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798A - 진동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798A
KR20150141798A KR1020140070307A KR20140070307A KR20150141798A KR 20150141798 A KR20150141798 A KR 20150141798A KR 1020140070307 A KR1020140070307 A KR 1020140070307A KR 20140070307 A KR20140070307 A KR 20140070307A KR 20150141798 A KR20150141798 A KR 20150141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vibration
housing
weigh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구
최천
정경양
유한호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4007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798A/ko
Publication of KR2015014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진동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에 실장되어 진동하는 중량체와 마그넷을 구비하는 진동부재,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코일부재, 하우징과 상기 진동부재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부재 및 진동부재의 양 끝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구성이 단순해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며, 가격 경쟁력 또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 발생 장치{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 등에 사용되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기장과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한 진동부재의 축방향 선형 운동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진동 발생장치로서 편심 회전형 진동발생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제품의 긴 수명을 보장하지 못하고 응답성이 빠르지 못하며 다양한 진동모드의 구현에 한계가 있어, 터치 방식의 휴대 전화가 급속도로 대중화되는 추세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중량체를 선형적으로 요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 발생 장치 기술이 개발되었다. 선형 진동 발생 장치는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기장과 코일이 둘러싸는 영구자석의 자기장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중량체를 선형적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
선형 진동 발생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기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에서 상기 선형 진동 발생 장치 역시 이에 맞춰 소형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선형 진동 장치들은 이를 구성하는 부품점수가 많아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기 어렵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많은 부품점수로 인해 제작단가 측면에서도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하기 선행기술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 진동 발생 장치를 보면, 하우징 내에 샤프트를 배치하고, 샤프트 상에 중량체와 자계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하고, 중량체와 자계부의 축방향 슬라이드 운동을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부재와 탄성부재를 적용시킨 구조로서, 부품점수가 많아 소형화가 어렵고 비용절감이 쉽지 않은 구조이다.
더욱이, 중심 샤프트의 사용으로 하우징에 내장되는 중량체를 중공형의 구조로 구성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내경가공이 요구되고, 하우징 내부공간에 실장 가능한 크기로 중량체를 제작함에 있어 중공부 부피에 해당하는 만큼의 중량감소가 불가피하며, 중량 증대를 위해서는 중량체와 하우징의 크기를 키워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자계부 역시도 중공형의 구조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자계부 가공에 있어서도 곤란함이 수반되어 제작단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고, 속이 빈 중공형 구조로 자계부가 구성됨으로써 자계부의 전체적인 자기적 특성이 떨어져 만족도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을 구현해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32867호(공개일 2014. 03. 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형화와 경량화에 유리하고,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제작단가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의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어 진동하는 중량체와 마그넷을 구비하는 진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코일부재; 상기 하우징과 진동부재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양 끝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베어링부재에 접촉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측은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베어링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접촉한 상태로 진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진동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하우징은 양측이 개구된 단면이 각형인 통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커버로서 내부공간이 밀폐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커버의 대면하는 면에 탄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지홈에 탄성부재의 한 쪽 끝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은 진동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 사이 또는 상기 마그넷과 탄성부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는 확경 단면의 중량 부가부를 상기 마그넷 반대편에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 부가부는 탄성부재 일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요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이 위치한 하우징 내측면에 마그넷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코일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와 비교해 중심 샤프트가 배제됨에 따라, 하우징에 내장되는 중량체를 중실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크기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하우징에 실장되는 중량체의 중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같은 힘이 작용했을 때 보다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현해낼 수 있다.
또한, 자계부(마그넷) 역시도 중공형의 구조로 구성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내경가공이 필요 없는 중실형 구조의 자계부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품 제작 및 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고, 중공형 자계부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자기적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 기술과 비교해 부품수 감소로 인해 소형화 및 경량화에 매우 유리한 구조이면서,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현함에 있어 유리한 구성이고, 구성이 단순해 재조립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제작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절개 단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축방향(길이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하우징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정의하며, 반경방향(높이방향)은 도 1에서 볼 때 하우징의 상하 높이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원주방향은 상기 축 방향 중심 축선(도면의 일점 쇄선)을 기준으로 소정 부재의 내주면 또는 외부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절개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동 발생 장치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는 크게, 진동파트와 고정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파트를 구성하는 하우징(20) 내에 진동파트를 구성하는 진동부재(10)가 축방향으로 요동 운동 가능하게 실장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며, 진동파트와 고정파트 사이에는 진동파트의 요동 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42)가 개재된다.
진동파트는 상기 하우징(20) 내에 실장되어 진동하는 상기 진동부재(10)를 포함한다. 진동부재(10)는 중량 부여를 위한 원기둥 형태의 중량체(12)와 자계를 형성시키는 마그넷(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12)와 마그넷(14)은 도면과 같이 진동부재(10)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구조의 구성일 수 있으며, 중량체(12)와 마그넷(14)의 외주면 일부를 가이드부재(15)가 둘러싼다.
고정파트는 진동파트를 구성하는 상기 진동부재(10)를 축방향 진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20)과, 상기 마그넷(14)에 대응하여 하우징(20) 내측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코일부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과 진동부재(10)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 발생 시 상기 진동부재(1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부재(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20)은 진동부재(10) 수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지며, 진동 발생 장치의 외형을 구성한다. 하우징(20)은 양측이 개구된 단면이 각형(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인 통 형상의 케이스(2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2)의 일측과 타측에 엔드 플레이트(24)와 엔드 커버(26)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22)는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는 동시에 자기(磁氣)가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재질 선정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케이스(22)는 프레스 가공과 같은 소성가공이나 고압의 조건에서 몰드에 용해된 금속을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24)와 엔드 커버(26)는 상기 케이스(22)와 동일한 자성체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마찬가지로, 재질 선정에 있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엔드 플레이트(24)와 엔드 커버(26)가 서로 대면하는 면 즉, 케이스(22)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탄성부재(40)(42)의 한 쪽 끝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지홈(240)(26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2) 양측 개구에 엔드 플레이트(24)와 엔드 커버(26)가 조립되어 하나의 케이스(22)를 구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엔드 플레이트(24)나 엔드 커버(26) 중 하나가 상기 케이스(22)에 일체형으로 구성됨으로써 한 쪽에만 개구를 형성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진동부재(10)는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축방향을 따라 진동 가능하게 실장된다. 진동부재(10)는 전술했듯이 중량 부여를 위한 중량체(12)와 자계를 형성시키는 마그넷(14)을 축방향으로 일렬 배치시킨 구성일 수 있으며, 중량체(12)와 마그넷(14)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상기 가이드부재(15)를 통해 중량체(12)와 마그넷(14)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중량체(12)는 상기 마그넷(14)과 함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진동을 일으킨다. 진동 발생 시 보다 큰 진동을 일으킬 수 있도록 중량체(12) 일측 다시 말해, 상기 마그넷(14)의 반대편에 확경 단면의 중량 부가부(13)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으며, 비중이 큰 재질 예컨대, 황동이나 텅스텐 재질과 같은 비자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24)와 마주하는 중량 부가부(13)의 단부 면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40) 일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요입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량 부가부(13) 반대편의 마그넷(14)과 중량체(12) 사이 또는/및 상기 마그넷(14)과 탄성부재(40)(42) 사이에는 코일부재(50)과 마그넷(14)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집중을 위해 요크(16)(18)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40)(42)는 하우징(20)에 대한 진동부재(10)의 요동운동을 축방향에 대하여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재(40)(42)는 진동부재(10)를 구성하는 중량체(12)의 일측 끝단과 이에 대면하는 하우징(20,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부재(10)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40)와, 마그넷(14)과 이와 대면하는 하우징(20, 엔드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부재(10) 타측을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4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제2 탄성부재(40)(42)는 직경과 길이가 동일하며 탄성계수가 같은 코일형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엔드 플레이트(24)의 탄지홈(240)과 중량 부가부(13) 단부에 형성된 요입부(130)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4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기 엔드 커버(26)의 탄지홈(260)과 마그넷(14) 단부에 부착된 요크(18)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30)는 진동부재(10)의 축방향 진동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코일과 마그넷(14)의 전자기적인 상호작용으로 진동부재(10)가 하우징(20) 내에서 하우징(20)에 대해 상대 운동할 경우 진동부재(10)의 축방향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한다. 베어링부재(30)는 하우징(20) 내측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축방향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한 구성일 수 있다.
관통홀을 구획하는 상기 베어링부재(30)의 내주면에 진동부재(10) 외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가이드부재(15)의 외연부가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고, 베어링 부재의 외측은 하우징(20) 내측에 삽입 가능한 사각형(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중앙부 내측면에 압입 끼움방식 또는 스폿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베어링부재(30)는 진동부재(10)가 접촉하는 내주면에 볼홈을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하고 각각의 볼홈에 볼을 수납시켜 볼의 일부가 베어링부재(30)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볼 덮개로 고정한 형태의 구름 베어링이거나, 상기 가이드부재(15)와 면접촉을 이루는 내마모성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축받이 홈을 형성한 부시(bus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코일부재(50)는 진동부재(10)를 구성하는 상기 마그넷(14)과 상호작용을 통해 진동발생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코일부재(50)는 상기 마그넷(14)이 위치한 하우징(20) 내측면에 상기 마그넷(14)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20) 외측(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음)의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는다.
PCB를 통해 제공된 전기적 신호(교류전원)에 의해 코일부재(50)에 방향이 교번되는 전기장이 발생되며, 코일부재(50)가 발생시킨 전기장과 상기 마그넷(14)이 발생시키는 자기장 사이에 교번적으로 발생되는 힘 즉, 인력(引力)과 척력(斥力)으로 하우징(20) 내에서 진동부재(10)가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부재(10)의 진폭은 진동부재(10)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40)(42)의 탄성계수와 코일부재(50)와 요크(16)(18)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引力)에 의해 적정범위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일부재(50)는 진동하는 마그넷(14)과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내지는 원형의 중공부를 형성한 사각 기둥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진동부재(10)가 설정 진폭 범위를 벗어나 중량 부가부(13)가 시작되는 경계부에 형성된 단턱이 베어링부재(30)를 타격하는 기구적인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을 통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단턱면 또는 이와 대면하는 베어링부재(30) 일면에는 자기점성유체, 고무, 실리콘, 다공성 고무 재질의 충격 방지용 댐핑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조립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 장치 조립에 있어서는 먼저, 하우징(20)을 구성하는 케이스(22) 양 측 개구 중 어느 일측 개구를 통해 케이스(22) 중앙 내측에 위치하도록 베어링부재(3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30)는 앞서도 언급했듯이, 압입 끼워 맞춤방식 또는 스폿 용접을 통해 하우징(20) 중앙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중량체(12)와 마그넷(14)으로 구성된 진동부재(10)와 원통내지는 사각 기둥형상의 코일부재(50)를 상기 케이스(22)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끼워 케이스(22) 내측에 실장시킨다. 이때 상기 진동부재(10)는 상기 베어링부재(30)를 관통해 타측에서 조립되는 상기 코일부재(50) 안쪽으로 그 일부(마그넷(14)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실장시킨다.
그런 다음, 케이스(22)에 실장된 진동부재(10) 양 끝단에 각 탄성부재(40)(42)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탄성부재(40)(42)를 배치하고, 마지막으로 케이스(22) 양측에서 상기 개구를 덮으면서 진동부재(10)에 접촉된 부분 반대편의 탄성부재(40)(42) 타단을 지지하도록 엔드 플레이트(24)와 엔드 커버(26)를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진동 발생 장치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소정의 주파수를 가진 전기신호(교류전원)가 PCB의 패턴회로를 거쳐 코일부재(50)로 전달됨으로써 전기장이 발생된다. 코일부재(50)가 발생시킨 전기장은 요크(16)(18) 측에 집중되고, 요크(16)(18)에 집중된 전기장은 코일부재(50)가 둘러싸는 마그넷(14)이 발생시킨 자기장과 상호 작용을 일으켜 인력과 척력을 차례로 발생시킨다.
코일부재(50)와 마그넷(14) 사이의 상기 인력과 척력으로 중량체(12)와 마그넷(14)으로 구성된 진동부재(10)가 하우징(20) 내에서 도 6과 같이 축방향을 따라 좌우로 요동됨으로써 진동을 일으키고, 진동부재(10) 양 끝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42)가 반복적으로 압축되고 인장되면서 진동부재(10)가 좌우로 요동함으로써 발생된 진동력을 외부에 전달한다.
즉, 코일부재(50)와 마그넷(1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부재(10)가 코일부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중량체(12)를 탄성 지지하는 측의 탄성부재(40)는 압축되고 반대편의 탄성부재(42)는 인장되며, 반대로 인력에 의해 진동부재(10)가 코일부재(50) 쪽으로 당겨지면 코일부재(50) 측 탄성부재(42)는 압축되고 반대편 탄성부재(40)는 인장되면서 진동력을 외부에 전달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40)(42)는 진동부재(10)가 발생시킨 진동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진동부재(10)의 좌우 진폭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도 하며, 동시에 진동 발생 후 진동 발생 장치의 작동이 멈췄을 때 상기 진동부재(10)가 원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진동 발생 장치와 비교해 중심 샤프트가 배제됨에 따라, 하우징에 내장되는 중량체를 중실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크기라도 종래 기술에 비해 하우징에 실장되는 중량체의 중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같은 힘이 작용했을 때 보다 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를 구현해낼 수 있다.
또한, 자계부(마그넷) 역시도 중공형의 구조로 구성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내경가공이 필요 없는 중실형 구조의 자계부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품 제작 및 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고, 중공형 자계부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자기적 특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 기술과 비교해 부품수 감소로 인해 소형화 및 경량화에 매우 유리한 구조이면서, 장치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현함에 있어 유리한 구성이고, 구성이 단순해 재조립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제작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진동 발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진동부재 12 : 중량체
13 : 중량 부가부 14 : 마그넷
15 : 가이드부재 16, 18 : 요크
20 : 하우징 22 : 케이스
24 : 엔드 플레이트 26 : 엔드 커버
30 : 베어링부재 40, 42 : 탄성부재
50 : 코일부재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어 진동하는 중량체와 마그넷을 구비하는 진동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코일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진동부재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끝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베어링부재에 접촉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의 외측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베어링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접촉한 상태로 진동부재가 축방향으로 진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이 개구된 단면이 각형인 통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커버로서 내부공간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엔드 커버는 서로 대면하는 면에 형성된 탄지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지홈에 탄성부재의 한 쪽 끝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은 진동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중량체와 마그넷 사이 또는 상기 마그넷과 탄성부재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요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확경 단면의 중량 부가부를 상기 마그넷 반대편에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가부의 측면에는 탄성부재 일부가 수용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이 위치한 하우징 내측면에 상기 마그넷의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코일부재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 장치.
KR1020140070307A 2014-06-10 2014-06-10 진동 발생 장치 KR20150141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7A KR20150141798A (ko) 2014-06-10 2014-06-10 진동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7A KR20150141798A (ko) 2014-06-10 2014-06-10 진동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798A true KR20150141798A (ko) 2015-12-21

Family

ID=5508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07A KR20150141798A (ko) 2014-06-10 2014-06-10 진동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7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2492A1 (en) * 2016-08-30 2018-03-01 Nidec Seimitsu Corporation Vibration motor
KR20220015006A (ko) * 2020-07-30 2022-02-08 (주)라이빅 진동 발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867A (ko) 2012-09-06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867A (ko) 2012-09-06 2014-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2492A1 (en) * 2016-08-30 2018-03-01 Nidec Seimitsu Corporation Vibration motor
KR20220015006A (ko) * 2020-07-30 2022-02-08 (주)라이빅 진동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201373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0985905B1 (ko) 선형 진동기
CN107847975B (zh) 线性振动马达以及包括该线性振动马达的移动电子设备
KR100904743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US886026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957558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or
KR101452103B1 (ko)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TW202033283A (zh) 振動致動器以及電子機器
KR20140113857A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KR20140112648A (ko) 수평 진동 발생 장치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CN107107112B (zh) 线性振动马达
KR101184545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33422B1 (ko) 선형 진동자
KR20100046600A (ko) 선형 진동기
KR20150141798A (ko) 진동 발생 장치
CN107534376B (zh) 线性振动马达
KR100994999B1 (ko)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20140032863A (ko) 진동발생장치
JP6378125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2083447B1 (ko) 이중 코일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0989324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2259070B1 (ko) 선형 진동 모터
CN218335704U (zh) 整机振动的小型直线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