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982A - 혼합액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액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982A
KR20150138982A KR1020140066134A KR20140066134A KR20150138982A KR 20150138982 A KR20150138982 A KR 20150138982A KR 1020140066134 A KR1020140066134 A KR 1020140066134A KR 20140066134 A KR20140066134 A KR 20140066134A KR 20150138982 A KR20150138982 A KR 20150138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housing
stirring housing
stirring blade
mix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143B1 (ko
Inventor
김성우
구근회
김종원
이인수
임효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4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혼합액 교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는,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 블레이드와, 교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혼합액이 교반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되도록 혼합액을 통과시키는 교반 하우징과, 교반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상기 교반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혼합액 교반 장치{APPARATUS FOR STIRRING SEMI-LIQUID MIXTURE}
본 발명은 혼합액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상 지하자원이 고갈되고 해저 자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해저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해양 플랜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양 플랜트 중에서도 시추설비의 대표적인 예로 드릴쉽(Drillship),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잭업리그(Jack-up Rig) 등이 있다. 시추설비에는 단부에 드릴 비트(drill bit)가 형성된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구비된다. 드릴 비트의 드릴링 유체로 머드(mud)가 이용된다. 머드는 바라이트(barite),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을 포함하고, 시추설비에 탑재된 머드 탱크(mud tank)에 저장되었다가 머드 펌프(mud pump)에 의해 드릴 비트로 순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9890호(2013. 05. 15, 시추선의 머드 탱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체와 고형분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어 혼합액 중의 고체 입자가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혼합액 교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 블레이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상기 혼합액이 상기 교반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되도록 상기 혼합액을 통과시키는 교반 하우징; 및 상기 교반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상기 교반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교반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하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상기 교반 하우징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 유공; 및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상기 교반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 유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1 유공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 내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유공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유공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1 유공 상에 배치되며 중공을 갖는 중공본체; 및 상기 중공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교반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 하우징 내외부 간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가변형 박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의 상기 교반 블레이드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가변형 박막부재는 상기 중공본체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교반 하우징 하부의 상기 제1 유공을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교반 하우징 상부의 상기 제1 유공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혼합액 교반 장치는 내부에 상기 혼합액을 저장하는 탱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의 내측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부는 머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액이 유동 가능하도록 교반 하우징의 내측에 교반 블레이드를 배치함으로써 액체와 고형분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어 혼합액 중의 고체 입자가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혼합액 교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개폐밸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개폐밸브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개폐밸브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개폐밸브를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1000)는 교반 블레이드(stirring blade, 100)와 교반 하우징(200)과 구동축(300)을 포함한다.
교반 블레이드(100)는 혼합액(10) 내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액(10)을 교반하는 부재이다.
교반 하우징(200)은 교반 블레이드(100)를 커버하도록 교반 블레이드(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교반 하우징(200)은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에 위치한 교반 블레이드(100)에 의해 교반될 수 있도록 혼합액(10)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교반 하우징(200)은 복수의 유공(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300)은 교반 하우징(200) 내측에 위치한 교반 블레이드(100)와 연결되어 교반 블레이드(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교반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 교반 블레이드(1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액(10)은 1종류 이상의 고형분 성분을 액체에 혼합시켜 이루어진 혼합액(semi-liquid mixture)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1종류 이상의 고형분 성분을 액체에 혼합시켜 사용되는 혼합액(10)은 성분 특성이나 비중 차이 등으로 인해 액체 내의 고형분 성분이 액체로부터 분리되어 탱크부(100)의 내부 저면 등에 침전되어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형분 성분이 액체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혼합액(10)을 적절하게 교반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혼합액(10)이 리퀴드 머드(liquid mud)일 수 있다.
참고로, 후술할 탱크부(400)에 저장되는 리퀴드 머드는 높은 점성(viscosity)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탱크부(400) 내에서의 머드 순환(mud circulation)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굳어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탱크부(400)의 내부에는 리퀴드 머드를 교반하는 임펠러(impeller)가 설치될 수 있지만, 임펠러에 의한 교반으로도 머드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영역에서는 머드가 고착(침전)될 수 있다. 특히, 탱크부(400)의 모서리 또는 꼭지점 영역에 머드가 고착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머드 건(mud gun)을 탱크부(400)의 내부로 이송시켜 머드가 고착된 부분에 고압 유체를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머드 건을 특정 위치로 이송하여야 하는 등 제어하기 쉽지 않고, 머드 건이 리퀴드 머드 내를 출입하면서 임펠러 또는 임펠러에 의한 머드 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퀴드 머드와 같은 혼합액(10)이 유동 가능하도록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에 상하로 직선왕복 운동하는 교반 블레이드(100)를 배치함으로써, 고형분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액(10)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어 혼합액(10) 중의 고형분 입자가 비중차이 등으로 인해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블레이드(100)는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블레이드(100)는 평면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교반 블레이드(1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평면이지만 상측에서 볼 때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교반 하우징(200)은 교반 블레이드(100)를 그 내측에 수용 가능하도록 이러한 교반 블레이드(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교반 블레이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하 왕복 이동하는 구동축(300)의 작동에 의해 교반 하우징(200)의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교반 블레이드(1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축(300)과 같이 연동하여 구동축(300)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인 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식별번호 미표기)가 구동축(30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구동축(300)이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하 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구동부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교반 하우징(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블레이드(100)를 커버하도록 교반 블레이드(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혼합액(10)이 교반 블레이드(100)에 의해 교반되도록 복수의 유공(210, 220)을 통해 혼합액(10)을 통과시킬 수 있다.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교반 하우징(200)은 교반 하우징(20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 유공(210) 및 교반 하우징(200)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 유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반 하우징(20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공(210)과 제2 유공(220)을 통해, 교반 블레이드(100)가 상하로 이동할 때마다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외측을 통과하여 유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적인 유동 작용을 통해 혼합액(10) 내의 고형분 입자가 액체에서 분리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 하우징(200) 내에 배치된 교반 블레이드(100)가 구동축(300)에 의해 상하로 직선왕복 운동함에 따라, 교반 하우징(200) 내측에 양압(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 상태) 또는 음압(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상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하우징(200) 외측의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교반 하우징(200) 내측의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10)은 교반 하우징(200)의 상하부에 형성된 제1 유공(21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 내로 유입된 후 교반 하우징(200)의 측부에 형성된 제2 유공(22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1 및 도 2의 곡선 화살표 참조).
즉, 교반 블레이드(100)가 교반 하우징(200) 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도 1 참조)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2 참조)마다, 교반 하우징(200) 외측의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1 유공(210)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교반 하우징(200) 내측의 혼합액(10)은 교반 하우징(200)의 측부에 형성된 제2 유공(220)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액(10)의 유동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하우징(200)은 제1 유공(210)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1000)의 개폐밸브(23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1000)의 개폐밸브(23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본체(232)와 가변형 박막부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본체(232)는 제1 유공(210) 상에 배치되는 부재로, 관형상의 중심부에 중공을 갖는 부재이다.
중공본체(232)는 제1 유공(210)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유공(210)의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공(210)이 원형의 구멍을 갖는 경우는 중공본체(232)도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유공(210)이 다각형(사각형 포함)의 구멍을 갖는 경우는 중공본체(232)도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본체(232)는 가변형 박막부재(23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본체(232)의 내주면에서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볼 때(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상측에서 볼 때) 복수개가 서로 접촉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박막부재(234)가 교반 하우징(2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교반 하우징(200) 외측의 혼합액(10)은 제1 유공(210) 상의 개폐밸브(230)를 경유하여 교반 하우징(200) 내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교반 하우징(200) 내측의 혼합액(10)은 경사지게 이웃한 복수의 가변형 박막부재(234)가 서로에 대해 밀착되어 제1 유공(210)을 폐쇄함으로써, 교반 하우징(200) 내측의 혼합액(10)이 교반 하우징(200)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교반 하우징(200) 내외부 간의 압력 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10)이 통과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 3과 같이 혼합액(10)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폐밸브(230)의 동작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교반 블레이드(100)가 교반 하우징(200) 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는, 하강하는 교반 블레이드(100)로 인해 교반 하우징(200) 내측하부에 양압이 형성될 수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하우징(200) 하부의 제1 유공(210)이 개폐밸브(2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교반 하우징(200) 상부에 설치된 개폐밸브(230)는 교반 하우징(200) 내측상부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혼합액(10)의 유동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10)은 교반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유공(21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 내로 유입된 후 교반 하우징(200)의 측부에 형성된 제2 유공(22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와 같이 교반 블레이드(100)가 교반 하우징(200)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는, 상승하는 교반 블레이드(100)로 인해 교반 하우징(200) 내측상부에 양압이 형성될 수 있어 교반 하우징(200) 상부의 제1 유공(210)이 개폐밸브(230)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 상승하는 교반 블레이드(100)로 인해 교반 하우징(200) 내측하부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교반 하우징(200) 하부에 설치된 개폐밸브(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혼합액(10)의 유동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10)은 교반 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유공(21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 내로 유입된 후 교반 하우징(200)의 측부에 형성된 제2 유공(220)을 통해 교반 하우징(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230)는, 교반 하우징(200) 내에서의 교반 블레이드(100)의 상승이나 하강에 따라 교반 하우징(200) 내의 압력이 양압인 경우는 폐쇄되고 음압인 경우는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본체(232)와 가변형 박막부재(234)를 포함하는 개폐밸브(230)를 제1 유공(210) 상에 설치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하우징(200) 내에서의 교반 블레이드(100)의 이동에 따라 교반 하우징(200) 내에 양압 또는 음압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밸브(230)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 접한 부분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외부 압력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중공본체(232)와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공본체(232)와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 하우징(200)의 외부 압력이 내부 압력보다 높은 경우는 교반 하우징(200) 외측의 혼합액(10)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교반 하우징(200)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탄성재질의 가변형 박막부재(234)가 서로 맞대어 접촉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같이 자동으로 서로 이격되어 벌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1000)의 개폐밸브(230)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개폐밸브(230)를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중공본체(232)의 내주면에 힌지축(236)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형 박막부재(2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 접한 부분이 교반 하우징(200)의 내외부 압력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하우징(200)은 교반 하우징(2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축(300)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나열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교반 하우징(200)을 구동축(300)을 따라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구동축(300)의 구동을 통해 보다 넓은 부피의 혼합액(10)을 동시에 교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교반 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탱크부(400)는 혼합액(10)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교반 하우징(200)은 탱크부(400) 내측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 하우징(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하우징 지지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반 하우징 지지부재(250)는 상하로 운동하는 구동축(300)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교반 하우징 지지부재(250)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상단부는 탱크부(400)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고, 그 하단부는 교반 하우징(200)의 외측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 하우징(200)이 교반 하우징 지지부재(250)를 통해 탱크부(400)내에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부(400)가 리퀴드 머드를 저장하는 머드 탱크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혼합액 교반 장치(1000)가 예를 들어 드릴쉽(Drillship),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 drilling Rig) 또는 잭업리그(Jack-up Rig)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머드 저장용 탱크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혼합액 교반 장치(1000)는 리퀴드 머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혼합액을 저장하고 교반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혼합액 교반 장치 10: 혼합액
100: 교반 블레이드 200: 교반 하우징
210: 제1 유공 220: 제2 유공
230: 개폐밸브 232: 중공본체
234: 가변형 박막부재 236: 힌지축
250: 교반 하우징 지지부재 300: 구동축
400: 탱크부

Claims (12)

  1. 혼합액을 교반하는 교반 블레이드;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커버하며, 상기 혼합액이 상기 교반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되도록 상기 혼합액을 통과시키는 교반 하우징; 및
    상기 교반 하우징 내측에 위치한 상기 교반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평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블레이드는 상기 교반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하 직선왕복 이동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상기 교반 하우징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제1 유공; 및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상기 교반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2 유공을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1 유공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 내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유공을 통해 상기 교반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유공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제1 유공 상에 배치되며 중공을 갖는 중공본체; 및
    상기 중공본체의 내주면에서 상기 교반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교반 하우징 내외부 간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혼합액이 통과하도록 개방되는 가변형 박막부재를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의 상기 교반 블레이드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혼합액 교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박막부재는 상기 중공본체의 내주면에 힌지결합되는, 혼합액 교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교반 하우징 하부의 상기 제1 유공을 폐쇄하며,
    상기 교반 블레이드가 상기 교반 하우징 내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교반 하우징 상부의 상기 제1 유공을 폐쇄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혼합액 교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혼합액을 저장하는 탱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 하우징은 상기 탱크부의 내측에 지지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합액 교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부는 머드 탱크를 포함하는, 혼합액 교반 장치.
KR1020140066134A 2014-05-30 2014-05-30 혼합액 교반 장치 KR10164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34A KR101644143B1 (ko) 2014-05-30 2014-05-30 혼합액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134A KR101644143B1 (ko) 2014-05-30 2014-05-30 혼합액 교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982A true KR20150138982A (ko) 2015-12-11
KR101644143B1 KR101644143B1 (ko) 2016-08-01

Family

ID=5502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134A KR101644143B1 (ko) 2014-05-30 2014-05-30 혼합액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9364A (zh) * 2020-12-17 2021-04-16 侯凯 一种便于上料的混凝土原材料搅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192A (ja) * 2009-08-03 2011-02-17 Satake Chemical Equipment Mfg Ltd 撹拌翼及び密閉式撹拌装置
KR101200034B1 (ko) *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KR20130000165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하나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192A (ja) * 2009-08-03 2011-02-17 Satake Chemical Equipment Mfg Ltd 撹拌翼及び密閉式撹拌装置
KR20130000165A (ko) * 2011-06-22 2013-01-02 주식회사 하나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 용기
KR101200034B1 (ko) *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9364A (zh) * 2020-12-17 2021-04-16 侯凯 一种便于上料的混凝土原材料搅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143B1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753B2 (en) High-efficiency candle-type device for filtering ballast water having high-density filter structure
KR102043769B1 (ko) 교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토출 장치 및 토출 방법
KR101625636B1 (ko) 혼합액 교반 장치
KR101644143B1 (ko) 혼합액 교반 장치
CN103696690B (zh) 用于灌注桩施工的伸缩式潜孔钻具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US20130153513A1 (en) Device and a method for removing a liquid from a water surface
JP4289438B1 (ja) スライム処理装置
KR101599004B1 (ko) 혼합액 저장용 탱크
ATE491510T1 (de) Behälter für flüssige stoff, wobei der behälter als rührbehälter ausgestattet ist
JP2016068944A (ja) 水上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CN203701953U (zh) 用于灌注桩施工的伸缩式潜孔钻具
KR101607874B1 (ko) 모형 시험 수조
KR20180003133A (ko) 머드 저장용 탱크
KR20150136186A (ko) 혼합액 저장용 탱크
KR101523719B1 (ko) 선박용 유체탱크 역류방지장치
KR101690746B1 (ko) 상 분리 및 교반 장치
KR101607682B1 (ko) 혼합액 저장용 탱크
KR101985796B1 (ko) 파이핑 에지테이터를 갖는 머드혼합장치
KR101225155B1 (ko) 시추선
KR101625633B1 (ko) 혼합액 교반 장치
KR101920394B1 (ko) 머드 원료 혼합장치
KR102405459B1 (ko) 상하이동축이 구비된 교반장치
KR102202282B1 (ko) 잔존유 회수 장치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