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012A -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 Google Patents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012A
KR20150141012A KR1020140069429A KR20140069429A KR20150141012A KR 20150141012 A KR20150141012 A KR 20150141012A KR 1020140069429 A KR1020140069429 A KR 1020140069429A KR 20140069429 A KR20140069429 A KR 20140069429A KR 20150141012 A KR20150141012 A KR 2015014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poline
trampolines
canvas
slope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3122B1 (en
Inventor
윤재갑
Original Assignee
플레이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레이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레이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122B1/en
Publication of KR2015014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trampoline with a slope. More particularly, step-type trampolines, comprising an inclined trampoline and flat trampo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multiple steps to enable children to play in various manners by using the trampolines. Spatial utilization of the stepped trampoline with a slope is very high as there is not a space through which a user walks to enjoy the trampoline. The stepped trampoline with a slope includes: the inclined trampoline which has an upper waiting seat, formed on an upper portion, an inclined unit, formed on a lower portion, and a flat landing unit formed on a lower portion; step trampolines which comprise two or more stage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and have multiple doors formed to allow the user to come in and out; and a separation unit which separates the inclined trampoline from the step trampolines and has the doors to allow the user to move between the inclined trampoline and the step trampolines; and a mesh net which covers the out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s and the step trampolines and has entrances formed on a front side to allow the user enter the insides of the inclined trampoline and the step trampolines.

Description

경사계단 트램펄린{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0002]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0003]

본 발명은 경사계단 트램펄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사 트램펄린 및 평판의 트램펄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계단식 트램펄린이 서로 연결되어 아동이 트램펄린을 이용하여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는 한편, 트램펄린을 즐기기 위해 이동하는 공간이 없어 공간 활용이 용이한 경사계단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lined step trampoline, specifically, a stepped trampoline in which inclined trampolines and a trampoline of a flat plate are formed in a multistage mann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child can play various games using the trampol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lined step trampoline in which space is not easily utilized.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사각이나 원형 금속틀에 안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캔버스 천을 탄성 지지한 운동기구로써, 사용자는 캔버스 천을 이용하여 높이 도약하면서 각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In general, a trampoline is a motion mechanism in which a canvas clot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using a plurality of springs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metal frame, and a user can implement various operations while leaping using a canvas cloth.

이러한 트램펄린은 텀블링(Tumbling)이라고도 불리우며, 손쉽게 공중으로 도약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놀이 시설이나 운동시설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trampolines are also called tumbling, and they are widely used as amusement facilities and exercise facilities due to their ability to leap easily to the air.

특히 체조선수들의 경우, 공중돌기나 비틀기 또는 체조기구로부터 도약 후 바닥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하는 것을 연습하기 위하여 트램펄린을 사용하고 있다.Especially for gymnasts, they use trampolines to practice landing from an airborne or twisted or gymnastic device in a stable position on the ground after leaping.

또한 트램펄린은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In addition, trampoline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fant play facility and athletic exercise facility because it can enjoy the pleasure of flying at the same time as the exercise, and it is focused on economical health and diet apparatus compared to the effect.

트램펄린은 강철 프레임 안에 스프링으로 연결한 특수 합성수지의 탄성을 이용한 도약용 운동기구로써 운동량도 상당히 많아서 성장하는 어린이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rampoline is a leaping exercise device using elasticity of a special synthetic resin that is connected by a spring in a steel frame. It is known to be very useful for growing children because of its great amount of momentum.

트램펄린은 이동이 비교적 용이한 것과 고정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있다. 고정식으로 된 트램펄린은 대개 캔버스 천의 면적이 넓고 안전성을 위해 측면에 그물이 설치되어 있다.Trampolines are relatively easy to move and some are fixed. Fixed trampolines usually have a large area of canvas cloth and netting on the side for safety.

그러나 이러한 측면 그물에 의해서도 안전성이 보장되지 못하는데, 이는 측면 그물이 강철 프레임에 고정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점핑하던 어린이가 강철 프레임에 부딪히거나 간혹 강철 프레임과 캔버스 천을 연결하는 스프링 사이에 발이나 손이 끼어 상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this side net does not guarantee safety either because the side net is fixed to the steel frame and thus the jumping child strikes against the steel frame or occasionally between the spring connecting the steel frame and the canvas cloth, There was a case where an injury was injured.

등록특허 10-1347981호Patent No. 10-1347981

상기한 특허문헌에는 실내에서 트램펄린의 그물망에 올라가 점프하면서 운동할 때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집진하여 배출하고 그물망의 일측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미끄럼틀의 놀이도 함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램펄린 시설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a technique related to a trampoline facility configured to easily collect and discharge contaminants generated when a user moves on a net of a trampoline in a room while moving, jolts one side of a net and plays a slide Lt; / RTI >

구체적으로는 실내에서 설치되는 트램펄린 시설은 파이프, 빔 등의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60)들과; 상기 지주(60)들의 일정 높이에서 폐루프의 형상으로 고정된 폐루프 프레임(15)과; 전단으로부터 후 방향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후단의 일정 구간이 단부로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폐루프 프레임(15)의 내부에서 고정되고 내부로 노출된 부분에 뚫어진 구멍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캔버스 파이프(20)와; 상기 사각 형상 캔버스 파이프(20)의 중앙부분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지되, 후단의 일정 구간이 단부로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부로 노출된 부분에 뚫어진 구멍이 형성된 캔버스 구획 파이프(30)들과; 캔버스 천으로 테두리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캔버스 결합링(54)이 결합된 테두리 부착부(52)가 재봉된 뜀틀 캔버스(50)들과; 상기 뜀틀캔버스(50)들의 테부리 부분이 결합된 캔버스 결합링(54)과; 상기 캔버스 파이프(20)와 상기 구획 파이프(3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뜀틀 캔버스(50)들을 상기 캔버스 파이프(20)와 상기 캔버스 구획 파이프(30)의 사이에 평편하게 고정하는 다수의 코일인장스프링(40)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trampoline facility installed in a room includes pillars 60 vertic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ape of a pipe, a beam, or the like; A closed loop frame 15 fixed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olumns 60; And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rear en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as it goes toward the end portion and fixed in the inside of the closed loop frame 15, A canvas pipe 20; Shaped canvas pipe 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ctangular canvas pipe 20. The canvas partition pipe 20 is formed such that a certain section of the rear end is inclined upwards toward the end, (30); A canvas cloth canvas 50 in which a rim attachment portion 52 having a canvas engagement ring 54 joined at regular intervals is sewn to the rim of the canvas cloth; A canvas engagement ring (54) to which the tip portions of the vault canvas (50) are coupled; A canvas pipe 20 and a canvas compartment pipe 3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in the canvas pipe 20 and the compartment pipe 30 to uniformly fix the canvas pipes 20 between the canvas pipe 20 and the canvas compartment pipe 30. [ And a coil tension spring 40.

상기한 트램펄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trampolin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복수의 뜀틀캔버스(50)가 하향식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1회성의 단순한 놀이에 그치게 되어 놀이의 즐거움이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since the plurality of the vault canvases 50 are formed only in a top-down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easure of the play is halved because the game is stopped by a simple play of one time.

둘째, 한 번의 트램펄린을 즐기기 위해서는 트램펄린 밖으로 나와 신발을 신고 트램펄린 둘레를 돌아 계단 또는 사다리를 통해 올라가서 상부 대기석으로 진입해야 되며, 이를 위해서는 트램펄린 외측에 이동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트램펄린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여유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in order to enjoy one trampoline, go out of the trampoline, go around the trampoline, go up the stairs or the ladder and enter the upper waiting seat. To do this, a moving space is needed outside the trampoline, There is a problem that a space is required.

셋째, 남아 또는 고학년의 아동의 경우 비약 거리가 길게 되므로 상부 대기석에서 과도하게 뛰어 내릴 경우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 전방 벽에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children who are boys or seniors have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when a child leaps excessively from the upper waiting seat and is thrown forward to collide with the front wall.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경사 트램펄린 및 평판의 트램펄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계단식 트램펄린이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트램펄린을 다양한 형태의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존과 같이 트램펄린을 즐기기 위해 이동하는 공간이 없어지므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트램펄린을 운영할 수 있는 트램펄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mpoline trampoline apparatus and a trampoline trampoline apparatus, The trampoline can be operated even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because there is no space for moving the trampoline in order to enjoy the conventional trampolin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상부 대기석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평탄한 착지부로 형성되는 경사 트램펄린; 상기 경사 트램펄린의 일측 또는 타측에 둘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 간은 서로 구획되되, 서로 왕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어가 형성되는 계단 트램펄린; 상기 경사 트램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을 구획하되, 상기 경사 트렘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간을 왕래하는 왕래용 도어가 설치되는 구획부; 및 상기 경사 트램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의 외측부를 감싸되, 전면에 경사 트램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의 내측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각각 출입구가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clined trampoline comprising: an upper stover sea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slop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t land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tep trampoline having two or more layers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ilted trampoline and having a plurality of door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formed to be able to pass through each other;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inclined trampoline and the step trampoline, wherein a passageway for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trampurine and the step trampoline is installed; And a mesh network enclosing the inclined trampoline and the outer side of the stair trampoline and having an entrance to allow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inclined trampoline and the step trampoline to the inside,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 트램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은, 신축매트 또는 뜀틀캔버스와 인장스프링이 결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rp trampoline and the stair trampolin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mposed of either a stretch mat or a combination of a vault canvas and a tension spr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계단 트램펄린의 도어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door of the step trampoline is formed in a zigzag sha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 트램펄린 및 계단 트램펄린은, 가로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inclined trampoliners and the stepped trampolines are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에 의하면, 경사 트램펄린 및 평판의 트램펄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계단식 트램펄린이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트램펄린을 다양한 형태의 놀이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ad trampoline and the step trampoline in which the trampoline of the flat plate is formed in multi-stages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trampoline can be enjoyed as various types of play.

또한, 기존의 경사 트램펄린은 한 번의 트램펄린을 즐기기 위해서는 트램펄린 밖으로 나와 신발을 신고 트램펄린 둘레를 돌아 계단 또는 사다리를 통해 올라가서 상부 대기석으로 진입해야 되며, 이를 위해서는 트램펄린 외측에 이동공간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은 주변에 이동경로가 필요하지 않아서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운영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order to enjoy a single trampoline, the existing trampoline must go out of the trampoline, go around the trampoline, go up the stairs or the ladder, and enter the upper chamber. To this end, a moving space is required outside the trampoline, The trampoline of the slope stairway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because it can operate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because the movement path is not necessary around the trampoline.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은, 일측에 상부에 상부 대기석(10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경사부(102)가 형성되며, 하부에 평탄한 착지부(103)로 형성되는 경사 트램펄린(100)이 구비된다. 2 and 3,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tover 10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 inclined portion 10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t fixed portion 103 The inclined trampoline 1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trampolines.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 이를 지지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지주(401) 및 그물(402)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한 지주(401) 및 그물(402)은 후술의 그물망(400)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inclined trampoline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supported by the outer side and is divided by a support column 401 and a net 402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The strut 401 and the net 40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mesh 400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둘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 간은 서로 구획되되, 서로 왕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어가 형성되는 계단 트램펄린(20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trampoline 200 is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each of the layer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oors, do.

상기 계단 트램펄린(200)은, 도면에 3단으로 도시되었지만 공간적 여건에 따라 그 이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의 길이도 길어지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Although the stair trampoline 200 is shown in three stages in the figure, it can be installed further according to spatial conditions.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is obviously long.

상기한 계단 트램펄린(20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하단 즉 상기 착지부(103)와 동일 또는 비슷한 높이에 제1 단 트램펄린(210)이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step trampoline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end trampoline 210 at the lowest level, that is, at the same height as or similar to the fixed portion 103.

또한, 상기 제1 단 트램펄린(210) 상부에는 상기 제1 단 트램펄린(210)보다 높은 높이의 제2 단 트램펄린(22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단 트램펄린(220)의 상부에는 제3 단 트램펄린(230)이 구비된다. A second stage trampoline 220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tage trampoline 210 is provided on the first stage trampoline 210. A third stage trampoline 220 is provided on the second stage trampoline 220, (Not shown).

따라서 상기한 제1, 제2 및 제3 단 트램펄린(210, 220, 230)은 계단형상으로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 trampolines 210, 220, and 230 are configured in a stepped shape.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및 제3 단 트램펄린(210, 220, 230)은 각각을 왕래할 수 있도록 제1 단 및 제2 단 도어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단 도어(211)는 제1 및 제2 트램펄린(210, 220))간을 왕래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단 도어(221)는 제2 및 제3 단 트램펄린(220, 230)간을 왕래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trampolines 210, 220, and 23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mpolines 210, 220, The first and second trampolines 210 and 220 and the second end door 221 is for travel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trampolines 220 and 230. [

또한, 제1 단과 제2 단(210, 220)간, 제2 단과 제3 단(220, 230)간의 단차가 너무 크면 아동들이 도어를 통해 상단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트램펄린을 이용할 수 있는 최저 연령 아동을 기준으로 단차가 아이들의 평균 키의 허리 정도가 되어야 약간의 점프 후 올라가서 상부 대기석(101)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children are unable to move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door if the step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210, 220 and between the second end and the third end 220, 230 is too larg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hild so as to be able to ascend to the upper waiting seat 101 after a slight jump when the step is based on the child and the level should be the waist of the average height of the children.

또한, 각각 제2 단 트램펄린의 입구 및 출구 역할을 하는 상기 제1 및 제2 단 도어(211, 221)는 서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아이들이 각 계단 트램펄린을 이용하여 이동할 경로를 예정해줌으로써 아이들이 서로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이동 거리를 대각선으로 늘려주어 한정된 공간에서 운동량을 극대화시키면서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end doors 211 and 221, which serve as an inlet and an outlet, respectively, of the second stage trampoline are formed to be zigzag with each oth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ldren from being injured by collision with each other, and to increase the distance of travel diagonally, thereby maximizing the amount of exercise in a limited space and doubling the pleasure of play.

한편,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을 구획하되, 상기 경사 트렘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간을 왕래하는 왕래용 도어(310)가 설치되는 구획부(300)가 구비된다. The partitioning part 300 partitioning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nd provided with the passageway door 310 passing between the inclined trash pulp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Respectively.

상기 왕래용 도어(310)는, 경사 트램펄린(100)과 제1 단 트램펄린(210) 사이 및 제3 단 트램펄린(230)과 상부 대기석(101) 사이에 형성된다. The hatch door 310 is formed between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first stage trampoline 210 and between the third stage trampoline 230 and the upper atmosphere seats 101.

따라서 기존과 같이 트램펄린을 즐기기 위해서는 트램펄린 밖으로 나와 신발을 신고 트램펄린 둘레를 돌아 계단 또는 사다리를 통해 올라가서 상부 대기석으로 진입해야 되는 불편함이 없어짐과 동시에 트램펄린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공간 확보가 용이해 지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enjoy the trampoline as before, the trampoline is taken out of the trampoline, the trampoline is wrapped around the trampoline, and the trampoline is occupied by the trampoline. .

또한, 상기 구획부(300)는 복수의 지주(301)와, 상기 지주(301)간을 연결하는 그물(302)로 구성된다. The partition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ts 301 and a net 302 connecting the struts 301.

한편,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의 외측부를 감싸되, 전면에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의 내측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각각 출입구(410, 420)가 설치되는 그물망(400)이 구비된다.The entrance and exit ports 410 and 420 are installed to cover the out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nd allow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to the inside, And a mesh 400 is provided.

상기 그물망(400)은, 장방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구획부(300) 및 계단 트램펄린(200) 전체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 지주(401)와 그물(402)로 구성된다.The mesh 400 is installed in a rectangular shape to enclose the entire out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the partition 3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truts 401 and a net 402 ).

한편,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은, 신축매트 또는 뜀틀캔버스와 인장스프링이 결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stretch mat or a combination of a vault canvas and a tension spring.

도면에는 뜀틀캔버스와 복수의 인장스프링이 서로 결속되는 형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신축매트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뜀틀캔버스와 복수의 인장스프링이 서로 결속되는 형식은 기존의 트램펄린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rawings, a canvas canvas and a plurality of tension springs are shown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canvas canvas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springs may be constructed using a stretch mat. The form in which the camcorder canvas and the plurality of tension springs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rampoline, so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the drawings are omitted.

한편,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은, 가로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경사 트램펄린(100) 및 경사 트램펄린(200)은 각 하나씩 도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공간이 확보되었을 경우에는 예컨대 경사 트램펄린(100)의 양측에 계단 트램펄린(200)이 가로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또는 계단 트램펄린(200)의 양측에 경사 트램펄린(100)이 가로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may be plurally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though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inclined trampoline 200 are shown as being shown one by one in the figure, when the space is secured, for example, the step trampolin 200 is arranged on eith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A plurality of slanted trampolines 100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tep trampoline 200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modifications of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의 변형예는 상기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odification of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in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3 described above.

다만, 착지부(103)의 중간부에서부터 끝단까지의 구간을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완충부 또는 전방 경사부(104)를 구비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상기 상부 대기석(101)에서 과도하게 뛰어내려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는 아동이 전방의 그물과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However, by forming the buffer portion or the forward inclined portion 104 so that the section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end portion of the land portion 103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jump out from the upper waiting seat 101 excessively, This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collision of the child with the net in the front.

이와 같은 변형예에 따르는 경우, 완충부 또는 전방 경사부(104)가 경사져 형성되기 때문에 전면부로 출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출입구는 측면 출입구(430)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since the buffer part or the forward inclined part 104 is inclined, it is impossible to enter into the front part, so that the entrance is composed of the side entrance 430.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경사계단 트램펄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inclined step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경사 트램펄린 101 : 상부 대기석
102 : 경사부 103 : 착지부
104 : 전방 경사부 200 : 계단 트램펄린
210 : 제1 단 트램펄린 211 : 제1 단 도어
220 : 제2 단 트램펄린 221 : 제2 단 도어
230 : 제3 단 트램펄린 300 : 구획부
301 : 지주 302 : 그물
310 : 왕래용 도어 400 : 그물망
401 : 지주 402 : 그물
410, 420 : 출입구 430 : 측면 출입구
100: inclined trampoline 101: upper waiting stone
102: slope part 103:
104: forward slope part 200: stair trampoline
210: first stage trampoline 211: first stage door
220: second stage trampoline 221: second stage door
230: Third stage trampoline 300:
301: holding 302: net
310: Doorway 400: Network
401: column 402: net
410, 420: entrance and exit 430: side doorway

Claims (4)

상부에 상부 대기석(101)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경사부(102)가 형성되며, 하부에 평탄한 착지부(103)로 형성되는 경사 트램펄린(100);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둘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 간은 서로 구획되되, 서로 왕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도어가 형성되는 계단 트램펄린(200);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을 구획하되, 상기 경사 트렘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간을 왕래하는 왕래용 도어(301)가 설치되는 구획부(300); 및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의 외측부를 감싸되, 전면에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의 내측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각각 출입구(410, 420)가 설치되는 그물망(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계단 트램펄린.
An inclined trampole 100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eadmill 101, an inclined portion 10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lat land portion 103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tepped trampoline 200 formed of two or more layers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having a plurality of doors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formed so as to be able to pass each other;
A partitioning part 300 partitioning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nd provided with a passageway door 301 passing between the inclined trampurin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nd
The mesh trampol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re surrounded by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so that the entrances and exits 410 and 420 are installed inside the trampoline 2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400). ≪ / RTI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은,
신축매트 또는 뜀틀캔버스와 인장스프링이 결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계단 트램펄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A stretch mat or a combination of a vault canvas and a tension spr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트램펄린(200)의 도어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계단 트램펄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f the stair trampoline 200,
Wherein the tram line is formed in a zigzag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트램펄린(100) 및 계단 트램펄린(200)은,
가로방향으로 인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계단 트램펄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trampoline 100 and the step trampoline 200,
Wherein the plurality of trampol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KR1020140069429A 2014-06-09 2014-06-09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KR101603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29A KR101603122B1 (en) 2014-06-09 2014-06-09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429A KR101603122B1 (en) 2014-06-09 2014-06-09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12A true KR20150141012A (en) 2015-12-17
KR101603122B1 KR101603122B1 (en) 2016-03-14

Family

ID=5508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429A KR101603122B1 (en) 2014-06-09 2014-06-09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12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3423A1 (en) * 2015-04-17 2016-10-20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Trampoline Mats at Different Heights
DE102020101037B4 (en) 2019-03-04 2022-01-20 Eurotramp-Projects GmbH sports and leisure facility
US11806598B2 (en) 2018-04-25 2023-11-07 Robovision Limited Safety barrier for 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936B1 (en) 2020-09-18 2021-01-18 (주)신흥이앤지 cylindrical closed loop multi-layer ri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550A (en) * 1994-08-08 1996-02-20 Masasato Ikegami Playing instrument
CN201082326Y (en) * 2007-07-09 2008-07-09 俞振贤 High security and entertainment jumping bed
CN201710954U (en) * 2010-06-13 2011-01-19 董继贤 Novel recreational body-building trampoline
US20140005003A1 (en) * 2012-07-01 2014-01-02 Phillip Howell Trampoline Park Framing System
KR101347981B1 (en) 2012-10-16 2014-01-09 한기수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550A (en) * 1994-08-08 1996-02-20 Masasato Ikegami Playing instrument
CN201082326Y (en) * 2007-07-09 2008-07-09 俞振贤 High security and entertainment jumping bed
CN201710954U (en) * 2010-06-13 2011-01-19 董继贤 Novel recreational body-building trampoline
US20140005003A1 (en) * 2012-07-01 2014-01-02 Phillip Howell Trampoline Park Framing System
KR101347981B1 (en) 2012-10-16 2014-01-09 한기수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3423A1 (en) * 2015-04-17 2016-10-20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Trampoline Mats at Different Heights
US9889339B2 (en) * 2015-04-17 2018-02-13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trampoline mats at different heights
US11806598B2 (en) 2018-04-25 2023-11-07 Robovision Limited Safety barrier for play apparatus
DE102020101037B4 (en) 2019-03-04 2022-01-20 Eurotramp-Projects GmbH sports and leisure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122B1 (en)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22B1 (en)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EP2550075B1 (en) Multilane waterslide with a common sliding area
US3201126A (en) Game apparatus with target and trampolin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US5405304A (en) Multiple pathway play apparatus for climbing and crawling
US9586159B2 (en) Inflatable soap box derby
KR101743082B1 (en)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RU2060757C1 (en) Riding hill
US10702729B2 (en) Multi-level play equipment
CN103813836A (en) Trampoline accessory attachment system
KR101393650B1 (en) A complex amusement facilities
RU147936U1 (en) KIDS SPORTS AND GAME COMPLEX
US20130190137A1 (en) Children's Playground with Trampoline
US5078094A (en) Elevator toy for small animals
KR101278084B1 (en) Playing facility with flexible shape
US5095852A (en) Elevator/staircase toy for small animals
KR101322039B1 (en) Trampoline
KR101347981B1 (en)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JP2004208844A (en) Plaything using air sheet mat
CN211328131U (en) Double-tower recreation facility
KR20160031697A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free falling man' safety landing
KR20130000204A (en) The frame type child playing structure which is established in the room
KR102222009B1 (en) Tree-type Complex Adventure Facility
KR102208038B1 (en) Indoor kids cafe facility
JP6377391B2 (en) Air mat for practicing horse racing and a horse training se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