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72A -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72A
KR20160001172A KR1020140079123A KR20140079123A KR20160001172A KR 20160001172 A KR20160001172 A KR 20160001172A KR 1020140079123 A KR1020140079123 A KR 1020140079123A KR 20140079123 A KR20140079123 A KR 20140079123A KR 20160001172 A KR20160001172 A KR 20160001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screen
user
delivery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민
조성원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07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72A/ko
Publication of KR2016000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를 조회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조회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METHOD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OF PROVIDING WARNING SCREEN FOR URGING SH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쇼핑 등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홈쇼핑 전문 채널에 의한 물품구입이 늘어나면서, 소화물 수송산업인 택배산업이 함께 부상하고 있다. 택배 전문 이외에 대기업들까지 택배산업에 진출하게 되면서, 택배산업 시장의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배 회사들은 빠른 배송과 저렴한 배송비를 기반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소비자들은 점점 더 빠른 배송을 원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배송이 늦어지는 경우 환불을 요구하거나 이에 따른 보상을 요구하기도 한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KR2003-0012288호에서는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농산물을 구매하면 약정된 택배 업체가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2003-001228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배송 지연 상황을 표시하는 경고 화면을 띄워줌으로써, 사용자가 경각심을 갖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를 조회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조회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받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도록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했을 때 배송 지연 상황을 표시하는 경고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배송 지연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함으로써, 만족도 높은 배송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측에 마련되어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2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20) 측에서 수행되는,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네트워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배송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10)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사용자가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할 수 있는 판매용 웹 사이트, 사용자가 접속하여 배송 현황을 비롯한 각종 물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관리용 웹 사이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웹 사이트는 하나의 웹 사이트 내에 함께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웹 사이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내지는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자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이, 배송 정보 관리 환경을 제공하는 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가, 판매자 내지는 배송자를 위한 관리용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에 관리용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이 관리용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고,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을 승인하며, 승인 결과에 따라 로그인된 웹 사이트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고, 로그인된 웹 페이지에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이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였을 때, 사용자가 배송을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경고 화면 등을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는 메모리, 입/출력부, 프로그램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b)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20a)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20a)이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20)과 서버(1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20)이 서버(1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30)의 종류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를 위한 관리용 웹 사이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10)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처리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처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12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데이터를 조회 및 독출하며, 사용자 단말(20)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 계정 DB(121)와 배송 정보 DB(1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DB(121)는 사용자 계정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리스트는 복수의 사용자 계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계정은 로그인 정보, 사용자의 배송 정보 등 사용자 계정과 연계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송 정보 DB(122)는 실시간 배송 현황을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정보 DB(122)는 배송을 수행하는 사람이 소지하는 단말이나 기타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신 배송 현황을 저장할 수 있다. 배송 정보 DB(122)에 저장되는 배송 리스트는, 각 배송의 현재 현황뿐 아니라 추적번호, 수신자 정보, 발신자 정보, 주문자 정보 등 각 배송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 DB(121) 및 배송 정보 DB(122)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처리부(110)는 로그인 정보 입력부(111),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 배송 정보 조회부(113), 및 경고 화면 제공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인 정보 입력부(111)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계정에 부여될 수 있는 고유 정보라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 DB(121)에서 조회한다. 한편,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항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계정은 배송자, 관리자, 판매자, 소비자 등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분류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웹 서비스에 가입할 때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또는 상기 웹 서비스의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고,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어느 항목인지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의 분류에 따라, 그 다음으로 처리할 일을 결정하고, 결정에 따라 사용자 계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기설정된 소정의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 정보를 배송 정보 조회부(113)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송” 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배송자 또는 판매자이거나, “배송”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지만 “배송”을 관리 감독하는 판매자인 경우,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배송 정보 조회부(113)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일반 소비자 내지는 구매자인 경우에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경고 화면 제공부(114)에 제공할 수 있고,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적절한 메인 화면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전술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웹 사이트가 배송 관리용 목적으로 제공되는 경우, 모든 사용자가 배송을 수행하거나 관리할 의무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의 분류 정보를 조회하는 일 없이 사용자 계정 정보를 배송 정보 조회부(113)에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배송 정보 조회부(113)는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를 배송 정보 DB(122)에서 조회한다. 배송 정보 조회부(113)는 조회된 배송 정보를 경고 화면 제공부(114)에 출력하여, 경고 화면 제공부(114)가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배송 정보 조회부(113)에 의해 조회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경고 화면은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한다. 배송 지연 정보는, 사용자에 관련된 배송 사건 중 배송이 지연되고 있는 배송 지연 사건의 수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부과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 패널티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상 패널티는,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해 사용자가 지출하게 될 수 있는 잠재적 보상금액일 수 있다. 잠재적 보상금액은 배송 지연 사건의 총 상품 금액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재적 보상금액은 배송 지연 사건의 총 상품 금액에 소정의 가중치(weight)를 적용한 금액으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상기 경고 화면뿐 아니라, 사용자의 계정으로 접속된 관리용 웹 사이트의 메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는 메인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메인 화면 상에 경고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경고 화면은 메인 화면 페이지의 일 레이어(layer)로써 메인 화면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별도의 팝업(pop-up)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경고 화면과 함께 상기 경고 화면의 표시 방법에 관한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경고 화면이 표시될 기준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경고 화면이 사용자 단말(20)에 기설정된 기준 시간동안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경고 화면 및 상기 경고 화면에 대한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에서 도 2의 로그인 정보 입력부(111)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는다.
단계 32에서 도 2의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단계 31에서 입력받은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조회한다. 단계 32에서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 DB(121)를 참고할 수 있다.
단계 33에서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의 분류를 조회하여,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기설정된 소정 항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예컨대 판매자, 구매자, 배송자 등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3의 판단 결과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배송자인 경우 단계 34로 진행하고,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배송자가 아닌 경우 단계 36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서는 단계 33의 판단 조건이 사용자 계정이 배송자인가의 여부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조건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는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판매자인 경우에도, 단계 33에서 단계 34로 진행할 수 있다. 판매자 역시 배송을 관리할 권한 내지 의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서버(20)의 관리자는 사용자 계정 조회부(112)가 단계 33에서 수행할 판단의 조건, 예컨대 상기 소정 항목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단계 34에서 도 2의 배송 정보 조회부(113)는 단계 32에서 조회된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를 조회한다. 단계 34에서 배송 정보 조회부(113)는 배송 정보 DB(122)를 참고할 수 있다.
단계 35에서 도 2의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단계 33에서 조회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을 제공한다. 배송 지연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관련된 배송 사건 중 배송이 지연되고 있는 배송 지연 사건의 수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해 예상되는 패널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상 패널티는,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해 사용자가 부담할 수 있는 잠재적 보상 금액을 포함하고, 잠재적 보상 금액은 배송 지연 사건의 총 상품 금액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단계 35에서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메인 화면을 제공하고, 메인 화면 상에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경고 화면은 배송 관리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과, 상기 경고 화면을 닫기 위한 제2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선택 영역에는 상기 선택 영역이 선택되었을 때 수행되는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단계 35에서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상기 경고 화면이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상기 경고 화면의 표시 방법에 관한 파라미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고 화면은 메인 화면 상의 일 레이어로 제공되거나, 별도의 팝업 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메인 화면은, 경고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는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 사용자는 경고 화면을 집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36으로 진행하는 경우, 도 2의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메인 화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메인 화면과 경고 화면이 사용자 단말(20)에 표시된 일 예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면(40)은 퍼스널 컴퓨터(20b)에 도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에 의해 사용자 단말(20) 측에 제공되는 화면(40)은 메인 화면(42)과 경고 화면(43)을 포함한다. 그 외에 복수의 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탭(41) 항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영역들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화면(42)에는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계정에 의해 로그인된 첫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메인 화면(42)은 사용자의 계정에 연관된 각종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경고 화면(43)에는 발송이 지연되고 있는 상품의 건수와, 이에 따른 예상 고객보상금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경고 화면(43)에 표시된 확인 버튼, 또는 닫기 버튼을 선택하여 경고 화면(43)을 닫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고 화면(43)이 표시되는 동안 메인 화면(42)을 포함한 화면(40)의 나머지 영역들은 기설정된 패턴에 따라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밝기가 저감되거나, 또는 기설정된 모자이크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단색 패턴 등의 다양한 패턴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을 경고 화면(43)으로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메인 화면과 경고 화면이 사용자 단말(20)에 도시된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화면(60)은 스마트폰(20a)에 도시된 화면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고 화면(62)이 표시되는 위치, 경고 화면(62)의 크기, 경고 화면(62)이 전체 메인 화면(61)에서 차지하는 비중, 경고 화면(62)의 정보 구성 등은 사용자 단말(2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경고 화면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화면(70)은 배송 관리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71)과, 경고 화면(71)을 닫기 위한 제2 선택 영역(72)을 포함한다. 예컨대, 경고 화면(70)에 표시된 현재 배송 지연 현황을 확인한 사용자는 배송 관리 페이지를 열고자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경고 화면(70)에 표시된 현재 배송 지연 현황을 확인하고, 곧바로 제1 선택 영역(71)을 선택하여 배송 관리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배송 독촉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경고 화면(70)에는 기설정된 명령을 실행하는 다양한 선택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화면(70)은 택배사에게 배송 독촉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고 화면(70)은 사용자 계정의 분류 항목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배송자인 경우에는 경고 화면(70)에 배송 관리 페이지로 연결되는 선택 영역이 표시 되고,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판매자인 경우에는 경고 화면(70)에 택배사에 독촉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선택 영역이 표시되는 등, 경고 화면(70)의 구성이 사용자 계정의 분류 항목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화면(80)은 사용자 단말(20)에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의 경고 화면 제공부(114)는 경고 화면(80)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면서 경고 화면(80)의 표시 방법에 관한 파라미터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경고 화면(80)의 표시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상기 경고 화면(80)이 화면에 표시될 기준 시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고 화면(80)은 기준시간을 표시하는 영역(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영역(81)은 “3초 후에 자동으로 사라집니다.”라는 문구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여기서 “3초”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줄어들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81)에 표시되는 문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2초 후에 자동으로 사라집니다.”로 변경되었다가, “1초 후에 자동으로 사라집니다.”로 변경될 수 있다. 경고 화면(80)은 실제로 영역(81)에 표시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경고 화면(80)은 우측 상단의 닫기 버튼이 생략된 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준 시간이 초과하기 전에는 경고 화면(80)을 닫을 수 없게 되며, 기준 시간동안에는 경고 화면(80)을 계속 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배송을 독촉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 측에 표시 제어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0) 측에 마련되어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2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는 로그인 정보 획득부(210), 상기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받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배송 지연 정보 수신부(220),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도록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 장치(200)는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로그인하였을 때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 장치(2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배송 관리 가능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로그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로그인 화면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표시 제어 장치(200)는 상기 로그인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장치(200)는 상기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배송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고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20)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경고 화면은 전술한 것과 같이, 메인 화면 상의 레이어로 제공되거나, 별도의 팝업 창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20) 측에서 수행되는,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9에 도시된 표시 제어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9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1에서 도 9의 로그인 정보 획득부(21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102에서 도 9의 배송 지연 정보 수신부(220)는 단계 101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한다. 단계 103에서 배송 지연 정보 수신부(220)는 서버(10)로부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받고,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배송 지연 정보는 서버(10)가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04에서 표시 제어부(230)는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도록,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경고 화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배송 지연 사건 정보 및 예상 패널티를 포함할 수 있고, 기설정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각각의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버
20: 사용자 단말
30: 네트워크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처리부
120: 데이터베이스
111: 로그인 정보 입력부
112: 사용자 계정 조회부
113: 배송정보 조회부
114: 경고 화면 제공부

Claims (17)

  1.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를 조회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조회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접속된 메인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화면을 상기 메인 화면 상의 일 레이어(layer)로 제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pop-up) 창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은, 상기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에는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공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연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관련된 배송 사건 중 배송이 지연되고 있는 배송 지연 사건의 수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한 예상 패널티를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패널티는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한 잠재적 보상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잠재적 보상금액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의 총 금액에 따라 산출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화면은
    배송을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과, 상기 경고 화면을 닫기 위한 제2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기설정된 소정의 항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3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 계정의 분류가 상기 소정의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실행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경고 화면이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상기 경고 화면의 표시 방법에 관한 파라미터를 더 제공하는
    경고 화면 제공 방법.
  9.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받고,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배송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배송 지연 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배송 지연 정보를 포함하도록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접속된 메인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화면을 상기 메인 화면 상의 일 레이어(layer)로 표시하거나, 또는 별도의 팝업 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경고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에는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메인 화면을 표시되는
    표시 제어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지연 정보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관련된 배송 사건 중 배송이 지연되고 있는 배송 지연 사건의 수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한 예상 패널티를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패널티는 상기 배송 지연 사건으로 인한 잠재적 보상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잠재적 보상금액은 상기 배송 지연 사건의 총 금액에 따라 산출되는
    표시 제어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화면은
    배송을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과, 상기 경고 화면을 닫기 위한 제2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분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분류 정보에 대응하는 경고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방법.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화면은 기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표시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는
    표시 제어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79123A 2014-06-26 2014-06-26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KR20160001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23A KR20160001172A (ko) 2014-06-26 2014-06-26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23A KR20160001172A (ko) 2014-06-26 2014-06-26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72A true KR20160001172A (ko) 2016-01-06

Family

ID=5516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123A KR20160001172A (ko) 2014-06-26 2014-06-26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22B1 (ko) * 2021-06-17 2021-10-27 (주)헤이트럭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물류관제장치 및 물류관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209A (ko) 2002-06-07 2003-12-1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지반천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209A (ko) 2002-06-07 2003-12-1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지반천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22B1 (ko) * 2021-06-17 2021-10-27 (주)헤이트럭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물류관제장치 및 물류관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872B1 (en) Generating product feeds
KR101683184B1 (ko) 연합 및 멀티-테넌트 전자상거래 플랫폼
US20150348208A1 (en) Transaction matching
JP5241951B1 (ja) 通知制御システム、通知制御装置、通知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40811B2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s and method
AU2011340289A1 (en) Internet transac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9600845B2 (en) Transaction retrieval
CN108885743A (zh) 能够整合到商家网站的统一支付界面偏好监控服务
US202201911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b traffic control
JP2018503923A (ja) 汎用事業調達
Tojo et al. Competition between online and physical stores: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y pure‐play e‐tailer
WO2015184006A1 (en) Transaction retrieval, transaction matching, and alert generation
US20140379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Generation of an Offer to Purchase a Valuable Object and Automated Transaction Completion
WO2021061663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n improved, automated procur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20130304611A1 (en) Price Notification and/or Adjustment System in a Web-Based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20160001172A (ko) 배송 독촉을 위한 경고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표시 제어 방법
KR102167595B1 (ko) 상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50348036A1 (en) Alert generation
KR100523808B1 (ko) 판매자의 예치금을 이용한 안전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방법
JP2007272617A (ja) 購買代行サーバ装置
US9741034B1 (en) Management of reportings for item listings
KR100994257B1 (ko) 전자카탈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703918B1 (ko)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827313B (zh) 用於調控線上商品連結活動的系統以及方法
US202400151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ffic control at a fire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