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323A -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323A
KR20150146323A KR1020140076771A KR20140076771A KR20150146323A KR 20150146323 A KR20150146323 A KR 20150146323A KR 1020140076771 A KR1020140076771 A KR 1020140076771A KR 20140076771 A KR20140076771 A KR 20140076771A KR 20150146323 A KR20150146323 A KR 20150146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wireless charging
contents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525B1 (ko
Inventor
박연원
김현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525B1/ko
Priority to CN201480025840.1A priority patent/CN105191483B/zh
Priority to PCT/KR2014/011017 priority patent/WO2015115723A1/ko
Priority to US14/894,961 priority patent/US9806558B2/en
Publication of KR2015014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충전 중인 제 1 단말에서 동기화할 제 2 단말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검색하고, 제 1 단말이 검색된 제 2 단말과의 연결 조건(또는 통신 방법)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교환한 후, 제 1 단말이 해당 연결 조건을 통해 제 2 단말과 연결한 후, 제 1 단말에서 공유할 폴더나 파일의 내용을 제 2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제 1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동일 사용자의 여러 단말 간 파일 공유도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중인 제 1 단말에서 동기화할 제 2 단말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검색하고, 제 1 단말이 검색된 제 2 단말과의 연결 조건(또는 통신 방법)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교환한 후, 제 1 단말이 해당 연결 조건을 통해 제 2 단말과 연결한 후, 제 1 단말에서 공유할 폴더나 파일의 내용을 제 2 단말에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충전 장치(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전자 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이다.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에 인접한 단말과 통신하고, 해당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신호를 해당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에서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어, 배터리 충전 기능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2057호 [명칭: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직접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 1 단말을 포함하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고,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신부는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제 1 단말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은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공유 대상 정보는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전용 앱을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은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확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과 직접 통신하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단말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제 1 단말을 포함하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신부를 통해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연결 조건 정보를 제 1 단말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제어부를 통해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확정된 통신 방식에 의해 제 1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단말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고,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에 무선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전용 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 1 단말; 및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제 1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제 1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직접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동일 사용자의 여러 단말 간 파일 공유도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10)은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및 무선 충전 장치(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충전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무선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무선 충전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충전 장치(300) 및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또는 자기 공명 방식)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한다. 또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 및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블루투스에서 저전력용인 BLE를 사용한다.
제 1 단말(100)이 공유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 및 공유 대상 정보를 저장 중인 상태에서, 제 1 단말(100)이 무선 충전 장치(300)와 통신하면,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10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1 단말(100)은 공유 대상 정보와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예를 들어 제 2 단말(200))과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를 교환하고, 제 1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 간의 연결 방법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이후, 제 1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결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각 단말에 미리 설치된 동일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한다. 이후,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또는 공유되는) 공유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100)은 제 1 통신부(110), 제 1 제어부(120) 및 제 1 배터리(13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단말(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1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 1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100)은 PRU(Power Receiving Unit)(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다른 단말과 통신한다.
또한, 제 1 통신부(110)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사용하여 BLE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통신한다.
또한, 제 1 통신부(110)는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제어부(120)는 제 1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제 1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해당 콘텐츠는 파일(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게임, 지도 제공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정보, 문서 등 포함)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또는 폴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선택된 해당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공유 대상 정보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포함)를 포함한다.
즉, 제 1 제어부(120)(또는 제 1 단말(100)의 사용자 선택/제어에 따라)는 제 1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전화 번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전화 번호(또는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또는 생성)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A4WP 방식의 무선 충전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연결(또는 통신)을 요청하기 위해서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advertisement 신호)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전송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와의 연결(또는 통신)을 성립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제어 신호(또는 충전 신호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를 전송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20)는 앞서 전송된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수신된 충전 신호를 근거로 제 1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이때,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와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해 해당 제 1 배터리(130)를 충전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100)이 무선 충전 장치(300)의 BLE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 1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통신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제 1 단말(100)에 포함된 제 1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해당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충전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빈 시간 구간(또는 대기 시간 구간)에 해당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제 1 단말(100)에 구비된 USIM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 제 1 단말(100) 고유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IMSI는 이동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 이동 네트워크 코드(Mobile Network Code: MNC),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Mobile Subscriber Identifier Number: MSIN) 등을 포함한다. 또한, IMEI는 단말기 고유의 일련 번호,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포함)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제 1 단말(100)이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현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전송된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또한,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제어부(120)는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 내에 공유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공유 대상 정보에 포함된 공유 대상 단말이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 1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또는 출력)하고, 해당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또는 폐기)하거나 제 1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300)는 제 1 단말(100)과의 충전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또한, 판단 결과,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제어부(120)는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특정 단말(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단말)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특정 단말을 제 2 단말(200)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특정 단말은 적어도 하나(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확인된 특정 단말인 제 2 단말(200)과의 연결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락(또는 허용)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간에 연결 조건 정보 교환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또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확인된 제 2 단말(200)과 교환한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제 2 단말(200)과의 해당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또는 설정)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제 2 단말(200)과 직접 통신(또는 접속/연결)한다. 이때,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각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는 선택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제 1 제어부(120)는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허락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해당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1 통신부(110)를 통해 제 2 단말(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120)와 제 2 단말(200) 간에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공유할 때, 동기화 방식(예를 들어 파일 동기화, 폴더 동기화 등 포함)으로 제 1 단말(100)에서 선택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2 단말(200)에 동기화(또는 공유)할 수도 있다.
제 1 배터리(130)는 해당 제 1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 1 배터리(130)는 제 1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신호를 근거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말(200)은 제 2 통신부(210), 제 2 제어부(220) 및 제 2 배터리(23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2 단말(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 2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 2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단말(200)은 PRU(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다른 단말과 통신한다.
또한, 제 2 통신부(210)는 BLE를 사용하여 BLE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통신한다.
또한, 제 2 통신부(210)는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제어부(220)는 제 2 단말(2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와 무선 충전 장치(300) 간의 충전 기능은 앞서 설명한 제 1 단말(100)에 포함된 제 1 제어부(120)와 무선 충전 장치(300) 간의 충전 기능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제 2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
또한, 제 2 단말(200)을 포함하여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 중에서 제 1 단말(100)에서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공유 대상 정보에 해당 제 2 단말(200)이 포함된 경우, 제 2 제어부(220)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락(또는 허용)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간에 연결 조건 정보 교환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수신된 연결 조건 정보에 대해서 수용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정보(예를 들어 연결 조건 수용, 다른 연결 조건 정보 생성 등 포함)를 생성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수신된 연결 조건 정보에 응답하여 생성된 응답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1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이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상호 연결 조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제 1 단말(100)과의 직접 통신(또는 접속/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각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공유하고자 하는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제 2 제어부(220)는 제 2 단말(200)이 미리 콘텐츠 수신을 허락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이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이거나 충전이 중지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등에 상관없이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간의 직접 통신이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200)이 미리 콘텐츠 수신을 허락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 2 제어부(22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바로 폐기(또는 삭제)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수신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2 저장부(미도시)를 통해 저장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수신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전용 앱 등을 통해 제 2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공유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공유 상태 정보는 단말 간에 공유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콘텐츠를 상호 공유하는 제 1 단말(100) 및 제 2 단말(200)의 식별 정보, 무선 충전 장치(300)의 식별 정보, 공유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20)는 생성된 공유 상태 정보를 제 2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300)나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에 전송한다.
이때, 해당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공유 상태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빅 데이터(big data)로 저장한다. 또한,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이 미리 설정된 매장을 방문하는 경우(또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가 설치된 매장을 방문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저장되는 공유 상태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빅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공유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단말별로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해당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정보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가 구비된 매장별 프로모션 정보, 쿠폰 정보, 마케팅 정보, 제품별 리뷰 정보, 뉴스 정보, 음악 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큐레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 전송된 부가 서비스 정보에 포함된 특정 제품에 대한 구매 기능(또는 결제 기능)이 요청될 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무선 충전 장치(300)와 제 1 단말(100)(또는 제 2 단말(200))과 POS 단말(미도시) 간의 연동에 의해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 2 배터리(230)는 해당 제 2 단말(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 2 배터리(230)는 제 2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충전 신호를 근거로 충전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또는 무선 충전기)(Power Transmitting Unit: PTU)(300)는 통신부(310) 및 제어부(32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3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무선 충전 장치(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310)는 BLE를 사용하여 BLE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BLE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등과의 통신을 위해 전원 비콘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320)는 무선 충전 장치(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A4WP 방식의 무선 충전에 있어서, 전원 비콘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생성된 전원 비콘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전송되는 전원 비콘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전원 비콘 신호를 수신한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PRU advertisement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근거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인접한 해당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과 통신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예를 들어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등 포함)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타임 슬롯(또는 타임 시퀀스/전체 데이터 전송 가능 시간) 중에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해당 충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을 스케줄링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무선 충전 장치(300)에 포함된 인덕터(미도시)와 커패시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300)는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을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스케줄링된 타임 슬롯을 근거로 생성된 충전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250ms)으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연결된 단말 중 특정 단말(예를 들어 제 1 단말(100), 제 2 단말(200) 등 포함)에 전송한다.
이때,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연결된 단말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320)는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개별적으로 생성된 충전 신호를 각각 대응하는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연결된 단말이 복수인 경우, 제어부(320)는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충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하나의 충전 신호를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또는 충전 신호 전송 요청 신호)(예를 들어 PRU 다이내믹 파라미터 포함)를 근거로 해당 제 1 단말(100) 또는 제 2 단말(200)에 충전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포함)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통신부(310)를 통해 각각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빈 시간 구간(또는 대기 시간 구간)에 해당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통신부(310)를 통해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현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특정 단말에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32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수신된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제 1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함께 공유할 대상 단말인 제 2 단말(200)이 현재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경우, 제어부(320)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수신된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해당하는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연결 조건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단말(100)에서 공유 대상 정보 및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단말(예를 들어 제 2 단말(200) 등 포함)을 확인하고, 확인된 특정 단말과의 직접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제 1 단말(100)로부터 공유 대상 정보를 수신(또는 획득)하고, 수신된 공유 대상 정보 및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특정 단말을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300)는 확인된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 1 단말(100)에 제공한다. 이후,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제공된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해당 특정 단말과의 직접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직접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 1 단말(100)은 제 1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해당 콘텐츠는 파일(예를 들어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동영상, 게임, 지도 제공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정보, 문서 등 포함)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파일을 포함하는 폴더(또는 폴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선택된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한다. 여기서, 공유 대상 정보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다른 단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포함)를 포함한다.
즉, 제 1 단말(100)은 제 1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복수의 전화 번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전화 번호(또는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제 1 단말(100) 내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 이미지를 선택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다른 단말에 대한 전화 번호 중에서 제 2 단말, 제 3 단말 및 제 4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한다(S510).
이후, 제 1 단말(100)이 무선 충전 장치(300)의 BLE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와 통신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신호를 근거로 제 1 단말(100)에 포함된 제 1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이때, 제 1 단말(100)은 해당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이 무선 충전 장치(300)의 BLE 범위 내에 존재할 때, 제 1 단말(100)과 무선 충전 장치(300)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해당 제 1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300)에 전송한다(S520).
이후, 무선 충전 장치(30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현재 충전 중인 제 1 단말(10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등 포함)를 확인한다.
또한, 무선 충전 장치(30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충전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빈 시간 구간(또는 대기 시간 구간)에 해당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충전 장치(300)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250ms)으로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에 연결된(또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의 BLE 반경 내에 위치한) 제 1 단말(100)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에 충전 신호를 각각 전송 중인 상태에서, 무선 충전 장치(300)는 현재 충전 중인 제 1 단말(100)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또는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각각 확인한다. 이후, 무선 충전 장치(300)는 확인된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를 해당 복수의 단말에 각각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충전 장치(300)에서 빈 시간 구간에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각 단말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300)는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현재 충전 중인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특정 단말(예를 들어 제 1 단말(100))에만 해당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S530).
이후,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미리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예를 들어 제 2 단말, 제 3 단말 및 제 4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수신된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또는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단말(100)은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 내에 공유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공유 대상 정보에 포함된 공유 대상 단말이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삭제(또는 폐기)하거나 저장한다. 이때, 무선 충전 장치(300)는 제 1 단말(100)과의 충전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일 예로, 미리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예를 들어 제 2 단말, 제 3 단말 및 제 4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수신된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예를 들어 제 5 단말과 제 6 단말의 전화 번호 포함)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때,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와의 충전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하며, 공유 대상 정보에 포함된 공유 대상 단말이 해당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S550).
또한, 판단 결과, 공유 대상 정보에 수신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단말(100)은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충전 중인 특정 단말인 제 2 단말(200)을 확인한다. 여기서, 특정 단말은 하나 이상(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또는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또는 접속 조건 정보/통신 방식 정보)를 확인된 제 2 단말(200)과 교환한다. 여기서,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락(또는 허용)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 간에 연결 조건 정보 교환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무선 충전 장치(300)를 통해 연결 조건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해당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또는 설정)한다.
일 예로, 미리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예를 들어 제 2 단말, 제 3 단말 및 제 4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수신된 복수의 단말의 전화 번호(예를 들어 제 2 단말과 제 5 단말의 전화 번호 포함)가 포함되어 있을 때, 제 1 단말(100)은 무선 충전 장치(300)와의 충전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하며, 와이파이 방식의 연결 조건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후, 제 2 단말(200)은 수신된 와이파이 방식의 연결 조건 정보에 대해서 수용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방식의 연결 조건 수용/허용)를 무선 충전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 1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후, 제 1 단말(100)은 제 2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정보를 근거로 최종 연결 조건 정보(예를 들어 와이파이 방식의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한다(S560).
이후, 제 1 단말(100)은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제 2 단말(200)과 직접 통신(또는 접속/연결)한다. 이때, 제 1 단말(100)과 제 2 단말(200)은 각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제 2 단말(200)과 와이파이 방식으로 직접 통신한다.
또한, 제 1 단말(100)은 앞서 선택된 공유하고자 하는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또한,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한다. 이때,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락(또는 허용)한 상태인 경우에 한해서, 제 2 단말(200)은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제 2 단말(200)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락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단말(100)과 직접 연결 과정이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복수의) 콘텐츠를 바로 폐기(또는 삭제)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은 공유하고자 하여 선택된 ○○ 이미지를 전용 앱을 통해 제 2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후, 제 2 단말(200)은 전용 앱을 통해 제 1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 이미지를 저장하고, ○○ 이미지를 전용 앱을 통해 표시한다(S5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제 1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제 2 단말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제 1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제 2 단말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 PRU를 포함하는 제 1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 제 2 단말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여, 제 1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복수의 단말 간에 대용량 데이터를 직접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동일 사용자의 여러 단말 간 파일 공유도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 중인 제 1 단말에서 동기화할 제 2 단말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검색하고, 제 1 단말이 검색된 제 2 단말과의 연결 조건(또는 통신 방법)을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교환한 후, 제 1 단말이 해당 연결 조건을 통해 제 2 단말과 연결한 후, 제 1 단말에서 공유할 폴더나 파일의 내용을 제 2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제 1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를 편리하게 다른 단말과 공유하고, 무선 충전 시스템의 응용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동일 사용자의 여러 단말 간 파일 공유도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무선 충전 시스템 분야, 광고/홍보/마케팅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무선 충전 시스템 100: 제 1 단말
200: 제 2 단말 300: 무선 충전 장치
110: 제 1 통신부 120: 제 1 제어부
130: 제 1 배터리 210: 제 2 통신부
220: 제 2 제어부 230: 제 2 배터리
310: 통신부 320: 제어부

Claims (15)

  1.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 1 단말을 포함하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고,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복수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상기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상 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의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조건 정보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상기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
  8.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확정된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 1 단말과 직접 통신하고,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단말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
  9. 통신부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단말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을 포함하여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연결 조건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11.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중인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선택된 공유 대상 정보에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단말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상기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단말의 제어 방법.
  13. 통신부를 통해 BLE 방식을 근거로 통신하고,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조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확정된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 1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말이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1 단말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단말의 제어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5.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고, 식별 정보,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충전 장치;
    콘텐츠를 공유할 공유 대상 정보에 무선 충전 중인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 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때 상기 공유 대상 정보 중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연결 조건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의 상기 연결 조건 정보의 교환에 의해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확정하고, 상기 확정된 최종 연결 조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직접 통신하고, 미리 저장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상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 1 단말; 및
    콘텐츠 수신을 미리 허용한 상태일 때,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0140076771A 2014-01-29 2014-06-23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52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71A KR102252525B1 (ko) 2014-06-23 2014-06-23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201480025840.1A CN105191483B (zh) 2014-01-29 2014-11-17 无线充电装置和终端、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PCT/KR2014/011017 WO2015115723A1 (ko) 2014-01-29 2014-11-17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4/894,961 US9806558B2 (en) 2014-01-29 2014-11-17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71A KR102252525B1 (ko) 2014-06-23 2014-06-23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23A true KR20150146323A (ko) 2015-12-31
KR102252525B1 KR102252525B1 (ko) 2021-05-17

Family

ID=551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771A KR102252525B1 (ko) 2014-01-29 2014-06-23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95A1 (ko) * 2016-03-10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122A (ko) * 2010-04-28 2011-11-03 김종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한 전원 및 충전요금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KR20120078676A (ko) * 2012-01-26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멀티노드 무선충전 스위칭 명령 전송 방법
KR20120120692A (ko) * 2011-04-25 2012-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20130142312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72057B1 (ko) 2007-05-29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057B1 (ko) 2007-05-29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KR20110120122A (ko) * 2010-04-28 2011-11-03 김종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하기 위한 전원 및 충전요금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KR20120120692A (ko) * 2011-04-25 2012-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20120078676A (ko) * 2012-01-26 2012-07-10 전자부품연구원 멀티노드 무선충전 스위칭 명령 전송 방법
KR20130142312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195A1 (ko) * 2016-03-10 2017-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US10965143B2 (en) 2016-03-10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525B1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6558B2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terminal,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TWI559787B (zh) 行動網路操作者識別
US108877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US11122404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s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03200567A (zh) WiFi接入的方法和系统
CN103068066A (zh) 一种智能移动通信终端及其无线网络接入方法、系统
US20140176306A1 (en) Near-field-communication (nfc) enabled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2833699B (zh) 模拟双通功能的方法、系统及移动通信终端
KR20130100807A (ko) 디바이스 간 직접 통신을 기반으로 한 타겟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135284B2 (en) Wireless charging equipment for providing charging service to selective users
CN104392500A (zh) 一种考勤方法
KR102144021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2018197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charger, and charging system
CN103249115A (zh) 策略配置方法及装置
CN104346838A (zh) 一种终端及系统
CN105574749A (zh) 一种安全元件se中卡片应用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EP2760185B1 (en) Portable telephone,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121572B2 (en) Charge service method and charge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optimal service configurations
KR102252525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12362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5307267A (zh) 一种寻呼方法及设备
KR102243822B1 (ko) 다중 유심카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8165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2694924A (zh) 用于移动终端的存储通信数据的系统和方法
KR102178167B1 (ko)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