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292A -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292A
KR20150142292A KR1020140070816A KR20140070816A KR20150142292A KR 20150142292 A KR20150142292 A KR 20150142292A KR 1020140070816 A KR1020140070816 A KR 1020140070816A KR 20140070816 A KR20140070816 A KR 20140070816A KR 20150142292 A KR20150142292 A KR 2015014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tator
rotor
rotation axi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기술
Original Assignee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슨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292A/ko
Publication of KR2015014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휠 및 타이어를 포함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고정축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중공홀 내에 상기 고정자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휠의 내 측면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자와, 상기 휠을 포함하는 상기 바퀴가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의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Electric vehicle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바퀴의 내 측면에서 부착되어 바퀴가 회전되도록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 차량을 말하며, 주행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DC)을 교류 전력(AC)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와, 인버터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차량의 주행을 도모하는 주행용 모터 등이 필수적으로 탑재되어 있고, 모터의 회전동력이 감속기에 감속된 후 구동축을 통해 휠로 전달되어 전기자동차의 주행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감속기나 차동기어와 같은 중간 단계의 동력전달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차량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동력 전달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고려하여, 타이어 장착용 휠의 림 내에 모터를 직접 내설하여 모터의 동력이 휠에 직접 전달도록 하는 인휠모터(in-wheel motor) 모듈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휠모터는 고장 수리가 어려우며, 타이어 교체 시,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7669호 2011년 08월 03일 공개(명칭: 휠 일체형 휠모터가 장착된 전기자동차)
상술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에 내장되지 않으면서 바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구조체를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는 휠디스크 및 림으로 이루어진 휠을 포함하는 바퀴와,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고정축을 가지고 고정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고정자와, 고정자의 중공홀 내에 고정자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휠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자와, 휠을 포함하는 바퀴가 회전되도록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는 고정자의 내경을 따라 고정자의 내경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자극과, 고정자 자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는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휠의 내측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경면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자 자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는 중공의 디스크 형상이며, 고정자 및 회전자의 양쪽 말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베어링의 외경면은 고정자의 내경면에 고정되고, 회전자의 외경면이 고정자의 내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회전자의 샤프트의 외경이 베어링의 내경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는 디스크 형상으로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어답터를 더 포함한다. 한편, 휠은 어답터와 휠이 볼트 결합을 위해 휠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된다. 더욱이, 어답터의 원주를 따라 휠의 제1 결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결합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 및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구조체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 Switched Reluctance Motor)가 될 수 있다. 즉, 고정자 및 회전자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는 휠 및 타이어를 포함하는 바퀴와,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고정축을 가지고 고정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고정자와, 고정자의 중공홀 내에 고정자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휠의 내 측면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자와, 휠을 포함하는 바퀴가 회전되도록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자는 그 고정자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자 자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자는 고정자 자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는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휠의 내측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샤프트와, 샤프트의 양쪽 말단 부분을 제외한 가운데 부분에서 샤프트의 외경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자 자극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중공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자 및 회전자의 양쪽 말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베어링의 외경은 고정자의 중공홀의 내경에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자의 외경이 고정자의 중공홀의 내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회전자의 샤프트의 외경이 베어링의 내경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자는 중공의 디스크 형상으로 샤프트의 일단에 샤프트의 외경을 따라 형성되는 어답터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답터와 휠이 볼트 결합을 위해 휠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되며, 어답터의 원주를 따라 휠의 결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이 일치되도록 휠과 어답터를 포개고,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을 이용하여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어답터와 휠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는 바퀴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바퀴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터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모터 구조체는 회전자의 일단이 바퀴의 휠의 내측에 고정되며, 이러한 회전자는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바퀴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 역할을 수행하는 모터 구조체가 바퀴의 휠 내에 형성되지 않아, 제작, 수리,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전기 자동차를 생산 및 유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와 회전자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바퀴와 회전자가 결합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바퀴(100), 모터 구조체(200) 및 구동 모듈(3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복수의 바퀴(100)를 가지며, 이러한 복수의 바퀴(100)는 4륜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자동차의 디자인에 따라 바퀴(100)의 수와 설치되는 위치는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바퀴(100) 각각의 내측에 모터 구조체(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내측은 바퀴(100)가 전기 자동차의 어느 위치에 장착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전기 자동차 본체 내부 측을 지칭하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하는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여 바퀴(100)에 전달한다. 인휠 모터와는 달리 본 발명의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바퀴(100)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지만, 바퀴(100)와는 별개로 생산, 조립 및 수리가 가능하다.
구동 모듈(300)은 모터 구조체(200)가 운동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전원을 전달한다. 구동 모듈(300)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10)와 고정자(2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기(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터리(310)는 이차 전지(secondary cell), 축전지(storage battery)가 될 수 있다. 이차 전지(secondary cell) 혹은 축전지(storage battery)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이러한 배터리(310)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310)로부터 고정자(210)에 전원을 공급하되, 그 공급되는 전원의 양을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320)는 배터리(3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DC)을 교류 전력(AC)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20)는 배터리(310)를 충전 상태를 관리하고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기(320)는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및 온보드 충전기(온보드 차저, On Board Charger, OB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내측은 바퀴(100)가 전기 자동차의 어느 위치에 장착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전기 자동차의 본체 내부 측을 지칭하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의 내측에 결합하여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여 바퀴(100)에 제공한다. 이로써, 바퀴(100)가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00)는 휠(110) 및 타이어(130)를 포함한다. 휠(110)은 디스크 형상의 휠디스크 및 휠디스크의 외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림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림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휠디스크와 림을 포함하는 휠(110), 그리고 타이어(130)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의 내측면, 즉, 휠(110)의 디스크부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모터 구조체(200)는 바퀴(100)가 회전축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여, 휠(11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휠(110)이 회전하며, 휠(110)과 연결된 타이어(120)가 회전할 수 있다.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모터 구조체(200)는 고정자(210), 회전자(220), 어답터(230), 베어링(240) 및 브러쉬(25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자(210)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자(210)는 바퀴(100)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가지며, 그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회전자(22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이며, 고정자(210)의 중공홀(215)에는 고정자(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자(220)가 배치된다. 특히, 회전자(220)는 고정자(210) 및 바퀴(10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고정자(210)의 내경면과 회전자(220)의 외경면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고정자(210) 및 회전자(220)의 양단에는 중공의 디스크 형상의 베어링(240) 및 중공의 디스크 형상의 브러쉬(250)가 순차로 배치된다. 베어링(240)은 회전자(220)의 외경면이 고정자(210)의 내경면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바퀴(10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브러쉬(250)는 고정자(210)와 회전자(220) 사이의 이물질, 먼지 등을 제거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자(220)의 바퀴(100) 측 말단에는 디스크 형상의 어답터(230)가 형성된다. 이 어답터(230)는 휠(110)의 디스크부와 회전자(210)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자(210)는 바퀴(100)의 회전축과 동일한 고정축을 가진다. 고정자(210)는 고정축의 길이 방향으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고정자(210)는 고정자 자극(211) 및 코일(212)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고정자 자극(211)은 고정자(210)의 중심부에 고정자 자극(211)의 내경을 따라 고정자 자극(211)의 내경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고정자 자극(211)에 코일(212)이 감겨진다.
회전자(220)는 바퀴(10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고정자(210)의 중공홀(215) 내에 그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자(220)는 샤프트(221)와 회전자 자극(222)을 포함한다. 샤프트(221)는 원통형이며, 바퀴(10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그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회전자 자극(222)은 원통형의 샤프트(221)의 외경을 따라 샤프트(221)의 외경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자 자극(222)은 고정자 자극(211)에 대응하여, 샤프트(221)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샤프트(221)의 주변부에는 회전자 자극(222)이 형성되지 않는다.
베어링(240)은 중공의 디스크 형태이며, 고정자(210) 혹은 회전자(220)의 말단 부분인 주변부에 형성된다. 이때, 베어링(240)의 중공에 샤프트(221)가 끼워진다. 보다 상세하게, 회전자(220)의 샤프트(2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221)의 양단에서 베어링(240)이 결합된다. 즉, 베어링(240)의 중공에 샤프트(221) 일단이 끼워져 베어링(240)의 내경면에 샤프트(221)의 외경면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베어링(240)의 외경면은 고정자(210)의 내경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220)의 회전자 자극(222)이 외경면이 고정자(210)의 내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자(2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러쉬(250)는 중공의 디스크 형태이며, 고정자(210) 혹은 회전자(220)의 말단 부분인 주변부에 형성된다. 브러쉬(250)는 샤프트(221)의 양단에서 베어링(24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때, 브러쉬(250)의 내경면은 회전자(220)의 시프트(221)의 외경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른 말로, 브러쉬(250)는 샤프트(221)의 외경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브러쉬(250)는 회전자(220)가 회전할 때, 고정자(210)의 내경면에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회전자(220)와 같이 회전된다.
다음으로, 바퀴(100)와 회전자(220)를 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퀴와 회전자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바퀴와 회전자가 결합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바퀴(100)는 휠(110) 및 타이어(120)를 포함한다. 특히, 휠(110)은 휠디스크(111) 및 림(112)을 포함한다.
휠디스크(111)는 중공의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휠디스크(111)의 외주연을 따라 링 형태의 림(112)이 형성된다. 한편, 샤프트(221)의 일단에는 어답터(230)가 형성된다. 어답터(230)는 중공의 디스크 형상으로 어답터(230) 내경면이 샤프트(221)의 외경면에 결합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어답터(230)는 회전자(220)를 휠(110)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휠디스크(111)는 휠디스크(111)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제1 결합홀(10)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어답터(230)는 어답터(230)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20)이 형성된다. 제1 결합홀(10) 및 제2 결합홀(20)은 대응하는 위치 및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형성된다. 휠디스크(111)의 중공에 샤프트(221)가 삽입되고, 제1 결합홀(10) 및 제2 결합홀(20)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한 볼트 결합을 통해 회전자(220) 및 휠(110)이 결합된다. 이로써, 휠디스크(111) 및 림(112)으로 이루어진 휠(110)을 가지는 바퀴(10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바퀴(100)에 회전자(220)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퀴(100)에 회전자(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 모듈(300)은 고정자(210)의 코일(21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고정자(210)와 고정자(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회전자(220)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자기장에 따라, 회전자(220)가 회전하여 회전하는 운동 에너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운동 에너지는 휠(11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바퀴(100)가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는 바퀴(100)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바퀴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터 구조체(200)를 제공한다. 모터 구조체(200)는 회전자(210)의 일단이 바퀴(100)의 휠(110)의 휠디스크(111) 내측에 고정되며, 이러한 회전자(210)는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하여 휠디스크(111)를 통해 바퀴(100)에 운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구조체(200)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 Switched Reluctance Motor)가 될 수 있다. 즉, 고정자(110) 및 회전자(120)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로 구성될 수 있다.
인휠 모터의 경우, 차량 및 바퀴의 특성에 맞게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모터 구조체(200)가 바퀴(100)의 휠(110)의 림(112) 내에 형성되지 않아, 제작, 수리,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전기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조체(200)를 휠(110) 내에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동력의 변경이 용이하다. 즉, 바퀴(1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샤프트(111)를 포함하는 모터 구조체(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동력의 증가 감소가 용이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재1 결합홀 20: 제2 결합홀
100: 바퀴 110: 휠
111: 휠디스크 112: 림
120: 타이어
200: 모터 구조체 210: 고정자
211: 고정자 자극 212: 코일
215: 중공홀 220: 회전자
221: 샤프트 222: 회전자 자극
230: 어답터 231: 제2 결합홀
240: 베어링 250: 브러쉬

Claims (6)

  1. 휠디스크 및 림으로 이루어진 휠을 포함하는 바퀴;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고정축을 가지고 상기 고정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중공홀 내에 상기 고정자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상기 휠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자; 및
    상기 휠을 포함하는 바퀴가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 사이의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정자의 내경을 따라 상기 고정자의 내경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자 자극; 및
    상기 고정자 자극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바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경면을 따라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자 자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중공의 디스크 형상이며, 상기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의 양쪽 말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의 외경면은 상기 고정자의 내경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자의 외경면이 상기 고정자의 내경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회전자의 상기 샤프트의 외경이 상기 베어링의 내경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어답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휠은 상기 어답터와 상기 휠이 볼트 결합을 위해 상기 휠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제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답터의 원주를 따라 상기 휠의 제1 결합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SRM, Switched Reluctance Mo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KR1020140070816A 2014-06-11 2014-06-11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KR2015014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16A KR20150142292A (ko) 2014-06-11 2014-06-11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16A KR20150142292A (ko) 2014-06-11 2014-06-11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92A true KR20150142292A (ko) 2015-12-22

Family

ID=5508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816A KR20150142292A (ko) 2014-06-11 2014-06-11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2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69A (ko) 2010-01-27 2011-08-03 이대일 휠 일체형 휠모터가 장착된 전기자동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69A (ko) 2010-01-27 2011-08-03 이대일 휠 일체형 휠모터가 장착된 전기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352B2 (en) Vehicle wheel
JP5062330B2 (ja) 接続装置
CN105656243B (zh) 电机、电机系统及充电和刹车方法
CN105398325B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电动轮毂马达的驱动轮及机动车辆
JP3170663U (ja) 電気自動車用発電装置
US20140042796A1 (en) In-wheel actuator and in-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8723379B2 (en) Geared generator for an electric vehicle
EA02575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ботки энергии и подзарядк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непрерывной работы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104354825A (zh) 一种集电池电机一体化的电动轮
KR20110014208A (ko) 허브 모터용 임베디드 회전자를 갖는 휠 케이싱
KR101779257B1 (ko) 자가발전형 구동륜
JP5324987B2 (ja) 回転エネルギー伝達装置、回転エネルギー伝達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KR20150142292A (ko) 전기 자동차 구동 장치
WO2010144067A1 (en) A wheel producing electricity while it spins and thereby spins itself
JP3224745U (ja) 車輪発電システム
CN210016315U (zh) 车轮发电系统
CA2912517A1 (en) Magnetic power generator
KR20090077745A (ko) 전기자동차의 구력을 이용한 전력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방법
US202202345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batteries of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US10931165B2 (en) Vehicle comprising a wheel driven generator for charging a battery
KR20110012860A (ko) 동력전달장치
KR20110028846A (ko) 발전동력전달 발전장치
KR101444113B1 (ko) 다기능 차량용 휠
KR20150053118A (ko) 차량용 휠 발전장치
KR101246653B1 (ko) 전기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