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04U - 방한용 덮개 - Google Patents

방한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04U
KR20160001204U KR2020140007202U KR20140007202U KR20160001204U KR 20160001204 U KR20160001204 U KR 20160001204U KR 2020140007202 U KR2020140007202 U KR 2020140007202U KR 20140007202 U KR20140007202 U KR 20140007202U KR 20160001204 U KR20160001204 U KR 201600012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ir
side walls
weatherproof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20140007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204U/ko
Publication of KR20160001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방한용 덮개가 개시된다. 상기 방한용 덮개는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온커버; 및 상기 보온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탄성심재를 포함하는 방한용 덮개로서, 상기 보온커버는, 뺨 또는 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방한부;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아래로 연장되어 코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 방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심재는 상기 제1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 상기 연결부의 내측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보온커버의 형상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한용 덮개{COVER FOR PROTECTING AGAINST THE COLD}
본 고안은 방한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에 착용하여 귀 및 코를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한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평균기온이 영하를 유지하고 있어 신체적인 추위를 견디기 위해 방한 옷을 입거나 방한화를 착용하게 되고, 장갑을 사용하여 손을 보호하게 되고 얼굴은 모자를 착용하거나 얼굴에서 가장 추위를 많이 느끼는 입과 코 부분은 마스크를 착용하며, 귀는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하여 주므로서 추위로부터 사람의 모든 신체의 체온유지를 시켜줄 수 있는 일상적인 생활용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겨울철에는 입과 코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귀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마스크 및 방한용 귀마개를 휴대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한편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는 입과 귀를 모두 덮게 되므로 호흡이 어렵고,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코와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 마스크의 내면에 지속적으로 습기가 차게 되고, 이에 의해 마스크가 얼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얼굴 정면에 착용하여 귀 및 코를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귀 및 코를 덮어 보호하되 입은 노출되므로 호흡에 장애가 없고, 규격에 따라 사용자의 코만을 덮어 보호할 수 있으므로 귀를 덮을 수 있는 모자를 쓰는 경우에 불편함 없이 얼굴에 착용하여 코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한용 덮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온커버; 및 상기 보온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탄성심재를 포함하는 방한용 덮개로서, 상기 보온커버는, 뺨 또는 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방한부;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아래로 연장되어 코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 방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심재는 상기 제1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 상기 연결부의 내측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보온커버의 형상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덮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는 상기 방한용 덮개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쪽 귀를 덮을 수 있는 거리로 상기 제2 방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는 상기 방한용 덮개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쪽 뺨을 덮을 수 있는 거리로 상기 제2 방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한용 덮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보온커버(110) 및 탄성심재(120)를 포함한다.
보온커버(110)는 한 쌍의 제1 방한부(111), 연결부(112) 및 제2 방한부(11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방한부(111)는 방한용 덮개(100)를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1 방한부(111)는 귀를 덮을 수 있는 지름을 갖는 원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방한부(111)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을 이룬다. 각각의 제1 방한부(111)의 이격된 거리는 사용자의 얼굴의 양쪽 귀가 이격된 거리보다 좁은 거리로 이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방한부(111)의 크기 및 이격된 거리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또는 성인인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연결부(112)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방한부(111)를 연결한다. 즉, 연결부(112)는 한 쌍의 제1 방한부(11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한부(111)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하나의 제1 방한부(111)의 둘레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112)는 각각의 제1 방한부(111)로부터 멀어지면서 점차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제2 방한부(113)는 연결부(112)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제2 방한부(113)는 연결부(112)의 가운데에서 연결부(112)의 하단부 아래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2 방한부(113)는 제2 방한부(113)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연장부()의 아래로 볼록하고, 제2 방한부(113)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으로 볼 때 제2 방한부(113)의 단면 형상은 'ㄴ'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 방한부(113)의 단면 형상의 아랫면에는 복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온커버(110)는 보온이 가능한 소재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섬유일 수 있다. 또는 부드럽고 통풍 가능한 쿨(cool)소재일 수 있다.
탄성심재(120)는 보온커버(110)의 내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보온커버(110)의 형상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킨다. 탄성심재(120)는 와이어 형태이고, 예를 들면, 형상 복원이 가능한 금속소재이거나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사용자의 얼굴 정면에서 착용한다. 즉, 사용자는 한 쌍의 제1 방한부(111)의 앞에 연결부(112) 및 제2 방한부(113)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손으로 한 쌍의 제1 방한부(111)를 잡은 후 각각의 제1 방한부(111) 사이를 벌려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가져간다. 이때, 각각의 제1 방한부(111)는 사용자의 양측 귀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제2 방한부(113)는 사용자의 코의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제1 방한부(111)가 사용자의 귀를 덮은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손으로 잡고 있던 각각의 제1 방한부(111)를 놓으면, 각각의 제1 방한부(111)는 귀를 덮고 제2 방한부(113)는 사용자의 코를 덮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
이때, 제2 방한부(11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ㄴ'자 형상을 이루어 볼록하므로 콧등으로부터 콧구멍까지 덮게 된다. 그리고 콧구멍을 덮는 부분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므로 코를 통한 호흡에 장애가 없다.
또한 연결부(11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방한부(111)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감소하므로 연결부(112)는 사용자의 눈 및 코 주변으로만 위치하며, 따라서 연결부(112)는 사용자의 입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착용된 방한용 덮개는 탄성심재(12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착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사용자의 얼굴에 간단히 착용하여 사용자의 귀 및 코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를 이용하면 귀 및 코를 동시에 덮어서 귀 및 코를 추위로부터 보호하므로 귀의 보온을 위한 귀마개 및 코의 보온을 위한 마스크를 각각 착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은 노출되지만 입은 반복적인 호흡 및 말을 하는 것에 의해 근육이 항시 움직이게 되므로 실제로 추위를 크게 느끼지 못함에 따라 입을 덮지 않는 것에 큰 문제가 없으며, 입이 노출된 상태이므로 호흡 및 말을 하는 것에 불편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겨울철에 휴대하여 귀 및 코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방한 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고, 오토바이 및 자전거를 타는 경우 착용하면 매연의 흡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얼굴에 착용한 상태에서 입은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안경을 쓰고 방한용 덮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을 통해 호흡하는 경우 안경 렌즈 표면에 발생되는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는 보온커버(110)가 쿨 소재인 경우, 사계절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방한용 덮개(200)는 사용자의 뺨에 지지되어 코만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제1 방한부(211)는 방한용 덮개(200)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쪽 뺨을 덮을 수 있는 거리로 제2 방한부(213)로부터 이격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2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와 비교하였을 때, 한 쌍의 제1 방한부(211)의 크기 및 연결부(212)의 연장된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200)의 착용 과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100)와 유사하며, 다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200)의 경우 한 쌍의 제1 방한부(211)는 사용자의 양쪽 뺨을 덮어 지지된다. 이때, 제2 방한부(213)는 사용자의 코를 덮는다. 이러한 모습은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한용 덮개(200)는 사용자의 코를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귀를 덮을 수 있는 모자를 쓰게 되는 경우, 코는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방한용 덮개를 착용하여 코를 덮어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제1 방한부(211)는 사용자의 양쪽 뺨에 위치하게 되므로 모자를 쓰는 것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자를 쓴 상태에서 자유롭게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섬유재로 이루어진 보온커버; 및 상기 보온커버의 내측에 구비된 탄성심재를 포함하는 방한용 덮개로서,
    상기 보온커버는,
    뺨 또는 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제1 방한부;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 중 어느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나머지 하나의 제1 방한부의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 아래로 연장되어 코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2 방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심재는 상기 제1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 상기 연결부의 내측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방한부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보온커버의 형상을 탄성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는 상기 방한용 덮개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쪽 뺨을 덮을 수 있는 거리로 상기 제2 방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방한부는 상기 방한용 덮개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쪽 귀를 덮을 수 있는 거리로 상기 제2 방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덮개.
KR2020140007202U 2014-10-02 2014-10-02 방한용 덮개 KR201600012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02U KR20160001204U (ko) 2014-10-02 2014-10-02 방한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02U KR20160001204U (ko) 2014-10-02 2014-10-02 방한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04U true KR20160001204U (ko) 2016-04-12

Family

ID=5579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02U KR20160001204U (ko) 2014-10-02 2014-10-02 방한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2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80A (ko) * 2020-05-08 2021-11-17 이원석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680A (ko) * 2020-05-08 2021-11-17 이원석 조임 조절이 가능한 귀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844B2 (ja) 機能性マスク
US3478365A (en) Protective helmet for babies
KR101773856B1 (ko) 마스크
KR100920511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140026284A1 (en) Swimmer's headband
KR20110112476A (ko) 시야가림 방지용 모자
KR101930511B1 (ko) 내외면 겸용 사용이 가능한 넥워머
US6976275B1 (en) Protective ear shield
KR20160001204U (ko) 방한용 덮개
US7310827B2 (en) Splash guard
KR200428284Y1 (ko) 마스크
WO2007017751A1 (en) A lens for marks and goggles
CN209300312U (zh) 一种儿童玩耍用的护面罩
KR20220022860A (ko) 스포츠 마스크
KR20110038755A (ko) 시야가림 방지용 모자
KR20090090701A (ko) 슬라이딩 어깨 보호대
KR101885965B1 (ko) 유해광 차단 마스크
KR20090131315A (ko) 마스크를 착용하기 편리한 안경의 렌즈구조
KR20190000294U (ko) 자해방지용 헬멧
KR20220042832A (ko) 안면마스크
KR200479708Y1 (ko) 방한용 모자
KR200470709Y1 (ko) 숨쉬기 용이한 방한 마스크
KR20160088149A (ko) 다중 머리띠
KR20110002257U (ko) 방한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