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986A - 안과 질환 진단 키트 - Google Patents

안과 질환 진단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986A
KR20150145986A KR1020140075638A KR20140075638A KR20150145986A KR 20150145986 A KR20150145986 A KR 20150145986A KR 1020140075638 A KR1020140075638 A KR 1020140075638A KR 20140075638 A KR20140075638 A KR 20140075638A KR 20150145986 A KR20150145986 A KR 20150145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eukin
eye
marker
absorbing
eosinoph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원
서경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986A/ko
Publication of KR2015014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01N33/53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 G01N33/53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by sorbent column, particles or resin strip, i.e. sorben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 질환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안과 질환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과 질환 진단 키트는 특수한 장비 없이도, 환자 진료 시에 바로 사용하여 다양한 눈 관련 질환을 간단하고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 및 결과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의 전문의 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안과 질환 진단 키트{Diagnosis kit for ocular disease}
본 발명은 안과 질환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눈 알레르기 및 눈 감염 질환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Allergy)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면역 과민 반응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처음 체내에 노출되었을 때 생체는 유발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와 림프구를 생산하고, 이후 동일한 물질이 노출될 때마다 체내에서 이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알레르기 질환 유발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면역 세포로는 호산구(eosinophil), 비만세포(mast cell), 및 림프구(lymphocyte)가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은 이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물질들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llergy and Asthma Proceedings, (2011), 32(1): 43-48).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도 하며, 꽃가루, 약물, 화학물질, 세균, 음식물 등이 전형적인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는 신체의 어느 부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눈, 호흡기, 피부 등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 눈과 관련된 대표적인 알레르기 반응으로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아토피성 각결막염, 코의 알레르기에 의한 눈의 이차성 결막염 상태, 약물(안약)에 의한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다.
결막염(Conjunctivitis)은 안구를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인 결막(conjunctiva)에 염증이 발생한 질병으로서 유병률이 매우 높다. 이러한 결막염은 고전염성인 감염성 결막염과 비전염성인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염성 여부 및 치료 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이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두 질환의 증상 및 소견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학적 검사(세극등 검사 등) 만으로는 두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세균 및 바이러스 배양검사,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법(ELISA) 등의 추가 실험을 통해 두 질환을 감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 실험은 추가적인 장비, 실험 공간, 시간 등이 요구되며, 비용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최근 안약(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로 처방받은 안약을 사용해 보기 전에는 알레르기 유발 여부를 예측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수의 환자들이 처방받은 안약을 사용해 보고 알레르기가 유발되면 안약의 사용을 중단하고 다음 외래에 다시 내원해서 안약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하나의 안약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발된 환자의 경우에는 다른 안약의 경우에도 알레르기가 유발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안약의 종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대병으로 알려져 있는 아토피성 각결막염의 유병률도 급증하고 있다. 아토피성 각결막염은 만성 질환으로, 치료제로 스테로이드제제나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지만, 이 두 가지 치료제는 많은 부작용 및 합병증이 동반되는 약물에 속하며, 증상이 조절되는 한도 내에서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하지만, 만성 질환의 추적 관찰시약물의 종류, 약물의 용량 등을 조절할 때에 객관적인 정보에 기인하기 보다는 가려움의 정도 등 환자의 주관적 증상 호소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눈과 관련된 알레르기 질환의 여부 및 증상 정도를 객관적으로, 그리고 외래에서 바로 신속하게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진단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안과적으로 많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클라미디아, 아칸트아메바균, 정형/비정형 결핵균 등이 눈의 각막, 결막, 및 공막에 감염되는 것도 주요 안과 질환 중의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안내(intraocular)의 여러 조직들(망막, 맥락막, 유리체, 홍채 등)에도 위와 같은 감염원에 의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에 의한 질환은 치료가 즉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실명에 이르기까지 할 수 있는 고위험성 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은 각 감염균의 종류에 따라 치료제가 달라지기 때문에, 감염원이 무엇인가를 진단하고 그것에 맞추어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감염원 사이에 특징적인 소견이 없는 경우가 많고, 감염원의 종류와 관계 없이 증상 및 소견이 유사한 경우가 많아, 이학적 검사(세극등 검사 등) 만으로는 여러 질환을 감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감염원의 배양검사를 시행해서 균의 종류를 진단해야만 그 감염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염원 진단을 위한 장비와 시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또한 진단의 민감도 및 특이성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눈의 각막, 결막, 공막의 감염 상황 및 안내(intraocular) 여러 조직들의 감염 상황에서 감염원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감별해 낼 수 있는 진단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안과 질환을 외래에서 바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눈 알레르기 및 눈 감염 질환의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안과 질환 진단 키트"란, 눈과 관련된 알레르기 질환,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한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는 얇은 띠(strip) 형태의 진단 스트립으로서, 눈에 걸쳐 안액을 흡수함으로써 흡수된 안액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항원에 대한 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다양한 안과 관련 질환 여부 및 질환의 중증 단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키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색의 값(color value)"란, 색의 진하기, 발색된 넓이 등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난 정도를 의미하며, 상기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값이라면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은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 b)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c)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된 액체 성분을 검출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d)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가 흡착되어 있는 검사선을 포함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의 밀도가 연결부 및 검출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 밀도보다 커서, 안액이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되면 연결부 및 검출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는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면서 굽어질 수 있어서, 흡수부와 전달부를 분리시키고, 흡수부가 안액에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검사선은 항체가 결합되어 있는 가로 방향의 다수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알레르기 단계 및 감염 여부/정도를 나눌 수 있는 수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검사선은 1 내지 10m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단 마커가 결합된 검사선이 서로 독립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간격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검사선은 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형 형태는 가로가 1 내지 10mm이고, 세로가 1 내지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가로가 3 내지 10mm이고, 세로가 3 내지 50mm일 수 있으나, 검사선에 흡착되어 있는 항체에 진단마커가 결합하여 발색 정도(색의 값)를 구분하여 알레르기 단계 및 감염 여부/정도를 나눌 수 있는 형태라면 삼각형, 원형, 별모양 등 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안과 질환 단계는 1 내지 10단계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단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단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안과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약물의 종류, 약물의 용량 등을 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단계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검사선은 서로 다른 항체가 결합되어 있는 세로 방향의 검사선이 2개 내지 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검사선에는 서로 다른 항체가 결합되어 있어, 다양한 안과 질환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선은 1 내지 10m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단 마커가 결합된 검사선이 서로 독립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간격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흡수부는 1 내지 50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가닥으로 나뉘어져 있을 수 있다. 흡수부는 다수의 가닥으로 나뉘어져 있어 눈에 결합되는 부위의 표면적을 넓혀 눈물의 흡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흡수부는 굴곡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굴곡은 구불구불한 형태로 눈에 닿는 흡수부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전달부에 포함되어 있는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항체는 안과 질환 진단용 마커에 결합하는 항체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일차적으로 안액에 포함되어 있는 진단 마커와 결합하여 검출부로 이동하여 이차적으로 검출부에 흡착되어 있는 항체와 진단 마커가 결합하여 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색제는 항체에 결합할 수 있고, 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종류라면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금(gold) 입자, 염색 시약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색제에 의한 진단방법 외에 화학반응에 의해 측정 가능한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화학발광(chemiluminescence) 진단방법, 생물체에서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생물발광(bioluminescence), 기질이 효소 반응에 의해 형광 물질로 전환되는 현상을 이용한 화학형광(chemifluorescence) 진단방법, 형광물질을 이용한 형광(fluorescence) 진단방법 등을 사용하여 진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항체-항원-항체-발색제"의 결합에 의한 발색 이외에도, 항원-항체가 결합하면 바로 발색하는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FRET) 방법 등 일 수 있으며, 또는 기질을 이용한 방법일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항원-항체" 결합을 진단하는 방법에 따르면 전달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항체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 기술한 방법 이외에도 항원-항체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마커는 눈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호산구(eosinophil) 또는 비만 세포(mast cell)가 분비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알레르겐-특이 면역글로블린 E(Allergen-specific IgE),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호산구 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이오탁신-1(eotaxin-1), 이오탁신-2(eotaxin-2), 이오탁신-3(eotaxin-3),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호산구 과산화효소(eosinophil peroxidase),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키마아제(chymas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헤파린(hepar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혈소판 활성화 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인터루킨-2(interleukin-2), 인터루킨-4(interleukin-4), 인터루킨-5(interleukin-5), 인터루킨-6(interleukin-6), 인터루킨-8(interleukin-8), 인터루킨-10(interleukin-10), 인터루킨-12(interleukin-12), 인터루킨-13(interleukin-13),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beta),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단핵세포 화학 유인물질 단백질 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란테스(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 expressed and secreted), 기질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라이소좀 가수분해효소(lysosomal hydrolase), 주요 기저 단백질(major basic protein), 미엘로퍼옥시데이스(myeloperoxidase), 용해성 인터루킨-2,6 수용체(soluble interleukin-2,6 receptor), E-셀렉틴(E-selectin), 및 15-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레노익산(15-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등일 수 있으나, 알레르기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항체는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정형 결핵균, 비정형 결핵균, 또는 아칸트아메바와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눈에 감염될 수 있는 균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진단 키트는 검출부에 종료 표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료 표시선은 염색시약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색 시약은 눈물이 닿으면 눈물에 용해되어 눈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번져, 눈물이 종료 표시선까지 흡수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인이 눈물에 가지고 있는 마커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알레르기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체가 흡착되어 있을 수 있어, 눈물이 종료 표시선까지 흡수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눈물이 종료 표시선까지 흡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진단 키트는 종이, 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등일 수 있으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안액의 성분은 눈물 또는 방수일 수 있으며, 눈으로부터 흡수할 수 있으며, 눈 관련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 액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눈 알레르기 질환은 눈에서 발생하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면역 과민 반응으로 인한 모든 질환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아토피성 각결막염, 약물(안약)에 의한 알레르기성 결막염, 코, 호흡기 등의 타 장기 알레르기에 의한 이차성 결막염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감염 질환은 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세균, 바이러스, 진균, 클라미디아, 아칸트아메바균, 정형/비정형 결핵균에 의한 각막염, 결막염, 공막염 및 안내 조직의 감염 등의 감염 질환이다. 그러나 눈에 감염될 수 있는 균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사용하여 눈 관련 알레르기, 감염 질환 등의 눈 관련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가로방향으로 1 내지 10개의 선으로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사각형 형태로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세로방향으로 1 내지 10개의 선에 각기 다른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항체를 흡착시키는 방법은 항체를 검출부에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bovine serum albumin(BSA)를 흡착시키고, 상기 BSA에 항체를 고정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 질환 진단 키트는 특수한 장비 없이도, 환자 진료 시에 바로 사용하여 알레르기 질환, 감염 질환 등의 눈 관련 질환을 간단하고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일회용이기 때문에 2차 감염 등의 위험성이 매우 낮다. 또한 사용 방법 및 결과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안과 전문의 외에도 가정의학과, 응급의학과, 내과, 소아과 등의 전문의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의 진단을 원하는 일반인도 누구나 사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를 눈에 위치시킨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NOVA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점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눈 알레르기 진단 마커 확인 실험
눈 관련 알레르기의 진단을 위한 마커를 확인하기 위하여,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 봄철 각결막염 환자, 아토피성 각결막염 환자,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환자, 및 감염성 결막염 환자의 하안검의 바깥쪽에서 모세 미세관(capillary micropipette)을 이용하여 자극을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눈물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획득한 각각의 눈물을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호산구 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이오탁신-1(eotaxin-1), 이오탁신-2(eotaxin-2), 이오탁신-3(eotaxin-3),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및 키마아제(chymase)의 각각의 항체를 이용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control) 바이러스성 결막염(감염성 결막염) AC(알레르기성 결막염) VKC(봄철 각결막염) AKC(아토피성 각결막염)
IgE 37.1 ng/ml 112.2 ng/ml 262.1 ng/ml 322.2 ng/ml 266.59 ng/ml
Histamine 3.56 ng/ml 8.05 ng/ml 39.80 ng/ml 24.24 ng/ml 17.05 ng/ml
Tryptase 4.1 ng/ml 6.53 ng/ml 26.6 ng/ml 16.2 ng/ml 11.4 ng/ml
ECP 4.02 ng/ml 17.14 ng/ml 56.53 ng/ml 1252.4 ng/ml 1858.33 ng/ml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인(control) 또는 감염성 결막염 환자와 비교하여,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 환자들의 눈물에서는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및 면역글로불린 E(IgE) 의 양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p-value <0.05)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상기 물질들을 진단 마커로 이용할 경우 눈 알레르기 질환 환자들을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작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니트로셀룰로즈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된 박막형 종이(1cm X 7cm)를 준비하고, 눈에 직접 걸어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의 밀도가 커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흡수된 안액이 연결부 및 검출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흡수부를 10개의 가닥으로 나누어 눈에 닿는 표면적을 넓히도록 제작하였다. 그리고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1mg/mL의 농도가 되도록 PBS로 희석한 후, 전달부에 흡수 및 건조시키고, 검출부에는 항체를 결합시킬 위치에 가로로 2mm 간격이 되도록 5개의 선으로 또는 5mm의 정사각형 형태로 BSA(bovine serum albumine)를 흡착시킨 후에 BSA에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눈물이 키트의 종료선까지 흡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종료선에는 염색 시약을 흡착시켰다. 안과 질환 진단 키트에 대한 형태는 도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아칸트아메바(Acanthamoeba)에 대한 항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아칸트아메바 파쇄 항원을 토끼에 주입시켜 일반적인 항체 획득 방법으로 항-아칸트아메바 항체를 획득하고("Exp Eye Res.  (1999) 69(1): 75-84" 참조),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에 대한 항체와 항-아칸트아메바 항체를 세로로 3mm 간격이 되도록 서로 다른 선에 흡착시켜, 복수의 질환 진단을 위한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제작하였다. 그 형태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이용한 진단 실험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작한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각각 정상인(대조군, control), 바이러스성 결막염 환자, 및 알레르기성 결막염 환자 10명씩에게 테스트하였다. 각각의 환자에게 인공 눈물을 충분히 넣어 눈 안에 있는 눈물을 희석 및 제거 하였다. 그 이후, 진단 키트를 하안검가쪽 1/3에 위치시켰다. 그리고, 눈을 감고 5분 동안 대기하게 한 후, 진단 키트를 제거하여 관찰한 뒤 발색한 선의 수 또는 사각형의 발색 정도에 따라 1 내지 5 단계로 나누어 그 단계를 기록 하였다. 이후, 눈을 세척하기 위하여 다시 인공 눈물을 충분히 넣고 눈물을 희석 및 제거 하였다. 그리고 5분간 눈을 감고 휴식한 후, 하안검의 바깥쪽에서 모세미세관(capillary micropipette)을 이용하여 자극을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 눈물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눈물은 에펜도르프 튜브에 모은 이후,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에 대한 특이 항체를 이용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ECP 정상인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ELISA (ng/ml) Grade (Kit) ELISA (ng/ml) Grade (Kit) ELISA (ng/ml) Grade (Kit)
Patient 1 2.52 1 Patient 11 15.4 1 Patient 21 35.2 2
Patient 2 8.55 1 Patient 12 32.5 2 Patient 22 37.3 2
Patient 3 3.1 1 Patient 13 41.3 2 Patient 23 55.2 3
Patient 4 1.8 1 Patient 14 25.1 1 Patient 24 58.5 3
Patient 5 5.5 1 Patient 15 16.2 1 Patient 25 62.5 3
Patient 6 2.2 1 Patient 16 38.4 2 Patient 26 81.3 4
Patient 7 4.32 1 Patient 17 45.5 2 Patient 27 79.5 4
Patient 8 6.2 1 Patient 18 12.2 1 Patient 28 61.3 3
Patient 9 12.5 1 Patient 19 10.8 1 Patient 29 76.4 4
Patient 10 3.5 1 Patient 20 16.4 1 Patient 30 59.4 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인에게서는 전혀 발색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이러스성 결막염 환자는 발색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하나의 선이 발색된 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잔단 스트립의 검출부에서 평균적으로 2개 내지 3개의 선이 발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ELISA 검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낸 환자의 경우에는 발색된 검사선의 수가 높으며, 사각형의 검사부를 가지고 있는 키트에서도 가장 진한 발색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낮은 수치를 나타낸 환자의 경우에는 검사선 1개만이 발색되었으며, 사각형의 검사부 역시 약하게 발색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발색선의 갯수, 발색 정도(발색된 색의 값)를 통하여 질환의 단계, 즉, 눈물에 포함된 진단 마커의 양을 단계별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결과를 통하여, 알레르기 결막염 환자의 눈물에는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눈물에 포함되어 있는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이 일차적으로 전달부에 있는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항체에 결합한 후에, 이차적으로 검출부에 있는 항체에 결합하여 발색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가 신뢰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 군 간에 평균 비교를 위해 ANOVA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Control
Viral conjucntivitis
Allergic conjunctivitis
p-value
ECP
(ng/ml, ELISA)
5.01 ± 3.35
25.38 ± 13.03
60.66 ± 15.85
<0.001 **
ECP
(grade, kit)
1.0 ± 0.00
1.4 ± 0.51
3.1 ± 0.74
<0.001 **
표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통계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이용한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단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정상인), 바이러스성 결막염군, 알레르기성 결막염군 각각의 군에 대한 결과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보기 위하여 측정한 값을 산점도로 표시하였다. 각각의 군은 서로 다른 색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의 단계와 ELISA로 실측한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의 농도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군에 따라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의 농도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원 발명의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이용하면 다양한 진단 마커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안과 질환을 외래에서 직접 손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질환 단계를 확인하여 단계에 따른 처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흡수부: 100
연결부: 200
전달부: 300
검출부: 400

Claims (33)

  1.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
    b)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c)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된 액체 성분을 검출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d)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가 흡착되어 있는 검사선을 포함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의 밀도가 연결부 및 검출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 밀도보다 커서, 안액이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되면 연결부 및 검출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는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면서 굽어질 수 있어서, 흡수부와 전달부를 분리시키고, 흡수부가 안액에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은 1 내지 10개의 모세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은 1 내지 5mm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1 내지 10개의 모세관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굴곡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마커는 눈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호산구(eosinophil) 또는 비만 세포(mast cell)가 분비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알레르겐-특이 면역글로블린 E(Allergen-specific IgE),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호산구 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이오탁신-1(eotaxin-1), 이오탁신-2(eotaxin-2), 이오탁신-3(eotaxin-3),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호산구 과산화효소(eosinophil peroxidase),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키마아제(chymas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헤파린(hepar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혈소판 활성화 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인터루킨-2(interleukin-2), 인터루킨-4(interleukin-4), 인터루킨-5(interleukin-5), 인터루킨-6(interleukin-6), 인터루킨-8(interleukin-8), 인터루킨-10(interleukin-10), 인터루킨-12(interleukin-12), 인터루킨-13(interleukin-13),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beta),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단핵세포 화학 유인물질 단백질 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란테스(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 expressed and secreted), 기질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라이소좀 가수분해효소(lysosomal hydrolase), 주요 기저 단백질(major basic protein), 미엘로퍼옥시데이스(myeloperoxidase), 용해성 인터루킨-2,6 수용체(soluble interleukin-2,6 receptor), E-셀렉틴(E-selectin), 및 15-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레노익산(15-Hydroxyeicosatetrae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눈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아토피성 각결막염,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및 이차성 결막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정형 결핵균, 비정형 결핵균, 또는 아칸트아메바와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키트는 검출부에 종료 표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표시선은 염색시약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키트는 종이, 면,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진단스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키트는 진단 마커가 결합된 검사선의 수에 따라 안과 질환의 중증 단계를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의 중증 단계는 1 내지 10 단계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6. a) 눈의 액체 성분을 흡수하는 흡수부;
    b)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c)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된 액체 성분을 전달하는 전달부; 및
    d) 안과 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가 사각형 형태로 흡착되어 있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의 밀도가 연결부 및 검출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 밀도보다 커서, 안액이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되면 연결부 및 검출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는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면서 굽어질 수 있어서, 흡수부와 전달부를 분리시키고, 흡수부가 안액에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은 가로가 3 내지 10mm이고, 세로가 3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키트는 발색된 색의 값(color value)에 따라 안과 질환의 중증 단계를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마커는 눈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호산구(eosinophil) 또는 비만 세포(mast cell)가 분비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알레르겐-특이 면역글로블린 E(Allergen-specific IgE),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호산구 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이오탁신-1(eotaxin-1), 이오탁신-2(eotaxin-2), 이오탁신-3(eotaxin-3),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 (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호산구 과산화효소(eosinophil peroxidase),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키마아제(chymas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헤파린(hepar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혈소판 활성화 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인터루킨-2(interleukin-2), 인터루킨-4(interleukin-4), 인터루킨-5(interleukin-5), 인터루킨-6(interleukin-6), 인터루킨-8(interleukin-8), 인터루킨-10(interleukin-10), 인터루킨-12(interleukin-12), 인터루킨-13(interleukin-13),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beta),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단핵세포 화학 유인물질 단백질 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란테스(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 expressed and secreted), 기질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라이소좀 가수분해효소(lysosomal hydrolase), 주요 기저 단백질(major basic protein), 미엘로퍼옥시데이스(myeloperoxidase), 용해성 인터루킨-2,6 수용체(soluble interleukin-2,6 receptor), E-셀렉틴(E-selectin), 및 15-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레노익산(15-Hydroxyeicosatetrae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정형 결핵균, 비정형 결핵균, 또는 아칸트아메바와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3.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
    b)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c)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수된 액체 성분을 검출부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d)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서로 다른 항체가 흡착되어 있는 2개 내지 5개의 세로 방향 검사선을 포함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의 밀도가 연결부 및 검출부를 구성하는 모세관 조직 밀도보다 커서, 안액이 흡수부를 통하여 흡수되면 연결부 및 검출부를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는 흡수부와 전달부를 연결하면서 굽어질 수 있어서, 흡수부와 전달부를 분리시키고, 흡수부가 안액에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선은 1 내지 5mm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 진단 마커는 눈 알레르기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호산구(eosinophil) 또는 비만 세포(mast cell)가 분비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진단 마커는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알레르겐-특이 면역글로블린 E(Allergen-specific IgE), 호산구 양이온 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호산구 유래 신경독(eosinophil-derived neurotoxin), 이오탁신-1(eotaxin-1), 이오탁신-2(eotaxin-2), 이오탁신-3(eotaxin-3), 호산구 화학 주성인자(eosinophil chemotactic factor), 호산구 과산화효소(eosinophil peroxidase), 트립타제(tryptase), 히스타민(histamine), 키마아제(chymas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헤파린(hepar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혈소판 활성화 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인터루킨-2(interleukin-2), 인터루킨-4(interleukin-4), 인터루킨-5(interleukin-5), 인터루킨-6(interleukin-6), 인터루킨-8(interleukin-8), 인터루킨-10(interleukin-10), 인터루킨-12(interleukin-12), 인터루킨-13(interleukin-13), 인터루킨-1베타(interleukin-1beta),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종양괴사인자-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단핵세포 화학 유인물질 단백질 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란테스(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 expressed and secreted), 기질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라이소좀 가수분해효소(lysosomal hydrolase), 주요 기저 단백질(major basic protein), 미엘로퍼옥시데이스(myeloperoxidase), 용해성 인터루킨-2,6 수용체(soluble interleukin-2,6 receptor), E-셀렉틴(E-selectin), 및 15-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레노익산(15-Hydroxyeicosatetraen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눈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아토피성 각결막염,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및 이차성 결막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정형 결핵균, 비정형 결핵균, 또는 아칸트아메바와 결합하는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의 안과 질환 진단 키트를 사용하여 눈 관련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
  31.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가로방향으로 1 내지 10개의 선으로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
  32.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사각형 형태로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
  33. a) 안액을 흡수하는 흡수부에 굽은 형태의 연결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연결부에 발색제가 결합되어 있는 안과질환 진단 마커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달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c) 검출부에 세로방향으로 2 내지 5개의 선에 각기 다른 항체를 흡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연결부와 검출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과 질환 진단 키트의 제조 방법.
KR1020140075638A 2014-06-20 2014-06-20 안과 질환 진단 키트 KR20150145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38A KR20150145986A (ko) 2014-06-20 2014-06-20 안과 질환 진단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38A KR20150145986A (ko) 2014-06-20 2014-06-20 안과 질환 진단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86A true KR20150145986A (ko) 2015-12-31

Family

ID=5512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638A KR20150145986A (ko) 2014-06-20 2014-06-20 안과 질환 진단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9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950A1 (en) * 2016-02-29 2017-09-08 Santen Sas Gene signature for the detection of vernal keratoconjunctivitis
WO2018147679A1 (ko) * 2017-02-10 2018-08-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식 또는 알레르기 질환 신속 진단용 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8950A1 (en) * 2016-02-29 2017-09-08 Santen Sas Gene signature for the detection of vernal keratoconjunctivitis
WO2018147679A1 (ko) * 2017-02-10 2018-08-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식 또는 알레르기 질환 신속 진단용 키트
US11009506B2 (en) 2017-02-10 2021-05-18 Inje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it for rapid diagnosis of asthma or allergy dis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o et al. Local IgE in non‐allergic rhinitis
Bonnet et al. Overview of the diagnostic methods used in the field for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what could change in the next years?
US7888049B2 (en) Rapid nasal assay kit
Nabeta et al. Accuracy of noninvasive intraocular pressure or optic nerve sheath diameter measurements for predicting elevated intracranial pressure in cryptococcal meningitis
CA3011353C (en) Method for measuring tear constituents in a tear sample
Guo et al. Comparison of T helper cell patterns in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normal-pressure glaucoma
AU2010303156B2 (en) Anti-VLA-4 related assays
TWI823905B (zh) 易感染隱形眼鏡不適的隱形眼鏡配戴者之識別的方法、套組及其用途
Balogh et al. Immunological biomarkers of the vitreous responsible for proliferative alteration in the different forms of retinal detachment
KR20150145986A (ko) 안과 질환 진단 키트
Daftarian et al. Peripheral blood CD163 (+) monocytes and soluble CD163 in dry and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Boot et al. Applic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biomarkers for the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therapy in allergic rhinitis
Mimura et al. Specific tear IgE in patients with moderate-to-severe autumnal allergic conjunctivitis
RU2314535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ачальной стадии от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ы
EP2210097B1 (de) Verfahren zur in vitro-diagnose und/oder in vitro-therapieverfolgung von infektionen
CN106950364B (zh) 一种检测鉴定干眼症的试剂盒
Wang et al. Comparison of the cytokines levels in aqueous humor in vitrectomized eyes versus non-vitrectomized eyes with diabetic macular edema
Miyama et al. Specific IgG for cat allergens in patients with allergic conjunctivitis
CN105807067A (zh) 一种检测阿尔兹海默综合症ncam2的干式免疫荧光试剂盒和制备方法
Wang et al. Allergen-specific IgE in the tear fluid of Chinese patients with common allergic conjunctivitis in autumn and winter
Spitznagel et al. Dete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healthy canine tears using Canine Cytokine SpikeMix™ mass spectrometry via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Ebo et al. The basophil activation test in immediate drug allergy
Ibrahim et al. Correlation of tear film-specific immunoglobulin E assay with the skin prick test in allergic conjunctivitis
Avunduk et al. Flow cytometry tear analysis in patients with chronic allergic conjunctivitis
Keighobadi et al. The role of Toxoplasma gondii in multiple sclerosis: A matched case-contro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