에 닿아 다른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상기 바닥부(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물(W)이 수용되는 경우, 플렉시블한 상기 바닥부(310)의 성질과 상기 물(W)의 자중으로 인해 상기 바닥부(310)에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제1 공간(S1) 내에 상기 바닥부(310)가 존재하게 되어, 상기 용기본체(100)를 세우는 경우, 상기 지표면에는 상기 하단부(110)만 접촉되게 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의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310)가 수평한 상태(도 5의 (c),(d))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존재하고 상기 하단부(110)가 지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바닥부(310)가 상기 바닥부(310)의 장축(M)을 중심으로 접혀지면(도 5의 (a), (b)), 상기 하단부(310)는 타원형상에서 직선형상으로 변경되어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공간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도 4의 (a)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로 상기 접이식 컵라면용기(1)를 박스(800)에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존컵라면용기(900)를 동일한 크기의 상기 박스(800)에 보관하는 것보다 많은 수량의 접이식 컵라면용기(1)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도 4의 (a) 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거나 말아 올린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표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밴딩부재(7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밴딩부재(700)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일실시예로는 일정한 점착력을 갖춘 스티커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홀더고정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홀더고정부재(400)는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직결합부(410)와 상기 수직결합부(410)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결합부(420)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내주연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 외주연에 부착되고, 상기 수평결합부(420)의 상단은 상기 용기뚜껑(50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고정부재(400)는 비열전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결합부(410)는 그 수직길이를 내용물(20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2.5∼5.5㎝ 정도)로 형성함으로써,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C ”자 형상으로 하여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뜨거운 상기 물(W)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결합부(410)을 잡더라도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사용 전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내용물(200)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용기뚜껑(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용기뚜껑(5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내용물(200)을 식용하기 전에는 상기 내용물(200)이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용물(200)을 식용할 경우에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뜨거운 상기 물(W)을 인입할 수 있도록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뚜껑(500)의 둘레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510)가 더 구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상기 용기뚜껑(100)을 개방 및 탈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부(5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표면까지 닿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10)의 하부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미도시)의 표면에는 필름지(미도시)가 합지됨으로써, 상기 용기뚜껑(500)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뜨거운 상기 물(W)을 인입하고 상기 용기뚜껑(500)을 다시 닫을 때, 상기 필름지(미도시)를 제거하고 상기 손잡이부(510)를 상기 용기본체(100)의 표면에 붙여 상기 용기뚜껑(500)이 재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해 준다.
한편, 상기 용기뚜껑(500)의 상부에는 타공되어 형성되는 물투입공(미도시)과 상기 물투입공(미도시)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물투입공(미도시)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재(미도시)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물투입공(미도시)는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들어있는 스프봉지(미도시)를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용기뚜껑(500)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개폐부재(미도시)의 개폐만으로도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뜨거운 상기 물(W)이 인입됨으로써, 상기 용기뚜껑(500)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에 뜨거운 상기 물(W)을 인입하고 다시 닫을 때보다 상기 개폐부재(미도시)의 구조가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의 열기를 더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을 더 잘 익힐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홀더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홀더부재(6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외측연에 억지끼움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100)를 기립상태를 가이드하고, 상기 용기본체(100)에 뜨꺼운 상기 물(W)이 인입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100) 표면에 전달된 열을 사용자에게 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에 결합된 상기 홀더부재(600)의 홀더바닥부(610)는 도 4의 (c),(d),(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와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를 세울 경우, 상기 하단부(110)를 가이드하여 상기 용기본체(100)를 더 안정적인 기립상태로 유지하게 해 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600)의 상부에는 반타원형상의 접촉방지홈(6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써, 상기 접촉방지홈(620)은 사용자가 상기 내용물(200)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상기 내용물(200)과 함께 존재하는 국물을 마실 경우, 사용자의 입술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600)의 표면에 국물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홀더부재(600)를 위생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시 위생성을 제공하고, 몇 번이고 재사용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600)의 하부 둘레에는 외측으로 동그랗게 말린 상태의 지지롤링부(63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지지롤링부(630)는 상기 홀더부재(600)가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표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홀더부재(600)의 하부를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0)를 지표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내용물(200)을 섭취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100)의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홀더부재(60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박스(800)에 보관될 경우 상기 홀더부재(600)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재(600)의 표면을 눌러 내측에 공간을 상쇄하여 납작한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0)과 홀더부재(600)의 외측 표면 및 상기 용기뚜껑(500)의 외측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 및 색채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양과 색패를 통해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업 또는 개인의 직간접적인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컵라면용기(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 상기 접이식 컵라면용기(1)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밴딩부재(700)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10)의 상단부(120)에 고정되어 있다(도 4의 (a)). 이 경우, 상기 바닥부(310)는 접혀진 상태이고 상기 제2 공간(S2)은 대단히 협소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접이식 컵라면용기(1) 내부의 상기 내용물(200)을 섭취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밴딩부재(700)를 제거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를 펼친다(도 4의 (b)).
이 후, 상기 홀더부재(600)를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외측연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한 후 상기 용기뚜껑(500)을 개방하여 뜨거운 상기 물(W)을 인입하면, 뜨거운 상기 물(W)을 인입되면서 상기 바닥부(310)는 펼쳐져 상기 용기본체(100) 내측의 제2 공간(S2)이 회복되고, 상기 제2 공간(S2)의 회복이 완료되면 상기 하단부(110)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를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4의(c)).
시간이 지나 상기 내용물(200)이 적당한 상태로 익혀지게 되면(도 4의 (d)), 상기 용기뚜껑(500)을 탈거한 후 상기 내용물(200)을 섭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컵라면용기(1)의 상기 내용물(20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컵라면에 수용된 건조면뿐만 아니라 인공적으로 제조된 다양한 음식물(예컨대, 건조미역국 제조물, 건조된장국 제조물 등)이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접이식 컵라면용기
100: 용기본체
110: 하단부 120: 상단부
200: 내용물
300: 용기바닥틀 310: 바닥부
320: 하부결합부
400: 홀더고정부재
410: 수직결합부 420: 수평결합부
500: 용기뚜껑
510: 손잡이부
600: 홀더부재
610: 홀더바닥부 620: 접촉방지홈
630: 지지롤링부
700: 밴딩부재
800: 박스
900: 기존컵라면용기
M: 장축
W: 물
S1: 제1 공간
S2: 제2 공간

Claims (8)

  1. 실내 또는 야외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에 있어서,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에 하단부(110)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상단부(120)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용기본체(100);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용물(200);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110)를 폐쇄하는 바닥부(310)와 상기 바닥부(310)의 전체 둘레로부터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하부결합부(320)를 포함한 용기바닥틀(300);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부착되는 홀더고정부재(400);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용기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310)가 수평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110)가 지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0)가 기립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바닥부(310)가 상기 바닥부(310)의 장축(M)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고정부(400)는,
    원통형상의 수직결합부(410)와,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상부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결합부(420)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결합부(4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20)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결합부(420)의 상부는 상기 용기뚜껑(500)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외측에는 억지끼움으로 연결되어 상기 용기본체(100)의 기립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부재(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 및 용기바닥틀(30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의 내측 제2 공간(S2)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0)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접거나 말아 올린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표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밴딩부재(7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고정부재(400)에 결합된 상기 홀더부재(600)의 홀더바닥부(61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단부(110)와 평면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과 홀더부재(600)의 외측 표면 및 상기 용기뚜껑(500)의 외측 표면에는 다양한 모양 및 색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500)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51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510)의 하부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미도시)의 표면에는 필름지(미도시)가 합지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6.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부(410)의 수직길이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하부를 접거나 말아 올린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200)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용물(2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6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내용물(200)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술로 인해 상기 홀더부재(600)의 표면에 국물이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촉방지홈(6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600)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홀더부재(600)가 상기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표면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홀더부재(600)의 기립상태를 가이드하는 지지롤링부(6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컵라면용기(1).
KR1020150091180A 2014-06-27 2015-06-26 접이식 컵라면용기 KR10158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62 2014-06-27
KR20140079862 2014-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95A true KR20160001695A (ko) 2016-01-06
KR101587012B1 KR101587012B1 (ko) 2016-01-22

Family

ID=5516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180A KR101587012B1 (ko) 2014-06-27 2015-06-26 접이식 컵라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015A (ko) 2021-01-12 2022-07-19 김승겸 개선된 재밀폐 식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785B1 (ko) 2020-06-22 2022-06-22 신선인 휴대가 용이한 일회용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78A (ko) * 2004-10-15 2006-04-19 윤경동 친환경적인 지퍼 접이식 사발면(컵라면) 용기
KR20110068506A (ko) * 2009-12-16 2011-06-22 황갑순 찌그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용기 및 제조방법
KR20130141753A (ko) 2012-06-18 2013-12-27 이수연 손잡이가 구비된 컵라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78A (ko) * 2004-10-15 2006-04-19 윤경동 친환경적인 지퍼 접이식 사발면(컵라면) 용기
KR20110068506A (ko) * 2009-12-16 2011-06-22 황갑순 찌그러짐 방지 수단을 구비한 접이식 용기 및 제조방법
KR20130141753A (ko) 2012-06-18 2013-12-27 이수연 손잡이가 구비된 컵라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015A (ko) 2021-01-12 2022-07-19 김승겸 개선된 재밀폐 식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012B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099B2 (en) Collapsible cup for zero waste applications
KR101888020B1 (ko) 압축식 라면 용기 및 그 제작방법
USD890610S1 (en) Tin for packaging purpose
KR101587012B1 (ko) 접이식 컵라면용기
KR101649585B1 (ko) 접이식 식판
US20070087083A1 (en) Tea bag cozy
US7708137B1 (en) Box for storing candle and candle accessories
KR101092853B1 (ko) 신축구성을 갖는 일회용 용기
US10271678B1 (en) Cup sleeve structure with hanging ears
US11910905B2 (en)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KR101227104B1 (ko) 손잡이를 갖는 저장용기
CN205837636U (zh) 一种方便面包装盒
US20060222742A1 (en) Bread paper container
KR200487643Y1 (ko) 자동 스탠딩형 포장재
US9821946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and integrated straw
KR20130084497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20210022270A (ko) 과일 형상의 휴대용 보관박스
KR20220107374A (ko) 휴대용 늘어가는 종이 컵
KR102349827B1 (ko) 접이식 구조가 적용된 휴대용 즉석 발열 식품 용기
CN207434034U (zh) 一种新型书盒
USD667725S1 (en) Food container for chicken
KR200488863Y1 (ko) 막대 손잡이를 사용하는 식품의 포장지
KR20120003986U (ko) 뚜껑 일체형 컵라면 용기
RU109099U1 (ru) Переносная емкость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RU120404U1 (ru) Переносная емкость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