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872A -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872A
KR20150138872A KR1020140065551A KR20140065551A KR20150138872A KR 20150138872 A KR20150138872 A KR 20150138872A KR 1020140065551 A KR1020140065551 A KR 1020140065551A KR 20140065551 A KR20140065551 A KR 20140065551A KR 20150138872 A KR20150138872 A KR 20150138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bitat
classified
water
ecological environment
elements incl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우명
김동섭
황길순
박정호
변진수
이연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라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한라,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872A/ko
Publication of KR2015013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하며, 상기 유역을 상류, 중상류, 중류, 중하류, 하류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유역의 중하류, 하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지형을, 계곡천,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기수(호), 석호, 댐호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지형의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유역을 급류대, 완류대, 체수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유역의 완류대, 체수대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유형을 유수-침식성,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유형의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또는 강, 습지) 개발이나 집중 폭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이나 강의 생태 환경이 파괴된 경우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정확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고, 또한, 물자라의 생태 특성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ECOLOGY ENVIRONMENT CLASSIFICATION AND APPLYING METHOD THEREOF FOR RESTORING APPASUS JAPONICUS VUILLEFROY HABITAT}
본 발명은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란 물속의 바닥이나 수초 주변에서 생활하는 생물 중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척추가 없는 동물을 말한다. 수중생태계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1차 또는 2차 소비자로서 조류나 수생관속식물과 같은 생산자로부터 어류나 수금류와 같은 고차 소비자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서 허리 역할을 한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생활사가 대체로 길고 종류가 다양하며, 이동성이 적어 지역적인 환경상태를 잘 대변할 뿐만 아니라 채집이 용이하고, 오염도에 대한 내성이 종류별로 다양하여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온 분류군이다.
물자라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물장군과에 속한다. 물자라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보편적인 종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물속의 생태 구성 요소로 역할을 하고 있고, 또한 물자라를 통해 생물학적 수질 평가를 할 수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의 기후가 변하여 국지적인 집중 폭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국지적인 집중 폭우는 하천이나 강의 생태 환경을 파괴시킨다. 또한, 전력 확보, 용수 확보, 홍수 예방 등의 이유로 댐이나 보가 많이 건설되고, 그로 인하여 댐이나 보가 건설되는 강의 지류인 하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천의 개발로 인하여 하천 및 습지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인들로 인하여, 습지, 하천, 강 등의 생태 환경이 파괴된 경우 파괴된 생태 환경이 복원되기 위하여 오랜 세월이 소요되거나 생태 환경이 복원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0445호(2007. 04. 16. 등록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수질을 평가할 수 있으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파괴된 생태환경을 복원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또는 강, 습지) 개발이나 집중 폭우 등으로 인하여 하천이나 강의 생태 환경이 파괴된 경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한 종류인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정확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자라의 생태 특성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하며, 상기 유역을 상류, 중상류, 중류, 중하류, 하류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유역의 중하류, 하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지형을, 계곡천,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기수(호), 석호, 댐호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지형의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유역을 급류대, 완류대, 체수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유역의 완류대, 체수대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유형을 유수-침식성,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유형의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처기질을 낙엽, 식물(수초), 돌, 모래, 수중(부유)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처기질의 식물을 선택하고, 상기 하상입자를 큰돌, 돌, 자갈, 잔자갈, 모래, 펄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하상입자의 잔자갈, 모래, 펄 중 적어도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행동양식, 섭식종류, 먹이습성, 먹이원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행동양식은 기는 무리, 붙는 무리, 굴파는 무리, 헤엄치는 무리, 잠수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 부유하는 무리, 활주하는 무리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행동양식의 헤엄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로 적용하며, 상기 섭식종류는 식식성, 육식성, 부식성, 잡식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섭식종류의 육식성을 적용하고, 상기 먹이습성은 썰어먹는 무리, 주워먹는 무리, 걸러먹는 무리, 긁어먹는 무리, 잡아먹는 무리, 찔러먹는 무리, 기생하는 무리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먹이습성의 찔러먹는 무리를 적용하고, 상기 먹이원은 조립유기잔사물, 세립유기잔사물, 부착성 조류, 대형수생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먹이원의 동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산란시기, 우화시기, 산란기질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란시기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여, 산란시기를 5월, 6월, 7월, 8월을 적용하고, 상기 우화시기를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여 우화시기를 6월, 7월, 8월, 9월을 적용하고, 상기 산란기질은 돌부착, 모래부착, 식물부착, 식물조직, 수중, 어류부착, 숫놈 등위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산란기질을 숫놈 등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생활사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활사는 연 1세대, 연 2세대, 연 다세대, 2년 1세대, 2~3년 1세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상기 생활사를 연 1세대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월동상태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월동상태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월동상태를 성충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호흡기작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흡기작은 대기 중 산소 이용, 용존산소 이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호흡기작을 대기 중 산소 이용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영양단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양단계는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영양단계를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국의 강, 하천, 습지 등의 물자라 서식지에서 서식하는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하며, 또한 행동양식, 섭식종류, 먹이습성, 먹이원, 산란시기, 우화시기, 산란기질, 생활사, 월동상태, 호흡기작, 영양단계, 등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여 분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물자라의 생태특성을 정확하고 빠르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집중 호우나 하천 개발로 인하여 하천, 강, 습지 등의 생태 환경이 파손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생태환경 분류를 기초로 하여 파손된 하천, 강, 습지 등에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복원하게 되면 생태 환경이 파손된 하천, 강, 습지 등에 물자라 생태 환경을 정확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물자라 및 그와 연관되는 생물이 잘 살 수 있어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도시에 인공 하천을 조성할 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파악된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기초로 하여 인공 하천을 조성하게 되면 물자라 및 그와 연관되는 생물이 잘 살 수 있는 인공 하천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자라가 서식할 수 있는 인공 서식지를 조성하여 생물 관찰 등의 학습 체험에 활용될 수 있는 체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2, 3, 4,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한다.
유역은 상류, 중상류, 중류, 중하류, 하류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유역의 중하류, 하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한다.
서식지 지형은 물자라가 서식하는 지형으로, 서식지 지형은, 계곡천,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기수(호), 석호, 댐호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서식지 지형의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한다.
서식처유역은 물자라가 한 개의 강에서 어느 부분에서 서식하는지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서식지유역은 급류대(Riffle), 완류대(Run), 체수대(Pool)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서식지유역의 완류대, 체수대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한다.
서식지 유형은 유수-침식성,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서식지 유형의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한다.
서식처기질은 낙엽, 식물(수초), 돌, 모래, 수중(부유)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서식처기질의 식물을 선택한다.
하상입자는 큰돌, 돌, 자갈, 잔자갈, 모래, 펄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하상입자의 잔자갈, 모래, 펄 중 적어도 한 개를 선택한다. 큰돌은 256mm 보다 큰 것이고, 돌은 256 ~ 64mm이고, 자갈은 64 ~ 16mm이고, 잔자갈은 16 ~ 2mm이고, 모래는 2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동양식, 섭식종류, 먹이습성, 먹이원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동양식은 기는 무리(Sprawlers), 붙는 무리(Clingers), 굴파는 무리(Burrowers), 헤엄치는 무리(Swimmers), 잠수하는 무리(Divers), 기어오르는 무리(Climbers), 부유하는 무리(Planktonic), 활주하는 무리(Skaters)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행동양식의 헤엄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로 적용한다.
섭식종류는 식식성(Herbivore), 육식성(Carnivore), 부식성(Detritivore), 잡식성(Omnivore)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섭식종류의 육식성을 적용한다.
먹이습성은 썰어먹는 무리(Shredder), 주워먹는 무리(Gatherer), 걸러먹는 무리(Filterer), 긁어먹는 무리(Scraper), 잡아먹는 무리(Predator), 찔러먹는 무리(Pierlce), 기생하는 무리(Parasite)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먹이습성의 찔러먹는 무리를 적용한다.
상기 먹이원은 조립유기잔사물(CPOM; 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 세립유기잔사물(FPOM; 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 부착성 조류(Periphyton), 대형수생식물(Macrophytes), 동물(Animal Prey)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먹이원의 동물을 적용한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란시기, 우화시기, 산란기질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란시기는 12개월로 분류한다. 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고, 산란시기를 5월, 6월, 7월, 8월을 적용한다.
또한, 우화(곤충이 유충 또는 약충이나 번데기에서 탈피하여 성충이 되는 일) 시기는 12개월로 분류한다. 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고, 우화시기를 6월, 7월, 8월, 9월을 적용한다.
산란기질은 돌부착, 모래부착, 식물부착, 식물조직, 수중, 어류부착, 숫놈 등위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산란기질을 숫놈 등위를 적용한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활사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활사는 연 1세대, 연 2세대, 연 다세대, 2년 1세대, 2~3년 1세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생활사를 연 1세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월동상태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동상태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월동상태를 성충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기작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흡기작은 대기 중 산소 이용, 용존산소 이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호흡기작을 대기 중 산소 이용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호흡기작은 호흡기관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흡기관은 기문, 호흡관, 공기방울, 피부호흡, 아가미, 직장호흡, 모반을 포함하여 분류하고, 호흡기관은 호흡관을 적용한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양단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단계는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영양단계를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는 수질등급을 7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각 등급마다 3개의 출현빈도로 분류하며, 7개의 등급은 매우좋음, 좋음, 약간좋음, 보통, 약간나쁨, 나쁨, 매우나쁨 요소들로 분류하고, 3개의 출현빈도는 높음, 보통, 낮음 요소들로 분류하고, 매우좋음, 좋음, 약간좋음에서 각각 낮음을 적용하고, 보통, 약간나쁨, 나쁨에서 각각 보통을 적용한다.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경질 점수(ESB)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질 점수는 1,2,3,4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환경질 점수는 3을 적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국의 강, 하천, 습지 등의 물자라 서식지에서 서식하는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하며, 또한 행동양식, 섭식종류, 먹이습성, 먹이원, 산란시기, 우화시기, 산란기질, 생활사, 월동상태, 호흡기작, 영양단계, 등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여 분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물자라의 생태특성을 정확하고 빠르게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 환경질 점수를 기준요소로 포함하여 분류할 경우 보다 더 정확한 생태환경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역 요소들에서 유역의 중하류, 하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서식지 지형 요소들에서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서식지유역 요소들에서 완류대, 체수대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서식지 유형 요소들에서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서식처기질 요소들에서 식물을 선택하고, 하상입자 요소들에서 잔자갈, 모래, 펄 중 적어도 한 개를 선택한다. 또한, 행동양식 요소들에서 헤엄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로 적용하며, 섭식종류 요소들에서 육식성을 적용하고, 먹이습성 요소들에서 찔러먹는 무리를 적용하고, 먹이원 요소들에서 동물을 적용한다. 또한, 산란시기 요소들에서 5월, 6월, 7월, 8월을 적용하고, 우화시기 요소들에서 6월, 7월, 8월, 9월을 적용하고, 산란기질 요소들에서 숫놈 등위를 적용하고, 생활사 요소들에서 연 1세대를 적용하고, 월동상태 요소들에서 성충을 적용하고, 호흡기작 요소들에서 대기 중 산소 이용을 적용하고, 영양단계 요소들에서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적용하고,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 요소들에서 매우좋음, 좋음, 약간좋음에서 각각 낮음을 적용하고, 보통, 약간나쁨, 나쁨에서 각각 보통을 적용하고, 환경질 점수 요소에서 3을 적용한다. 이와 같은 요소들을 선택, 적용하여 물자라의 서식지를 복원하게 되므로 정확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다.
즉, 집중 호우나 하천 개발로 인하여 하천, 강, 습지 등의 생태 환경이 파손된 경우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물자라의 생태환경 분류 및 복원방법을 기초로 하여 파손된 하천, 강, 습지 등에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복원하게 되면 생태 환경이 파손된 하천, 강, 습지 등에 물자라 생태 환경을 정확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물자라 및 그와 연관되는 생물이 잘 살 수 있어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도시에 인공 하천을 조성할 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파악된 물자라의 생태 환경을 기초로 하여 인공 하천을 조성하게 되면 물자라 및 그와 연관되는 생물이 잘 살 수 있는 인공 하천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자라가 서식할 수 있는 인공 서식지를 조성하여 생물 관찰 등의 학습 체험에 활용될 수 있는 체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물자라의 생태환경을 유역, 서식지 지형, 서식지유역, 서식지 유형, 서식지기질, 하상입자를 포함하는 기준요소들로 분류하며,
    상기 유역을 상류, 중상류, 중류, 중하류, 하류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유역의 중하류, 하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지형을, 계곡천,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기수(호), 석호, 댐호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지형의 평지천, 강, 농수로, 둠벙, 습지, 저수지, 호수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유역을 급류대, 완류대, 체수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유역의 완류대, 체수대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지 유형을 유수-침식성,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지 유형의 유수-퇴적성, 유수-수변성, 정수-수변성 중 적어도 한 곳을 선택하고,
    상기 서식처기질을 낙엽, 식물(수초), 돌, 모래, 수중(부유)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서식처기질의 식물을 선택하고,
    상기 하상입자를 큰돌, 돌, 자갈, 잔자갈, 모래, 펄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하상입자의 잔자갈, 모래, 펄 중 적어도 한 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행동양식, 섭식종류, 먹이습성, 먹이원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행동양식은 기는 무리, 붙는 무리, 굴파는 무리, 헤엄치는 무리, 잠수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 부유하는 무리, 활주하는 무리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행동양식의 헤엄치는 무리, 기어오르는 무리로 적용하며,
    상기 섭식종류는 식식성, 육식성, 부식성, 잡식성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섭식종류의 육식성을 적용하고,
    상기 먹이습성은 썰어먹는 무리, 주워먹는 무리, 걸러먹는 무리, 긁어먹는 무리, 잡아먹는 무리, 찔러먹는 무리, 기생하는 무리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먹이습성의 찔러먹는 무리를 적용하고,
    상기 먹이원은 조립유기잔사물, 세립유기잔사물, 부착성 조류, 대형수생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먹이원의 동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산란시기, 우화시기, 산란기질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산란시기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여, 산란시기를 5월, 6월, 7월, 8월을 적용하고,
    상기 우화시기를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요소들로 분류하여 우화시기를 6월, 7월, 8월, 9월을 적용하고,
    상기 산란기질은 돌부착, 모래부착, 식물부착, 식물조직, 수중, 어류부착, 숫놈 등위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산란기질을 숫놈 등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생활사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활사는 연 1세대, 연 2세대, 연 다세대, 2년 1세대, 2~3년 1세대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상기 생활사를 연 1세대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월동상태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월동상태는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월동상태를 성충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호흡기작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흡기작은 대기 중 산소 이용, 용존산소 이용을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호흡기작을 대기 중 산소 이용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영양단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양단계는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여 상기 영양단계를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질등급에 따른 출현빈도는 수질등급을 7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각 등급마다 3개의 출현빈도로 분류하며, 7개의 등급은 매우좋음, 좋음, 약간좋음, 보통, 약간나쁨, 나쁨, 매우나쁨 요소들로 분류하고, 3개의 출현빈도는 높음, 보통, 낮음 요소들로 분류하고, 매우좋음, 좋음, 약간좋음에서 각각 낮음을 적용하고, 보통, 약간나쁨, 나쁨에서 각각 보통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자라의 생태환경의 분류에 환경질 점수 기준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환경질 점수는 1,2,3,4를 포함하는 요소들로 분류하고, 상기 환경질 점수는 3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KR1020140065551A 2014-05-30 2014-05-30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KR20150138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51A KR20150138872A (ko) 2014-05-30 2014-05-30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551A KR20150138872A (ko) 2014-05-30 2014-05-30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872A true KR20150138872A (ko) 2015-12-11

Family

ID=5502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551A KR20150138872A (ko) 2014-05-30 2014-05-30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8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856A (zh) * 2016-05-31 2016-08-17 张荣斌 一种大鲵培育池
CN106677124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12544157A (zh) * 2020-12-31 2021-03-26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水库大坝弃渣场生境营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0856A (zh) * 2016-05-31 2016-08-17 张荣斌 一种大鲵培育池
CN106677124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A (zh) * 2016-11-30 2017-05-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06677124B (zh) * 2016-11-30 2019-01-18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及其使用方法
CN106677125B (zh) * 2016-11-30 2019-04-26 上海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栖息地型生态组件及其使用方法
CN112544157A (zh) * 2020-12-31 2021-03-26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水库大坝弃渣场生境营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t GRADE LEVEL
Welcomme Inland fisheries: ecology and management
Goulding The fishes and the forest: explorations in Amazonian natural history
JP2008185455A (ja) 水域環境の評価方法
Griffiths Freshwater life: A field guide to the plants and animals of southern Africa
KR20150138872A (ko) 물자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 및 서식지 복원방법
Knaepkens et al. Spawning habitat enhancement in the European bullhead (Cottus gobio), an endangered freshwater fish in degraded lowland rivers
Gerber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and its effects on welfare in fish
Bruton et al. Fish and fisheries of wetlands
Garcia et al. Assessment of the diversity of macro aquatic species in Amburayan River in Kapangan, Benguet in the Philippines
Jadhav Aquaculture technology and environment
KR20150104257A (ko)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생태환경분류방법
Limantara et al. Local Wisdom in Capture Fisheries Activity in Sabangau Area, Central Kalimantan
Rosen Texas aquatic science
Schneider et al. Turtles of the Igapó: Their ecology and susceptibility to mercury uptake
Baas et al. Opening of the Haringvliet, a stream of possibilities
Pereira River sickness: impacts of alder decline on river ecological quality and brown trout populations in Montesinho Natural Park (northern Portugal)
Bredenhand Evaluation of macro-invertebrates as bio-indicators of water quality and the assessment of the impact of the Klein Plaas dam on the Eerste River
Vecsei Life History and Population Dynamics of Lake Sturgeon
Bugas Jr et al. Ichthyology
Graff et al. Wetlands and fish: Catch the link
Payne Freshwater Fish Ecology
Bice et al. An assessment of the knowledge requirements to support effective provisions of environmental water in the South Australian Murray-Darling Basin: Part 2–Development of hydro-ecological conceptual models and identification of knowledge gaps in current understanding of flow‒biota relationship. Prepared by the South Australi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Aquatic Sciences) for the Goyder Institute for Water Research
Yousif Al-Ali Feeding behaviour of the Reef Heron (Egretta gularis schistacea)
Batuwita et al. Factors Affecting Habitat Selection of Freshwater Fishes of Sri Lanka: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