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66U -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66U
KR20160000166U KR2020140005078U KR20140005078U KR20160000166U KR 20160000166 U KR20160000166 U KR 20160000166U KR 2020140005078 U KR2020140005078 U KR 2020140005078U KR 20140005078 U KR20140005078 U KR 20140005078U KR 20160000166 U KR20160000166 U KR 20160000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old
cooling wat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선
홍기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
주식회사 캐스트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 주식회사 캐스트맨 filed Critical 한국다이캐스트공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2020140005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66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금형 및 하판금형을 관통하게 되는 다수의 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으로서, 냉수탱크와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수공급모듈, 온수탱크와 온수기를 포함하는 온수공급모듈과, 냉수와 온수의 배합비를 냉각유로 별로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수단을 포함하는 냉각수공급부; 냉각유로의 출수구 및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유출수구온도센서 및 금형에 부착된 금형온도센서를 통해 유입구, 출수구 및 금형의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부;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포함하는 냉온수결정온도와 비교하여 냉각수공급부로 냉수와 온수를 구분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밸브수단; 온도정보와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 냉온수결정온도와 냉각유로 별로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전원공급 및 작동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냉각수공급부, 냉각수온도감지부, 환수밸브수단, 표시부를 제어하되 온도정보를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와 비교하여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 및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상기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기;를 포함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는, 냉각수의 온도, 금형의 온도를 측정 및 표시하고 냉각유로의 개폐율을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본 고안은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의 온도, 금형의 온도를 측정 및 표시하고 냉각유로의 개폐율을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이캐스팅이란 정밀도 및 우수한 주물표면을 요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정확하게 기계 가공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으로 주입하여 금형과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공법이다.
금형은 재료의 소성 및 전연성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공성형하고, 제품을 생산하는 도구로서 틀 또는 형(型)의 통칭이라 한다. 기술적 의미에서의 금형이란 동일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모체가 되는 틀을 말한다.
다이캐스팅 산업은 국내 자동차 및 전기전자 등의 산업전반에 기초가 되는 부품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업종이다.
이러한 부품들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생산 시에 고려되는 각종 공정변수로는 용탕의 주입속도(저속, 고속) 및 전환위치, 용탕온도, 금형온도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금형온도는 핵심적인 공정변수로 여겨지고 있다.
여기서, 금형온도는 알반적으로 예열온도에 의해 다르나, 몇 쇼트에서 수십 쇼트에서 안정하고 금형각부의 온도는 용탕에 의해 변화를 반복한다.
현재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이캐스팅 장비에는 작동과 관련된 변수들은 조절이 가능하게끔 설정이 되어있다. 하지만 금형온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들 중 가장 중요한 변수인 냉각수 유량 및 온도에 대한 조절 기능은 다이캐스팅 장비에서 제공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냉각수 유량은 대부분의 경우 볼밸브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있지만 이는 정확한 냉각수의 유량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냉각수 유량에 영향을 많이 주는 요인들로는 냉각펌프의 압력변화, 냉각관의 배열순서, 타 금형의 냉각여부 등에 의해서 유량이 변동되지만 이를 확인할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냉각수 유량의 제어를 통해 유량의 변동사항을 확인하는 것은 금형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작업 중에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서 냉각수의 유입, 유출부에 온도가 변동되는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또하느,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금형온도조절기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수천만원에 이르는 투자비와 높은 유지보수 비용 문제로 인하여 업계의 90%이상을 차지하는 중소 다이캐스팅 업체들은 사실상 투자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수의 온도, 금형의 온도를 측정 및 표시하고 냉각유로의 개폐율을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금형온도 유지 및 냉각수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금형수명을 연장시켜 결과적으로 업체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높이고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판금형 및 하판금형을 관통하게 되는 다수의 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으로서, 냉수탱크와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수공급모듈, 온수탱크와 온수기를 포함하는 온수공급모듈과, 냉수와 온수의 배합비를 냉각유로 별로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수단을 포함하는 냉각수공급부; 냉각유로의 출수구 및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유출수구온도센서 및 금형에 부착된 금형온도센서를 통해 유입구, 출수구 및 금형의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부;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포함하는 냉온수결정온도와 비교하여 냉각수공급부로 냉수와 온수를 구분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밸브수단; 온도정보와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 냉온수결정온도와 냉각유로 별로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전원공급 및 작동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냉각수공급부, 냉각수온도감지부, 환수밸브수단, 표시부를 제어하되 온도정보를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와 비교하여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 및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상기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기;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수의 온도, 금형의 온도를 측정 및 표시하고 냉각유로의 개폐율을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한 금형온도 유지 및 냉각수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금형수명을 연장시켜 결과적으로 업체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높이고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의 냉각수 유량계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의 컨트롤박스와 알람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은, 상판금형 및 하판금형을 관통하게 되는 다수의 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의 냉각수 유량계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의 컨트롤박스와 알람기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냉각수공급부, 냉각수온도감지부, 환수밸브수단, 표시부, 조작부, 컨트롤박스, 알람기를 포함한다.
냉각수공급부는 냉수공급모듈, 온수공급모듈, 공급밸브수단을 포함한다.
냉수공급모듈은 냉수탱크와 냉각기를 포함한다.
즉, 냉수탱크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여 냉수를 냉각유로에 공급한다.
온수공급모듈은, 온수탱크와 온수기를 포함한다.
즉, 온수탱크를 통해 유출되는 물을 온수기를 통해 가열하여 온수를 냉각유로에 공급한다.
공급밸브수단은 냉수와 온수의 배합비를 냉각유로 별로 조절한다.
냉각수온도감지부는, 냉각유로의 출수구 및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유출수구온도센서 및 금형에 부착된 금형온도센서를 통해 유입구, 출수구 및 금형의 온도정보를 감지한다.
환수밸브수단은,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포함하는 냉온수결정온도와 비교하여 냉각수공급부로 냉수와 온수를 구분 환수시킨다.
표시부는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각 구간의 온도정보와 냉각유로별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판금형 및 하판금형의 유입부와 유출부의 온도, 냉각유로별 유량변동성 등을 확인 가능하다.
조작부는, 냉온수결정온도와 냉각유로 별로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전원공급 및 작동에 대한 명령을 입력한다.
컨트롤박스는, 냉각수공급부, 냉각수온도감지부, 환수밸브수단, 표시부를 제어하되 온도정보를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와 비교하여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조절한다.
알람기는,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상기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상판금형 및 하판금형을 관통하게 되는 다수의 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시스템으로서,
    냉수탱크와 냉각기를 포함하는 냉수공급모듈, 온수탱크와 온수기를 포함하는 온수공급모듈과, 냉수와 온수의 배합비를 냉각유로 별로 조절하기 위한 공급밸브수단을 포함하는 냉각수공급부;
    냉각유로의 출수구 및 유입구 측에 위치하는 유출수구온도센서 및 금형에 부착된 금형온도센서를 통해 유입구, 출수구 및 금형의 온도정보를 감지하는 냉각수온도감지부;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포함하는 냉온수결정온도와 비교하여 냉각수공급부로 냉수와 온수를 구분 환수시키기 위한 환수밸브수단;
    온도정보와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표시하게 되는 표시부;
    냉온수결정온도와 냉각유로 별로 금형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전원공급 및 작동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
    냉각수공급부, 냉각수온도감지부, 환수밸브수단, 표시부를 제어하되 온도정보를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와 비교하여 공급밸브수단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박스;
    상기 냉각수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정보가 상기 상판금형온도범위 및 하판금형온도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기;를 포함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KR2020140005078U 2014-07-07 2014-07-07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KR201600001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78U KR20160000166U (ko) 2014-07-07 2014-07-07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078U KR20160000166U (ko) 2014-07-07 2014-07-07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6U true KR20160000166U (ko) 2016-01-18

Family

ID=5531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78U KR20160000166U (ko) 2014-07-07 2014-07-07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040A (zh) * 2017-07-27 2017-10-17 福建省瑞奥麦特轻金属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模具控温精度的水冷数字阀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040A (zh) * 2017-07-27 2017-10-17 福建省瑞奥麦特轻金属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模具控温精度的水冷数字阀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8789B (zh) 一种压铸模具温度控制装置及控制方法
CN109049591A (zh) 一种注塑模具温度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10997274B (zh) 用于对注射成型模具进行变模温调温的方法和设备
CN106001576A (zh) 一种熔融涂覆增材制造的熔体流量控制方法与装置
JP4549733B2 (ja) 金型温度の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
KR101129237B1 (ko) 투과성 주위벽을 갖는 용융 금속 몰드용 가스 유동 제어 시스템
KR20160000166U (ko)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고 표시하는 유량제어시스템
CN102990037B (zh) 组合式多功能模具温控装置
CN104209489B (zh) 一种实现金属构件移动微压铸成型的装置
US6516862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mold-cast porous metal structure
CN205237029U (zh) 一种铸造模具温度控制装置
US20130160966A1 (en) Die cast part of a die casting mold and corresponding die casting device
JP2010036588A (ja) 金型温度の調整装置
CN206632315U (zh) 一种一模二型腔成形模具
CN105658390A (zh) 一种成型机
KR100780067B1 (ko) 몰드 냉각장치
CN106862499A (zh) 一种一模二型腔成形模具及成型工艺
KR100698965B1 (ko) 금형의 온도제어장치
KR101773808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스마트 유량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4554B1 (ko) 금형 온도 조절 장치
JP2011025577A (ja) 成形装置および成形装置の温度制御方法
JP2021088166A (ja) レンズ成形システム及びその成形方法
KR100558400B1 (ko) 금형의 온도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112363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die cas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die casting device
CN105728701A (zh) 一种水冷恒温金属合金浇注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