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25A -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25A
KR20160000625A KR1020140077933A KR20140077933A KR20160000625A KR 20160000625 A KR20160000625 A KR 20160000625A KR 1020140077933 A KR1020140077933 A KR 1020140077933A KR 20140077933 A KR20140077933 A KR 20140077933A KR 20160000625 A KR20160000625 A KR 2016000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ombustible gas
air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829B1 (en
Inventor
시종민
박성욱
Original Assignee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0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26Controlling th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23L1/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by discharging the air below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a combus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The combustion device comprises: a combustion unit to combust flammable gas; a gas supply unit to supply air to the combustion unit; and a supply line unit to supply the flammable gas to the combustion unit. The supply line unit comprises a wind box to supply air flowing from a side of the wind box to the combustion unit disposed above the wind box. The wind box comprises: a body having a middle hole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iddle hole on a side of a combustion furnace is opened to supply the air to the combustion furnace, and an outer shape of the body or a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middle hole is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ircle and a rectangle; two or more inflow pipes arrang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the air to flow thereinto from the side; and a guide plate embedded in the body to divide the inside of the body into at least two spaces, prevent a collision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flow pipes, and guide a flow of the air upwards. The inflow pipes are installed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at least two spaces among the two to four spaces divided in the body by the guide plate.

Description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시스템{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vaporized combustible gas and a combustion system including the vaporized flammable gas,

본 발명은 기화된 가연성 기체를 연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연성 기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소시키고, 연소된 기체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며, 필요시 대기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mbusting a vaporized combustible g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burning a combustible gas more stably, a method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ed gas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vaporized combustible gas and a combustion system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생산지에서 극저온으로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의 상태로 만들어진 후 선박에 의해 목적지까지 원거리에 걸쳐 수송된다.Generally, natural gas is made into a state of liquefied natural gas that is liquefied at the cryogenic temperature at the place of production, and then transported over a long distance to the destination by the ship.

액화천연가스의 액화온도는 상압에서 -165℃의 극저온이므로, 액화천연가스는 그 온도가 상압에서 -165℃ 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된다. 이 액화천연가스는 수송하는 도중에 전달된 외부 열에 의해 저장탱크 내에서 지속적으로 기화되어 가연성이 강한 상태의 기체(이하, '가연성 기체'라 함)로 변환된다. 이렇게 가연성 기체가 발생하면 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위험한 상태가 되므로, 이 가연성 기체를 저장탱크 외부로 배출시켜 선박 추진 엔진, 보일러 또는 발전기 등의 연료로 사용하기도 하고, 연소시켜 방출하기도 한다. Since the liquefaction temperature of liquefied natural gas is cryogenic at -165 ° C at normal pressure, liquefied natural gas evaporates even if its temperature is slightly higher than -165 ° C at normal pressure. The liquefied natural gas is continuously vaporized in the storage tank by the external heat transfe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and is converted into a combustible g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bustible gas"). When such a combustible gas is generated, the pressure in the storage tank rises and becomes a dangerous state. Therefore, this combustibl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tank to be used as fuel for a ship propulsion engine, a boiler or a generator, or may be discharged by burning.

이러한 종래의 가연성 기체를 처리하는 장치의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에서 발생한 가연성 기체를 연료라인(11)을 통해 선박의 엔진(12)에 공급하여 연료로 사용되도록 하고, 여분의 가연성 기체는 연소라인(13)을 통해 기체연소장치(14)로 공급하여 연소시켜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1, a combustible gas generated in a tank 10 is supplied to a ship's engine 12 through a fuel line 11 so as to be used as a fuel. And the extra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gas combustion device 14 through the combustion line 13 to be burn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탱크(10)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가연성 기체를 연료로서 소모시키거나 연소시켜 대기 중에 방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bustible gas that is necessarily generated in the tank 10 is consumed as fuel or burned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23302호(2010.11.24.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3302 (Nov. 24, 2010)

상기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연성 기체의 처리 장치는 비상 모드시 연소가 중단된 후, 연소실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가 공급라인 내에 잔류하기 때문에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소실 내의 화염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가연성 기체가 연소실 내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연소처리 없이 대기 중에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combustible gas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cause additional damage because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remains in the supply line after the combustion is stopped in the emergency mode. Further, even if a flame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not detected, a combustible gas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ammable gas is released into the air without a combustion process.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비상 모드시 공급라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여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에 방출하도록 된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combustible combustible gas which is adapted to supply an inert gas to a supply line in an emergency mode to release residual combustible gas into the atmosphere, System.

그리고,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연소시 가연성 기체 내의 발화 물질의 농도가 낮아 화염이 미발생할 때에도 각종 센서에 의해 가연성 기체의 공급이 감지되면 연료유를 공급하면서 버너를 강제 가동시켜 가연성 기체를 지속적으로 연소시키도록 된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bustible gas by supplying a fuel oil and forcibly operating a burner when a combustible gas is supplied by various sensors even when a flame is not generated due to a low concentration of a combustible gas in a combustible ga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combustible combustible gas which is continuously burned and a combustion system having the same.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는, 가연성 기체를 연소하는 연소부, 연소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연소부에 가연성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라인부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공급라인부는 측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방의 연소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윈드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aporized combustible gas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bustion section for burning a combustible gas, an air supply section for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section, and a supply line section for supplying a combustible gas to the combustion section Wherein the supply line portion includes a wind box configured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ide to the upper combustion portion.

여기서, 윈드박스는 연소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연소로측 일면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면서 외형 또는 중공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인 몸체, 공기가 측방에서 유입되도록 몸체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적어도 2개의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combustion furnace, a windbox is provided with at least a hollow opening 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a polygonal body having an external or hollow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circular or quadrangle, And at least two inlet pip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윈드박스는 몸체의 내부를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분할 구획함과 더불어 다수의 유입관으로 유입된 공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상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유도하도록 몸체에 내장된 안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nd box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built in the body so a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body into at least two spaces and to induce the flow of air upward while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the air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inlet pipes .

또, 안내판에 의해 2~4개로 분할 구획된 몸체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2개의 공간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유입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n inflow pipe is provided so as to allow air to flow into at least two spaces amo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body partitioned into two to four by the guide plate.

여기서, 공기의 일부가 안내판을 따라 수직으로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uide plate is provided to have a space in which air is partially introduced in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uide plate so that a part of the air can vertically flow upward along the guide plate.

그리고, 공기공급부는 유입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팬, 연소로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연성 기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 윈드박스의 내부 또는 윈드박스와 연소로 사이에 설치된 기체혼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i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n installed to supply air to the inflow pipe, a gas mix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wind box and the combustion furnace to promote mixing of the combustible gas with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

이때, 기체혼합부재는 림과, 림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연소실측으로 경사져 장착된 다수의 혼합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as mixing member may include a rim and a plurality of mixing blades mounted radially from the rim and inclined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그리고, 팬들은 대기와 작동이 교대로 진행되고, 몸체의 분할된 공간 전체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선택된 팬들이 작동하고, 나머지 팬은 대기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ans are controlled so that the selected fans are operated to alternately wait and operate and supply air to the entire divided space of the body, and the remaining fans wait.

또한, 공급라인부는 버너에 가연성 기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제1공급라인과, 가연성 기체에 의한 화염 발생 빈도가 일정 횟수 이하가 되면 버너에 연료유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제2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ly line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ly line provided to supply a combustible gas to the burner and a second supply line provided to supply fuel oil to the burner when the frequency of flame generation by the combustible gas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o.

또, 제1공급라인에는 제1공급라인에 유입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 가연성 기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감지센서, 가연성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감지센서, 감지센서들을 통과한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 제1밸브를 통과한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밸브, 제2밸브를 통과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3밸브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supply line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line, a third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ble gas,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combustible gas, A first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passing through the detection sensors, a second valv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valve, a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passing through the second valve and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valves is provided.

그리고, 제1밸브와 제3밸브 사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해 방출밸브가 구비된 방출라인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ischarge line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for discharging the combustible gas between the first valve and the third valve to the atmosphere.

또한, 공급라인부는 제1공급라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1밸브와 제3밸브 사이 또는, 제2밸브와 제3밸브 사이에 연결된 제3공급라인을 더 구비하고, 제3공급라인에는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ly lin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valve and the third valve or between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to supply the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And a supply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inert gas is provided.

또, 연소부는 버너, 버너가 내장된 연소실, 연소실에서 연소되는 가연성 기체의 연소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 연소실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감지센서, 연소시 발생하는 버너의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와, 연소후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bustion section includes a burner,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burner is incorporated,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combustible ga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 first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after the combustion.

그리고, 연소부는 연소실을 감싸도록 배치된 연도관을 더 구비하고, 연소실과 연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공급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bustion unit further includes a flue pipe arranged to surround the combustion chamber, and air blown from the air supply unit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flue pipe.

또한, 연소실의 측면에는 연소실과 연도관 사이를 상향 유동하는 공기가 연소실로 유입되고, 연소실의 열기가 연도관측으로 측방 방출이 방지되도록 연소실로 상향 기울어져 천공된 공기유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inlet hol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air flowing upwar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flue tube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is punched upward to the combustion chamber so as to prevent lateral release of heat from the combustion chamber.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은, 연소장치; 액화상태의 가연성 기체가 저장된 저장탱크; 저장탱크에서 기화된 가연성 기체가 연소장치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압축라인 또는 비압축라인; 압축라인에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일부가 공급되는 엔진, 보일러와 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압축라인에는 출력장치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를 가공하기 위한 압축기 또는 히터가 구비되고, 압축라인과 비압축라인에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 combustion system equipped with a combustible combustible gas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device; A storage tank in which a combustible gas in a liquefied state is stored; A compression line or an uncompressed line provided so that the combustible gas vaporized in the storage tank flows to the combustion device; An outpu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ngine, a boiler and a generator to which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 the compression line is supplied, wherein the compression line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or a heater for processing the combustible gas flowing to the output device, The compression line and the uncompressed line are each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 또는 연소시스템은 LNG 선박 등의 선박용 또는 LNG 시추 설비나 하역 시설 등의 육상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bustion apparatus or the combus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for a marine such as an LNG ship or an LNG drilling facility or an underground facility for land use.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실에 공급하는 공기가 윈드박스의 측방에서 유입되어 상향 유동됨으로써, 연소장치의 높이를 축소시켜 공간 점유율을 감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flows from the side of the windbox and flows upward, there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and reducing the space occupancy.

또한, 윈드박스에 내장된 안내판에 의해 측방 여러 곳에서 유입된 공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충돌로 인한 불필요한 와류를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vortices due to collision while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air introduced from a plurality of lateral sides by a guide plate built in a wind box.

또, 안내판에 의해 몸체의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유입관을 통해 적어도 2개의 공간에 걸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유입관에 장착된 다수의 팬 중 일부가 작동하여 몸체 내부 전체의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나머지가 대기되도록 함으로써, 팬의 일부만 작동시키면서도 몸체 내부 전체를 통해 연소실로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inside of the bod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the guide plate, air is supplied through at least two spaces through the inflow pipe, and a part of the plurality of fans mounted on the inflow pipe is operated, The air is supplied to the space while the rest of the air is supplied to the space so that the air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entire body while operating only a part of the fan.

그리고, 연소실과 윈드박스 사이에 설치된 기체혼합부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와 가연성 기체의 혼합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mixing of the combustible gas with the air flowing by the gas mix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wind box is promoted.

또한, 윈드박스에 장착된 댐퍼에 의해 연소실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can be controlled by the damper mounted on the wind box.

또, 가연성 기체 내의 발화 물질의 농도가 낮아 자체 연소가 불가능해진 경우, 제2공급라인을 통해 연료유를 공급하여 버너를 가동시킴으로써, 가연성 기체를 강제로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ignitable material in the combustible gas is low and the self-combustion is impossible, fuel oil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to operate the burner, whereby the combustible gas can be forcibly burned.

그리고, 제1공급라인과 연소부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의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팬과 댐퍼의 제어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by the measured data of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combustion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fan and the damper.

또한, 제1공급라인과 연소부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의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연소시 오작동이 감지되면 연소실에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양을 신속히 조절하거나 제1공급라인 내에 제3공급라인의 불활성 기체가 공급하여 제1공급라인 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으로 신속히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lfunction is detected in the combustion by the measured data of the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combustion unit, the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can be quickly adjusted or the inert gas of the third supply line So that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또, 저장탱크에서 액화된 기체를 모두 하역하고, 저장탱크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여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전부 연소시키면 제1공급라인을 폐쇄한 후 불활성 기체를 제1공급라인에 공급하여 제1공급라인 내의 가연성 기체를 모두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all of the liquefied gas in the storage tank is unloaded and the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to completely burn the remaining combustible gas, the first supply line is closed and then the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line, All of the combustible gases in the line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 또는 연소시스템은 LNG 선박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선박용 또는, LNG 시추 시설이나 하여 시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육상용 등의 다양한 장소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urning device or the combus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ship installed on an LNG ship or an onshore used for installation on a LNG drilling facility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연성 기체를 처리하는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윈드박스가 도시된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윈드박스의 제1변형예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a에 도시된 윈드박스의 제2변형예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기체혼합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1공급라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3공급라인을 포함하여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시스템에서 가연성 기체를 하역 이후의 후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evice for treating a conventional combustible gas.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ustion apparatus for a vaporized combustible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 box shown in Fig.
Figs. 4A and 4B show a first modification of the wind box shown in Fig. 3A.
5A and 5B show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wind box shown in FIG. 3A.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as mixing member shown in Fig.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supply line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of FIG. 2;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ustion system having the combustion device shown in Fig. 2;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bustion system shown in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ost-process after the unloading of the combustible gas in the combustion system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연소장치><Combustion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윈드박스가 도시된 평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윈드박스의 제1변형예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3a에 도시된 윈드박스의 제2변형예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기체혼합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제1공급라인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3공급라인을 포함하여 도시된 구성도이다. 2 is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box shown in Fig. 2, Fig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box shown in Fig. 3a is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windbox shown in Fig. 3a, Figs. 5a and 5b are second modified examples of the windbox shown in Fig. 3a,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gas mixing member shown in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including a third supply line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연소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부(110), 연소부(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20)와, 연소부(110)에 기체 또는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라인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unit 110, an air supply unit 120 for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unit 110, a gas or fuel And a supply line unit 130 for supplying oil.

연소부(110)는 연소로(111), 버너(113)와, 연소로(111) 내의 온도와 화염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mbustion unit 110 includes a combustion furnace 111, a burner 113, and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flame in the combustion furnace 111.

먼저, 연소로(111)는 가연성 기체가 연소되는 곳으로, 내부에 버너(113)가 배치되는 연소실(112)이 구비된다. 일 예로, 연소로(111)가 내장되도록 연도관(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때 연소로(111)와 연도관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동시키거나 워터쟈켓을 설치하여 연소로(111)의 고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연도관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 설치, 공기 유동 및 워터쟈켓 등을 설치하여 열전도를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연소로(111)에 공기유입홀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천공하여 연소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이 공기유입홀을 통해 연소로(111) 내부의 화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또, 공기유입홀을 통해 상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면서 연소실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공기유입홀을 연소실(112)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First, the combustion furnace 111 is provided with a combustion chamber 112 in which a combustible gas is burnt, and a burner 113 is disposed therein. For example, a flue pipe (not shown) may be installed so as to house the combustion furnace 111. In this case,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furnace 111 and the flue pipe, The phenomenon that the high temperature of the furnace 111 is conducted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lock heat conduction by installing insulation, air flow, and water jackets in the absence of a flue tube. Also, a large number of air inlet holes may be formed in the combustion furnace 111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during combustion, and the flame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111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air inlet holes. In addition, the air inlet hole may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112 so that the air flowing upward through the air inlet hole may flow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eat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may not escape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버너(113)는 연소실(112) 내부에 설치되고, 공급라인부(130)에서 공급된 기체 또는 연료유를 연소한다. Next, the burner 113 is install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burns the gas or the fuel oil supplied from the supply line unit 130.

다음으로, 감지센서로는 연소부(110)에 부착되어 연소시 형성된 연소온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4), 연소실(112)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감지센서(115), 연소시 발생하는 버너(113)의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117)와, 연소후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16)를 구비한다. 이들 감지센서에서 측정한 데이터는 연소로(111)의 정상작동 또는 오작동을 판단할 수 있고, 버너(113)의 작동, 공기공급부(120)의 작동과 공급라인부(130)의 공급량 조절 등을 제어하는 기본 데이터가 된다. The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attached to the combustion unit 110 to detect a combustion temperature formed during combustion, a first pressure sensor 115 for sensing a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A flame detection sensor 117 for detecting a flame of the burner 113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16 for detecting the exhaust temperatur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fter combustion. The data measured by these sensors can determine the normal operation or malfunct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111 and the operation of the burner 113,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120, and the adjustment of the supply amount of the supply line unit 130 It becomes basic data to be controlled.

여기서, 제1온도감지센서(114)는 버너(113)에 의해 연소된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 측정된 온도는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이거나 초과하였는지에 따라 버너(113)를 ON/OFF하거나, 제1공급라인(131)에서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 또는 제2공급라인(133)에서 공급되는 연료유의 공급 시작과 중단 또는 공급량을 제어하거나, 공기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거나, 연소실(112)로부터의 열전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기 또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Her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gas burned by the burner 113. The measured temperature may be switch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the supply of fuel oil supplied from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line 131 or the second supply line 133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or water supplied to control the interruption or supply amount,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air for combustion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120, or to reduce the heat conduction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2.

또, 제1압력감지센서(115)는 연소시 연소실(112) 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보다 초과한 경우 가연성 기체의 공급 시작과 중단 또는 공급량을 제어하거나, 버너(113)를 ON/OFF하거나, 연료유의 공급 시작과 중단 또는 공급량을 제어하거나, 공기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In addition, the first pressure sensor 115 measures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during combustion. When the measured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supply start, stop, or supply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is controlled, the burner 113 is turned on / off, the supply start and stoppage or supply amount of the fuel oil is controlled, 120 as the data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air for combustion.

또한, 화염감지센서(117)는 연소시 버너(113)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고, 이 화염의 발생 유무에 따라 가연성 기체의 공급 시작과 중단 또는 공급량을 제어하거나, 버너(113)를 ON/OFF하거나, 연료유의 공급 시작 또는 가연성 기체의 공급 완료를 판단하거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7 senses a flame generated by the burner 113 at the time of combustion and controls the start and stop of supply or supply of the combustible ga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flame is generated, / OFF, the start of the supply of fuel oil or the completion of supply of the combustible gas, or the control of the supply amount of air for combustion.

또, 제2온도감지센서(116)는 연소된 기체가 배출되는 부위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때 측정된 온도는 일정 온도 이하 또는 초과에 따라 버너(113)를 ON/OFF하거나, 연료유의 공급 또는 가연성 기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연소실(112)로부터의 열전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공기 또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16 measures the temperature at a position where the burned gas is discharged. At this time, the measured temperature is the ON / OFF state of the burner 113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Or as data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air or water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or to reduce the heat conduction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2.

공기공급부(120)는 연소실(112)에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이 공기공급부(120)는 팬(121)과 윈드박스(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air supply unit 120 supplies air necessary for combusting the combustible gas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air supply unit 120 includes a fan 121 and a wind box 122.

먼저, 팬(121)은 외부공기를 연소실(112)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공기의 유동을 강제로 발생시키는 기기로서, 윈드박스(122)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되고, 일 예로 2개 내지 4개가 설치된다. 이 팬(121)은 동시에 모든 팬(121)이 작동할 수도 있고, 1개 또는 2개의 팬(121)을 여분으로 대기시키면서 나머지 팬(121)만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대기 중인 팬(121)은 작동하는 팬(121)과 순차적으로 교대하여 작동됨으로써, 모든 팬(121)의 사용시간이 적절히 분배되고, 이를 통해 팬(121)들의 수명이 비슷하게 된다. 또, 연소부(110) 또는 제1공급라인(131)의 감지센서의 데이터에 의해 비상 모드로 판단되면 대기 중인 일부 팬(121)은 작동하는 팬(121)과 함께 추가 작동하여 정상 모드로 전환되도록 활용된다. 이 팬(121)은 윈드박스(122)의 유입관(124)에 장착된다. 또는, 팬(121)과 유입관(124) 사이에 별도의 관이 설치될 수도 있다. First, the fan 121 is a device for forcibly generating the flow of air in order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2. At least one device is installed in the wind box 122, for example, two to four do. The fan 121 may operate all of the fans 121 at the same time and may operate only the remaining fans 121 while waiting for one or two fans 121 to be extra. At this time, the standby fan 121 is sequentially operated alternately with the operating fan 121, so that the usage time of all the fans 121 is appropriately distributed, so that the life of the fans 121 is similar. If it is determined in the emergency mode by the data of the detection sensor of the combustion unit 110 or the first supply line 131, some waiting pans 121 are further oper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ng fan 121, . The fan 121 is mounted on the inlet pipe 124 of the wind box 122. Alternatively, a separate pi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an 121 and the inflow pipe 124.

다음으로, 윈드박스(122)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12)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적어도 연소실(112)측 일면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123), 이 몸체(123)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면서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유입관(124), 몸체(123)의 내부를 적어도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된 안내판(125)과, 기체혼합부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o 3B, the wind box 122 includes a hollow body 123, which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2 is open, a body 123 A guide plate 125 provided so a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body 123 into at least two zones, and a gas mixing member 126. The gas mixing member 126 is formed of a gas-

여기서, 몸체(123)는 대략 평면상 원형의 중공이면서 연소실(112)측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고, 반대측 일면도 개방될 수 있다. 이 몸체(123)의 다른 예로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몸체(123)는 평면상 외면이 사각형이고, 내부의 중공이 원형인 형상이다. 이 경우 내부의 중공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몸체(123)의 외형 또는 내부의 중공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과 칠각형 등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123)가 원형인 경우는 1개의 플레이트를 휘어 1개소에서 접합하여 제작하고, 사각형인 경우는 통상 2개 또는 4개의 플레이트를 2개소 또는 4개소에서 상호 접합하여 제작한다. 또한, 원형인 경우 몸체(123)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유입관(124)을 설치하고, 사각형인 경우 평평한 면에 설치한다. 여기서, 몸체(123)의 내면에는 유입관(124)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유입각도에 따라 공기가 수직으로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별도로 곡면의 유도부재가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도 있다. Here, the body 123 has a substantially planar, circular hollow shape, a side of which is open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an opposite side of the body 123 can be opened. As another example of the body 123,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body 123 has a rectangular outer shape on a plane and a circular hollow shape inside. In this case, the inner hollow may be made of a square. Of course, the outer shape of the body 123 or the hollow interior of the body 123 may be a polygon including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and hexagonal. At this time, when the body 123 is circular, one plate is bent and joined at one place. Generally, when the body 123 is rectangular, two or four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two or four places. In case of a round shape, an inlet pipe 124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23, and is provided on a flat surface when it is rectangular. Herein, a curved guide member may be mounted 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23 so that the air flows vertically upward according to the inflow angl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ipe 124.

또한, 유입관(124)은 몸체(123)의 측면에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되고, 몸체(123)의 외부와 내부가 통하도록 하며, 팬(121)에서 강제 유동된 공기가 몸체(12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팬(121)과 연계 설치된다. 이때, 팬(121)이 유입관(124)의 선단 부위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팬(121)과 유입관(124) 사이에 별도의 관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유입관(124)은 몸체(123)의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상향, 수평 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팬(121)을 몸체(123)의 옆에 배치하여 공기공급부(120)의 높이를 축소시키면서 궁극적으로 연소장치(100)의 높이에 대한 공간 점유율을 감축시키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inflow pipe 124 is provid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23, allowing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body 123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fan 121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t this time, the fan 121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tip of the inflow pipe 124, o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an 121 and the inflow pipe 124. The inlet pipe 124 may be upwardly, horizontally, or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side of the body 123, and this may be achieved by disposing the fan 121 on the side of the body 123, So as to ultimately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height of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

그리고, 안내판(125)은 몸체(123)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측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유도하는 부재이다. 또한, 이 안내판(125)은 몸체(123)의 2개소 이상의 측부에서 유입된 공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충돌로 인한 불필요한 와류를 미연에 차단한다. The guide plate 125 is a member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body 123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guides the flow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ide upward. Further, the guide plate 125 prevents collision between the air introduced from two or more sides of the body 123, and blocks unnecessary vortices due to the collision.

여기서, 안내판(125)에 의해 구획된 최소한 2개의 공간으로 공기가 분할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관(124)이 몸체(123)에 형성되고, 이는 대기 중인 팬(121)과 작동 중인 팬(121)과는 무관하게 외부의 공기가 몸체(123)의 내부 전체에 고루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안내판(125)에 의해 몸체(123)의 내부가 4개로 구획된 경우 안내판(125)은 대략 십자형으로 배치되고, 4개의 유입관(124)이 각각 안내판(125)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 경우 4개의 유입관(124)에 각각 설치된 팬(121)들 중 1개의 팬(121)이 대기 모드이고, 3개의 팬(121)이 작동하게 되더라도 몸체(123)의 내부 전체에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유입관(124)의 경사 각도가 몸체(123)측으로 상향이지만, 수평 또는 하향으로 배치되더라도 몸체(123)에 유입된 공기는 안내판(125)에 의해 상호 간의 충돌이 방지되면서 그 유동은 언제나 상향을 향하게 된다. 이때, 외부 공기의 일부가 수직 상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플레이트(125a)가 설치되고, 이 안내플레이트(125a)는 안내판(125)의 일면 또는 양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선단부가 굴절된 형상이고, 이 형상으로 인해 공기의 유동을 수직 상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안내플레이트(125a)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하면과 1측면이 개방된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지만, 상,하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측면은 모두 폐쇄된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물론, 안내플레이트(125a)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inlet pipe 124 is formed in the body 123 so that the air can be divided and introduced into at least two spaces defined by the guide plate 125. The inlet pipe 124 is formed in the body 123, So that external air can be uniformly introduced in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body 123.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inside of the body 123 is divided into four by the guide plate 125, the guide plate 125 i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cross shape, and four inlet pipes 124, Are formed over two spaces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s 125, respectively. In this case, even if one of the fans 121 installed in the four inlet pipes 124 is in the standby mode and the three fans 121 are operated, air flows in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body 123 do. Although the inclined angle of the inflow pipe 124 is upward to the body 123 s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23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by the guide plate 125, Facing upward. At this time, a guide plate 125a is installed to allow a part of the outside air to flow vertically upward. The guide plate 125a is protruded from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125, A space is formed which can guide the flow of air vertically upward. The guide plate 125a forms a sp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one side surface are opened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and the other side surfaces can be deformed to form a space of a closed shape. Of course, the guide plate 125a may not be provided.

다른 예로, 도 5a에서와 같이, 안내플레이트(125a)가 형성된 안내판(125)에 의해 몸체(123)의 내부가 3개로 구획된 경우 일정 각도로 배치된 3개의 유입관(124)이 각각 안내판(125)에 의해 구획된 2개의 공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 경우 역시 1개의 팬(121)이 대기모드이고, 2개의 팬(121)이 작동되더라도 몸체(123)의 내부 전체에 공기가 유입된다. 5A, when the inside of the body 123 is divided into three by the guide plate 125 formed with the guide plate 125a, the three inlet pipes 124 arranged at a certain angle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s 125). In this case, one fan 121 is also in the standby mode, and air flows in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body 123 even if the two fans 121 are operated.

또, 도 5b에 도시된 다른 예의 경우는 안내플레이트(125a)가 형성된 십자형의 안내판(125)에 의해 몸체(123)의 내부가 4개로 구획되고, 2개의 유입관(124)이 각각 2개의 공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팬(121)이 함께 작동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필요시 1개의 팬(121)만 작동되도록 하여 몸체(123) 내부의 일부에만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유입관(124)은 하나의 공간에만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5B, the interior of the body 123 is partitioned into four by a cross-shaped guide plate 125 formed with a guide plate 125a, and two inlet pipes 124 are provided in two spaces . In this case, the two fans 121 are operated together, and if necessary, only one fan 121 is operated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only a part of the inside of the body 123. Of course, the inflow pipe 124 may supply air to only one space.

또한, 기체혼합부재(126)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3)와 연소실(112) 사이에 설치되어 몸체(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여 연소실(112)에서 연소되는 가연성 기체와 공기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부재이다. 이 기체혼합부재(126)는 림(127,rim)과 이 림(127)에 방사상형태로 배치되면서 연소실(112)측으로 경사진 다수의 혼합날개(128)로 이루어진다. 이 기체혼합부재(126)는 몸체(123)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기 위해 유입관(124)에 장착될 수도 있고, 몸체(123)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몸체(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기 위해 몸체(123)의 연소실(112)측 개방된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체혼합부재(126)의 구조 및 설치 위치는 공기와 가연성 기체의 혼합을 촉진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2 and 6, the gas mixing member 126 is installed between the body 123 and the combustion chamber 112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123, Which is a member for promoting the mixing of the combustible gas and the air. The gas mixing member 126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ixing blades 128 that are arranged radially on the rim 127 and the rim 127 and are inclined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112 side. The gas mixing member 126 may be mounted on the inlet pipe 124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body 123 or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23,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side of the body 123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structur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as mixing member 126 is very suitable for promoting the mixing of the air and the combustible gas.

그리고, 공기공급부(120)는 댐퍼(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이 댐퍼는 몸체(123)로 유입되거나 몸체(1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로, 안내판(125)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댐퍼는 유입관(124)이나 몸체(123)의 연소실(112)측 상면에 장착되고,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축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적어도 1개의 차단부재를 구비한다. 이 댐퍼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부재가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몸체(123)의 공간을 구획된 공간별로 또는 구획된 공간과 무관하게 일부 또는 전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댐퍼는 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작되고, 감지센서들의 데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The air supply unit 120 further includes a damper (not shown). The damper is a memb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23 or discharged from the body 123,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by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guide plate 125. To this end, the damper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flow pipe 124 or the combustion chamber 112 side of the body 123, and includes at least one blocking member that is axially rotated or slidably moved so as to block the flow of air. The damper is installed to open or close a part of the space of the body 123 by a divided space or a part or whole regardless of the divided space while the blocking member rotates or mov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se dampers are designed to operate automatically or manually depending on the inflow of air and are controlled by the data of the sensors.

다음으로, 공급라인부(130)는 가연성 기체를 버너(113)에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라인(131), 제1공급라인(131)에서 가연성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라인(132),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3공급라인(134)과, 버너(113)가 지속적으로 화염을 방사하도록 연료유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Next, the supply line unit 130 includes a first supply line 131 for supplying the combustible gas to the burner 113, a discharge line 132 for discharging the combustible gas to the atmosphere from the first supply line 131, A third supply line 134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nd a second supply line 133 for supplying the fuel oil such that the burner 113 continuously radiates the flame .

먼저, 제1공급라인(131)은 도 7에서와 같이, 가연성 기체를 저장탱크(,도 8 참조)에서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131a), 온도를 감지하는 제3온도감지센서(131b),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감지센서(131c), 제1공급라인(131)에 유입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1밸브(131d),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중간에서 차단하는 제2밸브(131e)와, 연소실(112)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3밸브(131f)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량감지센서(131a), 제3온도감지센서(131b)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는 제1밸브(131d)보다 선행하여 설치되고, 제1밸브(131d),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는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 제1밸브(131d),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는 저장탱크(200)에서 배출된 가연성 기체가 제1공급라인(131)에 유입되고, 유량감지센서(131a), 제3온도감지센서(131b)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에 의해 유량, 온도 및 압력이 정상으로 측정되면 연소실(112)로 계속 유동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이외에는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제2밸브(131e)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재차 제어하기 위한 안전밸브로, 경우에 따라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제3밸브(131f)는 연소실(112)에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공급 개시와 중단,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개폐된다. 여기서, 제1밸브(131d),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는 연소실(112)에 장착된 다수의 감지센서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7, the first supply line 131 includes a flow rate sensor 131a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see Fig. 8), a third sensor A first valve 131d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 second valve 131d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to the middle And a third valve 131f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second valve 131e closes the combustion chamber 112, Here, the flow rate sensor 131a,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1b,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are installed in advance of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first valve 131d,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are sequentially installed. The first valve 131d,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nd the flow rate sensor 131a, respectively. The flammable ga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tank 200 flows into the first supply line 131,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normally measured by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1b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it is opened so as to continue to flow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is controlled to be shut off. Here, the second valve 131e is a safety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again, and may be excluded as the case may be. The third valve 131f is opened and closed to regulate the supply start, the stop,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131d,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moun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다음으로, 방출라인(132)은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에 설치되어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에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위한 라인이다. 이 방출라인(132)에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방출밸브(132a)가 설치된다. 이 방출밸브(132a)는 연소실(112)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이 차단된 후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로 방출해야하는 경우 개방되고, 이외에는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Next, the discharge line 132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to discharge the combustible gas remaining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to the atmosphere Line. The discharge line 132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132a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The discharge valve 132a is opened when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is shut off and thereafter the combustible gas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is to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

다음으로, 제3공급라인(134)은 불활성 기체를 제1공급라인(131)에 공급하기 위한 라인으로,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에 연결되고, 좀 더 자세하게는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 사이에 연결된다. 이 제3공급라인(134)에는 공급밸브(134a)가 설치되고, 이 공급밸브(134a)는 제1공급라인(131)에서 연소실(112)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가 폐쇄되면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되고, 이외에는 차단되도록 제어된다. Next, the third supply line 134 is a line for supplying the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and more specifically,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The third supply line 134 is provided with a supply valve 134a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so that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from the first supply line 131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is blocked, When the third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are closed, the combustible gas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is opened to release the air to the atmosphere, and is controlled to be shut off.

다음으로, 제2공급라인(133)은 버너(113)가 지속적으로 화염을 방사할 수 있도록 외부의 연료유를 버너(113)에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2공급라인(133)은 가연성 기체 내의 발화 물질의 농도가 낮아져 버너(113)에 의해 자체적으로 연소되기 어려운 경우 버너(113)가 화염을 강제 방사할 수 있도록 연료유를 공급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발생한 화염으로 발화 물질의 농도가 낮더라도 가연성 기체를 완전히 연소시키게 된다. 이 제2공급라인(133)에는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고, 이 밸브의 개폐는 제1공급라인(131)에 설치되어 가연성 기체의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131a), 제2압력감지센서(131c) 또는 화염감지센서(117)의 데이터 값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의 운전 모드 선택에 의해 작동된다. 즉, 가연성 기체가 자체적으로 연소 불가능할 정도로 유량과 압력이 감소하고, 가연성 기체가 공급되지만 화염이 발생하지 않으면 연료유를 공급하여 버너(113)에 화염을 강제 발생시키고, 이 버너(113)의 화염으로 가연성 기체를 지속적으로 연소시킨다. Next, the second supply line 133 is installed to supply the external fuel oil to the burner 113 so that the burner 113 can continuously radiate the flame. The second supply line 133 supplies fuel oil to the burner 113 so that the burner 113 can radiate the flame if the concentration of the ignition material in the combustible gas is low and it is difficult for the burner 113 to burn itself. The resulting flame completely burns the combustible gas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ignitable material is low. A separate valve is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line 133. The valve is opened and closed by a flow sensor 131a for measuring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combustible gas, Is controlled by the data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131c or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7 or is op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That is, if the flow rate and the pressure are reduc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mbustible gas can not be burned by itself, and the flammable gas is supplied but the flame is not generated, the fuel oil is supplied to forcibly generate the flame in the burner 113, Which continuously combusts the combustible gas.

이후, 유량감지센서(131a)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에서 가연성 기체가 연소 불가능할 정도로 유량과 압력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또는 연료유에 의한 버너(113)의 가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가연성 기체를 모두 연소한 것으로 판단하고, 연소실(112)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차단하면서 제2공급라인(133)의 연료유 공급 역시 차단하도록 제어된다. 추가적으로, 가연성 기체가 모두 연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공급라인(131) 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에 방출한다. 이를 위해 방출밸브(132a)를 개방하고, 제1,3밸브(131d,131f)를 차단하며, 공급밸브(134a)와 제2밸브(131e)를 개방하여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불활성 기체를 공급한 후 제1공급라인(131) 내의 모든 가연성 기체가 방출되면 모든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Thereafter, the flow rate and the pressure are markedly reduc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mbustible gas can not be combusted in the flow rate sensor 131a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o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113 by the fuel oil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combustible gas is combusted and the fuel oil supply to the second supply line 133 is also controlled to be blocked while block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bustible gas is all combusted,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o this end, the discharge valve 132a is opened, the first and third valves 131d and 131f are shut off, the supply valve 134a and the second valve 131e are opened, and the inert gas . Further, when all of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is discharged after the inert gas is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controlled to close all the valves.

<연소시스템><Combustion System>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ustion system having the combustion device shown in Fig. 2; Fig.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장치(100), 가연성 기체가 저장된 저장탱크(200), 저장탱크(200)와 연소장치(100)를 연결하는 비압축라인(210), 저장탱크(200)에서 연소장치(100)와 선박의 운행에 필요한 장치로 연결된 압축라인(220)과, 압축라인(220)에 설치된 압축기(221)와 히터(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비압축라인(210)과 압축라인(220)은 도 7에서의 유량감지센서(131a) 이전에서 제1공급라인(131)과 연결되어 연소장치(100)로 연결된다. 여기서, 비압축라인(210)과 압축라인(220)에 연결된 제1공급라인(131)부터의 연소장치(100)는 도 1 및 도 7을 참조로 자세히 상술되어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필요시 간략이 언급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8, a combustion system having a combustible combustible gas combus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apparatus 100, a storage tank 200 in which a combustible gas is stored, a storage tank 200, A compression line 220 connect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in the storage tank 200 by a devi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 and a compressor 221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line 220, And a heater (222). The uncompressed line 210 and the compressed line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nd connect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before the flow rate sensor 131a in FIG. Herein,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from the first supply line 131 connected to the uncompensated line 210 and the compression line 22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

저장탱크(200)에는 초저온으로 액화된 기체가 저장된다. 이 액화된 기체는 일 예로, 액화천연가스인 경우 -165℃ 미만이면서 압력은 대략 0.25bar 미만으로 저장되며,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가연성 기체의 특성에 따라 그 액화된 상태에서의 조건은 다양하다. 여기서, 가연성 기체를 비압축라인(210) 또는 압축라인(220)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각각의 라인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liquefied gas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200 at an extremely low temperature. The liquefied gas is, for example, stored at less than -165 DEG C for liquefied natural gas and less than about 0.25 bar, and the conditions in the liquefied state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combustible gases. Here, a separate pump for supplying the combustible gas to the uncompressed line 210 or the compressed line 220 may be installed in each line.

비압축라인(210)은 저장탱크(200)와 연소장치(100)를 연결하는 라인으로, 저장탱크(200)에서 기화된 회발성 기체의 상태 그대로 연소장치(100)로 공급한다. The uncompressed line 210 is a line connecting the storage tank 200 and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The uncompressed line 210 supplies the uncompensated line 210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in the state of the recycled gas vaporized in the storage tank 200. [

압축라인(220)은 저장탱크(200)에서 연소장치(100) 또는 엔진(230), 보일러(240)와 발전기(250)를 비롯한 연료가 필요한 출력장치에 공급하도록 연결된 라인이다. 이 압축라인(220)에는 가연성 기체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으로 가공하기 위해 압축기(221)와 히터(222)가 설치된다. 일 예로, 압축기(221)에서는 가연성 기체를 대략 6~10bar 정도로 압축하고, 히터(222)에서는 0~100℃ 정도로 가열한다. 물론, 비압축라인(210)과 압축라인(220)에는 저장탱크(200)에서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211)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압축라인(220)에는 연소장치(100) 또는 엔진(230), 보일러(240)와 발전기(250) 등의 출력장치로 가연성 기체가 분리되어 공급되도록 각각의 라인에 별도의 밸브가 더 설치된다.
The compression line 220 is a lin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200 to supply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or the output apparatus requiring the fuel including the engine 230, the boiler 240 and the generator 250. The compression line 220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221 and a heater 222 for processing the combustible gas as a fuel. For example, in the compressor 221, the combustible gas is compressed to about 6 to 10 bar, and the heater 222 is heated to about 0 to 100 ° C. Of course, each of the uncompressed line 210 and the compressed line 220 is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211 for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200. The compression line 2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valve for each line so that the combustible gas is separately supplied to the output device such as the combustion device 100 or the engine 230, the boiler 240 and the generator 250 do.

<제어방법><Control method>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연소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bustion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가연성 기체가 저장탱크에서 연소실에 공급되어 연소되는 정상 모드에서의 연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bustion apparatus in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storage tank and burn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8, and 9. FIG.

본 발명에 따른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은 먼저, 팬(121)를 구동한다(S100). 팬(121)들 중 일부는 대기시키고, 나머지는 가동시킨다. 여기서, 연소실(112)에서 연소시키는 연소량과 연소실(112)에 장착된 다수의 감지센서의 데이터에 따라 팬(121)의 가동수가 정해지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기 중인 팬(121)과 가동하고 있는 팬(121)은 순차적으로 교체 가동 또는 대기하도록 제어된다. 이 팬(121)의 가동에 의해 윈드박스(122)의 몸체(123)의 측방에서 유입된 공기는 안내판(125)에 의해 상승하여 기체혼합부재(126)를 통과하여 연소실(112)로 공급된다. 또한, 댐퍼 역시 공기가 연소실(112)에 충분히 공급되도록 개방된다. In the control method for the combustible gas of the combustible g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an 121 is driven (S100). Some of the fans 121 are put on standby, and the rest are started.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an 1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mbustion to be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the data of a number of sensor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fan 121 is controlled so as to be alternately operated or waiting sequential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ide of the body 123 of the wind box 122 by the operation of the fan 121 is raised by the guide plate 125 and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rough the gas mixing member 126 . In addition, the damper is also opened so that air is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다음으로, 방출밸브(132a)를 개방하며, 제1,3밸브(131d,131f)를 폐쇄한다(S110). 이를 통해 제1공급라인(131)의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에 잔류할 수 있는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으로 완전히 배출한다. 이때, 공급밸브(134a)를 개방하여 비가연성 기체를 제1공급라인(131)에 공급함으로써,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Next, the discharge valve 132a is opened and the first and third valves 131d and 131f are closed (S110). The combustible gas remaining i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of the first supply line 131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t this time, by opening the supply valve 134a to supply the non-combustible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the combustible gas may b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다음으로, 방출밸브(132a)를 폐쇄하고, 제1밸브(131d),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를 개방한다(S120). 이때, 유량감지센서(131a), 제3온도감지센서(131b)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각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연소실(112)에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공급량,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3밸브(131f)의 개방 속도와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제3온도감지센서(131b)의 측정된 데이터는 제3밸브(131f)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에서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가연성 기체가 연소되는 동안 유량감지센서(131a)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에 의해 가연성 기체의 유량 및 압력을 기초로 하여 연소실(112)에서의 연소량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밸브(131d),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연소실(112)에 유입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량을 조절한다. 또한, 가연성 기체의 유동량에 따라 팬(121)과 댐퍼를 제어한다. 일 예로, 유량감지센서(131a)와 제2압력감지센서(131c)에서 측정된 값이 상승(또는 하강)하여 일시적으로 비상 모드가 되는 경우 제3밸브(131f)를 제어하여 유량과 압력을 하강(또는 상승)시켜 정상 모드로 복귀시킨다. 이때, 제3밸브(131f)의 조작으로 인해 연소실(112)에 유입되는 가연성 기체의 양에 따라 팬(121)의 가동 대수와 댐퍼의 개방 정도 역시 조절한다. Next, the discharge valve 132a is closed, and the first valve 131d,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are opened (S120). At this time, the data measured by the flow rate sensor 131a,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1b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are determined to be normal, The opening speed and opening degree of the third valve 131f are adjusted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supplied combustible gas,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 are within a certain range. Here, the measured data of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1b may be excluded from the data for controlling the third valve 131f. Also, during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ble gas, the amount of combus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can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combustible gas by the flow rate sensor 131a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At least one of the first valve 131d,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is operat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Further, the fan 121 and the damper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low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flow rate sensor 131a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rise (or fall) and temporarily enter the emergency mode, the third valve 131f is controlled to lower the flow rate and the pressure (Or rises) and returns to the normal mode. At this time, the movable number of the fan 121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damper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12 due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valve 131f.

끝으로, 연소실(112)에서 버너(113)를 가동하고,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켜 대기로 배출시킨다(S130). 이때, 제1온도감지센서(114), 제1압력감지센서(115), 제2온도감지센서(116)와 화염감지센서(117)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정상으로 측정되면 지속적으로 안정된 연소가 유지된다.
Finally, the burner 113 is op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the combustible gas is combusted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S130). At this time, if the measured data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the first pressure sensor 115,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16, and the flame sensor 117 are measured normally, do.

이하에서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시 비상 모드에서의 가연성 기체의 공급이 불가능한 각각의 경우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ach case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supply the combustible gas in the emergency mode when the combustible gas is combusted will be described.

일 예로, 팬(121)의 오작동과 화염감지센서(117)의 오작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1공급라인(131)의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를 차단하면서 제2밸브(131e)를 개방하고, 방출라인(132)의 방출밸브(132a)와 제3공급라인(134)의 공급밸브(134a)를 개방하여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여 제1공급라인(131) 내의 가연성 기체를 즉시 대기 중에 방출한다. For example, when a malfunction of the fan 121 and a malfunction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7 are detected,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of the first supply line 131 are shut off, The discharge valve 132a of the discharge line 132 and the supply valve 134a of the third supply line 134 are opened to supply an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The combustible gas in the supply line 131 is immediate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다른 예로, 제1온도감지센서(114), 제1압력감지센서(115)와 제2온도감지센서(116)에서 측정된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 제3밸브(131f)를 제어하여 가연성 기체의 공급을 감소시킨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설정값이 초과된 상태를 유지하면 제1밸브(131d)를 차단하면서 제2밸브(131e)를 개방하고, 방출밸브(132a)와 공급밸브(134a)를 개방하여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여 제1공급라인(131) 내의 가연성 기체를 즉시 대기 중에 방출한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the first pressure sensor 115,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16 exceed the set value, the third valve 131f is first controlled Thereby reducing the supply of combustible gas. Thereafter, if the predetermined value is exceed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second valve 131e is opened while the first valve 131d is closed, and the discharge valve 132a and the supply valve 134a are opened An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to immediately discharge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into the atmosphere.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저장탱크에서 기화된 가연성 기체를 이용하여 연료로 사용하거나 연소시키기 위해 연소장치로 가연성 기체를 유동하도록 이루어진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mbustion system control method having a combustible gas combusting apparatus configured to flow a combustible gas into a combustion apparatus for use as a fuel or using a combustible gas vaporized in a storage tank do.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bustion system shown in Fig.

먼저, 저장탱크(200)에서 기화된 가연성 기체를 공급한다(S200). 저장탱크(200)에 저장된 기체는 일 예로 -165℃ 미만이거나 0.25bar 미만의 액화된 기체이고, 이 기체가 외부의 열에 의해 기화되어 가연성 기체로 전환되면 이 가연성 기체를 공급한다. 이때, 가연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가동될 수도 있다. First, the vaporized combustible gas is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200 (S200). The gas stored in the storage tank 200 is, for example, a liquefied gas having a temperature of less than -165 DEG C or less than 0.25 bar, and this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ble gas when it is vaporized by external heat to be converted into a combustible gas. At this time, a separate pump for supplying the combustible gas may be operated.

다음으로, 가연성 기체를 연료로 사용할지 연소시킬지를 판단한다(S210).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bustible gas is to be used as fuel or combusted (S210).

다음으로, 가연성 기체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압축라인(220)이 개방된다(S220). 이 경우, 가연성 기체가 조절밸브(211)의 조작으로 개방된 압축라인(220)을 따라 압축기(221)와 히터(222)를 거쳐 엔진(230), 보일러(240) 또는 발전기(250) 등의 출력장치의 연료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는 대략 0~100℃ 이거나 6~10bar 정도가 되도록 압축기(221)와 히터(222)에 의해 가공된다. 또한, 연료로 사용하고 남은 가연성 기체는 연소장치(100)로 공급되도록 별도의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Next, when the combustible gas is used as the fuel, the compression line 220 is opened (S220). In this case, a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engine 230, the boiler 240, or the generator 250 through the compressor 221 and the heater 222 along the compression line 220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valve 211 And is supplied as fuel of the output device. At this time, the combustible gas to be supplied is processed by the compressor 221 and the heater 222 so as to be about 0 to 100 ° C or about 6 to 10 bar. In addition, the remaining combustible gas used as fuel is controlled by a separate valve so as to be suppli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다음으로, 가연성 기체를 연소하는 경우, 비압축라인(210)이 개방된다(S230). 이 경우, 가연성 기체는 대기압 상태로 연소장치(100)로 공급된다. 연소장치(100)로 공급된 가연성 기체는 상술된 단계를 거쳐 연소된다. Next, when the combustible gas is burned, the uncompressed line 210 is opened (S230). In this case, the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at atmospheric pressure.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is bur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s.

끝으로, 압축라인(220) 개방 단계(S220)과 비압축라인(210) 개방 단계(S230)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가연성 기체를 연소장치(100)로 공급한다(S240). 이후 연소장치(100)에서 가연성 기체를 연소한다.
Finally, some or all of the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S240) in the compression line 220 opening step S220 and the uncompressed line 210 opening step S230. Thereafter, the combustor 100 combusts the combustible gas.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저장탱크에서 액화된 가연성 기체가 하역된 이후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완전히 방출하는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키는 제어방법은 기화된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키는 제어방법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1, a control method of completely discharging the combustible gas remaining after the liquefied combustible gas is unloaded from the storage tank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 method of burning the remaining combustible gas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of burning the vaporized combustible gas, so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연소시스템에서 가연성 기체를 하역 이후의 후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a post-process after the unloading of the combustible gas in the combustion system shown in Fig.

먼저, 팬(121)을 구동한다(S300). First, the fan 121 is driven (S300).

다음으로, 방출밸브(132a)를 개방하고, 제1,3밸브(131d,131f)를 폐쇄한다(S310). 이때,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에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에 완전히 배출한다.Next, the discharge valve 132a is opened and the first and third valves 131d and 131f are closed (S310). At this time, the combustible gas remaining i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is completely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다음으로, 방출밸브(132a)를 폐쇄하고, 제1,2,3밸브(131d,131e,131f)를 개방한다(S320). Next, the discharge valve 132a is closed,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valves 131d, 131e and 131f are opened (S320).

다음으로, 저장탱크(200)에 잔류하는 가연성 기체를 배출하기 위해 불활성 기체를 저장탱크(200)에 공급한다(S330). Next, in order to discharge the combustible gas remaining in the storage tank 200, an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200 (S330).

다음으로, 압축라인(220) 또는 비압축라인(210)을 통해 제1공급라인(131)으로 가연성 기체를 공급한다(S340). Next, the combustible gas is supplied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through the compression line 220 or the uncompressed line 210 (S340).

다음으로, 연소실(112)에서 버너(113)를 가동하고,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켜 대기로 배출시킨다(S350). 이때, 버너(113)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스파크를 상시 발생시키는 점화플러그를 가동하여 가연성 기체를 연소시킨다. Next, the burner 113 is op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2, and the combustible gas is burned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S350). At this time, an ignition plug, which is provided in the burner 113 to generate an electrical spark at all times, is operated to burn the combustible gas.

다음으로, 제2압력감지센서(131c), 유량감지센서(131a) 또는 화염감지센서(117)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버너(113)에 연료유를 공급한다(S360). 제2압력감지센서(131c)와 유량감지센서(131a)에서 가연성 기체의 압력, 유량을 측정하여 가연성 기체의 자체 연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거나, 화염감지센서(117)에서 화염이 감지되지 않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면 가연성 기체 내의 발화 물질의 농도가 낮아져 자체 연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제2공급라인(133)을 통해 연료유를 공급하여 버너(113)가 화염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연료유에 의해 화염이 방사되는 동안에도 가연성 기체의 공급은 지속되면서 연소된다. Next, fuel oil is supplied to the burner 113 based on the measured data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the flow rate sensor 131a or the flame sensor 117 (S360). The pressure and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are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and the flow rate sensor 131a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self-combustion of the combustible gas is impossible or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flame is not detected by the flame sensor 117 The concentration of the ignitable material in the combustible gas is lowered to determine that self-combustion is impossible, and the fuel oil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133 so that the burner 113 can emit the flame. Thus, while the flame is being radiated by fuel oil, the supply of flammable gas continues to burn.

다음으로, 가연성 기체의 연소가 완료되면 가연성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면서 버너(113)의 작동을 중지한다(S370). 이때, 제2압력감지센서(131c)와 유량감지센서(131a)에서 측정된 가연성 기체의 압력과 유량이 연소 불가능할 정도로 현저히 감소되거나 연료유에 의한 버너(113)의 가동이 일정 시간 경과되면 가연성 기체를 모두 연소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3밸브(131f)를 차단하면서 제2공급라인(133)을 차단한다. 또한, 연료유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버너(113)의 작동을 중지한다. Next, when the combustion of the combustible gas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the burner 113 is stopped while the supply of the combustible gas is stopped (S370). 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measur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131c and the flow rate sensor 131a are remarkably reduc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combustion can not be performed or when the operation of the burner 113 by the fuel oil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judged that all of them are burnt, and the second supply line 133 is shut off while blocking the third valve 131f. Further, the operation of the burner 113 is stopped while the supply of the fuel oil is blocked.

다음으로, 제1공급라인(131) 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S380). 이를 위해, 방출밸브(132a)를 개방하고, 제1,3밸브(131d,131f)를 차단하며, 공급밸브(134a)와 제2밸브(131e)를 개방하여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한다. 정확하게는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내로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고,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내의 불활성 기체가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Next,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S380). To this end, the discharge valve 132a is opened, the first and third valves 131d and 131f are shut off, the supply valve 134a and the second valve 131e are opened, and the first supply line 131 is inactivated The gas is supplied. The inert gas is supplied into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precisely and the inert gas i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i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끝으로, 일정 시간 동안 불활성 기체를 공급한 후 제1공급라인(131) 내의 모든 가연성 기체가 방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든 밸브를 폐쇄한다(S390).
Finally, after the inert gas is suppli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combustible gase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have been discharged, and all the valves are closed (S390).

이와 같이,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어방법에서 제1공급라인(131), 연소실(112), 제2공급라인(133)과 제3공급라인(134)에서의 가연성 기체의 유동, 연소, 연료유의 공급과 중단, 불활성 기체의 공급과 중단, 연소시 비상 모드의 전환 등에 따른 각종 밸브의 개폐는 각종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측정 데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술된 각종 센서들은 필요에 의해 설치되거나 배제될 수 있으며, 이들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설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in the first supply line 131, the combustion chamber 112, the second supply line 133, and the third supply line 134, Opening and closing of various valves due to supply and interruption of fuel oil, supply and stop of inert gas, switching of the emergency mode during combustion, and the like are controlled by measurement data of at least one sensor among various sensors. In addition, the various sensors described above can be installed or excluded as needed, and at least one of these sensors is selected and install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연소장치 110:연소부
111:연소로 112:연소실
113:버너 114:제1온도감지센서
115:제1압력감지센서 116:제2온도감지센서
117:화염감지센서 120:공기공급부
121:팬 122:윈드박스
123:몸체 124:유입관
125:안내판 125a:안내플레이트
126:기체혼합부재 127:림
128:혼합날개 130:공급라인부
131:제1공급라인 131a:유량감지센서
131b:제3온도감지센서 131c:제2압력감지센서
131d:제1밸브 131e:제2밸브
131f:제3밸브 132:방출라인
132a:방출밸브 133:제2공급라인
134:제3공급라인 134a:공급밸브
200:저장탱크 210:비압축라인
211:조절밸브 220:압축라인
221:압축기 222:히터
230:엔진 240:보일러
250:발전기.
100: Combustion apparatus 110: Combustion unit
111: combustion furnace 112: combustion chamber
113: burner 114: first temperature sensor
115: first pressure sensing sensor 116: second temperature sensing sensor
117: Flame detection sensor 120: Air supply unit
121: fan 122: wind box
123: body 124: inlet pipe
125: guide plate 125a: guide plate
126: gas mixing member 127: rim
128: mixing blade 130: supply line portion
131: first supply line 131a: flow rate sensor
131b: third temperature sensor 131c: second pressure sensor
131d: first valve 131e: second valve
131f: third valve 132: discharge line
132a: discharge valve 133: second supply line
134: third supply line 134a: supply valve
200: Storage tank 210: Uncompressed line
211: regulating valve 220: compression line
221: compressor 222: heater
230: engine 240: boiler
250: generator.

Claims (16)

가연성 기체를 연소하는 연소부(110), 연소부(1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20)와, 상기 연소부(110)에 가연성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라인부(130)를 구비하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부(130)는 측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방의 연소부(11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윈드박스(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A combustion unit 110 for combusting a combustible gas, an air supply unit 120 for supplying air to the combustion unit 110, and a supply line unit 130 for supplying a combustible gas to the combustion unit 110 In the apparatus,
Wherein the supply line unit (130) includes a wind box (122) configured to supply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ide to the upper combustion unit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122)는 상기 연소로(11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연소로(111)측 일면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면서 외형 또는 중공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인 몸체(123)와, 상기 공기가 측방에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123)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적어도 2개의 유입관(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combustion furnace 111, the wind box 122 is formed with at least a hollow opening 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111,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or hollow is a polygonal body including a circular or square shape. (123), and at least two inlet pipes (124)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body (123) so that the air flows in from the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박스(122)는 상기 몸체(123)의 내부를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분할 구획함과 더불어 상기 다수의 유입관(124)으로 유입된 공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상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몸체(123)에 내장된 안내판(1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d box 122 divides the inside of the body 123 into at least two spaces and prevents the air from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inlet pipes 124 while inducing the flow of air upward And a guide plate (125) built in the body (123) to guide the combustion ga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5)에 의해 2~4개로 분할 구획된 상기 몸체(123)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2개의 공간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상기 유입관(12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pipe (124) is provided to introduce air into at least two spaces amo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body (123) divided into 2 to 4 by the guide plate (125)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일부가 안내판(125)을 따라 수직으로 상향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125)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일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안내플레이트(125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guide plate (125a) is provided to have a space in which air is partially introduced in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uide plate (125) so that a part of the air can vertically flow upward along the guide plate (125) Combustion apparatus for combustible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120)는 상기 유입관(124)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팬(121)과, 상기 연소로(111)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연성 기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윈드박스(122)의 내부 또는 상기 윈드박스(122)와 연소로(111) 사이에 설치된 기체혼합부재(12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unit 120 includes a fan 121 installed to supply air to the inflow pipe 124 and a fan 121 installed in the wind box 122 to facilitate mixing of the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path 111 and the combustible gas. Further comprising a gas mixing member (126) installed between the wind box (122) and the combustion furnace (111) in the combustion cha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혼합부재(126)는 림(127)과, 림(127)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연소실(122)측으로 경사져 장착된 다수의 혼합날개(1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mixing member (126) comprises a rim (127) and a plurality of mixing vanes (128) mounted radially from the rim (127) and inclined towards the combustion chamber (122) Combus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팬(121)들은 대기와 작동이 교대로 진행되고, 상기 몸체(123)의 분할된 공간 전체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선택된 팬(121)들이 작동하고, 나머지 팬(121)은 대기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ans 121 are alternately operated in the atmosphere and operated so that the selected fans 121 are operated to supply air to the entire divided space of the body 123 and the remaining fans 121 are controlled to wa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ustion device of the combustible combustible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부(130)는 상기 버너(113)에 가연성 기체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제1공급라인(131)과, 상기 가연성 기체에 의한 화염 발생 빈도가 일정 횟수 이하가 되면 상기 버너(113)에 연료유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제2공급라인(1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line unit 130 includes a first supply line 131 installed to supply a combustible gas to the burner 113 and a second supply line 131 connected to the burner 113, And a second supply line (133) installed to supply o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라인(131)에는 제1공급라인(131)에 유입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감지센서(131a), 상기 가연성 기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감지센서(131b), 상기 가연성 기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압력감지센서(131c), 상기 감지센서들을 통과한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131d), 상기 제1밸브(131d)를 통과한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제2밸브(131e), 상기 제2밸브(131e)를 통과하여 연소실(122)로 공급되는 가연성 기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3밸브(131f)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upply line 131 includes a flow rate sensor 131a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to the first supply line 131, a third temperature sensor 131b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ble gas, A first pressure sensor 131c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combustible gas, a first valve 131d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passing through the sensing sensors, a second valve 131d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combustible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valve 131d, And a third valve 131f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ble ga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22 through the second valve 131e. A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combustible ga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의 가연성 기체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해 방출밸브(132a)가 구비된 방출라인(132)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line (132)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132a) for discharging the combustible gas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to the atmospher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부(130)는 제1공급라인(131)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1밸브(131d)와 제3밸브(131f) 사이 또는, 제2밸브(131e)와 제3밸브(131f) 사이에 연결된 제3공급라인(134)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공급라인(134)에는 불활성 기체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134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ly line uni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valve 131d and the third valve 131f or between the second valve 131e and the third valve 131f to supply an inert gas to the first supply line 131. [ , And a third supply line (134)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upply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supply line (134) is provided with a supply valve (134a)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inert g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10)는 버너(113), 버너(113)가 내장된 연소실(122), 연소실(122)에서 연소되는 가연성 기체의 연소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4), 연소실(122)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제1압력감지센서(115), 연소시 발생하는 버너(113)의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117)와, 연소후 대기로 배출되는 배기온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unit 110 includes a burner 113, a combustion chamber 122 in which the burner 113 is installed,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4 for measur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the combustible gas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22, A flame detection sensor 117 for detecting the flame of the burner 113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117 for detecting the flame of the second And a temperature sensor (116). &Lt; RTI ID = 0.0 &gt; [0002]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10)는 상기 연소실(122)을 감싸도록 배치된 연도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소실(122)과 연도관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20)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bustion unit 110 further includes a flue pipe arranged to surround the combustion chamber 122,
Wherein the air blown from the air supply unit (120) flows into a space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122) and the flue tub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2)의 측면에는 연소실(122)과 연도관 사이를 상향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연소실(122)로 유입되고, 연소실(122)의 열기가 연도관측으로 측방 방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소실(122)측으로 상향 기울어져 천공된 공기유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flowing upwar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122 and the flue pipe flow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22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o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2 and the heat of the combustion chamber 122 is discharged laterally Wherein the air inlet hole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122) side so as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combustion chamber (1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연소장치(100);
액화상태의 가연성 기체가 저장된 저장탱크(200);
상기 저장탱크(200)에서 기화된 가연성 기체가 상기 연소장치(100)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압축라인(220) 또는 비압축라인(210);
상기 압축라인(220)에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의 일부가 공급되는 엔진(230), 보일러(240)와 발전기(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라인(220)에는 출력장치로 유동하는 가연성 기체를 가공하기 위한 압축기(221) 또는 히터(222)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라인(220)과 비압축라인(210)에는 가연성 기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밸브(2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된 가연성 기체의 연소장치를 구비한 연소시스템.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A storage tank 200 storing a combustible gas in a liquefied state;
A compression line (220) or an uncompressed line (210) installed to flow the combustible gas vaporized in the storage tank (200) to the combustion apparatus (100);
An output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engine (230), a boiler (240) and a generator (250) to which a part of the combustible gas flowing in the compression line (220) is supplied,
The compression line 220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221 or a heater 222 for processing a combustible gas flowing to an output device,
Wherein the compression line (220) and the uncompressed line (210) are provided with a control valve (2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combustible gas.
KR1020140077933A 2014-06-25 2014-06-25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KR101621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933A KR101621829B1 (en) 2014-06-25 2014-06-25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933A KR101621829B1 (en) 2014-06-25 2014-06-25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25A true KR20160000625A (en) 2016-01-05
KR101621829B1 KR101621829B1 (en) 2016-05-17

Family

ID=5516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933A KR101621829B1 (en) 2014-06-25 2014-06-25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2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093A (en) * 2016-04-26 2017-11-03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Boiler
EP3540430A3 (en) * 2018-03-15 2019-10-09 Ngk Insulator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response time of gas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302A (en) 2009-05-15 2010-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fuel gas supply system and a lng carrier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803B1 (en) 2005-06-22 2006-01-11 한국기계연구원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302A (en) 2009-05-15 2010-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fuel gas supply system and a lng carrier with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093A (en) * 2016-04-26 2017-11-03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Boiler
KR101875491B1 (en) * 2016-04-26 2018-07-06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Boiler
EP3540430A3 (en) * 2018-03-15 2019-10-09 Ngk Insulator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response time of gas sensor
US11016069B2 (en) 2018-03-15 2021-05-25 Ngk Insulator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response time of gas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29B1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253Y1 (en) Premix Combustion Device of Gas Burner
CA2569182C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djusting temperature levels at predetermined locations in a boiler system
US20150010872A1 (en) Hot Surface Igniter With Fuel Assist
CN114616423A (en) Surface stabilized fully premixed gas premix burner for burning hydrogen and method for starting such burner
CA2822267C (en) Combusting vent gases using an auxiliary burner
US11175034B2 (en) Burner and air supply assembly for horizontal immersion tube boilers
KR101621829B1 (en) Combustion device for vaporized flammable gas and combustion system thereof
KR101018775B1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heating water in Boiler
KR1016275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busting vaporized flammable gas
JP2010032124A (en) Gas combustor
US11725813B2 (en) Variable feed enclosed combustor system and method for its use
JPH08110040A (en) Ignition method for regenerative burner
CN104676586A (en) Micro-gas ignition and combustion-supporting combustor and micro-gas ignition system
WO2000050815A1 (en) Oxygen depletion sensor
JP6277873B2 (en) boiler
KR20140005597U (en) Pellet stove
JPH10232019A (en) Combustion device for hot water supply
JP5884875B1 (en) Water heater
JP5777210B2 (en) Boiler with pilot combustion
JP2008145087A (en) Gas burner
KR100888452B1 (en) Gas ignitor for boiler
US20050079459A1 (en) Flammable vapour detector system for hot water heater
JP3913246B2 (en) Barn pound bubble cap
US10401026B2 (en) Auxiliary burner assembly and control system for combusting vent gases in petroleum production and processing
JP6034610B2 (en) Liquefied fuel gas vapo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