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05A -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05A
KR20160001005A KR1020140078580A KR20140078580A KR20160001005A KR 20160001005 A KR20160001005 A KR 20160001005A KR 1020140078580 A KR1020140078580 A KR 1020140078580A KR 20140078580 A KR20140078580 A KR 20140078580A KR 20160001005 A KR20160001005 A KR 2016000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image data
area
sub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358B1 (ko
Inventor
이철배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3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서 기 설정된 정도 이하의 화질을 나타내는 부분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이미지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PROJECTOR HAVING AT LEAST TWO DATA COMMUNICATION CHAN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기술이다. 예를 들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프로젝터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프로젝터,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프로젝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CRT 프로젝터는 외부기기의 영상 신호를 브라운관에서 증폭하고 이를 투사 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맺히도록 하는 방식으로 PRT 프로젝터 또는 빔(beam) 프로젝터라고도 한다.
LCD 프로젝터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투과형의 LCD 패널에 투과시켜 영상을 하나로 모은 후 투사 렌즈를 통해 스크린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그리고, DLP 프로젝터는 램프에서 발생된 빛을 휠을 통과하여 100만개 이상의 미세 구동거울이 집적된 DMD(Digital Micro Device)칩에 영상을 반사하여 확대 투사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DMD칩은 미세한 거울이 초당 수천번 이상 스윗칭 하여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거나 또는 반사하지 않음으로써 고해상, 고선명 영상을 구현한다.
그러나, 현재의 대부분 프로젝터들은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의 소스로부터 비디오 시그널을 그대로 출력하는 단순 기능만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성능 및 카메라 성능과 관련된 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목적이다.
나아가, 2개 이상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보다 편리한 UX/UI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일목적이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소스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연관 관계를 정의하고, 필터링된 부가 정보만을 제한적으로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목적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젝터는, 상기 프로젝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제1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메인 데이터를 제1영역에 출력하는 제1프로젝션 렌즈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는 제2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과,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된 특정 메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컬렉트 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컬렉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제2영역에 출력하는 제2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또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보다 편리한 UX/UI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소스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연관 관계를 정의하고, 필터링된 부가 정보만을 제한적으로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레이저 구동부(120)와 레이저 광원(13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내부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프로젝터가 좌우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프로젝터가 상하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추가적으로 부가된 터치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및 노이즈가 포함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노이즈를 해결하기 위한 일방안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2개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구현하기 위한 이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을 구현한 이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필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아래 도 1 및 도 2에서는 레이저 프로젝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레이저 프로젝터가 아닌 임의의 프로젝터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일 예는,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다수 개의 레이저 광원(130), 생성된 각 레이저 광이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에 소정 시간 차이로 입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각 레이저 광을 스크린상에 스캐닝하는 스캐너(1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는, 레이저 광원(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레이저 구동 신호와 스캐너(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신호 생성부(110), 구동 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레이저 구동 신호와 스캐너 구동 신호에 따라 각각 레이저 광원(130)과 스캐너(150)를 구동시킬 레이저 구동부(120)와 스캐너 구동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 생성부(110)는 PC(personal computer)나 A/V(audio/video) 시스템과 같은 영상신호 출력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의 신호 처리를 위한 레이저 구동 신호와 스캐너를 구동하기 위한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레이저 광원부(130)은,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의 처리와 관련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레이저 광원 등 다수 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신호 생성부(110)는, 생성되는 레이저 구동 신호에 각 레이저 광원에 대응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에 대한 비디오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신호 생성부(110)는, 생성된 레이저 구동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스캐너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스캐너 구동 신호는 수평 및 수직 스캐너 구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구동부(120)는 수신되는 레이저 구동 신호에 따라,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을 포함하는 레이저 광원(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 또는 전류를 생성하고, 레이저 광원(130)은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레벨로 레이저 광을 생성한다.
스캐너 구동부(140)는 사인파 생성회로, 삼각파 생성회로, 신호 합성 회로 등을 포함하며, 수신되는 스캐너 구동 신호에 따라, 스캐너(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주파수를 생성하고, 스캐너(150)는 수평 및 수직 구동 주파수에 따라, 수평 및 수직 구동하여 레이저 광을 스크린(190)에 스캐닝함으로써, 스크린(190)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스캐너(150)는 레이저 광원부(130) 내 각 레이저 광원 예를 들어, 적색 레이저 광원(R), 녹색 레이저 광원(G) 및 파란색 레이저 광원(B)으로부터 서로 다른 조사 각도를 가지고 입력되는 각 레이저 광을 수신하고, 스캐너 구동부(140)의 제어에 따라 스캐너 구동 신호에 맞춰 스크린(190)에 상기 수신된 각 레이저 광을 조사한다.
나아가, 한 프레임 영상의 각 수평 라인을 진행하는 스캐너(150)의 구동 속도가 달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밝기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추가적인 모듈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는, 픽셀 위치 검출부(160), 보상값 결정부(170) 및 보상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는, 구동 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레이저 구동 신호를 보상하여 출력 영상의 밝기를 동일한 조건 내에서 더 균일하게 보정할 수도 있다.
픽셀 위치 검출부(160)는 생성된 스캐너 구동 신호로부터 한 프레임 영상에 상응하는 픽셀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픽셀 위치 검출부(160)는 스크린(190)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의 현재 픽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보상값 결정부(170)는 검출된 픽셀에 상응하는 밝기 보상값을 결정한다.
보상부(180)는 한 프레임 영상의 각 수평 라인에 해당하는 전체 픽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준 픽셀로부터 멀어지는 픽셀로 갈수록, 밝기 보상값이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결정된 밝기 보상값에 따라, 검출된 픽셀에 상응하는 레이저 구동 신호를 보상하는 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상부(180)에 의해 생성된 보상 신호는, 구동 신호 생성부(110)로 출력되고, 구동 신호 생성부(110)는 입력된 보상 신호에 의해, 보상된 레이저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상된 레이저 구동 신호에 따라, 레이저 구동부(120)는 레이저 광원(130)을 구동시킴으로써, 레이저 광원(130)은 보상된 레이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스캐너(150)는 보상된 레이저 광을 스크린(190)에 스캐닝함으로써, 스캐너(150)의 속도 변화에 따른 영상의 밝기 왜곡이 보상된 균일한 밝기를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로젝터의 레이저 구동부(120)와 레이저 광원(130)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프로젝터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각 레이저 광원에 따라 해당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각 영상 신호가 해당 레이저 광원(240)을 통해 스크린상에 조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분리된 각 영상 신호는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스크린 상에 소정 시간 차이로 제공되어 발생될 수 있는 영상 왜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병합을 위해 각 레이저 광원에 따른 메모리(line memory or frame memory)(21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메모리(210)에 일시 저장된 영상 신호는 해당 이미지 프로세서(220)에서 레이저 프로젝터에서 출력할 이미지 형태로 처리되고, 전술한 구동 신호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레이저 구동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레이저 구동부(230)를 거쳐 레이저 광원(240)에서 상기 처리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레이저 광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각 레이저 광원의 레이저 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에서 소정 시간 차이가 발생되도록 조사되어 상기 특정 영역에 입사되는 레이저 광의 광량이 최대한 균일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내부 모듈을 포함하는 블록도 이다.
한편, 다시 강조하여 설명하지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프로젝터는 하나의 일실시예이며, 이하 도 3 내지 도 21 중 어느 하나를 구현 가능한 프로젝터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300)는, 제1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310), 제2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320), 컨트롤러(330), 프로젝션 렌즈(340) 및 카메라(350) 등을 포함한다. 물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을 하나만 이용하거나, 카메라를 제거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2개로 변형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제1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310)은, 상기 프로젝터(3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선 케이블이나 무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방식을 채택 가능하다.
한편, 도 3에서는 프로젝션 렌즈(340)를 하나로 설계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2개의 프로젝션 렌즈를 채택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프로젝션 렌즈(340)가 제1프로젝션 렌즈 및 제2프로젝션 렌즈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 설명하겠다.
제1프로젝션 렌즈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메인 데이터를 제1영역에 출력한다.
상기 제2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32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330)는,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된 특정 메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컬렉트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2프로젝션 렌즈는, 상기 컬렉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제2영역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일하지 않다. 특히,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에 대해서는,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메인 데이터 및 서브 데이터 각각은 예를 들어, 정지 영상(image data) 또는 동영상(video data)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메인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 서브 데이터 역시 정지 영상이고, 반면 상기 메인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 서브 데이터 역시 동영상에 해당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GPS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사진의 위치 정보(ex : GPS 정보) 및 촬영 방향의 각도(ex : 동서남북 방향)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젝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해석한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330)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오차 범위가 기설정된 기준 이내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만을 디텍트 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30)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GPS 위치 정보와 제1오차범위내의 GPS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고, 그리고 상기 1차적으로 필터링된 서브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와 제2오차범위내의 방향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링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300)는,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촬영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칼라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필터링 모듈은, 상기 분석된 칼라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3차적으로 필터링 하도록 설계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제1영역(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영역 1510 또는 영역 1530)과 상기 제2영역(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영역 1520 또는 영역 1540)은 하나의 면내에서 오버랩 되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주변에 상기 제2영역이 위치한다.
나아가,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프로젝터(300)의 제1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프로젝터(300)의 제2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나아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프로젝터가 좌우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내부 모듈을 중점적으로 도시한 반면, 도 4에서는 외부 구성을 중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터 2개를 좌우 방향으로 결합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로젝터(410)는 정면에 프로젝션 렌즈(411) 및 카메라(412)가 위치하고 있는 반면, 제2프로젝터(420)는 정면에 프로젝션 렌즈(421)가 위치하고 후면에 카메라(422)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프로젝터(410) 및 상기 제2프로젝터(420)는 각각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정면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412)는, 프로젝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비디오 데이터를 직접 모니터링 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후면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422)는, 프로젝션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반대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비디오 데이터를 감상하는 유저의 제스쳐 등을 인식하여 상기 제1프로젝터(410) 또는 제2프로젝터(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컨트롤 하도록 설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프로젝터가 상하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전 설명한 도 4에서는, 2개의 프로젝터가 좌우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반면. 도 5에서는 2개의 프로젝터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로젝터(510)는 정면에 프로젝션 렌즈(511) 및 카메라(512)가 위치하고 있는 반면, 제2프로젝터(520)는 정면에 프로젝션 렌즈(521)가 위치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프로젝터(520)는 후면에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와 달리, 상기 제1프로젝터(510) 및 상기 제2프로젝터(5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션 렌즈들(511, 521)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카메라(512)가 유저의 제스쳐나 비디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로젝터(510) 및 상기 제2프로젝터(520)가 일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설계할 경우, 카메라와 렌즈의 방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전 도면들과 달리, 도 6에 도시된 프로젝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한 도면들과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600)는 하나로 구성되며, 2개의 프로젝션 렌즈들(610, 620)을 포함하되,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상기 프로젝터(600)의 하단면에는 거치대(630)와 연결 가능한 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63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면을 유저가 선택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프로젝터(600)의 상단면에는 모바일 디바이스(650)와 연결 가능한 거치대(640)를 하나 더 포함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50)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모듈을, 상기 프로젝터(600)가 더 포함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640)는 단순한 물리적 체결 수단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 등의 전자 매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50)와 상기 프로젝터(600)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650) 또는 상기 프로젝터(600)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600)의 사이드 면에는 스피커가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추가적으로 부가된 터치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과 달리, 도 7은 전방 카메라(730) 및 후방 카메라(740)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젝터(700)와 연결된 디바이스에 카메라 모듈이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고장난 경우를 대비한 옵션이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700)는 2개의 프로젝션 렌즈들(710, 7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상기 프로젝터(700)는 상단 면에 터치 모듈(75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젝터(7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별도로 유저가 조작하지 않고, 상기 프로젝터(700)에 포함된 터치 모듈(750)을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트를 선택 가능하다.
이전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의 특징을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이는 하나의 일특징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어떠한 타입의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도 연결이 가능하며, 도킹(docking)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고, 전기적 유선 연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전기적 무선 연결(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등)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제1소스인 내장/외부 메모리를 활용하여 자체 비디오 데이터(이미지 데이터, 정지영상, 동영상 등등)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제2소스인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스 서버 등에 접속하여 상기 제1소스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소스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 비디오 데이터는 전술한 제1소스 및 제2소스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은 것이 본 발명의 일특징이다.
한편, 상기 제1소스, 제2소스 및 제3소스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필터링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다른 일특징이고, 구체적인 예는 이하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프로젝션 렌즈를 통해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가정하고 있다. 2개 이상의 프로젝션 렌즈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플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하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가정내 또는 가정밖 벽면을 이용한다. 물론, 별도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프로젝터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800)은 프로젝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프로젝터는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가 있다.
상기 스크린(800)상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중 제1영역(810)에는 일반 방송 화면이 출력되고 제2영역(820)에는 메뉴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제1영역(810) 및 상기 제2영역(820)은 하나의 소스에서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가정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소스에서 수신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및 노이즈가 포함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설명과 동일하게, 도 9에서도 스크린(900)은 제1영역(910)에 일반 방송 화면을 출력하고 있고 제2영역(920)에서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고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스크린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로부터 수신한 것이고, 나아가 프로젝션 렌즈에서 출력되는 빛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저가 고의적으로 또는 실수로 프로젝터 렌즈를 가린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921)가 일정 영역에 출력된다. 통상적으로 그림자와 유사한 블랙 화면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는 상기 제2영역(920)상의 메뉴 화면을 제대로 인지할 수 없고,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유저가 반드시 위치를 이동하여 프로젝터 렌즈를 가리지 않는 범위내의 장소까지 움직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은 이하 도 10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노이즈를 해결하기 위한 일방안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고유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스크린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을 일부 가리는 블랙 화면이 발생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10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을 최초 영역(1002)에서 새로운 영역(1003)으로 자동 이동시킨다. 특히, 블랙 화면이 발생한 영역(1001)의 가로축 길이 만큼 이동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블랙 화면이 통상적인 비디오 시그널일 수도 있고, 전술한 에러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 2가지 상황을 구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우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크린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모니터링 결과, 기설정된 사이즈 이상의 영역에서 블랙 화소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가 인식되고, 또한 기설절된 시간 이상으로 상기 블랙 화소로 구성된 비디오 데이터가 인식되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가, 실험적으로 에러 모드를 가장 정확하게 디텍트할 수 있는 방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2개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전 도면들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에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한 반면, 이하 도 12에서는 프로젝터가 2개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1100)는 2개의 프로젝션 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1개의 프로젝션 렌즈는 가정내 하나의 벽면(또는 스크린)(1120)을 향하고 남은 1개의 프로젝션 렌즈는 다른 벽면(또는 스크린)(1130)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로젝터(1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110)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1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나 음악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1110)가 아닌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제1스크린(112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는 각 CD별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그래픽 이미지 이다. 나아가, 예를 들어 프로젝터(1100)의 전방 카메라나 또는 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특정 CD를,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터가 인식 가능하다.
그리고, 유저가 특정 CD를 선택하는 것으로 프로젝터(1100)가 인식한 경우, 제2스크린(1130)에는 해당 CD의 커버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1120)과 제2스크린(1130)이 유지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CD를 변경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대부분의 디바이스에서는 해당 CD 선택시 전체 CD 리스트를 표시하는 화면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2는 도 11을 구현하기 위한 이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1200)는 1번째 프로젝터를 통해 제1스크린에 복수개의 CD 를 표시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컨대, 특정 A가수의 앨범(1210), 특정 B가수의 앨범(1220), 특정 C가수의 앨범(1230) 그리고 특정 D가수의 앨범(1240)을 모두 포함하는 그래픽 데이터 이다. 다만, 음악 CD가 아닌 영화 타이틀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만약, 프로젝터의 카메라를 통해 유저의 제스쳐 또는 터치가 특정 CD를 선택한 것으로 인식되면, 도 12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크린에 선택된 특정 CD에 포함된 노래 리스트가 출력된다.
도 13은 도 11을 구현한 이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 또는 도 12 이후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스크린 상에서 특정 CD의 특정 노래가 선택된 경우, 도 13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된다.
기본적으로 선택된 노래의 음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부가된 프로젝터의 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기존의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의 비디오 데이터를 유지할 수도 있지만, 유저에게 보다 심미적인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에 연속하는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추가 설계된다. 상기 제1스크린 및 제2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는, 프로젝터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에 해당한다. 물론, 유저의 편집 등으로 새로운 비디오 데이터를 기설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음악 파일(오디오 데이터)이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다가 종료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도 12 또는 도 11에 도시된 최초 스크린으로 복귀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는 도면이다.
이전 도면에서는 서로 다른 면(스크린)에 각각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였고, 이하 도 14에서는 하나의 면(스크린)을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4의 왼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벽면(스크린)에 2가지 영역을 분할하여 처리한다. 제1영역(1410)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영역(1420)에 프로젝터의 메모리에 기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2영역(1420)에는 기설정된 그래픽 이미지(예를 들어, 집 내부, 휴양지 전경, 외국 도시 등)로 처리함으로써, 유저가 마치 다른 세상에서 TV를 시청하는 듯한 느낌을 주게 한다.
한편, 도 14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1430)에는 제1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영역(1440)에는 제2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영역(1430)에는 TV 또는 PC로부터 수신한 방송 화면을 출력하고, 제2영역(1440)에는 인터넷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SNS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필터링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쇼 또는 유저가 사진 앨범을 감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이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과 연결이 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특정 비디오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파일)가, 제1영역(1510)에 출력된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순 슬라이드쇼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영역(151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촬영 장소의 GPS 정보, 촬영 방향 정보, 시간 정보 등을 수집한다.
예컨대, 상기 제1영역(151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가 제1GPS정보, 제1촬영방향정보, 제1시간정보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연결된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를 검색하여 기설정된 범위내의 GPS, 촬영방향정보, 시간 정보 등을 가지는 유사 비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영역(151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차범위 내에 있는 GPS 정보를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의 그룹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하고, 상기 1차 필터링된 비디오 데이터 중 오차 범위 내에 있는 촬영 방향 정보를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의 그룹을 2차적으로 필터링 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2차 필터링된 비디오 데이터 중 오차 범위 내에 있는 시간 정보를 가지는 비디오 데이터의 그룹을 최종 필터링 한다.
그리고, 상기 최종 필터링된 비디오 데이터의 그룹을, 제2영역(1520)에 출력하며, 상기 제2영역(1520)은 상기 제1영역(1510)의 주변에 위치하며 오버랩 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1510)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칼라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분석된 칼라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한번 더 필터링 한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유저가 선택한 메인 이미지 데이터와 보다 유사하고 최적화된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필터링 및 디스플레이 가능하다.
한편, 도 15의 오른쪽 도면 역시, 도 15의 왼쪽 도면에 대한 이전 설명을 참조하여 당업자는 구현할 수가 있다.
다만, 도 15의 오른쪽 도면은 제1영역(1530)이 화면 우측 하단에 위치하고, 그 주변을 제2영역(1540)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15의 왼쪽 도면과 기술적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의 왼쪽 도면에서 간략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6은 동일한 면상의 영역을 분리하여 데이터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젝터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제1영역(1610)에 고정적으로 출력하고, 제2영역(1620)에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한다.
특히, 상기 제1영역(1610)과 제2영역(1620)이 인접하는 곳에 TV 화면을 표시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위치시킴으로써, 유저의 몰입감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16을 확장한 개념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와 게임기가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영역(1710)에는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다만, 제2영역(1720)의 일부에는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에서 제공되는 건물의 이미지를 확장하여 제2영역의 일부에 확대 표시한다.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2가지 솔루션이 가능하다. 첫째, 게임기로부터 건물이 존재한다는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이를 디텍트할 수 있다. 둘째, 게임기로부터 상세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에 부가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게임기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화소(그레이)가 일정 영역의 기설정된 범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건물이나 도시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 또한, 도 16을 확장한 개념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와 게임기가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영역(1810)에는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다만, 제2영역(1820)의 일부에는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기에서 제공되는 화재의 이미지를 확장하여 제2영역의 일부에 확대 표시한다.
게임기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2가지 솔루션이 가능하다. 첫째, 게임기로부터 화재가 발생한다는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이를 디텍트할 수 있다. 둘째, 게임기로부터 상세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에 부가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게임기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화소(레드)가 일정 영역의 기설정된 범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건물이나 도시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 17 및 도 1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1910, 1930)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영역(1920, 1940)에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만, 도 19의 왼쪽 도면 및 오른쪽 도면을 비교하여 볼 때, 명암의 차이가 존재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클락 정보를 처리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가 현재 시각을 오전으로 디텍트 한 경우, 도 19의 왼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명암의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1920)에 출력한다. 반면, 프로젝터가 현재 시각을 저녁으로 디텍트 한 경우, 도 19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두운 명암의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1940)에 출력한다. 유저의 입장에서는 시간 변화에 따라, 스크린의 명암도 자동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가, 동일한 면상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도 17 및 도 1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2010, 2030)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영역(2020, 2040)에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만, 도 20의 왼쪽 도면 및 오른쪽 도면을 비교하여 볼 때, 서로 다른 날씨 관련 그래픽 이미지가 오버레이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각국의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가 현재 프로젝터가 위치하는 곳 또는 유저가 설정한 다른 지역의 날씨 정보를 수신/디텍트 한 경우, 도 20의 왼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가 내리는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2020)에 추가적으로 표시다. 반면, 프로젝터가 다른 날씨 정보를 수신/디텍트 한 경우, 도 20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 오는 그래픽 데이터를 제2영역(2040)에 출력한다.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한편, 당업자는 이전 도면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하 도 21을 보충 해석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로젝터는, 상기 프로젝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 한다(S2101).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제1영역에 출력한다(S2102).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 한다(S2103).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된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컬렉트 한다(S2104). 그리고, 상기 컬렉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제2영역에 출력한다(S2105). 예를 들어,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일하지 않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GPS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S2104 단계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오차 범위가 기설정된 기준 이내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만을 디텍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텍트 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GPS 위치 정보와 제1오차범위내의 GPS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적으로 필터링된 서브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와 제2오차범위내의 방향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2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칼라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분석된 칼라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3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0 : 프로젝터
310 : 제1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
320 : 제2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
330 : 컨트롤러
340 : 프로젝션 렌즈
350 : 카메라

Claims (15)

  1.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제1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된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컬렉트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컬렉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제2영역에 출력하는 단계-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일하지 않음-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GPS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렉트 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오차 범위가 기설정된 기준 이내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만을 디텍트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트 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GPS 위치 정보와 제1오차범위내의 GPS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1차적으로 필터링된 서브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와 제2오차범위내의 방향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칼라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석된 칼라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3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하나의 면내에서 오버랩 되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주변에 상기 제2영역이 위치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의 제1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의 제2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나아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는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
  8.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제1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메인 데이터를 제1영역에 출력하는 제1프로젝션 렌즈;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는 제2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모듈;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된 특정 메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컬렉트 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컬렉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데이터를 제2영역에 출력하는 제2프로젝션 렌즈-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동일하지 않음-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 및 서브 데이터 각각은 정지 영상(image data) 또는 동영상(video data)에 대응하는 프로젝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GPS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와 오차 범위가 기설정된 기준 이내의 서브 이미지 데이터만을 디텍트 하는 프로젝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특정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GPS 위치 정보와 제1오차범위내의 GPS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하고, 그리고
    상기 1차적으로 필터링된 서브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와 제2오차범위내의 방향 정보를 가지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2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필터링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특정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카메라; 그리고
    상기 촬영된 특정 이미지 데이터의 칼라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필터링 모듈은, 상기 분석된 칼라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이미지 데이터를 3차적으로 필터링 하는 프로젝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하나의 면내에서 오버랩 되지 않고,
    상기 제1영역의 주변에 상기 제2영역이 위치하는 프로젝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의 제1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프로젝터의 제2프로젝션 렌즈로부터 형성되고, 나아가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는 프로젝터.
KR1020140078580A 2014-06-26 2014-06-26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4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580A KR102284358B1 (ko) 2014-06-26 2014-06-26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580A KR102284358B1 (ko) 2014-06-26 2014-06-26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05A true KR20160001005A (ko) 2016-01-06
KR102284358B1 KR102284358B1 (ko) 2021-08-02

Family

ID=5516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580A KR102284358B1 (ko) 2014-06-26 2014-06-26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27B1 (ko) * 2018-11-20 2020-04-2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우산셀카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00A (ko) * 2010-06-04 2011-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54751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동영상 편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00A (ko) * 2010-06-04 2011-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054751A (ko)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동영상 편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27B1 (ko) * 2018-11-20 2020-04-24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우산셀카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358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06415B (zh) 具有投影仪装置的电子设备
US95949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US11107195B1 (en) Motion blur and depth of field for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systems
US89530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09313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WO2016192325A1 (zh) 视频文件的标识处理方法及装置
US1011082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2469261A (zh) 成像设备,成像显示控制方法和程序
CN103946871A (zh) 图像处理装置、图像识别装置、图像识别方法以及程序
US894171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24400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9100681B2 (en) Visual data distribution
US2012028102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2073798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01888480A (zh) 使用外部显示设备的多显示数字图像处理设备及操作方法
US2013014164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US20120212606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aling with pictures found by location information and angle information
US11099728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a display target
KR102284358B1 (ko)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 통신 채널을 가지는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CN116156077A (zh) 用于多媒体资源剪辑场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8054912A (ja) 投影型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5649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30112415A1 (en) Apparatus for projection and capture of a display interface
CN113099101A (zh) 摄像参数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518495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