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984A -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984A
KR20150138984A KR1020140066139A KR20140066139A KR20150138984A KR 20150138984 A KR20150138984 A KR 20150138984A KR 1020140066139 A KR1020140066139 A KR 1020140066139A KR 20140066139 A KR20140066139 A KR 20140066139A KR 20150138984 A KR20150138984 A KR 2015013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ayer
heat insulating
floor
foam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984A/ko
Publication of KR2015013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는, 바닥슬라브; 및 상기 바닥슬라브 상에 제공되는 바닥상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상부유닛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덮어서 마감하되 강도가 보강된 마감 모르타르층, 및 상기 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배치된 단열층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를 덮는 마감 모르타르층을 보강하면서 단열층에 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Floor structure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으로서,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을 구분하는 바닥슬라브(10) 위에 단열층(11)이 형성되고, 그 위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과 마감 모르타르층(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14)에는 난방을 위한 파이프(1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바닥슬라브(10) 상에 단열재를 안착배치시켜 단열층(11)을 형성시키고, 상기 단열층(11) 상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을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 상에 파이프(13)를 설치한 후, 마지막으로 파이프(13)를 덮어서 마감하도록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 상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 모르타르층(14)을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 상에 타설하는 모르타르에 의해 형성되는 마감 모르타르층(14)의 두께가 약 40mm 정도이다.
이때,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14)은 파이프(13)를 지지하는 서포트(미도시)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으로서 경량기포 콘크리트 상측으로 두께가 약 20mm 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아울러 난방용 파이프(13)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도록 파이프(13) 상측으로 두께가 최소 20mm 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14)은 총 40mm 정도의 두께로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높은 층고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전체 공사비용이 증대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는, 바닥슬라브; 및 상기 바닥슬라브 상에 제공되는 바닥상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상부유닛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 상기 파이프를 덮어서 마감하되 강도가 보강된 마감 모르타르층, 및 상기 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배치된 단열층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상부유닛은, 상기 바닥슬라브 상에 배치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상에 배치되며, 상부에 파이프홈이 형성된 상기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파이프홈에 하부가 삽입배치된 상기 파이프; 및 상기 단열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덮는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은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보강재는 스틸파이퍼, 매크로섬유, 비정질섬유, 타이어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은 발포폴리스틸렌(EPS),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EP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을 구분하는 바닥슬라브를 형성시키는 바닥슬라브 형성단계; 상기 바닥슬라브 상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을 형성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형성단계; 상부에 파이프홈이 형성된 단열재를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상에 안착시켜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재의 파이프홈에 파이프의 하부를 삽입배치시키는 파이프 설치단계; 및 상기 파이프를 덮어서 마감하도록 상기 단열층 상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 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파이프를 덮는 마감 모르타르층을 보강하면서 단열층에 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체에서 고중량 안착물에 의해 파손된 마감 모르타르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체에서 고중량 안착물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은 마감 모르타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전체 공사비용을 줄이기 위해,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도록, 파이프를 덮는 마감 모르타르층을 보강하면서 단열층에 파이프의 일부가 삽입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층을 구분하는 바닥슬라브(100), 상기 바닥슬라브(100) 상에 제공되는 바닥상부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상부유닛(200)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를 덮어서 마감하되 강도가 보강된 마감 모르타르층(240), 및 상기 파이프(230)의 일부가 삽입배치된 단열층(22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바닥상부유닛(200)은 바닥슬라브(10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경략기포 콘크리트층(210), 단열층(220), 파이프(230), 마감 모르타르층(2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은 잔 골재를 쓰지 않고 콘크리트 속에 많은 기포를 만들어 중량을 작게 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중량이 일반 콘크리트의 약 1/4로서, 내화 성능이 좋으며 무기질로서 유해가스 발생이 없다. 또한,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열 전도율이 콘크리트의 약 1/10로서 단열성이 우수하며, 기밀성이 좋은 공간을 만들어 기포로 인하여 차음도를 높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상기 단열층(220)은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상에 배치되며, 파이프(230)의 하부가 삽입배치되도록 파이프홈(220a)이 상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단열층(220)은, 그 배치위치가 단열층(11) 다음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이 적층되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건축물 바닥구조체와는 다르게,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다음에 단열층(220)이 적층구조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다르게 단열층(220)의 상부면에 파이프(230)가 안착되되, 상부에 형성된 파이프홈(220a)에 파이프(230)의 일부분인 하부가 삽입됨으로써 배치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단열층(220)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을 동일하게 존재한다고 하였을 때, 마감 모르타르층(240)의 두께를 줄이지 않으면 전체 층고를 줄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단열층(220)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적층순서를 바꾸고, 단열층(220)의 상부면에 파이프(230)의 하부가 삽입배치되게 파이프홈(220a)이 형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파이프(230)의 직경이 20mm 정도라면,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구조체는 마감 모르타르층(14)이 파이프(13)를 지지하는 서포트(미도시)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으로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12) 상측으로 두께가 약 20mm 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아울러 난방용 파이프(13)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도록 파이프(13) 상측으로 두께가 최소 20mm 정도가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총 40mm 정도의 두께로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마감 모르타르층(14)이 형성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230)가 반지름인 10mm 만큼 단열층(220)의 파이프홈(220a)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마감 모르타르층(240)이 난방용 파이프(23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도록 파이프(230) 상측으로 두께가 20mm 정도만 확보함에 따라, 총 30mm 정도의 두께로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이때 상기 단열층(220)은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연질(軟質)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며, 그 재질로는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EPE), 발포폴리스틸렌(EPS)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층(220)은 층간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지님으로써 완충작용을 함에 따라 난방을 위해 설치된 파이프(23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는 파이프(230) 보호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마감 모르타르층(240)에 안착되는 가구와 같은 중량물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상기 파이프(230)가 압박을 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하중으로부터 파이프(230)를 보호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단열층(220)은 마감 모르타르층(240)도 상부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240)은 단열층(220) 상에 배치되어 파이프(230)를 덮어서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때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두께가 줄어듦에 따라, 상부에 놓이는 가구와 같은 중량물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섬유보강재는 스틸파이퍼, 매크로섬유, 비정질섬유, 타이어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섬유보강재는 일반적인 균열방지용 섬유제인 유기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보다 훨씬 인장강도가 높은 섬유가 사용되는데 일례로서 스틸파이퍼, 매크로섬유, 비정질섬유, 타이어코드가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종래기술에 따른 마감 모르타르층(14)은 상부의 중량물에 의해 하중을 받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이 가면서 파손될 수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마감 모르타르층(240)은 섬유보강재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휨 강성이 증대됨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여기에서 상술된 본 발명의 건축물의 바닥구조체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을 구분하는 바닥슬라브(100)를 형성시키는 바닥슬라브 형성단계(S10)가 진행되고, 이어서 바닥슬라브(100) 상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을 형성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20)가 진행된다.
그런 다음, 상부에 파이프홈(220a)이 형성된 단열재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상에 안착시켜 단열층(220)을 형성시키는 단열층 형성단계(S30)가 진행되고, 이후 단열재의 파이프홈(220a)에 파이프(230)의 하부를 삽입배치시키는 파이프 설치단계(S40)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파이프(230)를 덮어서 마감하도록 단열층(220) 상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 모르타르층(240)을 형성시키는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S50)가 진행된다. 이러한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S50)에서, 마감 모르타르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230)를 덮는 마감 모르타르층(240)을 보강하면서 단열층(220)에 파이프(230)의 일부가 삽입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축물의 층고를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낮추게 됨에 따라, 전체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닥슬라브 200 : 바닥상부유닛
210 :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220 : 단열층
220a : 파이프홈 230 : 파이프
240 : 마감 모르타르층

Claims (7)

  1. 바닥슬라브(100); 및
    상기 바닥슬라브(100) 상에 제공되는 바닥상부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상부유닛(200)은, 난방을 위한 파이프(230), 상기 파이프(230)를 덮어서 마감하되 강도가 보강된 마감 모르타르층(240), 및 상기 파이프(230)의 일부가 삽입배치된 단열층(220)을 구비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상부유닛(200)은,
    상기 바닥슬라브(100) 상에 배치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상에 배치되며, 상부에 파이프홈(220a)이 형성된 상기 단열층(220);
    상기 단열층(220)의 파이프홈(220a)에 하부가 삽입배치된 상기 파이프(230); 및
    상기 단열층(2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230)를 덮는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24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240)은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재는 스틸파이퍼, 매크로섬유, 비정질섬유, 타이어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220)은 발포폴리스틸렌(EPS),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에틸렌(EP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6.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층을 구분하는 바닥슬라브(100)를 형성시키는 바닥슬라브 형성단계(S10);
    상기 바닥슬라브(100) 상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을 형성시키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형성단계(S20);
    상부에 파이프홈(220a)이 형성된 단열재를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10) 상에 안착시켜 단열층(220)을 형성시키는 단열층 형성단계(S30);
    상기 단열재의 파이프홈(220a)에 파이프(230)의 하부를 삽입배치시키는 파이프 설치단계(S40); 및
    상기 파이프(230)를 덮어서 마감하도록 상기 단열층(220) 상에 마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 모르타르층(240)을 형성시키는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S50);
    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층 형성단계(S50)에서,
    상기 마감 모르타르는 섬유보강재가 혼입된 모르타르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KR1020140066139A 2014-05-30 2014-05-30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138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39A KR20150138984A (ko) 2014-05-30 2014-05-30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39A KR20150138984A (ko) 2014-05-30 2014-05-30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984A true KR20150138984A (ko) 2015-12-11

Family

ID=5502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139A KR20150138984A (ko) 2014-05-30 2014-05-30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9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55B1 (ko) * 2022-09-07 2024-02-15 두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6513B1 (ko) * 2022-09-07 2024-02-19 주식회사 메타이노텍 슬래브 상에 바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성과 자중이 증대되고 단열재와 층간 완충재가 적층으로 배치되어 단열 성능과 충격음차단 성능이 향상된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55B1 (ko) * 2022-09-07 2024-02-15 두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6513B1 (ko) * 2022-09-07 2024-02-19 주식회사 메타이노텍 슬래브 상에 바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성과 자중이 증대되고 단열재와 층간 완충재가 적층으로 배치되어 단열 성능과 충격음차단 성능이 향상된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5663B1 (en) Stay-in-place insulated concrete forming system
EP3366862B1 (en) A framed element and its use
KR101683055B1 (ko) 충격음 완충부가 구비된 건물 바닥층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150138984A (ko) 건축물의 바닥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203905226U (zh) 一种现浇混凝土用防火隔离墙体
KR101435993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KR20090113528A (ko)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JP6386968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180067240A (ko) 층간소음 방지용 진공패널과 그 시공방법
CN106368358A (zh) 模块化集成楼板及房屋
KR101424593B1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983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바닥 마감 구조
JP2013117089A (ja) 床コンクリートのひび割れ抑制構造
KR101639319B1 (ko) 수직부재를 통한 진동 전달 저감을 위한 진동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차단 바닥시스템
KR101551873B1 (ko) 공동주택용 단열 및 방음구조
KR20140030513A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66743B1 (ko) 온돌바닥 미장층의 균열방지구가 구비된 단열재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CN203905288U (zh) 发泡陶瓷钢结构墙体
US10633859B2 (en) Building element of mineral wool and fiber-reinforced plastic
KR102535739B1 (ko) 층간진동소음 저감용 적층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89722A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102564307B1 (ko) 천장고 확보가 용이한 층간 소음 저감형 온돌층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