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493A -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 Google Patents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493A
KR20150145493A KR1020140075298A KR20140075298A KR20150145493A KR 20150145493 A KR20150145493 A KR 20150145493A KR 1020140075298 A KR1020140075298 A KR 1020140075298A KR 20140075298 A KR20140075298 A KR 20140075298A KR 20150145493 A KR20150145493 A KR 2015014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pace
frame
backres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영
Original Assignee
오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영 filed Critical 오석영
Priority to KR102014007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493A/ko
Publication of KR2015014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61D33/0014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좌판부를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의자는 하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만들고 좌판부를 지탱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한 프레임부,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상기 하부 공간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상기 좌판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
록 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Folding chair to use under space in subway}
본 발명은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승객용 의자의 하부는 막혀 있거나, 온도 조절용 히터가 위치해 있고, 들고 있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지하철 상단에 위치한 선반에 올려두거나, 사람들로 인해 더러워진 바닥에 그냥 두는 수밖에 없었다.
지하철 상단에 위치한 선반에 올려두는 것은, 키가 닿지 않는 유아, 팔 힘이 약한 노인, 여성은 거의 불가능 하였고, 물건을 올리기 위해 운행중인 지하철 내에서 물건을 위로 드는 동작은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지하철 선반을 이용 가능한 건 성인 남성의 경우가 대부분이고, 지하철 내의 선반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서 그 이용률은 저조하였다. 이러한 점 때문에 급기야 9호선 같은경우에는 지하철 선반을 아예 없애 버리는 경우까지 생겼다.
바닥에 그냥 두는 경우에는, 우선 그 불결함이 가장 큰 문제가 된다. 지하철의 바닥은 사람들이 신발을 신고 이용하므로 오염이 심하며, 특히나 비가 오는 날이면 지하철 바닥은 빗물로 흥건하게 젖어 물건을 잠시라도 내려놓을 수 없는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고 하여 선반위에 올리려고 하여도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이유로 사용하지 못하여 기존의 지하철 이용객들이 큰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였다.
지하철에서 착석하지 못하고 서 있는 사람의 경우를 제외하고서라도, 짐을 들고 착석한 이용객의 경우에도 기존의 경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짐이 있는 경우에는 보통 짐을 앞으로 하여 껴안고 의자에 앉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 스스로에게도 큰 불편함이 되고, 옆 사람또한 자리가 비좁아짐으로 인해 불편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그 짐이 많은 경우에는 심지어 앞으로 껴안고 탈 수 없어 착석한 상태에서 좌석 아래의 다리 사이에 짐들을 내려놓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위에서 말한 대로 짐이 바닥으로 인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서서 있을 공간을 짐이 차지하게 되므로 지하철의 공간 효율에도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이유들로 인하여, 기존의 지하철 이용자들은 대부분의 짐에 의한 불편을 스스로 감수하여야 하였으나 특별한 대책이 나오지 않은 상태였다.
과거의 구형 전동차는 객차 승객용 의자 하단이 완전히 철망으로 가려져 있어서 그 공간을 이용하는 것은 쉽지 않았지만, 신형 전동차들은 객차 승객용 의자 하단에 비어있는 공간이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 공간을 활용한 전동차는 보지 못하였으므로 그 공간을 활용하여 물건을 수납하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에, 전동차 내의 승객용 의자 하단에 공간을 만들고 상기 승객용 의자의 좌판부를 열고 닫을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하단의 공간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동차 내의 승객용 의자 하단에 공간을 만들고 상기 승객용 의자의 좌판부를 열고 닫을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하단의 공간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자신의 짐을 쉽게 수납가능 하도록 하는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는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의자에 있어서,
하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만들고 좌판부를 지탱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한 프레임부,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상기 하부 공간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상기 좌판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동차 내의 승객용 의자 하단에 공간을 만들고 상기 승객용 의자의 좌판부를 열고 닫을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하단의 공간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자신의 짐을 쉽게 수납가능 하도록 하는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의 프레임부와 등받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의 좌판부가 닫혀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의 좌판부가 열려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는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만들고 좌판부(20)를 지탱해주는 좌판 지지부(11)를 포함한 프레임부(10),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30),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좌판부(20) 및 좌판부(20)와 프레임부(10)를 연결하여 좌판부(2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40)를 포함하는,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좌판부(20)를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의자(01)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좌판 지지부(11)를 포함하며 동작부(40)와 등받이부(30)가 프레임부(10)와 결합한다.
등받이부(30)는 프레임부(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부위이다.
좌판부(20)는 프레임부(10)에 동작부(40)에 의해서 결합된다.
좌판 지지부(11)는 프레임부(10)에 속하며, 좌판부(20)가 닫혀있을 때, 좌판을 지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착석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에서는 총 5개의 좌판부(20)이 나오는 데, 왼쪽에서 4번째에 있는 좌판부(20)는 열린 상태이고, 다른 4개의 좌판부(20)는 닫힌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지하철 이용자는 좌판부(20)를 열린 상태로 만든 뒤, 생기는 공간을 통하여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에 자신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좌판부(20)에 가려 동작부(40)이 보이지 않는데 이는 도 2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10)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20)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금속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10)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20)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합성 수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10)는 목재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20)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목재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재료의 프레임부(10)를 설정한 것은 경제적인 이유나 효율상의 이유로 금속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나 목재로도 프레임부(10)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등받이를 포함하며,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등받이도 포함한다. 이 또한 과거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졌던 합성 수지 등받이가 최신의 전동차에서는 금속 등받이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려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40)는 여러 좌판부(20)에 걸쳐진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된 등받이부(40)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40)는 개별 좌판부(20)에 포함된 여러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등받이부(40)일 수 있다.
이 또한 다양한 이유로 좌석마다 개별 등받이부(40)를 가지는 전동차와 하나의 등받이부(40)로 이루어진 전동차로 구별되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의 프레임부(10)와 등받이부(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02)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는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만들고 좌판부(20)를 지탱해주는 좌판 지지부(11)를 포함한 프레임부(10),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30),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좌판부(20) 및 좌판부(20)와 프레임부(10)를 연결하여 좌판부(2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40)를 포함하는,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02)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좌판부(20)를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의자(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판부(20)는 동작부(40)에 의해 프레임부(10)와 결합하여 열고 닫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는 경첩을 사용한 동작부(40)를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작부(40)는 경첩이 아니어도, 열고 닫는 동작이 가능한 구조물로도 동일한 동작을 구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의 좌판부(20)가 닫혀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좌판부(20)는 닫힌 상태일 때 그 앞부분이 좌판 지지부(11)에 닿으므로 의자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좌판부(20)는 동작부(40)에 의하여 프레임부(10)에 결합하여 동작가능하다. 도 3에서는 동작부(40)로 경첩을 사용한 예를 들어서 도시하였는데, 만약 경첩을 쓴다면 축이 좌판부(20)의 위쪽을 향하게 하여야 좌판부(20)가 위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좌판부(20)는 금속일 경우와 합성수지인 경우 모두를 다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01)의 좌판부(20)가 열려있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판부(20)는 열린 상태일 때 그 앞부분의 상단이 등받이부(30)에 닿으므로 안정적으로 열린다. 동작부(40)를 더 복잡하게 설계하여 좌판부(20)가 등받이부(30)에 닿기 전에 멈추도록 설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수고가 없더라도 기본 발명으로도 충분히 좌판부(20)의 열고 닫는 동작이 구현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좌판부(20)는 동작부(40)에 의하여 프레임부(10)에 결합하여 동작가능하다. 도 4에서는 동작부(40)로 경첩을 사용한 예를 들어서 도시하였는데, 만약 경첩을 쓴다면 축이 좌판부(20)의 위쪽을 향하게 하여야 좌판부(20)가 위로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좌판부(20)는 금속일 경우와 합성수지인 경우 모두를 다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01 :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02 : 하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
10 : 프레임부
11 : 좌판 지지부
20 : 좌판부
30 : 등받이부
40 : 동작부

Claims (10)

  1.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의자에 있어서,

    하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공간을 만들고 좌판부를 지탱해주는 지지부를 포함한 프레임부;
    사람이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상기 하부 공간을 이용가능 하도록 하는 좌판부 및
    상기 좌판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연결하여 상기 좌판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하부 공간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폐가능한 좌판부를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금속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합성 수지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목재로 만들어져, 하부에 수납이 가능한 충분한 공간을 만들고, 사람이 앉았을 때 좌판부를 지지하여 의자의 형상을 띄게 하는 목재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등받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 등받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여러 좌판부에 걸쳐진 하나의 부분으로 구성된 등받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개별 좌판부에 포함된 여러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등받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좌판부를 연결하여 상기 좌판부의 열고 닫는 동작이 가능하게 만드는 경첩.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좌판부를 연결하여 상기 좌판부의 열고 닫는 동작이 가능하게 만드는 구조물.






KR1020140075298A 2014-06-20 2014-06-20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KR2015014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298A KR20150145493A (ko) 2014-06-20 2014-06-20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298A KR20150145493A (ko) 2014-06-20 2014-06-20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93A true KR20150145493A (ko) 2015-12-30

Family

ID=550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298A KR20150145493A (ko) 2014-06-20 2014-06-20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4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529A (zh) * 2016-04-11 2016-06-15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轨道车辆
KR20210069869A (ko) * 2019-12-04 2021-06-14 (주)지원에프앤비 좌판이 젖혀지는 청소가 용이한 영화관용 소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529A (zh) * 2016-04-11 2016-06-15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轨道车辆
KR20210069869A (ko) * 2019-12-04 2021-06-14 (주)지원에프앤비 좌판이 젖혀지는 청소가 용이한 영화관용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1124A (en) Vehicular seat with footrest opening from forward swinging seat back panel section
US20140203608A1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KR20150145493A (ko) 하부 공간에 수납을 위한 전동차용 접이식 의자
US2452642A (en) Folding arm davenport
CN207461800U (zh) 一种储物型导轨式拖拉折叠沙发床
US1403543A (en) Infant's nursing chair
CN205696694U (zh) 折叠躺坐两用椅
CN103284649A (zh) 多功能老人护理椅
US2254193A (en) Convertible vehicle
US1498874A (en) Convertible automobile body
CN208403801U (zh) 一种多功能休闲椅
CN205674925U (zh) 一种交通工具上所用靠背椅的辅助装置
CN206548721U (zh) 一种舒适的多功能护理座椅
CN206151781U (zh) 一种按摩垫可翻转按摩椅
US2236152A (en) Seat
US20040084949A1 (en) Armchair for public transport vehicles
CN204950167U (zh) 一种三人沙发
US194389A (en) Improvement in chairs
KR200494939Y1 (ko) 기능성 소파
CN210018613U (zh) 一种带储存空间的沙发
ITUA20163667A1 (it) Panca reversibilmente trasformabile in un tavolo estensibile con sedute estensibili.
CN207744907U (zh) 一种带储物空间的座椅
CN205093888U (zh) 一种鞋柜抽屉式折叠坐凳
US1124769A (en) Combined trunk and seat.
US584132A (en) George jiunzi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