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814A - 명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명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814A
KR20150145814A KR1020140075006A KR20140075006A KR20150145814A KR 20150145814 A KR20150145814 A KR 20150145814A KR 1020140075006 A KR1020140075006 A KR 1020140075006A KR 20140075006 A KR20140075006 A KR 20140075006A KR 20150145814 A KR20150145814 A KR 2015014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authentication code
terminal
serv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402B1 (ko
Inventor
심백호
전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더스
Priority to KR102014007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40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명함관리 시스템은 인증코드, 명함정보 또는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및 출력부, 그리고 상기 명함정보를 처리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단말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전달받고, 고객 정보와 인증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인 인증코드 매칭부와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인증코드 매칭부에서 탐색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인증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처리된 명함정보 또는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명함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기업 서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데이터 보안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명함관리 시스템{NAMECAR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명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명함은 그 보관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명함 정보의 데이터를 직접 컴퓨터 장치에 입력하여 보관하거나, 명함을 스캔하여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를 보관하고, 컴퓨터 장치 또는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통해 명함 정보들을 관리 및 가공하는 종래 기술이 이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822,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명함 처리 방법, 그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서는, 휴대단말이 통신망을 이용하여 처리서버에 접근함으로써 서버에 저장된 전자명함을 서버에서 교환 배포 또는 탐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전자명함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기업 고객인 경우,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각 기업 고객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생성 및 유포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새로운 기업 고객이 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마다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새로 제작해야 하고, 제작된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글플레이, 아이튠즈와 같은 콘텐츠 제공업자로부터 승인받아야 하므로, 프로그램의 가용성을 승인받는 데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업 고객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데이터들을 중앙서버에서 총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하므로,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회원 인증기능과 명함 촬영기능만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간소화하고, 프로그램의 가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 명함관리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각 기업의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하여 데이터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은 인증코드 또는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거나 명함사진을 촬영하는 입력 및 출력부 및 상기 명함정보를 처리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촬영된 상기 명함사진으로부터 명함사진을 추출하며,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명함정보를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입력 및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말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전달받고, 고객 정보와 인증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인 인증코드 매칭부와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인증코드 매칭부에서 탐색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인증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추출된 명함사진 또는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추출된 명함사진을 처리하여 명함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이미 저장된 명함정보를 출력하는 기업서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업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입력된 상기 인증코드, 상기 명함정보 또는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상기 기업 서버에 전달하는 단말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업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말의 상기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코드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코드 요청신호에 따라 인증코드 요청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새로운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코드 매칭부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말에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명함관리 프로그램 사용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 명함관리 프로그램에서 촬영된 명함사진 데이터를 기업 서버에 저장한다. 이로 인해,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 드는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명함처리 과정을 기업 서버에서 수행하므로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가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기업 서버에 각각 저장하여 데이터 보안의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의 기업 서버 중 기업서버 처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의 기업 서버 중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의 동작 중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로그인 허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명함관리 시스템은 단말 통신부(110), 단말 처리부(120) 및 입력 및 출력부(130)를 포함하는 단말(100), 단말(10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서버로서, 기업서버 통신부(210), 기업서버 처리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는 기업 서버(200), 그리고 단말(100)에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서버로서, 인증서버 통신부(310), 인증서버 처리부(320) 및 인증코드 매칭부(330)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300)를 구비한다.
단말(100)은 휴대폰, PDA와 같은 모바일 단말이거나 컴퓨터일 수 있고, 바람직한 한 예에서,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인 것이 좋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동작의 설명에서는 단말(100)은 모바일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100)의 단말 통신부(110)는 인증 서버(300)의 인증서버 통신부(310) 및 기업 서버(200)의 기업서버 통신부(210)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한 예에서, 단말 통신부(110)는 기업서버 통신부(210) 및 인증서버 통신부(310)와 무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 통신부(110)는 3G 또는 4G 네트워크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업서버 통신부(210) 또는 인증서버 통신부(3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 통신부(110)는 와이파이(wifi)로 형성된 무선통신망을 통해 기업서버 통신부(210) 또는 인증서버 통신부(3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 예에서, 단말(100)이 컴퓨터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단말인 경우, 단말 통신부(110)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을 통해 기업서버 통신부(210) 또는 인증서버 통신부(310)와 유선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처리부(120)는 단말(100)에 구비되어 정보 처리 및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입력 및 출력부(130)는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 형상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되어 화면을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한 예로서, 단말(100)이 컴퓨터인 경우, 입력 및 출력부(130)는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일 수 있고, 출력부는 모니터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 및 출력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단말 처리부(120)에 전달하여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다. 이때, 단말 처리부(120)는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접근하여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한다.
한 예에서, 프로그램 제공서버는 구글사의 구글플레이 또는 애플사의 아이튠즈와 같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서버로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해당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자 또는 제공업체에서 프로그램 등록 절차를 통해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업로드된 이후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업로드하는 제공업체는 인증 서버(300)를 운영하는 제공업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업체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인증코드 정보 또는 회원가입 정보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인증 서버(300) 또는 기업 서버(200)로 전달하고, 인증 서버(300)로부터 인증여부를 전달받거나 기업 서버(200)로부터 로그인 허가 여부를 전달받는다.
한 예에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인증코드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인증 서버(300)에 전달하고, 입력된 인증코드의 인증여부 및 단말(100)에 대응되는 기업 서버 주소를 인증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아, 단말(100)과 기업 서버(200)를 통신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다른 한 예에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기업 서버(200)에 전달하고,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에 대한 로그인 허가 여부를 기업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아 단말(10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서버(200)에 통신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 서버(300)가 기업 서버(200)에 할당된 라이센스 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 및 입력된 인증코드를 인증 서버(300)로 전달한다.이러한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즉 단말(100)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명함사진 정보를 명함사진으로서 인식하고, 인식된 명함사진을 직사각 형태로 처리하여 처리된 직사각 형태의 명함사진 정보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기업 서버(200)로 전달한다.
그리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명함정보 탐색 요청신호를 기업 서버(200)로 전달하고, 명함정보 탐색 요청신호에 따라 기업 서버(200)에서 탐색 및 출력된 명함정보를 기업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입력 및 출력부(130)에 출력한다.
따라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회원 인증기능 및 명함사진 정보 촬영 기능을 수행하고, 단말(100)이 기업 서버(200)와 통신적으로 연결된 이후에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입력된 입력신호들은 기업 서버(200)로 모두 전달되어 기업 서버(200)에서 처리되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기업 서버(200)로부터 처리된 결과를 수신한다.
이로 인해,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기능 및 명함사진 정보 촬영기능만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실질적인 명함관리 기능은 기업 서버(200)에서 처리하고 발생한 정보들도 기업 서버(200)에 저장되므로,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갖는 기능이 많지 않아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가동성이 좋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업로드되어 단말(100)에 제공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특정 기능을 삭제 또는 추가하여 제공하는, 즉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고객에 최적화(커스터마이징)함에 따라 발생하는 개발비의 상승 문제와, 각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제작한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제공서버로부터 승인받는 데 시간이 소요의 비용적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인증 서버(300)의 인증서버 통신부(310)는 단말(100)의 단말 통신부(11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코드 정보 또는 회원가입 정보를 전달받아 인증서버 처리부(320)로 전달하거나, 인증서버 처리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여부 정보를 단말 통신부(110)로 전달한다.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인증서버 통신부(310)로부터 인증코드 정보 또는 회원가입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인증코드 정보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서 탐색하여 해당 인증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기업 서버 주소를 추출하여, 추출된 기업 서버 주소를 인증서버 통신부(3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인증서버 처리부(320)가 인증서버 통신부(310)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코드 정보 및 회원가입 정보에 따라 인증코드 매칭부(330)를 탐색할 때,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인증코드 매칭부(330)에서 인증코드 정보를 탐색하고, 인증코드 정보와 매칭되는 기업 서버 주소에 부여된 라이선스 수를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카운팅하고, 회원가입 정보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기록하여 인증코드 매칭부(330)를 갱신한다.
한 예에서, 인증서버 처리부(320)가 라이선스 수 카운팅을 위해 인증코드 정보 및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접근하는 경우,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인증코드 매칭부(330)로부터 인증코드 정보에 매칭되는 기업 서버 주소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업 서버 주소에 회원가입 정보를 기록하며, 라이선스 수를 1만큼 삭제한다.
그러나 다른 한 예에서, 인증서버 처리부(320)가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이미 기록된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접근하는 경우,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인증코드 매칭부(330)의 라이선스 수를 카운팅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인증코드 매칭부(330)가 갱신되지 않는다.
인증코드 매칭부(330)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허가된 기업고객에게 부여된 인증코드 및 기업고객에게 제한된 라이선스 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때, 인증코드 매칭부(330)는 기업고객과 인증코드를 일대일 매칭하여 저장하고 있고, 기업고객에게 부여된 하나의 인증코드는 인증 제한 수인 라이선스 수를 지정하고 있다.
라이선스 수는 해당 기업고객의 사용자 수를 제한하는 임계수치로서, 기업 고객 A에 할당된 인증코드가 '6000'이고, 기업 고객 A의 라이선스 수가 100인 경우,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인증코드 정보로서 '6000'이 수신되고 회원가입 정보로서 'a1'이 수신될 때, 인증코드 매칭부(330)는 인증코드 정보 6000에 해당하는 기업 고객 A의 기업 서버 주소를 추출하여 인증서버 처리부(320)로 전달하고, 기업 고객 A에 회원가입 정보 'a1'를 저장하며, 기업 고객 A의 라이선스 수를 1만큼 감한 99로 갱신한다.
이러한 라이선스 수는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서로 다른 회원가입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갱신되고, 한 예에서,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기업 고객 A의 인증코드 정보를 갖는 100의 서로 다른 회원가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기업 고객 A의 라이선스 수는 0이 된다.
그리고 이때,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기업 고객 A의 인증코드 정보를 갖는 새로운 회원가입 정보가 수신되면,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해당 회원가입 정보가 기업 서버(20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버 연결 제한신호를 발생하여 인증서버 통신부(310)로 전달한다.
그리고, 기업 서버(200)는 단말(100)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근로하는 근무지에 위치하는 서버로서, 기업서버 통신부(210)는 단말(100)의 단말 처리부(120)에서 생성된 정보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기업서버 처리부(220)에 전달하거나, 단말(100)의 단말 처리부(120)에서 발생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기업서버 처리부(220)로 전달하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기업서버 처리부(220)에서 출력한 정보를 기업서버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단말 통신부(110)에 전달한다.
이때, 기업서버 통신부(210)는 웹서버(400)에 연결되어, 기업서버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웹서버(400)에 전달한다.
웹서버(400)는 기업서버 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웹 페이지상에 출력하고, 인터넷 통신을 통해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단말(100)의 단말 통신부(110), 기업 서버(200)의 기업서버 통신부(210) 및 웹서버(400)가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단말(100)에서 발생한 정보는 기업 서버(20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단말(100)에서 발생한 정보 요청은 기업 서버(200)에서 처리하여 웹서버(400)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 예에서, 기업서버 통신부(210)가 단말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처리부(120)에서 생성된 정보는 단말(100)의 단말 처리부(120)에서 촬영되어 직사각 형태로 처리된 명함정보일 수 있다.
기업서버 처리부(220)는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거나,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요청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서 탐색하여 탐색결과를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로 전달한다.
이때, 도 2를 참고로 하여 기업서버 처리부(220)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기업서버 처리부(220)는 직사각 형태로 처리된 명함정보를 인식하여 텍스트 정보 또는 사진 정보를 추출하는 명함 인식부(221), 명함 인식부(221)에서 인식된 텍스트 또는 사진 형태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아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는 명함정보 처리부(222), 그리고 정보 요청 신호된 명함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서 탐색하여 탐색된 명함정보를 기업서버 통신부(210)로 전달하는 명함검색 엔진(223)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기업서버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이다.
그리고 이때, 데이터베이스(230)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명함 데이터베이스(231) 및 회원 데이터베이스(23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업서버 처리부(220)로부터 전달받은 명함정보를 명함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하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된 회원정보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회원 데이터베이스(232)에 저장한다.
이처럼, 기업 서버(200)는 단말(100)에 대응되게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명함관리 시스템에서 명함정보를 중앙서버에서 통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 관리의 보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기업 고객인 단말(100)이 기업 서버(200)에 접근하는 명함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로, 단말(100)의 사용자가 기업 고객이 아닌 개인 고객인 경우, 인증코드를 갖는 기업 서버(200)를 구비하여 단말(100)에서 발생한 명함정보를 기업 서버(200)에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 서버(200)를 구비하는 데에 비용적 한계가 있는 개인 고객의 경우, 개인 고객이 구비하는 단말(100)에서 발생한 정보를 인증 서버(300)에서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발명의 요지에서는 단말(100)에 대응되는 기업 서버(200)를 구비하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명함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단말(100)이 휴대용 단말 중에서도 휴대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동작 설명에서, 프로그램 제공업체 또는 개발자가 기업고객과 이미 계약을 체결하여 기업고객에게 인증코드 및 라이선스 수를 지정하고 있는 상태 이후의 동작을 설명하며, 기업 고객 A의 인증코드는 '6000', 라이선스 수는 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단말(100)의 단말 처리부(120)는 입력 및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접근하여, 프로그램 제공서버에 이미 업로드된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단말 처리부(12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입력 및 출력부(130)의 입력신호에 의해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최초 구동되면,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단말(100)에 설치된 후 최초로 구동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Q10),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단말(100)에서 최초 구동된 경우 고객 유형이 기업 고객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Q20)를 수행하며,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최초 구동이 아닌 경우 이미 로그인했던 정보를 통해 기업 서버(200)로 자동 로그인한다(S11).
한 예에서, 입력 및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고객 유형이 기업고객이라고 판단된 경우,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코드를 입력받기 위한 인증코드 입력창을 입력 및 출력부(130)에 표시하고, 입력 및 출력부(130)는 인증코드를 입력받아(S12) 단말 처리부(12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전달한다.
이때,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전달받은 인증코드를 단말 통신부(110) 및 인증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인증서버 처리부(320)로 전달하고,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코드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서 탐색하여 해당 인증코드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Q30).
예로써, 인증서버 처리부(320)가 단말(100)의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인증코드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서 탐색하여 해당 인증코드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해당 인증코드에 대응되는 기업서버 주소를 추출하여 인증서버 통신부(310) 및 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기업서버 주소를 단말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이로 인해, 단말 처리부(120)는 단말(100)이 연결되어야 할 기업서버 주소를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단말 처리부(12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를 통해 회원가입 정보(S16)를 입력하고,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서버(200)에 로그인한다(S17). 이때, 기업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30)의 회원 데이터베이스(232)에서 회원가입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 대상 회원가입 정보가 회원 데이터베이스(232)에 존재하는 경우 탐색 대상 회원가입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100)이 기업 서버(200)에 통신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단말 처리부(12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된 회원정보와 인증코드를 단말 통신부(110) 및 인증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인증서버 처리부(320)에 전달하여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저장된 라이선스 수를 카운팅하고(S18), 회원가입 정보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저장하여 인증코드 매칭부(330)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인증코드 정보를 통해 기업 서버(200)에 로그인하고, 인증코드 및 회원가입 정보를 이용하여 라이선스 수가 카운팅되면,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시작된다(S19).
그리고 이때, 인증코드 유효 판단 과정(Q30)에서 인증서버 처리부(320)가 단말(100)에서 입력된 인증코드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명함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예로써, 인증서버 처리부(320)에 전달된 인증코드가 '6001'이 입력되고,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6001'에 해당하는 인증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해당 인증코드를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다른 한 예에서, 인증서버 처리부(320)에 하나의 인증코드 '600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101개의 회원가입 정보가 접근하는 경우, 인증서버 처리부(320)는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저장된 라이선스 수에 따라 서버연결 제한 신호를 발생하여 단말(100)이 기업 서버(200)에 로그인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
또한,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고객 유형이 기업 고객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Q20)에서,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고객 유형이 기업고객이 아닌 개인고객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단말(100)의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회원가입 정보에 따라 회원가입(S13)을 진행하고, 인증서버 처리부(320)에서 새로운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가입 정보에 부여하며(S14), 생성된 인증코드를 인증코드 매칭부(330)에 저장한다.
이로 인해, 개인 고객인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서버 처리부(320)에서 새로 생성 및 부여된 인증코드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로그인하여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시작한다(S15).
그리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해당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단말(100)에 설치된 후 최초 실행된 것이 아닌 경우, 즉 이미 실행된 적이 있는 경우,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이전에 실행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고객인 경우 기업 서버(200)에, 개인 고객인 경우 기업 서버(200) 또는 개인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자동으로 로그인한다(S11).
본 발명의 동작 설명에서, 인증코드를 '6000' 또는 '6001'과 같이 쉬운 코드를 예로들어 설명했으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임의로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인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6000' 또는 '6001'보다 복잡한 코드를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단말(100)의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된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인증 서버(300)에 접근하여 인증코드를 통해 인증된 후 기업 서버(200)에 접근하도록 허가되고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입력 및 출력부(130)에 입력된 입력신호에 의해 촬영된 명함사진을 단말 통신부(110) 및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기업서버 처리부(220)로 전달하고, 기업서버 처리부(220)는 전달받은 촬영된 명함사진을 처리하여 명함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또한, 단말(100)에서 명함정보 요청신호가 발생한 경우, 단말 처리부(120)에 설치된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단말 통신부(110) 및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기업서버 처리부(220)로 전달하고, 기업서버 처리부(220)는 데이터베이스(230)에서 명함정보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탐색하여 단말 처리부(12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에 전달하여 입력 및 출력부(130)에 요청된 명함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기업서버 처리부(220)는 데이터베이스(230)에서 탐색한 정보를 기업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웹서버(400)에 업로드하여, 단말(10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웹서버(400)에 접근하여 웹서버(400)에 업로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명함관리 시스템은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기업 서버(200)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기업 고객의 요구에 따라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개발해야 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인증을 수행한 이후에는 단말(100)의 명함관리 프로그램이 직접 기업 서버(200)에 접근하여 명함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베이스를 중앙 서버에서 관리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보안성의 취약함에 대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단말 200 : 기업 서버
300 : 인증 서버 400 : 웹서버

Claims (4)

  1. 인증코드 또는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입력받거나 명함사진을 촬영하는 입력 및 출력부 및 상기 명함정보를 처리하는 명함관리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촬영된 상기 명함사진으로부터 명함사진을 추출하며,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에 해당하는 명함정보를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입력 및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말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를 전달받고, 고객 정보와 인증코드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인 인증코드 매칭부와 상기 인증코드를 상기 인증코드 매칭부에서 탐색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인증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추출된 명함사진 또는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추출된 명함사진을 처리하여 명함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이미 저장된 명함정보를 출력하는 기업서버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업 서버
    를 포함하는 명함관리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단말은 입력된 상기 인증코드, 상기 명함정보 또는 상기 명함정보 요청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 또는 상기 기업 서버에 전달하는 단말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명함관리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기업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단말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명함관리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명함관리 프로그램은 인증코드 요청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인증코드 요청신호에 따라 인증코드 요청신호를 발생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새로운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코드 매칭부에 저장하는 명함관리 시스템.
KR1020140075006A 2014-06-19 2014-06-19 명함관리 시스템 KR10163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06A KR101633402B1 (ko) 2014-06-19 2014-06-19 명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006A KR101633402B1 (ko) 2014-06-19 2014-06-19 명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814A true KR20150145814A (ko) 2015-12-31
KR101633402B1 KR101633402B1 (ko) 2016-06-24

Family

ID=5512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006A KR101633402B1 (ko) 2014-06-19 2014-06-19 명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4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075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코아비즈 클라우드를 이용한 무선스캔 시스템
WO2021025453A1 (ko) * 2019-08-05 2021-02-11 주식회사 제제컴즈 모바일 명함을 활용한 기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735A (ja) * 2003-03-28 2004-10-21 Kureo:Kk 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名刺情報管理の方法
KR20050075117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5735A (ja) * 2003-03-28 2004-10-21 Kureo:Kk 名刺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名刺情報管理の方法
KR20050075117A (ko) * 2004-01-15 2005-07-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스마트 카드용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075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코아비즈 클라우드를 이용한 무선스캔 시스템
WO2021025453A1 (ko) * 2019-08-05 2021-02-11 주식회사 제제컴즈 모바일 명함을 활용한 기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402B1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4117B2 (ja) モデル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11818253B2 (en) Trustworthy data exchange using distributed databases
JP646786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80240130A1 (e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908261A1 (en) Method for signing electronic documents with an analog-digital signature with additional verification
US9203822B2 (en) Network system,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2007108973A (ja) 認証サーバ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US102825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es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004163B2 (en) Terminal-implemented method, server-implemented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ing certification document
US20210234705A1 (e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ccess age-verification
US10182059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causing a computer to permit a guest user to have utilization authority using a directory, and apparatus management system permitting a guest user to have utilization authority using a directory
JP20150497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830079A (zh) 认证信息管理系统、认证信息管理设备、程序、记录介质和认证信息管理方法
KR101633402B1 (ko) 명함관리 시스템
CN107396363B (zh) 一种用于对用户设备进行无线连接预授权的方法与设备
KR100997148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인증 및 결제 장치와 그 방법
KR20210143539A (ko) 인증장치와 클라우드 서버 연동을 통한 사용자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US92014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KR102243130B1 (ko) 무인 출력 처리 시스템
JP2008046733A (ja) 個人属性情報の提供方法、制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222641B1 (ko) 이동저장매체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70369A (ja) 情報共用サーバ及び情報共用方法
KR102654943B1 (ko) 사업자 대상 비대면 대리인 선정방법
US20220407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qualification information
KR20180031157A (ko) 일회성 식별코드를 이용한 전자기기간의 파일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