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85U -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 Google Patents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85U
KR20160001685U KR2020140008245U KR20140008245U KR20160001685U KR 20160001685 U KR20160001685 U KR 20160001685U KR 2020140008245 U KR2020140008245 U KR 2020140008245U KR 20140008245 U KR20140008245 U KR 20140008245U KR 20160001685 U KR20160001685 U KR 201600016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p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perfor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권
Original Assignee
김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권 filed Critical 김재권
Priority to KR2020140008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685U/ko
Publication of KR20160001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글라스의 저면에 발광장치를 내재하여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광장치를 발광시켜 음료수의 색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도록 한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글라스용 발광컵{Light emitting glass}
본 고안은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글라스의 저면에 발광장치를 내재하여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광장치를 발광시켜 음료수의 색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도록 한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를 담아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컵은 유리나 합성수지,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원통형, 사각형, 종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지만, 밀폐되고 상단이 개구된 단순한 원통형의 투명재질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컵은 성형재료 또는 그 컵에 혼합되는 염료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컵 자체의 색깔은 음료수의 색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의 식욕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은 색을 능동적으로 변화 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는 한편, 최근 높아지고 있는 소비자의 다양한 미적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다양한 구조의 컵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대형컵 저면부에 발광소자를 장착하여 투명글라스를 기우릴 때 발광됨과 동시에 투명글라스가 기우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상이 발광되는 장치를 제공하거나 또는 액체용기 내부에 접점스위치츨 형성하고 액체를 따르면 접점이 도통되어 컵이 발광되도록 한 발광컵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광컵은 컵의 저면에 발광소자와 건전지를 형성하고 이를 감싸는 형태로 일체로 형성하여 일정기간 사용후 건전지의 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액체의 접접에 의하여 발광소자를 발광토록 하는 구조는 접점이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이 접점이 용기 내에 노출된 상태로 있어야 하므로 금속제를 접점이 액체에 노출되면 부식 등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한편 발광컵은 기밀성을 유지하여야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기밀을 유지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통상 나사식으로 개폐되는 마개와 패킹에 의하여 패킹이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플라스틱의 경우 마개를 쉽게 형성할 수 있으나 크리스탈의 경우 나선부를 형성하기가 어렵고 설사 나선부를 형성한다고 하여도 작업의 어려움에 의하여 컵의 가격이 고가로 판매되어 대중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415567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컵 저부에 발광장치를 내재한 후 고무재의 마개를 이용하여 발광장치를 기밀을 유지하여 폐쇄하도록 하여 발광장치의 구성이 간편하고 스위치의 간편한 동작은 물론 발광컵의 세척이 보다 편리한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의 저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구조의 고무재 마개를 채용하여 유리컵을 탁자에 놓을시 컵의 손상, 탁자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발광컵을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컵 저부에 일정한 크기의 홀을 천공하고, 천공된 홀에 조명장치를 내장한 후 마개를 이용하여 천공된 홀을 기밀을 유지하여 폐쇄하고, 홀을 폐쇄하는 마개에 바닥면을 일체로 연장하면서 유리컵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여 고무재로 구성된 바닥면으로 인하여 컵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쉽게 분리 가능하므로 세척 및 발광장치를 구성하는 발광부 및 건전지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광컵은 유리컵에 천공된 홀에 발광장치를 내재한 후 고무재의 마개로 천공홀을 기밀을 유지하여 폐쇄하므로 기밀성이 확실하여 발광장치가 액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발광장치로 인하여 유리컵에 보관된 액체와 가장 어울리는 빛을 발광하여 심미감이 뛰어난 것이다.
또한 유리컵의 바닥면이 고무재로 구성되므로 탁자 등에 내려놓을 때 유리컵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홀을 폐쇄하는 마개는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따른 건전지의 교환은 물론 세척시 분해 가능하므로 더욱 청결한 유리컵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컵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글라스 발광컵은 유리컵의 하단에 천공된 천공홀(2)에 LED와 건전지 및 PUSH 스위치를 내장한 발광장치(4)를 내재한 후, 고무재의 마개(6)로 천공홀(2)이 기밀을 유지하여 폐쇄되도록 결합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한 천공홀(2)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개(6)는 고무재로 구성되며 마개(6)에는 바닥면(8)을 일체로 연장하여 유리컵의 하단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고, 바닥면(8)의 외주연은 상단으로 연장된 밀착단턱부(10)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단턱부(10)가 유리컵의 모서리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성과 더불어 유리컵을 탁자에 놓을 때 고무재의 바닥면(8)으로 인하여 탁자 또는 유리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유리컵에 천공된 천공홀(2)의 표면은 칼로 긁은 것과 같은 스크래치(12)를 형성하여 발광장치(4)를 구성하는 LED 불빛이 스크래치에 의하여 빛의 전반사가 더욱 뛰어나 유리컵 전체적으로 은은한 빛이 퍼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LED는 소형의 수은건전지로 빛을 발할 수 있으며 PUSH 스위치는 마개의 외부에서 눌러주는 동작을 반복하여 ON/OFF 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마개 안쪽에 발광장치를 내장하면서 천공홀에 발광장치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유리컵의 하단에 천공돈 천공홀(2)에 발광장치(4)를 내재하고 고무재의 마개(6)로 천공홀을 기밀을 유지하 폐쇄하면 발광장치에 액체에 의하여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마개의 하단을 가볍게 눌러주면 PUSH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발광장치가 빛을 발하게 되고 유리컵에 액체를 넣으면 액체의 색깔과 발광장치의 불빛이 더하여 심미감이 뛰어난 것이다.
유리컵의 하단에는 바닥면이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밀착단턱부가 형성되어 유리컵의 하단을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하므로 기밀성이 보장되고 또한 고무재의 재질로 인하여 탁자에 놓을 때에도 컵과 탁자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세척시에는 기밀성이 보장되므로 바로 세척하거나 또는 마개와 발광장치를 분리하여 세척하면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글라스용 발광컵의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천공홀 4: 발광장치

Claims (2)

  1. 유리컵의 하단에 천공된 천공홀(2)에 LED와 건전지 및 PUSH 스위치를 내장한 발광장치(4)를 내재한 후, 마개(6)로 천공홀(2)이 기밀을 유지하여 폐쇄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천공홀(2)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개(6)는 고무재로 구성되며 마개(6)에는 바닥면(8)을 일체로 연장하여 유리컵의 하단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하고, 바닥면(8)의 외주연은 상단으로 연장된 밀착단턱부(10)를 형성하여 상기 밀착단턱부(10)가 유리컵의 모서리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성과 더불어 유리컵을 탁자에 놓을 때 고무재의 바닥면(8)으로 인하여 탁자 또는 유리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글라스 발광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공홀(2)의 표면은 칼로 긁은 것과 같은 스크래치(12)를 형성하여 발광장치(4)를 구성하는 LED 불빛이 스크래치에 의하여 빛의 전반사가 더욱 뛰어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글라스 발광컵.
KR2020140008245U 2014-11-11 2014-11-11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KR201600016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245U KR20160001685U (ko) 2014-11-11 2014-11-11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245U KR20160001685U (ko) 2014-11-11 2014-11-11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85U true KR20160001685U (ko) 2016-05-19

Family

ID=5609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245U KR20160001685U (ko) 2014-11-11 2014-11-11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6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93U (ko) * 2016-05-26 2017-12-06 최용선 아트라떼 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93U (ko) * 2016-05-26 2017-12-06 최용선 아트라떼 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1117T3 (es) Envase combinado de copa y botella de vino
US20110049391A1 (en) Storage Contain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by Using Ultraviolet Rays
DK1634819T3 (da) Lægemiddelbeholder og gummilukkeorgan
CO6170069A1 (es) Sistema de cierre hermetico dispensador de aditivo para envases y/o frascos
US20050167445A1 (en) Illuminating pouring spout
EA200800836A1 (ru) Пластиковая бутылка
AR037361A1 (es) Tapa de abrir y cerrar con tapon de cierre
ZA200400741B (en) Container with one-piece seal and lid spring.
KR2017004626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US6964492B1 (en) Illuminable container
PE20020249A1 (es) Aplicador
CN200974664Y (zh) 一种多功能容器盖
KR20160001685U (ko) 유리글라스용 발광컵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JP3183744U (ja) 芳香装置
US9938059B1 (en) Bottled beverage illumination device
US11198542B2 (en) Illuminated bottle stopper
WO2015161656A1 (zh) 发光盖及发光容器
TWM567028U (zh) Water bottle device
CN201158500Y (zh) 多功能多用瓶塞
CN209733326U (zh) 一种带有发光功能的摇摇杯盖
KR200386629Y1 (ko) 뚜껑 페트병
KR101582639B1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병뚜껑
KR101707379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음료용기
KR200312555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