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126A -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126A
KR20150142126A KR1020140070184A KR20140070184A KR20150142126A KR 20150142126 A KR20150142126 A KR 20150142126A KR 1020140070184 A KR1020140070184 A KR 1020140070184A KR 20140070184 A KR20140070184 A KR 20140070184A KR 20150142126 A KR20150142126 A KR 20150142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ignal
video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545B1 (ko
Inventor
황인철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14007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의 부재시에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호출기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100), 및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며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200)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Security system of door lock using a cordless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의 배선을 생략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며 사용자가 외부에 있을 경우 방문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화기의 입력키에 입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성 주파수의 조합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디지털 도어락의 이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시에 현관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락과 실내에 설치되는 인터폰이나 비디오폰 사이에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위한 배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선은 경우에 따라 기존의 건축물에 배선할 경우 건축 구조물의 특성상 디지털 도어락과 이에 수반되는 인터폰의 제품 가격보다 배선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훨씬 큰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불법 침입을 목적으로 하는 방문자는 디지털 도어락에 접근하여 실내에 사용자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호출 버튼이나 디지털 도어락의 임의의 키를 입력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 호출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 상기 침입자는 도어락에 대하여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도어락을 파괴한 후에 침입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 사용자의 외출시 방문자의 호출에 대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자가 실내에 부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의 원격 개폐시 무선 전화의 키입력을 이용한 도어락의 개폐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무선 전화는 입력키에 대한 공용의 신호음 전송에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한정된 키 패드의 한계에 의하여 무선 전화기를 입수한 제3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도어락의 해제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 전화기의 분실이나 도난의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에 대한 보안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락의 배선이 필요없도록 하여 도어락의 설치 및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의 사용자의 부재시에도 도어락 호출에 따른 도어락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기의 분실이나 도난의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거주자의 부재시에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호출기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100), 및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며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200)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며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실내 인터폰(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은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전원의 인가를 통하여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부(110)와, 거주자의 부재시에 도어락 개폐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호출신호 또는 개폐신호에 대하여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도어락 개폐부(110)에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어락 개폐부(110)의 개폐 동작의 인가여부를 위하여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입력되는 암호신호(S)를 분석하기 위한 암호신호 분석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의 도어락 개폐부(110)는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메트릭스부(112), 키메트릭스부(112)의 입력 또는 도어락의 개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 및 제어부(140)에 의하여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여부에 관한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1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락 개폐부(110)에는 방문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영상 및/또는 음성 입력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는 영상 입력부 또는 음성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발생하여 무선 전화기(2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나 실내 인터폰(3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 거주자의 부재시 전화를 걸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DTMF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DTMF 발생부(126), 및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에 의하여 발생된 영상/음성 신호와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부(12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는 국선 라인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감지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100)의 암호신호 분석부(130)는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하여 암호화된 암호신호(S_p)를 복호화하여 암호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전화기(200)는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기 위한 암호신호 발생부(210)와,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내 인터폰(300)은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 발생부(310)와,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암호화는 버튼의 비트음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조합된 비트음을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거주자의 부재시에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발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제1 단계, 거주자의 부재 입력시에는 DTMF 발생부로 하여금 도어락의 호출시에 특정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로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2 단계, 및 송수신되는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된 신호의 수신에 대하여 암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동작이 수행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과 관계없이 도어락의 설치 및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락의 사용자의 부재시에도 도어락 호출에 따른 도어락 사용자의 부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선 전화기의 분실이나 도난의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 해제 기능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은 거주자의 부재시에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호출기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100),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며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200), 및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며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실내 인터폰(300)으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도어락(100)은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전원의 인가를 통하여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부(110), 거주자의 부재시에 도어락 개폐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호출신호 또는 개폐신호에 대하여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도어락 개폐부(110)에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수신부(120), 도어락 개폐부(110)의 개폐 동작의 인가여부를 위하여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입력되는 암호신호(S)를 분석하기 위한 암호신호 분석부(130),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도어락 개폐부(110)는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메트릭스부(112), 키메트릭스부(112)의 입력 또는 도어락의 개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 및 제어부(140)에 의하여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여부에 관한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16)로 이루어진다. 이 때, 도어락 개폐부(110)에는 방문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영상 및/또는 음성 입력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영상 입력부는 ccd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성 입력부는 소형 마이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는 국선 라인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감지부(122), 영상 입력부 또는 음성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발생하여 무선 전화기(2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나 실내 인터폰(3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 거주자의 부재시 전화를 걸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DTMF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DTMF 발생부(126), 및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에 의하여 발생된 영상/음성 신호와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부(128)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도어락(100)의 암호신호 분석부(130)는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하여 암호화된 암호신호(S_p)를 복호화하여 암호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신호를 발생한다.
무선 전화기(200)는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기 위한 암호신호 발생부(210)와,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로 이루어진다.
실내 인터폰(300)은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 발생부(310)와,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거주자의 부재시에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발신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 때, 특정 전화번호로의 발신과 함께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신호의 입력시에 사용자의 지정에 의한 암호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호는 암호화와 복호화가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후, 사용자는 외출시 부재 여부를 입력하며, 거주자의 부재 입력시에는 DTMF 발생부로 하여금 도어락의 호출시에 특정 전화번호로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무선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유선 전화기의 전화번호이어도 좋다.
이 후, 송수신되는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된 신호의 수신에 대하여 암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동작이 수행된다.
이 때,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암호화는 버튼의 비트음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조합된 비트음을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에 있어서, 실내 인터폰(300)과 디지털 도어락(100)은 무선으로 통신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유선으로 통신되어도 좋다.
110: 도어락 개폐부
112: 키메트릭스부
114: 디스플레이부
116: 개폐부
120: 무선신호 송수신부
122: 링감지부
124: 영상/음성신호 발생부
126: DTMF 발생부
128: RF 송수신부
130: 암호신호 분석부
140: 제어부
200: 무선 전화기
210: 암호신호 발생부
220: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
300: 실내 인터폰
310: 도어락개폐신호 발생부
320: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
100: 디지털 도어락

Claims (14)

  1. 거주자의 부재시에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호출기로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100); 및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며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며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실내 인터폰(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은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전원의 인가를 통하여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부(110)와, 거주자의 부재시에 도어락 개폐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호출신호 또는 개폐신호에 대하여 사전에 입력된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200)로 발신하며 도어락 개폐부(110)에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은 도어락 개폐부(110)의 개폐 동작의 인가여부를 위하여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입력되는 암호신호(S)를 분석하기 위한 암호신호 분석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도어락 개폐부(110)는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메트릭스부(112), 키메트릭스부(112)의 입력 또는 도어락의 개폐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 및 제어부(140)에 의하여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여부에 관한 신호에 따라 도어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도어락 개폐부(110)에는 방문자의 영상 및/또는 음성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영상 및/또는 음성 입력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는 영상 입력부 또는 음성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에 대하여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발생하여 무선 전화기(2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나 실내 인터폰(300)의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 거주자의 부재시 전화를 걸 수 있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DTMF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DTMF 발생부(126), 및 영상/음성신호 발생부(124)에 의하여 발생된 영상/음성 신호와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 송수신부(1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무선신호 송수신부(120)는 국선 라인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링감지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100)의 암호신호 분석부(130)는 무선 전화기(200)에 의하여 도어락 개폐에 관하여 암호화된 암호신호(S_p)를 복호화하여 암호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200)는 거주자의 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수신되는 암호신호(S_p)를 발생하기 위한 암호신호 발생부(210)와,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실내 인터폰(300)은 도어락 개폐신호(S_o)를 발생하기 위한 도어락 개폐신호 발생부(310)와, 거주자의 비부재시에 디지털 도어락(100)과 영상 또는 음성 신호(S_i´)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영상/음성신호 송수신부(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암호화는 버튼의 비트음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조합된 비트음을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13. 거주자의 부재시에 특정 전화번호로 발신하도록 하기 위한 발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제1 단계;
    거주자의 부재 입력시에는 DTMF 발생부로 하여금 도어락의 호출시에 특정 전화번호의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로 영상 및/또는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2 단계; 및
    송수신되는 무선 전화기 또는 유선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암호화된 신호의 수신에 대하여 암호의 일치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동작이 수행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도어락의 개폐를 위한 암호화는 버튼의 비트음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며,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조합된 비트음을 분석하여 사전에 입력된 암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도어락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의 방법.
KR1020140070184A 2014-06-10 2014-06-10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8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4A KR101582545B1 (ko) 2014-06-10 2014-06-10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84A KR101582545B1 (ko) 2014-06-10 2014-06-10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26A true KR20150142126A (ko) 2015-12-22
KR101582545B1 KR101582545B1 (ko) 2016-01-06

Family

ID=5508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184A KR101582545B1 (ko) 2014-06-10 2014-06-10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99A (ko) 2019-04-22 2020-11-0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14B1 (ko) 2022-05-21 2023-02-07 주식회사 투윈스컴 음성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스마트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35B1 (ko) * 1995-08-28 1998-12-15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도어개/폐기능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99A (ko) 2019-04-22 2020-11-02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무선 인증 방식의 잠금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45B1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2307B (zh) 利用声波进行开锁的电子锁及其开锁方法
US10038676B2 (en) Call encryp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490583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7157107B2 (ja) 一方向のキーフォブ及び車両ペアリング認証、保持、及び無効化
KR20090054598A (ko) 공개키 기반의 블루투스 스마트 키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3159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N106097494A (zh) 智能锁的开锁方法及装置
CN101519061A (zh) 一种汽车防盗报警系统
US11997193B2 (en) Secure communication method and smart lock system based thereof
CN104486083A (zh) 监控录像处理方法及装置
CN105096430A (zh) 车门开启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6453052A (zh) 消息交互方法及装置
KR20050033636A (ko) 무선 네트워크의 장치를 위한 보안 시스템
CN105096419B (zh) 开锁方法、装置、门锁及智能穿戴设备
KR101768172B1 (ko) 원격제어 잠금장치
CN101853533A (zh) 用于楼宇门禁系统的密码设定方法和装置
CN106060098A (zh) 验证码的处理方法、处理装置及处理系统
CN105279830A (zh) 一种基于移动设备的音频门禁系统
WO2014015803A1 (zh) 电子设备的解锁方法、解锁钥匙及解锁装置
CN110738778A (zh) 门禁控制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N105279831A (zh) 一种基于移动设备音频编码控制闭锁的方法
JP2006319649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使用制限方法
CN104852800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1582545B1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도어락의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2692A (ko)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