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37U -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 Google Patents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37U
KR20160001337U KR2020160001989U KR20160001989U KR20160001337U KR 20160001337 U KR20160001337 U KR 20160001337U KR 2020160001989 U KR2020160001989 U KR 2020160001989U KR 20160001989 U KR20160001989 U KR 20160001989U KR 20160001337 U KR20160001337 U KR 201600013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arrier rib
branch
breaker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620Y1 (ko
Inventor
이관희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이관희
이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희, 이재일 filed Critical 이관희
Priority to KR2020160001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2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38Electromagnetic mechanisms wherein the magnet coil also acts as arc blow-o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전류의 차단에 의해 방출되는 도전성 아크 가스의 차단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주전원차단기; 상기 주전원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선부스바; 상기 주전원차단기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거나 또는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차단기; 및 상기 모선부스바와 상기 분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자선부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차단기는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인접한 분기차단기 측에 연결된 상기 자선부스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BRANCHING CIRCUIT BREAKER FORMED CUTTING PARTITION AND DISTRIBUTION BOARD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분기차단기 및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전류의 차단에 의해 방출되는 도전성 아크 가스의 차단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베이스 패널에 주전원차단기와 보조전원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의 각종 차단기가 설치되고 그 차단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건물 등의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건물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분전반에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동판과 같은 두꺼운 판재로 이루어진 부스바(Bus bar)가 사용된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은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96857호로서, 선행기술문헌은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3상의 부스 바(210)와; 상기 3상의 부스 바에 플러그식으로 결합하는 MCCB 장착대(300); 및 상기 MCCB 장착대에 플러그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부스 바와 전기적 접속을 하는 배선용 차단기(100);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최근 분기차단기의 외형크기는 그대로이지만 차단전류의 증가로 인해, 분기차단기가 단락전류를 차단하면서 방출하는 아크 가스의 분출량이 커져 접하고 있는 이웃 분기차단기로 확산되어 대형사고로 번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번호: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96857호 특허명칭: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이웃한 분기차단기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이 상부에 형성된 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착탈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격벽은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인접한 분기차단기 측에 연결된 자선부스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차단격벽은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 최우측에 형성되는 제1 차단격벽;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 최좌측에 형성되는 제2 차단격벽; 및 상기 제1 차단격벽과 상기 제2 차단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차단격벽을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격벽 및 제2 차단격벽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요철을 포함하되, 상기 오목요철의 형상은 사각형 또는 세모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단격벽 내지 상기 제3 차단격벽은 절연재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차단격벽 내지 상기 제3 차단격벽의 전면부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주전원차단기; 상기 주전원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선부스바; 상기 주전원차단기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거나 또는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차단기; 및 상기 모선부스바와 상기 분기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자선부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차단기는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인접한 분기차단기 측에 연결된 상기 자선부스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기차단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분기차단기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분기차단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분기차단기가 단락전류를 차단하면서 방출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가 인접한 분기차단기로 확산되어 대형사고로 번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전기누전에 의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구비된 분기차단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상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하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좌측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우측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9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고안의 기본 원리는 분전차단기에 연면 길이가 길도록 오목요철(홈)이 형성된 차단격벽을 구비하여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크 가스는 전극을 접촉시켜서 강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극의 선단은 접촉저항에 의해 과열되고, 전극이 증발하여 금속의 증기를 발생하여 방전한다. 이 상태를 아크 방전이라 하며, 이때 발생하는 가스가 아크 가스며, 이 아크 가스에는 도전성이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100)은 주전원차단기(110), 모선부스바(120), 분기차단기(130), 및 자선부스바(14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를 구비하는 분전반(100)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주전원차단기(110)가 개시된다.
주전원차단기(1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으며, 상기 분기차단기(130)는 주전원차단기(110)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거나 또는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한다. 분기차단기(130)는 주전원차단기(110)로부터 전원을 분배받아 출력하는 보조전원차단기와, 누전 시 분배받은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상기 모선부스바(120)는 주전원차단기(110)에 결합되어 주전원차단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선부스바(140)는 모선부스바(120)와 분기차단기(130)에 각각 결합되어 모선부스바(120)와 분기차단기(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분기차단기(130)에는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를 상기 분기차단기(130) 측에 연결된 상기 자선부스바(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을 구비한다. 이 차단격벽은 다음의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이 구비된 분기차단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130)는 차단격벽(131), 전면 케이스(132), 및 후면 케이스(133)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13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기차단기(130)의 전면에는 전면 케이스(132)가 구비되고,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에는 차단격벽(131)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단격벽(131)은 제1 차단격벽(131a), 제2 차단격벽(131b) 및 제3 차단격벽(131c)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제1 차단격벽(131a)은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 최우측에 구비되며, 여기서 전면 케이스(132) 상부는 자선부스바(140)와 체결되어 전압을 인가받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차단격벽(131b)은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 최좌측에 구비된다. 한편, 제1 차단격벽(131a)과 제2 차단격벽(131b)의 사이에는 제3 차단격벽(131c)을 더 구비하여 분기차단기(130)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차단격벽(131a)과 제2 차단격벽(131b)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요철(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요철(A)이 구비되는 이유는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 沿面距離)를 길게 하기 위함이다. 연면 거리란 불꽃 방전을 일으키는 두 전극 간 거리를 고체 유전체의 표면을 따라서 그 최단거리로 나타낸 값으로서 방전되는 전류는 연면 거리가 길수록 차단격벽(131)의 표면을 더 길게 따라서 흐르게 됨으로써 소멸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차단격벽(131a)과 제2 차단격벽(131b)의 내측면에 하나의 오목요철(홈)(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차단격벽이 구비되고, 이 차단격벽의 내외측에 네모 오목요철 형상, 세모 오목요철 형상, 둥근 오목요철 형상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제3 차단격벽(131c)에도 오목요철을 구비하여 아크 전류를 보다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즉,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13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며, 도 5는 상면도이고, 도 6은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130)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8은 우측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차단격벽(131)이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에 형성되되 일체형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으나, 차단격벽(131)이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에 체결되도록 전면 케이스(132)의 상부에 레일(미도시)과 같은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면 케이스(132)는 전면에 스크류(screw) 홀(hole) h1 내지 h4를 구비하여 스크류를 조임으로서 후면 케이스(133)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32)는 후면 케이스(133)에 내장된 차단스위치(S)가 전면으로 돌출하도록 스위치 홈(sh)도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기차단기(130)는 자선부스바(140)로부터 전압이 입력되고, R과 N 자선부스바(140)의 사이에 제3 차단격벽(131c)이 구비된다. 따라서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가 R과 N 자선부스바(140)로 영양을 미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제1 및 제2 차단격벽(131a, b)에 구비된 오목요철에 의해 연면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전류의 흐름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분기차단기(130)에 적어도 하나의 차단격벽(131)을 형성함으로써, 분기차단기(130)의 단락전류 차단에 의해 발생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를 용이하게 차단하고, 분기차단기(130)가 단락전류를 차단하면서 방출하는 도전성 아크 가스에 의해, 인접한 분기차단기로 확산되어 대형사고로 번지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분전반 110: 주전원차단기 120: 모선부스바
130: 분기차단기 140: 자선부스바 131: 차단격벽
131a: 제1 차단격벽 131b: 제2 차단격벽 131c: 제3 차단격벽

Claims (1)

  1. 분전반에서 사용되는 분기차단기에 있어서,
    전면 케이스; 및
    상기 전면 케이스와 착탈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차단격벽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차단격벽은 절연재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차단격벽은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 최우측에 형성되는 제1 차단격벽;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 최좌측에 형성되는 제2 차단격벽; 및
    상기 제1 차단격벽과 상기 제2 차단격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차단격벽을 포함하며,
    단락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 가스가 인접한 분기차단기 측에 연결된 자선부스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 차단격벽 내지 상기 제3 차단격벽의 양측에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요철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상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차단격벽 내지 상기 제3 차단격벽은 또한,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전면 케이스의 전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으로부터 상기 전면 케이스의 후단부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인, 분기차단기.
KR2020160001989U 2016-04-12 2016-04-12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KR200481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9U KR200481620Y1 (ko) 2016-04-12 2016-04-12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89U KR200481620Y1 (ko) 2016-04-12 2016-04-12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25U Division KR20150003105U (ko) 2014-11-07 2014-11-07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7U true KR20160001337U (ko) 2016-04-25
KR200481620Y1 KR200481620Y1 (ko) 2016-10-21

Family

ID=5591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89U KR200481620Y1 (ko) 2016-04-12 2016-04-12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2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698A (ja) * 1999-03-16 2000-09-29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KR20060063418A (ko) * 2004-12-07 2006-06-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형억제부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JP2010027334A (ja) * 2008-07-17 2010-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100996857B1 (ko)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148796B1 (ko) * 2010-12-31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8698A (ja) * 1999-03-16 2000-09-29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KR20060063418A (ko) * 2004-12-07 2006-06-1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변형억제부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JP2010027334A (ja) * 2008-07-17 2010-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
KR100996857B1 (ko)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101148796B1 (ko) * 2010-12-31 2012-05-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명칭: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20Y1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25383T3 (es) Regleta de bornes alineados.
AU2005211526B2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conductor fuse
FR2803686B1 (fr) Pole pour disjoncteur electrique, muni d'une chambre d'extinction d'arc a ecrans dielectriques
WO2006018513A3 (fr) Dispositif d ' extinction d ' arcs electriques pour, en particulier, un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surtensions
ES2759727T3 (es) Dispositivo interruptor de desconexión por fusible de perfil bajo
KR101130309B1 (ko) 분전반
US9088155B2 (en) Surge protection device
KR200481620Y1 (ko)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US20160189905A1 (en) Protection Device Employing Current Limiting Fuse and Vacuum Fuse
KR101728496B1 (ko)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KR101639707B1 (ko) 일체형 아크가스 차단부를 구비하는 분기차단기
US11309155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20150003105U (ko) 차단격벽이 형성된 분기차단기 및 이를 구비하는 분전반
US20050063118A1 (en) Multipole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liable operation of a multipole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EP1130683A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RU200512292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аварий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дуги системы сборных шин
KR101503319B1 (ko) 차단기용 단자 커버
US2524004A (en) Fuse block and receptacle mounted on bus bars
KR102314182B1 (ko) 분전반
JP6433336B2 (ja) 分電盤
US8004384B2 (en) Fused load interrupter, switchgear system, and adapter part
CN220963199U (en) Direct current switch seat with fuse
ES2674136T3 (es) Aparato eléctrico en formato modular
JPH0625853Y2 (ja) 分電盤の分岐回路しや断器装置
KR100832329B1 (ko) 기중차단기의 아크런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