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27A -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27A
KR20160001527A KR1020140080219A KR20140080219A KR20160001527A KR 20160001527 A KR20160001527 A KR 20160001527A KR 1020140080219 A KR1020140080219 A KR 1020140080219A KR 20140080219 A KR20140080219 A KR 20140080219A KR 20160001527 A KR20160001527 A KR 2016000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leaner
support shaft
pulle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배
이태연
강진호
김영록
김현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527A/ko
Publication of KR2016000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감겨 이동되는 벨트; 및 상기 제1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클리너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 중에서 하나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는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BELT CONVEYOR INCLDUING A BELT CLEANER}
본 발명은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벨트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벨트의 구동을 통해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철소에서 원료, 연료 등을 운송하는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를 구비하며, 운송물은 벨트에 적재되어 필요한 위치까지 운송되는데, 이러한 벨트에 적재된 운송물의 일부가 벨트에 잔류될 수 있다.
벨트에 잔류된 운송물은 벨트의 표면에 고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운송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잔류된 다른 운송물로 인하여 원료의 순도를 떨어뜨려 철광석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클리너가 사용되고 있으며, 벨트 클리너는 지지대 등에 고정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에 잔류한 운송물 등을 제거하는 블레이드 (또는 클리너 팁)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62694호(2010.6.10.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 설비에 구비되는 벨트 표면 클리닝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를 포함하며, 벨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벨트 클리너의 블레이드 (또는 클리너 팁)와 벨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 클리너를 구비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감겨 이동되는 벨트; 및 상기 제1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클리너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 중에서 하나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는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1 클리너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지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지지축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제1 지지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클리너 팁은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클리너 팁은 상기 벨트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1 지지축에 연결되며, 낙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제1 지지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지지축에 연결되며, 낙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제2 지지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배치된 제1 쉬이브 및 상기 제1 무게추와 연결된 제1 와이어; 및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배치된 제2 쉬이브 및 상기 제2 무게추와 연결된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무게추는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서 하락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무게추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서 상승 운동을 하며, 상기 구동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무게추는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서 상승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무게추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서 하락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는, 회전 운동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종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벨트 클리너는 제1 클리너 팁 및 제2 클리너 팁을 포함한다. 벨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 중 하나가 벨트에 접촉하여 잔류물을 제거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벨트 클리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벨트 클리너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클리너의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벨트 클리너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클리너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는 복수의 이송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비는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10),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20), 제1 이송 장치(30) 및 제2 이송 장치(40)를 포함한다.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10)는 각기 대응하는 벨트(13) 및 풀리들(11, 12)을 포함한다.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10)의 벨트(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벨트(13) 상에 위치하는 운송물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20)에 공급된다.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20)는 각기 대응하는 벨트(23) 및 풀리들(21, 22)을 포함한다.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20)의 벨트(23) 및 풀리들(21, 22)은 필요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만약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20)의 벨트(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운송물은 제1 하부 슈트(51)를 통해서, 제1 이송 장치(30)로 공급된다. 반면에,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20)의 벨트(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운송물은 제2 하부 슈트(52)를 통해서, 제2 이송 장치(40)로 공급된다.
한편, 제1 이송 장치(30) 및 제2 이송 장치(40)는 각기 대응하는 벨트 및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송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20)의 벨트(23) 및 풀리(21, 22)는 필요에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송물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 및 벨트 클리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벨트 클리너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클리너의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벨트 클리너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제1 풀리(110), 제2 풀리(120), 상기 제1 및 제2 풀리(110, 120)에 감겨 이동되는 벨트(130), 제1 풀리(110)를 둘러싸는 제1 슈트(140), 제2 풀리(120)를 둘러싸는 제2 슈트(150) 및 벨트 클리너(200)를 포함한다.
제1 풀리(110)와 제2 풀리(120)는 서로 쌍을 이루면,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풀리(110) 및 제2 풀리(120)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벨트(130)는 제1 및 제2 풀리(110, 120)에 감겨 무한궤도로 이동된다. 벨트(130)는 제1 및 제2 풀리(110, 120)가 회전됨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130) 상에 배치되는 운송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슈트(140) 및 제2 슈트(150)는 각기 대응하는 제1 풀리(110) 및 제2 풀리(120)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슈트(140) 및 제2 슈트(15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130) 상에서 이동하는 운송물을 아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벨트 클리너(200)는 지지부(210, 211), 클리너 팁(220, 222), 구동부(25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10)는 제1 풀리(11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 지지부(211)는 제2 풀리(12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즉,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11)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벨트(13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인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제1 지지부(210)는 제1 지지축(212), 제1 축 지지대(214) 및 제1 무게추(216)를 포함하고, 제2 지지부(211)는 제2 지지축(213), 제2 축 지지대(215) 및 제2 무게추(217)를 포함한다.
제1 축 지지대(214) 및 제2 축 지지대(215)는 각기 제1 슈트(140)와 제2 슈트(150)의 내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축 지지대(214) 및 제2 축 지지대(215)는 각기 제1 슈트(140) 및 제2 슈트(150)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축(212) 및 제2 지지축(213)은 각기 제1 축 지지대(214) 및 제2 축 지지대(215)에 의해서 지지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제1 무게추(216) 및 제2 무게추(217)는 각기 제1 지지축(212) 및 제2 지지축(213)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무게추(216) 및 제2 무게추(217)의 중력은, 제1 지지축(212) 및 제2 지지축(213)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게추(216)는 제1 지지축(2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할 수 있고, 제2 무게추(217)는 제2 지지축(21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토크를 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리너 팁(220, 222, 도 5 참조)는 제1 지지축(212)과 제2 지지축(2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클리너 팁(220, 222)이 벨트(130)와 접촉할 때, 벨트(130)에 잔류된 이송물을 긁어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제1 클리너 팁(220)과 벨트(130) 사이의 거리는 지지축(212, 213)의 회전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제1 지지축(2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았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리너 팁(220)과 벨트(130) 사이는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클리너 팁(220)은 벨트(130)에 잔류된 이송물을 제거할 수 없다.
반면에, 제1 무게추(216)는 제1 지지축(21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클리너 팁(220)는 벨트(130)의 표면에 접촉하여,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무게추(216)는 일정한 토크를 제1 지지축(212)에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클리너 팁(220)는 계속적으로 벨트(130)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50)는 모터(255), 복수 개의 기어(260, 265), 체인(270), 구동축(280), 복수의 쉬이브(285, 287, 295, 297), 복수의 와이어(290, 2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터(255)는 구동부(25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260)는 모터(255)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기어(26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종동 기어(265)는 체인(270)에 의해서 구동 기어(260)에 맞물려 있으며, 구동축(280)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28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모터(255)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280)의 단부에는 제1 쉬이브(285) 및 제2 쉬이브(287)가 각기 배치되어 있다. 제1 쉬이브(285) 및 제2 쉬이브(287)는 각기 제1 와이어(290) 및 제2 와이어(29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쉬이브(285, 287)는 구동축(280)의 회전운동을 제1 및 제2 와이어(290), 292)의 밀고 당기는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슈트(140, 150)의 외벽 상에 고정된 제3 쉬이브(295) 및 제4 쉬이브(297)는 각기 제1 및 제2 와이어(290, 292)의 진행방향을 아래쪽으로 변환한다. 또한, 제1 및 제2 와이어(290, 292)는 각기 제1 및 제2 무게추(216, 217)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와이어(290, 292)는 각기 구동축(280)의 단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쉬이브(285, 287)와 제1 및 제2 무게추(216, 217)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구동축(2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와이어(290)는 느슨해지고, 제2 와이어(292)는 긴장되어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290)에 연결된 제1 무게추(216)는 아래로 낙하하고, 제1 지지축(21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지지축(212)에 연결된 제1 클리너 팁(220)이 벨트(1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와이어(292)에 연결된 제2 무게추(217)는 위로 상승하고, 제2 지지축(21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지지축(213)에 연결된 제2 클리너 팁(222, 도 5 참조)이 벨트(13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축(212)과 제2 지지축(213)은 동일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하는 각도도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구동축(28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위에 설명한 것과 반대로, 제1 지지축(212) 및 제2 지지축(21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지지축(212)에 연결된 제1 클리너 팁(220)은 벨트(130)에서부터 떨어질 수 있고, 제2 지지축(213)에 연결된 제2 클리너 팁(222)은 벨트(13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축(212)과 제2 지지축(213)은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하는 각도도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장치와 벨트 클리너의 거리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구동축(28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클리너 팁(220)이 벨트(130)에 접촉하고, 제2 클리너 팁(222)이 벨트(130)에서부터 떨어진 것으로 도시한다. 반면에, 도 5(b)는 구동축(28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클리너 팁(220)이 벨트(130)로부터 떨어지고, 제2 클리너 팁(222)이 벨트(130)에 접촉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벨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벨트 클리너의 배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양쪽에 배치된 제1 및 제2 클리너 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벨트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된 클리너 팁이 벨트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벨트 컨베이어 장치
20: 제2 벨트 컨베이어 장치
30: 제1 이송 장치
40: 제2 이송 장치
51: 제1 하부 슈트
52: 제2 하부 슈트
110: 제1 풀리
120: 제2 풀리
130: 벨트
140: 제1 슈트
150: 제2 슈트
200: 벨트 클리너
210: 제1 지지부
211: 제2 지지부
212: 제1 지지축
213: 제2 지지축
214: 제1 축 지지대
215: 제2 축 지지대
216: 제1 무게추
217: 제2 무게추
250: 구동부
255: 모터
260: 구동 기어
265: 종동 기어
270: 체인
280: 구동축
285: 제1 쉬이브
287: 제2 쉬이브
290: 제1 와이어
292: 제2 와이어

Claims (7)

  1.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감겨 이동되는 벨트; 및
    상기 제1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풀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클리너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리너 팁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 중에서 하나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가 상기 벨트로부터 이격되는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1 클리너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클리너 팁을 지지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제2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지지축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고,
    상기 제1 지지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클리너 팁은 상기 벨트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클리너 팁은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1 지지축에 연결되며, 낙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제1 지지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2 지지축에 연결되며, 낙하 운동을 할 때 상기 제2 지지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배치된 제1 쉬이브 및 상기 제1 무게추와 연결된 제1 와이어; 및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배치된 제2 쉬이브 및 상기 제2 무게추와 연결된 제2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무게추는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서 하락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무게추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서 상승 운동을 하며,
    상기 구동축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무게추는 상기 제1 와이어에 의해서 상승 운동을 하고, 상기 제2 무게추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서 하락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는,
    회전 운동의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종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 및 상기 종동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20140080219A 2014-06-27 2014-06-27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20160001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19A KR20160001527A (ko) 2014-06-27 2014-06-27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219A KR20160001527A (ko) 2014-06-27 2014-06-27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27A true KR20160001527A (ko) 2016-01-06

Family

ID=5516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219A KR20160001527A (ko) 2014-06-27 2014-06-27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6465A (zh) * 2016-12-27 2017-04-26 重庆良能机械有限公司 能够利用废料的椰棕板处理装置
KR20190072246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물 제거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86465A (zh) * 2016-12-27 2017-04-26 重庆良能机械有限公司 能够利用废料的椰棕板处理装置
KR20190072246A (ko) * 2017-12-15 2019-06-25 주식회사 포스코 부착물 제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877B1 (ko) 롤러 선별장치
KR20150131739A (ko)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KR20160001527A (ko)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2087813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US636762A (en) Screen conveyer.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KR1013575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부착광 처리장치
KR20160047941A (ko) 컨베이어 장치
JP4792364B2 (ja) 基板搬送装置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20130110463A (ko) 이송물 운반장치
KR20130046568A (ko) 벨트 컨베이어용 청소장치
KR20130013619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EP3733570A1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JP6496283B2 (ja) ケーブル送り出し装置
KR20160014398A (ko) 부착물제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JP4894280B2 (ja) スクレーパ装置
KR20130088389A (ko) 이송물 낙하 조절장치
JP6902593B2 (ja) 仕分装置
JP6459742B2 (ja) 基板移送装置
JP3196216U (ja) 収穫玉葱処理装置
CN212830909U (zh) 一种陶瓷生产加工用夹取装置
JP6173051B2 (ja) 物品仕分装置
JP7398674B2 (ja) 基板剥離装置および基板剥離システム
KR101432241B1 (ko) 탈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