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04U - Block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lock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04U
KR20160000604U KR2020140006041U KR20140006041U KR20160000604U KR 20160000604 U KR20160000604 U KR 20160000604U KR 2020140006041 U KR2020140006041 U KR 2020140006041U KR 20140006041 U KR20140006041 U KR 20140006041U KR 20160000604 U KR20160000604 U KR 201600006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ool
main body
hook
compon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7873Y1 (en
Inventor
김기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73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0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7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부품플레이트(20)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면서도 분리가 쉽게 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결합후크(16)가 다수 곳에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후크(16)의 폭방향 양측에는 안착결합턱(17)이 형성되어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걸이면(27)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의 사이에 해당되는 결합후크(16)의 표면에는 안내돌부(18)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부(18)에 인접한 위치에는 공구지지리브(19)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에는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안착되는 걸이면(27)의 사이에 공구걸이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에는 걸이공간(32)이 있어 공구(40)의 끝부분이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후크(16)를 탄성변형시켜 걸이면(27)에서 안착결합턱(17)이 분리되면서 상기 부품플레이트(20)를 들어올려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가게 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 하부에 형성된 임시공간(38)에 위치하면 부품플레이트(20)와 메인몸체(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결합후크(16)에 대한 작업을 차례로 진행하면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plate 20 is firmly mounted on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forming the skeleton of the automobile block, and is easily separated. A plurality of coupling hooks 16 are formed on the main body 10. The coupling hooks 1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ok 16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pling hook 16, As shown in Fig. A guide protrusion 18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engaging hook 16 between the seating engaging protrusions 17 and a tool supporting rib 19 protrudes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guide protrusion 18 . The part plate 20 is provided with a tool holding portion 28 between the rear surface 27 on which the seating engaging step 17 is seated. The tool hooking portion 28 is provided with a hooking space 32 to elastically deform the hooking hook 16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tool 40 is hooked, The component plate 2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13 while being separat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component plate 20 and the main body 10 can be maintained in a released state when the seatback coupling jaw 17 is positioned in the temporary space 38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surface 27, If the operation of the hook 16 is successively carried out, the component plate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Block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block that allows easy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lock.

자동차에서는 각종 부품이 집적되어 사용되는 블럭, 예를 들면, 정션블럭이나 퓨즈블럭 등과 같은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블럭은 여러 종류의 부품을 집적하여 사용하므로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차의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In automobiles, many blocks such as junction blocks and fuse blocks are used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integrated. These blocks integrate various kinds of parts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automobile can be utilized well and the assembly work of the automobile is made easier.

도 1에는 자동차용 블럭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자동차용 블럭(1)의 골격을 메인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3)에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있는데,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7)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3)의 측벽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결합후크(5)가 있다. 상기 결합후크(5)는 상기 측벽의 일부를 잘라 형성한 것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다.1 shows an example of a vehicle block, in which a main body 3 forms a skeleton of an automobile block 1.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3 has an inner space open to the top, to which a component plate 7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here are a number of coupling hooks 5 along the side wall edge of the main body 3. The coupling hook 5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into a cantilever shape,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메인몸체(3)의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에는 부품플레이트(7)가 장착되는데, 상기 부품플레이트(7)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9)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9)에는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장착되어 상기 메인몸체(3)나 부품플레이트(7)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7)에는 상기 결합후크(5)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5)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턱이 걸어진다.A part plate 7 is mounted in an inner space op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3 and 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arts 9 are formed on the component plate 7. A component such as a fuse or a relay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9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3 or the component plate 7. [ A coupl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component plate 7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 5 so that the coupling tab formed at the tip of the coupling hook 5 is hooked.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상기 부품플레이트(7)와 메인몸체(3) 사이의 결합은 견고하게 되어야 한다. 하지만, 결합이 견고하다는 것은 조립이나 분해작업이 어렵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메인몸체(3)에서 부품플레이트(7)를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다. 이는 메인몸체(3)와 부품플레이트(7)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결합후크(5)는 다수 곳에 있고, 상기 결합후크(5)가 결합홈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In the automotive block,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 plate 7 and the main body 3 must be rigid. However, the robustness of the bond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assemble or disassemble it. In particular,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ponent plate 7 from the main body 3 is very difficult.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hooks 5 for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3 and the component plate 7 are located in a plurality of places and the coupling hooks 5 are designed not to be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s.

따라서, 메인몸체(3)와 부품플레이트(7)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하면서도 분리시에는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중 하나이다.
Therefore, it is one of the problems to be improved in the automobile block that the main body 3 and the component plate 7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at the time of separation.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689264호Korean Patent No. 10-0689264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1440호Korean Utility Model No. 20-0441440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motor vehicl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block are firmly 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e separating operation is facilit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부품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플레이트에 걸어지는 안착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대응되는 부품플레이트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걸어지는 걸이면과, 상기 걸이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부에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공구걸이부와, 상기 걸이면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상기 걸이면에서 분리된 후에 임시로 위치되는 임시공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obile block having a component plate mounted on an inner space of a main body, the automobile block having a cantilever shape on a side wall of the main body, A coupling hook formed at a position on the component plat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 and having a seating coupling jaw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late, And a temporary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so as to be temporarily position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

상기 결합후크의 표면중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측벽과 마주보는 표면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안착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결합턱의 사이에 안내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eating hoo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ok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facing the side walls of the plate, and the guide protrusions are protruded between the seating hooks.

상기 안내돌부에 인접하여 공구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공구지지리브가 더 형성된다.A tool support rib is formed adjacent to the guide projection to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tip of the tool is inserted.

상기 걸이면은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아도록 형성된 결합홈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The back surface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상기 공구걸이부의 전면부는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측벽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The front portion of the tool hold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cave to the plate side wall of the component plate.

상기 공구걸이부의 하부로는 안내리브가 형상되어 상기 결합후크에 형성된 안내돌부와 공구지지리브를 안내한다.
A guide ri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ol holding portion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coupling hook and the tool supporting rib.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메인몸체와 부품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한 구성에서 분리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관통부가 형성되어 공구를 메인몸체의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공구를 사용하여 결합후크를 부품플레이트에서 해제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공간에 메인몸체의 안착결합턱을 임시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부품플레이트를 메인몸체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ol penetration portion for inserting a separating tool in a structure for coupling a main body and a component plate constituting an automobile block is formed, so that the tool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Since the seat coupling jaw of the main body can be temporarily placed in the separation space so that the hook can be released from the component plate,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ponent plate from the main body is facilitated.

도 1은 자동차용 박스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를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부품플레이트를 메인몸체에 분리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utomobile box;
Fig. 2 is a princip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tomobil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ure 6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the use of a tool to separate a part plate into a main bod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ceiv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블럭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 것으로, 외측면을 몸체측벽(12)이 형성한다. 상기 몸체측벽(12)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3)은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부로 개방되는 것과 하부로 개방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가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main body 10 forms a skeleton of an automobile block. The main body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the body side wall 12 has an outer side surface. An internal space 13 is formed inside the body side wall 12. The internal space 13 may be ope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open to the lower portion. In the inner space 13, a component plate 2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상기 메인몸체(10)의 몸체측벽(12)에는 다수 곳에 탄성슬릿(14)에 의해 결합후크(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슬릿(14)이 상기 몸체측벽(12)의 상단까지 한쌍 씩 형성됨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16)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후크(16)는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에 걸어져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안착되어 있도록 고정한다.A coupling hook 16 is formed on the body side wall 12 of the main body 10 by a plurality of elastic slits 14. That is, the pair of elastic slits 14 are form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side wall 12, so that the coupling hook 16 is formed into a cantilever shape. The coupling hook 16 is fixed to the component plate 20 to be described below so that the component plate 2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

상기 결합후크(16)중에서 상기 내부공간(13)의 내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결합턱(1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은 본 실시례에서는 한쌍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후크(16)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결합턱(17)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플레이트(20)의 결합홈부(26) 바닥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4, a seating coupling step 17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coupling hook 16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3.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the seating engagement jaws 17 is formed. That is, one pai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ok 16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ating engagement jaw 17 is hooked to the bottom edge of the engagement groove 26 of the part plate 2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안착결합턱(17)의 사이에는 안내돌부(1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리브(34)를 안내하여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정확하게 삽입되게 한다. 상기 안내돌부(18)는 상기 결합후크(16)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공구(40)의 지지점 역할도 한다.A guide protrusion (18) protrudes between the seats (17). The guide protrusion 18 guides the guide rib 34 to be described below and allows the component plate 20 to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 The guide protrusion 18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coupling hook 16 and serves as a fulcrum for the tool 40 described below.

상기 결합후크(16)에는 상기 안내돌부(18)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공구지지리브(1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안내돌부(18)와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메인몸체(10)에서 부품플레이트(20)를 분리하기 위한 공구(40)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정도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공구지지리브(19)는 상기 안내돌부(18)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안내리브(34)에 안내된다.The coupling hook 16 is formed with a tool support rib 19 protruding from the guide protrusion 18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ool support ribs 19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guide projections 18. The tool support rib 19 is a portion for guiding the extent to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tool 40 for separating the component plate 20 from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The tool support ribs 19 are guided along with the guide protrusions 18 to guide ribs 3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안착되는 부품플레이트(20)는 대략 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는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판으로 되는데, 이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의 평면형상과 같은 형상이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외측면을 플레이트측벽(22)이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의 내면과 마주보게 된다. The part plate 20, which is seated in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mponent plate 2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which has the same shape as the plane of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And the plate side wall 22 form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20. The plate side wall 22 faces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4)에는 예를 들면, 릴레이나 퓨즈 등의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4)가 형성된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몸체(10)의 결합후크(1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홈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부(26)는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결합홈부(26)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component mounting portions 2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20.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4 is provided with components such as a relay and a fuse. A coupling groove portion 26 is formed at a surface edge of the component plate 20 on which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 16 of the main body 10. The engaging groove portion 26 is formed so as to concavely enter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20. However, the engaging groove portion 26 is not necessarily formed.

상기 결합홈부(26)의 바닥면에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해당되는 가장자리는 걸이면(27)이 된다. 상기 걸이면(27)에는 상기 결합후크(16)의 안착결합턱(17)이 안착되어 걸어진다. 만약, 상기 결합홈부(26)가 없다면 상기 안착결합턱(17)은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표면이 된다.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plate side wall 2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26 becomes the back side 27. The seat back 27 is seated on the seat back 17 of the coupling hook 16. If the engaging groove 26 is not provided, the seating engaging step 17 becomes the surface of the part plate 20.

상기 결합홈부(26)에는 공구걸이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는 상기 결합홈부(26)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공구걸이부(28)의 전면부(30)는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플레이트측벽(22)보다는 오목하게 들어간다. 이와 같이 공구걸이부(28)의 전면부(30)가 플레이트측벽(22)보다 오목하게 들어감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0)의 결합후크(16)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틈새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구관통부(29)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구관통부(29)는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기 위한 공구(4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The engaging groove portion 26 is formed with a tool holding portion 28. The tool holding portion 28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engaging groove 26. The front portion 30 of the tool holding portion 28 is concave rather than the plate side wall 22 of the component plate 20. The front portion 30 of the tool holding portion 28 is concave as compared with the plate side wall 22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coupling hook 16 of the main body 10. The clearance forms a tool penetration 29 as shown in FIG. The tool penetration portion 29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tool 40 for separating the component plate 20 from the main body 10 passes.

상기 공구걸이부(28)의 내부에는 걸이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간(32)은 공구(40)의 끝부분이 걸어지면서 메인몸체(10)에 대해 부품플레이트(20)가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부분이다.A hooking space (32) is formed in the tool holding part (28). The hooking space 32 is a portion that allows the part plate 20 to be lifted up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the end of the tool 40 is hooked.

상기 공구걸이부(28)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안내리브(34)가 한쌍 형성된다. 상기 안내리브(34)는 상기 메인몸체(10)의 공구지지리브(19)와 안내돌부(18)에 안내되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부품플레이트(20)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리브(34)의 선단에는 양측의 안내리브(34)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선단경사(36)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경사(36)는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에 대해 약간 이동된 위치에 있더라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pair of guide ribs 34 ar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tool holding portion 28. The guide ribs 34 are guided by the tool support ribs 19 and the guide protrusions 18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omponent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at an accurate position . To this end, a tip inclination 36 is formed at the tip of the guide rib 34 at positions where the guide ribs 34 on both sides face each other. The tip inclination 36 serves to guide the component plate 20 to an accurate position even if the component plate 20 is slightly moved relative to the main body 10.

상기 결합홈부(26)의 걸이면(27) 하방향에는 임시공간(38)이 형성된다. 상기 임시공간(38)은 상기 안착결합턱(17)이 부품플레이트(20)에서 분리되어 임시로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공간(38)은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임시공간(38)은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의 표면과 부품플레이트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A temporary space (38) is formed below the back surface (27) of the engaging groove portion (26). The temporary space 38 is a portion in which the seating engagement jaw 17 is separated from the component plate 20 and is temporarily located. A pair of the temporary spaces 38 are formed side by side. The temporary space 38 is open to the surface of the plate side wall 22 a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onent plat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조립되고 분리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f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부품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한번에 장착되지 않고, 상기 메인몸체(1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부품플레이트(20)의 내부에 터미널을 삽입하고,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되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완전히 삽입된다. 물론,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에 장착되는 과정이 반드시 그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component plate 20 is mounted in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The component plate 20 is not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at a time but is inserted into the component plate 20 in a state where the component plate 20 is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insertion of the main body 10 is completed. Of course,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mponent plate 20 to the main body 1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상기 메인몸체(10)에 부품플레이트(20)를 장착할 때, 상기 부품플레이트(20)를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 상방에서부터 내부공간(13)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안내리브(34)가 상기 안내돌부(18)의 양단을 안내하여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한다.The component plate 20 is mov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to the inner space 13 when the component plate 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 The guide ribs 34 guide both ends of the guide protrusion 18 to guide the position where the component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

이와 같이 메인몸체(10)에 부품플레이트(2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후크(16)의 안착결합턱(17)은 상기 임시공간(28)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임시공간(28)의 상단에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상기 안내경사면(17')이 안내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7')이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 안내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측벽(22)에서 소정 거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mponent plate 20 into the main body 10, the seating engagement jaw 17 of the coupling hook 16 moves along the temporary space 28, The guide sloped surface 17 'is guided to the plate side wall 22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guide slope 17 'is guided by the plate side wall 22, the coupling hook 16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late side wall 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플레이트측벽(22)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홈부(26)를 만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결합후크(16)가 상기 걸이면(27)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서 상기 메인몸체(10)에 상기 부품플레이트(20)가 장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The coupling hook 16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seating coupling jaw 17 passes through the plate side wall 22 and meets the coupling groove 26. When the seating coupling jaw 17 is engaged (27). As a result, the coupling hook 16 is hooked on the back surface 27,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plate 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is firmly maintained.

다음으로, 이와 같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 장착된 부품플레이트(20)를 상기 내부공간(13)에서 분리하는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Next, separation of the component plate 20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internal space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결합후크(16)가 상기 부품플레이트(20)의 걸이면(27)에 안착되어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공구(40)를 사용한다. 상기 공구(40)는 상기 관통부(29)를 통해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된다. 상기 관통부(29)를 통해 내부공간(13)으로 삽입된 공구(40)의 끝부분은 상기 결합후크(16)의 공구지지리브(19)에 걸어질 때까지 삽입된다. 도 6의 (a)에는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공구지지리브(19)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 tool 40 is used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coupling hook 16 on the back surface 27 of the component plate 20. The tool 4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29. The tip of the tool 4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 through the penetration portion 29 is inserted until it is hooked on the tool support rib 19 of the coupling hook 16. 6 (a) shows a state in which an end portion of the tool 40 is hooked on the tool supporting rib 19.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공구(40)를 상기 공구지지리브(19)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상기 공구걸이부(28)의 걸이공간(32)에 들어가 걸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rotates the tool 40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tool supporting rib 19, and the end portion of the tool 40 enters into the hooking space 32 of the tool holding portion 28 Let them walk.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6 (b).

도 6의 (b)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공구(40)를 상기 안내돌부(18)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공구(40)의 끝부분이 공구걸이부(28)에 걸어져서 힘을 가해 부품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가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공구(40)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1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서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부품플레이트(20)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임시공간(38)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임시공간(38)에 있게 되면, 부품플레이트(20)를 내부공간(13)으로 밀어넣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다시 상기 안착결합턱(17)이 상기 걸이면(27)에 안착되지 않게 된다.6 (b),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tool 4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guide projection 18, the end of the tool 40 is hooked on the tool holder 28 So that the component plate 20 is allowed to escape from the internal space 13 of the main body 10. Particularly, when the engaging hook 16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tool 40 and the engaging jaw 17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surface 27 and the part plate 20 is lifted up, The jaw 17 is positioned in the temporary space 38. [ As long as the seat coupling jaw 17 is in the temporary space 38, the seat coupling jaw 17 is retracted again as long a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component plate 20 into the inner space 13 does not act, (27) is not seated.

따라서, 다수 곳에 있는 상기 결합후크(16)에서 대해서 위와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모든 결합후크(16)가 부품플레이트(20)에서 분리되면서 부품플레이트(20)가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3)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메인몸체(10)에서 부품플레이트(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hooks 16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l the coupling hooks 16 are detached from the component plate 20 and the component plate 20 is disengag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13 so that the component plate 2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상기 결합후크(16)에 형성되는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가 없더라도 작업자가 공구(40)를 사용하여 부품플레이트(2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안내돌부(18)와 공구지지리브(19)가 있으면 작업이 보다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guide protrusions 18 formed on the coupling hook 16 and the tool supporting ribs 19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That is, even if the guide protrusion 18 and the tool supporting rib 19 are not provided, an operator can perform an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ponent plate 20 from the main body 10 using the tool 40. [ However, the presence of the guide protrusions 18 and the tool supporting ribs 19 makes the work easier and smoother.

10: 메인몸체 12: 몸체측벽
13: 내부공간 14: 탄성슬릿
16: 결합후크 17: 안착결합턱
18: 안내돌부 19: 공구지지리브
20: 부품플레이트 22: 플레이트측벽
24: 부품장착부 26: 결합홈부
27: 걸이면 28: 공구걸이부
30: 전면부 32: 걸이공간
34: 안내리브 36: 선단경사
38: 임시공간 40: 공구
10: main body 12: body side wall
13: inner space 14: elastic slit
16: coupling hook 17:
18: guide projection 19: tool support rib
20: part plate 22: plate side wall
24: component mounting portion 26: engaging groove
27: a hook 28: a tool hook part
30: front part 32: hook space
34: guide rib 36: tip inclination
38: temporary space 40: tool

Claims (6)

메인몸체의 내부공간에 부품플레이트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측벽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품플레이트에 걸어지는 안착결합턱이 형성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와 대응되는 부품플레이트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걸어지는 걸이면과,
상기 걸이면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부에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공구걸이부와,
상기 걸이면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후크의 안착결합턱이 상기 걸이면에서 분리된 후에 임시로 위치되는 임시공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1. An automobile block (1) comprising a main body (1) and a component plate
A coupling hook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on a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eating coupling jaw that is hooked on the component plate,
A back surface formed at a position on the component plat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ok and to which the seating coupling jaw of the coupling hook is hooked,
A tool holding portion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tool and having a hook space formed therein,
And a temporary spac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hanging hook and temporarily position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back of the hanging engagement of the hoo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의 표면중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측벽과 마주보는 표면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안착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결합턱의 사이에 안내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2. The automotiv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hook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late in a width direction of a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facing the side wall of the plate, and a guide protrusion is protruded between the coupling hooks block.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부에 인접하여 공구의 선단이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공구지지리브가 더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3.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ool supporting rib which is adjacent to the guide projection and guides a position where the tip of the tool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면은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표면에 오목하게 들아도록 형성된 결합홈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 surface is formed at a bottom edge of a coupling groove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urface of the component pla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걸이부의 전면부는 상기 부품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측벽보다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ront portion of the tool hold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cave to the plate side wall of the component pl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걸이부의 하부로는 안내리브가 형상되어 상기 결합후크에 형성된 안내돌부와 공구지지리브를 안내하는 자동차용 블럭.6. The automobile bloc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guide ri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ool holding portion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coupling hook and the tool supporting rib.
KR2020140006041U 2014-08-12 2014-08-12 Block for vehicle KR20048787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en) 2014-08-12 2014-08-12 Block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en) 2014-08-12 2014-08-12 Block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04U true KR20160000604U (en) 2016-02-22
KR200487873Y1 KR200487873Y1 (en) 2018-11-15

Family

ID=5544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41U KR200487873Y1 (en) 2014-08-12 2014-08-12 Block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73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012A (en) * 1999-12-28 2001-07-10 Sumitomo Wiring Syst Ltd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40041440A (en) 2002-11-1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zement Servic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89264B1 (en) 2006-04-21 200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vers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KR20090011878U (en) * 2008-05-19 2009-1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for a cover of box
KR20100122257A (en) * 2009-05-12 2010-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012A (en) * 1999-12-28 2001-07-10 Sumitomo Wiring Syst Ltd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40041440A (en) 2002-11-1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zement Service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89264B1 (en) 2006-04-21 200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vers fastening structure for junction box
KR20090011878U (en) * 2008-05-19 2009-11-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for a cover of box
KR20100122257A (en) * 2009-05-12 2010-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ver fastening apparatus for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73Y1 (en)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8384B2 (en) connector
JP5552951B2 (en) connector
JP5614369B2 (en) Terminal fitting
EP2996208A1 (en) Connector
US20080203039A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T-shaped aligning protrusion
EP2937248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WO2018070196A1 (en) Connector
JP6202293B2 (en) Electric wire housing protector
JP2016072170A (en) Connector holder
KR200487873Y1 (en) Block for vehicle
KR20140008642A (en) Connector assembly
JP6456720B2 (en) Lid with lock mechanism
JP6027460B2 (en) Cover mounting structure for high voltage parts
KR101512615B1 (en) Box for vehicle
CN111247349A (en) Fastening element for releasably connecting two components
JP541299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120177B2 (en) Release jig
JP4788556B2 (en) connector
KR102090130B1 (en) Fastening apparatus
JP2005183340A (en) Joint connector
JP4432790B2 (en) connector
KR20180037485A (en) Block for vehicle
JP2009151962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96002B1 (en) Block for vehicle
KR101604056B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