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479U -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 Google Patents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479U
KR20160000479U KR2020140005761U KR20140005761U KR20160000479U KR 20160000479 U KR20160000479 U KR 20160000479U KR 2020140005761 U KR2020140005761 U KR 2020140005761U KR 20140005761 U KR20140005761 U KR 20140005761U KR 20160000479 U KR20160000479 U KR 20160000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inyl
rubber
sli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1410Y1 (en
Inventor
강상구
Original Assignee
강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구 filed Critical 강상구
Priority to KR2020140005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10Y1/en
Publication of KR20160000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7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0Apparatus for holding or handing-up cues, e.g. rac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를 포함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있어서, 비닐 커버부(10)는, 원통 형상으로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쪽 끝단에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되며,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된 내측으로 논슬립 블록단(12)과 다수의 논슬립 홈(13)에 의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는 비닐 커버 본체(11); 를 포함하며, 논슬립 블록단(12)은, 비닐 커버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밴드 층으로, 밴드 층은 고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비닐 커버 본체(11)와 다르게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형성되며, 각 논슬립 홈(13)은, 원형상 테두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 곡률이 비정형적으로 비닐 커버 본체(11) 상에서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그물 형태의 비닐 커버부에 의한 돌출부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비닐 커버부를 씌우고, 그 위에 고무 커버부를 덧씌움으로써, 입체적 돌출 형태에 의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사용자 취향에 따라 그물 형상의 비닐 커버부 그리고, 초박형의 고무 커버부만을 함께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부를 고무 커버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비닐 커버부 및 고무 커버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사용시 고무 커버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comprising a vinyl cover portion 10, a cover fixing portion 20 and a rubber cover portion 30, wherein the vinyl cover portion 10 has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end, an outermost block end 14 is formed at one end where the diameter is relatively large, and a non-slip block end 12) and a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to form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non-slip block end 12 is a band lay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and the band layer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vinyl material, And each of the non-slip grooves 1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at least one one side curvature on the circular rim forms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vinyl cover body 11 at an irregular .
This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rip feeling through the projections by the net-like vinyl cover por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rubber cover portion is put on the vinyl cover portion, and the grip feeling is improved by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or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only a net-shaped vinyl cover part and an ultra-thin rubber cover part together, depending on the user's preference. By fixing the rubber cover part to the cover fixing part, the fixing force of the vinyl cover part and the rubber cover part And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ubber cover from tearing during use.

Description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ue for a billiard cue,

본 고안은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의 단계적 구조, 그리고 비닐 커버부(10) 및 고무 커버부(30)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에 따른 입체적 형상을 통해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ue ball grip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ep structure of a vinyl cover portion 10, a cover fixing portion 20 and a rubber cover portion 30, 10 and the rubber cover portion 3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through a three-dimensional shape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cue ball 10 and the rubber cover portion 30. [

일반적으로, 당구는 큐대로 당구공을 밀어쳐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대 공을 부딪치게 하거나 홀에 들어가도록 하는 게임도구의 일종으로써, 크게 당구 큐대와 당구공 및 당구공이 구르는 판인 다이로 이루어진다.Generally, a billiard is a type of game tool for pushing a billiard ball into a cue ball and guiding it to a desired direction so as to hit the other ball or enter the hole, and is largely composed of a billiard cue ball, a billiard ball, and a die which is a plate rolling the billiard ball.

여기서 당구 큐대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과 타격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바, 손잡이 부분과 타격 부분은 목재,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등을 이용해 만들어지고, 일체형 내지는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된다.Here, the billiard cue bar is generally divided into a handle portion and a hitting portion. The handle portion and the hitting portion are made of wood,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or the like, and they are integrally or assembled.

당규 큐대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다 보니 불순물이 많이 묻고 악취가 발생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 그리고 마모에 따라 당구 게임시 손에서 자주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As a result of many users using the cigarette cigarette, it is not hygienic such as a lot of impurities and odor, and the problem of slippage often occurs in the hand during the billiard gam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and the wear.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미끄럼 방지 당구 큐대(Nonslip bolliard cure)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12-0000510호)1. Nonslip bolliard cure (Utility Model No. 20-2012-0000510)

2. 당구 큐대 손잡이용 카바(A billiard cue hand grip cover)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0-0018785호)
2. A billiard cue hand grip cover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0-0018785)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 형태의 비닐 커버부에 의한 돌출부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for improving grip feeling through protrusions formed by a net-like vinyl cover part.

또한, 본 고안은 비닐 커버부를 씌우고, 그 위에 고무 커버부를 덧씌움으로써, 입체적 돌출 형태에 의해 그립감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by covering the vinyl cover portion and covering the rubber cover portion with the rubber cover portion so as to improve the grip feeling by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form.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 취향에 따라 그물 형상의 비닐 커버부 그리고, 초박형의 고무 커버부만을 함께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부를 고무 커버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비닐 커버부 및 고무 커버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사용시 고무 커버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net-like vinyl cover and the ultra-thin rubber cover can be put together and used. By fixing the rubber cover to the cover fixing portion, the fixing force of the vinyl cover and the rubber cover can be improved , And to provide a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so that the rubber cover portion is not torn during use.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는,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를 포함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있어서, 비닐 커버부(10)는, 원통 형상으로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쪽 끝단에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되며,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된 내측으로 논슬립 블록단(12)과 다수의 논슬립 홈(13)에 의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는 비닐 커버 본체(11); 를 포함하며, 논슬립 블록단(12)은, 비닐 커버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밴드 층으로, 밴드 층은 고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비닐 커버 본체(11)와 다르게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형성되며, 각 논슬립 홈(13)은, 원형상 테두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 곡률이 비정형적으로 비닐 커버 본체(11) 상에서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nyl cover portion 10, a cover fixing portion 20, and a rubber cover portion 30, (10) has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end, and an outermost block edge (14) is formed on one end of the diameter of the bill cover A vinyl cover main body 11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y a non-slip block end 12 and a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inwardly with an outermost block end 14 formed therein; And the non-slip block end 12 is a band lay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and the band layer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vinyl material, And each of the non-slip grooves 1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color so that at least one one side curvature on the circular rim forms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vinyl cover body 11 at an irregular .

이때, 논슬립 블록단(12)은, 다수의 논슬립 홈(13)의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격자 배열에 따라 비닐 커버 본체(11)의 외주면 상으로 높이차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slip block ends 12 are formed in order to form a height differe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in accordance with the lattic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do.

또한, 각 논슬립 홈(13)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은 인접한 3개의 논슬립 홈(13)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1)를 이루며, 다수의 삼각형 단위(u1)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shape of each non-slip groove 13 constitutes a triangular unit u1 between adjacent three non-slip grooves 13,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1) And an overall uniform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2.

또한, 최외각 블록단(14)은, 비닐 커버 본체(1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시 최전단에 해당하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most block edge 14 is formed in an end area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oremost end when inserted into the billiard cue 1.

또한, 커버 고정부(20)는,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에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고정단(21); 및 고정단(2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되는 최전단에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주면에 위치한 비닐 커버부(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커버 지지단(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fixing part 20 includes a fixed end 21 formed of a circular pipe for fixing an end area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vinyl cover part 10; And a cover supporting end 22 formed in a ring shape at the foremost end inserted into the billet cue 1 among the fixed ends 21 so as to fix the vinyl cover part 10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And a control unit.

또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덧씌우기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또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가 당구 큐대(1)의 손잡이 영역에 삽입된 뒤,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nyl cover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region of the billet cage 1 and inserted thereinto.

또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삽입된 뒤, 커버 고정부(20)를 통해 고무 커버부(30)의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and then the diameter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relatively small through the cover fixing portion 20 And an end region to be formed is fixed.

또한, 고무 커버부(30)는, 고무 재릴로 커버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고무 커버 본체(31); 및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성되는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사각홈(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ubber cover portion 30 has a rubber cover main body 31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rubber cover portion 10 of the rubber reel, And a plurality of square grooves 32 formed entirely except for an end region in which a diameter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is relatively large, wherein one end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end thereof. And a control unit.

또한, 각 사각홈(32)은, 사각 형상 테두리의 각 변의 길이 및 각 변 사이의 각도를 비정형적으로 형성되어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quare grooves 32 are formed in a shape of a rhombus or a trapezoid, formed at an irregular length of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angles between the sides, and are arranged in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또한, 각 사각홈(32)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은 인접한 3개의 고무 커버 본체(31)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2)를 이루며, 다수의 삼각형 단위(u2)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shape of each square groove 32 constitutes a triangular unit u2 between the adjacent three rubber cover bodies 31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2 lattices are gathered to form a non- And an overall uniform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step (12).

또한, 고무 커버부(30)의 각 사각홈(32)과 비닐 커버부(10)의 논슬립 블록단(12) 및 논슬립 홈(13)이 맞닿는 경우,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그리고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비정형성의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quare slit 32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and the non-slip block edge 12 and the non-slip groove 13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quare slit 32 and the non- 12, a surface where the square slits 32 and the non-slip grooves 1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urface where the square slits 32 are not formed and the non-slip block ends 12, And an irregular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a surface in which the groove 32 is not formed and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non-slip groove 13 is formed.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는, 그물 형태의 비닐 커버부에 의한 돌출부를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grip feeling through the protrusion by the net cove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는, 비닐 커버부를 씌우고, 그 위에 고무 커버부를 덧씌움으로써, 입체적 돌출 형태에 의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rip feeling by the cubic protrusion form by covering the vinyl cover part and covering the rubber cover part thereon.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는, 사용자 취향에 따라 그물 형상의 비닐 커버부 그리고, 초박형의 고무 커버부만을 함께 씌워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 고정부를 고무 커버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비닐 커버부 및 고무 커버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사용시 고무 커버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iard cue ball handle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can be used by covering only the net-shaped vinyl cover portion and the ultra-thin rubber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By fixing the cover portion, the fixing for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and the rubber cover portion is improv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ubber cover portion from being torn during use is provid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 및 커버 고정부(20)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가 실제로 당구 큐대(1)의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고무 커버부(30)가 실제로 당구 큐대(1)의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components of a billiard cue pull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inyl cover part 10, the cover fixing part 20, and the rubber cover part 30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inyl cover part 10 and the cover fixing part 20 in the billiard cue pu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cover part 10 is actual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billiard cue 1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actual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billet cue bar 1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the grip feeling improvement of 1.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 및 커버 고정부(20)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components of a billiard cue pull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inyl cover part 10, the cover fixing part 20, and the rubber cover part 30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vinyl cover part 10 and the cover fixing part 20 in the billiard cue pu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도 4는 도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비닐 커버부(10)가 실제로 당구 큐대(1)의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1의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서 고무 커버부(30)가 실제로 당구 큐대(1)의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cover part 10 is actual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billiard cue 1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actual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billet cue bar 1 in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the grip feeling improvement of 1.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는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를 포함한다. 1 to 5, the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includes a vinyl cover portion 10, a cover fixing portion 20, and a rubber cover portion 30. As shown in FIG.

비닐 커버부(10)는 비닐 커버 본체(11), 논슬립 블록단(12) 및 논슬립 홈(13), 그리고 최외각 블록단(14)을 포함한다.The vinyl cover portion 10 includes a vinyl cover main body 11, a non-slip block end 12 and a non-slip groove 13, and an outermost block end 14.

비닐 커버 본체(11)는 원통 형상으로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쪽 끝단에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되며,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된 내측으로 논슬립 블록단(12)과 다수의 논슬립 홈(13)에 의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한다.The vinyl cover main body 11 has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formed to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ther end, an outermost block end 14 is formed at one end where the diameter is relatively large, 14 forms a three-dimensional shape by the non-slip block edge 12 and the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on the inner side.

보다 구체적으로 논슬립 블록단(12)은 비닐 커버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밴드 층으로, 밴드 층은 고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비닐 커버 본체(11)와 다르게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non-slip block stage 12 is a band lay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and the band layer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vinyl material, Color.

그리고, 논슬립 블록단(12)은 다수의 논슬립 홈(13)의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격자 배열에 따라 비닐 커버 본체(11)의 외주면 상으로 높이차(도 3a c참조)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다. The non-slip block ends 12 ar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see Fig. 3a)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in accordance with the lattic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

여기서 각 논슬립 홈(13)은 원형상 테두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 곡률이 비정형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을 구성한다. 또한 각 논슬립 홈(13)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이 인접한 3개의 논슬립 홈(13)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1)를 이루며(도 1a 참조), 다수의 삼각형 단위(u1)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Here, each of the non-slip grooves 13 has at least one curvature at one side on a circular rim, and forms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shape of each non-slip groove 13 forms a triangular unit u1 between adjacent three non-slip grooves 13 (see Fig. 1A),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1 gratings So that the entire non-slip block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최외각 블록단(14)은 비닐 커버 본체(1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시 최전단에 해당하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에 형성된다.The outermost block end 14 is formed at an end area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where th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oremost end is relatively large when inserted into the billet cage 1.

그리고 최외각 블록단(14)은 논슬립 블록단(12)과 같이 비닐 커버 본체(11)의 내주면에 고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비닐 커버 본체(11)와 다르게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형성된다(도 3b, 도 3c, 및 도 4 참조). The outermost block end 14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vinyl material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like the non-slip block end 12, an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t vinyl cover main body 11, (See Figs. 3B, 3C, and 4).

커버 고정부(20)는 고정단(21) 및 커버 지지단(22)을 포함한다.The cover fixing portion 20 includes a fixed end 21 and a cover supporting end 22.

고정단(21)은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에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다.The fixed end 21 is formed as a circular pipe for fixing an end area formed in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vinyl cover part 10 to have a relatively small diameter.

한편, 고정단(21)의 내부 직경은 삽입되는 당구 큐대(1) 중 손잡이부 영역의 직경과 비닐 커버 본체(11)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되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ed end 21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handle portion area of the billet cage 1 to be inserted and the thickness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커버 지지단(22)은 고정단(2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되는 최전단에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주면에 위치한 비닐 커버부(10)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ver supporting end 22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t the foremost end of the fixed end 21 inserted into the billet cue unit 1 so as to not only fix the vinyl cover part 10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breakage due to external force in use.

고무 커버부(30)는 고무 커버 본체(31) 및 사각홈(32)을 포함함으로써,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덧씌우기 위해 박형의 얇은 층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ncludes a rubber cover body 31 and a rectangular groove 32 so that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 a thin thin layer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

즉 고무 커버부(30)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닐 커버부(10)가 당구 큐대(1)의 손잡이 영역에 삽입된 뒤, 삽입되어 사용된다.That is, the rubber cover portion 30 can be selectively used and inserted after the vinyl cover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region of the billet cage 1.

고무 커버부(30)가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삽입된 뒤, 상술한 커버 고정부(20)를 통해 고무 커버부(30)의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the diameter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formed relatively small through the cover fixing portion 20 It is preferable to fix the end region.

즉, 고무 커버부(30)의 고무 커버 본체(31)는 커버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cover vinyl cover portion 10.

사각홈(32)은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성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The rectangular groove 32 is entirely formed except the end region where the diameter is relatively large among the rubber cover main bodies 31, which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at one end.

사각홈(32)은 비닐 커버부(10)의 각 논슬립 홈(13)와 유사하게 사각 형상 테두리의 각 변의 길이 및 각 변 사이의 각도를 비정형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square grooves 32 are formed at irregular intervals such that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angles between the respective sides are formed at an irregular shape similar to the non-slip grooves 13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do.

또한, 각 사각홈(32)은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을 구성한다. 또한 각 사각홈(32)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이 인접한 3개의 고무 커버 본체(31)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2)를 이루며, 다수의 삼각형 단위(u2)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도 1c 참조). Further, each square groove 32 constitutes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riangular unit u2 is formed between adjacent three rubber cover bodies 31,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2) lattices are gathered to form a non-slip block end (See Fig. 1 (c)).

한편, 각 사각홈(32)과 상술한 논슬립 블록단(12) 및 논슬립 홈(13)이 맞닿는 면에 의해 고무 커버부(30)의 외주면을 잡을 경우,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그리고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비정형성의 입체 구조에 의해 작은 악력에 의해서도 쉽게 당구 큐대(1)의 손잡이를 놓치지 않는 효과가 제공된다(도 2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held by the surface where each of the rectangular grooves 32 abuts against the non-slip block ends 12 and the non-slip grooves 13, A surface where the rectangular slit 32 abuts against the non-slip block edge 12, a surface where the square slit 32 abuts against the non-slip block 12, The irregular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areas where the square grooves 32 are not formed and the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non-slip grooves 13 provides the effect of not easily catching the handle of the billiard cue 1 even with small gripping force (See Fig. 2).

이런한 구조에 의해 비닐 커버부(10)와 고무 커버부(30)는 당구 큐대(1)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펴주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사용 후 뒤쪽에서 앞쪽으로 말아주는 것으로 제거하는 데, 이 경우 커버 고정부(20)를 활용해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With such a structure, the vinyl cover portion 10 and the rubber cover portion 30 are us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stretch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back side of the billiQ cage 1, and after the use, they are rolled from the back side to the front side, The cover 20 can be easily removed.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in a generic sense only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besid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ossible.

10: 비닐 커버부
11: 비닐 커버 본체
12: 논슬립 블록단
13: 논슬립 홈
14: 최외각 블록단
20: 커버 고정부
21: 고정단
22: 커버 지지단
30: 고무 커버부
31: 고무 커버 본체
32: 사각홈
10: Vinyl cover part
11: Vinyl cover body
12: Non-slip block stage
13: Non slip home
14: Outermost block stage
20: Cover fixing part
21: Fixed end
22: Cover support stage
30: Rubber cover part
31: Rubber cover body
32: square groove

Claims (12)

비닐 커버부(10), 커버 고정부(20), 그리고 고무 커버부(30)를 포함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에 있어서, 비닐 커버부(10)는,
원통 형상으로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한쪽 끝단에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되며, 최외각 블록단(14)이 형성된 내측으로 논슬립 블록단(12)과 다수의 논슬립 홈(13)에 의해 입체적 형상을 형성하는 비닐 커버 본체(11); 를 포함하며,
논슬립 블록단(12)은, 비닐 커버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밴드 층으로, 밴드 층은 고무 재질 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비닐 커버 본체(11)와 다르게 미리 설정된 색상으로 형성되며,
각 논슬립 홈(13)은, 원형상 테두리 상에 적어도 하나의 일 측 곡률이 비정형적으로 비닐 커버 본체(11) 상에서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In a billiard cue ball cover for improving grip feeling comprising a vinyl cover part (10), a cover fixing part (20) and a rubber cover part (30), the vinyl cover part (10)
Shaped block end 14 is formed at one end where the diameter of the one end i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end, and the outermost block end 14 is formed at the other end, A vinyl cover main body 11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y a block end 12 and a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 RTI >
The non-slip block end 12 is a band layer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The band layer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vinyl material and is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t vinyl cover main body 11 in a predetermined color Lt; / RTI &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non-slip grooves (13) constitutes a lattice-lik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t least one one-side curvature on the circular rim at irregular intervals on the plastic cover body (11) Billiard cue handle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논슬립 블록단(12)은,
다수의 논슬립 홈(13)의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격자 배열에 따라 비닐 커버 본체(11)의 외주면 상으로 높이차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The non-slip block end (1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are formed to form a height differe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stic cover body (11) according to a lattice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1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논슬립 홈(13)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은 인접한 3개의 논슬립 홈(13)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1)를 이루며, 다수의 삼각형 단위(u1)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e centered on the circle forming the shape of each non-slip groove 13 forms a triangular unit u1 between adjacent three non-slip grooves 13,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1 lattices are gathered to form a non- Wherein the ball-cage handle cover is provided with an equally spaced arrangement in the longitudin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외각 블록단(14)은,
비닐 커버 본체(1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시 최전단에 해당하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most block edge (14)
Is formed in an end region wher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foremost end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is relatively large when inserted into the billet cue unit (1).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 고정부(20)는,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에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고정하기 위해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는 고정단(21); 및
고정단(21) 중 당구 큐대(1)로 삽입되는 최전단에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주면에 위치한 비닐 커버부(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커버 지지단(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The cover fixing portion (20) according to Claim 1,
A fixed end 21 formed as a circular pipe for fixing an end region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n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And
A cover supporting end 22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at the foremost end inserted into the billet cue unit 1 of the fixed ends 21 so as to fix the vinyl cover unit 10 loc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grip cover for gripping the billiard cue.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덧씌우기 위해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art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가 당구 큐대(1)의 손잡이 영역에 삽입된 뒤,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ver portion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cover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handle area of the billet cage (1) and inserted thereinto.
청구항 7에 있어서, 고무 커버부(30)는,
비닐 커버부(10)의 외주면에 삽입된 뒤, 커버 고정부(20)를 통해 고무 커버부(30)의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7]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ubber cover portion (30)
And an end reg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ubber cover body 31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is relatively small is fixed through the cover fixing portion 20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Billiard cue handle cover for improved grip.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 커버부(30)는,
고무 재릴로 커버 비닐 커버부(10)의 비닐 커버 본체(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고무 커버 본체(31); 및
한쪽의 끝단이 다른 쪽 끝단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성되는 고무 커버 본체(31) 중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끝단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사각홈(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3]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ver portion (30)
A rubber cover main body 31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inyl cover main body 11 of the rubber reel cover vinyl cover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rectangular grooves (32) formed entirely except for an end region where a diameter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rubber cover main body (31); And a grip cover for gripping the billiard cue.
청구항 9에 있어서, 각 사각홈(32)은,
사각 형상 테두리의 각 변의 길이 및 각 변 사이의 각도를 비정형적으로 형성되어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길이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격자형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each square groove (32)
And a billet for improving the grip feeling is formed in a shape of a rhombic or trapezoidal shape and is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with a length of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rim and an angle between each side, Cue handle cover.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사각홈(32)의 형상을 이루는 원형의 중심을 이은 선은 인접한 3개의 고무 커버 본체(31) 상호 간에 삼각형 단위(u2)를 이루며, 다수의 삼각형 단위(u2) 격자가 모여 논슬립 블록단(12) 상에서 길이 및 세로 방향으로 전체적인 등간격 배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The method of claim 10,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ing the shape of each square groove 32 forms a triangular unit u2 between the adjacent three rubber cover bodies 31 and a plurality of triangular unit u2 lattices are gathered to form a non- 12. The billiard cue grab cov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 커버부(30)의 각 사각홈(32)과 비닐 커버부(10)의 논슬립 블록단(12) 및 논슬립 홈(13)이 맞닿는 경우,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그리고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블록단(12)과의 맞닿는 면, 각 사각홈(3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과 논슬립 홈(13)과의 맞닿는 면 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비정형성의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감 향상을 위한 당구 큐대 손잡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quare slit 32 of the rubber cover portion 30 and the non-slip block end 12 and the non-slip groove 13 of the vinyl cover portion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quare slit 32 and the non- A surface where the rectangular slit 32 abuts against the non-slip block edge 12, a surface where the square slit 32 abuts against the non-slip block edge 12, 32) is not formed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non-slip grooves (1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cigarette.
KR2020140005761U 2014-07-31 2014-07-31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KR2004814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61U KR200481410Y1 (en) 2014-07-31 2014-07-31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61U KR200481410Y1 (en) 2014-07-31 2014-07-31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79U true KR20160000479U (en) 2016-02-15
KR200481410Y1 KR200481410Y1 (en) 2016-09-27

Family

ID=5535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61U KR200481410Y1 (en) 2014-07-31 2014-07-31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1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44B1 (en) * 2020-08-28 2021-09-01 김재근 Grip for billiard c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792B1 (en) * 2017-09-01 2019-08-14 유병립 Grip for Billiard Cue
KR20190001819U (en)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코줌코리아 The grip for a billiards cue
KR102322463B1 (en) * 2021-01-20 2021-11-04 이창남 Grip cover of billiard cu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257A (en) * 2000-01-11 2001-09-25 Toda Kosen Kk Grip, and leg for camera or scope
WO2006110824A1 (en) * 2005-04-12 2006-10-19 Peter Mekosh Pool cue with slidable sleev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5317001B1 (en) * 2012-08-08 2013-10-16 キンジヨ株式会社 Golf club gr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257A (en) * 2000-01-11 2001-09-25 Toda Kosen Kk Grip, and leg for camera or scope
WO2006110824A1 (en) * 2005-04-12 2006-10-19 Peter Mekosh Pool cue with slidable sleev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5317001B1 (en) * 2012-08-08 2013-10-16 キンジヨ株式会社 Golf club gr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544B1 (en) * 2020-08-28 2021-09-01 김재근 Grip for billiard c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10Y1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410Y1 (en) Grip cover of billiard cue for improving grip feeling
USD596248S1 (en) Toy ball
USD644865S1 (en) Exercise mat
US20090275447A1 (en) Grip sleeve for exercise bar
USD627285S1 (en) Vehicle floor mat tread
USD608729S1 (en) Tire tread
USD668527S1 (en) Winding core
USD828472S1 (en) Golf training mat
US7445571B2 (en) Net shaper
USD646401S1 (en) Recycled rubber flagstone
USD629474S1 (en) Foam brush golf tee
USD697989S1 (en) Golf tee
USD634386S1 (en) Golf swing trainer
USD667905S1 (en) Bocce ball retriever
USD670823S1 (en) Set of paving stones in an arrangement
USD617856S1 (en) Exercise device having multiple elastic loops
US9603492B2 (en) Soap with handle
US7886394B2 (en) Bath utility
KR20130006504U (en) Cap for a chair leg
USD668306S1 (en) Bocce ball retriever
USD617054S1 (en) Rugby jumper support grip
USD655118S1 (en) Excercise mat
USD626503S1 (en) Travel charger
JP6152271B2 (en) Nail sharpener
USD650037S1 (en) Lure made with a k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