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755A - 포지션 결정을 위한 송신 특징의 제어 - Google Patents

포지션 결정을 위한 송신 특징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755A
KR20150143755A KR1020157032621A KR20157032621A KR20150143755A KR 20150143755 A KR20150143755 A KR 20150143755A KR 1020157032621 A KR1020157032621 A KR 1020157032621A KR 20157032621 A KR20157032621 A KR 20157032621A KR 20150143755 A KR20150143755 A KR 20150143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
wireless device
layer signal
signal
signal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오넬 자크 가린
스테판 조셉 베아우레가르드
아이만 파우지 나깁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01S5/02524Creating or updating the radio-map
    • G01S5/02525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 G01S5/02526Gathering the radio frequency fingerprints using non-dedicated equipment, e.g. user equipment or crowd-sour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의,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시스템들, 장치들, 디바이스들, 방법들, 매체, 물건들 및 다른 구현들이 개시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송신된 신호는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포지션 결정을 위한 송신 특징의 제어{CONTROL OF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0001] 로케이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은 포지션/로케이션이 결정될 디바이스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들의 사용에 기초한다. 예컨대, 왕복 시간(RTT),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 등 같은 측정치들은 예컨대, RTT-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RSSI-핑거프린팅, 등 같은 그런 기술들을 통해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02] 포지션 결정(WiFi 기지국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을 사용한 실내 포지셔닝 결정을 포함함)을 위해 필요한 신호 정보는 일반적으로 베뉴(venue)에 액세스하는 누군가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이것은 신호-송신 기지국들을 동작시키는 베뉴 소유자들에게 문제일 수 있는데, 베뉴 소유자들은 그들이 받았을 수 있는 가능한 수익화 이익들을 제 3 자(예컨대, 다른 맵핑/로케이션-결정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전용되는 포지션-결정 서비스들을 제공함으로써 잃을 수 있다.
[0003] 게다가, 미래 포지셔닝 시스템들은 전화상 센서 측정치들(가속도계들, 레이트 자이로스코프, 자력계들 및 기압계들)뿐 아니라 WiFi 신호들을 레버리지 할 것 같다. AP들로부터의 비콘(beacon) 메시지들은 포지션 또는 속도-의존 측정치들을 얻기 위하여 레버리지될 수 있다. 예컨대, 비콘 메시지들로부터 수신기에 의해 추정된 바와 같은 RSSI 및 채널 임펄스 응답(CIR)은 AP에 관련한 수신기의 포지션에 의존한다. CIR 및 RSSI의 변동들(즉, 고속 페이딩 통계들(fast fading statistics))은 모바일의 속력(speed)(또는 적어도, 정지된 상태)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누군가가 포지셔닝 목적들을 위하여 이들 종류의 수신-전용 측정들을 레버리징하는 것을 방지/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0004] 본원에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들, 시스템들, 장치, 디바이스들, 물건들 및 다른 구현들이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컨대,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가진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송신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05] 방법의 실시예들은 다음 피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 설명된 피처들 중 적어도 몇몇을 포함할 수 있다.
[0006]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개별 상이한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07]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예컨대 지연 및/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09]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자동회귀(autoregressive)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0] 자동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랜덤 번호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 결과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랜덤 번호들의 시퀀스를 자동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입력하는 것, 및 결과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에 있는 개별 클록(clock)들은 기준 타임에 관하여 동기화될 수 있고,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의사랜덤 시퀀스는, 제 2 의사랜덤 번호 시퀀스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랜덤 번호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0011]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된 신호는 예컨대,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도움을 받는 속력-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2] RSSI-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SSI-핑거프린팅 프로세스(예를 들어, 다양한 수신된 송신기들로부터의 RSSI 시그네이처를 이전에 수집된 RSSI 측정치들/시그네이처들에 매칭함)를 포함하고, 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TT-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13]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WiFi-기반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0014]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가진 신호의 언디더링(undithering)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언디더링 유닛을 갖춘 사전 권한 부여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15] 몇몇 변형들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되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스토리지 미디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유발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컨대,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가진 신호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송신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16]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피처들 중 적어도 몇몇을 포함하여, 본 개시에 설명된 피처들 중 적어도 몇몇을 포함할 수 있다.
[0017] 몇몇 변형들에서,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컨대,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가진 신호를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송신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18] 장치의 실시예들은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하여 상기 설명된 피처들 중 적어도 몇몇뿐 아니라, 다음 피처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 설명된 피처들 중 적어도 몇몇을 포함할 수 있다.
[0019]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개별 상이한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20]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21]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22]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및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23] 일부 변형들에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이 개시된다.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은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되고, 그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명령들의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 동작들을 야기하고, 송신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24]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의 실시예들은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비롯해서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25]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방법이 개시된다. 그 추가적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방법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6] 추가적인 방법의 실시예들은 제 1 방법, 디바이스,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비롯해서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뿐만 아니라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27]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에 적용된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28]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0029]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0030]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하고,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난수들의 시퀀스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하며, 그리고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0031] 그 방법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1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클록에 동기화시키는 단계,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32]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33] RSSI-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SSI-핑거프린팅 프로세스(예를 들어, RSSI 측정들/핑거프린트들의 미리 수집된 베이스라인에 측정된 RSSI 값들을 매칭시킴)를 포함하며, 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TT-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0034]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WiFi-기반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35]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신호의 언디더링(undithering)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언디더링 유닛이 장착된, 사전 승인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36]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그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그 저장 매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며, 그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것, 및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동작들을 야기한다.
[0037]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제 1 디바이스,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비롯해서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38]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장치가 개시된다. 그 추가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그 추가적인 장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39] 추가적인 장치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제 1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비롯해서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뿐만 아니라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40] 장치는 장치에서의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클록에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장치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41]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RTT(round trip time)-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42] 일부 변형들에서,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되는 추가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이 개시된다. 명령들의 세트는, 실행될 때,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변조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위상, 지연,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명령들의 세트는 또한, 실행될 때, 수신된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결정하는 동작들, 및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된,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추가로 야기한다.
[0043] 추가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제 1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44]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방법이 개시된다. 추가적인 방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방법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45] 추가적인 방법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뿐만 아니라,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46] 추가적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신호 진폭, 신호 주파수, 신호 타임스탬프, 신호 이득, 신호 균등화, 신호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0047]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의사 랜덤 시간 변화-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48]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의사 랜덤 시간 변화-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49]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사 랜덤 시간 변화-기반 빔 제어 프로세스들에 따라, 가변 빔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으로 각각 지향되는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관련 위상 및 대응하는 진폭을 제어가능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0]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사 랜덤 시간 변화-기반 주기적 지연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지향되는 다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된 대응하는 지연을 제어가능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1]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2] 적어도 하나의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의사 랜덤 생성자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 및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53] 제 1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들에서의 각각의 클록들은 기준 시간에 관해 동기화될 수 있고,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는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0054]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된 신호는,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RTT(round trip time)-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5]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56]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언디더링(undithering)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언디더링 유닛이 장착된 미리허가된(preauthorized)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57]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들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할 때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58] 추가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59]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적인 장치가 개시된다. 추가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장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장치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할 때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60] 추가적인 장치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 판독가능한 매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뿐만 아니라,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 설명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61] 추가적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신호 진폭, 신호 주파수, 신호 타임스탬프, 신호 이득, 신호 균등화, 신호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0062]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63]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가변 빔을 제어하도록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전달되는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 위상 및 대응하는 진폭을 하나 또는 초과의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빔 제어 프로세스들에 따라 제어 가능하게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64]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개별적으로 전달되는 다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된 대응하는 지연을 적어도 하나의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주기적 지연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 가능하게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65]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66]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 랜덤 발생기 프로세스를 기초로 난수들의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합성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난수들의 시퀀스를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입력하기 위한 수단, 및 합성 시퀀스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67]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추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는 실행될 때,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한 세트의 명령들로 프로그래밍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한 세트의 명령들은 실행될 때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사용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들을 야기한다. 송신되는 신호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유추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68] 추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판독 가능 매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69] 일부 변형들에서,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갖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추가 방법은 또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유추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추된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70] 추가 방법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초과의 특징은 물론,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판독 가능 매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71] 추가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 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의 수정되지 않은 원래의 값을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신호 진폭, 신호 주파수, 신호 타임스탬프, 신호 이득, 신호 균등화, 신호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0072]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될 수도 있다.
[0073]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될 수도 있다.
[0074]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75]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가변 빔을 제어하도록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전달되는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 위상 및 대응하는 진폭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 위상 및 대응하는 진폭은 하나 또는 초과의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빔 형성 프로세스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 가능하게 조정된다.
[0076]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의사 랜덤-시간-변동-기반 주기적 지연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 가능하게 조정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개별적으로 전달되는 다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된 대응하는 지연을 포함할 수도 있다.
[0077]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사용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언디더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언디더링 유닛이 설치된 사전 공인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78]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 무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추가 무선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은 하나 또는 초과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사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갖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들을 실행될 때 또한,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무선 디바이스에서 유추하는 것,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추된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야기한다.
[0079] 추가 무선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판독 가능 매체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서 설명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80] 일부 변형들에서, 추가 장치가 개시된다. 추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사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갖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추가 장치는 또한,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추된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81] 추가적인 장치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들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특성들 중 적어도 일부 뿐만 아니라 다음의 특성을 포함하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82] 추가적인 장치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전송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되는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신호 진폭, 신호 주파수, 신호 타임스탬프, 신호 이득, 신호 균등화, 신호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0083] 일부 변화들에서, 추가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되고, 명령들의 세트는, 실행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갖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도출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사이클릭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명령들의 세트는 또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유도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도된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도출한다.
[0084] 추가적인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의 실시예들은, 방법들, 디바이스들, 장치 및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들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특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0085]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통상적으로 또는 종래에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 표현은,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은(즉,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문법적 객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는 하나의 엘리먼트 또는 하나보다 많은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양, 시간적 지속기간 등과 같은 측정가능한 값을 지칭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 및/또는 "대략"은, 특정한 값으로부터 ±20% 또는 ±10%, ±5%, 또는 +0.1%의 변화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이러한 변화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회로들, 방법들 및 다른 구현들의 상황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양, 시간적 지속기간, 물리적 속성(예를 들어, 주파수) 등과 같은 측정가능한 값을 지칭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는 또한 특정한 값으로부터 ±20% 또는 ±10%, ±5%, 또는 +0.1%의 변화들을 포함하는데, 이는, 이러한 변화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회로들, 방법들 및 다른 구현들의 상황에 적절하기 때문이다.
[0086]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 중 하나 이상"으로 서문이 쓰여진 항목들의 리스트에 사용된 "또는" 또는 "및"은, 나열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조합들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및/또는 ABC(즉, A 및 B 및 C)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게다가, 항목들 A, B 또는 C의 하나보다 많은 등장 또는 이용이 가능한 범위까지, A, B 및/또는 C의 다수의 이용들은 고려되는 조합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는 또한 AA, AAB, AAA, B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87] 청구항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기능, 동작 또는 특성이 항목 및/또는 조건에 "기초한다"는 언급은, 기능, 동작, 함수가 그 언급된 항목 및/또는 조건에 기초하고, 언급된 항목 및/또는 조건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들 및/또는 조건들에 기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0088]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양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 더 잘 이해될 것이다.
[0089] 도 1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의 개략도이다.
[0090] 도 2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0091] 도 3은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의 개략도이다.
[0092] 도 4는 예시적인 신호-수정 절차의 흐름도이다.
[0093] 도 5는, 디더링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로케이션 결정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절차의 흐름도이다.
[0094] 도 6은, 송신 특징들을 제어/결정하는 예시적인 절차의 흐름도이다.
[0095] 도 7은, 디더링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로케이션 결정을 수행하는 다른 예시적인 절차의 흐름도이다.
[0096] 도 8은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0097]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을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0098] 다른 것들 중에서도, 제 3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들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방지/금지하는(그리고 또한, 이전에 수집된 RSSI 또는 RTT 핑거프린트들에 기초한 포지션 결정을 금지하기 위해, 핑거프린팅 수집 프로세스들을 금지/방지하는) 시스템들, 장치, 디바이스들, 물건들, 매체들, 방법들 및 다른 구현들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은, WiFi 접속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주지 않고, 그리고 인가된 개체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 기능을 제한하거나 간섭하지도 않고, 인가된 사용자들,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포지셔닝 서비스를 손상시키지도 않으면서, 미인가된 개체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 기능을 제한/금지한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은, 프로세싱되지 않거나 프로세싱된 신호들에 포함되거나 그에 의해 표현되는 컨텐츠를 변경하지도 않고, 수정되고 있는 신호들에 의해 표현되는 컨텐츠의 통신과 간섭하지도 않는다.
[0099]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현들은 일반적으로, 포지션 결정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제어될 수 있는 포지션 결정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구현들에 대해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iOS, Android, Windows 폰 등과 같은 HLOS(High-level Operating System)에서 구현되는 서비스는,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지만 하나의 LSB(location-based services)는 장소 소유자의 인가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포함하지 않는 2개의 LBS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상이한 품질들의 포지션을 제공할 수 있다. 신호 측정가능성들은 낮은 네트워크 계층 레벨(예를 들어, PHY 계층)에서 변하기(또는 디더링되기) 때문에, 미인가된 사용자들, 미안가된 포지셔닝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미인가된 디바이스들은 디더링된 신호들(및 그에 따른 디더링된 측정들)을 수신할 것이고, 따라서 오직 낮은 품질의 포지션 추정들만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가된 사용자들, 인가된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인가된 디바이스들은 디더링을 제거하고 높은 품질의 포지션 추정들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인가된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송신될 신호들을 디더링하고 그리고/또는 수신된 신호들을 언디더링하도록 구성되는 특정 집적 회로들/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디더링/언디더링 유닛들(예를 들어, 집적 회로,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기반 드라이버 등으로 실현됨)을 갖는 AP들은 디더링/언디더링 WiFi 하드웨어와 투명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인가된 디바이스들의) WiFi 디더링/언디더링 유닛들은, 사설 디더링을 핸들링/프로세싱하기 위해 "특별 취급으로(out of the box)" 구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디더링-언디더링-구비 AP들은 언디더링 파라미터들을 비콘 패킷들의 암호화된 벤더-특정 데이터 필드에서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또는 추가적으로, 디더링/언디더링 유닛들은, 미리결정된 디더링/언디더링 기능들에 따라 수신된 통신들을 언디더링(및/또는 발신 통신들을 디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적절한 디더링/언디더링 WiFi 유닛들이 없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디더링된 통신들을 언디더링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미인가된 디바이스들은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되는 PHY 디더링을 반전하도록 구성되는 인가된 애플리케이션들(또는 허가된 HLOS 드라이버들 등)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00100]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RSSI 핑거프린팅 포지션 결정 절차들 및/또는 시간-기반 핑거프린팅 포지션 결정 절차들이 방지/억제될 수 있다. 핑거프린팅 프로세스들은 특정 포지션들과 연관된 이전에 획득된 핑거프린팅 측정들과 RSSI 및/또는 RTT 측정들을 매칭시키는 개념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특정 로케이션에서 취해진 RSSI 핑거프린팅 측정들(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신호 파라미터들에 대응함)은, 일반적으로 판독들의 차이를 확인하는 RF 전파 조건들의 약간의 변화들 및 잡음만으로, 이전에 획득된 측정들과 매칭할 것이다. 라운드-트립 시간은 (즉, 상이한 포지션들로부터 포착된 측정들의 베이스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초기의 핑거프린팅 프로파일 콜렉션 측정들과 후속 RTT 측정 동작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불변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측정이지만, 상황은 RTT-핑거프린팅-기반 프로세스들에 대해 유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핑거프린트들의 베이스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핑거프린팅 동작들은 포지션 결정 전에 그리고 종종 포지션 결정과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RSSI- 및/또는 RTT- 핑거프린트들은 의도적인 조사 캠페인에서 수집된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부가적으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는 크라우드소싱을 통해 시간에 걸쳐 구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간결한/요약된 버전의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RSSI/RTT 히트 맵들)는 포지셔닝 엔진에서의 실시간 사용을 위해 모바일로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의 베이스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핑거프린팅 측정들은 초기에 획득되고, 측정 디바이스의 알려진 로케이션들과 연관된다. 후속으로, 나중의 시점들에서, 측정 디바이스의 실제 또는 대략적인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베이스라인 측정들과 비교되는 RTT 및/또는 RSSI 측정들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측정 디바이스에 의해) 취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RTT 데이터, RSSI 플러스 경로 손실 모델 등에 기초한 다변측정-기반 포지션 결정 절차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호 수정 절차들 중 하나 이상을 채용함으로써 방지/억제될 수 있다.
[00101]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비인가된 파티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 기능(및/또는 핑거프린트들의 베이스라인을 수집하기 위한 동작들)을 억제하기 위해, 신호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진폭, 주파수 등과 같은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과 같은 송신 특성들은 몇몇의 미리 결정된 가변 방식으로 액세스 포인트에서 수정되고, 예를 들면, 신호를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값 또는 양은 시간, 포지션 등의 함수로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또한 본 명세서에서 송신 특성으로 지칭될 수 있음)는 송신 및 수신 디바이스들에 알려진 의사랜덤 시간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보다 더 많은 신호 파라미터가 제어 가능하게 수정될 수 있고, 각각의 파라미터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수정된다. 2 개 이상의 PHY-계층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상 및/또는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정된 파라미터 값을 갖는 신호들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 및/또는 동기화되어, 따라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가령,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초기 값을 (즉, 일부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송신 엔드에서 수정되기 전에) 결정할 수 있다.
[00102]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송신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면, AP)는 그 자신의 고유한 의사랜덤 시간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와 같은 그 자신의 고유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송신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송신 AP들)에 걸쳐 공통의 그리고 동기화된 시간 변동은 비인가된 파티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을 억제하는데 유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후 공통의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가 공통 모드 에러가 될 것이고 따라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00103] 일부 실시예들에서, 신호 파라미터들에 대한 섭동은, (예를 들면, 온도와 같은 환경 조건들로 인해) 측정들 상에서 "자연적인" 잡음의 등장을 제공할 수 있거나 일정한 오프셋(예를 들면, DC 값)에 부가되는 연속적으로 가동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는 일정한 오프셋 값 또는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된 신호들의 다양한 신호 파라미터들에 적용되는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또한 디더링으로 지칭됨)은, 예를 들면, ARMA(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프로세스와 같은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 정정 키로서 사용될 랜덤 시드는 가능하게는 암호화된 방식으로 포지셔닝 디바이스(들)로 통신될 수 있다(예를 들면, 디더링/언디더링 칩과 같은 디더링/언디더링 유닛들, 펌웨어 및/또는 드라이버가 장착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같은 인가된 디바이스들은 디더링/언디더링 유닛들이 장착된 AP들로부터 송신된 그러한 암호화된 통신들을 암호해독하도록 구성되어, 따라서 시드를 획득할 수 있다). 진폭, 타이밍, 다른 신호 파라미터들, 및 사용되는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은 관리되는 WiFi 네트워크의 제어기로부터 조정될 수 있다.
[00104]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정되는 신호 파라미터들의 값들의 변동들은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의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접속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충분히 작지만 포지셔닝 엔진들의 네이티브 에러들을 압도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0 dB의 총 과도출력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P 송신 전력(Tx)의 경우에, 의사-랜덤 변동은, 정상 접속을 교란하지 않고서 최대 10 dB일 수 있다.
[00105]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초기) 비수정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 (예를 들면, 지상 액세스 포인트)에서 제어 가능하게 수정하는 것, 및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 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면, 모바일 폰)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비롯하여, 방법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장치, 물건들 및 다른 구현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송신된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 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될 때, (예를 들면, 핑거프린팅 절차들, 신호 타이밍 절차들, 신호 세기 절차들 등에 기초한)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진폭, (예를 들면, OFDM 변조된 신호들에 대한) 신호 등화, 주파수, 위상 및/또는 지연(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106]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다중 입력 및 다중 출력(MIMO) 시스템들(예를 들면, 송신 및/또는 수신 엔드들에서의 다수의 안테나들)과 같은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다른 타입의 디더링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속적인 비콘 패킷들은, 예를 들면, 송신 디바이스 및 인가된 사용자들,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게만 알려질 수 있는 의사랜덤 선택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이한 안테나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그러한 가변 안테나 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에 관련하여 수행된 디더링 프로세스들과 결합될 수 있다. 가변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의 사용은 디더링된 신호들에 대한 포지셔닝 및 핑거프린팅 절차들을 비인가된 사용자들,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이 극복하기에 더 어렵게 렌더링할 수 있다.
[00107] 일부 구현들에서,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는 시간에 걸쳐 의사-랜덤 방식으로 디더링될 수 있다. 비인가된 애플리케이션들 및 사용자들에 대해, 수신기 및 송신기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을 때조차(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고정식임), 순 효과는 시간 가변 채널 주파수 응답(CRF)일 것이다. 그러한 수정 프로세스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인가된 사용자들, 애플리케이션들이 CFR 핑거프린팅 및 CFR-기반 범위 및 범위 레이트(예를 들면, 속도) 추정과 같은 CFR-기반 프로세스들을 사용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기 위해,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디더링과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니캐스트 메시지들에 대해, (예를 들면, 빔 스티어링 및/또는 형성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빔 속성들이 또한 디더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빔 패턴 최대치의 각도(방위각 및 고도)뿐만 아니라 전체 빔 패턴은 각각의 안테나로 지향된 신호들의 상대적인 위상 및 진폭을 수정함으로써 디더링될 수 있다. 이것은 AOA(angle of arrival) 측정들 및 CRF 측정들 레버리지하는 비인가된 포지셔닝 및 핑거프린팅 동작들을 억제/방지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여기서, 또한 빔 속성 디더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디더링 절차들과 결합될 수 있다.
[00108]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성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성은, 예를 들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성,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송신 특성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사용하여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송신 특성의 재구성된 값을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도출함으로써,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성에 적용되는 가변 프로세스의 지식을 갖지 않은 경우에, 도출하지 않았다면 왜곡될 로케이션 결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00109]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8)가 동작하는 예시적인 동작 환경(100)의 개략도가 도시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송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되는 위치 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수신된 신호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하게 수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예를 들어, 물리-층, 또는 PHY-층, 파라미터들, 예컨대, 진폭, 주파수 등)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로서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으로서 또한 지칭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8)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로컬 영역 네트워크 디바이스들(또는 노드들), 예컨대, 실내 통신 펨토셀들에 대한 WLAN, 블루투스® 무선 기술-기반 트랜시버들 및 다른 타입들의 실내 통신 네트워크 노드들, 광역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 위성 통신 시스템들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타입들의 다른 통신 시스템들/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고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8)는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시스템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8)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들/디바이스들/노드들은 액세스 포인트들(AP들)로서 또한 지칭된다.
[00110] 언급된 바와 같이, 환경(10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또는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또는 WAP들)로서 또한 지칭되는 이러한 노드들은, 예를 들어, WiFi 기지국들, 펨토셀 트랜시버들, 블루투스® 무선 기술 트랜시버들, 셀룰러 기지국들, WiFi 트랜시버들 등을 포함하는 LAN 및/또는 WAN 무선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리고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환경(1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8)와의 무선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LAN-WAP들(Local Area Network Wireless Access Points)(106a-e)을 포함할 수 있다. LAN-WAP들(106a-e)은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타이밍-기반 기법들(예를 들어, RTT-기반 기법들 등)에 기초한 다자주의-기반 프로시저들의 구현을 통해, 예를 들어, 지문-기반 프로시저들을 통해 포지션 데이터의 독립적인 소스들로서 활용될 수 있다. LAN-WAP들(106a-e)은 WWAN보다 더 작은 지리적인 영역들에 걸친 통신을 수행하고 빌딩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LAN-WAP들(106a-e)은 또한 피코 또는 펨토 셀들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LAN-WAP들(106a-e)은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802.11x), 셀룰러 피코넷들 및/또는 펨토셀들, 블루투수® 무선 기술 네트워크들 등의 부분일 수 있다. LAN-WAP들(106a-e)은 또한 QUIPS(Qualcomm indoor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QUIPS 구현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로케이팅되는 특정한 플로어 또는 몇몇 다른 영역에 대한 데이터(예컨대, 보조 데이터, 예를 들어, 평면도들, AP MAC ID들, RSSI 맵들 등을 제공하기 위해)를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섯(5)개의 LAN-WAP 액세스 포인트들이 도 1에서 도시되지만, 임의의 수의 이러한 LAN-WAP들이 이용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환경(100)은 LAN-WAP 액세스 포인트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단일 LAN-WAP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111] 도 1에서 도시된 LAN-WAP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은, 자신이 전송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PHY-층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 가능하게 수정하여 이들 전송된 신호들이 비인가된 사용자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방지 또는 금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인가된 디바이스는, (PHY-층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값이 미리 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의해 수정되기 이전에 그것을 결정하기 위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반전시키기 위해 적용될 필요가 있는 프로세스(들)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비인가된 수신 디바이스는 그에 따라, 올바르지 않은/왜곡된 PHY-층 파라미터 값들을 가질 것이고, 그에 따라 전송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한 추정된 디바이스 포지션의 유추를 어렵게(또는 완전히 방지)한다. PHY-층 파라미터들이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수정되기 때문에, 수정 프로세스는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데이터 컨텐츠를 반드시 수정할 필요는 없다(예를 들어, 수정 프로세스는 PHY-층 파라미터들이 제어 가능하게 수정된 신호들에 의해 전달/표현되는 디지털/패킷 정보를 반드시 수정할 필요는 없음). 몇몇 실시예들에서, LAN-WAP 노드들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전송 특성에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8)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 또는 또는 WAP 노드들 중 임의의 것에서) 위치 결정 기능성을 금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12] 도 1에서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100)은 또한, 복수의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WAN-WAP들(Wide Area Network Wireless Access Points)(104a-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8)가 그의 포지션/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정보의 다른 소스로서 또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WAN-WAP들(104a-c) 중 하나 이상은 또한, 그 전송된 신호들이 비인가된 사용자들에 의한 포지션 결정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방지 또는 금지하고 제어 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층 파라미터 값을 갖는 이들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특성 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전송 특성의 제어 가능하게 조정된 값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그것이 전송할 신호들의 적어도 하나의 PHY-층 파라미터들의 값을 제어 가능하게 수정하도록(및/또는 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전송 특성들과 같은 전송 특성들의 값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13] WAN-WAP들(104a-c)은 WWAN(wide area wireless network)의 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예를 들어, WiMAX(예를 들어, 802.16)와 같은 다른 광역 무선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WWAN은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알려진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WWAN 내의 각각의 WAN-WAP들(104a-104c)은 고정된 포지션들로부터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이동 가능한 노드일 수 있고, 대도시 및/또는 지역 영역들에 걸쳐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셋(3)의 WAN-WAP들이 도 1에서 도시되었지만, 임의의 수의 이러한 WAN-WAP들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환경(100)은 WAN-WAP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단일 WAN-WAP를 포함할 수 있다.
[00114]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디바이스(108)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케 하는 등을 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8)로의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08)로부터의 통신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WWAN(wide area wireless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다. WWAN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Max(IEEE 802.16) 등일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RAT들(radio access technologies), 예컨대 cdma2000, W-CDMA(Wideband-CDMA) 등을 구현할 수 있다. cdma2000은 IS-95, IS-2000, 및/또는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AMPS(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또는 몇몇 다른 RAT를 구현할 수 있다. GSM 및 W-CDMA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란 명칭의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은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란 명칭의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WLAN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IEEE 802.11x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WPAN은 블루투스® 무선 기술 네트워크, IEEE 802.15x, 또는 몇몇 다른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WWAN, WLAN 및/또는 WPAN의 임의의 결합에 대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00115] 몇몇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도 1에서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8)는 또한 SPS(Satellite Positioning System)(102a-b)로부터의 정보를 적어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108)에 대한 포지션 정보의 독립적인 소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8)는 이에 따라 SPS 위성들로부터 지오-로케이션 정보를 유고하기 위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하나 이상의 전용 SPS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8)는 SPS 위성들(102a-b), WAN-WAP들(104a-c), 및/또는 LAN-WAP들(106a-e)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결합과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술된 시스템들 각각은 상이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8)에 대한 포지션의 독립적인 정보 추정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포지션 데이터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이한 타입들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유추된 솔루션들을 결합할 수 있다. 특히 포지션을 유도하기 위해 모든 개별 시스템들로부터 불충분한 수의 측정들이 있을 때 포지션 추정을 획득하기 위해 상이한 시스템들로부터의 측정들을 교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 협곡 세팅들에서, 단지 하나의 GNSS 위성은 시각적일 수 있고, 괜찮은 측정들(즉, 미가공 의사거리 및 도플러 관찰 가능한 것)을 제공한다. 그것만으로, 이 단일 측정은 포지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도시 WiFi AP들, 또는 WWAN 셀 범위들로부터의 측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104a-b, 106a-e) 및/또는 위성들(102a-b)을 이용하여 포지션을 유추할 때, 동작들/프로세싱 중 적어도 일부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12)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는 포지셔닝 서버(11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116] 모바일 디바이스(108)가 위성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SPS 위성들(102a-b)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신호들로부터 포지션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SPS에서 이용하기 위해 특별히 구현된 수신기(예를 들어, GNSS 수신기)를 활용할 수 있다. 전송된 위성 신호들은 예를 들어, 세팅된 수의 칩들의 반복적 PN(pseudo-random noise) 코드로 마킹된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지면 기반 제어 스테이션들, 사용자 장비 및/또는 우주선 상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기법들은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 일본의 QZSS, 인도의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중국의 Beidou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시스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글로벌 및/또는 지역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들과 연관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과의 이용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는 다양한 증강 시스템들(예를 들어,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에 적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과의 이용을 위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SBAS는 예를 들어,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EGNOS(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MSAS(Multi-functional Satellite Augmentation System), GPS 보조 지오 증강된 네비게이션 또는 GAGAN(GPS and Geo Augmented Navigation system) 등과 같이, 통합 정보, 차이 정정 등을 제공하는 증강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SPS는 하나 이상의 글로벌 및/또는 지역적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들 및/또는 증강 시스템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SPS 신호들은 SPS, SPS-유사 및/또는 이러한 하나 이상의 SPS와 연관된 다른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17]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스테이션(MS)은,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디바이스,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디바이스, 랩톱, 레크리에이셔널 네비게이셔널-가능 스포팅 디바이스(recreational navigational-capable sporting device)들(예컨대, GPS 및/또는 WiFI 수신기가 장비된 조깅/사이클링), 또는 네비게이션 포지셔닝 신호들과 같은 네비게이션 신호들 및/또는 무선 통신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몇몇 다른 적합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모바일 스테이션"(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라는 용어는 또한, 위성 신호 수신, 보조 데이터 수신, 및/또는 포지션-관련된 프로세싱이 디바이스에서 또는 PND에서 발생하는지와 무관하게, 예컨대, 단-거리 무선(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기술), 적외선, 와이어라인 연결, 또는 다른 연결에 의해,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은, 위성 신호 수신, 보조 데이터 수신, 및/또는 포지션-관련된 프로세싱이 디바이스에서, 서버에서, 또는 네트워크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지와 무관하게, 예컨대, 인터넷, WiFi,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터들, 랩톱들,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된 것들의 임의의 동작가능한 조합이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고려된다.
[00118]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8)와 유사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개략도가 도시된다. 단순함을 위하여, 도 2의 박스 도면에서 예시된 다양한 피처들/컴포넌트들/기능들은, 이러한 다양한 피처들/컴포넌트들/기능들이 함께 동작적으로 커플링된 것을 표현하기 위해, 공통 버스를 사용하여 함께 연결된다. 다른 연결들, 메커니즘들, 피처들, 기능들 등이, 포터블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적으로 커플링시키고 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공 및 적응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의 예에서 예시된 기능들 또는 피처들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세분될 수 있거나, 또는 도 2에서 예시된 기능들 또는 피처들 중 2개 또는 그 초과가 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 2에서 예시된 기능들 또는 피처들 중 하나 이상이 배제될 수 있다.
[00119]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02)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은, 도 1에서 도시된 LAN-WAP들(106a-e)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그 하나 이상으로의/으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적합한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하는데 적합한 WiFi(802.11x) 통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은, 다른 타입들의 근거리 네트워크들,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기술) 등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울트라 와이드 밴드, 지그비, 무선 USB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유닛(206)은, (예컨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지만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는 수신기-전용 통신 유닛일 수 있다.
[00120]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또한, 몇몇 구현들에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02)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광역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4)를 포함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WAN) 트랜시버(204)는, 예컨대, 도 1에서 예시된 WAN-WAP들(104a-c)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그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적합한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광역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4)은 무선 기지국들의 CDMA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적합한 CDMA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TDMA, GSM 등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셀룰러 텔레포니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예컨대, WiMax(802.16)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유닛(204)은, (예컨대, 네비게이션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지만 신호들을 송신할 수 없는 수신기-전용 통신 유닛일 수 있다.
[00121] 몇몇 실시예들에서, SPS 수신기(또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수신기라고 지칭됨)(208)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포함될 수 있다. SPS 수신기(208)는 위성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202)에 연결될 수 있다. SPS 수신기(208)는 SPS 신호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SPS 수신기(208)는 다른 시스템들로부터 적절하게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SPS 프로시저에 의해 획득된 측정들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122]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또한, 프로세서(210)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2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들(212)은, 광역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4),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 및/또는 SPS 수신기(208)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로부터 유도되는 모션 데이터와 무관한 상대적인 이동 및/또는 배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모션 센서들(또한, 관성 센서들이라고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모션 센서들은, 가속도계(212a), 자이로스코프(212b), 지자기(자력계) 센서(212c)(예컨대, 컴퍼스), 고도계(예컨대, 기압 고도계)(212d), 및/또는 다른 센서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가속도계(212a)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system)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타입들의 가속도계들이, MEMS-기반 가속도계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3개의 직교 축들을 따르는 가속들에 대해 민감한 3D 가속도계가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자이로스코프(212b)는 MEMS 기술에 기초한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고, 단일-축 자이로스코프, 이중-축 자이로스코프, 또는 예컨대 3개의 직교 축들에 관한 모션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3-D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타입들의 자이로스코프들이, MEMS-기반 자이로스코프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자기장 세기 및/또는 방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그리고, 따라서, 로컬 자기장들에 대한 절대적인 배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자력계가 또한, MEMS 기술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MEMS-기반 자력계들은, MEMS 전도체를 통하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로렌츠 힘에 의해 야기되는 모션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타입들의 자력계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고도계는, 예컨대, 고도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디바이스가 로케이팅될 수 있는 인도어 구조(예컨대, 쇼핑 몰)에서의 플로어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도계에 의해 수행된 고도 측정들을 표현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도어 구조에서의 특정한 플로어에 대한 (맵들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과 같은 네비게이션 태스크들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절대적인 고도는, 알려진 근처의 로케이션 에서의(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로케이팅된 곳과 동일한 빌딩에서의) 레퍼런스 기압계가 이용가능한 경우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레퍼런스 기압계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기압계는, 예컨대, 포지션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관성 센서들(예컨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로부터의 정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고도 정보의 변경을 제공할 수 있다.
[00123] 하나 이상의 센서들(212)의 출력은 모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추정된 포지션은, 이전에 결정된 포지션, 및 하나 이상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측정들로부터 유도된 모션 정보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은, 그 이전에 결정된 포지션으로부터 이동된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포지션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212)의 출력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입자 필터, 레버리징,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사용하여 실현되는, 장소 평면도들에 의해 확립되는 모션 제약들을 통해 구현되는) 확률 모델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들(212)은 또한, 디스플레이 또는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잉될 수 있는 스틸 또는 이동 이미지들(예컨대, 비디오 시퀀스)을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212e)(예컨대, CCD(charge-couple device)-타입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00124] 프로세서(들)(또한, 제어기라고 지칭됨)(210)는,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 광역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4), SPS 수신기(208),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212)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기능들, 뿐만 아니라, 다른 계산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기는 프로세싱-기반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서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매체들(예컨대, 메모리)(21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4)는 (예컨대, 동일한 IC 패키지 내의) 프로세서(210)에 온-보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메모리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기능적으로 커플링되고 프로세서 외부에 있는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와 유사할 수 있는 프로세서 또는 연산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은 도 8에 관하여 아래에서 제공된다.
[00125]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 데이터 테이블들이 메모리(214)에 존재할 수 있고 원격 디바이스들/노드들(이를 테면,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통신들 둘 모두, 포지셔닝 결정 기능, 및/또는 디바이스 제어 기능을 관리하기 위해서 프로세서(21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기반 구현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값(예를 들어, PHY-계층 파라미터들)의 원래의 (즉, 수정되지 않은) 값(들)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구현예들에서,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송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제공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인증되지 않은 디바이스들/애플리케이션들/사용자들이 로케이션 결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억제하기 위해서 결정론적 (그리고 재-생성가능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수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시간-의존적 디더링 기능)의 적용을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수정된 그의 원래의 신호 파라미터 값들(예를 들어, 진폭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무선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에 선험적으로 제공된 인버스 기능들을, 송신 노드들에서 적용된 가변 신호-수정 기능들/프로세스들에 적용함으로써) 인버스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단 신호 파라미터들의 원래 값들이 복원되면(따라서, 소스 디바이스들에서 신호에 제어가능하게 적용된 왜곡/섭동(perturbation)이 반전됨),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룩업 및 비교 절차, 멀티레터레이션-기반 절차들 등을 통해) 복원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일부 구현예들에서, 송신 특성에 대해 재구성된 값, 이를 테면, 적어도 하나의 가변 프로세스(예를 들어, 의사랜덤 프로세스)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에서 최초로 결정된 안테나-기반 특성과 같은 송신 특성(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안테나, 빔 스티어링 동작들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로 지향된 신호들의 상대적인 위상들 및 진폭들, 사이클릭 지연 등)에 대해 재구성된 값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송신 특성은, 예를 들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에 의한 로케이션 결정 동작들을 억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디바이스(200)가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가변 프로세스(들)의 지식을 갖는 상황들에서, 이것이 로케이션 결정 동작들을 수행(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에서 처음에 결정된 송신 특성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지 않았던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로케이션 결정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 값을 유도할 수 있다.
[00126] 프로세서는 또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예를 들어, PHY-계층 파라미터들, 이를 테면, 진폭, 주파수 등)의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고, 그리고 이와 같이 수정된 값들을 갖는 신호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예를 들어, AP로 송신하고, 따라서, 신호들의 양방향 디더링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27] 일부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LAN 트랜시버들(2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WAN 트랜시버들(204)에 대해 (일부 변형예들에서, 다수의 LAN 송수신기들 각각에 대해 그리고 다수의 WAN 송수신기들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별개의 안테나가 존재할 수 있음) 전기 통신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과 통신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은, 미리결정된 가변 프로세스(예를 들어, 시간 의존적 의사랜덤 프로세스)의 구현이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관련 송신 특성을 제어/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관련 송신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미리결정된 가변 프로세스의 구현은 이와같이, 송신된 신호의 디더링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안테나들 및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을 통해 디바이스(200)에서 실현되는 안테나-기반 가변 프로세스를 반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증된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통신하고 있는 인증된 AP)만이 정확한 로케이션 결정을 위해 요구되는 송신된 신호(들)의 정확한 측정치들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00128]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특성(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송신 특성)은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인터벌 동안 선택된 안테나(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될 신호를 지향시키는 안테나(들)은 미리결정된 가변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예를 들어, 의사랜덤 프로세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미리결정된 가변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디더링되었던 송신된 신호를 디더링해제시키도록 구성되지 않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따라서, 스큐드(skewed) 수신 신호 측정치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다음의 송신된 신호가 예측불가능하게 변할 수 있는, 선택된 안테나, 추정된 CFR(Channel Frequency Response), RSSI, RTT 등에 의존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러한 수신 디바이스는 정확한 로케이션 결정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다른 예로,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지향된 신호들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상과 진폭이 수신 디바이스로 지향된 가변 빔을 제어(예를 들어, 포밍 및/또는 스티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미리결정된 가변 빔 제어 프로세스들(예를 들어, 의사랜덤-시변 빔 제어 프로세스들)에 따라 (예를 들어, 트랜시버들 및/또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인증된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에게만 알려지는 이러한 미리결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빔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프로세스의 지식 없이 신호 특성들의 측정치들(예를 들어, RSSI, AoA(Angle of Arrival))은 송신 또는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의 정확한 결정을 억제하는 값들을 발생시킬 것이다. 추가적인 예로, 미리결정된 프로세스는 가변 (예를 들어, 의사랜덤-시변) 사이클릭 지연 다이버시티 구현을 이와 같이 구현하기 위해서 다수의 안테나들로 지향된 다양한 신호들을 지연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또한, 다양한 신호들을 지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가변 프로세스(들)의 지식 없이도, 수신 디바이스에서 수행된 신호 특성들의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정확한 로케이션 결정이 억제된다.
[00129] 도 2에 추가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214)는 포지셔닝 모듈(216), 애플리케이션 모듈(218),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모듈(220), 및/또는 RTT(round trip time) 모듈(22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기능성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구현에 의존하여 여러가지 방식들로 결합되고, 분리되고, 그리고/또는 구조화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예를 들어, RSSI 모듈(220) 및/또는 RTT 모듈(222)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기반구현으로서 실현될 수 있고, 따라서, 전용 안테나(예를 들어, 전용 RTT 및/또는 RSSI 안테나), (예를 들어, 수신 신호들의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RTT 사이클과 관련하여 타이밍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안테나(들)를 통해 수신되고 그리고/또는 송신되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분석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그러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130] 애플리케이션 모듈(218)은 포지셔닝 모듈(216)로부터 포지션 정보를 요청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프로세서(210)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은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들의 상부 계층 내에서 실행되고, 실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들, 쇼핑 애플리케이션들, 로케이션-인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모듈(216)은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다양한 수신기들 및 모듈들로부터 유도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포지션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TT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도입된 MAC 프로세싱 시간 지연들의 적정한 추정치들이 먼저 획득되고 측정된 RTT들을 캘리브레이트/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정된 RTT들은, RTT(round trip time) 정보를 유도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들과 모바일 디바이스(200) 간에 교환된 신호들의 타임밍들을 측정할 수 있는 RTT 모듈(22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가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의사랜덤-시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지연을 포함하는 상황들에서, RTT 모듈, 또는 디바이스의 모듈들 중 다른 것이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추가된 지연 없이도) 신호의 초기 시간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연을 추가했던 프로세스에 대한 인버스 프로세스는 수신된 신호 상에서 수행되게 될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일단 측정되면, RTT 값들이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포지션의 결정을 지원하도록 포지셔닝 모듈(216)로 전달될 수 있다.
[00131] (예를 들어, 트랜시버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신된 통신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다른 정보는 (RSSI 모듈(220)을 이용하여 결정된) RSSI의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는 수신된 신호 전력을 포함한다. RSSI 모듈(220)은 또한, 신호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지셔닝 모듈(216)로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서 RSSI 측정치들을 이용할 경우, 적절한 캘리브레이션/조정 절차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송신 디바이스의 Tx 전력이 수정되는 상황들에서, 예를 들어, 신호의 진폭이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신되고(따라서, 이는 부정확한 포지션 결정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수신 스테이션에서, 스큐드 RSSI 측정치들을 발생시킬 것임),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소스 송신 디바이스/노드로부터 송신될 신호에 대한 PHY-계층 파라미터(들)의 원래 값에 대하여 수행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 전에) 신호의 원래 진폭 값(예를 들어, 트랜시버 Tx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들)의 정확한 진폭(들)이 결정되면 (그리고, 송신된 신호들의 원래의, 수정되지 않은 PHY-계층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정확한 RSSI 값이 계산되면), 디바이스(200)의 포지션이 결정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AP Tx 전력이 디더링되고 (디더링된 AP Tx 전력보다 더 적은 전력에 대응함) 디바이스에서 계산된 RSSI는 AP의 송신 전력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디더링 패턴을 보여줄 것이다. 디바이스(200)는 이와 같이, RSSI 상에서 보여진 디더링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것이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결정된 포지션은 애플리케이션 모듈(218)로 제공될 수 있다.
[00132]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또한 보조 데이터 저장소(224)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 데이터 저장소(224)에는 맵 정보, 디바이스가 현재 로케이팅된 영역의 로케이션 정보에 관한 데이터 기록들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 보조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보조 데이터는 원격 서버로부터 다운로딩되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또한, 다른 소스들(예를 들어, 센서들(212))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보조 포지션 및/또는 모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충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포지션 데이터는 불완전하거나 또는 잡음이 있을 수 있지만, WAP들의 프로세싱 시간들을 추정하기 위한 독립적인 정보의 다른 소스로서 유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점선들을 이용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선택적으로, 다른 소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보조 포지션/모션 데이터(226)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보충 정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블루투스® 무선 기술 신호들, 비컨들, RFID 태그들, 및/또는 맵으로부터 유추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예를 들어, 디지털 맵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지리적 맵의 디지털 표현으로부터 좌표들을 수신함)에 기초하거나 또는 유추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133]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마이크로폰/스피커(252), 키패드(254), 및 디스플레이(256)와 같은 적절한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스피커(252)는 (예를 들어, 광역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4) 및/또는 근거리 네트워크 트랜시버(들)(206)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키패드(254)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적절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56)는 예를 들어, 백릿 LCD 디스플레이와 같은 적절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 모드들을 위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34]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들 중 임의의 액세스 포인트와 유사할 수 있고 그리고 그와 유사한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같은 예시적인 송신 디바이스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300)는 예를 들어, 도 1 및 2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8 또는 200) 각각과 같은 무선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316a-n)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트랜시버들(310a-n)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310a-310n) 각각은 신호들(예를 들어, 다운링크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송신기(312a-n) 및 신호들(예를 들어, 업링크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수신기(314a-n)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예를 들어, 쿼리들 및 응답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포지셔닝 서버(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 중 임의의 것)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와 통신(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백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의 통신은 또한, 트랜시버들(310a-n) 및/또는 각각의 안테나들(316a-n)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135] 액세스 포인트(300)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른 노드들과의 통신들을 관리(예를 들어, 메시지들을 전송 및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관련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통신 제어기(330)(통신 제어기(330)는 도 2의 프로세서(210)와 유사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330)는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이를테면,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예를 들어, PHY-계층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진폭, 주파수 등)의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수정(예를 들어, 왜곡/디더링)함으로써, 송신된 신호들의 측정들을 이용하려고 시도하지만 신호들을 수정하기 위해 어떤 프로세스 또는 기능이 이용되었는지를 알지 못하는 비인가 파티는, 수신 디바이스에서 취해진 신호 측정들과 그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전송하는 노드들의 포지션들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의 근사적 또는 정확한 포지션을 결정하도록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트랜시버들(310a-n) 및/또는 안테나들(316a-n)과 함께, 제어기(330)는,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프로세스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결정된 가변 안테나-기반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들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송신 안테나(예를 들어, 안테나들(316a-n)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 가변 빔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각각 지향된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대적 위상들 및 대응하는 진폭들을 제어가능하게 조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빔 형성 프로세스들, 및/또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지향된 다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된 대응하는 지연을 제어가능하게 조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주기적 지연 프로세스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 미리결정된 가변 안테나-기반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요구되는 통신 표준들을 어기거나(breaching) 또는 위반(violating)함이 없이(예를 들어, 이를테면, IEEE 802.11과 관련된 것들과 같은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대해 확립된 임의의 표준화된 통신 요건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들에 의해 표시된 데이터가, 이용된 송신 특징들 또는 근본적인 신호들의 PHY-계층 파라미터들에 대한 임의의 수정과 무관하게 계속 결정/디코딩될 수 있도록) 신호들에 의해 표시된 데이터를 수정함이 없이, 송신 특징들/신호 파라미터들의 제어된 수정/결정이 수행될 수 있음이 유의될 것이다.
[00136]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330)는 또한, 일부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수정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부터(예를 들어, 퍼스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오리지널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의 AP(300)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는,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는, 비인가 서버들 또는 AP들이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추적하는 것을 방지/금지하기 위해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디더링 프로세스)를 적용했을 수 있다. 그러나,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된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예를 들어,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용된 신호 수정 프로세스/기능이 제공되는, 또는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용된 프로세스/기능에 대응하는 그 프로세스/기능 또는 역 프로세스/기능이 제공되는) 인가된 서버는 수정된/디더링된 신호의 오리지널 파라미터 값들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인가된 서버가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추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330)는 추가로,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결정 및 이용된 신호 송신 특징 값(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송신 특징 값)을 재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30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및/또는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다른 무선 디바이스(다른 디바이스가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경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트랜시버들 및 안테나들과 함께, 제어기(330)를 통해)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300)는 또한,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추되는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는, 신호들을 액세스 포인트(300)에 송신하기 위해 송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 송신 디바이스의 다수의 안테나들로부터 특정 안테나(들)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안테나(들)를 아는 것은, 액세스 포인트(300)로 하여금, 액세스 포인트(300)가 수신한 신호에 의해 이동된 경로에 관한 더 정확한 정보를 갖는 것을, 그리고 그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관련하여 로케이션 정보를 더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137] 부가하여, 액세스 포인트(300)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웃 관계들을 관리(예를 들어, 이웃 리스트(342)를 유지)하고 다른 관련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이웃 관계 제어기들(예를 들어, 이웃 디스커버리 모듈들)(3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기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성 및 기능성을 가진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38] 도 4를 참조하면, 로케이션 결정 동작들을 위해 이용되는 예시적인 프로시저(4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동작들 중에서도, 포지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용되는 신호들을 전송하는 (도 1에 도시된 WAP들(104a-c 및 106a-e) 또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300) 중 임의의 것과 유사할 수 있는) 디바이스/노드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시저(400)는 또한, 퍼스널 무선 디바이스(이를테면, 도 1 및 2의 108 또는 200 각각)에서 수행될 수 있다.
[00139]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1 무선 디바이스(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될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제어가능하게 수정(410)된다(예를 들어,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획득 또는 결정하고,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그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함). 주목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신호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진폭(송신 전력 또는 Tx로 또한 지칭됨), 신호의 타임스탬프, 중심 주파수,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주목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신호에 의해 인코딩되는 콘텐츠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허가받은 사용자/디바이스에는 알려지지만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디바이스에는 알려지지 않는 제어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그리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프로세스에 따라 각각 수정될 수 있는 둘 이상의 파라미터들)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하기의 표 1은, 디더링(dithering)될 수 있는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들 중 몇몇, 그리고 이러한 디더링이 수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능력에 대해 어떤 영향을 갖는지의 예들을 제공한다(표 1은 또한,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에 의한 로케이션 결정을 금지하기 위해 제어될 수 있는 안테나-기반 특징들을 포함한다).
# 파라미터 설명 영향/목적
1 Tx 전력 송신 전력(진폭). RSSI 핑거프린팅, RSSI-기반 다변측정 프로시저들, 및 포지셔닝 프로세스들을 무효화/금지함.
2 Tx 등화기 각각의 OFDM 서브캐리어 상의 Tx 이득을 변경함. 채널-임펄스 응답(CIR) 포지션 핑거프린팅 기반 접근들을 무효화/금지함.
고속 페이딩 통계치들 또는 관련 접근들을 통한 스피드 추정을 무효화/금지함.
도착 시간(TOA) 에지들을 블러링함으로써 도착 시간(TOA) 프로시저들/기술들을 컨퓨징시킴.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의 도래각(AoA) 프로시저들을 컨퓨징시킴.
3 타임스탬프들 아웃고잉 패킷들에 삽입되는 타임스탬프 값을 디더링함. RTT 또는 Rx(예를 들어, AP 비콘) OWPT(단방향 전파 시간) 추정을 무효화/금지함.
4 Tx 시간 아웃고잉 패킷들에 삽입되는 타임스탬프에 대한 실제 RF 송신 시간의 랜덤 어드밴스/지연. RTT 및 Rx(예를 들어, AP 비콘) OWPT 추정을 무효화/금지화.
5 중심 주파수 Tx 중심 주파수를 디더링함. 도플러-기반 에이딩(고속 이동 운송수단들의 경우) 접근들을 무효화/금지함.
6 안테나 선택 의사-랜덤 시퀀스를 사용하여, 많은 안테나들 중, 송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함. 위의 행들 1-4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영향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질 것임.
7 다수 송신 안테나들로 지향된 상대 위상 및 진폭 안테나 빔 포밍/스티어링을 디더링함. 위의 행들 1-4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영향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질 것임.
8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시간-가변 채널 주파수 응답(CFR)을 유발함. 위의 행들 1-4에서 설명된 것들과 동일한 영향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가질 것임.
[00140] 몇몇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랜덤-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41] 몇몇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초기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자기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의사랜덤 프로세스와 함께 하기의 방식으로 자기회귀 이동 평균(ARMA)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의사-랜덤 생성기가 난수들의 시퀀스(통상적으로, -1들 및 +1들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고, 이 시퀀스는 디지털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ARMA 필터에 송신된다. 출력은 느리게 이동하는 출력이고, 이 느리게 이동하는 출력은, 예를 들어, 공칭 Tx 전력, 타임스탬프, 주파수, 공칭 MAC 프로세싱 지연(즉, AP에서의 RTT 턴-어라운드 시간) 등에 부가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아키텍처는 하기일 수 있다:
· 의사-랜덤 생성기.
· ARMA 프로세스 등가 z-트랜스폼(예를 들어, 상이한 지연들을 나타내는 z-1의 상이한 전력들을 갖는 다항식 프랙션).
· 랜덤화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들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의사 랜덤 생성기에 주입될 시드 값,
- 시작 시간,
- 의사-랜덤 생성기 및 ARMA 프로세스가 업데이팅될 샘플 기간, 및
- 이 랜덤 항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ARMA 로우 출력을 곱셈할 스케일링 계수.
[00142]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자기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 결과적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난수들의 시퀀스를 자기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트랜스폼 구현에 입력하는 것, 그리고 결과적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이득, 위상 등)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43] 몇몇 WiFi 측정치들이 다른 측정치들에 대해 함수 관계를 가질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RSSI 및 레인지(또는 델타(Δ) RSSI 및 델타(Δ) RTT)가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상황들 하에서는, 일 측이, 예컨대, RTT가 언-디더링된 상태로 남겨 진다면 RSSI의 디더링 시퀀스를 연역할 수 있다(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측정 가능한 값들(예를 들어, RSSI 및 RTT)이 정확하게 동일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동일한 자기회귀 시퀀스)로 디더링된다면, 디더링 시퀀스를 연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측정 가능들에 대해 상이한 디더링 함수들/프로세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원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개개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이상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144]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는 (예를 들어, 다양한 트랜시버들 또는 송신기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통해) 제 2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08) 또는 도 2의 디바이스(200)와 같은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420)된다. 송신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값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가변시키기 위해(예를 들어, 신호를 디더링하기 위해) 송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되었던 프로세스/함수를 알 필요가 있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값(들)(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노드에서 가변 프로세스에 의한 수정 이전의 오리지널/초기 값들)을 복구시키기 위하여 수신 신호에 적용될 필요가 있는 인버스 프로세스/함수를 알고/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00145]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가 자기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디더링된 송신 이전의 어느 이른 시간에 안전한 방식으로) 의사랜덤 시드, 스케일링 진폭, 시작 시간 등과 같은 정보가 허가받은 수신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언-디더링(즉, 인버팅) 프로세스는, 동일한 시드 및 스케일링 팩터가 주입되고 시퀀스들 둘 다가 시간상 동기화되자마자,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AP)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디지털 시퀀스를 전달할 등가 의사-랜덤 프로세스를 수신 디바이스에서 시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수신 디바이스는 측정치로부터 ARMA 프로세스의 스케일링된 출력을 차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동기화는 절대 모드에서(NTP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에서 하루중 밀리초 정밀도 시간이 쉽게 획득될 수 있음), 또는 프로세스들 둘 다를 재동기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절대 시간 동기화 정밀도는 느슨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대략 1초), 그 이유는 동기화가 샘플링 기간(수 분의 주기성으로, 대략 수 초임)의 프랙션으로서 수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디더링 ARMA 프로세스가 느리게 변하는 출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의 절대 시간 클록들이 수신 디바이스에서의 언-디더링이 또한 잘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매우 정확하게 동기화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부정확한 동기화는 그레이스풀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심지어 샘플링 기간보다 수 배 더 긴 인터벌들 동안에도 매우 느린 평가 출력이 출력들의 높은 상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 디더링의 순 영향은 PRN 시퀀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참값 주위에서 배회할, 느리게 가변하는 "내추럴-룩킹" 물리적 현상일 수 있다(이는 GNSS에서의 전리층 오류들의 영향과 유사할 수 있다). 디더링 기능들이 일반적으로 AP들을 가로질러 동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추정되는 포지션이 각각의 AP의 측정 기여들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2D 포지션 오류 패턴의 유효 반복 기간은 포지션 픽스를 위해 사용되는 AP들 전부의 디더링 기간들의 프로덕트일 것이다.
[00146] 따라서, 수신 디바이스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복원된 오리지널 값(들)이 수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 및/또는 RTT와 같은 메트릭(metric)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액세스 포인트들(이들 각각은, 그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된 고유 MAC 어드레스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도 있음)로부터 또는 다른 타입들의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파라미터들의 복원된 오리지널 값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고, 그 메트릭들은, 제 2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의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려진 지리적 포지션들을 갖는 다수의 송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지리적 로케이션들, 프로세싱 지연들, 전력 프로파일들, RTT 프로파일들, 및 다른 그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로 또는 원격 디바이스/시스템에 저장될 수도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액세스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특정한 송신기들/액세스 포인트들(이들로부터 수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들이 수신됨)에 대한) 관련 데이터가 획득될 수도 있다. 그렇게 획득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는, 수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의 수신 디바이스의 상대적 거리들은, 액세스된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된 그 송신기들/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알려진 로케이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디바이스 로케이션의 추정이 (예를 들어, 삼변측량 절차와 같은 다변측량 절차들을 사용하여) 계산/도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또한,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메트릭 값들의 세트에 (대략적으로 또는 정확하게) 매칭하는 프로파일을 식별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디바이스(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획득된 신호 강도(또는 RSSI) 및/또는 RTT의 실제 측정 값들을 저장된 프로파일들에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이러한 로케이션 결정 절차는 또한 "핑거프린팅" 절차로 지칭됨). 몇몇 실시예들에서, RSSI 및/또는 RTT 핑거프린트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들)는 (예를 들어, 벽 지오메트리(wall geometry)를 고려하는) RF 전파 모델들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음이 유의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으로, RF 전파 모델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적절히 교정하기 위해, 적어도 몇몇 실제 측량 측정들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그 후, 매칭하는 저장된 프로파일과 연관된 로케이션 추정은, 송신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 디바이스의 현재 로케이션의 추정인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된 신호는,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RTT(round trip time)-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및/또는 관성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중 하나 또는 초과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RSSI-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SSI-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TT-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00147] 몇몇 실시예들에서, (AP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는 자신의 모든 송신들에 대해 단일 디더링 시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비인가된 파티들이 언-디더링된 핑거프린트들을 수집하는 것을 방지/억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적 기준 STA는 로버(rover) STA에 의해 동시에 수집되는 동일한 WiFi 프레임들 및 측정들을 수집할 수도 있다. 포스트-프로세싱 단계에서, 각각의 시간 기점(epoch)에 대한 정정 값들은, 수집된 정적 STA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이들 정정 값들은, 로버 STA 데이터 세트에 적용된다. 이것은, 데이터 세트들 둘 모두에 공통인 디더링을 결정(및 그에 따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D-GPS 및 RTK 포지셔닝에서 사용되는 RTCM(Real-Time Correction Message)과 비슷한 실-시간 포지셔닝에 대해 유사한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간 WiFi 측정 정정 정보는, GNSS에 대한 NTRIP HTTP-기반 프로토콜과 유사한 어떤 것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들에 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된 신호들의 상이한 파라미터들에 상이한 디더링 또는 다른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이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특정한 수신 STA로 지향되는 유니캐스트 프레임들에 고유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다른 수신 스테이션에 상이한 디더링 프로세스를 적용하면, 기준 스테이션은 수신 STA로의 모든 각각의 신호에 대해 디더 정정 값들을 송신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큰 스케일로 수행되는 경우 과제를 제시할 수도 있다.
[00148] 사적/독립형(stand-alone) AP들에서, PHY-계층 파라미터들을 수정하기 위한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의 관리는, AP의 셋업 동안 설정될 필요가 있는 보안 패스워드에 기초한 몇몇 해시 기능을 사용하여 신호 파라미터들이 생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AP가 로케이션 결정 기능에 대해 사용가능할 것이지만 오직 인가된 사용자들에 대해서만 사용가능하면, AP는 암호화된 형태의 자신의 WiFi 비컨들로 (예를 들어, 실제의 디더링/가변 신호 수정 기능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들 파라미터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거나, 또는 중앙 서버가 셋업 동안 AP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그 후, 오직 인가된 사용자들만이 이러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00149]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디더링된 신호들을 사용하는 로케이션 결정에 대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절차(5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포지션 결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절차(500)는, 각각 도 1 및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8) 또는 디바이스(200)와 유사할 수도 있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AP와 같은)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예를 들어, 다양한 트랜시버들 또는 수신기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51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도 1의 AP들(104a-c, 또는 106a-e) 중 임의의 AP와 같은 AP일 수도 있다(따라서, AP들에서 언디더링 프로세스들을 구현하는 것은, 예를 들어, 양방향 디더링 구현들의 실현, 또는 AP들을 통해 구현되는 디바이스 추적 기능의 실현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
[00150]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은,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또는 그 신호의 디코딩된 값에, 앞선 시간에 수신 디바이스에 제공된 인버스 프로세스/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다(520).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값(들)이 결정되면,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된,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다(530). 예를 들어, 다양한 로케이션 결정 절차들(예를 들어, 핑거프린팅, 다변측량 등)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된 언디더링된 PHY-계층 값들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151] 언급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일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기반 송신 특성들과 같은) 신호 송신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미리-결정된 가변 프로세스(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인가된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디바이스들에 의한 로케이션 결정 기능을 억제하기 위한 추가적인 디더링 동작들이 수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된 신호는, 미리-결정된 가변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된 송신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예를 들어, 신호 그 자체는, 어느 안테나가 선택되었는지, 특정한 빔 특성들을 초래하는 어떠한 상대적인 위상들 및 진폭들이 송신기의 다수의 안테나들에 지향되었는지 등에 과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 그에 따라,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송신 특성들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 특정한 가변 프로세스(들)에 관한 정보를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가변 프로세스들 및/또는 송신 특성들의 값들에 관한 정보가 (예를 들어, 암호화된 정보로서) 신호에 포함될 수도 있다.
[00152]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특성들을 제어/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절차(6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절차(600)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WiFi AP와 같은 AP)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성 결정 프로세스에 따른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성,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610)를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성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것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 및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클록들은 기준 시간에 관해 동기화되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는,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생성될 수도 있다.
[00153]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 인스턴스들에서 이용될 송신 안테나(들)는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보다 많은 수의 안테나가 선택되어 선택된 안테나들을 통해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도록, 가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는, 송신 디바이스의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각각 지향되는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상대적 위상들 및 진폭들을 결정/조정하기 위해(예를 들어, 위상들의 벡터 및 진폭들의 벡터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된 다수의 가변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안테나들에 지향된 신호들의 위상들 및 진폭들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신호들의 송신으로부터 초래된 방사 패턴에 대한 빔 스티어링 속성들이 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으로부터 초래된 방사 패턴의 메인 로브(main lobe)의 방향 및/또는 형상을 제어). 비인가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에 알려지지 않은 가변 프로세스들(예를 들어, 의사랜덤 프로세스들)을 통한 방사 패턴의 메인 로브의 방향 및/또는 형상을 제어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금지되는 방식으로 신호들을 디더링하는 다른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추가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는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기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들에서, 상이한 신호들에 대한(예를 들어, 상이한 OFDM 심볼들에 대한) 주기적 지연 지속기간들은, 예를 들어,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는 알려지지만 비인가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들/디바이스들에는 알려지지 않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00154] 도 6을 계속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은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620)하기 위해 이용된다. 송신된 신호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할 때(즉,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유추할 때) 제 2 무선 디바이스(또는 어느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어떤 가변 프로세스가 제 1 (송신) 디바이스에서 이용되었는지를 모른채, 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된 송신 특징을 결정하기에, 수신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결정 기능성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요구될 완전한 또는 정확한 정보를 갖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의 다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어떤 안테나(들)가 선택되었는지를 모른채, 수신 디바이스는 송신된 신호에 의해 횡단된 경로(즉, 채널)에서의 변동들을 보상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또는 어느 다른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신된 신호는,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RTT(round trip time)-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및/또는 관성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기초하여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55]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의사랜덤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기반 송신 특징들을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송신 디바이스는 또한, 신호의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과 같은, 송신될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56] 또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송신) 디바이스는 WiFi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수신)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언디더링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언디더링 집적 회로를 구비한 사전인가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157]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디더링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로케이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시저(700)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프로시저(700)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을 이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AP)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71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송신 안테나, 빔 특징, 주기적 지연 다이버시티 파라미터,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은,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안테나 선택 프로세스에 따라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송신 안테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빔 형성 프로세스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조정되는, 가변 빔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각각 지향된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상대적 위상 및 대응하는 진폭, 및/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주기적 지연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조정되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지향된 다수의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가된 대응하는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00158] 프로시저(700)는,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재구성된 값을 유추하는 단계(720), 및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초기에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 송신 특징의 유추되는 재구성된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730)를 더 포함한다.
[00159]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시저(700)는,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들의 오리지널 값(즉, 미리결정된 가변 수정 프로세스에 의해 수정되기 이전),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송신 특징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되는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를,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제 2 신호 송신 특징은 예를 들어, 신호 진폭, 신호 주파수, 신호 타임스탬프, 신호 이득, 신호 균등화, 신호 지연, 신호 위상,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160] 이러한 송신 특징들의 오리지널 값들을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에서) 복원하기 위해 송신 특징들을 결정(예를 들어, 신호의 신호 파라미터들을 수정/디더링)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이러한 디더링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시저들을 수행하는 것은 프로세서-기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800)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예를 들어,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 이를테면, 도 1 및 2의 디바이스들(108 및 200) 각각에, 송신 디바이스, 이를테면, 도 1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들(104a-c 및 106a-e)에 또는 도 3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300) 등에 하우징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통상적으로 중앙 프로세서 유닛(812)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 특화된 컴퓨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를 포함한다. CPU(812)에 부가하여, 시스템은 메인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는 컴퓨터 시스템과 연관된 하드 드라이브 및/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81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800)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816), 및 모니터(620),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사용자가 이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곳(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크린)에 위치될 수 있다.
[00161]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를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고, 미리결정된 가변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송신 특징(예를 들어, 안테나-기반 송신 특징)을 결정하고, 가변 프로세스들/기능들에 따라 제어된 신호 파라미터들/송신 특징들의 오리지널 값들을 복원하고, 그리고/또는 포지션 결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시저들을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시저들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814)는,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 상에서 실행될 때,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로 하여금, 앞서-설명된 프로시저들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00162]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는 입력/출력 기능성을 가능하게 하는 주변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관련된 콘텐츠를 연결된 시스템에 다운로딩하기 위한 CD-ROM 드라이브 및/또는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 디바이스들은 또한, 각각의 시스템/디바이스의 일반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부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수 목적 논리 회로소자,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 프로세서,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가 컴퓨팅 시스템(800)의 구현에서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와 함께 포함될 수 있는 다른 모듈들은 스피커들, 사운드 카드, 포인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볼이며, 이들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을 컴퓨팅 시스템(80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기반 디바이스(810)는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163] 컴퓨터 프로그램들(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코드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대한 머신 명령들을 포함하고, 고레벨 절차 및/또는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및/또는 어셈블리/머신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머신-판독가능 신호로서 머신 명령들을 수신하는 비-일시적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머신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임의의 비-일시적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메모리,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를 지칭할 수 있다.
[00164] 메모리는 프로세싱 유닛 내부에 또는 프로세싱 유닛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메모리"라는 용어는 임의의 타입의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를 의미하며, 메모리의 임의의 특정 타입이나 메모리들의 개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저장 매체들의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165]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시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및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하지 않는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반도체 저장소, 또는 다른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원에 이용되는 것과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전술한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00166] 본원에 설명된 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로서의)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미들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원에 설명된 주제의 실시예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또는 이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또는 프론트-엔드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에 의해 인터커넥팅될 수 있다.
[00167]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로부터 원격에 있고 그리고 통상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컴퓨터들 상에서 구동하고 그리고 서로에 대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인해 발생한다.
추가적인 애플리케이션들 및 이용들
[00168] 일부 국가들에서는, MACID들을 수집하여 이들을 지리적 로케이션과 연관시키는 것이 불법일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근처에 있는 GPS 픽스들은 (예를 들어, 옆을 지나가는 차량들 및/또는 보행자들로부터의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통해 획득되는) MACID와 연관된다.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절차들을 이용함으로써, 근처에 있는 GPS 픽스들보다 더욱 정확한 AP 포지션 추정치들을 획득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절차들/방법들/기법들은 일부 국가들에서 독립형 개인 및 상업 AP들에서의 결함으로 인해 턴 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설 AP 소유자는 로케이션 결정 목적으로 자신의 AP의 이용을 거절하기 원할 수도 있다. "숨겨진 BSSID" 체크 마크(또는 그와 커플링된 것)에 더해, 로케이션 결정에 대한 이러한 AP의 이용을 거절하거나 또는 허용하기 위한 체크 마크(예를 들어, 특정 AP에 대한 구성 웹 페이지 상의 옵션의 기술 옆에 체크박스를 설정/설정-해제함으로써, 예를 들어, 액티베이팅 또는 디액티베이팅될 수 있는 말단-사용자 구성가능한 AP 옵션)가 존재할 수 있다. 체크마크는 결함 디더링 파라미터들의 셋업을 자동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더링 프로세스 시드 및 다른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 SSID 및 암호(passphrase)로부터 자동으로 계산될 수 있다(사용자는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옵션을 가질 수도 있다).
[00169]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마트폰들과 같은 WiFi-장착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들은,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시스템이 그 디바이스들을 추적하기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을 희망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쳐 AP들로부터 발신하는 프로브들은 본원에 설명된 디더링 가변-신호-수정 프로세스들을 이용하는 것에 응답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사람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변형시키기 위해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를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신호의 송신 전력은 가변 수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의사랜덤-시간-변동-기반 프로세스와 같은 포지션 또는 시간 의존적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될 수 있고, 변동 프로세스에 따라 결정된 길이를 갖는 딜레이가 신호에 부가될 수 있는 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PHY-계층 파라미터(들)가 변형되었던 신호는, 이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복원하도록 요구될 수 있는 변동 프로세스(들)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권한이 없는(unauthorized)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자신의 포인트를 추적하기 위해 포지션 추적 프로세스들을 억제하거나 포지션 추적 프로세스들을 간섭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PHY-계층 파라미터들의 제어가능한 변형이 송신 모바일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추적하기 위해 신호들을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능력과 간섭하거나 또는 이를 억제하는데 이용되지만, 이러한 신호들에 의해 포함되거나 또는 표현된 컨텐츠 데이터는 변형되지 않은 채로 남겨질 수 있다.
[00170] 몇몇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폰들 또는 태블릿들과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들은 피어-투-피어 포지셔닝 추정 및 기록 특징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RSSI 또는 RTT를 이용하여) 피어-투-피어 범위 추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들은, 정확한 범위 정보로의 피어 액세스를 거절하고 그리고 오직 대략적인 근접 정보만을 허용하기 원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들은 이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제어가능한 신호 변형 특징들을 구현/액티베이팅함으로써 피어들에 의한 정확한 범위 추정을 방지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00171]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소 소유자는 (예를 들어, WiFi 지문 DB를 파퓰레이팅하는) 포지셔닝 목적을 위해 또는 임의의 다른 목적을 위해 장소 AP로부터의 임의의 유용한 측정들을 얻는 것으로부터 임의의 그리고 모든 사람들을 차단시키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이는 로컬 프라이버시 정책 또는 정부 규제 이유로 행해질 수 있다. 장소 소유자의 관리 네트워크는 이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방식으로 신호들의 PHY-계층 파라미터들의 제어가능한 변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AP들을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이 WiFi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상황들에서,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은 WiFi 디더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특징은 그후 중앙집중형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각각의 AP에서 액티베이팅될 수 있다(이러한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서버(110)와 같은 서버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디더링 프로세스(들)(예를 들어, 몇몇 미리결정된 ARMA(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프로세스/기능) 및 그들의 파라미터들(진폭, 주파수 등)의 제어는 컨트롤러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파라미터화는 원하는 대로 그리고 컨트롤러로부터 요구되는 대로 자주 변화될 수 있다.
[00172]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소 소유자는 실내 로케이션으로의 액세스를 자신의 권한이 부여된 고객들/클라이언트들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시키고 그리고 분석치들을 자신 소유의 내부 이용으로 제한시키기 원할 수도 있다.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기능(예를 들어, 상태-공간 모델로서 표현된 각각의 AP에 대한 디더링 기능, 및 각각의 이러한 기능에 대한 연관 파라미터들의 압축 표현)은 권한이 부여된 클라이언트들/고객들에 대한 안전한 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플로어 맵들 또는 RSSI/RTT 히트 맵들 등과 같은 다른 지원 데이터(AD)와 함께 번들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디더링 기능(들) 및 파라미터들은 독점의 암호화된 AP 비컨 데이터 엘리먼트들에 안전한 방식으로 내장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다음으로, 관심 측정들로부터 디더링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수신하는 제어가능하게 변형된(디더링된) 신호들에 대해 반대 기능들/반대 프로세스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00173]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본원에 개시되었지만, 오직 설명을 위해서만 예시에 의해 행해지며 후술하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와 관련하여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히,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치환들, 대안들, 및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다른 양상들, 이점들, 및 변형들은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시되는 청구항들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을 나타낸다. 다른 청구되지 않은 실시예들 및 특징들도 또한 고찰된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들은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68)

  1.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상기 송신된 신호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는: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는: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단계는: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각각의 클록들은 기준 시간에 관해 동기화되며,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는 상기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생성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송신된 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RSSI-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SSI-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TT-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WiFi-기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상기 신호의 언디더링(undithering)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언디더링 유닛이 장착된, 사전승인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13. 무선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상기 송신된 신호는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것;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송신된 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0.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수신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상기 송신된 신호는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기 위한 수단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송신된 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신호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을 갖는 신호를 제 2 무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이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값으로부터 결정될 때, 상기 송신된 신호는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제어가능하게 수정하는 것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것;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송신된 신호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포지션 결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34.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에 적용된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단계;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정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1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클록에 동기화하는 단계;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RSSI-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SSI-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RTT-핑거프린팅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방법.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상기 신호의 언디더링(undithering)을 이네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언디더링 유닛이 장착된, 사전승인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방법.
  45. 무선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함―;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에 적용된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것;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하는 것;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는, 실행될 때, 추가의 동작들을 야기하는 추가의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동작들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클록에 동기화하는 것;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상기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52.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53.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함―;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에 적용된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장치.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56.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장치.
  57.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장치.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단계;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정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장치.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서의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클록에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상기 송신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상기 장치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60.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1. 실행될 때,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명령들의 세트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었던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을 갖는,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는: 진폭, 주파수, 위상, 지연, 타임스탬프, 이득, 신호 균등화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으로부터 결정되는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의 각각의 오리지널 비수정 값들에 적용된 각각의 상이한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들에 따라 생성된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들 중 하나는 지연 또는 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된 의사 랜덤-시변-기반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가변 신호 수정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수신된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의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에 적용되는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에 따라 생성된 상기 제어가능하게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 값은,
    의사 랜덤 생성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것;
    결과적인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자동 회귀 이동 평균 프로세스의 z-변환 구현에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를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입력하는 것; 및
    상기 결과적인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PHY-계층 신호 파라미터의 상기 오리지널 비수정 값을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7. 제 66 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추가의 동작들을 야기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의 동작들은: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1 클록을 기준 시간에 관하여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제 2 클록에 동기화하는 것; 및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가 상기 제 2 무선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상기 난수들의 시퀀스와 동기화되도록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2 의사 난수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68.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SSI)-기반 포지셔닝 결정 프로세스, 왕복 시간(RTT)-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관성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해 보조되는 속도-기반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
KR1020157032621A 2013-04-15 2014-03-28 포지션 결정을 위한 송신 특징의 제어 KR20150143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12139P 2013-04-15 2013-04-15
US61/812,139 2013-04-15
US201361891329P 2013-10-15 2013-10-15
US61/891,329 2013-10-15
US14/094,622 2013-12-02
US14/094,634 US9237545B2 (en) 2013-04-15 2013-12-02 Varying processes to contro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perations
US14/094,622 US9210682B2 (en) 2013-04-15 2013-12-02 Varying processes to contro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perations
US14/094,634 2013-12-02
PCT/US2014/032106 WO2014172090A2 (en) 2013-04-15 2014-03-28 Varying processes to contro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per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755A true KR20150143755A (ko) 2015-12-23

Family

ID=516871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23A KR20150143757A (ko) 2013-04-15 2014-03-28 포지션 결정 동작들을 위한 송신 특징들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 프로세스들
KR1020157032621A KR20150143755A (ko) 2013-04-15 2014-03-28 포지션 결정을 위한 송신 특징의 제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23A KR20150143757A (ko) 2013-04-15 2014-03-28 포지션 결정 동작들을 위한 송신 특징들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 프로세스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37545B2 (ko)
EP (2) EP2987372A2 (ko)
JP (2) JP6426150B2 (ko)
KR (2) KR20150143757A (ko)
CN (2) CN105144807B (ko)
WO (2) WO20141720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545B2 (en) 2013-04-15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Varying processes to contro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perations
EP3039924A4 (en) * 2013-08-26 2017-03-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ing location positioning using m2m ecosystem
US10506053B2 (en) * 2014-03-07 2019-12-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Location aware security system
DE102014010752A1 (de) * 2014-07-21 2016-01-21 Wabco Gmbh Verfahren zum Aufbau einer drahtlosen Verbindung
US10536920B1 (en) * 2015-01-09 2020-01-14 Ethertronics, Inc. System for location finding
EP3254503A1 (en) * 2015-02-03 2017-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interface to support real-time traffic steering networks
DE102015202792A1 (de) * 2015-02-17 2016-08-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Lokalisieren einer mobilen Einrichtung, Beacon-Einrichtung und Anordnung
WO2016141527A1 (en) * 2015-03-09 2016-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dicting available access points
EP3292720A1 (en) * 2015-05-06 2018-03-14 Yo Wireless Global Ltd System and methods for locating a mobile device
US9606633B2 (en) * 2015-05-08 2017-03-28 John W. Downey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US11592913B2 (en) * 2015-07-17 2023-02-28 Origin Wireles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writing tracking
US10484074B2 (en) * 2015-08-25 2019-11-19 Cellium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ximizing data transmission rates in conjunction with a spatial-multiplexing transmission
US11303346B2 (en) 2015-08-25 2022-04-12 Cellium Technologi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signals inside vehicles
US9578512B1 (en) 2015-09-24 2017-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for privacy-preserved retrieval of contextualized mobile device data
KR101706629B1 (ko) * 2016-01-25 2017-02-16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imo-ofdm 송신기에 대한 파워 캘리브레이션 방법
CN107169398A (zh) * 2016-03-07 2017-09-1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及装置
AU2017241824B2 (en) * 2016-04-02 2021-05-27 Building Robotics, Inc. Distributed light fixture beacon management
US9734368B1 (en) * 2016-06-17 2017-08-15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a location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ad events
US9820100B1 (en) * 2016-06-17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source positioning
CN106211040A (zh) * 2016-07-08 2016-12-07 深圳市中兴物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卫星通讯模式的卫星方向定位方法及系统
US20180106618A1 (en) 2016-10-14 2018-04-19 Westfield Retail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US9913096B1 (en) 2016-12-09 2018-03-06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communication system with adaptive antenna beam-forming for link of data transmission device to user device, and associated beam-forming method therefor
DE102016124744A1 (de) * 2016-12-19 2018-06-21 National Chung Sh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lligentes Kommunikationssystem mit adaptiver Antennenstrahlformung zur Verbindung einer Datenübertragungsvorrichtung mit einer Benutzervorrichtung und ein Strahlverformungsverfahren dafür
US11248908B2 (en) * 2017-02-24 2022-02-15 Here Global B.V. Precise altitude estimation for indoor positioning
CN106850448B (zh) * 2017-02-27 2020-12-22 台州市吉吉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Wi-Fi路由器智能天线用户跟踪方法及系统
KR102431044B1 (ko) * 2017-03-30 202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장치 및 차량
US10932262B2 (en) * 2017-05-22 2021-02-23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Unified coordination of multiple physical layer devices
US10117065B1 (en) 2017-06-01 2018-10-30 Athentek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wireless transceiver locations and updating a spatially-dependent path-loss model
US10117064B1 (en) 2017-06-01 2018-10-30 Athentek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earning wireless transceiver locations and updating a spatially-dependent path-loss model
US10114104B1 (en) * 2017-06-01 2018-10-30 Athentek Innovations, Inc. System and methods for learning wireless transceiver locations and updating a spatially-dependent path-loss model
CN110400397B (zh) * 2018-04-25 2023-01-13 开利公司 用于进行轨迹预测以实现使用移动装置的无缝访问的系统和方法
DE102018206476A1 (de) 2018-04-26 2019-10-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Verschleierung von Funkkennungen und Senderpositionen
US10595165B2 (en) * 2018-07-25 2020-03-17 Cisco Technology, Inc. Device location tracking with tag antenna switching
US10499363B1 (en) 2018-09-18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accuracy and positioning estimates
MY195505A (en) * 2018-12-31 2023-01-27 Mimos Berhad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Geospatial Position By Composing Positioning Scheme
US11129127B2 (en) * 2019-01-11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calibration with round-trip-time (RTT)-based positioning procedures
CN112098925B (zh) * 2019-06-17 2024-03-08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追踪系统及追踪方法
CN111757249B (zh) * 2020-05-21 2022-05-03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信息增益比的多特征模糊映射接入点优化方法
CN112710324B (zh) * 2021-03-29 2021-06-18 广东新中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可溯源技术的地磁定位和智能终端的构建方法
CN114814913A (zh) * 2022-04-19 2022-07-29 大唐终端技术有限公司 Android平台北斗高精度定位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170A (en) * 1994-11-16 1999-06-15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Loc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6088586A (en) 1996-01-24 2000-07-11 Codem Systems, Inc. System for signaling within 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9134398B2 (en) 1996-09-09 2015-09-15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network centric location estimators
US6061561A (en) 1996-10-11 2000-05-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cell transmitter location information
US7127274B2 (en) * 2002-09-06 2006-10-24 Interdigital T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effect of signal-interference in null areas caused by one or more antennas
US7471931B2 (en) 2002-12-13 2008-12-30 Adtra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ceivers based on a location indicator
JP2004251633A (ja) * 2003-02-18 2004-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距離測定支援装置、位置測定装置および位置測定方法
JP3649404B2 (ja) * 2003-02-28 2005-05-18 ソニー株式会社 測距・測位システム及び測距・測位方法、並びに無線通信装置
WO2007021292A2 (en) * 2005-08-09 2007-02-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Device, method and protocol for private uwb ranging
KR100834644B1 (ko) 2005-08-27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선택 장치 및 방법
US7450559B2 (en) * 2005-10-13 2008-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compatibility between legacy mode(s) of operation and new mode(s) of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14213A1 (en) * 2007-03-02 2008-09-04 Kamran Etemad Determining locations of mobil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JP2009246733A (ja) * 2008-03-31 2009-10-22 Brother Ind Ltd 基地局及び測位システム
US20090262683A1 (en) * 2008-04-18 2009-10-22 Amit Khetawat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and Release of User Equipment Context Identifiers in a Home Node B System
JP5288502B2 (ja) 2008-06-06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9645225B2 (en) * 2008-11-21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centric determination of node processing delay
US20100135178A1 (en) * 2008-11-21 2010-06-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adjusted round trip time measurements
US20100137005A1 (en) 2008-11-29 2010-06-03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for positioning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406787B2 (en) * 2008-12-17 2013-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sitioning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US8750267B2 (en) * 2009-01-05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of falsified wireless access points
US9151821B2 (en) * 2009-07-24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Watermarking antenna beams for position determination
CN101925162A (zh) * 2010-05-17 2010-12-22 南开大学 具有安全和定位功能的无线传感器网络节点专用处理器
US20120095673A1 (en) 2010-10-13 2012-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for vehicles based on high speed movement long distance impuse radio ultra wideband
JP5724496B2 (ja) * 2011-03-17 2015-05-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037180B2 (en) * 2011-05-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s and information gathering in a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JP2013029364A (ja) * 2011-07-27 2013-02-07 Kyocera Corp 無線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3025154A1 (en) 2011-08-12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ser equipment, network node, second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WO2013030715A1 (en) 2011-09-02 2013-03-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node in a wireless network
US9237545B2 (en) 2013-04-15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Varying processes to contro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ope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37545B2 (en) 2016-01-12
JP2016518784A (ja) 2016-06-23
EP2987372A2 (en) 2016-02-24
WO2014172091A3 (en) 2014-12-11
CN105210432A (zh) 2015-12-30
CN105144807A (zh) 2015-12-09
WO2014172090A2 (en) 2014-10-23
CN105144807B (zh) 2018-10-23
WO2014172090A3 (en) 2014-12-11
JP2016515785A (ja) 2016-05-30
US20140308973A1 (en) 2014-10-16
EP2987371B1 (en) 2017-03-08
WO2014172090A8 (en) 2015-11-12
US20140308976A1 (en) 2014-10-16
KR20150143757A (ko) 2015-12-23
WO2014172091A2 (en) 2014-10-23
EP2987371A2 (en) 2016-02-24
JP6426150B2 (ja) 2018-11-21
US9210682B2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7371B1 (en)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10939247B2 (en) Method and/or system for positioning of a mobile device
US9185135B2 (en) Location based enforcement of mobile policy
US9119169B2 (en) Beacon group information assisted wireless location determination
US93954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ing based on observed difference of time of arrival
US20100128637A1 (en) Network-centric determination of node processing delay
KR20180061250A (ko) 모바일 디바이스 권한에 기초한 레인징 및/또는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
JP2018529084A (ja) 適応型能動測位を伴う拡張型受動測位
TW201635730A (zh) 分配及利用用於位置判定操作之天線資訊
JP2012509483A (ja) 調整されたラウンドトリップ時間測定を使用した無線位置決定
WO2017136041A1 (en) Dynamic adjustment of transmission timeout interval in communication protocols
US9274226B2 (en) Synchronous network device time transfer for location determination
WO20151528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location token
TW202241155A (zh) 用於低功率行動設備定位的差分到達角(aoa)
TW202303184A (zh) 陷波濾波器碼相位影響減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