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914A - 호송용 벨트 수갑 - Google Patents

호송용 벨트 수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914A
KR20150145914A KR1020140075395A KR20140075395A KR20150145914A KR 20150145914 A KR20150145914 A KR 20150145914A KR 1020140075395 A KR1020140075395 A KR 1020140075395A KR 20140075395 A KR20140075395 A KR 20140075395A KR 20150145914 A KR20150145914 A KR 2015014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spect
restraint
binding
up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387B1 (ko
Inventor
권정수
권민정
Original Assignee
권정수
권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권민정 filed Critical 권정수
Priority to KR1020140075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3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5/00Handcuffs ; Finger cuffs; Leg irons; Handcuff holsters; Means for locking prisoners in automobiles

Landscapes

  • Buck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일론사 등의 합성사로 제작되어 인장강도가 있는 일정폭으로 이루어진 구속밸트에 밸트유지수단과 결속수단 및 수갑이 일체의 단일체로 구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를 신속하게 신체의 위팔을 결박과 또한 구속밸트의 결속과 또한 수갑을 손목에 채우는 일련의 조작이 일사천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위팔의 결박과 손목의 수갑의 구속이 구속밸트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적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가 결박을 풀거나 또는 수갑을 풀고 도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속밸트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있어서, 구속밸트(100)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을 고정할 수 있는 밸트유지수단(200)과, 또한 상기 구속밸트(100)의 끝단(110)을 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300)과, 상기 구속밸트(100)의 연결되어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갑(400)으로 이루어져,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과 신체의 둘레(20)와 손목(30)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트유지수단(200)에는 구속밸트(100)의 양쪽에 유지구(250)를 이용하여 신체의 위팔(10)에 고정될 수 있는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속밸트(100)의 한쪽 끝단에 고정된 결속수단(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몸체케이스(340)에 커버케이스(350)가 분리결합되어 다른 한쪽의 구속밸트(100)가 삽입되어 결속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둘레(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연결되는 다른 한쪽 끝단쪽에 수갑(400)이 형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30)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호송용 밸트 수갑{Belt hinge couple for convoy}
본 발명은 밸트를 이용하여 신체를 구속하고 결박할 수 있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사 등의 합성사로 제작되어 인장강도가 있는 일정폭으로 이루어진 구속밸트에 밸트유지수단과 결속수단 및 수갑이 일체의 단일체로 구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를 신속하게 신체의 위팔을 결박과 또한 구속밸트의 결속과 또한 수갑을 손목에 채우는 일련의 조작이 일사천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위팔의 결박과 손목의 수갑의 구속이 구속밸트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적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가 결박을 풀거나 또는 수갑을 풀고 도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수단으로 손목에 수갑을 채우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수갑은 손목을 결속하여 손 또는 팔을 자유롭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은 있으나,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도주의 염려를 예방하는 수단으로는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갑을 채운 상태에서 와이어 로우프 등을 이용하여 팔을 결박하여 도주를 예방하고 있다. 위와 같이 와이어 로우프로 신체를 결박하는 경우에, 숙련된 사람이 아니면 신속한 결박이 쉽지 않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느슨하게 결박하는 경우에는 도주를 도와주는 격이 되고, 또한 결박을 해제하는 데에도 시간이 걸리는 등의 불편이 있다.
또한, 결속밸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본 출원인 앞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922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결속밸트를 나일론사 등의 합성사로 제작되어 인장강도가 있는 일정 폭의 밸트를 채택하고, 또한 상기 결속밸트에 몸체케이스를 고정하고, 또한 몸체케이스에 커버케이스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며,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에 잠금해제부재, 밸트누름부재 및 세워진편차돌기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사이에 밸트끝단부가 통과되어 임의의 위치에서 구속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신체구속용 결박밸트가 있다. 상기 밸트끝단부의 임의의 위치고정으로 이루어지는 밸트환형구속부에 신체의 팔등을 결박하게 된다.
상기 신체구속용 결박밸트는 종래의 와이어 로우프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를 결박하는 것에 비하여 신속하게 결박하고, 또한 결박을 해제하는 것이 쉬우나, 신체구속용 결박밸트는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윗팔을 결박하고, 이어서 손목에 수갑을 채우도록 되어, 수갑과 결박밸트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서로 분리 결합함에 따라서, 손을 이용하여 결박밸트를 풀거나 또는 수갑을 풀어 도주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속밸트에 위팔을 구속할 수 있는 밸트유지수단과, 또한, 구속밸트에 결속수단의 형성으로 구속밸트를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에 맞게 결속할 수 있으면서 또한 구속밸트에 형성된 수갑에 의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에 수갑을 채울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구속밸트에 의하여 신체를 결박과 결속 및 수갑의 구속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가 구속밸트를 풀고 도주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트유지수단이 위팔을 고정할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할 수 있어서, 밸트유지수단을 중심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위팔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밸트유지수단으로부터 연결되는 구속밸트의 양쪽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몸체를 감은 후, 결속수단에 의하여 밴등의 끝단들을 고정하여 신체의 위팔이 신체의 둘레면에 밀착된 채로 고정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가 임으로 구속밸트를 푸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가 결박되고 결속됨 상태에서 구속밸트에 연결되어 있는 수갑을 채움으로써, 손을 이용하여 수갑을 푼다던가 또는 결박수단 등을 풀고 도주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속밸트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있어서, 구속밸트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을 고정할 수 있는 밸트유지수단과, 또한 상기 구속밸트의 끝단을 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과, 상기 구속밸트의 연결되어 밸트유지수단과 결속수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갑으로 이루어져,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과 신체의 둘레와 손목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트유지수단에는 구속밸트의 양쪽에 유지구를 이용하여 신체의 위팔에 고정될 수 있는 위팔고정고리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속밸트의 한쪽 끝단에 고정된 결속수단은 힌지를 중심으로 몸체케이스에 커버케이스가 분리결합되어 다른 한쪽의 구속밸트가 삽입되어 결속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둘레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트유지수단과 결속수단의 연결되는 다른 한쪽 끝단쪽에 수갑이 형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나일론사 등의 합성사로 제작되어 인장강도가 있는 일정폭으로 이루어진 구속밸트에 밸트유지수단과 결속수단 및 수갑이 일체의 단일체로 구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를 신속하게 신체의 위팔을 결박과 또한 구속밸트의 결속과 또한 수갑을 손목에 채우는 일련의 조작이 일사천리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위팔의 결박과 손목의 수갑의 구속이 구속밸트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적으로 피의자 또는 범법자가 결박을 풀거나 또는 수갑을 풀고 도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호송용 밸트 수갑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밸트유지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밸트유지수단의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밸트유지수단의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결속수단과 구속밸트의 끝단과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결속수단에 구속밸트의 끝단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결속수단에 구속밸트가 결합되기 전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결속수단에 구속밸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의 호송용 밸트 수갑을 피의자 또는 범법자에게 결박과정을 나타낸 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송용 밸트 수갑은 후술하는 구속밸트(100)에 밸트유지수단(200), 결속수단(300) 및 수갑(400)이 구속밸트(100)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구속밸트(100)에 밸트유지수단(200), 결속수단(300) 및 수갑(400)은 구속밸트(100)로 연결되는 단일 구성체를 이룬다. 이 구속밸트(100)는 재질이 나일론사 등의 합성사로 제작되어 인장강도가 높은 일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칫수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구속밸트(100)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을 고정할 수 있는 밸트유지수단(200)과, 또한 상기 구속밸트(100)의 끝단(110)을 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300)과, 또한 상기 구속밸트(100)의 연결되어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갑(400)으로 이루어져,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과 신체의 둘레(20)와 손목(30)을 일체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트유지수단(200)은 평활한 평판(210)과, 이 평판(210)의 배면에 중앙의 길이방향(도 4에서 가로방향)으로 밸트유지요홈(221)이 형성되고, 양쪽이 대략 크랭크형상이며, 그 크랭크형상의 위에 경사가이드(223)가 형성된 가이드편(220)과, 또한 상기 가이드편(220)의 밸트유지요홈(221)의 위에 덮여지는 수평유지가이드(23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트유지수단(200)은 평판(210)의 배면에 가이드편(220)이 고정되는데, 상기 가이드편(220)은 중앙의 길이방향(도 4에서 가로방향)으로 밸트유지요홈(221)이 형성되고, 또한 양쪽 끝단이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어 평면의 상면(222)이 형성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편(220)이 평판(210)의 배면에 나사(224)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편(220)의 양쪽의 상면(222)에 도 4에서 밸트유지요홈(221)의 중앙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가이드(223)들이 대응되게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경사가이드(223)들은 상기 밸트유지요홈(221)들의 홈 보다 높은 위치에 고정된 굵은 철사 재질로 구속밸트(100)가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경사져 있는 것은 구속밸트(100)의 한쪽 끝단, 예를 들면 결속수단(300) 및 수갑(400)쪽으로 연결되는 구속밸트(100)의 당김과 느슨함이 용이하도록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편(220)의 상면(222)에, 역시 양쪽 끝단이 크랭크형상의 수평유지가이드(230)가 나사(231)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수평유지가이드(230)는 가이드편(220)의 상면(222)의 경사가이드(223)들 보다 높은 위치에 밸트유지요홈(221)에 덮여 고정된다.
이 수평유지가이드(230)의 양쪽과 경사가이드(223)들은 위팔고정고리(240)들이 양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중요한 가이드 역할을 행하게 한다. 즉, 경사가이드(223)와 수평유지가이드(230)의 사이에서 유지구(250)에 의하여 위팔고정고리(240)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상호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위팔고정고리(240)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구속밸트(100)의 한쪽에 후술하는 결속수단(300)이 리벳팅(310)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고, 또한 구속밸트(100)의 다른 한쪽에 수갑(400)을 결합하기 전에, 구속밸트(100)의 다른 한쪽이 밸트유지수단(2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구속밸트(100)의 다른 한쪽이 밸트유지수단(200)의 도 1의 왼쪽의 경사가이드(223)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통과하도록 한 후, 유지구(250)의 한쪽 관통구멍(260)을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대략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지구(250)의 다른 한쪽의 관통구멍(260)을 통과하도록 한다. 따라서, 유지구(250)를 이동시키어 원하는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밸트(100)의 끝단을 밸트유지수단(200)의 수평유지가이드(230)가 덮여진 밸트유지요홈(221)을 통과하도록 하며, 상기 수평유지가이드(230)를 통과한 구속밸트(100)의 끝단에 다시 새로운 유지구(250)의 한쪽 관통구멍(260)을 통과하도록 하고, 또한 대략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유지구(250)의 다른 한쪽의 관통구멍(260)을 통과하도록 한다. 따라서, 유지구(250)를 이동시키어 원하는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트유지수단(200)을 통과한 구속밸트(100)의 끝단에 수갑(400)의 연결구(420)를 결합하고, 이어서 상기 구속밸트(100)의 끝단을 결속수단(300)에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단일체로 호송용 밸트 수갑을 구성하게 된다.
다음, 구속밸트(100)의 한쪽 끝단(도 1에서 왼쪽)에 고정된 결속수단(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몸체케이스(340)에 커버케이스(350)가 분리 결합되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한쪽의 구속밸트(100)가 삽입되어 결속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둘레(20)를 구속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수단(300)은 몸체케이스(340)에 커버케이스(350)가 힌지(320)에 의하여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힌지(320)로 결합된 몸체케이스(340)에 커버케이스(350)의 사이에 개구부(3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케이스(340)에는 도 7에서 중앙에 일정 높이의 세워진편차돌기(341)가 형성되고, 힌지(320)의 대향하는 쪽에 결속구멍(3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케이스(350)에는 중앙의 양쪽으로 잠금해제부재(360)와 밸트누름부재(370)가 중앙의 밸트누름틈새(380)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밸트누름틈새(380)는 상기 몸체케이스(340)의 세워진편차돌기(341)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해제부재(360)에는 열쇠구멍(361)이 있고, 또한 상기 열쇠구멍(361)의 아래에는 피니언(362)이 형성되어 이 피니언(362)은 래크기어인 승강레버(363)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 열쇠구멍(361)에 잠금 및 해제하는 열쇠는 수갑(400)을 잠금 및 해제하는 열쇠와 같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구속밸트(100)의 다른 한쪽이 힌지(320)쪽으로 삽입한 후, 상기 몸체케이스(340)와 커버케이스(350)의 사이에 이동하도록 하여 몸체케이스(340)의 세워진편차돌기(341)의 위에 구속밸트(100)가 걸치도록 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커버케이스(350)를 몸체케이스(340)쪽으로 밀어 누르면, 커버케이스(350)의 잠금해제부재(360)와 밸트누름부재(370)의 사이의 밸트누름틈새(380)가 몸체케이스(340)의 세워진편차돌기(341)의 위를 눌러서 구속밸트(100)를 구속하게 된다.
또한, 커버케이스(350)의 잠금해제부재(360)의 승강레버(363)가 몸체케이스(340)의 결속구멍(342)에 억지 맞춤으로 끼워져 고정되면서 열쇠구멍(361)의 피니언(362)이 잠금위치로 변환되어 잠금이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결속수단(300)은 열쇠구멍(361)을 통하여 수갑(400)의 열쇠로 열어야 결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연결되는 다른 한쪽 끝단쪽에 수갑(400)이 결합되는데, 수갑(400)은 연결구(420)가 구속밸트(100)에 결합되고, 또한 연결구(420)에 연결고리(421)가 수갑(400)의 고리(410)와의 결합으로 수갑(400)을 연결구(42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수갑(400)은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30)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송용 밸트 수갑에 대한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구속 및 결박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뒤쪽에서 호송용 밸트 수갑의 위팔고정고리(240)들에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양쪽의 위팔(10)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위팔고정고리(240)들을 구성하는 유지구(250)들을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위팔(10)에 밀착되도록 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팔의 움직임을 한정적으로 결박하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속밸트(100)의 양쪽 끝단을 아래 방향(화살방향)의 양쪽으로 힘을 주어 구속밸트(100)가 팽팽하도록 유지한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앞쪽으로 이동하며, 이때 구속밸트(100)의 양쪽을 잡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수단(300)의 커버케이스(350)의 개구부(330)를 통하여 구속밸트(100)의 다른 한쪽 끝단을 넣어서 수평의 구속밸트가 팽팽하도록 한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350)가 몸체케이스(340)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구속밸트(100)에 연결된 수갑(400)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30)에 채움으로써,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결박이 완료되게 된다.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뒤모습은 도 13과 같이 결박되게 된다.
10 : 위팔 20 : 둘레
30 : 손목 100 : 구속밸트
110 : 끝단 200 : 밸트유지수단
210 : 평판 220 : 가이드편
221 : 밸트유지요홈 222 : 상면
223 : 경사가이드 224 : 나사
230 : 수평유지가이드 231 : 나사
240 : 위팔고정고리 250 : 유지구
260 : 관통구멍 300 : 결속수단
310 : 리벳팅 320 : 힌지
330 : 개구부 340 : 몸체케이스
341 : 세워진편차돌기 342 : 결속구멍
350 : 커버케이스 360 : 잠금해제부재
370 : 밸트누름부재 380 : 밸트누름틈새
400 : 수갑 410 : 고리
420 : 연결구 421 : 연결고리

Claims (4)

  1. 구속밸트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에 있어서,
    구속밸트(100)를 이용하여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을 고정할 수 있는 밸트유지수단(200)과, 또한 상기 구속밸트(100)의 끝단(110)을 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300)과, 상기 구속밸트(100)의 연결되어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갑(400)으로 이루어져,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위팔(10)과 신체의 둘레(20)와 손목(30)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트유지수단(200)에는 구속밸트(100)의 양쪽에 유지구(250)를 이용하여 신체의 위팔(10)에 고정될 수 있는 위팔고정고리(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속밸트(100)의 한쪽 끝단에 고정된 결속수단(300)은 힌지(320)를 중심으로 몸체케이스(340)에 커버케이스(350)가 분리결합되어 다른 한쪽의 구속밸트(100)가 삽입되어 결속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신체의 둘레(20)를 구속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트유지수단(200)과 결속수단(300)의 연결되는 다른 한쪽 끝단쪽에 수갑(400)이 형성되어 피의자 또는 범법자의 손목(30)을 구속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송용 밸트 수갑.
KR1020140075395A 2014-06-20 2014-06-20 호송용 벨트 수갑 KR10159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5A KR101598387B1 (ko) 2014-06-20 2014-06-20 호송용 벨트 수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5A KR101598387B1 (ko) 2014-06-20 2014-06-20 호송용 벨트 수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914A true KR20150145914A (ko) 2015-12-31
KR101598387B1 KR101598387B1 (ko) 2016-03-02

Family

ID=5512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395A KR101598387B1 (ko) 2014-06-20 2014-06-20 호송용 벨트 수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386B1 (ko) 2018-01-15 2019-10-01 권정수 호송용 벨트 수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0438B1 (en) * 2002-05-20 2006-02-21 Restraint Systems Technologies, Inc. Restraint system and lockable faste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0438B1 (en) * 2002-05-20 2006-02-21 Restraint Systems Technologies, Inc. Restraint system and lockable faste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386B1 (ko) 2018-01-15 2019-10-01 권정수 호송용 벨트 수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387B1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7787B2 (en) Camera strap attachment mechanism and methods of use
KR102633011B1 (ko) 권취 요소를 갖는 폐쇄 장치
US11737552B2 (en) Universal securement strap for personal items
US7866321B2 (en) Reusable restraining apparatus with double lock
US7600660B2 (en) Harness tightening system
US3887966A (en) Heavy duty tension latch
US5581853A (en) Device for restraining prisoners in the compartment of an automobile
US3104440A (en) Safety belt buckle
TW200540067A (en) Cord lock and commodity holding mechanism
US8281413B2 (en) Slip lock grommet
US20130174616A1 (en) Double loop adjustable leash
US20070125816A1 (en) Locking mechanism for use with ratchet or cog strap
US201802558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ide-loading strap buckle
GB989360A (en) Safety belt buckles
US8499421B2 (en) Restraining device
WO2018200016A1 (en) Lanyard assembly
KR101997386B1 (ko) 호송용 벨트 수갑
US20170095068A1 (en) Tool holder for t-shaped tools
KR20150145914A (ko) 호송용 벨트 수갑
GB996065A (en) Buckles for safety belts
US20070283540A1 (en) Buckle device
US3013318A (en) Slide buckle with lock and release
US200601304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inching a saddle
CN217812913U (zh) 一种绑脚绳可被锁紧的押解腰带
FR2840168A1 (fr) Courroie evolutive avec housse pour objets por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