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195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195A
KR20150143195A KR1020140072415A KR20140072415A KR20150143195A KR 20150143195 A KR20150143195 A KR 20150143195A KR 1020140072415 A KR1020140072415 A KR 1020140072415A KR 20140072415 A KR20140072415 A KR 20140072415A KR 20150143195 A KR20150143195 A KR 20150143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ion
terminal protection
pro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우
배찬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3195A/ko
Priority to US14/739,797 priority patent/US20150364874A1/en
Publication of KR2015014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갤럭시텝, 스마트폰, 아이패드 및 전자책 단말기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케이블로 컴퓨터 및 외부 기기등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기는 충전회로 기판이 내설된 케이스에 출력단자부와 입력단자부가 마련된 형태로 제공되는바, 상기 입력단자부는 전원 콘센트에 결속되고, 출력단자부는 전자 장치에 마련된 충전 단자에 결속되어 전자 장치 충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부의 일단에는 콘센트와의 결속이 가능하도록 플러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부의 일단에는 전자 장치의 충전 단자와 호환될 수 있는 커넥터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커넥터 장치는 전자 장치와 충전기를 충전시 커넥터 장치에 유입된 이물질이나 커넥터 장치의 변형으로 인해 전원선 간 단락이 발생되거나 전원 경로상의 저항 성분 증가로 인해 고열이 발생하여 화재나 화상등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에는 커넥터 장치 내부에 고열을 감지하고 차단하기 위해 온도 감기 센서 및 차단 회로가 구성됨으로 인해 제품의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크기가 커짐과 동시에 제품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 및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커넥터 장치의 내부에 간단하게 구비되어 앞서 언급한 비정상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캡부에 본체 하우징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상태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본체 하우징내에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파손을 더욱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캡부 또는 본체 하우징내에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온도 감기 센서 및 차단 회로가 필요 없어 제품의 부품수를 절감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2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제 1, 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2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캡부 또는 본체 하우징에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을 구성하여 커넥터 장치 및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넥터 장치 및 케이블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커넥터 장치 및 케이블과 연결된 전자 장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요소(예컨데, 화재 및 화상등)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온도 감기 센서 및 차단 회로가 필요 없으므로, 커넥터 장치의 부품수를 절감하고, 이로인해 커넥터 장치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장치의 크기를 줄여 소형화 및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내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 중 단자 보호 모듈의 다른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 중 단자 보호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 중 본체 하우징의 제 1, 2 접속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중 단자 보호 모률의 다른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은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지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메인메뉴 전환키,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는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11d;Status Bar)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의 하부에는 홈키(11a), 메뉴 버튼(11b), 및 뒤로 가기 버튼(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키(11a)은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11)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1a)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키(1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1)상에는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키(11a)은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버튼(11b)은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뒤로 가기 버튼(1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 상단영역에는 제 1 카메라(12a)와, 조도 센서(12b) 또는 근접 센서(12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13a), 플래시(flash)(13b) 또는 스피커(13c)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자 장치(10)가 배터리 팩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저면은 착탈가능한 배터리 커버(15)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전자 장치는 배터리 팩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서, 배터리 커버는 전자 장치에서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배터리팩은 외부의 충전기(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을 구비한 전자 장치와 상기 충전기는 커넥터 장치(1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됨)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팩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내부도 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100)는 본체 하우징(110)과, 캡부(120) 및 케이블(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결합 단자(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113)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상기 캡부(120) 및 상기 케이블(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라인(114)이 구비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라인(114)에는 후술하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에 구비된 제 1, 2 연결 단자(141)(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2 접속 단자(111)(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부(120)는 후술하는 단자 보호 모듈(140)을 인몰드 사출 공정에 의해 구비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몰드 사출이란, 기존에 각각의 공정으로 진행되던 플라스틱 케이스 사출 및 인쇄, 일부 코팅 공정을 사출공정 하나로 압축시킨 것을 말한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을 구비한 상기 캡부(120)에 상기 케이블(130)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130)과 결합된 상기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끼워 결합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제 1, 2 접속 단자(111)(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141)(142)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케이블(130)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캡부(120)에 구비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커넥터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연결 단자(141)(14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단자 보호 소자(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소자(143)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143)는 티탄산 바륨계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 소자이다.
즉, 상기 정특성 서미스터 소자(143)는 니크롬선과 같은 것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한 발열체이고, 극히 단시간 동안 전류가 흐르면 전기저항이 커져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는, 이른바 스위치 작용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보호 소자(143)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143)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단자 보호 소자(143)는 캡부(120)내에서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차단가능한 소자라면, 개시한 상기 정특성 서비스터 소자(143)이외에 다양한 소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120)에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연결 단자(141)(14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14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장치(10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커넥터 장치(100)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열 발생으로 인한 제품의 화재등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화상등의 위험 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캡부(1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캡부(120)의 길쭉한 방향으로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의 구성 중 단자 보호 모듈(140)의 다른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캡부(120)의 길이방향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캡부(120)의 길쭉한 방향의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제 1, 2 접속 단자(111)(112)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의 제 1, 2 연결 단자(141)(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2 접속 단자(111)(112)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2 연결 단자(141)(142)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배치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의 구성 중 단자 보호 모듈(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 보호 모듈(200)은 상기 캡부(120)에 구비된 제 1, 2 연결 단자(201)(202) 및 단자 보호 소자(20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연결 단자(201)(202)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구비된 제 1, 2 단자 돌기(110a)(110b)와 끼워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2 연결홈(201)(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연결홈(201)(202)은 상기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시 상기 제 1, 2 단자 돌기(110a)(110b)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 상기 제 1, 2 연결홈(201)(202)은 상기 제 1, 2 단자 돌기(110a)(110b)에서 빠져서 분리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구성 중 본체 하우징(110)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단자 보호 모듈(300)의 제 1, 2 연결 단자(301)(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300)에는 상기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와 상기 제 1, 2 연결 단자(301)(302)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제 1, 2 연결 단자(301)(30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303)가 구비된다.
상기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상기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시 상기 캡부(120)의 제 1, 2 연결 단자(301)(30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상기 제 1, 2 연결 단자(301)(302)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상기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시 상기 캡부(120)의 제 1, 2 연결 단자(301)(302)가 접촉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눌려지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상기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이외 다른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접속 단자(1101)(1102)는 링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 및 판 스프링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 3과 같이, 커넥터 장치(100)는 제 1, 2 접속 단자(111)(112)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110)과, 캡부(120) 및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이 캡부(120)에 상기 케이블(130)을 삽입한다. 상기 케이블(130)이 삽입된 캡부(1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캡부(120)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압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상기 캡부(120)에 인몰드 사출 공정에 의해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기(미도시 됨)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충전할 경우 상기 케이블(130)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접속 커넥터(113)를 상기 전자 장치(10)의 단자에 결합하고, 상기 케이블(130)의 타일단에 구비된 또 다른 상기 커넥터 장치(미도시 됨)의 본체 하우징(미도시 됨)의 접속 커넥터를 상기 충전기에 결합한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각각의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내에 구비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충전한다.
이렇게 상기 전자 장치(10)와 상기 충전기를 충전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커넥터 장치(100)내에 이물질이나 변형으로 인해 케이블(130)간의 단락 발생 또는 케이블(130) 경로상의 저항성분이 증가시 상기 커넥터 장치(100)는 고열이 발생한다. 상기 커넥터 장치(100)에서 고열이 발생하면, 상기 커넥터 장치(100)내에 구비된 단자 보호 모듈(140)이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케이블(13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140)은 열 발생 여부를 최대한 정확하고 빠르게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 장치(100)의 고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및 사용자의 화상들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 발생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장치(100)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충전기(미도시 됨)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의 충전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500)는 본체 하우징(510)과, 캡부(520) 및 케이블(미도시 됨)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5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결합 단자(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상기 캡부(520) 및 상기 케이블(미도시 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라인(513)이 구비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라인(513)에는 후술하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0)의 양면에 구비된 제 1, 2 연결 단자(531)(5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2 접속 단자(511)(5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부(520)에 상기 케이블(미도시 됨)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과 결합된 상기 캡부(520)를 상기 본체 하우징(510)에 끼워 결합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의 양면은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531)(5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은 상기 본체 하우징(510)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510)에 구비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은 커넥터 장치(500)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연결 단자(531)(53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단자 보호 소자(5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2 연결 단자(531)(532)는 상기 제 1, 2 접속 단자의 사이에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단자 보호 소자(533)의 양면에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제 1, 2 연결 단자(531)(5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가 접속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는 상기 제 1, 2 연결 단자(531)(5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른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소자(533)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5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510)에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53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커넥터 장치(500)의 파손을 더욱 방지함은 물론 커넥터 장치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열 발생으로 인한 제품의 화재등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화상등의 위험 상황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은 상기 본체 하우징(5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은 상기 본체 하우징(510)의 길쭉한 방향으로 따라서 배치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0을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 10과 같이, 커넥터 장치(500)는 제 1, 2 접속 단자(511)(512) 및 단자 보호 모듈(530)을 구비한 본체 하우징(510)과, 캡부(520) 및 케이블(미도시 됨)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의 사이에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양면에 구비된 제 1, 2 연결 단자(531)(532)를 삽입함과 동시에 면부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을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의 사이에 끼워 결합하고, 이때,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의 앙면에 구비된 제 1, 2 연결 단자(531)(532)는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와 면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511)(512)와 상기 제 1, 2 연결 단자(531)(532)는 납땜방식으로 부착한다.
상기 캡부(520)에 상기 케이블을 삽입한다. 상기 케이블이 삽입된 캡부(520)를 상기 본체 하우징(510)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캡부(520)는 상기 본체 하우징(510)에 압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충전기(미도시 됨)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충전할 경우 상기 케이블(미도시 됨)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커넥터 장치의 상기 본체 하우징(510)의 접속 커넥터를 상기 전자 장치(10)의 단자에 결합하고,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구비된 또 다른 상기 커넥터 장치의 본체 하우징(510)의 접속 커넥터를 상기 충전기에 결합한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각각의 커넥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내에 구비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충전한다.
상기 전자 장치(10)와 상기 충전기(미도시 됨)를 충전시 커넥터 장치내에 이물질이나 변형으로 인해 케이블간의 단락 발생 또는 케이블 경로상의 저항성분이 증가로 인해 상기 커넥터 장치(500)는 고열이 발생하고, 이를 상기 본체 하우징(510)내에 구비된 단자 보호 모듈(530)이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하우징(510)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530)은 열 발생 여부를 최대한 정확하고 빠르게 신속하게 알 수 있어 상기 커넥터 장치(500)의 고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및 사용자의 화상 피해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6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6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1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600)는 본체 하우징(610)과, 캡부(620) 및 케이블(미도시 됨)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6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결합 단자(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커넥터가 구비되고, 후술하는 상기 캡부(620) 및 상기 케이블(미도시 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라인(613)이 구비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라인(613)에는 후술하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에 구비된 연결 단자(631)와 상기 연결 라인(613)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접속 단자(6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부(620)에 상기 케이블(미도시 됨)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과 결합된 상기 캡부(620)를 상기 본체 하우징(610)에 끼워 결합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은 다수의 접속 단자(6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63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610)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상기 캡부(620)에 구비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은 커넥터 장치(600)에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연결 단자(631)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단자 보호 소자(6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보호 소자(631)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은 상기 캡부(6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은 상기 캡부(620)의 길쭉한 방향으로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접속 단자(611)들은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의 연결 단자(6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Clip 형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1을 참조하여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 11과 같이, 커넥터 장치(600)는 다수의 접속 단자(611) 및 본체 하우징(410)과, 단자 보호 모듈(630)을 구비한 캡부(620) 및 케이블(미도시 됨)을 포함한다.
상기 캡부(620)에 상기 케이블을 삽입한다. 상기 케이블이 삽입된 캡부(620)를 상기 본체 하우징(610)에 끼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캡부(420)는 상기 본체 하우징(610)에 압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캡부(620)에 구비된 단자 보호 모듈(630)이 상기 본체 하우징(610)의 다수의 접속 단자(611)에 안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의 연결 단자(631)가 상기 접속 단자(611)들에 접촉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 단자(611)는 Clip 형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연결 단자(631)가 상기 Clip 형태의 접속 단자들에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동시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0)는 상기 커넥터 장치(600)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내에 구비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을 충전한다.
상기 단자 보호 모듈(630)은 충전시 열 발생 여부를 최대한 정확하고 빠르게 신속하게 알 수 있어 상기 커넥터 장치(600)의 고열 발생으로 인한 화재 및 사용자의 화상 피해를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커넥터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 10 본체 하우징 : 110
제 1, 2 접속 단자 : 111,112 캡부 : 120
케이블 : 130 단자 보호 모듈 : 140
제 1, 2 연결 단자 : 141, 142 단자 보호 소자 : 143
제 1, 2 단자 돌기 : 110a, 110b 제 1, 2 연결홀 : 210, 202

Claims (25)

  1.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제 1, 2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 및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2 접속단자와 제 1, 2 연결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4.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2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제 1, 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와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소자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에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의 길이방향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결 단자는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제 1, 2 단자 돌기와 끼워 결합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홈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제 1, 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12.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2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제 1, 2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 및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소자는 정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PTC)소자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결 단자는 본체 하우징에 구비된 제 1, 2 단자 돌기와 끼워 결합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홈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제 1, 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Clip 형태의 제 1, 2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20.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2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그 양면에 상기 제 1, 2 접속단자의 사이에 결합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양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2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2 연결 단자; 및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제 1, 2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23. 전자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접속 단자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과 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접속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과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시 발생되는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모듈이 구비되는 커넥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은, 상기 캡부를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시 상기 접속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연결 단자의 사이에 구비되어 고열의 온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단자 보호 소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보호 모듈의 연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Clip 형태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KR1020140072415A 2014-06-13 2014-06-13 커넥터 장치 KR20150143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15A KR20150143195A (ko) 2014-06-13 2014-06-13 커넥터 장치
US14/739,797 US20150364874A1 (en) 2014-06-13 2015-06-15 Conne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415A KR20150143195A (ko) 2014-06-13 2014-06-13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95A true KR20150143195A (ko) 2015-12-23

Family

ID=5483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415A KR20150143195A (ko) 2014-06-13 2014-06-13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364874A1 (ko)
KR (1) KR201501431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2002B2 (en) * 2016-03-08 2019-10-01 Arian Shoari Apparatus and methods for sustainable battery charging
JP7291621B2 (ja) * 2016-08-02 2023-06-15 ボー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統合リセット可能温度ヒューズ付きのコネクタ
US20180198296A1 (en) * 2017-01-10 2018-07-12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system, connector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493Y2 (ja) * 1993-05-21 1999-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03019B2 (en) * 2009-02-17 2010-09-28 Chun-Chang Yen Socket structure of current-rectifiable lamp string
US8339760B2 (en) * 2009-06-15 2012-12-25 Apple Inc. Thermal protection circuits and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and cables
TW201119153A (en) * 2009-11-18 2011-06-01 Gem Terminal Ind Co Ltd Plug structure with a fuse post capable of being driven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JP5204903B2 (ja) * 2010-01-19 2013-06-05 日本碍子株式会社 ガス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US8968294B2 (en) * 2012-04-17 2015-03-03 Covidien Lp Single or limited use device designs
JP6249336B2 (ja) * 2013-12-13 2017-1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コ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64874A1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09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8047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tting/receiving conductive pattern
CN104979716B (zh) 连接器
EP3089282B1 (en) Connector
EP327057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al member
EP3113298B1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device
KR102360490B1 (ko) 전기 커넥터
US20160056647A1 (en) Cradle for Electronic Device
CN105896185B (zh) 包括连接器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1296443B2 (en) Connector comprising metal plat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19973A (ko) 외관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50026648A (ko)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5971B1 (ko)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9378877A (zh) 充电电路、充电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42388A (ko) 액세서리 장치
KR20150143195A (ko) 커넥터 장치
CN109412234A (zh) 充电电路、充电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70062957A1 (en)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26821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connector of stacked structure
CN110035150A (zh) 移动终端、壳体组件、传输装置及终端系统
KR20160039999A (ko) 전자 장치
KR102371856B1 (ko) 기구물과 결합된 분리 가능한 커넥터 구조
CN106299898A (zh) 一种接口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102575671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270114A (zh) 一种接口保护装置和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