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53A -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53A
KR20150144053A KR1020140072675A KR20140072675A KR20150144053A KR 20150144053 A KR20150144053 A KR 20150144053A KR 1020140072675 A KR1020140072675 A KR 1020140072675A KR 20140072675 A KR20140072675 A KR 20140072675A KR 20150144053 A KR20150144053 A KR 2015014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corner
corner mold
mold pattern
mol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725B1 (ko
KR102200725B9 (ko
Inventor
오종민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4007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725B1/ko
Priority to PCT/KR2015/005946 priority patent/WO2015194800A1/ko
Publication of KR2015014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25B1/ko
Publication of KR10220072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72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로서,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시트 성형용 몰드를 사용하여 제작한 재귀반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박편을 복수개로 배열시킨 박편 조립체를 이용하여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박편의 측면이 서로 닿도록 배열되어, 인접한 박편간의 경계 라인인 배열 라인을 복수개 가지는 박편 조립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 상에,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열 상부면 상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casting mold and apparatus for the same and retroreflection sheet}
본 발명은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로서,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시트 성형용 몰드를 사용하여 제작한 재귀반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재귀반사 시트는 시트의 주요 표면상에서 입사광을 입사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기능으로 인하여 교통 및 개인 안전표지와 관련된 폭넓고 다양한 식별성 강화 용도에 재귀반사 시트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재귀반사 시트의 전형적인 용도의 예로는, 구체적으로 야간 운전 조건과 같은 불량한 조명 조건 하에서 또는 궂은 날씨 조건에서 식별성을 강화시키는 도로 표지판, 교통안전용 원추체, 및 바리케이드 상에 재귀반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재귀반사 시트는 물체의 가시도를 강화시키는 1개 이상의 큐브 코너 패턴 배열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는 시트 주요 표면상에서 입사광을 재귀반사시키는 단단하고 큐브 코너 패턴이 상호 연결되어 어레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재귀반사 관련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본적인 큐브 코너 패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큐브 꼭지점(삼각뿔의 정점)에서 교차하는 3개의 측면과 정점을 마주보는 삼각형 바닥면을 갖는 사면체 구조물이다. 이러한 큐브 코너 패턴의 광축(광축)은 큐브 정점으로부터 바닥면의 중심점까지 이르는 선으로서, 큐브 정점에서 연장되어 큐브 코너 패턴의 내부 공간을 3등분하는 축을 일컫는다. 큐브 코너 패턴의 바닥면상에 입사된 광은 패턴의 3개 측면 각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사광으로서 되돌아 간다.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패턴의 각 면의 삼각형에는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과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영역이 모두 존재하게 된다. 재귀반사 일어나는 유효면적으로 형성된 큐브 코너 패턴은 유효면적을 어떻게 절삭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큐브 코너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큐브 코너 패턴의 형상에 따라 재귀반사 유효면적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큐브 코너 패턴은 거의 광축을 따라 이들 큐브 코너 패턴의 바닥면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해 최고의 광학 효율을 나타낸다. 큐브 코너 재귀반사시트에 의해 재귀반사되는 광량(光量)은 입사각이 광축으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저하한다. 예컨대,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에 관하여 약 85도 이상의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빛은 통상 바닥면에 근접하므로 재귀반사율이 낮고 재귀반사 시트의 바닥면으로부터 약 30도 내지 40도 범위의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빛은 광축에 근접하므로 입사광에 대한 재귀반사율은 높다.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의 최대 재귀반사 효율은 재귀반사 시트의 구조화면(structured surface)상의 큐브 코너 패턴의 형상과 관계가 있다. 따라서, 큐브 코너 패턴의 형상이 변형되면, 그에 대응하여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의 광학 특성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물리적인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재귀반사 시트의 큐브 코너 패턴은 시트의 굴곡이나 탄성 신장 중에 큐브 코너 패턴의 물리적 변형을 억제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비교적 높은 탄성률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귀반사 시트는 굴곡되어 있거나 또는 그 자체가 가요성이 있는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을 정도로, 또는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롤에 감길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전통적으로는, 원하는 큐브 코너 패턴 형상의 네거티브 형태(negative image: 큐브 코너 요소의 요철 형상과 반대의 요철 형상) 또는 포지티브 형태(positive image: 큐브 코너 요소의 요철 형상과 동일한 요철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마스터 몰드(master mold)를 우선 제작하여,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한다.
니켈 전기 도금법, 화학적 기상 증착법 또는 물리적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마스터 몰드를 복제한 피성형체(彼成形體)로서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할 수 있다.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 성형용 몰드를 형성하는 다양한 공정이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한국등록특허 10-0574610의 경우, 복수의 박편을 이용하여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하고 있다.
상술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박편(10)으로 구성되는 박편 조립체(100)를 마련하고, 복수의 박편(10)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가공면상에 3개의 측면으로 삼각뿔 형태로 된 복수의 몰드 패턴(P;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편 조립체(100)의 박편(10) 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박편(10)을 제거하여 가공면의 구조화면(structured surface)을 달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유효면적의 비율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즉, 도 2의 가공면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인 도 4를 참고하면,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유효 면적(점표시 영역)이 제1박편(10a), 제3박편(10c), 제4박편(10d), 제6박편(10f) 등에만 존재하는 경우, 재귀반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비유효 면적을 가지는 박편 조립체(100)의 제2박편(10b), 제5박편(10e) 등을 제거하고, 나머지 박편들인 제1박편(10a), 제3박편(10c), 제4편(10d) 등을 서로 붙임으로써 도 5와 같이 재귀반사 유효 면적을 증대시켜 재귀반사 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박편(10)의 일부를 제거하고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할 경우, 최종적으로 제거되어야 할 제2박편(10b), 제5박편(10e) 등에 대해서도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가공해야 하는 공정상의 비효율성 문제가 있다. 또한 제거되는 박편(10)들을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의 비효율성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57461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효면적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귀반사 시트의 재귀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작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박편을 복수개로 배열시킨 박편 조립체를 이용하여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박편의 측면이 서로 닿도록 배열되어, 인접한 박편간의 경계 라인인 배열 라인을 복수개 가지는 박편 조립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 상에,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열 상부면 상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인접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공통변을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에 직각으로 형성한다.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바닥면이 제1사잇각, 제2사잇각 및 제3사잇각으로 된 삼각형이라 할 때,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을 횡단하여 상기 배열 상부면 상에서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사잇각을 이루도록 교차하여 파여진 제1홈라인 및 제2홈라인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사잇각을 가지도록 상기 제1홈라인과 교차하고,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3사잇각을 가지도록 상기 제2홈라인과 교차하여 파여진 제3홈라인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3홈라인을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에 직각으로 형성한다.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제1박편, 제2박편, 제3박편이 상기 박편 조립체에서 차례로 배열되고, 각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세 개의 꼭지점과 상기 세 개의 꼭지점과 연결되는 정점으로 된 삼각뿔 형태를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상기 제1박편, 제2박편, 제3박편을 가로질러 상기 배열 상부면 상에서 형성된다.
상기 제1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1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A비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1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A비유효 면적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2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1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2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2유효 면적을 포함하며, 상기 제3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3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B비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3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B비유효 면적을 포함한다.
상기 박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에서의 제1유효 면적 및 상기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에서의 제2유효 면적을 가지는 제2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박편의 이동은, 상기 제1유효 면적 및 제2유효 면적의 전체 면적과 상기 제1A비유효 면적 및 제2A비유효 면적의 전체 면적간의 접선 길이만큼 상기 제2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재귀반사 시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해 제작된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성형용 몰드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시트 성형용 몰드에 의해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시트 성형용 몰드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구조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화면은,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 및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포함한다.
상기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인접한 제1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1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인접한 제1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 및 제2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2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박편 조립체를 이용하여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박편의 이동을 통하여 재귀반사 시트의 재귀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박편의 이동에 의하여 재귀반사를 일으키는 유효면적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박편 조립체 내의 박편을 제거하지 않고 이동만을 수행하여 활용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큐브 코너에서 입사각 및 반사각의 방향이 동일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에 복수의 박편으로 구성되는 박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에 박편 조립체 내에서 비유효 면적을 가지는 박편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종래에 비유효 면적을 가지는 박편을 제거하기 전의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종래에 비유효 면적을 가지는 박편을 제거한 후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편을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박편이 배열된 박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 조립체에 복수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형성한 후의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의 이동 전에 유효 면적 및 비유효 면적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박편을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 이동 후의 박편 조립체의 상부 배열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의 이동에 의해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유효 면적을 추가적으로 생긴 모습을 도시한 박편 조립체의 상부 배열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의 이동 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편을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박편이 배열된 박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박편 조립체에 복수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형성한 후의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박편(10)을 복수개로 배열시킨 박편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각 박편(10)의 측면이 서로 닿도록 배열되어, 인접한 박편간의 경계 라인인 배열 라인(L1,L2,L3)을 복수개 가지는 박편 조립체(100)를 마련한다(S610).
여기서 박편(10;薄片;laminae)이라 함은 상부면(16), 하부면(18), 상부면(16) 및 하부면(18)을 잇는 4개의 측면(12,14,20,22)을 가지는 직각 다면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상부면(16)이 몰드 패턴이 가공되는 가공면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상부면(16) 및 하부면(18)을 잇는 4개의 측면은, 2개의 배열면(12,14)과 2개의 단부면(20,22)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하면, 박편(10)은 제1배열면(12)과 그 반대측의 제2배열면(14)을 포함한다. 박편(10)은 또한 제1배열면(12)과 제2배열면(14) 사이를 잇는 상부면(16)과 그 반대측의 하부면(18)을 포함한다. 박편(10)은 또한 제1단부면(20)과 그 반대측의 제2단부면(22)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박편(10)은 그 대향 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각 다면체이다. 그러나, 박편(10)의 대향 면들이 반드시 평행하여야 한다고 한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박편(10)은 그 구조에 데카르트 좌표계를 중첩시킴으로써 3차원 공간적인 특성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제1기준 평면(24)은 배열면(12, 14) 사이의 중심에 위치한다. x-z 평면이라고도 불리는 제1기준 평면(24)은 y 축을 법선 벡터로 갖는다. x-y 평면이라고도 불리는 제2기준 평면(26)은 박편(10)의 상부면(16)과 실질적으로 동평면(同平面)으로 연장되며 z 축을 법선 벡터로 갖는다. y-z 평면이라 불리는 제3기준 평면(28)은 제1단부면(20)과 제2단부면(22) 사이의 중심에 위치하며 x 축을 법선 벡터로 갖는다.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의 다양한 기하학적 특성들에 대해 전술한 데카르트 좌표 평면들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하학적 특성은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거나 또는 박편(10)의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박편(10)은 정밀 공차(公差)를 유지할 수 있는 치수 안정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박편(10)은 절삭가능한 플라스틱(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과, 황동,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박편(10)의 물리적 치수는 주로 절삭 한계에 의해 제한된다. 박편(10)은 두께가 적어도 0.1 mm, 높이가 5.0 mm 내지 100.0 mm, 폭이 10 mm 내지 50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측정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이러한 복수의 박편(10)을 이용하여 인접한 박편(10)의 측면인 배열면이 서로 닿도록 배열된 박편 조립체(100)를 마련한다. 즉, 복수의 박편(10a~10n)은 하나의 박편(10)의 제1배열면(12)이 인접한 박편(10)의 제2배열면(14)에 인접하도록 함께 조립된다. 복수의 박편(10)은 서로 인접해 있는 복수의 박편(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치구(治具: fixture)에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구는 공지된 다양한 치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치구의 세부 구조가 본 발명에 긴요한 것이 아니다.
복수의 박편(10)으로 된 박편 조립체(100)는 인접한 박편(10)의 측면간의 라인인 배열 라인이 복수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 라인은 제1기준 평면(24)과 평행하게 된다. 참고로, 복수의 박편(10;10a~10n)은 그 각각의 상부면(16)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박편(10)의 배열 결합으로 인하여 박편 조립체(100)의 상부면인 배열 상부면(106)은 제2기준 평면(26)과 평행하게 된다.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상부면(106)은 복수의 박편(10)의 상부면이 결합된 면에 해당된다.
한편, 복수의 박편을 배열하여 고정시킨 박편 조립체(100)를 마련한 후, 복수의 박편(10)을 배열시킨 박편 조립체(100) 형태로 고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박편(10)의 배열 상부면(106) 상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을 복수개 형성한다(S620). 즉, 각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은 2개 이상의 박편(10)의 상부면에 걸쳐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은 피성형체(彼成形體)인 재귀반사 시트의 큐브 코너 패턴을 찍어내는 몰드의 패턴이다. 큐브 코너라 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의 입사 방향에 의하지 않고 입사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사면체 구조물로서, 삼각뿔의 정점에서 교차하는 3개의 측면과 정점을 마주보는 삼각형 바닥면을 갖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 구조물이다. 따라서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은 삼각뿔 형태의 입체적 사면체의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접한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간에 하나의 공통변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복수의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을 형성한 후의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을 도시한 도 10을 참조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을 굵은 선으로 표시하였지만, 다른 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다르지는 않다.
즉,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이 인접하도록 형성하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의 바닥면의 일변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의 바닥면의 일변이 서로 공통된 변을 사용하도록,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을 인접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공통변은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라인(L;L1,L2,L3)에 직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X 방향의 배열 라인(L)에 직각된 Y 방향으로 공통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 및 제4박편(10d)이 박편 조립체(100)에서 차례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이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 및 제4박편(10d)을 가로질러 배열 상부면(106)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간의 공통변은, 제1박편(10a) 및 제2박편(10b)의 경계인 제1배열 라인(L1)과, 제2박편(10b) 및 제3박편(10c)의 경계인 제2배열 라인(L2)과, 제3박편(10c) 및 제4박편(10d)의 경계인 제3배열 라인(L3)에 직각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을 형성하는 것은, 배열 상부면(106)에 'V'자 형태의 홈라인을 서로 교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즉,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바닥면이 제1사잇각(α), 제2사잇각(β) 및 제3사잇각(γ)으로 된 삼각형이라 할 때, 우선,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라인(L)을 횡단하여 배열 상부면(106) 상에서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제1사잇각(α)을 이루도록 교차하여 파여진 'V'자 형태의 제1홈라인(111) 및 제2홈라인(112)을 형성한다. 참고로,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인 삼각뿔을 가지는데, 삼각뿔의 바닥면은 삼각형으로서 제1사잇각(α), 제2사잇각(β), 제3사잇각(γ)으로서 이루어진다. 제1사잇각(α), 제2사잇각(β), 제3사잇각(γ)은 동일한 사잇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다른 사잇각을 가질 수 있다.
제1사잇각(α)을 가지며 교차하는 제1홈라인(111) 및 제2홈라인(112)을 배열 상부면(106) 상에서 형성한 후에는,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제2사잇각(β) 및 제3사잇각(γ)을 이루도록, 배열 상부면(106) 상에서 제1홈라인(111) 및 제2홈라인(112)과 교차하여 파여진 제3홈라인(113)을 형성한다. 즉,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제2사잇각(β)을 가지도록 'V'자 형태로 파여진 제1홈라인(111)과 교차하며, 동시에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제3사잇각(γ)을 가지도록 제2홈라인(112)과 교차하도록 'V'자 형태로 파여진 제3홈라인(113)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V자 형태인 복수의 제3홈라인(113)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각 공통변이 뻗어 있는 축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바람직하게는 그 축들과 동축(同軸)인 축을 따라 형성된다. 예컨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의 제3홈라인(113)이 박편 조립체(100)의 각 배열 라인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간의 공통변으로 작용하게 된다.
참고로, V자 형태의 제1홈라인(111),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은 적절한 재료 제거 기술을 사용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재료 제거 기술을 사용하여 복수의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상부면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밀링(milling), 룰링(ruling) 및 플라이커팅(fly-cutting)과 같은 정밀 절삭 기술을 비롯한 각종 재료 제거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화학적 에칭 또는 레이저 융제법(融除法: laser ablation)을 사용하여 홈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84.946°의 날끝각(included angle)을 가진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를 복수의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상부면(106)을 가로질러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는 고정밀 절삭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라인(111),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을 형성하면, 박막 조합체의 배열 상부면(106) 상에 4면체인 피라미드 구조인 삼각뿔의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구조화면이 형성된다. 이들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이 삼각뿔의 공통변을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이들 표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내측 이면각을 형성하게 된다. 큐브 코너 재귀반사 기술에서는, 이들 표면 사이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서로 수직인 관계"라 부른다. "거의 서로 수직(aproximately mutually perpendicular)"이라는 용어 또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substantially mutually perpendicular)"이라는 용어는 아펠돈(Appeldorn) 등의 미국 특허 제4,775,219호에서 설명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재귀반사된 광의 분포를 변경시키는 데 유용한 완전한 직교로부터 약간 벗어날 수 있다고 하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중요한 것은, 삼각뿔의 표면이 3개의 박편(10)의 가공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다는 것이며. 특히, 삼각뿔의 제1표면 및 제2표면은 제1배열 라인(L1)을 교차하고, 제3표면 및 제4표면은 제2배열 라인(L2)을 교차한다는 점이다.
한편, 제1홈라인(L1), 제2홈라인(L2) 및 제3홈라인(L3)의 위치와 사잇각 각도를 변화시켜 여러 가지 형상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홈라인(L1), 제2홈라인(L2) 및 제3홈라인(L3)의 위치와 사잇각 각도를 변화시켜 박편(10)별로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유효 면적을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비유효 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박편(10)에는 재귀 반사가 일어나는 유효 면적을 포함하며, 다른 박편(10)에는 재귀 반사가 일어나는 비유효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박편의 이동 전에 유효 면적 및 비유효 면적이 도시한 도 11과 함께 설명한다. 도 11에서 점표시된 영역이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대상 면적인 유효 면적이며, 점표시되지 않은 영역이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대상 면적인 비유효 면적이다. 실제로는 비유효 면적에서도 재귀반사가 100%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 및 제4박편(10d)이 박편 조립체(100)에서 차례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이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 을 가로질러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상부면(106) 상에 각각 형성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은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은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은 세 개의 꼭지점과 상기 세 개의 꼭지점과 연결되는 정점으로 된 삼각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은, 제1박편(10a)에 하나의 꼭지점(211;이하, '제1-1꼭지점')이 위치하며, 제2박편(10b)에 다른 꼭지점(212;이하, '제1-2꼭지점')이 위치하며, 제3박편(10c)에 나머지 다른 하나의 꼭지점(213;이하, '제1-3꼭지점')이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은, 제1박편(10a)에 하나의 꼭지점(221;이하, '제2-1꼭지점')이 위치하며, 제2박편(10b)에 다른 꼭지점(222;이하, '제2-2꼭지점')이 위치하며, 제3박편(10c)에 나머지 다른 하나의 꼭지점(223;이하, '제3-3꼭지점')이 위치한다.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 및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은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의 위치와 사잇각에 따라서, 재귀 반사가 일어나는 유효 면적과 재귀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비유효 면적을 가진다. 이러한 유효 면적과 비유효 면적이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의 위치와 사잇각을 따라서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 및 제4박편(10c)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박편(10a)에는,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의 제1-1꼭지점(211)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A비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의 제2-1꼭지점(221)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A비유효 면적(2A)을 가지도록 한다. 참고로, 제1박편(10a)에는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 및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으로 국한할 때 비유효 면적만 존재하나, 다른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으로 확장할 경우 해당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유효 면적이 존재한다.
또한 제2박편(10b)에는,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의 제1-2꼭지점(212)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1유효 면적(1C),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의 제2-2꼭지점(222)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2유효 면적(2C)을 가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3박편(10c)에는,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의 제1-3꼭지점(213)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B비유효 면적(1B),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의 제2-3꼭지점(223)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B비유효 면적(2B)을 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편 조립체(100)의 배열 상부면(106)에서 'V자' 형태의 제1홈라인(111), 제2홈라인(112) 및 제3홈라인(113)을 그어서, 복수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을 어레이 형태로 일정하게 형성한 후에는, 박편 조립체(100)의 하나 이상의 박편(10)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열 상부면(106) 상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200)의 형상을 변경시킨다. 비유효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박편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박편(10) 중에서 일부의 박편(10)을 배열 라인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유효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참고로 도 12는 이동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박편이 배열 라인과 수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될 경우, 이동된 박편이 단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것이다. 이동에 의해 박편의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여 단면이 평면을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큐브 몰드 패턴이 제1-1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제2박편(10b)에만 제1유효 면적이 형성되고, 제2큐브 몰드 패턴이 제1박편(10a), 제2박편(10b), 제3박편(10c)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제2박편(10b)에만 제2유효 면적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럴 경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210)에서의 제1유효 면적(1C) 및 상기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220)에서의 제2유효 면적(2C)을 가지는 제2박편(10b)만을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박편(10b)의 이동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효 면적(1C) 및 제2유효 면적(1C)의 전체 면적과 제1A비유효 면적(1A) 및 제2A비유효 면적(2A)의 전체 면적간의 접선 길이(K)만큼 제2박편(10b)을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량을 가져야만, 인접한 박편(10)간의 유효 면적끼리 접하고, 비유효 면적끼리 접하게 된다. 도 13은 제2박편(10b), 제4박편(10)의 이동 후의 박편 조립체(100)의 상부 배열면을 도시한 그림이다. 박편(10)의 이동 후의 도 13를 박편(10) 이동 전의 도 11 및 도 12와 비교할 때, 박편(10)의 이동이 있은 후에 제1박편(10a)의 유효 면적과 인접한 제2박편(10b)의 유효 면적이 접하게 되고, 제1박편(10a)의 비유효 면적과 인접한 제2박편(10b)의 비유효 면적이 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동 후의 비유효 면적에는 다시 삼각뿔이 형성되어, 도 14와 같이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유효 면적을 추가적으로 가지게 된다. 다따라서 이동 전의 도 11의 유효 면적(점표시 영역)과 비교할 때 이동 후의 도 14의 유효 면적(점표시 영역)이 더 증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재귀반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시트 성형용 몰드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구조화면을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화면(structure surface)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유효 면적으로서 a1,a2,a3,a4,a5,a6의 꼭지점을 가지는 절두형(截頭形) 큐브 코너 몰드 패턴(P1)과, b,b2,b3,b4의 꼭지점을 가지는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2)을 복수개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1)은 완전한 삼각뿔 형태가 아닌 꼭지점을 포함한 비유효 면적 부분이 절단되어 유효 면적(점영역)만을 가지는 몰드 패턴을 말한다. 또한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2)은 박편(10)의 이동에 의하여, 비유효 면적 이외에 새로운 유효 면적(빗금영역)을 포함한 삼각뿔을 가지는 패턴이다.
따라서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1)은, 인접한 제1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1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인접한 제1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 및 제2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2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후의 G-G'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후의 H-H'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15(b)를 참조하면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P2)이 새롭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유효면적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몰드는 복수의 박편으로 된 박편 조립체를 활용하였으나, 하나의 다각면체의 상부면에 복수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어레이를 형성한 후, 제1기준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여러번 절삭하여 복수개의 박편을 형성하고, 절삭된 박편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절두형 큐브 코너 패턴 및 삼각뿔형 큐브 코너 패턴을 복수개 포함하는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성형용 몰드를 마련한다. 그리고, 마련된 시트 성형용 몰드에 의해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절두형 큐브 코너 패턴 및 삼각뿔형 큐브 코너 패턴을 복수개 포함하는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박편 100:박편 조립체
106:배열 상부면 200:코너 큐브 몰드 패턴
210: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 220: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
111:제1홈라인 112:제2홈라인
113:제3홈라인

Claims (14)

  1. 박편을 복수개로 배열시킨 박편 조립체를 이용하여 큐브 코너형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박편의 측면이 서로 닿도록 배열되어, 인접한 박편간의 경계 라인인 배열 라인을 복수개 가지는 박편 조립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상부면 상에,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
    상기 박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열 상부면 상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인접한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통변을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에 직각으로 형성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바닥면이 제1사잇각, 제2사잇각 및 제3사잇각으로 된 삼각형이라 할 때,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을 횡단하여 상기 배열 상부면 상에서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사잇각을 이루도록 교차하여 파여진 제1홈라인 및 제2홈라인을 형성하는 과정;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사잇각을 가지도록 상기 제1홈라인과 교차하고, 상기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3사잇각을 가지도록 상기 배열 라인과 교차하여 파여진 제3홈라인을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홈라인을 상기 박편 조립체의 배열 라인에 직각으로 형성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 형태의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형성하는 과정은,
    제1박편, 제2박편, 제3박편이 상기 박편 조립체에서 차례로 배열되고, 각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세 개의 꼭지점과 상기 세 개의 꼭지점과 연결되는 정점으로 된 삼각뿔 형태를 가진다고 할 때,
    상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상기 제1박편, 제2박편, 제3박편을 가로질러 상기 배열 상부면 상에서 형성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1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A비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1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A비유효 면적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2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1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2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는 제2유효 면적을 포함하며,
    상기 제3박편은,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1-3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1B비유효 면적,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의 제2-3꼭지점을 포함하여 재귀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제2B비유효 면적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박편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큐브 코너 몰드 패턴에서의 제1유효 면적 및 상기 제2큐브 코너 몰드 패턴에서의 제2유효 면적을 가지는 제2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박편의 이동은,
    상기 제1유효 면적 및 제2유효 면적의 전체 면적과 상기 제1A비유효 면적 및 제2A비유효 면적의 전체 면적간의 접선 길이만큼 상기 제2박편을 상기 배열 라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성형용 몰드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시트 성형용 몰드에 의해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를 성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재귀반사 시트 제조 방법.
  11. 바닥면;
    상기 바닥면의 반대쪽에 형성된 구조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화면은,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 및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을 복수개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몰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인접한 제1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과 제2절두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1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 시트 성형용 몰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은,
    인접한 제1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 및 제2삼각뿔형 큐브 코너 몰드 패턴이 하나의 제2공통변으로서 인접되도록 형성된 시트 성형용 몰드.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시트 성형용 몰드에 의해 제조되어 절두형 큐브 코너 패턴 및 삼각뿔형 큐브 코너 패턴을 복수개 포함하는 피성형체인 재귀반사 시트.
KR1020140072675A 2014-06-16 2014-06-16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KR102200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75A KR102200725B1 (ko) 2014-06-16 2014-06-16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PCT/KR2015/005946 WO2015194800A1 (ko) 2014-06-16 2015-06-12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75A KR102200725B1 (ko) 2014-06-16 2014-06-16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53A true KR20150144053A (ko) 2015-12-24
KR102200725B1 KR102200725B1 (ko) 2021-01-12
KR102200725B9 KR102200725B9 (ko) 2021-09-17

Family

ID=549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675A KR102200725B1 (ko) 2014-06-16 2014-06-16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0725B1 (ko)
WO (1) WO20151948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372B1 (ko) * 2017-07-27 2019-04-12 김현대 큐브 코너 프리즘 구조의 원소재 성형 몰드를 재귀반사 불능 영역이 없는 몰드로 성형하는 방법, 이에 의한 몰드 및 이에 의한 반사 시트
WO2019117434A1 (ko) * 2017-12-15 2019-06-20 엠피닉스 주식회사 프레넬 렌즈 제작용 금형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3618A (en) * 1978-10-23 1981-01-0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retroreflective sheeting
KR100574610B1 (ko) 1997-07-02 2006-04-28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큐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트, 그것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및 그 몰드의 제조 방법
KR20070015187A (ko) * 2004-04-01 2007-02-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조절된 cap-y 를 가지는 역반사 쉬팅
JP4146084B2 (ja) * 1998-02-05 2008-09-03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変調する再帰反射物品
US20140027293A1 (en) * 2008-04-09 2014-01-30 Orafol Americas Inc. Pin based method of precision diamond turning to make prismatic mold and sheet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4940A1 (fr) * 1995-07-28 1997-02-13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Matrice micropris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3618A (en) * 1978-10-23 1981-01-0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retroreflective sheeting
KR100574610B1 (ko) 1997-07-02 2006-04-28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큐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트, 그것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및 그 몰드의 제조 방법
JP4146084B2 (ja) * 1998-02-05 2008-09-03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変調する再帰反射物品
KR20070015187A (ko) * 2004-04-01 2007-02-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조절된 cap-y 를 가지는 역반사 쉬팅
US20140027293A1 (en) * 2008-04-09 2014-01-30 Orafol Americas Inc. Pin based method of precision diamond turning to make prismatic mold and shee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372B1 (ko) * 2017-07-27 2019-04-12 김현대 큐브 코너 프리즘 구조의 원소재 성형 몰드를 재귀반사 불능 영역이 없는 몰드로 성형하는 방법, 이에 의한 몰드 및 이에 의한 반사 시트
WO2019117434A1 (ko) * 2017-12-15 2019-06-20 엠피닉스 주식회사 프레넬 렌즈 제작용 금형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725B1 (ko) 2021-01-12
KR102200725B9 (ko) 2021-09-17
WO2015194800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0421B2 (ja) 急な斜面のキューブコーナ要素から成るタイル張りの再帰反射性シート
US6302992B1 (en)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235750B2 (ja) 再帰反射キューブコーナー製品の成形用の型に使用する薄板、この薄板を備える型組立体、及びこの型組立体から製造される再帰反射シート
US6447878B1 (en)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sheeting formed therefrom
US6253442B1 (en)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3590065B2 (ja) 再帰反射性コーナキューブ物品とその製作方法
CA2761593C (en) Hexagonal cube 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EP322113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iled retroreflector with multi-stage dicing
JP3824471B2 (ja) キューブコーナー型再帰反射シート及びキューブコーナー金型
KR20150144053A (ko) 시트 성형용 몰드 제조 방법 및 시트 성형용 몰드 및 재귀반사 시트
US105835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een provided with retroreflective microstructures
CA2854314C (en) Rulable multi-directional prism cluster retroreflective sheeting
US11029456B2 (en) Retroreflector having a curved surface
US20110286097A1 (en) Retroreflective article
KR20140030002A (ko) 재귀반사체 제조용 마스터 금형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