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841A -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 Google Patents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841A
KR20150138841A KR1020150164828A KR20150164828A KR20150138841A KR 20150138841 A KR20150138841 A KR 20150138841A KR 1020150164828 A KR1020150164828 A KR 1020150164828A KR 20150164828 A KR20150164828 A KR 20150164828A KR 20150138841 A KR20150138841 A KR 2015013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water
washing
tank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696B1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15016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5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having multiple flush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세척수용탱크(03) 내에 하단 일측은 양변기세척수용탱크(302) 바닥에 있는 배수구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측 양측에 서로 통하는 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수구 중 일측은 대변용 배수구(251)가 형성되고 타측은 소변용 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와 소변용 배수구(252) 사이에 오버플러스관(211)이 일체로 형성된 대소변용 플러스관(270); 상기 오버플러스관(211) 일측에 형성된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1)에 장착되어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내측 일 측면에 형성된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면과 맞닿은 양 측면의 벽체(401, 402)는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게 턱(403, 404)을 구비하며 상기 상등부(421)의 높이와 무소음부구(5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3cm의 턱으로 세척수의 물이 흘러들어 낙하하는 것을 막고 소변용 세척수가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벽체(401, 402)의 내측면으로 설치되는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장착되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를 개폐하는 소변용 절수마개(242); 대변용 절수마개줄(261)로 연결하여 상기 대변용 절수마개(241)를 개폐할 수 있는 대변용 레버핸들(221); 소변용 절수마개줄(262)로 연결하여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242)를 개폐할 수 있는 소변용 레버핸들(22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변세척수를 별도로 구성된 소변용 세척수탱크에 의해 급속으로 세척되게 하여 양변기에 사용하는 세척수를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수세식 양변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변기세척수탱크 내에 소변용세척수 탱크를 별도로 구성하여 소변 사용시 소변배수구로 소량의 세척수를 급속시켜 세척효율을 높이고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는 양변기는 도 2와 같이 1개의 양변기 세척수용탱크(302) 안에 1개의 배수구(304), 1개의 대소변 절수용마개(306), 하나의 레버(313)로 구성되고, 양변기의 세척수탱크 내부의 물의 용량은 10~13ℓ로 되어 있으며, 대변과소변의 배설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레버핸들(221)을 돌리거나 누를 경우 10~13ℓ내외로 배수를 하게 되어있다. 이때 가정이나 관공서 등의 대부분의 시설에서는 대변이나 소변을 마친 후에는 10~13ℓ의 똑같은 세척용의 물을 대소변용플러스관(307)을 통하여 외부 배수관(317)으로 내보낸다. 일부의 사용자들은 물을 아끼기 위해서 P.T병이나 벽돌 등을 양변기 세척수탱크(302) 내부에 넣고 쓰기도 한다. 정부에서는 10~13ℓ의 세척수탱크의 양을 7ℓ의 용량으로 바꾸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대변용과 소변용으로 세척수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소비가 많이 발생되어 국가의 물 부족과 환경오염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왔고. 가정과 국가적 측면에서는 금전적인 손실이 많이 발생되어 왔다.
실용신안공고 실1997-0004172호(1997. 5. 8.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20358호(2001. 4. 16. 공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양변기세척수탱크 안에 대변용 배출관과 소변용 배출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소변용 배출관에 소변용 세척수탱크를 별도로 부착하여 대변용 세척수와 소변용 세척수를 구분하여 양변기를 세척함으로써 물을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종래의 양변기세척수용탱크(302) 내에 배수구가 하나로만 되어 있던 대소변용플러스관(307)을 도 1과 같이 양변기세척수용탱크(03) 내에 하단 일측은 양변기세척수용탱크(302) 바닥에 있는 배수구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측 양측에 서로 통하는 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수구 중 일측은 대변용 배수구(251)가 형성되고 타측은 소변용 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와 소변용 배수구(252) 사이에 오버플러스관(211)이 일체로 형성된 대소변용 플러스관(270); 상기 오버플러스관(211) 일측에 형성된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1)에 장착되어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내측 일 측면에 형성된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면과 맞닿은 양 측면의 벽체(401, 402)는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게 턱(403, 404)을 구비하며 상기 상등부(421)의 높이와 무소음부구(5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3cm의 턱으로 세척수의 물이 흘러들어 낙하하는 것을 막고 소변용 세척수가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벽체(401, 402)의 내측면으로 설치되는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상기 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장착되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를 개폐하는 소변용 절수마개(242); 대변용 절수마개줄(261)로 연결하여 상기 대변용 절수마개(241)를 개폐할 수 있는 대변용 레버핸들(221); 소변용 절수마개줄(262)로 연결하여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242)를 개폐할 수 있는 소변용 레버핸들(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척수 물 10ℓ를 사용 시에 대변과 소변을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대변 사용시 4ℓ 물이 절약할 수 있고. 소변 사용 시 6ℓ 물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대변 사용시 1인 하루 1번 x 4ℓ = 4ℓ
소변 사용시 1인 하루 7번 x 6ℓ = 42ℓ
1인 기준 하루에 46ℓ 절약이 되고, 4인 가족시는 46ℓ x 4인 = 184ℓ를 절약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 4인 가족이 최소한 1일 184ℓ의 물을 절약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양변기의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 세척수용탱크 구조도
도 4는 대변과 소변 겸용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구조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구조도로서, 양변기세척수용탱크(03) 내에 하단 일측은 양변기세척수용탱크(302) 바닥에 있는 배수구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측 양측에 서로 통하는 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수구 중 일측은 대변용 배수구(251)가 형성되고 타측은 소변용 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와 소변용 배수구(252) 사이에 오버플러스관(211)이 일체로 형성된 대소변용 플러스관(270); 상기 오버플러스관(211) 일측에 형성된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1)에 장착되어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내측 일 측면에 형성된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면과 맞닿은 양 측면의 벽체(401, 402)는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게 턱(403, 404)을 구비하며 상기 상등부(421)의 높이와 무소음부구(5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3cm의 턱으로 세척수의 물이 흘러들어 낙하하는 것을 막고 소변용 세척수가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벽체(401, 402)의 내측면으로 설치되는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상기 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장착되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를 개폐하는 소변용 절수마개(242); 대변용 절수마개줄(261)로 연결하여 상기 대변용 절수마개(241)를 개폐할 수 있는 대변용 레버핸들(221); 소변용 절수마개줄(262)로 연결하여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242)를 개폐할 수 있는 소변용 레버핸들(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양변기본체(01), 급속의 물이 탱크 안에 고이게 하는 무소음밸브(40), 물을 잠겨주는 무소음 부구(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소변 플러스관(270)은 도 1과 같이 양변기세척수탱크(03) 내에 하단 일측은 양변기세척수탱크(10) 바닥에 있는 배수구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측 양측에 서로 통하는 개수구가 마련된다. 상기 개수구 중 일측은 대변용 배수구(251)가 형성되고 타측은 소변용 배수구(252)가 형성되고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와 소변용 배수구(252) 사이에 오버플러스관(211)이 일체로 형성된 이 설치된다. 상기의 대소변 플러스관(270)은 도 2의 종래의 플러시밸브관(314) 대신에 호환되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은 소변용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대향면 일 측면을 상기 소변용배수구(252) 쪽으로 경사 각도를 주어 소변용세척수가 상기 소변용배수구(252) 쪽으로 무게가 쏠려 강한 수압으로 밀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는 상기 오버플러스관(211) 일측에 형성된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1)에 장착되어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가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내측 일 측면에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는 상기 경사면 쪽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면 외측의 하단부에 받침대(1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의 용량을 4ℓ로 구성하고, 양변기 세척수용탱크 용량이 10ℓ로 구성할 경우에,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의 4ℓ 뺀 나머지인 양변기 세척수용탱크(10) 안의 6ℓ만 대변절수용마개(241)가 열리어 플러시밸브관(270)과 양변기 본체의 배수관(06) 외부배수관으로 내려가게 되어있다. 소변용 레버(222)를 누르면 양변기 세척수탱크(10)의 10ℓ의 용량 중 소변세척수용탱크(100)에 담겨 있는 세척수 4ℓ만 소변용절수마개(242)가 열리면서 플러시밸브관(270)과 변기배수관(06)을 통해 내려가게 된다.
상기 대변용 레버(221)는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장착되어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를 개폐하며, 상기 대변용 레버(221)와 상기 대변용 절수마개(241)의 사이에는 대변용 절수마개줄(261)로 연결되어 작동하게 된다. 소변용 레버(222)도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24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변용 절수마개줄(262)로 연결되어 작동되게 된다.
양변기 세척수용탱크(03) 안의 무소음 밸브(40)는 무소음 부구(50)를 이용하여 소변 세척수용탱크(100)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게 턱(403, 404)을 구비하고 상기 상등부(421)의 높이와 무소음부구(5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여 세척수의 물이 흘러들어 낙하하는 것을 막고, 소변용세척수가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벽체(401, 402)의 내측면으로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가 설치되며, 세척수가 무소음 밸브(40)를 통하여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에 다 차면 무소음 부구(50)가 일직선으로 서게 되어 물이 차단되게 된다.
대변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대변용 레버(221)를 눌러 양변기 세척수용탱크(10) 에 있는 대변 세척수용탱크의 물 6ℓ만 대변용배수구(251)를 통하여 양변기 본체 배수관(01)과 외부배수관(06)으로 내려 보내내게 되므로, 이때 사용된 물의 양은 소변 세척수용탱크(100) 안의 물 4ℓ는 그대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대변 세척용으로 사용할 때는 소변 세척수용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4ℓ의 물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소변용으로 사용할 때에 소변용 레버(222)를 눌러 소변 세척수용탱크(100) 안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 4ℓ만 소변용 배수구(252)를 통하여 양변기 본체 배수관(06)을 통해 외부 배수관(06)으로 내려 보내게 되므로, 이때 사용된 물의양은 대변 세척수 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6ℓ의 물은 그대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소변 사용시에는 대변 세척수용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6ℓ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소변세척수용탱크(100)에 4ℓ의 세척수를 저장하기 위해서 무소음부구(50)를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의 턱(403, 404)보다 3cm 높게 설치하였기에 소변세척수용탱크(100)의 세척수가 없을 때는 무소음부구(50)가 옆으로 눕혀져 급수밸브가 열리게 된다. 양변기세척수용탱크(10)에 물이 차게 되면서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의 벽체(401, 402)의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은 턱으로 넘쳐 흘러들어가 세척수용탱크(100) 안에 저장되게 되고,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에 물이 다 차면 무수음부구(50)가 일직선으로 되고 밸브가 닫히게 되어 물이 멈춘다.
양변기 본체(01)와 양변기 세척수탱크(03)의 결합은 연결볼트(05)에 의해 고정된다. 대소변 플러스관(270)과 소변 세척수용탱크(10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기 위해서 대소변 플러스관(270)의 소변용배수구(252) 안쪽에 홈(107)을 파고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의 토출부위(106)와 플러시밸브 홈에 끼워 맞춰 좌우로 이탈을 막기 위한 장치이다.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와 소변용배수구(252)의 각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어 소변용 절수마개(242)가 조금만 이탈해도 밀착되지 않아 물이 셀 염려가 있으므로, 대소변용 플러스관(270)과 소변 세척수용탱크(10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끼워 맞추고 앞뒤 움직임을 고정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의 결합은 오버플러스관(211)의 소변용 배수구(252)에 형성된 나사산에 돌출부의(106),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소변세척수탱크 패킹(103), 소변세척수용탱크 고정너트(102)의 순으로 조립된다.
대소변용 플러스관(270)과 소변 세척수용탱크(100)의 홈에 끼워 맞춘 다음 고정 시키기 위하여 소변용배수구(252)에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을 내어 먼저 패킹(103)을 넣고 너트(102)를 조임으로서 물이 대변세척수용탱크(10)와 소변 세척수용탱크 (100) 간에 서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소변용배수구(252)와 소변용 절수마개(242)가 각도와 좌우로 움직임도 방지하고 완전히 밀착시켜 물의 흐름을 방지한다.
소변 세척수용탱크(100) 내에는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를 고정하고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소변용 절수마개(252) 소변 배수구에서 이탈이 되지 않고 완전 밀착되게 한다.
소변세척수용탱크(100)의 물이 밑으로 낙하하게 되면 소변용 절수마개(242)와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충격이 오면 소변용배수구(252)와 소변용 절수마개(242)가 이탈하게 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변용 세척수탱크(100)의 내부에 1개씩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를 설치하여 물이 소변 세척수탱크(100) 상등부(421) 높이보다 낮은 3cm 턱(403, 404)을 주어 벽체(402)를 타고 내려가 소변용 세척수탱크(100) 속의 소변용배수구(252)를 막아주는 소변용 절수마개(242)가 이탈하지 않고 완전하게 밀착할 수 있고 부속품을 더욱 오래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01, 301 : 양변기 본체
02 : 양변기 커버
03, 302 : 양변기세척수용탱크
04, 303 : 양변기 뚜껑
05 : 양변기 본체와 양변기 세척수탱크 연결 볼트
06, 317 : 외부 배수관
10 : 대변용 세척수
20, 308 : 관붙이 앵글밸브 (급수)
30 : 코크 너트
40, 309 : 무소음 밸브
50, 310 : 무소음 부구
60 : 보충 호수
70 : 호스 클립
80 : 플러시관 패킹
90, 316 : 플러시관 너트
100 : 소변세척수용탱크
101 : 소변세척수배수관 나사산
102 : 소변세척수용탱크고정너트
103 : 소변세척수탱크 패킹
104 : 소변세척수탱크 받침대
105 : 소변세척수탱크 받침대(나사산, 볼트식)
106 : 소변세척수탱크 돌출부위
107 : 플러시밸브관 키부의
108 : 소변세척수 배출구
211 : 오버플러스관
221 : 대변용 레버
222 : 소변용 레버
231 : 대변용 절수마개걸이
232 : 소변용 절수마개걸이
241 : 대변용 절수마개
242 : 소변용 절수마개
251 : 대변용 배수구
252 : 소변용 배수구
261 : 대변용 절수마개줄
262 : 소변용 절수마개줄
270, 307 : 대소변용 플러시관
304 : 대소변용 배수구
305 : 대소변용 절수마개걸이
306 : 대소변용 배출구 절수용마개
307 : 대소변용 플러스관
311 : 보충 호스
312 : 대소변 마개줄
313 : 대소변 레버
314 : 플러시 밸브
315 : 플러시 패킹
316 : 플러시 너트
401. 402 : 소변세척수탱크 벽체
403. 404 : 소변세척수탱크 턱
411. 412 :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
421 : 소변세척수탱크 상등부

Claims (5)

  1. 양변기세척수용탱크(03) 내에 하단 일측은 양변기세척수용탱크(302) 바닥에 있는 배수구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그 반대측 양측에 서로 통하는 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수구 중 일측은 대변용 배수구(251)가 형성되고 타측은 소변용 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와 소변용 배수구(252) 사이에 오버플러스관(211)이 일체로 형성된 대소변용 플러스관(270);
    상기 오버플러스관(211) 일측에 형성된 대변용 절수마개걸이(231)에 장착되어 상기 대변용 배수구(251)를 개폐하는 대변용 절수마개(241);
    상면이 개방되고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구멍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에 착탈/고정이 가능하며, 내측 일 측면에 형성된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면과 맞닿은 양 측면의 벽체(401, 402)는 상등부(421) 높이보다 3cm 낮게 턱(403, 404)을 구비하며 상기 상등부(421)의 높이와 무소음부구(50)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고 상기 3cm의 턱으로 세척수의 물이 흘러들어 낙하하는 것을 막고 소변용 세척수가 벽체를 타고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벽체(401, 402)의 내측면으로 설치되는 소변세척수탱크 칸막이(411, 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상기 변용 절수마개걸이(232)에 장착되어 상기 소변용 배수구(252)를 개폐하는 소변용 절수마개(242);
    대변용 절수마개줄(261)로 연결하여 상기 대변용 절수마개(241)를 개폐할 수 있는 대변용 레버핸들(221);
    소변용 절수마개줄(262)로 연결하여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242)를 개폐할 수 있는 소변용 레버핸들(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하부면은 소변용배수구(252)가 형성되며, 상기 소변용 절수마개걸이(232)가 형성된 대향면 일 측면을 상기 소변용배수구(252) 쪽으로 경사 각도를 주어 소변용세척수가 상기 소변용배수구(252) 쪽으로 무게가 쏠려 강한 수압으로 밀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는 상기 경사면 쪽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면 외측의 하단부에 받침대(1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변세척수용 탱크(100)의 결합은 오버플러스관(211)의 소변용 배수구(252)에 형성된 나사산에 돌출부의(106), 소변세척수용 탱크(100), 소변세척수탱크 패킹(103), 소변세척수용탱크 고정너트(102)의 순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플러스관(270) 및 소변세척수용탱크(100)는 종래의 양변기에 사용하는 세척수탱크(302)에 사용하는 대소변플러스관(308)과 호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양변기의 절수 장치.
KR1020150164828A 2015-11-24 2015-11-24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KR10157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28A KR101577696B1 (ko) 2015-11-24 2015-11-24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28A KR101577696B1 (ko) 2015-11-24 2015-11-24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441A Division KR20150104740A (ko) 2014-03-06 2014-03-06 양변기 대·소변 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841A true KR20150138841A (ko) 2015-12-10
KR101577696B1 KR101577696B1 (ko) 2015-12-15

Family

ID=5497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28A KR101577696B1 (ko) 2015-11-24 2015-11-24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606B1 (ko) 2019-09-05 2021-05-31 송태광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56A (ja) 2001-02-15 2002-08-28 Seiichi Miyazaki 低置水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96B1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4048C (zh) 一种冲厕器
KR101577696B1 (ko) 대변용과 소변용의 배수구가 분리된 수세식 양변기의 절수 장치
KR20150002057U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CN205024774U (zh) 一种基于公共场所的楼宇节水装置
CN201620454U (zh) 节水马桶
KR100778173B1 (ko) 건축물 화장실에서 수압을 이용한 수세식 변기 세정수공급 장치
CN210562481U (zh) 一种自洁马桶及其装置
CN203066209U (zh) 多功能节水坐式大便器
CN207525838U (zh) 一种水源二次利用节水型坐便器
JPH02300427A (ja) 便器洗浄槽に於ける上水、中水併用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5742406U (zh) 一种新型的节水型洗手盆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101002645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CN203247655U (zh) 家用节水系统
CN201141154Y (zh) 抽水马桶的节水机构
CN204530900U (zh) 一种节水型新式马桶
CN201148644Y (zh) 卫生间节水装置
CN209975646U (zh) 一种具有自动清洁功能的厕所
CN2923855Y (zh) 一种用于冲水马桶的浓缩洗涤剂供给装置
CN201771026U (zh) 生活用水二次利用装置
CN202081470U (zh) 卫生间节水装置
CN201534990U (zh) 家用厨卫节水装置
CN209368978U (zh) 马桶自清洁装置
RU22175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деления чистой воды, ее накопл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H031285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