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070B1 - 선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070B1
KR102259070B1 KR1020140186435A KR20140186435A KR102259070B1 KR 102259070 B1 KR102259070 B1 KR 102259070B1 KR 1020140186435 A KR1020140186435 A KR 1020140186435A KR 20140186435 A KR20140186435 A KR 20140186435A KR 102259070 B1 KR102259070 B1 KR 10225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ibration motor
terminal
linear vibration
tubul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344A (ko
Inventor
임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8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0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개방면을 갖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일측 개방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구비한 브라켓;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샤프트; 샤프트 외주면에 배치되어 수평왕복하는 관형상 안내부; 관형상 안내부 외주면에 배치된 마그네트; 관형상 안내부의 축방향 양단 방향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여 관형상 안내부와 마그네트를 진동시키는 코일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브라켓의 인출부를 수단으로 하여 코일부를 외부로 인출하여 선형 진동 모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 모터 {Linear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 모터, 특히 바아(bar) 유형의 선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 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화하는 부품이다. 이와 같은 진동 모터는 점점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 기능이나 다양한 진동, 특히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고품질화에 의해서 터치 스크린 방식 등의 LCD가 채택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되는 기능이 요구되는 등 점차적으로 진동 모터의 개선이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 폰의 진동기능 구현을 위해 선형 진동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선형 진동 모터는 모터의 회전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동 모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과 이 스프링에 매달린 질량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력으로 가진되어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기력은 운동하는 질량체에 위치되는 마그네트와, 이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정 주파수의 전류를 제공하는 코일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형 진동 모터는 전자기력을 통해 수평 왕복이동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하지만, 특허문헌 1 등의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에서는 진동자의 진동 혹은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의 불안정한 고정에 따른 코일부의 단선 혹은 코일부의 각 단부를 선형 진동 모터 외부로의 인출에 있어 대응이 곤란할 수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US 2009/0243520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 진동 모터 내부에 배치된 코일부의 단선 및/또는 인출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선형 진동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개방면을 갖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일측 개방면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구비한 브라켓;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샤프트; 샤프트 외주면에 배치되어 수평왕복하는 관형상 안내부; 관형상 안내부 외주면에 배치된 마그네트; 관형상 안내부의 축방향 양단 방향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여 관형상 안내부와 마그네트를 진동시키는 코일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브라켓의 인출부를 수단으로 하여 코일부를 외부로 인출하여 선형 진동 모터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브라켓의 외측면과 이의 하부면에서 터미널의 일부를 노출시켜 외부 전원과 용이하게 접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코일부의 각 코일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 외부로 인출되어 터미널과 전기 연통가능하게 결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 모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형 진동 모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를 우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케이스의 일측에서 브라켓을 해체하여 도해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의 적용될 브라켓 내측을 확인할 수 있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1)는 마그네트(400)와, 이 마그네트(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주파수의 전류를 제공하는 코일부(300)의 상호 작용으로 전자기력으로 가진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도 2에 도시된 샤프트의 축선 방향으로 본 발명의 가늘고 긴 선형 진동 모터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1)는 케이스(100)와 브라켓(200)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내부 공간에 코일부(300)와, 마그네트(400), 질량체(500), 샤프트(600), 관형상 안내부(700), 및 탄성부재(800) 등을 구비한다.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고, 일측을 개방하고 있다. 케이스(100)는 자기 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외부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케이스(100)는 우측 개방면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0)를 구비한다. 이 걸림돌기(140)는 브라켓(200)과의 코킹 결합을 돕는다.
브라켓(200)은 케이스(100)의 개방 일측면에 예컨대 코킹(caulking), 용접 혹은 본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선형 진동 모터(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예컨대, 브라켓(200)은 케이스(100)의 걸림돌기(140)와 대응되는 가장자리에 걸림돌기(140)를 끼워넣는 하나 이상의 홈부(240)를 구비하여, 브라켓(200)과 케이스(100)를 코킹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은 코일부(300)의 양 단부에 해당하는 제1 코일(310)과 제2 코일(320)을 외부로 인출을 돕기 때문에, 선형 진동 모터(1)는 그 내부 공간에 인쇄회로기판(PCB)을 구비할 필요성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있지 않아 내부 구성을 단순화시켜 조립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비전도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 브라켓(200)은 2개의 터미널(231,232)과 함께 사출성형방식 혹은 인서트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 브라켓(200)과 터미널(231,232)을 단일 부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코일부(300)는 마그네트(40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마그네트(400)와 질량체(500)를 진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부재로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예컨대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코일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권선될 수 있고, 코일부(300)의 내측에서 마그네트(400)와 질량체(500)을 축선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유지한다.
또한, 코일부(300)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코일부의 양 단부(310,320)를 브라켓(200)의 인출부(220)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샤프트(600)는 선형 진동 모터(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되, 샤프트(600)의 일 단부는 케이스(100)의 좌측면 내측에 구비된 끼움홈(116)에 끼움 고정되는 한편 샤프트(600)의 타 단부는 브라켓(200)의 내측면에 구비된 끼움홈(226)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600)는 이의 외부면 둘레에 관형상 안내부(700)를 배치하고, 이 관형상 안내부(700)의 좌우방향 활주를 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1)는 코일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세기와 자계의 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선형 진동하는 진동부를 샤프트(600)와 코일부(300) 사이에서 배치한다.
여기서, 진동부는 코일부(300)와 샤프트(600)에 상대적으로 활주이동하는 구성부재로서, 관형상 안내부(700)와 마그네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상 안내부(700)가 이의 외부면에 질량체(500)를 구비한 상태로 샤프트(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이동하므로 질량체(500)를 진동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관형상 안내부(7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외주면에 마그네트(400)와 질량체(50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관형상 안내부(700)는 샤프트(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관형상 안내부(70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샤프트(600)를 둘러쌀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즉, 관형상 안내부(700)는 외부면에 마그네트(400)와 질량체(500)를 장착하고, 내주면은 샤프트(600)의 외주면과 대면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관형상 안내부(700)의 내경은 샤프트(600)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원활한 활주를 보장하도록 한다.
관형상 안내부(700)는 샤프트(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활주이동가능하도록 베어링부(900)를 구비한다. 관형상 안내부(700)는 도해되었듯이 이의 양단부에 각각의 베어링부(900)를 배치할 수 있는데, 2개의 베어링부(900)에 의해 관형상 안내부(700)와 샤프트(600)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어링부(900)는 관형상 안내부(700)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400)는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권선된 코일부(30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게 관형상 안내부(70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코일부(3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선형 진동 모터(1)는 코일부(300)와 마그네트(4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코일부(300)에 전류를 인가하면 플래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자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샤프트의 축선 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진동부를 구동하는 힘을 발생하게 된다. 코일부(30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바꿔 주면 진동부는 연속적으로 샤프트의 축선 방향을 따라 수평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질량체(500)는 코일부(300)와 마그네트(4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경우 진동이 증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질량체(500)는 비중이 큰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비자성 재질인 황동 등의 동계나 텅스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8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1)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 샤프트(600)와 동심축으로 배치되며, 제1 탄성부재(810)는 케이스(100)의 좌측면 내측에 고정부(120)와 관형상 안내부(700) 사이에 개재되는 한편, 제2 탄성부재(820)는 브라켓(200)의 고정부(280)와 관형상 안내부(700) 사이에 개재된다.
다시 말하자면, 탄성부재(8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게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800)는 진동부의 진동력을 제공하여 이의 선형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면을 폐쇄하는 한편, 코일부의 양 단부인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돕는다. 브라켓(200)은 제1 터미널(231)과 제2 터미널(232) 및 몸체부(210)를 구비하는데, 제1 및 제2 터미널(231,232) 일부가 몸체부(210)의 외측면(211) 및/또는 연장부(215)에 형성된 윈도우(241,242,251,25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몸체부(210)는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반적으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몸체부(210)는 이의 바닥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15)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215)는 케이스(100)의 일측 개방면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115)와 치합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내측면(212)에 고정부(280)를 형성하고, 이 고정부(280)는 제2 탄성부재(820)의 위치고정을 돕는다. 통상적으로, 제2 탄성부재(820)와 샤프트(600)는 동심축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280)의 중심부위에 끼움홈(21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끼움홈(216)은 몸체부(210)의 내측면(212)에서 외측면(211)까지 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끼움홈(216)은 샤프트(600)의 타 단부를 고정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브라켓(200)은 케이스(10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부(240)를 형성한다. 걸림돌기(140)가 몸체부(210)의 일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브라켓(200)에 홈부(240)를 구비하여 걸림돌기(140)와 홈부(240)의 코킹 결합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1)는 케이스(100)의 단차부(115)와 브라켓(200)의 연장부(215) 그리고 케이스(100)의 걸림돌기(140)와 홈부(240) 등의 구성부재를 통해 케이스(100)와 브라켓(200)의 신뢰할 수 있는 조립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 인출부(220)를 형성하는데, 이 인출부(220)를 수단으로 하여 코일부(300)의 각 코일(310,320)을 선형 진동 모터(1)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뽑아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인출부(220)는 몸체부(210)의 상단부의 모서리부분을 모따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의 2개 터미널(231,232)은 몸체부(210)의 외측면(211)에 일부 노출될 수 있게 인서트 사출성형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미널(231)은 외측면(211)과 나란하게 뻗은 제1면(231a)과 이 제1면(231a)에서 절곡되어 예컨대 몸체부의 연장부(215)를 향해 뻗어 있는 제2면(231b)으로 이루어진다. 제1 터미널(231)의 제1면(231a)과 제2면(231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터미널(232)은 외측면(211)과 나란하게 뻗은 제1면(232a)과 이 제1면(232a)에서 연장부(215)를 향해 뻗도록 절곡되어 있는 제2면(232b)으로 이루어진다.
제1 터미널(231)의 제1면(231a)은 외측면(211) 좌측에 형성된 제1 윈도우(241)를 통해 외부와 노출되어 인출부(220)를 통해 인출된 코일부(300)의 제1 코일(310)과 납땜 혹은 용접 등으로 전기연통가능하게 접점된다. 제1 터미널(231)의 제2면(231b)은 몸체부(210)의 바닥부 좌측에 형성된 제2 윈도우(24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제2 윈도우(242)는 몸체부(210)의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부(215)를 향해 형성되어 있어, 제1 터미널(231)의 제2면(231b)은 몸체부(210)의 바닥부와 편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터미널(232)은 제1 터미널(23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외측면(211) 우측에 배치되는데, 제2 터미널(232)의 제1면(232a)은 외측면(211) 우측에 형성된 제3 윈도우(251)를 통해 외부와 노출되어 인출부(220)를 통해 인출된 코일부(300)의 제2 코일(320)과 납땜 혹은 용접 등으로 전기연통가능하게 접점된다. 제2 터미널(232)의 제2면(232b)은 몸체부(210)의 바닥부 우측에 형성된 제4 윈도우(25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제4 윈도우(252)는 몸체부(210)의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연장부(215)를 향해 형성되어 있어, 제2 터미널(232)의 제2면(232b)은 몸체부(210)의 바닥부와 편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제1 터미널(231)의 제2면(231b)와 제2 터미널(232)의 제2면(232b)는 케이스(100)의 바닥부 및/또는 브라켓(200)의 바닥부와 편평하게 동일 높이(혹은 동일 수준)로 형성되어 예컨대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에 적용할 수도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브라켓(200)은 제1 윈도우(241)로 노출된 제1 터미널(231)의 제1면(23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제1 코일(310) 혹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홈(241g)을 제1 윈도우(241)에서 외측면(111)의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한다. 물론, 브라켓(200)은 제3 윈도우(251)로 노출된 제2 터미널(232)의 제1면(23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제2 코일(320) 혹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홈(251g)을 제3 윈도우(251)에서 외측면(111)의 가장자리까지 길게 형성한다.
가이드 홈(241g,251g)은 브라켓(200)에서 돌출되어질 코일 혹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게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하게 배치될 코일 혹은 와이어와 접촉 기회를 배제하는 한편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하여 단선되지 않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선형 진동 모터
100 ----- 케이스
200 ----- 브라켓
220 ----- 인출부
300 ----- 코일부
400 ----- 마그네트
500 ----- 질량체
600 ----- 샤프트
700 ----- 관형상 안내부
800 ----- 탄성부재
900 ----- 베어링부

Claims (13)

  1.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측 개방면을 갖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방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구비한 브라켓;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수평왕복하는 관형상 안내부;
    상기 관형상 안내부 외주면에 배치된 마그네트;
    상기 관형상 안내부의 축방향 양단 방향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관형상 안내부와 마그네트를 진동시키는 코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코일부를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터미널은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절곡된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터미널은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절곡된 제2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면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터미널의 제2면은 상기 브라켓의 연장부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터미널의 제1면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면에서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면은 상기 브라켓의 연장부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는 몸체부와;
    상기 샤프트의 위치고정을 돕는 끼움홈;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로 이루어진 선형 진동 모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 개방면에 단차부와 일측 개방면 가장자리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선형 진동 모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인서트 사출성형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터미널을 장착하는 선형 진동 모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외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향해 형성된 내측면; 및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부로 이루어진 선형 진동 모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은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선형 진동 모터.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터미널의 제1면의 노출을 돕는 제1 윈도우와 상기 제1 터미널의 제2면의 노출을 돕는 제2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1면의 노출을 돕는 제3 윈도우와 상기 제2 터미널의 제2면의 노출을 돕는 제4 윈도우를 구비하는 선형 진동 모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윈도우에서 외측면의 가장자리까지 오목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3 윈도우에서 외측면의 가장자리까지 오목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선형 진동 모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안내부는 이의 외주면에 질량체를 추가로 구비하는 선형 진동 모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안내부는 이의 양단부에 베어링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선형 진동 모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브라켓의 몸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선형 진동 모터.

KR1020140186435A 2014-12-22 2014-12-22 선형 진동 모터 KR10225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35A KR102259070B1 (ko) 2014-12-22 2014-12-22 선형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35A KR102259070B1 (ko) 2014-12-22 2014-12-22 선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44A KR20160076344A (ko) 2016-06-30
KR102259070B1 true KR102259070B1 (ko) 2021-06-02

Family

ID=5635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35A KR102259070B1 (ko) 2014-12-22 2014-12-22 선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772885U (zh) * 2020-07-10 2022-02-08 日本电产株式会社 振动马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5B1 (ko) 2008-10-27 2010-10-08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452103B1 (ko) * 2013-04-12 2014-10-17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60B1 (ko) * 2004-04-14 2006-07-03 주식회사 에이 이 패스 휴대 통신 단말기의 진동발생장치
JP4557029B2 (ja) 2008-03-26 2010-10-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リニア振動モータの駆動制御方法
US8937411B2 (en) * 2012-09-06 2015-0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905B1 (ko) 2008-10-27 2010-10-08 이인호 선형 진동기
KR101452103B1 (ko) * 2013-04-12 2014-10-17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44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597B1 (ko)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CN106575912B (zh) 线性振动马达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969438B1 (ko) 선형진동모터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US857579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having a buffer member
JP2017047415A (ja) ハプティ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11230067A (ja) 振動発生装置
KR101452103B1 (ko)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20100046602A (ko) 선형 진동기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CN106537742A (zh) 线性振动马达
WO2019029048A1 (zh) 线性振动马达
CN107107112A (zh) 线性振动马达
KR102259070B1 (ko) 선형 진동 모터
KR20150080673A (ko) 선형 진동 모터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KR20140032863A (ko) 진동발생장치
KR101883364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KR102280172B1 (ko) 진동 발생기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20160137170A (ko) 선형 진동 모터
KR102226309B1 (ko)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