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43A -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 Google Patents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43A
KR20160001643A KR1020150085922A KR20150085922A KR20160001643A KR 20160001643 A KR20160001643 A KR 20160001643A KR 1020150085922 A KR1020150085922 A KR 1020150085922A KR 20150085922 A KR20150085922 A KR 20150085922A KR 20160001643 A KR20160001643 A KR 20160001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energy
distribution board
energy measuring
bran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웅
박지호
배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15008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643A/ko
Publication of KR2016000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분전반의 복수의 분기 차단기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 차단기가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상기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측정된 전압의 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정보를 계측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분전반의 미리 형성된 노출부에 대응되어, 상기 계측된 에너지 사용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보수의 불편함이 최소화된 방법으로 에너지 계측 장치에 대한 사용상의 어려움이 감소되며, 사용자의 전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 전선이 분전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용상의 거부감 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의 설치와 비교하여 고정방법이 용이하며, 전원 연결선을 기존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쓸 수 있으므로, 분전반 내부에 추가되는 전선을 최소화하여, 단순하게 에너지 계측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Energy measuring unit compatible with circuit breaker in the 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에너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분전반에 설치되는 에너지 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정에서 소비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장치들은 기존의 한전계량기를 제외한 스마트 플러그 타입, 서브 미터 타입 등이 있다. 전력 총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는 한전계량기와 스마트 미터 타입이 있으며, 서브 미터 타입은 기존의 방식(한전계량기)과 달리 새롭게 설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분전반의 내/외부 설치상의 문제점을 동반한다. 가정용 분전반의 내부에 제품이 위치할 경우 내부 공간의 협소함/ 고정 작업의 어려움/ 통신 방식의 제약 등이 따르며, 가정용 분전반의 외부에 제품이 위치할 경우,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신호선이 외부에 돌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발명(한국등록특허, 10-1295843)은 분전반내 차단기에 클램프타입이 아닌 탈부착 가능한 센서모듈을 개별차단기마다 장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수집된 전력사용 정보를 유무선 통신으로 모니터링 장치에 전송하는 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선행발명의 경우 각각의 차단기마다 센서모듈을 장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별도의 공간과 구성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전반을 통해 직접 센싱 정보를 파악할 수는 없으며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여 수집된 정보를 파악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전반의 추가 공간 확보 없이 분전반 내부의 여유 공간에 대응되어 설치 가능한 에너지 계측 장치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구성 없이 상태 정보나 계측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고, 무선 통신 장애 조건을 감소시키는 계측 장치 구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분전반의 복수의 분기 차단기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 차단기가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상기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측정된 전압의 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정보를 계측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분전반의 미리 형성된 노출부에 대응되어, 상기 계측된 에너지 사용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노출부에 대응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를 초기화 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 받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에너지 사용정보를 송수신 하거나, 에너지 계측을 위한 에너지 계측 모듈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상기 분전반이 설치된 벽면의 반대방향에서 더 포함한다.
상기 해제되는 분기 차단기는 상기 복수의 분기 차단기 중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적은 분기 차단기이고, 상기 분기 차단기의 출력선은 차순위의 에너지 사용량이 적은 분기 차단기로 병렬 연결된 후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상기 분기 차단기용 고정단과 접속하여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보수의 불편함이 최소화된 방법으로 에너지 계측 장치에 대한 사용상의 어려움이 감소되며, 사용자의 전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 전선이 분전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용상의 거부감 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의 설치와 비교하여 고정방법이 용이하며, 전원 연결선을 기존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쓸 수 있으므로, 분전반 내부에 추가되는 전선을 최소화하여, 단순하게 에너지 계측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장애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외장 안테나 등의 필요성이 감소하여 시스템 구성 가격이 하락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계측 장치를 설치를 각 가정에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가정내 전력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킴으로서, 전력 사용량 감소를 유도 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가 장착된 분전반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10)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200)가 설치된 분전반(1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전반(10) 내부에는 주차단기(110), 분기 차단기(120), 부스바(130), 전류 계측 모듈(140) 및 분전반(10)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20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차단기(110)는 분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총 전력을 차단한다.
다음 분기 차단기는 분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각 피더별로 구분된 전력을 차단한다.
부스바(130)는 복수의 분기 차단기(120)의 전력 입력단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제작된 동판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분기 차단기(120)의 전력 입력단과 연결된다. 즉, 부스바(130)는 미리 설계된 위치에서 설치되는 분기 차단기(120)의 전력 입력단과 부스바(130) 고정단(122)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전류 계측 모듈(140)은 전류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Current Transformer, Hall Sensor, Shunt Resistor 방식 등을 통해 전류의 정보를 취득한다.
종래의 전류계측모듈을 측정단(분전반(10) 내부 또는 특정 전력선)에 위치한 후, 전류 계측 모듈(140)측과 주 계측장치간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류 정보 취득하는 방식에 따르면, 전류 센서는 측정단에 있지만, 주 계측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은 무선통신을 포함한 전류 센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류 계측 모듈(140)측에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전류 계측 모듈(140)을 측정단(분전반(10) 내부의 여유공간 또는 특정 전력선)에 위치한 후, 전류 계측 모듈(140)측의 정보가 측정장치 본 품과 전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측정단 근방에 계측 장치 본 품을 위치하여 고정하는 방식 또는 분전함 내부의 차단기 위/아래 측 공간에 주 계측장치를 위치하는 방식 및 주 계측 장치가 방향 및 위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장치 시에 위치 또는 고정 방향을 지켜야 하는 방식의 경우 배터리 용량에 따라, 전류계측모듈을 특정시기마다 교체해줘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기술이 가정용 분전반(10)에 이용 되었을 경우, 배터리 교체시기마다 분전반(10)을 해체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교체 주기를 늘리기 위해 배터리 용량을 키울 경우, 제품 단가 상승의 문제점과 제품의 크기 증가로 인한 전류 계측 모듈(140) 설치상의 공간 제약이 생기는 부가적인 문제가 있다. 나아가, 전류계측모듈은 가정용 분전반(10) 내부에 위치하고, 계측장치는 분전반(10) 외부에 위치 하기 때문에 분전반(10)과 계측장치 간에 전선이 연결되어 미관상의 문제가 있으며, 기존 분전반(10)은 전선을 외부로 뺄 수 있는 용도의 구멍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전선이 지나가는 부분에 분전반(10)을 추가 가공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전류계측모듈과 계측장치간의 전선 길이의 한계로 가정용 분전반(10) 근처에 계측 장치를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상의 추가 시공을 해야 하고, 가정용 분전반(10) 마다 내부 공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분전반(10) 내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장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생긴다.
이외에도, 분전반(10) 내부에 설치 시 허용 공간의 방향이 다를 수 있으므로, 모든 경우에서 무선통신안테나를 공급자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맞추어 시공이 불가능하며, 공급자가 제시한 방향을 무시하고, 제품의 무선 안테나 측을 벽면으로 향했을 경우, 통신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10)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200)(이하, 에너지 계측 장치(200)라 함.)는 이상의 종래의 방식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전반(10) 내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계측모듈의 사용 전력을 공급하고, 전선의 인입을 위한 분전반(10) 홀 가공 등의 부가적인 공정 없이 분전반(10) 내부에 계측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가정용 분전반(10)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협소한 부분을 분기 차단기(120) 공간으로 대체하여, 설치 공간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구조를 제안한다.
즉, 분기 차단기(120)와 호환되는 크기와 고정단의 위치 및 고정방법을 계측장치에서 제공함으로써, 제품 고정의 불편함이 해소하며, 항상 같은 방향을 갖는 무선통신 안테나 위치가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방식으로, 통신 장애 문제를 해결한다.
즉,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200)는 분기차단기와 유사한 폭을 가지고, 동일하게 부스바(130) 입력단과 부스바(130) 고정단(122)을 통해 연결되며, 분기차단기의 스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230)를 구성하여 별도의 위치에 분전반(10)의 외부 판넬에 가공을 하지 않더라도 계측장치의 조작/상태정보 확인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너지 계측 장치(200)는 감지부(210), 계측부(220), 표시부(230), 스위치부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210)는 분전반(10)의 복수의 분기 차단기(120)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 차단기(120)가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분기 차단기(120)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한다.
즉 기존의 분기 차단기(120)의 부스바 인입단(122)으로 전압 인입단 구성과 동일한 구성(212)으로 형성되어 부스바(130)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전압을 측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10)의 부스바(130)와의 연결을 위한 부스바 고정단(212)과 계측 장치 고정부(214)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분전반(10) 내부 설치 시 설치 방법의 편리성 측면으로, 기존의 부스바(130)가 전원/센싱 전선을 대체할 수 있어 별도의 감지를 위한 전선 구성을 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에너지 계측 장치의 전원 인가를 위하여 별도의 어댑터를 구성하거나 전선을 구성할 필요가 없이, 직접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하고 또한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 비해 추가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추가적인 공간을 요하지 않으므로, 보다 간단하게 분전반 내에 에너지 계측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 고정부(214) 역시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분기 차단기(120)용 고정단(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고정단(122)과 접속하여 에너지 계측 장치(200)를 고정시킨다.
다음 에너지 계측부(220)는 측정된 전압의 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정보를 계측한다. 즉 감지부(210)에서 감지된 전압 또는 전압의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필요에 맡게 가공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30)는 분전반(10)의 미리 형성된 노출부(105)에 대응되어, 계측된 에너지 사용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30) 및 스위치부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30)는 미리 설계된 분기 차단기(120)의 스위치(126)를 위해 형성된 노출부(105)에 대응되는 표시장치로서 LED 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사용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사용 정보 외에 제품의 상태정보를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부(250)는 노출부(105)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에너지 계측 장치(200)를 초기화 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 받는다. 즉,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동작 오류 등의 문제가 있어 장치의 상태를 초기화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기존의 분기 차단기(120)의 스위치 동작 방식과 유사하게 스위치(250)를 통해 초기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작 모드의 선택을 위한 스위치를 구현하여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특정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기계적 조작이 힘든 단점으로, 종래에는 계측 장치가 분전반(10) 내부에 설치 되었을 경우에 대한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240)는 에너지 사용정보를 송수신 하거나, 에너지 계측을 위한 에너지 계측 모듈(140)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즉 계측된 에너지 사용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를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특정 모드나, 초기화 등의 명령 등을 입력 받고 이를 통해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내부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240)로서 무선모듈이 항시 분전반(10)이 설치된 벽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설치자의 설치방식이나 분전반(10)의 내부 구조 등에 따른 무선 모듈의 방향성에 대한 영향을 덜 받는다. 즉,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설치자에 따라서 동일한 방향성을 같지 않는 무선 통신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계측 장치(200)의 옆면에 차단기가 놓일 경우를 대비하여, 차단기의 아크발생(차단기 내에서 노이즈 발생의 가능성)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통신부(240)는 도 3의 경우 최상단의 위치를 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200)는 기존차단기와 비슷한 폭과 높이를 가지며, 동일한 고정방법으로 기존 분기 차단기(120)의 윗부분 고정 볼트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됨에 따라 분전반(10) 내부의 공간 중 기존 분기 차단기(120) 크기 만큼의 여유 공간을 에너지 계측 장치(200)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계측장치의 크기에 따른 분전반(10) 내부 공간상의 제약에서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계측 장치(200)는 분전반(10)의 복수의 분기 차단기(120)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 차단기(120)가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해제되는 분기 차단기(120)는 복수의 분기 차단기(120) 중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적은 분기 차단기(120)이고, 분기 차단기(120)의 출력선은 차순위의 에너지 사용량이 적은 분기 차단기(120)로 병렬 연결된 후 해제된다.
즉, 분기 차단기의 해제는 전력 사용량이 낮은 차단기를 선택해야 하며, 해당 차단기의 출력선을 또 다른 낮은 전력 사용량의 차단기로 병렬 연결한 후, 필요가 없어진 분기 차단기를 제거한다. 이 때, 병렬 연결된 출력선의 전류가 분기 차단기의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보수의 불편함이 최소화된 방법으로 에너지 계측 장치에 대한 사용상의 어려움이 감소되며, 사용자의 전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기 위해 전선이 분전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운용상의 거부감 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장치의 설치와 비교하여 고정방법이 용이하며, 전원 연결선을 기존의 부스바를 이용하여 쓸 수 있으므로, 분전반 내부에 추가되는 전선을 최소화하여, 단순하게 에너지 계측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장애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외장 안테나 등의 필요성이 감소하여 시스템 구성 가격이 하락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에너지 계측 장치를 설치를 각 가정에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가정내 전력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킴으로서, 전력 사용량 감소를 유도 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분전반의 복수의 분기 차단기 중 적어도 하나의 분기 차단기가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상기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측정된 전압의 정보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정보를 계측하는 에너지 계측부; 및
    상기 분전반의 미리 형성된 노출부에 대응되어, 상기 계측된 에너지 사용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노출부에 대응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를 초기화 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입력 받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에너지 사용정보를 송수신 하거나, 에너지 계측을 위한 에너지 계측 모듈의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상기 분전반이 설치된 벽면의 반대방향에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되는 분기 차단기는 상기 복수의 분기 차단기 중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적은 분기 차단기이고, 상기 분기 차단기의 출력선은 차순위의 에너지 사용량이 적은 분기 차단기로 병렬 연결된 후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해제 또는 미장착된 일 위치의 상기 분기 차단기용 고정단과 접속하여 상기 에너지 계측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는 상기 분기 차단기용 전력 인입단과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KR1020150085922A 2015-06-17 2015-06-17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KR20160001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922A KR20160001643A (ko) 2015-06-17 2015-06-17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922A KR20160001643A (ko) 2015-06-17 2015-06-17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859A Division KR101555942B1 (ko) 2014-06-26 2014-06-26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43A true KR20160001643A (ko) 2016-01-06

Family

ID=5516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922A KR20160001643A (ko) 2015-06-17 2015-06-17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6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942B1 (ko)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US7623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tering consumption of energy
CN104965109B (zh) 用于测量在低压配电器的导体中流动的电流的模块
US20180246150A1 (en) Phase aligned branch energy meter
JP5017342B2 (ja) 中継装置、通信カード、計測装置、中継システム、計測システム及び分電盤
US9397484B2 (en) Method for mounting current sensors
EP2864736B1 (en) Circuit branch measuring system
US11085955B2 (en) Energy metering system with temperature monitoring based on circuit breakers of power panel likely to trip
US9618548B1 (en) Integrated systems for miniature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EP2494368B1 (en) Me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JP6299252B2 (ja) 自己給電式電流測定装置
US9778290B2 (en) Branch current monitor with reconfiguration
US9912289B2 (en) Distributor load cell for determining phase current in photovoltaic installations
KR20160001643A (ko) 분전반 내부 차단기 호환 에너지 계측 장치
JP2004085413A (ja) 多回路電力測定装置
KR20190081128A (ko) 분전반용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JP2016192848A (ja) 分電盤
JP2008228379A (ja) 分電盤
KR101523308B1 (ko) 확장형 다채널 전력측정 장치
JP6424547B2 (ja) 分電盤
KR200478588Y1 (ko) 스마트미터의 장착구조
KR101549713B1 (ko) 전력 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설물의 배전 설비
CN208537035U (zh) 高压非接触测温系统
GB2559391A (en) Bus bar assembly
AU2010246901B2 (en) Me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