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96U -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 Google Patents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96U
KR20160001496U KR2020140007850U KR20140007850U KR20160001496U KR 20160001496 U KR20160001496 U KR 20160001496U KR 2020140007850 U KR2020140007850 U KR 2020140007850U KR 20140007850 U KR20140007850 U KR 20140007850U KR 20160001496 U KR20160001496 U KR 201600014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canvas
hole
coupl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운상
Original Assignee
유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운상 filed Critical 유운상
Priority to KR2020140007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496U/ko
Publication of KR20160001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4Easels or stand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젤의 중앙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이동수직홈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캔버스받침대와 연결되는 결합부와, 캔버스받침대의 이동벽의 후방에 중앙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안내돌기와, 상하부안내돌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앙지지프레임의 양측을 의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좌우로 유동되지않도록 하며,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이탈되지않고 중앙지지프레임의 상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에 캔버스,화판,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을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캔버스, 화판에 안정적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캔버스받침대상에서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Equipped with a canvas easel stand wit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escape prevention}
본 고안은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좌우로 유동되지않도록 하며,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이탈되지않고 중앙지지프레임의 상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에 캔버스,화판,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을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캔버스, 화판에 안정적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캔버스받침대상에서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젤은 통상 화판 또는 캔버스를 거치하거나 사진, 그림, 메뉴용 칠판이나 안내판 등을 거치하여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이젤(1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프레임(12)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 및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캔버스받침대(13)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후면부에 결합수단(14)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캔버스받침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2a-1)에 결합볼트(12b-1)의 머리부분을 끼운 후, 이 결합볼트(12b-1)의 타측 나사부에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 통공된 끼움공에 끼운 다음에, 결합너트(13a-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캔버스받침대(13)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도록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일면에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조절하여 체결한 후, 사용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회화용 이젤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후면지지프레임(15)을 접어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이 후면프레임(15)을 펼치어 4개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회화용 이젤이 지지되도록 한 후, 화판이나 캔버스 등을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 올려 놓고 그림을 그리거나,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등을 안착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회화용 이젤은, 상기 사진액자, 화판이나 캔버스 등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기 캔버스받침대(113)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에 상기 결합볼트(12b-1)와 상기 결합너트(13a-1)만을 이용하여 체결됨에 따라 캔버스 또는 화판이 안착된 상기 캔버스받침대(13)가 좌 또는 우로 치우치는 현상에 의해 사용자가 그림을 그림에 있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안착된 그림, 메뉴용 칠판, 사진액자가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서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심지어 상기 캔버스받침대(13)상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캔버스받침대(113)의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볼트(12b-1)와 상기 결합너트(13a-1)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 전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상기 캔버스받침대(13)가 상기 결합볼트(12b-1)와 상기 결합너트(13a-1) 이외에는 별다른 지지수단이 없음에 따라 사용자가 그림을 그리는 도중,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 안치되어 지지되는 사진액자, 캔버스나 화판이 좌 또는 우로 치우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써 그려진 그림을 훼손하는 경우와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 상기 캔버스받침대(11)에서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사진액자가 상기 캔버스받침대(11)에서 이탈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이젤의 중앙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이동수직홈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캔버스받침대와 연결되는 결합부와, 캔버스받침대의 이동벽의 후방에 중앙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안내돌기와, 상하부안내돌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앙지지프레임의 양측을 의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좌우로 유동되지않도록 하며,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이탈되지않고 중앙지지프레임의 상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에 캔버스,화판,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을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캔버스, 화판에 안정적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캔버스받침대상에서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절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프레임(12)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 및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캔버스받침대(13)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후면부에 결합수단(14)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15)으로 구성된 이젤(10)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수직홈(12a)과; 상기 이동수직홈(12a)에 삽입된 이동판(21)과, 상기 이동판(21)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산(n)이 형성된 연결구(22)로 구성된 이동부(20)와;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받침대(13a)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벽(13b)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c)에 관통삽입된 상기 연결구(22)의 상기 나사산(n)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공(31)을 갖는 결합부(30)와; 상기 이동벽(13b)의 상기 관통공(13c) 상,하부에 상,하부안내돌기(40a,40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안내돌기(40a,40b)의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양측면을 의지하여 이동되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상부후방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지지대(16)와, 상기 수평지지대(16)의 전방면 중앙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51)와, 양 상기 결합구(51)의 사이에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상부가 결합되고, 양 상기 결합구(51)와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힌지(h)와, 양 상기 결합구(51)에 형성된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나사공(53)과,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일치되도록 상부결합공(54a)이 상부에 형성된 회동조절편(55)과,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상부결합공(54a)에 결합되는 볼트(b)와,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일치도록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공(54b)과,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상기 하부결합공(54b)에 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나사통공(52)의 외측둘레에 결합돌기(5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52a)에는 다수개의 요홈(5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젤의 중앙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이동수직홈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캔버스받침대와 연결되는 결합부와, 캔버스받침대의 이동벽의 후방에 중앙 상하부에 형성된 상하부안내돌기와, 상하부안내돌기의 양측에 형성되어 중앙지지프레임의 양측을 의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좌우로 유동되지않도록 하며,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상에서 이탈되지않고 중앙지지프레임의 상하부로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캔버스받침대가 중앙지지프레임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캔버스받침대에 캔버스,화판,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을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캔버스, 화판에 안정적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캔버스받침대상에서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좌우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양 지지프레임과 중앙지지프레임의 상부후방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지지대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와, 양 결합구에 형성된 결합나사통공의 외측둘레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결합돌기를 갖는 결합나사통공에 일치되어 결합되는 회동조절편의 상부결합공에 볼트가 결합되면, 상기 볼트의 결합몸체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결합나사통공에 결합시 상기 볼트의 머리부 일면이회동조절편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고, 회동조절편의 타면이 결합돌기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회동조절편의 반복회동운동으로 인한 볼트가 결합나사통공에서 이탈되지 않아서, 회동조절편으로 연결되는 중앙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면지지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여 후면지지프레임의 유동으로 인한 상기 이젤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젤에 구성된 캔버스받침대와 중앙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받침대와 중앙지지프레임의 개략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받침대와 중앙지지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후면지지프레임과 회동조절편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돌기를 갖는 결합나사통공과 회동조절편과 후면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도록 분리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와 결합돌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받침대와 중앙지지프레임의 개략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받침대와 중앙지지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지지대와 후면지지프레임과 회동조절편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돌기를 갖는 결합나사통공과 회동조절편과 후면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도록 분리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와 결합돌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통상적인 이젤(10)은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 상기 지지프레임(11) 및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캔버스받침대(13)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후면부에 결합수단(14)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1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젤(10)의 상기 캔버스받침대(13)에 상,하부안내돌기(40a,40b)와, 이탈방지돌기(4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캔버스받침대(13)는 받침대(13a)와, 상기 받침대(13a)의 후방에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이동벽(13b)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벽(13b)의 중앙에 관통공(13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수직홈(12a)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직홈(12a)에 삽입된 이동판(21)과, 상기 이동판(21)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산(n)이 형성된 연결구(22)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13c)에는 상기 연결구(22)가 관통삽입되고 상기 연결구(22)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31)을 갖는 결합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연결구(22)에서 분리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캔버스받침대(13)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상에서 고정 또는 이탈 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캔버스받침대(13)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상에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상기 이동벽(13b)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3c) 상,하부에 상,하부안내돌기(40a,40b)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안내돌기(40a,40b)의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양측면을 의지하여 이동되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안내돌기(40a)의 양측에 상기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벽(13b)의 상부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양측에 의지하여 상,하로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안돌기(40b)의 양측에 상기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벽(13b)의 하부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양측에 의지하여 상,하로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하여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상기 받침대(13a)에 캔버스, 화판을 안착시켜 그림을 그릴때, 상기 캔버스받침대(13)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상에서 좌,우로 기울어져 그림을 제대로 그릴수 없는 불편을 함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과 같은 것을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상기 받침대(13a)에 안착하여 상기 이젤(10)을 장식용으로 사용할때, 상기 캔버스받침대(13)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상에서 좌,우로 기울어져 상기 사진액자, 그림, 메뉴용 칠판이 기울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이젤(10)의 구성인 양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상부후방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지지대(16)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16)의 전방면 중앙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51)로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구(51)의 사이에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상부가 결합되고, 양 상기 결합구(51)와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힌지(h)로 구성된다.
양 상기 결합구(51)에 형성된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나사공(53)과,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일치되도록 상부결합공(54a)이 상부에 형성된 회동조절편(55)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상부결합공(54a)에 결합되는 볼트(b)와,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일치도록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공(54b)과,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상기 하부결합공(54b)에 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나사통공(52)의 외측둘레에 결합돌기(52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나사통공(52)에 상기 결합돌기(52a)가 형성하는 것은
상기 결합돌기(52a)를 갖는 상기 결합나사통공(52)에 일치되어 결합되는 상기 회동조절편(55)의 상기 상부결합공(54a)에 상기 볼트(b)가 결합되면, 상기 볼트(b)의 결합몸체부(b1)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결합나사통공(52)에 결합시 상기 볼트(b)의 머리부(b2) 일면이 상기 회동조절편(55)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고,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타면은 상기 결합돌기(52a)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회동조절편(55)이 반복회동운동으로 인한 상기 볼트(b)가 상기 결합나사통공(52)에서 이탈되지 않아서, 상기 회동조절편(55)으로 연결되는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과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유동으로 인한 상기 이젤(1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52a)에는 다수개의 요홈(52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요홈(52b)을 상기 결합돌기(52a)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볼트(b)의 일면이 상기 회동조절편(55)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고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타측면은 상기 결합나사통공(52)의 상기 결합돌기(52a)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시, 상기 결합돌기(52a)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요홈(52b)과 상기 요홈(52b)의 사이가 상기 볼트(b)의 회전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볼트(b)의 일면이 상기 회동조절편(55)의 일면에 긴밀하게 좀더 접촉되고,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타면은 좀더 상기 요홈(52b)이 아닌 상기 결합돌기(52a)의 일면에 긴밀하게 접촉고정되어 상기 결합나사통공(52)에 결합된 상기 볼트(b)가 풀리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이젤 11: 지지프레임 12: 중앙지지프레임 12a: 이동수직홈 13: 캔버스받침대 13a: 받침대 13b: 이동벽 13c: 관통공 14: 결합수단 15: 후면지지프레임 16: 수평지지대 20: 이동부 21: 이동판 22: 연결구 30: 결합부 31: 나사공 40a: 상부안내돌기 40b: 하부안내돌기 51: 결합구 52: 결나사통공 52a: 결합돌기 52b: 요홈 53: 결합나사공 54a: 상부결합공 54b: 하부결합공 55: 회동조절편 b: 볼트 h: 힌지 n: 나사산

Claims (4)

  1.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지지프레임(12)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11) 및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캔버스받침대(13)와,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후면부에 결합수단(14)에 의해 결합되는 후면지지프레임(15)으로 구성된 이젤(10)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수직홈(12a)과;
    된 이동판(21)과, 상기 이동판(21)의 중앙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산(n)이 형성된 연결구(22)로 구성된 이동부(20)와;
    상기 캔버스받침대(13)의 받침대(13a)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벽(13b)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3c)에 관통삽입된 상기 연결구(22)의 상기 나사산(n)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공(31)을 갖는 결합부(30)와;
    상기 이동벽(13b)의 상기 관통공(13c) 상,하부에 상,하부안내돌기(40a,40b)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안내돌기(40a,40b)의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양측면을 의지하여 이동되도록 이탈방지돌기(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2. 제 1항에 있어서,
    양 상기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중앙지지프레임(12)의 상부후방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지지대(16)와, 상기 수평지지대(16)의 전방면 중앙에 복수개로 설치된 결합구(51)와, 양 상기 결합구(51)의 사이에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상부가 결합되고, 양 상기 결합구(51)와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힌지(h)와, 양 상기 결합구(51)에 형성된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후면지지프레임(15)의 양측에 결합나사공(53)과,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일치되도록 상부결합공(54a)이 상부에 형성된 회동조절편(55)과, 상기 결합나사통공(52)과 상기 상부결합공(54a)에 결합되는 볼트(b)와,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일치되도록 상기 회동조절편(55)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공(54b)과, 상기 결합나사공(53)과 상기 하부결합공(54b)에 결합되는 볼트(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나사통공(52)의 외측둘레에 결합돌기(5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52a)에는 다수개의 요홈(5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KR2020140007850U 2014-10-29 2014-10-29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KR201600014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50U KR20160001496U (ko) 2014-10-29 2014-10-29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50U KR20160001496U (ko) 2014-10-29 2014-10-29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96U true KR20160001496U (ko) 2016-05-11

Family

ID=5602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50U KR20160001496U (ko) 2014-10-29 2014-10-29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4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82A (ko) * 2017-07-18 2019-01-28 이무상 넉다운 붙박이장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82A (ko) * 2017-07-18 2019-01-28 이무상 넉다운 붙박이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5340U (ja) 移動式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
JP6441496B2 (ja) イーゼル
CN201707535U (zh) 照相机支架
JP2010139965A (ja) 多機能ボード用プロジェクターハンガー及びそれを備えた多機能ボード
JP2011071972A (ja) 薄型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板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TWM620642U (zh) 用於周邊裝置之安裝座
JP2011116081A (ja) 薄型モニターを備えたボード
CN105351694A (zh) 一种显示装置
KR20160001496U (ko) 상,하부안내돌기와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캔버스받침대를 구비한 이젤
US9930964B2 (en) Shelf
KR201800716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3093B1 (ko) 승하강식 칠판
US10791854B2 (en) Bracket and display device
JP4444137B2 (ja) システムラック
BR102013033029A2 (pt) Dispositivo mostrador
KR20120060567A (ko) 2단 높이 조절 받침대
JP2007272097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プロジェクタの吊下げ装置
CN210219135U (zh) 一种玩具教学投影设备
KR200483774Y1 (ko) 유희용 키높이 농구대
KR10178800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및 벽걸이 겸용 장착유닛
CN205812202U (zh) 一体化激光电视
JP5190007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
JP3207904U (ja) プロジェクタースタンド
WO2009004992A1 (ja) 支持脚付きプロジェクタ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