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31U -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31U
KR20160000231U KR2020140007126U KR20140007126U KR20160000231U KR 20160000231 U KR20160000231 U KR 20160000231U KR 2020140007126 U KR2020140007126 U KR 2020140007126U KR 20140007126 U KR20140007126 U KR 20140007126U KR 20160000231 U KR20160000231 U KR 20160000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ever
fixed
storage
table boar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꾸오칭 쉬
즈핑 홍
Original Assignee
킹 캠프 앤드 아웃도어 프로덕츠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 캠프 앤드 아웃도어 프로덕츠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 캠프 앤드 아웃도어 프로덕츠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0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를 제공하는데, 고정된 테이블판자와, 상부 접이레버와, 하부 접이레버와, 바닥 프레임과, U형 힌지와, 스토퍼 회전 조인트와, 탈부착식 수납봉지와, 반전 테이블판자와, 지지다리와, 회전 롤러와, 신축형 로드를 포함하고, 상부 접이레버는 U형 힌지를 통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의 4개 모서리에 힌지연결되고 하부 접이레버는 U형 힌지를 통하여 바닥 프레임의 4개 모서리에 힌지연결되며 스토퍼 회전 조인트는 상부 접이레버와 하부 접이레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 접이레버와 하부 접이레버는 스토퍼 회전 조인트를 통하여 접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고정된 테이블판자를 승강하강시키고 탈부착식 수납봉지는 고정된 테이블판자의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의 일측에 반전 테이블판자가 힌지연결되고 펼칠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와 한 평면을 형성하며 반전 테이블판자의 외측에 지지다리가 설치되고 회전 롤러와 신축형 로드는 바닥 프레임의 밑부분에 설치되어 수납상자와 여행가방과 접이식 테이블의 3가지 기능을 구비하여 캠핑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생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MULTIFUNCTIONAL FOLDING EQUIPMENT BOX}
본 발명은 야외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핑 장비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는 야외품예생활, 야외운동, 야외탐험, 자유 관광등으로 불리우며 집을 나서 실외에서 자연과 활동하는 일종 생활방식이고, 야외는 인류가 자연으로 회귀하고 자신으로 회귀하는 원시적 각성으로 인류가 자연을 탐색하고 자신을 초월하는 정식적 수요이며, 현대 사람들의 생활조건이 좋아짐에 따라 많은 가정에서 운전하여 야외활동을 즐기고 있는데, 대부분의 야외활동은 모험성을 가지고 있어 극한 및 아극한 운동에 속하고 도전성과 작그성이 크다. 대자연을 포옹하고 자아 도전하면 개인의 의력과 팀워크를 배양하고 야외 생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각광 받고 있다. 야외 운동은 점차적으로 사람들의 주의를 끌고 있고 핫이슈로 되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지리조건이 우월하여 양호한 대자연 자원을 가지고 있어 야외 운동을 위하여 넓은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야외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운전 여행 규모가 확대되고 이에 따라 각종 야외용품 역시 점차적으로 완벽화되고 있는데 그중, 수납 정리가 야외활동의 중요한 문제로 되었고, 특히 현재의 젊은이들은 야외 캠핑을 즐기고 캠핑에는 야외에 없는 많은 필수품, 예를 들어 텐트, 침낭, 매트 및 식사에 필요한 탁자와 의자등이 필요되고 이러한 물품으로 차를 꽉 체우게 되고 운반에도 불편하며 수납 정리해야하는 기타 물품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감안하여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수납상자, 여행가방, 접이식 테이블의 3가지 기능을 구비하여 캠핑 애호자들의 여행의 편의를 도모하고 사람들의 생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방안은 하기와 같다.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와, U형 힌지(5)와, 스토퍼 회전 조인트(6)과, 탈부착식 수납봉지(7)과, 반전 테이블판자(8)과, 지지다리(9)와, 회전 롤러(10)과, 신축형 로드(12)를 포함하고, 상부 접이레버(2)는 U형 힌지(5)를 통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고 하부 접이레버(3)은 U형 힌지(5)를 통하여 바닥 프레임(4)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며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은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접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고정된 테이블판자(1)을 승강하강시키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가 회전하면서 접쳐질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은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위에 설치되고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고, 접은 후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바닥 프레임(4)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회전하면서 펼쳐질 경우 하나의 수직형 레버로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에 수직되며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고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탈부착식 수납봉지(7)은 상부 접이레버(2)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일측에 반전 테이블판자(8)이 힌지연결되고 펼쳐질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동일한 수평선에 처하고 반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된 테이블판자(1)위에 설치되며 반전 테이블판자(8)의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의 연결부분에 대응되는 한변에 최소한 하나의 지지다리(9)가 설치되고 지지다리(9)가 펼쳐질 경우 반전 테이블판자(8)에 수직되며 바닥 프레임(4)의 일측의 두 모서리에 회전 롤러(10)이 설치되고 두 회전 롤러(10)은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에 연결되고 바닥 프레임(4)의 다른한측의 밑부분에 두개 조절가능한 나사(11)이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4)의 밑부분에 신축형 로드(12)가 설치되고, 신축형 로드(12)의 핸들(121)은 회전 롤러(10)에 대응되게 신축형 로드(12)의 선단에 설치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또한, 바닥 프레임(4)에 로크레버(41)이 설치되고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이 수직 상태일 경우 로크레버(41)이 하부 접이레버(3)에 결합되어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의 수직 연결을 강화한다.
또한, 탈부착식 수납봉지(7)은 고정 각반(71)과,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를 포함하고,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이 사각형체를 형성하고 고정 각반(71)은 수납벽(72)의 4개 수직변에 설치되어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되며 탈부착식 수납봉지(7)로 하여금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수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수납문(74)은 지지다리(9)에 대응되는 다른한면에 개방 설치된다.
또한 수납문(74)의 양단의 고정 각반(71)에 접착체가 설치되고 수납문(74)내에 접착테이프가 설치되며 수납문(74)를 개방시킬 경우 접착테이프와 접착체가 서로 접착되어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된다.
또한, 수납문(74)의 우측의 수납벽(72)에 수납 각반(75)가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수납 각반(75)에 대응되는 일측에 스냅링이 설치되며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이 겹쳐진 상태에서 수납 각반(75)는 스냅링에 고정되고 반전 테이블판자(8)의 바닥면과 제2수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의 힌지연결구조는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 사이에 구부러진 고정 로드(91)이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의 수직 연결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9)의 수량은 두개이고 대칭되게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연결부분에 대응되는 한변의 두모서리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다리(9)의 밑부분에 조절가능한 나사(11)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통하여 사용상태에 달한다.
제1단계,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양측을 잡고 우로 당겨 4개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위치까지 끌어당겨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하나의 수직 레버로 되게 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제2단계, 로크레버(41)을 하부 접이레버(3)에 결합시켜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수직연견을 제한한다.
제3단계, 지지다리(9)를 구부러진 고정 로드(91)를 통하여 반전 테이블판자(8)에 수직되는 상태로 펼친다.
제4단계, 지지다리(9)가 지면에 수직될 때까지 반전 테이블판자(8)를 밖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반전 테이블판자(8)이 한 평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거쳐 사용상태로부터 접이상태로 변환된다.
제1단계, 반전 테이블판자(8)을 180도 회전시켜 고정된 테이블판자(1)에 밀착시킨다.
제2단계, 구부러진 고정 로드(91)를 접어 지지다리(9)로 하여금 반전 테이블판자(8)의 내측으로 접쳐져서 반전 테이블판자(8)에 밀착되도록 한다.
제3단계, 4개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내측으로 끌어당겨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으로 하여금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가 밀착될때까지 내부로 회전하도록 하고, 즉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을 수평으로 평행되게 설치한다.
제4단계, 회전 롤러(10)을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에 설치하고 이때 전반 구조의 체적이 가장 작고 자동차의 트렁크에 실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와, U형 힌지(5)와, 스토퍼 회전 조인트(6)과, 탈부착식 수납봉지(7)과, 반전 테이블판자(8)과, 지지다리(9)를 포함하고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접이를 실현하고, 즉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이 최대위치까지 회전하였을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이 최소위치까지 회전하였을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체적이 가장 작으며 탈부착식 수납봉지(7)이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수납공간에 야외활동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탈부착식 수납봉지(7)을 상부 접이레버(2)로부터 꺼낼수 있어 평시의 정리에 편리하고 반전 테이블판자(8)을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동일한 수평선에 처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어 한 평면의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다리(9)를 지면에 설치하여 반전 테이블판자(8)을 지지하므로 테이블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야외에서의 식사 등 활동에 편리하고, 지지다리(9)를 반전 테이블판자(8)에 수납하였을 경우 반전 테이블판자(8)을 고정된 테이블판자(1)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키면 체적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바닥 프레임에 회전 롤러(10)과, 조절가능한 나사(11)과 신축형 로드(12)을 설치하였을 경우 조절가능한 나사(11)을 통하여 테이블 전체의 안정성을 진일보로 조절할 수 있고 회전 롤러(10)은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고 신축형 로드(12)는 핸들(121)을 통하여 당겨지고 이때 물품을 수납한 본 제품을 임의 곳으로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목적지에 도달한 후 고정된 테이블판자(1)을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와의 사이에 공간이 제일 작은 곳으로 접으면 제품 전체의 체적이 아주 작아지고, 회전 롤러(10)을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내에 수납하면 자동차내부의 작은 공간에 놓을 수 있고 수납상자와 여행가방과 접이식 테이블의 3가지 기능을 구비하여 캠핑에 필요한 장비 및 용품, 예를들어 텐트, 침낭, 소형 접의자등을 수납하고 정리할 수 있으며 주차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는 여행가방으로 사용하여 운반 부담을 절감시키고 탈부착식 수납봉지(7)내에 가득차고 그외에 소형 물품을 더 휴대하여야할 경우 수납 각반(75)를 끌어내어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스냅링에 고정시켜 제2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야외에서 본 발명을 펼치면 80*76센티미터의 테이블을 구현할 수 있어 식사 혹은 오락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하여 캠핑의 편의를 도모하고 생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열린 상태에서 탈부착식 수납봉지를 제거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열린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3은 도2의 우측을 나타낸 도이다.
도4는 하부 접이레버와 로크레버와 바닥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접이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6은 회전 롤러를 바닥 프레임에 수납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끄는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8은 수납 각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9는 탈부착식 수납봉지의 열린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1~도9에 도시한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에 있어서,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와, U형 힌지(5)와, 스토퍼 회전 조인트(6)과, 탈부착식 수납봉지(7)과, 반전 테이블판자(8)과, 지지다리(9)와, 회전 롤러(10)과, 조절가능한 나사(11)과, 신축형 로드(12)로 구성되고, 상부 접이레버(2)는 U형 힌지(5)를 통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고 하부 접이레버(3)은 U형 힌지(5)를 통하여 바닥 프레임(4)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며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접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고정된 테이블판자(1)을 승강하강시키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가 회전하면서 접쳐질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은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위에 설치되고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고, 접은 후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바닥 프레임(4)에 평행되게 설치된다.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회전하면서 펼쳐질 경우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수직형 레버로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에 수직되며 바닥 프레임(4)상에 로크레버(41)가 설치되고 이때 로크레버(41)은 하부 접이레버(3)에 결합되어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의 수직 연결을 강화하고,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고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탈부착식 수납봉지(7)은 고정 각반(71)과,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로 구성되고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로 사각형체를 형성하며 고정 각반(71)이 수납벽(72)의 4개 수직변에 설치되며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되어 탈부착식 수납봉지(7)로 하여금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수납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며 수납문(74)은 지지다리(9)에 대응되는 다른한면에 개방되어 설치되며 수납문(74) 양단의 고정 각반(71)에 접착체가 설치되고 수납문(74) 내부에 접착테이프가 설치되며 수납문(74)을 개방할 경우 접착테이프와 접착체가 서로 접착되어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되고 수납 각반(75)는 수납문(74) 우측의 수납벽(72)에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수납 각반(75)에 대응되는 일측에 스냅링이 설치되고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이 겹쳐진 상태에서 수납 각반(75)는 스냅링에 고정되고 반전 테이블판자(8)의 바닥면과 제2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일측에 반전 테이블판자(8)이 힌지연결되고 최대로 반전할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동일한 수평선에 처하고 반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된 테이블판자(1)에 설치되며 반전 테이블판자(8)에 구부러진 고정 로드(91)을 통하여 두개 90도 회전가능한 지지다리(9)가 설치되는데 대칭되게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연결부분에 대응되는 한변의 두 모서리에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이 수직 연결되고, 지지다리(9)의 밑부분에 조절가능한 나사(11)이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4)의 일측의 두 모서리에 90도 회전가능한 회전 롤러(10)가 설치되며 두 회전 롤러(10)은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에 연결되고 바닥 프레임(4)의 다른 한측의 밑부분에 두개 조절가능한 나사(11)가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4)에 밑부분에 신축형 로드(12)가 설치되며 신축형 로드(12)의 핸들(121)은 회전 롤러(10)에 대응되게 신축형 로드(12)의 선단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거쳐 사용상태에 달한다.
제1단계,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양측을 잡고 우로 당겨 4개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위치까지 끌어당겨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하나의 수직 레버로 되게 한다.
제2단계, 로크레버(41)을 하부 접이레버(3)에 결합시켜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3단계, 두개 지지다리(9)를 구부러진 고정 로드(91)를 통하여 반전 테이블판자(8)에 수직되는 상태로 펼친다.
제4단계, 지지다리(9)가 지면에 수직될 때까지 반전 테이블판자(8)를 밖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이로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반전 테이블판자(8)이 하나의 테이블을 형성한다.
제5단계, 테이블이 안정된 상태에 처하도록 지지다리(9)와 바닥 프레임(4)의 조절가능한 나사(11)을 조절한다.
제6단계, 탈부착식 수납봉지(7)을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과 함께 펼쳐 수납문(74)내의 접착테이프를 통하여 고정 각반(71)의 접착체에 고정시키고 이때 수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물품을 다른곳을 이동시킬 경우, 하기 단계를 통항여 실현한다.
제1단계, 반전 테이블판자(8)을 180도 회전시켜 고정된 테이블판자(1)에 밀착시킨다.
제2단계, 지지다리(9)와 바닥 프레임(4)의 조절가능한 나사(11)을 최소위치로 조절한다.
제3단계, 두개 지지다리(9)를 구부러진 고정 로드(91)을 통하여 반전 테이블판자(8)에 밀착시킨다.
제4단계, 회전 롤러(10)을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내에서 바닥에 설치한다.
제5단계, 신축형 로드(12)의 핸들(121)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까지 잡아당긴다.
제6단계, 수납 각반(75)을 끌어당겨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스냅링에 고정시키고 반전 테이블판자(8)이 형성한 제2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고 수납 각반(75)으로 고정시킨다.
1- 고정된 테이블판자 2- 상부 접이레버
3- 하부 접이레버 4- 바닥 프레임
5- U형 힌지 6- 스토퍼 회전 조인트
7- 탈부착식 수납봉지 8- 반전 테이블판자
9- 지지다리 10- 회전 롤러
11- 조절가능한 나사 12- 신축형 로드
41- 로크레버 71- 고정 각반
72- 수납벽 73- 수납 하층
74- 수납문 75- 수납 각반
91- 구부러진 고정 로드 101-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
121- 핸들

Claims (8)

  1.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와, U형 힌지(5)와, 스토퍼 회전 조인트(6)과, 탈부착식 수납봉지(7)과, 반전 테이블판자(8)과, 지지다리(9)와, 회전 롤러(10)과, 신축형 로드(12)를 포함하고, 상부 접이레버(2)는 U형 힌지(5)를 통하여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고 하부 접이레버(3)은 U형 힌지(5)를 통하여 바닥 프레임(4)의 4개 모서리와 힌지연결되며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은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 사이에 설치되고,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접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고정된 테이블판자(1)을 승강하강시키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가 회전하면서 접쳐질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은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위에 설치되고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고, 접은 후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은 바닥 프레임(4)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스토퍼 회전 조인트(6)을 통하여 상부 접이레버(2)와 하부 접이레버(3)이 회전하면서 펼쳐질 경우 하나의 수직형 레버로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에 수직되며 이때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크고 그 사이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탈부착식 수납봉지(7)은 상부 접이레버(2)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일측에 반전 테이블판자(8)이 힌지연결되고 펼쳐질 경우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동일한 수평선에 처하고 반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된 테이블판자(1)위에 설치되며 반전 테이블판자(8)의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의 연결부분에 대응되는 한변에 최소한 하나의 지지다리(9)가 설치되고 지지다리(9)가 펼쳐질 경우 반전 테이블판자(8)에 수직되며 바닥 프레임(4)의 일측의 두 모서리에 회전 롤러(10)이 설치되고 두 회전 롤러(10)은 회전가능한 바퀴받침대(101)을 통하여 바닥 프레임(4)에 연결되고 바닥 프레임(4)의 다른한측의 밑부분에 두개 조절가능한 나사(11)이 설치되고 바닥 프레임(4)의 밑부분에 신축형 로드(12)가 설치되고, 신축형 로드(12)의 핸들(121)은 회전 롤러(10)에 대응되게 신축형 로드(12)의 선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 프레임(4)에 로크레버(41)이 설치되고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이 수직 상태일 경우 로크레버(41)이 하부 접이레버(3)에 결합되어 하부 접이레버(3)과 바닥 프레임(4)의 수직 연결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탈부착식 수납봉지(7)은 고정 각반(71)과,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를 포함하고, 수납벽(72)와 수납 하층(73)과 수납문(74)가 사각형체를 형성하고 고정 각반(71)은 수납벽(72)의 4개 수직변에 설치되어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되어 탈부착식 수납봉지(7)로 하여금 고정된 테이블판자(1)과 바닥 프레임(4) 사이의 수납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며 수납문(74)는 지지다리(9)에 대응되는 다른한면에 개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수납문(74)의 양단의 고정 각반(71)에 접착체가 설치되고 수납문(74)내에 접착테이프가 설치되며 수납문(74)를 개방시킬 경우 접착테이프와 접착체가 서로 접착되어 상부 접이레버(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5. 제3항에 있어서,
    수납문(74)의 우측의 수납벽(72)에 수납 각반(75)가 설치되고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수납 각반(75)에 대응되는 일측에 스냅링이 설치되며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이 겹쳐진 상태에서 수납 각반(75)는 스냅링에 고정되어 반전 테이블판자(8)의 바닥면과 제2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의 힌지연결구조는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 사이에 구부러진 고정 로드(91)이 설치되고 이를 통하여 지지다리(9)와 반전 테이블판자(8)의 수직 연결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9)의 수량은 두개이고 대칭되게 반전 테이블판자(8)과 고정된 테이블판자(1)의 연결부분에 대응되는 한변의 두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다리(9)의 밑부분에 조절가능한 나사(1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KR2020140007126U 2014-07-10 2014-09-30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KR2016000023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381383.7 2014-07-10
CN201420381383.7U CN203913867U (zh) 2014-07-10 2014-07-10 多功能折叠式装备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31U true KR20160000231U (ko) 2016-01-20

Family

ID=5180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126U KR20160000231U (ko) 2014-07-10 2014-09-30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95127U (ko)
KR (1) KR20160000231U (ko)
CN (1) CN20391386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8617A (zh) * 2014-07-10 2014-10-01 常州富兰德户外休闲用品有限公司 多功能折叠式装备箱
CN108477828A (zh) * 2018-05-15 2018-09-04 宁波久电器有限公司 多功能收纳箱
CN111996771B (zh) * 2019-05-27 2023-03-3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叠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877884B (zh) * 2021-01-11 2022-08-09 广东丽帛纺织品有限公司 一种针织圆机纱架用的可调式密封罩
CN114668269B (zh) * 2022-03-26 2023-08-08 福建欧莱德家具有限公司 一种折叠展示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913867U (zh) 2014-11-05
JP3195127U (ja)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9750B2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KR20160000231U (ko) 다기능 접이식 장비상자
US8522769B2 (en) Folding worktable for use on an outdoor grill
US20210127843A1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CN103458740A (zh) 垂直升降滑动折叠框架
US11044973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ortable combined bed and storage
US9545137B2 (en) Foldable frame
CN104068617A (zh) 多功能折叠式装备箱
US10617213B2 (en) Folding storage stool
WO2018188677A1 (zh) 一种折叠房屋
US8490764B2 (en) Portable storage and changing station
CN204889720U (zh) 一种便携式烧烤架
RU2624721C2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ое двух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4068637A (zh) 便携式折叠储物柜
US10781965B2 (en) Portable storage assembly
CN207174253U (zh) 多功能折叠保温箱
CN103908076B (zh) 一种折叠框架
CN203789448U (zh) 一种折叠框架
CN104905594A (zh) 课桌椅双层床两用家具
CN204670756U (zh) 课桌椅双层床两用家具
KR101254951B1 (ko) 침대 겸용 소파
CN203986702U (zh) 翻转折叠储物桌
CN201091339Y (zh) 便携式可折叠组合桌椅
CN220898190U (zh) 一种多功能箱桌
CN206071097U (zh) 一种超薄便携式集成全折叠住宅及住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