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44A -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 Google Patents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44A
KR20150142344A KR1020140070975A KR20140070975A KR20150142344A KR 20150142344 A KR20150142344 A KR 20150142344A KR 1020140070975 A KR1020140070975 A KR 1020140070975A KR 20140070975 A KR20140070975 A KR 20140070975A KR 20150142344 A KR20150142344 A KR 2015014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ceiving
wall portion
fixing groov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40070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344A/ko
Priority to US15/317,109 priority patent/US20170119624A1/en
Priority to PCT/KR2015/005868 priority patent/WO2015190838A2/ko
Priority to CN201590000711.7U priority patent/CN207755536U/zh
Publication of KR2015014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 A47G9/1063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comprising limb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1Foot or l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8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not mo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6Leg for the lowe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천골요법을 적용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사용자의 발에 힘을 가한다.

Description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Leg pillow for physical therapy}
본 발명은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천골요법의 발목 스틸 포인트 유도 기법(Ankle still point induce technique)을 적용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에 대한 것이다.
두개천골요법(Cranio Sacral Therapy - CST)은 미국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이미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중추신경계의 막성장애로 인한 뇌척수액 순환저하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도 9는 뇌척수액이 뇌와 척수의 중추신경계에 들어찬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두개천골요법은 뇌의 규칙적인 리듬을 이용한 것으로 뇌의 리듬은 중추신경계의 체액인 뇌척수액(C. S. F)으로부터 비롯된다. 뇌척수액이 생성되는 부위는 맥락총인데 이 부위에서 정맥혈액이 맥락총에서 걸러져서 뇌척수액이 되고 순환하면서 다시 지주막과립에서 흡수된다.
뇌척수액이 생성되는 주기를 굴곡(외회전), 생성이 멈추는 주기를 신전(내회전이라 한다. 이때 굴곡과 신전을 1회씩 반복하게 되는데 이는 평균 분당 6-12회를 주기로 순환하게 된다. 뇌척수액은 뇌를 보호하는 두개골과 몸의 기본을 이루는 척추뼈의 기초가 되는 천골 사이에서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뇌내막과 경막 내부에서 규칙적으로 순환하고 있다. 뇌척수액 순환은 정상적으로 분당 8-12회의 주기로 순환을 하게 되는데 굴곡 (뇌척수액 생성)과 신전(뇌척수액 생성 멈춤)이라는 패턴주기로 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체의 문제는 정상적 순환주기보다 순환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문제가 대부분이며, 알코올중독, 과잉행동 어린이, 약물남용 등으로 인한 순환주기가 빠르게 나타나는 것은 한정되어 있다.
두개천골요법 치료 세션을 받고 나면, 뇌척수액순환이 과잉되거나 부족하게 되는 것을 정상수준으로 균형을 맞추어서 인체의 항상성과 자가 조정력, 자연치유력이 향상되어 몸과 마음의 균형이 유지되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뇌척수액의 성분은 맑고 투명한 액체로 혈장에 비해 단백질, 당, 칼륨 및 칼슘의 양은 적고 나트륨, 염소, 마그네슘의 양은 많다. 혈액과 비슷한 약 알칼리성이나, 적혈구는 없고 혈액에 비해 단백질과 지방이 적다. 99%가 물이고, 0.57℃에서 얼고, 정상 성인의 경우 100~150ml 정도가 들어있다. 여기에서 나트륨과 염소는 신경신호를 전달하는데 필수요소이고,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정신과적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뇌척수액 순환이 정상적인 순환을 일으켜야 정상적인 삶의 질을 영위 할 수 있는 것이다.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은 분당 8 -12회 주기로 굴곡(흡기,외회전)과 신전(호기,내회전)패턴으로 순환(굴곡, 신전 1회 주기 6-9초)하며, 뇌척수액 전신 1회 순환 주기는 시간당 6-7시간 정도이며, 1일 4-5회 순환하고 1일 생성량은 500cc이다.
가장 중요한 뇌척수액의 기본적인 기능은 중추신경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중추신경계 3개 층으로 둘러싸인 뇌, 연막, 지주막의 영양분을 공급해주며, 뇌로부터 노폐물을 처리(림프역학적 기능)하고,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신경전달물질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핵심적인 뇌척수액의 기능을 나열 하자면, 뇌의 즉각적인 환경에 맞춰 화학성분을 조절 하여 인체의 자가면역 치유 항상성을 조절하고,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로부터 뇌를 독립적인 신체 면역 방어에 기여한다.
또한, 교원질 근막의 미세소관 내의 순환을 도와 전신의 생화학적 조절을 보조하여 전신 근막의 이완을 돕고 뇌척수액 압력의 위상적 차이를 만들어 동맥과 정맥의 압력변화와 폐호흡과 함께, 이들의 신경세포와 모든 결합조직 세포의 순환을 촉진하여 전신 체액 순환의 유체역학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또한 신경전달에 중요한 나트륨 이온 농도의 차이를 만들어 생체 전기 전도성에도 영향력을 발휘하여 빠르게 생체치유 회복 효과를 높여준다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뇌척수액(CSF)의 정상적 흐름은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의 긴장을 완화하고 나아가 외부에 모든 조직이 연결되어 있는 근막의 긴장도를 완화함으로써 전신의 모세혈관과 세포 수준까지 모든 순환능력을 증진 시켜 주게 되면서 자가 치유 면역 시스템을 가동시켜줘 전신의 생명력(자연치유력)을 증진 시켜주는 발전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뇌척수액의 기능이 중요한 것은 다른 순환보다는 뇌척수액을 순환시켜주는 것이 얼마나 유용하고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스트레스와 과로를 가지고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근육의 긴장이나 막의 긴장으로 인한 제한이 올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에는 두개골과 천골 사이의 중추신경계가 이상이 생기게 되면서 뇌의 리듬이 깨져 정상적인 주기보다 느려지거나 빨라지면서 인체는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된다. 이러한 두개골과 천골을 5 그램 정도의 미세한 손으로 터치하여 제한된 뇌내막과 경막을 이완하여 뇌척수액의 흐름 주기를 정상적인 균형을 맞추어주는 치료 즉, 중추신경계를 정상적으로 되돌려 주어 놓는 방법이 두개천골 요법이다. 사회가 발달할수록 정신노동자의 인구 비율은 점점 더 많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두개천골 요법을 실생활에 널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두개천골요법을 적용한 다리 베개로 스틸 포인트 기법을 이용하여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을 유도하는 수기치료 기술을 제품에 응용하여 가정에서도 쉽게 두개천골 요법을 받는 것처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구나 손쉽게 두개천 골요법을 시술받을 수 있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을 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 되는 고정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상기 고정저면부와 턱지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와 사용자의 허벅지가 수용되는 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 및 상기 고정홈과 상기 수용홈의 측면을 형성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고정홈이 상기 수용홈보다 깊도록 사용자의 끝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방향으로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 되는 고정홈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뇌척수액의 흐름으로 유발되는 천골의 굴곡주기를 저지하도록 사용자의 양발에 탄성력을 가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발을 올려두면 두개천골요법에 따른 치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누울 수 있는 장소만 제공되면 두개천골요법을 시술받을 수 있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시술자가 두개천골요법을 환자에게 시술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인체의 다리부분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도3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작용을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뇌척수액이 뇌와 척수의 중추신경계에 들어찬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성인의 두개골은 굳어져 석회화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골은 굳어진 상태로 서로 융합되어 움직임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었다. 그러나 최근, 두개골은 움직이며 천골(꼬리표 위쪽)의 움직임과 더불어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두개천골요법은 두개골의 움직임에서 비롯된다. 두개천골요법은 자폐증, 주의산만 아이, 두통, 요통, 우울증, 난치병에 효과적이다. 특히, 두개천골요법은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심신의 편안함이나 정신적 안정, 안락한 생활을 요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분야이다.
두개천골의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두개천골의 리듬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매우 안정되어 있다. 두개천골의 움직임에는 굴곡과 신전이 존재한다. 굴곡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이라고도 불린다.
신전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이라고도 불린다.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과 '수축'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우선, 두개천골요법의 시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시술자는 인체를 과격하게 다루지 않으며, 많은 힘을 주어서 충격을 주거나 놀라게 해서는 안 된다. 두개천골계에 비생리적인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힘은 가하지 말아야 한다. 두개천골계에 접촉하는 힘의 크기는 4~5g 정도이며, 이런 적은 힘으로 접촉하는 목적은 두개골의 움직임이 새로운 경로를 찾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가동성의 경로 발견은 새로 추가된 운동성과 자유로운 움직임을 일으킨다.
도 1은 시술자가 두개천골요법을 환자에게 시술하는 모습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개천골계 움직임을 부드럽게 조절하는 법을 배우려면 환자의 발을 먼저 이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시술자는 두 손으로 환자의 발뒤꿈치를 감싸 쥐며, 조용하게 정신을 집중하여 두개천골계의 율동적인 움직임을 느껴야 하고, 환자의 두개천골계에서 쉬지 않고 발생하는 외회전(=두개천골 움직임의 굴곡 과정), 중립위치로 복원, 그리고 내회전(=두개천골의 신전 과정)과정을 감지해야 한다. 인체는 두개골의 율동과 호흡·심장의 율동 등 여러 복합적인 움직임에 따라 몸 바깥· 중간 위치·몸 안쪽의 순서로 움직이며 다시 몸 안쪽·중간 위치·몸 바깥의 순서로 아주 미세한 율동적인 움직임을 갖는다. 시술자의 손은 이 미세한 움직임을 감촉하고 같이 움직여야 한다.
시술자는 환자의 양발이 대칭적으로 움직이는지, 어느 한쪽 발이 외회전으로 더 쉽게 움직이는지, 혹은 내회전으로 쉽게 움직이는지 감지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한발이 더 외측으로 회전한다거나, 외회전은 균일하게 이루어지나 내회전은 불균일할 수 있다. 시술자의 손은 이런 불완전한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 환자의 발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의 가동범위까지 같이 따라간다. 그 후 더 외회전하려는 발을 움직이지 않게 잡아 고정시켜 환자의 발이 중립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저지한다. 즉, 시술자는 환자의 발이 최대한의 외회전 위치에서 중립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술자가 환자의 발이 중립으로 돌아가려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부드럽게 힘을 가하는 동안, 환자의 머리를 접촉하는 다른 시술자는 두개골이 중립위치로, 그래서 두개천골 움직임이 신전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노력에 대한 미세한 저항을 느끼게 된다. 동시에 쉽게 느껴지지 않겠지만 중립위치로 돌아가고 신전하려는 움직임이 머리 쪽에서 발생한다. 머리에서 감촉되는 이런 변화는 시술자가 환자의 발을 조절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 때문이다. 두개천골계가 다시 굴곡 과정으로 돌아올 때, 시술자는 한쪽 또는 양쪽 발에서 외회전이 증가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시술자의 손은 이 외회전을 같이 따라간다. 이 외회전이 새로운 움직임의 최대 한계 범위까지 도달하고, 그리고 다시 중립위치로 돌아오려고 할 때, 시술자의 손은 다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때 두개천골계의 여러 부위는 마지못해 중립위치로 돌아온다. 그런 후 새로 증가된 저항에 대항하여 다시 신전과정으로 움직인다.
다시 느슨해진 부분을 조심스럽게 끌어당기고 내회전이 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동안 매번 외회전할 수 있는 범위는 조금씩 늘어난다. 이런 과정을 몇 회 반복한 후, 대략 5~20번 정도 반복한 후 전체적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은 없어져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스틸 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 포인트는 환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움직임에 대한 시술자의 저항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두개천골계에 있어 전반적으로 불규칙적인 움직임이 인체 조직 전체를 통해 일어나는 것이다.
두개천골계는 경련이나 박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데, 시술자가 환자의 발이 생리적 움직임의 중립위치로 복원되려는 것에 대해 계속적으로 저항을 시도하면 두개천골계의 활동은 결국 중지한다. 즉 스틸 포인트가 발생한 것이다. 이 스틸 포인트가 발생할 때 환자는 몇 가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스틸 포인트 상태에 도달하면 환자는 예전에 발생한 허리의 통증이 다시 발생하거나 또는 비활동적인 예전의 여러 통증들이 재발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호흡이 변화하고 가볍게 이마에 땀을 흘리기도 한다.
스틸 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어떤 때에는 '딱' 하는 소리가 나면서 관절이 교정된다. 이어서 환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 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 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 포인트가 발생한 후에는 오직 발에서 일어나는 가동범위와 움직임의 질적 변화를 관찰해야 한다. 만약 내회전과 외회전이 똑같은 범위로 움직이고 좌우 움직임이 대칭을 이루면 더 이상 시술할 필요가 없다. 시술자가 판단해서 발의 움직임이 충분히 대칭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면 다시 스틸 포인트에 도달하게끔 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되풀이하여 환자를 스틸 포인트에 도달케 하면 병리적인 상태는 점차 정상으로 호전된다. 그러므로 스틸 포인트를 여러 번 실행하더라도 환자는 극도로 이완 상태가 되어 수면 상태에 빠지는 현상 외에 별다른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시술자의 손은 환자의 어느 부위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의 생리적 종점까지 따라가서 다시 중립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어서 두개천골계 기능의 스틸 포인트가 발생할 때까지 느슨해진 것을 끌어당기게 된다. 그리고 스틸 포인트가 끝나고 두개천골의 활동이 호전되고 움직임이 대칭적으로 복원되면, 시술자는 다시 새롭게 생긴 두개천골계의 생리적 움직임의 형태를 조사하며 평가해야 한다. 스틸 포인트는 머리와 천골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 부위에 여러 테크닉을 적용하여 보면 다른 부위에 적용할 때보다 보통 다소 더 빠르게 스틸 포인트 효과가 나타난다. 스틸 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두개천골요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천장을 보고 누워 발베개에 발을 안착한 모습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몸통 방향을 전방, 사용자의 발바닥 방향을 후방, 사용자의 오른발 방향을 우측, 사용자의 왼발방향을 좌측 사용자의 전방을 상측 사용자의 후방을 하측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11); 및 고정저면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홈(2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를 포함하고, 측벽부(1)는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F)을 가한다.
고정홈(20)은 대략 U자, V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수용한다. 고정홈(20)은 상측이 개구되므로 사용자는 누운 상태에서 고정홈(20)에 발을 쉽게 안착시킬 수 있다. 고정저면부(11)는 고정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발 뒤꿈치인 종골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고정저면부(11)는 종골을 지지할 수 있다. 측벽부(1)는 사용자의 복사뼈(47)와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는 고정저면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측벽부(1)는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을 가한다. 측벽부(1)는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F)을 가하여 두계천골계의 움직임을 사라지게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틸 포인트를 경험하게 된다.
측벽부(1)는, 사용자의 양발 바깥쪽에 세워진 외측벽부(5)를 포함한다. 측벽부(1)는사용자의 발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고 사용자의 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는, 고정홈(20)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F)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부(5)는 사용자의 바깥쪽 복사뼈(47)와 대응되는 위치에 세워진다. 외측벽부(5)는 사용자의 새끼발가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세워진다. 외측벽부(5)는 고정저면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신전주기에서 굴곡주기로 전환되면 사용자의 발은 외회전, 즉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발은 굴곡주기 동안 측벽부(1)에 외력을 가한다. 측벽부(1)는 굴곡주기동안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을 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은 외회전이 저지되고, 이러한 현상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되면 두개천골계의 리듬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면서 움직임이 없어져 스틸 포인트를 경험하게 된다.
외측벽부(5)는 사용자의 발에 대향하여 세워진 구조물로 사용자의 발에 적당한 별도의 힘 또는 반력을 가한다. 두개천골요법은 몸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응하여 몸에 약한 반력을 가해야 하므로 메모리폼과 같이 복원력과 탄성력이 뛰어나고 부드러운 소재가 바람직 하나 인종과, 문화, 자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도는 고정에서 부드러운 정도 까지 그것에 맞게 조절 할 수 있다. 측벽부(1)는 고정저면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고정홈(20)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11); 및 고정저면부(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고정홈(2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를 포함하고, 측벽부(1)는, 스틸 포인트 상태를 유도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을 정상화하는 천골의 굴곡주기를 저지하도록 사용자의 양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을 가한다. 신전주기와 굴곡주기는 뇌척수액의 흐름으로 유발되므로 굴곡주기를 저지하면 두개천골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측벽부(1)는 탄성력을 사용자의 양발에 가한다. 따라서 측벽(1)은 사용자의 양발이 외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굴곡주기를 저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틸 포인트로 유도된다.
고정홈(20)은 복수로 형성되고, 측벽부(1)는, 복수의 고정홈(20) 사이에 형성된 내측벽부(3)를 포함한다. 고정홈(20)은 복수로 형성되고, 측벽부(1)는, 복수의 고정홈(20)들 사이에 형성된 내측벽부(3); 및 내측벽부(3)와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고정홈(20)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하는 외측벽부(5)를 포함한다. 고정홈(20)은 사용자의 양발을 모두 삽입할 수 있도록 두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측벽부(1)는 내측벽부(3)와 외측벽부(5)로 형성되고, 내측벽부(3)는 고정홈(20)들 사이에 형성된다. 외측벽부(5)는 복수로 형성되어야 하나, 내측벽부(3)는 대칭구조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부(5)는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측벽부(3)와 외측벽부(5)는, 사용자의 허벅지(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종아리(41) 및 허벅지(42)를 수용하는 수용홈(20)을 형성한다. 수용홈(20)은 사용자의 허벅지(42)와 종아리(41)를 수용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두개천골요법은 몸의 두개천골리듬(CSR)의 미세한 움직임에 대응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몸은 최대한 편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허벅지(42)와 종아리(41)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수용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21)를 포함하고, 고정저면부(11)와 수용저면부(21)의 연결지점은 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고정저면부(11)와 수용저면부(21)를 턱지게 연결하는 연결턱(3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턱(30)은 수용저면부(21)과 고정저면부(11)사이에 형성된다. 연결턱(30)은 수용저면부(21)과 고정저면부(11)의 연결지점에 형성된다. 수용저면부(21)는 수용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수용저면부(21)는 허벅지(42)와 종아리(41)의 하중을 지지한다. 연결턱(30)은 수용저면부(21)와 고정저면부(11)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연결턱(30)은 턱지게 형성되어 수용저면부(21)와 고정저면부(11)를 구분한다.
다른 예로, 연결지점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발 뒷꿈치가 하측으로 내려가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이 굽어지도록 수용저면부(21)와 고정저면부(11)의 밀도나 경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인체의 다리부분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턱(30)에서 수용저면부(21)는 고정저면부(11)보다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종아리(41)와 허벅지(42)를 수용하는 수용홈(20)의 바닥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21)를 포함하고, 수용저면부(21)와 고정저면부(11)의 연결턱(30)에는 사용자의 아킬레스건(45)이 놓여진다. 수용저면부(21)는 고정저면부(1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저면부(11)에 수용된 발은 발등이 펴지게 된다. 또한, 연결턱(3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아킬레스건(45)이 놓여지게 되므로 발의 자중에 의해 발이 고정홈(20)에서 숙여지면 아킬레스건(45) 또한 이완된다. 따라서 발등의 근육과 발등과 다리를 연결하는 근육 및 아킬레스건(45) 등이 이완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3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홈(20)은, 연결턱(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진후 상승하고 다시 낮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내측벽부(3)와 외측벽부(5)는, 사용자의 허벅지(42)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수용홈(20)은 연결턱(30)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 사용자의 종아리(41)는 볼록하게 솟아 있으므로 수용홈(20)의 높이가 낮아지는 부분은 사용자의 종아리(41)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20)은 일정 지점에서는 다시 상승하여 높아질 수 있다. 다시 상승하여 높아진 부분에는 사용자의 무릎관절과 대응하는 지점일 수 있다. 사용자의 무름관절 부분은 허벅지(42)나 종아리(41)에 비하여 근육이 양이 적으므로 이 부분의 직경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종아리(41)를 지지하는 부분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용홈(20)은 사용자의 종아리(41)를 지지하는 부분을 지나 다시 낮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 부분은 사용자의 허벅지(42)를 지지한다. 허벅지(42)는 근육이 양이 많기 때문에 종아리(41)를 지지하는 부분보다 수용홈(20)의 높이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벅지(42)는 엉덩이를 이루는 대둔근과 연결되므로 수용홈(20)의 단부를 이루는 수용저면부(21)는 대둔근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다만, 수용저면부(21)는 대둔근까지 지지할 필요는 없으므로 대둔근 전방에서 높이가 0이 되면 충분하다.
내측벽부(3)와 외측벽부(5)는 수용홈(20)과 지지홈의 높이에 무관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굴곡주기를 저지하기 위해 고정해야 하는 부분은 사용자의 발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종아리(41)와 허벅지(42)는 최대한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한함을 유도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11); 고정저면부(11)와 턱지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41)와 사용자의 허벅지(42)가 수용되는 수용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21); 및 고정홈(20)과 수용홈(20)의 측면을 형성는 측벽부(1)를 포함하고, 측벽부(1)는, 고정홈(20)으로부터 사용자의 허벅지(42)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H)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측벽부(1)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고정홈(20)은 U 또는 V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11); 고정저면부(11)와 턱지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41)와 사용자의 허벅지(42)가 수용되는 수용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21); 및 고정홈(20)과 수용홈(20)의 측면을 형성는 측벽부(1)를 포함하고, 측벽부(1)는, 고정홈(20)으로부터 사용자의 허벅지(42)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다. 고정홈(20)은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고, 수용홈(20)은 사용자의 허벅지(42)와 종아리(41)를 수용한다. 신전주기와 굴곡주기동안 주기적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부분은 발이므로, 굴곡주기를 억제하여 스틸 포인트를 유동하기 위해 측벽부(1)는 발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따라서 측벽부(1)는 발이 깊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높게 형성된다. 한편, 종아리(41)와 허벅지(42)는 사용자가 편하게 누워있을 수 있도록 간섭을 억제해야 한다. 다만, 사용자의 종아리(41)와 허벅지(42) 근육의 양은 사용자의 식습관 및 운동량에 따라 다르므로 사용자의 허벅지(42)와 종아리(41)를 구속하지 않기 위해 측벽부(1)의 높이(H)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측벽부(3)는 수평방향 두께가 사용자의 허벅지(42)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질 수 있다. 수용홈(20)은 고정홈(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방향 폭이(d1) 증가한다. 내측벽부(3)는 사용자의 양발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내측벽부(3)는 고정홈(20)과 수용홈(20) 사이에 형성된다. 근육의 양은 종아리(41)보다 허벅지(42)가 많으므로 내측벽부(3)의 수평방향 두께(너비)(d2)는 사용자의 허벅지(42) 방향(전방)으로 갈수록 줄어든다. 내측벽부(3)의 두께(d2)에 대응하여 수용홈(20)의 폭(d1)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점차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는, 수용홈(2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파인 홀(23)이 형성된 수용저면부(21)를 포함한다. 수용저면부(21)는 홀(23)이 형성된다. 홀(23)은 상하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수용저면부(21)는 메모리폼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저면부(21)는 사용자의 다리근육으로 인해 하중이 가해지면 변형될 수 있다. 수용저면부(21)는 복수의 홀(23)이 형성되고, 하중이 가해지면 홀(23)의 공간이 줄어들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홀(23)로 인해 수용저면부(21)의 변형량이 증가하므로 수용홈(20)은 사용자의 다리 근육을 감싸도록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의 작용을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측벽부(1)는, 사용자의 양발의 발꿈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사용자의 발가락을 기준으로, 신전주기동안 사용자의 발가락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굴곡주기동안 사용자의 발가락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의 발꿈치를 기준으로, 신전주기동안 사용자의 양발은 발꿈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굴곡주기동안 사용자의 양발은 발꿈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측벽부(1)는 굴곡주기를 억제하므로 사용자의 발꿈치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것 및 사용자의 발가락이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저지 한다. 측벽부(1)는 굴곡주기를 저지 하도록 사용자의 발에 별도의 힘 또는 반력(F)을 가한다. 반력(F)은 탄성력일 수 있다.
1: 측벽부 3: 내측벽부
5: 외측벽부 10: 고정홈
11: 고정저면부 20: 수용홈
21: 수용저면부 23: 홀
30: 연결지점 41: 종아리
42: 허벅지 45: 아킬레스건
47: 복사뼈 h: 외측벽부의 높이
d1: 수용홈의 수평방향폭 d2: 내측벽부의 수평방향두께

Claims (17)

  1.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양발이 서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사용자의 발에 힘을 가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양발 바깥쪽에 세워져 사용자의 발 바깥쪽을 지지하는 외측벽부를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 사이에 형성된 내측벽부를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외측벽부는,
    사용자의 허벅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종아리 및 허벅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와 상기 수용저면부를 턱지게 연결하는 연결턱을 더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턱이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수용저면부와 상기 고정저면부는 고저차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저면부는 상기 수용저면부보다 낮은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연결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진후 상승하고 다시 낮아지는 형상인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파인 홀이 형성된 수용저면부를 더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부는 수평방향 두께가 사용자의 허벅지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외측벽부는,
    사용자의 허벅지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1.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상기 고정저면부와 턱지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종아리와 사용자의 허벅지가 수용되는 수용홈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 및
    상기 고정홈과 상기 수용홈의 측면의 형성은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고정홈이 상기 수용홈보다 깊도록 사용자의 끝에서 사용자의 종아리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발의 자중에 의해 변형되고 사용자의 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홈들 사이에 형성된 내측벽부; 및
    상기 내측벽부와 마주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홈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하는 외측벽부를 포함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방향 폭이 증가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5. 사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고정홈의 하측면을 형성하는 고정저면부; 및
    상기 고정저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뇌척수액의 흐름으로 유발되는 천골의 굴곡주기를 저지하도록 사용자의 양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사용자의 양발의 발이 외회전 되어 벌어지면서 발꿈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종아리와 허벅지를 수용하는 수용홈의 바닥을 형성하는 수용저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저면부와 상기 고정저면부의 연결턱에는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이 놓여지는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1020140070975A 2014-06-11 2014-06-11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20150142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75A KR20150142344A (ko) 2014-06-11 2014-06-11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US15/317,109 US20170119624A1 (en) 2014-06-11 2015-06-11 Leg pillow for physiotherapy
PCT/KR2015/005868 WO2015190838A2 (ko) 2014-06-11 2015-06-11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CN201590000711.7U CN207755536U (zh) 2014-06-11 2015-06-11 物理治疗用腿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75A KR20150142344A (ko) 2014-06-11 2014-06-11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44A true KR20150142344A (ko) 2015-12-22

Family

ID=5483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75A KR20150142344A (ko) 2014-06-11 2014-06-11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19624A1 (ko)
KR (1) KR20150142344A (ko)
CN (1) CN207755536U (ko)
WO (1) WO201519083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69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20180002554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2867A1 (en) * 2016-06-29 2018-01-04 Pandit Akshaya Intersectional impact training tools
US10842292B2 (en) * 2016-09-01 2020-11-24 Steven Paperno Support pad for infant
US11659941B2 (en) * 2016-09-01 2023-05-30 Steven Paperno Support assembly for infant
USD808686S1 (en) * 2016-12-14 2018-01-30 SnoozeWell, LLC Pillow
US9943179B1 (en) 2016-12-14 2018-04-17 SnoozeWell, LLC Upright sleep system
US10893762B2 (en) 2018-01-26 2021-01-19 Banyan Licensing L.L.C. Pillow apparatus
USD846312S1 (en) 2018-06-15 2019-04-23 Banyan Licensing L.L.C. Pillow
USD898443S1 (en) * 2019-06-10 2020-10-13 Ontel Products Corporation Leg pillow cushion
USD921913S1 (en) * 2020-02-01 2021-06-08 Xuejun Chen Foot massage apparatus
USD975471S1 (en) * 2020-12-08 2023-01-17 Yang Zhang Cervical pillow
USD948066S1 (en) * 2021-03-26 2022-04-05 Nekteck, Inc Foot massager
USD998381S1 (en) * 2021-06-18 2023-09-12 Medsapiens Co., LTD. Multipurpose support for physical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79Y2 (ja) * 1989-06-06 1995-03-1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中空糸の製造装置
KR100911100B1 (ko) * 2008-09-17 2009-08-06 주식회사 효민산업 척추 교정을 위한 발 베게.
KR200458404Y1 (ko) * 2009-03-31 2012-02-15 정춘길 건강용 발 베개
KR101087715B1 (ko) * 2011-05-24 2011-11-30 조흥곤 발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69A1 (ko) * 2016-06-29 2018-01-04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20180002554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838A2 (ko) 2015-12-17
CN207755536U (zh) 2018-08-24
WO2015190838A3 (ko) 2017-02-02
US20170119624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2344A (ko)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101610933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KR102079421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JP4338101B1 (ja) 下肢健康器具
US10136699B1 (en) Massaging insole for footwear with mechanic and magnetic energy
KR101598065B1 (ko) 물리치료용 척추 지지대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JP4888826B2 (ja) 浴槽装置
WO2022137756A1 (ja) マッサージ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血糖値管理システム
KR101796568B1 (ko)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CN107789154B (zh) 采用加速度运动促进脑神经康复的训练装置
KR102380477B1 (ko) 물리치료용 다리 베개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160013230A (ko) 물리치료용 척추 지지대
KR101682360B1 (ko) 발끝치기 운동기구
KR101913098B1 (ko) 물리치료용 골반 교정베개
JP6963227B1 (ja) 血糖値コントロール用マッサージ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血糖値管理システム
RU159056U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обувь
CN204070760U (zh) 一种保健鞋
Azzam Efficacy of induced spherical based modified balance board on improvement of sitting level stage in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KR20190021968A (ko) 샴푸 목받침대 및 미용실용 샴푸장치
KR200329355Y1 (ko) 다용도 베개
JP2543241Y2 (ja) 健康器具
Hage The Back Pain Book
CN202722698U (zh) 健身足底按摩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3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3

Effective date: 2017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