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37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37A
KR20150142337A KR1020140070945A KR20140070945A KR20150142337A KR 20150142337 A KR20150142337 A KR 20150142337A KR 1020140070945 A KR1020140070945 A KR 1020140070945A KR 20140070945 A KR20140070945 A KR 20140070945A KR 20150142337 A KR20150142337 A KR 2015014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crystal display
polariz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964B1 (en
Inventor
박원기
이대흥
박혜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964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and electrically connects a conductive concrescence layer to a structure assembling a liquid crystal panel, and grounds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simplifying manufacturing process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the liquid crystal panel; a receiving unit receiving and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 first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a lo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grounding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receiving unit.

Description

정전기 방전구조를 가진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정전기 방전구조를 가진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n electrostatic discharge structure with low cost and improved reliability.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고해상도가 용이하고 경박화가 가능하므로, 대면적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and a notebook computer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flat panel display device for a light and small size. In addition,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and slimmer at high resolution, and thus is applied to a large-area display device.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 대면적 화면의 실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장치(LCD)가 주로 각광을 받고 있다.As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have been actively studied. However,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are in the limelight nowadays because of realization of a large area screen.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표시소자로서, 액정분자의 굴절률 이방성에 의해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화면상에 표시하는데, 액정층 내에 분포되는 액정분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transmissive display device in which a desir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by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By arranging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distribut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in a certain direc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imag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ayer.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를 배열하는 방식에 따라 VA(Vertical Alignment)모드, 네마틱(Nematic)모드, 횡전계(In plane switching)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모드가 존재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various driving modes such as VA (Vertical Alignment) mode, Nematic mode, In Plane switching mode,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and the like depending on a method of arranging liquid crystal molecules .

이러한 다양한 구동모드의 액정표시장치중에서 액정분자가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면을 따라 회전하여 광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시야각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IPS모드와 FFS모드의 액정표시장치가 주로 사용된다.Of thes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of various driving modes, an IPS mode and an FF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rotate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re mainly used.

그러나, IPS모드와 FFS모드 액정표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IPS mode and FF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IPS모드와 FFS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층내에 인가되어 액정분자를 배열하는 전계가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는 외부의 조건 등에 의해 장치 외부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근래 터치패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신호의 입력을 위해 사람의 손이 터치패널에 수시로 접촉하게 되는데, 이러한 손의 접촉은 액정표시장치 외부에 정전기를 발생하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of the IPS mode and the FFS mode, an electric field appli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to arrange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outside the device due to external conditions or the lik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nel in recent years, human hands are often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panel for inputting a signal. Such hand contact is an important cause for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out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액정표시장치 외부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정전기는 액정층 내부에 형성되는 전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IPS모드와 FFS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 전계는 기판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데 반해, 정전기는 기판의 외부에 형성되므로, 정전기에 의한 전계는 기판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static electricity affects an electric field formed inside the liquid crystal layer. In the IPS mode and FF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 electric field is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as the static electric field is formed outside the substrate, so that the electric field by the static electricity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따라서, 액정층 내에 기판과 평행한 수평전계가 형성될 때,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즉 기판의 외부 표면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기에 의한 수직전계에 의해 액정층 내의 수평전계가 왜곡되는데, 이러한 전계의 왜곡은 액정층의 액정분자의 배열을 왜곡하게 되어, 정전기 발생영역의 액정분자가 기판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배열되도록 한다. 그 결과, 정전기 발생영역에서 빛샘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화면상에 얼룩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horizontal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s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on the out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horizontal electric fiel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is distorted by the vertical electric field due to static electricity, This distortion of the electric field distorts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liquid crystal layer so that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region are not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ut arranged at a certain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urface. As a result, a light leakage phenomenon occurs in the region where the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resulting in defects such as spots on the screen.

이러한 정전기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IPS모드와 FFS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전극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정전기 제거전극이 형성된 종래 표시소자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defects due to static electricity, electrodes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re form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IPS mode and the FFS mode. FIG. 1 shows a conventional display element formed with such a static elimination electrod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는 액정패널(10)과 터치패널(8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0 and a touch panel 80.

상기 액정패널(10)은 박막트랜지스터와 공통전극 및 화소전극 등과 같은 각종 어레이가 형성되는 제1기판(20)과 컬러필터층이 형성되는 제2기판(30), 상기 제1기판(20) 및 제2기판(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40)으로 이루어진다. The liquid crystal panel 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20 on which various array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and common electrodes and pixel electrodes are formed, a second substrate 30 on which a color filter layer is formed, And a liquid crystal layer (40) form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30).

터치패널(80)은 유리커버(82)와 터치전극(84)으로 이루어져 액정패널(10)에 부착된다.The touch panel 80 includes a glass cover 82 and a touch electrode 84 and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0.

상기 제2기판(30)의 배면, 즉 액정층(40)에 접하는 면의 반대면(즉, 제2기판의 배면)에는 정전기 제거용 배면전극(31)이 형성되고 제2기판(30)의 외부로 노출된 제1기판(20)의 더미영역에는 접지(21)가 형성되며, 은도트(36)에 의해 상기 배면전극(31)과 접지(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 back electrode 31 for static elimination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contacting the liquid crystal layer 40 (that is,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 ground 21 is formed in the dummy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20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ack electrode 31 and the ground 21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silver dots 36.

상기 배면전극(31)은 ITO(Indium Tin Oixde)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터치패널(80)의 터치나 외부의 환경 등에 의해 액정패널(10) 외부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정전기가 상기 배면전극(31)으로 수집된 후 은도트(36)를 통해 접지(21)로 방출되어 정전기가 제거된다.The back electrode 31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ndium Tin Oxide). 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out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10 due to a touch of the touch panel 80 or an external environment, After the static electricity is collected by the back electrode 31, the static electricity is discharged through the dots 36 to the ground 21 and the static electricity is removed.

또한, 액정패널(10)의 양면에는 각각 제1편광판(60) 및 제2편광판(70)이 부착되어 액정층(40)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한다.A first polarizing plate 60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70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0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0.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배면전극(31)을 제2기판(30)의 배면에 형성하여 은도트를 통해 접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배면전극 형성공정, 은도트 공정 등의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방법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은을 사용해야만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back electrode 31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silver dots. Therefore,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because expensive silver should be used.

또한, 상기 은도트(36)는 제1기판(20)의 내부면과 제2기판(30)의 외부면 사이에 형성되므로, 은토트(36)는 제2기판(30) 두께만큼의 단차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단차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배면전극(31)으로부터 정전기가 접지(21)로 방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Since the silver dots 36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 A problem arises that static electricity is not discharged from the back electrode 31 to the ground 21 when a crack occurs due to the step difference.

한편, 근래 터치전극이 액정패널(10)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의 인셀터치(in-cell touch)방식의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ITO와 같은 저항이 작은 도전물질이 제2기판(3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액정패널(10)을 터치할 때 터치신호가 배면전극(31)에서 검출되어 터치전극에는 터치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cell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electrode is formed in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small resistance such as ITO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0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by the back electrode 31 when touching the liquid crystal panel 10 and the touch signal is not recognized on the touch electrod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표시소자의 모듈단위 구조물과 세트 외장과 직접 접촉하는 정전기 배출경로를 형성하여, 제조비용과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which can simplify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process by forming a module unit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n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in direct contact with a set case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수납부; 상기 액정패널의 하면에 부착된 제1편광판; 및 전도성을 갖는 합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에 부착되며, 수납부와 합착층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액정패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상기 수납부로 접지시키는 제2편광판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panel;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 first polarizer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second polariz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second polarizer being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by direct electrical connection to ground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수납부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어 액정패널을 조립하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과 결합하며, 제2편광판의 전도성 합착층과 접촉하는 도전성 가이드바로 이루어져 액정패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하는 도전성 가이드바로 이루어지거나, 액정패널이 설치되는 전자기기 세트의 외장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lower cover; A guide panel coupled to the lower cover to assemble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n outer frame of the electronic device set in which the liquid crystal panel is installed, or a conductive guide ba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panel and discharges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conductive guide bar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plate .

합착층은 106-1013Ω/cm2의 저항, 바람직하게는 109-1011의 저항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The adhesion lay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of 10 6 -10 13 Ω / cm 2 , preferably a resistance of 10 9 -10 11 .

상기 제2편광판은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의 제1면에 형성된 편광체; 및 상기 편광체에 형성된 전도성 합착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체의 제2면에는 제1표면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er includes a first support; A polarizer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a conductive adhesion layer formed on the polarizer,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또한, 상기 제1지지체와 편광체 사이에는 제2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의 제2면에는 제2표면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체와 도전성 합착층 사이에는 도전층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support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polarizer, and a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 conductive layer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서는 액정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도전성 합착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직접 전도성을 갖는 액정표시소자 모듈 또는 세트 외부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도전성 합착층을 갖는 보호층을 액정패널의 상면에 부착할 때 상기 합착층을 액정표시소자 모듈 또는 세트 외부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정전기를 상기 액정표시소자 모듈 또는 세트 외부프레임으로 접지하여 방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a liquid crystal panel so that the polarizing pl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odule or a set outer frame having direct conductivity, or a protective layer hav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attached , The cigarette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odule or the set outer frame, and the static electricity is ground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odule or the set outer frame and discharged.

따라서, 은도트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접지하는 종래에 비해, 고가의 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은도트 형성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grounding static electricity using silver dots, since expensive silver is not us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a silver dot forming step is not necessary,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편광판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편광판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도 5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제2편광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rst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econd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는 종래 사용되는 정전기 제거용 전극 및 은도트를 제거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액정패널이 아닌 편광판에 정전기 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ly used electrostatic eliminating electrodes and silver dots are removed to simplify the process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r, not a liquid crystal panel, is provided with an electrostatic removing mean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특히,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액정표시소자의 프레임과 같은 외부 구조물에 직접 접촉하여 정전기를 상기 외부 구조물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정전기 배출경로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은도트와 같은 고가의 전기적 접촉수단이 필요없게 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er is provided with conductivity, and the static electricity is discharged through the external structure by directly contacting an external structure such as a fram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hereby eliminating a separate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Therefore, expensive electrical contact means such as silver dots are not requir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구조의 액정표시소자는 액정패널과 백라이트를 조립하는 모듈 단위의 액정표시소자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this structure is a module unit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for assembling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backligh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101)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110)과 상기 액정패널(110)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190)로 이루어진다.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10 for realizing an image and a backlight 190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s shown in FIG.

액정패널(110)은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되고 각각의 화소에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제1기판(120), 컬러필터층 및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는 제2기판(130), 상기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도면표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120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defined by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having pixel electrodes, common electrodes, and thin film transistors formed in each pixel, a color filter layer,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20 and the second substrate 130.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의 액정패널(110)에서는 제1기판(120)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기판(120)의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며 이 전계가 액정층에 인가되어 액정분자의 배향을 조절하여 상기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때,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30)에는 각각 백라이트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제1편광판(160) 및 액정층을 투과한 광을 편광시키는 제2편광판(170)이 부착되어 광의 편광방향을 제어한다.I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n externa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20,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of the first substrate 120,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to adjust the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so that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is controlled to realize an image. The first substrate 120 and the second substrate 130 are attached with a first polarizer 160 for polarizing light incident from a backlight and a second polarizer 170 for polarizing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Thereby controll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ight.

또한, 상기 액정패널(110)은 제1기판(120)에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의 형성되어 전계가 기판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IPS모드(In-Plane Switching mode) 및 FFS모드(Finge Field Switching mode) 액정패널 뿐만 아니라 제1기판(120)에 화소전극이 형성되고 제2기판(130)에 공통전극이 형성되는 TN모드(Twist Nematic mode) 액정패널에도 적용 가능한다.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cludes an IPS mode (in-plane switching mode) and an FFS mode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are formed on a first substrate 120 and an electric field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urface of the substrate. (Twist Nematic mode)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a pixel electrode is formed on a first substrate 120 and a common electrode is formed on a second substrate 130, as well as a liquid crystal panel.

또한, 액정패널(110)의 제1기판(120)에는 사용자가 액정표시소자를 터치했을 때 이를 감지하는 터치전극이 형성되어 터치에 의한 신호를 액정패널(110)에 입력한다.A touch electrode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120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o sens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n the user touch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touch signal is inpu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백라이트(190)는 액정패널(110)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광원(191)과, 상기 액정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원(191)에서 발광된 광을 인도하여 상기 액정패널(110)로 공급하는 도광판(193)과, 상기 액정패널(110)과 도광판(19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193)에서 인도되어 액정패널(110)로 공급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시트(196)와, 상기 도광판(193)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93) 하부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194)로 구성된다.The backlight 190 includes a light source 19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o emit light and a light source 191 disposed below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o guid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91, A diffusion plate 193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light guide plate 193 for diffusing and condensing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93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a reflective plate 194 dispos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193 and reflect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93. The optical sheet 196 is made of a sheet,

광원(191)으로는 형광램프나 LED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191)으로서 LED를 사용하는 경우, LED(191)가 실장되는 LED기판(292)이 구비되어 외부의 신호가 LED기판(192)을 통해 LED(191)로 입력됨으로써 LED(191)로부터 광이 발광된다. As the light source 191, a fluorescent lamp or an LED may be used. When an LED is used as the light source 191, an LED substrate 292 on which the LED 191 is mounted is provided so that an external signal is input to the LED 191 through the LED substrate 192, .

광원으로서 CCFL(cold cathod fluorescent lamp)나 EEFL(external eletrode fluorescent lamp)와 같은 형광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형광램프는 도광판(193)의 측면에 설치되는 램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형광램프에서 발광된 광이 램프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반사층에서 반사되어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입력된다.When a fluorescent lamp such a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or an external eletrode fluorescent lamp (EEFL) is used as the light source, the fluorescent lamp is disposed inside the lamp housing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93,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formed inside the lamp housing and input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도광판(193)은 광원(191)으로부터 입력된 광을 액정패널(110)로 인도하기 위한 것으로, 도광판(193) 하면 또는 일측면으로 입사된 광이 도광판(193) 내부에서 반사되어 타측면까지 전파된 후, 도광판(193)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193)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에는 입사되는 광을 산란시키기 위해 패턴이나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guiding plate 193 is for guiding the light inputted from the light source 191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light incident on the bottom surface or one side surface of the light guiding plate 193 is reflected inside the light guiding plate 193, And then outputt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93. At this time, the light guide plate 193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pattern or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scatter incident light.

광학시트(196)는 도광판(193)에서 출력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패널(110)로 공급된다. 상기 광학시트(196)는 도광판(193)에서 출력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을 집광하여 액정패널(110)에 균일한 광이 공급되도록 하는 프리즘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확산시트는 1매 또는 2매가 구비되며, 프리즘시트는 프리즘이 x,y-축방향으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2매로 이루어져 x,y-축 방향에서 광을 굴절시켜 광이 직진성을 향상시킨다.The optical sheet 196 is suppli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ight output from the light guide plate 193. [ The optical sheet 196 includes a diffusion sheet for diff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guide plate 193 and a prism sheet for condensing the light diffused by the diffusion sheet to supply uniform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t this time, the diffusion sheet is provided with one sheet or two sheets, and the prism sheet is composed of two sheets of prisms crossing vertically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to refract light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to improve the straightness.

상기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190)는 가이드패널(104)에 의해 지지된 후 하부커버(102)와 가이드패널(104)이 결합되어 상기 액정패널(110)과 백라이트(190)가 조립된다.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backlight 190 are supported by the guide panel 104 and then the lower cover 102 and the guide panel 104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ssemble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the backlight 190 .

이때, 상기 가이드패널(104)의 일정 폭을 갖는 사각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액정패널(110)이 놓여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패널(104)의 상면과 액정패널(110)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패드(108)가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anel 104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n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has elasticit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nel 104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pad 108 is provided to absorb an external impact, thereby preventing defect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편광판(160)은 액정패널(110)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커버(102) 내부에 배치지만, 제2편광판(170)은 액정패널(1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액정표시소자의 조립시 제2편광판(170)의 액정패널(110)의 외부로 연장된다.The first polarizing plate 16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disposed within the lower cover 102 but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of the second polarizer 170 when assemb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액정패널(110)의 외부로 연장된 제2편광판(170) 하부에는 가이드바(106)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바(106)는 나사(103)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가이드패널(104) 및 하부커버(102)와 결합된다.A guide bar 106 is formed under the second polarizer 170 extending out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guide bar 106 is coupled to the guide panel 104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screw 103, And the lower cover 102,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바(106)의 상면은 연장된 제2편광판(170)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때, 가이드바(106)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물질로 형성되고 가이드패널(104)과 하부커버(102) 역시 전도성이 좋은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06)가 하부커버(1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ar 106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second polarizing plate 170. The guide bar 106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and the guide panel 104 and the lower cover 102 are also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guide bar 106 protrudes from the lower cover 102, Respectively.

상기 제2편광판(170)은 전도성 편광판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해 액정표시소자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기는 제2편광판(170)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편광판(170)은 가이드바(106)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므로, 제2편광판(170)이 가이드바(106), 가이드패널(104) 및 하부커버(1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편광판(170)의 정전기가 가이드바(106) 및 가이드패널(104)를 통해 하부커버로 접지되어 제거된다.The second polarizer 170 is a conductive polarizer. Therefore, 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ue to user's touch or the like, the static electricity is collected i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Since the second polarizer 17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guide bar 106, the second polarizer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uide bar 106, the guide panel 104 and the lower cover 102 ,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grounded and removed through the guide bar 106 and the guide panel 104 to the lower cover.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제1편광판(160) 및 제2편광판(17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160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respectively.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편광판(160)은 제1지지체(162)와 제1편광체(16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편광체(164)는 자연광을 임의의 편광된 광으로 변환될 수 있는 필름이다. 이때, 상기 제1편광체(164)는 입사되는 빛을 직교하는 2개의 편광성분으로 나누었을 때, 2개의 편광성분중 하나의 편광성분은 통과시키고 다른 편광성분은 흡수,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체(164)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필름, 2색성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O형 편광체 및 리오트로픽(lyotropic) 액정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E형 편광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162)는 상기 제1편광체(164)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위상지연(retardation)이 없는 일반적인 보호필름(protection film)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하지만, 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TAC)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 3A, the first polarizer 160 includes a first support 162 and a first polarizer 164. The first polarizer 164 is a film that can convert natural light into arbitrary polarized light. At this time, when the incident light is divided into two polarizing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first polarizing member 164 has a function of allowing one polarized component of two polarized components to pass through and absorbing, reflecting, or scattering other polarized components May be used. The optical film used for the first polarizer 16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olymer film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PVA) based resin containing iodine or dichroic dye as a main component, 2 An O-type polarizer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a coloring material and a liquid crystal compound are align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an E-type polarizer in which a lyotropic liquid crystal is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first support 162 serves to protect the first polarizer 164 and is formed of a general protection film having no retardation. Any of these protective films can be used, but mainly triacetylcellulose (TAC) is used.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판(170)은 제2지지체(172)와, 상기 제2지지체(172) 일면에 형성된 제2편광체(174)와, 상기 제2편광체(174)에 형성된 제3지지체(176)와, 상기 제3지지체(176)에 형성된 합착층(177)으로 구성된다.3B, the second polarizer 170 includes a second support 172, a second polarizer 174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172, a second polarizer 174, A third support 176 formed on the third support 176, and a sealant layer 177 formed on the third support 176.

상기 제2지지체(172)와 제3지지체(176)는 제2편광체(17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제1편광판(160)의 제1지지체(162)와 마찬가지로 TAC와 같이 위상지연이 없는 보호필름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2편광체(174)는 제1편광체(164)와 마찬가지로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필름, 2색성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O형 편광체 및 리오트로픽(lyotropic) 액정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E형 편광체 등을 사용한다.The second support body 172 and the third support body 176 are disposed with the second polarizer 174 interposed therebetween. Like the first support body 162 of the first polarizer plate 160, Do not use protective film. The second polarizer 174 may be a polymer film mainly composed of a polyvinyl alcohol (PVA) based resin containing iodine or a dichroic dy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olarizer 164, An O-type polarizer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an E-type polarizer in which a lyotropic liquid crystal is aligned in a certain direction.

합착층(177)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 점착제로는 주로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을 사용하며, 접착제로는 주로 에폭시계 또는 아크릴계 물질과 같은 UV경화 또는 열경화 물질을 사용한다.The adhesive layer 177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n adhesiv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acrylic or silicone-based material is mainly used. As the adhesive, a UV-curable or thermosetting substance such as an epoxy-

상기 합착층(177)은 전도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합착층(177) 내에는 금속 등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파우더형태의 도전부재가 분산된다. 이때, 파우더형태의 도전부재의 형태는 수십nm-수㎛ 크기의 볼형상, 원기둥 형상, 다각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도전부재이며, 그 밀도는 합착층의 전도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adhesion layer 177 has conductivity. In order to impart such conductivity, a powder-type conductive member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a metal or the like is dispersed in the adhesion layer 177. At this time, the form of the powder-form conductive member is a conductive member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ball shape,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nm to several 탆, and the density thereof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uctivity of the adhesion layer.

합착층(177)의 저항이 1013Ω/cm2 이상으로 되면 정전기 제거성능이 저하되고, 합착층(177)의 저항이 106Ω/cm2, 이하로 되면 정전기 제거성능이 향상되지만 합착층(177) 에 의한 터치신호의 감지로 인해 터치전극의 인식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합착층(177)의 저항을 106-1013Ω/cm2, 바람직하게는 109-1011Ω/cm2를 갖도록 하며, 이 저항값에 대응하도록 합착층(177)에 포함되는 도전부재의 밀도를 결정한다.When the resistance of the adhesion layer 177 is 10 13 ? / Cm 2 or more, the static elimin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When the resistance of the adhesion layer 177 is 10 6 ? / Cm 2 or less, The detection of the touch signal by the touch sensor 177 deteriorates the recognition of the touch electrod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of the sealant layer 177 is 10 6 -10 13 Ω / cm 2 , preferably 10 9 -10 11 Ω / cm 2 , and the density of the conductive member included in the adhesion layer 177 is determi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sistance value.

상기 합착층(177)은 제2편광판(17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2편광판(170)의 하면이 가이드바(106)와 부착되므로, 전도성을 갖는 합착층(177)이 가이드바(10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The adhesion layer 177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attached to the guide bar 106 so that the adhesion layer 177 having conductivity is formed on the guide bar 106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터치기구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소자의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액정패널(110)의 내부에 형성된 터치전극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When a user touches a scree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mechanism such as a finger or a pen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touch of the user is sensed by a touch electrode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터치시 액정표시소자에는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는 액정패널, 특히 IPS모드 액정패널이나 FFS모드 액정패널의 액정층의 액정분자 배열을 왜곡하여 화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발생한 정전기는 제2편광판(170)의 전도성 합착층(177)으로 모인 후, 가이드바(106) 및 가이드패널(104)을 거쳐 하부커버(102)로 접지되어 제거된다.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pon touching. Such static electricity causes distor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n the liquid crystal layer of the liquid crystal panel, especially the IPS mode liquid crystal panel or the FFS mode liquid crystal panel, and causes unevenness on the screen. The generated static electricity is collected by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77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and is then grounded and removed by the lower cover 102 via the guide bar 106 and the guide panel 104.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편광판(170)과 가이드바(106) 사이에는 별도의 도전테이프가 구비되어 제2편광판(170)의 합착층과 가이드바(106)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전테이프에 의해 제2편광판(170)과 가이드바(106) 사이의 접착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2편광판(170)과 가이드바(106) 사이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parate conductive tap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olarizer 170 and the guide bar 106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dhesion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170 and the guide bar 106. This conductive tape not only improves the adhesive property betwee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and the guide bar 106 but also reduces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and the guide bar 106, .

종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액정패널의 배면에 형성되어 정전기를 제거하는 배면전극이 ITO와 같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ITO는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즉, 저항이 작기 때문에), 액정패널(110) 내부에 터치전극이 형성된 인셀터치방식의 경우 액정표시장치를 터치할 때 터치신호가 ITO에서 검출되어 터치전극에는 터치신호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back electrode, which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removes static electricity, is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Since the ITO has high conductivity (that is, In the case of the in-cell touch method in which a touch electrode is formed inside, there is a problem that a touch signal is detected by the ITO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touched, and the touch signal is not recognized on the touch electrod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ITO 등의 배면 전극 대신에 제2편광판(170)의 합착층(177)을 106-1013Ω/cm2, 바람직하게는 109-1011Ω/cm2의 고저항을 갖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를 터치할 때 터치신호가 전도성 합착층(177)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터치전극에 의해 검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layer 177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formed of a high resistivity of 10 6 -10 13 Ω / cm 2 , preferably 10 9 -10 11 Ω / cm 2 , The touch signal can be detected by the touch electrode without being detected by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77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touched.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106)는 전도성 편광판(170)을 하부커버(102), 즉 접지와 연결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치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가이드바(106)는 구조적인 기능이 아닌 정전기를 접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경로로 사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ar 106 is disposed to remove the static electricity by connecting the conductive polarizer 170 to the lower cover 102, that is, the ground. In this regard, the guide bar 106 is not a structural function but is used as a discharge path for discharging static electricity to the groun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정전기 배출경로가 모듈단위로 형성되지만, 이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정전기 배출경로가 이동기기(moble기기) 등의 외장 케이스인 세트(set) 단위로 형성된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is formed in units of modules, but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this structure,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is formed in units of set, which is an external case of a mobile device d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구조의 액정표시소자는 내부 프레임(202) 에 액정패널(210) 및 백라이트(290)가 수납된 후, 상기 내부 프레임(202)이 외장 프레임(204)과 결합되어 액정패널(210) 및 백라이트(290)이 조립된다.4, after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the backlight 290 are housed in the inner frame 202, the inner frame 202 is coupled with the outer frame 204 So that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the backlight 290 are assembled.

액정패널(210)은 제1기판(220)과 제2기판(230), 상기 제1기판(220)과 제2기판(2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백라이트(290)는 상기 액정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는 광원(291), 상기 액정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원(291)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인도하여 상기 액정패널(210)로 공급하는 도광판(293), 상기 액정패널(210)과 도광판(29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293)에서 인도되어 액정패널(210)로 공급되는 광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로 이루어진 광학시트(296), 상기 도광판(293) 하부에 배치되어 도광판(293)의 하부로 인도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294)으로 이루어진다.The liquid crystal panel 210 includes a first substrate 220 and a second substrate 230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substrate 230. The backlight 290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 light source 29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210 to emit light; a light guide 29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to guid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91 to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 optical sheet 293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the light guide plate 293 and made of a diffusion sheet and a prism sheet which is guided by the light guide plate 293 to diffuse and condense light suppli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a reflection plate 294 disposed below the light guide plate 293 and reflecting the light gui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293.

내부 프레임(202)은 도 2에 도시된 하부커버 및 가이드패널에 대응하는 구성물로서 액정패널(210)과 백라이트(290)을 조립하는 모듈단위의 구조물이다. 물론, 이러한 내부 프레임(202)은 도 2에 도시된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액정표시소자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부 프레임(202)은 현재 알려진 모든 구조의 모듈 구조물을 포함할 것이다.The inner frame 202 is a module unit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the backlight 290 as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ver and the guide panel shown in FIG. Of course, the inner frame 202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but may hav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size and shap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other words, the inner frame 202 will include all currently known modular structures.

외장 프레임(202)은 액정모듈이 장착된 전자기기의 외장 케이스이다. 상기 외장 프레임(202)은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성형성이 좋은 플라스틱에 금속막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 프레임(202)과 외장 프레임(204)의 결합은 나사 등과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external frame 202 is an external cas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on which the liquid crystal module is mounted. The outer frame 202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good conductivity o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etal film to plastic having good moldability. At this time, the inner frame 202 and the outer frame 204 may be coupled by a mechanical means such as a screw, or may be made of an adhesive or the like.

액정패널(210)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제1편광판(260) 및 제2편광판(270)이 부착된다. 이때, 제1편광판(260)은 액정패널(210)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내부 프레임(202)에 수납되며, 제2편광판(260)은 액정패널(210)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외장 프레임(204)의 외부에 배치된다.A first polarizer 260 and a second polarizer 270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respectively. The first polarizer 260 is formed in a smaller area than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and is housed in the inner frame 202. The second polarizer 260 is 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204, respectively.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프레임(204)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편광판(270)이 상기 단차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2편광판(270)은 도 3b에 도시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편광판(270)의 맨 하부에 형성된 전도성 합착층에 의해 제2편광판(270)이 액정패널(210)에 부착됨과 동시에 합착층이 외장 프레임(204)의 단차에 부착(또는 접촉)됨으로써 제2편광판(270)이 고정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step is formed on the outer frame 204, and the second polarizer 270 is placed on the step. Since the second polarizer 270 has the structure shown in FIG. 3B, the second polarizer 270 is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210 by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polarizer 270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olarizing plate 270 is fixed by attaching (or contacting) the adhesion layer to the step of the external frame 204.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제2편광판의 전도성 합착층이 액정표시소자의 모듈과 접촉하여 정전기를 배출하는데 반해, 이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액정표시소자 모듈이 아닌 전자기기 외부와 직접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contacts the modu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o discharge the static electricity.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this structure, Static electricity is removed by direct contact.

상기 외장 프레임(204)은 대략 액정패널의 형상과 동일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각형상의 4변을 따라 제2편광판(270)의 전도성 합착층과 외장 프레임(204)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은도트와 같은 별도의 전기적 접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액정패널의 모서리영역에 대응하는 영역과 같이 특정 영역에만 은도트를 형성하여 정전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전기적 접속영역을 증가할 수 있게 되어 정전기 제거효율(정전기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external frame 204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2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rame 204 along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frame.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electrical contact means such as a silver dot (in the case of forming a static discharge path by forming a dot only in a specific region such as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edge reg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fficiency (electrostatic dischar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편광판(270)과 외장 프레임(204) 사이에는 도전성 테이프(206)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테이프(206)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전성 테이프(206)를 배치함에 따라 제2편광판(270)과 외장 프레임(204) 사이의 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전성 테이프(206)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립된 액정표시소자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도전성 테이프(206)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충격에 의한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conductive tape 20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olarizer 270 and the external frame 204. Since the conductive tape 206 can be formed in various thicknesses, the gap between the second polarizer 270 and the external frame 204 can be adjusted by disposing the conductive tape 206. In addition, since the conductive tape 206 has elasticity,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assembl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onductive tape 206 absorbs the impact, .

더욱이, 도전성 테이프(206)는 제2편광판(270)의 합착층 보다 저항이 적기 때문에, 제2편광판(270)이 외장 프레임(204)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외장 프레임(204)을 통해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tape 206 is lower than that of the adhesion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27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when the second polarizer 270 contacts and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external frame 204 So that static electricity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external frame 20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제2편광판을 액정패널의 상부에 배치할 때 상기 합착층을 액정표시소자의 모듈 또는 액정표시소자가 장착된 전자기기 세트에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액정표시소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상기 모듈 또는 세트를 통해 접지시킨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second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adhesive layer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modu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r the se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Static electricity is grounded through the module or set.

이때, 상기 전도성 제2편광판은 합착층에 의해 전도성을 부여하게 되는데, 다양한 구조의 제2편광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조의 제2편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conductive second polarizer is imparted with conductivity by the adhesion layer, and a second polarizer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used. The second polarized light of such various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a-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편광판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D are views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판(170)은 제2지지체(172)와, 상기 제2지지체(172) 일면에 형성된 제2편광체(174)와, 상기 제2편광체(174)에 형성된 제3지지체(176)와, 상기 제3지지체(176)에 형성된 합착층(177)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체(172)의 상면에는 표면처리층(178)이 형성된다.5A, the second polarizer 170 includes a second support 172, a second polarizer 174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172, a second polarizer 174, And a bonding layer 177 formed on the third support body 176.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172. [

상기 제2지지체(172)와 제3지지체(176)는 TAC와 같이 위상지연이 없는 보호필름을 사용하면, 상기 제2편광체(174)는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필름, 2색성물질과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O형 편광체 및 리오트로픽(lyotropic) 액정을 일정 방향으로 배향시킨 E형 편광체 등을 사용한다.If the second support 172 and the third support 176 use a protective film having no phase delay such as TAC, the second polarizer 174 may be made of polyvinyl alcohol containing iodine or a dichroic dye (PVA) based resin, an O-type polarizer in which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and a liquid crystal compound is orient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an E-polarizer in which a lyotropic liquid crystal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ype polarizer or the like is used.

합착층(177)은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을 사용하거나 에폭시계 또는 아크릴계 물질과 같은 UV경화 또는 열경화 물질을 사용하는데, 상기 합착층(177)에는 금속 등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파우더형태의 도전부재가 분산되어 전도성을 갖는다.The adhesive layer 177 is made of an acrylic or silicone material or a UV curable or thermosetting material such as an epoxy or acrylic material. In the adhesive layer 177, a powdery conductive materi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metal is dispersed So that it has conductivity.

제2편광판(170)의 상면, 즉 제2지지체(172)의 외부면에는 표면처리층(178)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처리층(178)은 제2편광판(170)의 경도를 향상시켜, 액정표시소자를 조립할 때, 별도의 보호유리를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를 박형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A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er 17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172.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mproves the hardness of the second polarizer 170 and preven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rom being thinned and lightweight by not providing a separate protective glass when assemb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can also save money.

상기 표면처리층(178)은 아크릴계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2지지체(172)의 외면에 도포한 후, 열을 인가하여 용매를 증발함으로써 형성하거나 아크릴계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2지지체(172)의 외면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화학적으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178)은 약 3-10um의 두께로 형성된다.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may be formed by dissolving an acrylic material in a solvent and apply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172 and then applying heat to evaporate the solvent or dissolving the acrylic material in a solvent to form a second support 172 ), And then chemically curing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3-10 um.

또한, 상기 표면처리층(178)은 아크릴계 물질과 같은 특정 물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층(178) 내에 폴리머 재질이나 실리카 재질의 비드(bead)가 산포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층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such as an acrylic material, but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enhancing hardness may be used. In addition, a bead of a polymer material or a silica material may be dispersed in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or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repeatedly formed.

이와 같이, 상기 표면처리층(178)은 제2지지체(172)에 별도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편광판(17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표면처리층(178)을 '편광판 표면보호층' 또는 '편광판 경도 강화층'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improves the strength of the second polarizer 170 by forming a separate layer on the second support 172.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urface treatment layer 178 may be referred to as a 'polarizing plate surface protective layer' or a 'polarizing plate hardening layer'.

도 5b에 도시된 구조의 제2편광판(170)에서는 제3지지체 없이 합착층(177)이 직접 제2편광체(174) 위에 직접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때에도 상기 제2지지체(172) 상면에는 표면처리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polarizer 17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5B, the adhesion layer 177 without the third support is directly formed directly on the second polarizer 174.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172 at this time.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편광판(170)에서는 합착(177)의 내측, 즉 제3지지체(176)과 합착층(177) 사이에 별도의 도전층(179)을 형성할 수 있다.5C, i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nductive layer 179 is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pport 176 and the adhesion layer 177 on the inner side of the adhesion 177 .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판(170)은 수납부(180)의 상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수납부(180)의 상면은 일정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 제2편광판(170)의 합착층(177)의 일정 폭만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합착층(177)과 수납부(180)의 접촉면적에 따라 합착층(177)를 통해 수납부(180)로 빠져 나가는 정전기의 제거효율이 결정된다.2 and 4,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8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However,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8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Only a constant width of the adhesion layer 177 of the two polarizing plate 170 is brought into contact.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tatic electricity that escapes to the storage part 180 through the adhesion layer 177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dhesion layer 177 and the storage part 180. [

상기 합착층(177)의 저항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부(180)의 상면의 폭이 감소하게 되면 합착층(177)과 수납부(180) 사이의 전기적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정전기가 효율적으로 감소하지 않게 되어 화면에 얼룩이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resistance of the caking layer 177 is fixed,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caking layer 177 and the housing part 180 decreases when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80 is reduced, It is not efficiently reduced and the screen is speckled.

도 5c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별도의 도전층(179)을 제3지지체(176)과 합착층(177)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제2편광판(170)의 전도도를 향상시켜 합착층(177)과 수납부(180) 사이의 전기적 접촉면적이 작은 경우에도 정전기가 수납부(18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5C, a separate conductive layer 179 is formed between the third support 176 and the adhesion layer 177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 second polarizer 170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on layer 177 and the accommodating layer 177. [ Even when the electrical contact area between the electrodes 180 is small, the static electricity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housing part 180.

이때, 도전층(179)의 저항은 합착층(177)의 저항 보다 적게 설정함으로써(106-1010Ω/cm2, 바람직하게는 108-109Ω/cm2) , 합착층(177)과 수납부(180) 사이의 전기적 접촉면적이 작은 경우, 상기 도전층(179)을 통해 정전기를 흐르도록 하여, 정전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layer 179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resistance of the adhesion layer 177 (10 6 -10 10 Ω / cm 2 , preferably 10 8 -10 9 Ω / cm 2 ) And the housing part 180 is small, the static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layer 179, so that the static electricity can be smoothly discharged.

도면에서는 상기 도전층(179)이 제3지지체(176)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도전층(179)은 제3지지체(176)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층(179)을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로 복수개 형성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매트릭스형상으로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층(179)을 수납부(180)와 접촉하는 영역을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전층(179)을 제3지지체(176)의 일부분에만 형성하는 경우에도, 도전층(179)이 정전기 이동경로가 되어, 정전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Although the conductive layer 179 is formed all over the third support 176 in the drawing, the conductive layer 179 may b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third support 176. For example, the conductive layers 179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trip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r may be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matrix. In addition, the conductive layer 179 may be formed along a region where the conductive layer 179 is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180. In this way, even when the conductive layer 179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third support 176, the conductive layer 179 becomes a static movement path, so that the static electricity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도전층(179)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체(176)와 합착층(177)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3지지체(176) 없이 편광체(174)와 합착층(177)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도 제2지지체(172)의 외면에 표면처리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5C, the conductive layer 179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support 176 and the adhesion layer 177, but the third support 176 may be formed between the polarizer 174 and the second support 176, Or may be formed between the adhesion layer 177. Also in this structure,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ody 172.

도 5d에 도시된 구조의 제2편광판(170)은 제2지지체(172)의 상하면에 각각 제1표면처리층(178a) 및 제2표면처리층(178b)이 형성된다. 상기 제1표면처리층(178a) 및 제2표면처리층(178b)은 제2편광판(170)의 경도를 향상시키므로, 액정표시소자에 별도의 보호유리가 필요없게 된다.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5D has 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178a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178b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172, respectively. Since 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178a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178b improve the hardness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a separate protective glass is not requir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상기 제1표면처리층(178a) 및 제2표면처리층(178b)은 아크릴계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2지지체(172)의 외면에 도포한 후, 열을 인가하여 용매를 증발함으로써 형성하거나 아크릴계 물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2지지체(172)의 외면에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화학적으로 경화하여 약 3-10um의 두께로 형성한다.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178a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178b are formed by dissolving an acrylic material in a solvent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172 and then applying heat to evaporate the solvent, After the material is dissolved in a solvent and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172, it is chemically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to be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3-10 um.

이러한 제1표면처리층(178a) 및 제2표면처리층(178b)은 아크릴계 물질과 같은 특정 물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표면처리층(178a) 및 제2표면처리층(178b) 내에 폴리머 재질이나 실리카 재질의 비드(bead)가 산포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층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178a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178b are not limited to specific materials such as acrylic materials, but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enhancing hardness can be used. In addition, a polymer material or a bead of silica may be dispersed in 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178a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178b, or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may be repeatedly formed.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구조의 제2편광판(170)에는 제3지지층(176)과 합착층(177) 사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걸쳐 도전층을 형성하여, 정전기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or a partial area between the third support layer 176 and the adhesion layer 177 in the second polarizer 170 having the above structure to improve the electrostatic discharge efficiency hav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2편광판(170)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편광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을 갖는 합착층(177)이 제2편광판(170)의 하면에만 형성되어, 액정표시소자의 모듈 또는 세트와 접촉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의 정전기를 배출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의 편광판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2지지체(172), 편광체(174), 제3지지체(176), 표면처리층 등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is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olarizer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177 is form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70 so that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be discharged by contacting the module or the se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also be used.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172, the polarizer 174, the third support 176, the surface treatment layer, and the like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합착층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액정표시소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정전기의 배출경로가 액정패널이 아닌 외부 구조물, 예를 들면 액정패널을 조립하는 모듈구조물 및 전자제품의 세트 외장 등에 직접 정전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배출경로를 형성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removed by imparting conductivity to a cemented layer formed under the polariz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path of the static electricity forms a static electricity discharge path directly to an external structure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a module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set outer cas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structure is also possibl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제1기판(320) 및 제2기판(330)이 합착된 액정패널(310)이 수납부(302)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302)는 액정표시소자의 모듈구조물,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모듈단위의 가이드패널, 하부커버, 가이드바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전자기기 세트의 외장프레임일 수도 있다.6A,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320 and the second substrate 330 are attached is housed in the receiving portion 302. The housing part 302 may be a module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guide panel, a lower cover, and a guide bar of a module unit shown in FIG. 2, It is possible.

상기 수납부(302)에 수납되는 액정패널(310)의 상하면에는 각각 제1편광판(360) 및 제2편광판(370)이 부착되어 액정패널(310)로 투과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액정패널에 화상을 구현한다.A first polarizing plate 360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370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302 to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nd implements the image.

액정패널(310)의 상면, 제2편광판(370) 위에는 보호필름(380)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필름(380)은 지지체(381)와 하부의 합착층(382)으로 형성되어 액정패널(310)의 제2편광판(37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합착층(382)은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물질, 또는 에폭시계나 아크릴계 물질과 같은 UV경화 또는 열경화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A protective film 380 is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nd the second polarizer 370. The protective film 380 is formed of a support 381 and a lower adhesion layer 382 and attached to the second polarizer 370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t this time, the adhesion layer 382 uses a UV curing or a thermosetting material such as an acrylic or silicone material, or an epoxy or acrylic material. remind

상기 합착층(382)은 전도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합착층(382) 내에는 금속 등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파우더형태의 도전부재가 분산된다. 이때, 파우더형태의 도전부재의 형태는 수십nm-수㎛ 크기의 볼형상, 원기둥 형상, 다각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도전부재이며, 그 밀도는 합착층의 전도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The adhesion layer 382 has conductivity. In order to impart such conductivity, a powdery conductive materi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a metal is dispersed in the adhesion layer 382. At this time, the form of the powder-form conductive member is a conductive member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ball shape, a cylindrical shape, a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nm to several 탆, and the density thereof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uctivity of the adhesion layer.

상기 합착층(382)은 수납부(302)의 상면과 부착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수납부(302)는 금속과 같이 전도성이 좋은 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합착층(382)과 수납부(302)는 정전기 배출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소자에 정전기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경로를 통해 수납부(302)로 접지되어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adhesion layer 382 adheres to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302. At this time, since the accommodating portion 30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conductivity such as metal, the cohesive layer 382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302 form an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Accordingly, when the static electricity is discharg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t can be grounded to the storage portion 302 through the discharge path and removed.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보호필름(380)이 지지체(381)와 전도성 합착층(382)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 지지체(381)의 접착층(382) 사이에 지지체(381)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도전층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체(38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지지체(381)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otective film 380 has a simple structure of the support 381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382 in the figure, the entire area of the support 381 or part of the support 38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s 382 of the support 381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in the region. The surface treatment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pport 381, or a plurality of supports 381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310) 상부의 제2편광판(370)이 비전도성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2편광판(370)을 통해 정전기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액정패널(310)을 보호하는 보호필름(380)에 전도성을 부여하고, 상기 보호필름(380)을 수납부(302)에 전기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액정패널(310)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econd polarizing plate 370 on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is formed in a non-conductive manner, static electricity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370 but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is protected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can be protected by providing conductivity to the protection film 380 and by electrically contacting the protection film 380 with the storage part 302 as well as effectively removing the static electricity with a simple structure It might be.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액정표시소자에서는 제1기판(320) 및 제2기판(330)이 합착된 액정패널(310)이 수납부(302)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302)는 액정표시소자의 모듈구조물,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모듈단위의 가이드패널, 하부커버, 가이드바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전자기기 세트의 외장프레임일 수도 있다.6B,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320 and the second substrate 330 are bonded is housed in the housing 302. The housing part 302 may be a module structur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guide panel, a lower cover, and a guide bar of a module unit shown in FIG. 2, It is possible.

액정패널(310)의 상면에는 보호필름(380)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필름(380)은 지지체(381)와 상기 지지체(381)에 형성되고 내부에 도전부재가 산포되어 전도성을 갖는 합착층(382)으로 이루어진다.A protective film 38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The protective film 380 includes a support 381 and a sealant layer 382 formed on the support 381 and having a conductive property dispersed therein.

도 6a의 구조에서는 상기 보호필름(380)이 제2편광판의 상면에 부착되지만, 이 구조에서는 보호필름(380)이 액정패널(310)의 상면에 직접 부착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액정패널(310)의 하면과 상기 보호필름(380)의 상면에는 각각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of FIG. 6A, the protective film 38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er, but in this structure, the protective film 38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olarizing plate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380, respectively.

상기 보호필름(380)의 면적은 액정패널(3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호필름(380)의 외곽영역이 액정패널(310)의 외곽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영역은 합착층(382)에 의해 수납부(302)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합착층(382)은 전도성을 가지며, 수납부(320) 역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므로, 액정표시소자에 발생한 정전기가 합착층(382)으로 모인 후, 수납부(320)를 통해 접지되어 제거된다.Since the area of the protective film 38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the outer area of the protective film 380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10, 38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302.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collected in the adhesion layer 382 and then grounded through the storage part 320 to be removed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편광판이나 전도성 보호필름을 직접 모듈이나 세트와 같은 액정표시소자의 구조물에 접촉하여 정전기 배출경로를 형성하여 정전기를 접지하기 때문에, 종래 은도트와 같은 별도의 경로형성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ive polarizer or the conductive protective film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module or a set to form a static electricity discharging path to ground the static electricit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use of the means.

한편, 도면 및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를 특정 구조로 특징지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현재 알려진 모든 구조의 액정패널에 적용 가능하며, 편광판 및 보호필름도 구성 성분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drawings and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characterized by a specific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urrently known structures of liquid crystal panels, and polarizers and protective films will also be capable of various combinations of constituents.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While a great many are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an exampl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110: 액정패널 160: 제1편광판
170: 제2편광판 172,176: 지지체
174: 편광체 177: 합착층
190: 백라이트
110: liquid crystal panel 160: first polarizer plate
170: second polarizer 172, 176:
174: Polarizer 177: Adhesive layer
190: Backlight

Claims (25)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수납부;
상기 액정패널의 하면에 부착된 제1편광판; 및
전도성을 갖는 합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에 부착되며, 수납부와 합착층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액정패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상기 수납부로 접지시키는 제2편광판으로 구성된 액정표시소자.
A liquid crystal panel;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 first polarizer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nd a second polariz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second polarizer being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by direct electrical connection to ground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결합되어 액정패널을 조립하는 가이드패널; 및
상기 가이드패널과 결합하며, 제2편광판의 전도성 합착층과 접촉하는 도전성 가이드바로 이루어져 액정패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배출하는 도전성 가이드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cover;
A guide panel coupled to the lower cover to assemble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nd a conductive guide ba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panel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plate to discharg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제2편광판의 전도성 합착층과 접촉하며,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세트 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polarizer plate and is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uch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층은 도전부재가 산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on layer is dispersed in the conductiv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층의 저항은 106-1013Ω/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stance of the adhesion layer is 10 6 -10 13 Ω / cm 2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층의 저항은 109-1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of the laminating layer is 10 9 -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편광판은;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의 제1면에 형성된 편광체; 및
상기 편광체에 형성된 전도성 합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polarizer comprises:
A first support;
A polarizer form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polariz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제2면에 형성된 제1표면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form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와 편광체 사이에 배치된 제2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polariz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의 제2면에 배치된 제2표면처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dispos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처리층 및 제2표면처리층은 아크릴계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9 or 12, wherein the first surface treatment layer and the second surface treatment layer are made of an acrylic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와 도전성 합착층 사이에 배치된 도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ndu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전도성 합착층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14.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is disposed over the entire conductive adhesion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일정 폭의 띠형상으로 전도성 합착층의 일정 방향 또는 서로 수직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14. 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conductive layers are arranged in a matrix shap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or vertically to each other in a strip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수납부;
전도성을 갖는 합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액정패널의 상면에 배치되며, 수납부와 합착층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액정패널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상기 수납부로 접지시키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된 액정표시소자.
A liquid crystal panel;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protection film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protection fil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grounding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storage por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 합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A support; And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ppo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의 합착층은 액정패널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adhesion layer of the protective film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pane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이 부착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합착층은 제2편광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a first polarizing plate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respectively, and the adhesion layer of the protective film is attached to the second polarizing plat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17.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touch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여 고정시키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액정패널에 형성된 정전기를 상기 수납부로 배출하여 정전기를 접지하는 정전기 배출경로로 구성된 액정표시소자.
A liquid crystal panel;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nd a static electricity discharge pa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nd configured to discharge static electricity form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storage part to ground the static electricity.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된 제1편광판 및 제2편광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 first polarizing plate and a second polarizing plat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배출경로는 제2편광판에 형성되어 수납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 합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includes a conductive adhesion layer formed on the second polariz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배출경로는 액정패널의 상면에 부착되며 수납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 합착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includes a protective film includ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전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22.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1, further comprising a touch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liquid crystal panel for recognizing a user's touch.
KR1020140070945A 2014-06-11 2014-06-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KR102169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45A KR102169964B1 (en) 2014-06-11 2014-06-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45A KR102169964B1 (en) 2014-06-11 2014-06-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37A true KR20150142337A (en) 2015-12-22
KR102169964B1 KR102169964B1 (en) 2020-10-26

Family

ID=5508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45A KR102169964B1 (en) 2014-06-11 2014-06-11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9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01A (en) * 2015-12-23 2017-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ttached touch panel
US10571764B2 (en) 2017-08-30 2020-02-2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386A (en) * 2003-12-23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2456A (en) * 2009-12-03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17616A (en) * 2010-08-19 2012-0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screen
KR20120097146A (en) * 2011-02-24 2012-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6136B1 (en) * 2008-06-16 2013-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386A (en) * 2003-12-23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6136B1 (en) * 2008-06-16 2013-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10062456A (en) * 2009-12-03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20017616A (en) * 2010-08-19 2012-0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screen
KR20120097146A (en) * 2011-02-24 2012-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301A (en) * 2015-12-23 2017-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ttached touch panel
US10571764B2 (en) 2017-08-30 2020-02-2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964B1 (en)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3937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228306B2 (en) Integration design for capacitive touch pane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54484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80266273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WO20101403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571764B2 (en) Display device
US20130057485A1 (en) Use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9733507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WO2016009851A1 (en) Display device with electrostatic capacitive coupling touch panel input device
KR20120044041A (en) Display device
US10802653B2 (en) Touch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ouch thereof
US9513735B2 (en) Touch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adhesive assemblies
KR20040056751A (en) Method for Forming Touch Panel with Polarizer Layer
JP2008009225A (en)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6996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lectro-static discharing structure
US95942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28551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symmetric diffusion film
KR2014008866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150220190A1 (en) Display apparatus
TW201606381A (en) Display device
KR101765101B1 (en) Liquid crstal display
KR102204638B1 (en) Display device having touch panel
KR2017011684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749748B1 (en)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High Brightness
KR20150118246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