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585A - 전자책 제작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책 제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585A
KR20150138585A KR1020140066226A KR20140066226A KR20150138585A KR 20150138585 A KR20150138585 A KR 20150138585A KR 1020140066226 A KR1020140066226 A KR 1020140066226A KR 20140066226 A KR20140066226 A KR 20140066226A KR 20150138585 A KR20150138585 A KR 2015013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electronic book
text
templat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삼
Original Assignee
원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8585A/ko
Publication of KR2015013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전자책을 재생 파일로 변환시키는 전자책 제작부 및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제작툴을 실행시킴과 더불어 제작툴의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전자책 제작부를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재생 파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책 제작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E-BOOK}
본 발명은 전자책 제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를 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책(electronic book, e-book)은 텍스트, 사운드,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서적 형식으로 결합하여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도서이다.
전자책은 제작자의 입장에서 기존의 종이에 인쇄되어 배포되는 인쇄 매체보다 제작, 유통, 재고 관리의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유통의 신속성이 보장되며, 제작된 콘텐츠의 업데이트가 편리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서적의 구매 및 열람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책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자책은 높은 해상도와 다양한 편집 기능 등을 갖추게 되었고, 메모는 물론 텍스트의 확대 및 축소, 인터넷 서점이나 도서관의 문서 검색 및 내용 다운로드 등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2923호(2013.07.2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를 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책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의 전자책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책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웹서비스를 통해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링크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재생 파일로 변환시키는 전자책 제작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제작툴을 실행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작툴의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 제작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재생 파일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화면 조정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전자책에 맵핑시키는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 및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제작툴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작툴에 맵핑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상기 전자책을 구성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및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제작툴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제작툴에 삽입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화면 조정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전자책에 맵핑시키는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 템플릿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템플릿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템플릿 생성기; 및 상기 템플릿 생성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출하여,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템플릿에 맵핑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상기 전자책을 구성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에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템플릿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템플릿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템플릿 생성기; 및 상기 템플릿 생성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출하고,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템플릿에 삽입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를 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책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자신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의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책의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링크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부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은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및 스마트 TV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3D 컨텐츠에 대한 제작 및 재생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20)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서버(10)는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 등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전자책 제작 장치(3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전자책 제작 장치(30)로 전달한다.
통신망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WiBro 기반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 및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이 모두 포함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 전자책 제작부(33) 및 제어부(34)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1)는 상기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각종 서버(10) 등과 연결되어 전자책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으며, 제작된 전자책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10) 등으로 전달하여 독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전달받는 미디어 컨텐츠에는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입력 정보에는 전자책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명령과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정보에는 전자책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툴 실행 명령, 제작툴 실행시 제작툴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의 선택 및 실행 명령, 텍스트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명령,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검색과 선택 및 업로드 명령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20)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로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단말(20)이 3D 환경을 지원하는 스마트 TV인 경우에는 스마트 TV 리모콘도 포함될 수 있다.
전자책 제작부(33)는 전자책을 구성하는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를 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이 전자책을 하나의 재생 파일로 변환시킨다. 도 3 을 참조하면, 전자책 제작부(33)는 텍스트 편집기(331),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332),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 템플릿 생성기(335) 및 파일 생성기(336)를 포함한다.
텍스트 편집기(331)는 전자책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툴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34)를 통해 텍스트가 입력되면, 이 텍스트를 제작툴에 입력하고,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작툴은 전자책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제작툴은 새이북, 열기, 저장 등과 같이 전자책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를 포함하고, 이들 메뉴에 따라 해당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를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새이북은 전차잭의 책표지, 목차, 빈페이지를 생성하며, 이 경우, 책표지는 전자책의 표시하도록 하고, 책표지로 텍스트 및 이미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미지 종류에는 gif, jpg, png 등이 사용 가능하다. 목차는 전자책의 목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빈페이지는 전자책의 내용없는 빈 페이지를 생성하고 목차 등을 본문내용과 구분짓는다.
이외에도, 열기는 이미 작성된 전자책을 불러들이며, 이 경우 제어부(34)는 확장자가 ePub인 파일만 불러들인다. 이와 같이 전자책을 불러온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해당 전자책의 책표지, 목차, 빈페이지, 본문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저장은 현재 작성 중인 전자책의 페이지를 저장하며, 이북 생성은 작성된 전자책을 해당 사용자 단말(20)에 저장하며, 저장된 전자책은 3d_epub.epub, 3d_epub.zip 파일로 저장된다.
앱생성은 제작된 전자책을 스마트 TV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앱을 생성한다.
편집창은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고, 소스보기는 편집창에서 작성된 본문 내용을 소스 형태의 html형식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미리보기는 편집창에서 작성된 본문 내용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하여 수정 및 편집을 용이하도록 하며, 웹편집창은 본문 내용을 웹에디터 형식으로 수정 및 편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새페이지, 페이지 삭제 및 페이지 저장은 전자책을 작성할 때 페이지를 추가, 삭제 및 저장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새페이지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새로운 페이지에 추가하도록 하고, 페이지 삭제는 페이지가 잘못 추가되었거나 필요없는 페이지를 삭제하도록 하며, 페이지 저장은 편집창에서 작성된 페이지의 본문 내용을 저장하도록 한다.
비디오, 오디오, 3D는 전자책을 제작할 때 멀티미디어 파일을 추가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비디오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에 확장자가 mp4인 비디오 파일을 추가하도록 하고, 오디오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에 확장자가 mp3인 오디오 파일을 추가하도록 하며, 3D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에 3D 파일을 추가하도록 한다.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다시 실행, 실행 취소는 문서 내용 편집시 적용되는 기능으로써, 잘라내기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잘라 내어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더불어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복사는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저장함과 더불어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붙여넣기는 잘라내기와 복사에서 실행한 내용을 본문 내용에 넣을 수 있도록 하며, 다시 실행은 전자책의 본문 내용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하며, 실행 취소는 입력이 잘못되었거나 편집 중 문제 발생시에 이전 내용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굵게, 밑줄, 기울기, 글꼴, 색상, 크게, 작게는 문서 내용 편집시 제공되는 기능으로써, 굵게는 선택된 텍스트를 굵게 표시하도록 하고, 밑줄은 선택된 텍스트에 밑줄을 표시하도록 하며, 기울기는 선택된 텍스트를 기울임꼴로 표시하도록 하며, 글꼴은 글꼴을 변경하도록 하며, 색상은 선택된 텍스트의 색깔을 변경하도록 하며, 크게는 선택된 텍스트를 현재보다 크게 변경하도록 하며, 작게는 선택된 텍스트를 현재보다 작게 변경하도록 한다.
왼쪽, 중앙, 오른쪽, 들여쓰기, 내어쓰기, 순서 및 비순서는 문서 내용 편집시 제공되는 기능으로써, 왼쪽은 텍스트를 왼쪽에 맞추도록 하고, 중앙은 텍스트를 중앙에 맞추도록 하며, 오른쪽은 텍스트를 오른쪽에 맞추도록 하며, 들여쓰기는 텍스트를 들여쓰도록 하며, 내어쓰기는 텍스를 내어쓰도록 하며, 순서는 글머리에 숫자의 순서를 넣도록 하며, 비순서는 글머리에 부호를 넣도록 한다.
줄, 이미지, 링크는 문서 내용 편집시 제공되는 기능으로써, 줄은 선택된 텍스트에 밑줄을 표시하도록 하고, 이미지는 파일에서 그림을 삽입하도록 하며, 링크는 웹페이지, 그림, 전자메일주소 또는 프로그렘에 대한 링크를 만들도록 한다.
폴더에서 이북생성 및 폴더에서 앱생성은 지정된 폴더에 전자책을 생성하도록 하고, 앱생성은 지정된 폴더에 앱을 생성하도록 한다.
한편,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332)는 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를 저장하고,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에 상기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한다.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332)로부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10)에 접속하여 서버(10)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며, 호출된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해상도에 적합하게 조정한다.
템플릿 생성기(33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템플릿을 생성 및 저장하고 이 템플릿을 파일 생성기(336)에 입력한다.
여기서, 템플릿은 사용자 등에 의해 사전에 저장되는 바, 이 템플릿에는 사용자가 전자책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전에 등록됨으로써, 사용자는 템플릿 내 임의의 영역을 지정하고, 해당 영역에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손쉽게 전자책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템플릿은 복수 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는 상기한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에 의해 서버(10)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가 호출되면, 이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Uniform Resource Locator)를 캡쳐하여 제작툴 또는 후술한 템플릿에 맵핑시키거나, 또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에 의해 미디 컨텐츠 저장부(332)에서 호출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툴 또는 템플릿에 삽입한다.
파일 생성기(336)는 텍스트 편집기(331) 및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에 의해 각각 입력된 텍스트 및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조합하거나, 또는 텍스트 편집기(331) 및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로부터 각각 입력 및 삽입된 텍스트 및 미디어 컨텐츠를 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이 전자책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변환한다.
또한, 파일 생성기(336)는 텍스트 편집기(331)와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로(334)부터 입력받은 텍스트 및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템플릿에 입력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거나, 템플릿에 텍스트 편집기(331)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및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에 의해 호출된 미디어 컨텐츠를 삽입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전자책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생성한다.
제어부(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4)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제작툴을 실행시키고, 이후 제작툴의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전자책 제작부(33)를 제어하여 전자책을 제작한 후, 이를 재생 가능한 파일로 변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자책을 생성한 후에는, 제어부(34)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해당 전자책을 재생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배포하여 독자들이 해당 전자책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4)는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템플릿 생성기(335)를 통해 템플릿을 생성 및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 명령에 따라 이들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일 생성기(336)에 입력함으로써, 파일 생성기(336)가 이 템플릿에 텍스트 및 미디어 컨텐츠를 입력하여 전자책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30)의 동작 과정을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제작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제작툴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
단계(S10)에서의 판단 결과 제작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제작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0).
이후, 제작툴의 메뉴가 선택되고 선택된 메뉴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전자책을 제작한다(S30). 이와 같이 전자책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34)는 텍스트 입력 또는 편집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302), 단계(S302)에서의 판단 결과 텍스트 입력 또는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텍스트 입력 또는 편집 명령에 따라 제작툴에 해당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편집한다(S304).
한편, 상기한 단계(S302)에서의 판단 결과, 텍스트 입력 또는 편집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34)는 미디어 컨텐츠 입력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306).
단계(S306)에서의 판단 결과 미디어 컨텐츠가 입력되면, 제어부(34)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를 통해 미디어 컨텐츠를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서버(10)에 호출하거나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332)로부터 호출한다(S308).
이 경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는 호출한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화면 크기를 조정한다(S310).
이어, 제어부(34)는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를 제어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툴에 삽입하거나 그 주소 정보를 맵핑한다(S312). 즉,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334)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332)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가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333)에 의해 호출되어 화면 크기가 조정되면 해당 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툴에 삽입하고, 반면에 미디어 컨텐츠가 외부의 서버(10) 등으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호출되면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캡쳐하여 제작툴에 맵핑시킨다.
한편, 단계(S306)에서의 판단 결과, 미디어 컨텐츠 입력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34)는 템플릿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314), 단계(S314)에서의 판단 결과 템플릿 호출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템플릿을 호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316).
이어 제어부(3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해당 템플릿 내 각 영역에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또는 미디어 컨텐츠를 삽입하거나 그 주소 정보를 맵핑한다(S318). 여기서, 템플릿의 각 영역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미디어 컨텐츠를 삽입하며 그 주소 정보를 맵핑하는 과정은 상기한 단계(S302~S312)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툴을 통해 제작툴 또는 템플릿에 텍스트가 입력되거나, 제작툴 또는 템플릿에 미디어 컨텐츠가 삽입 또는 그 주소 정보가 맵핑(S304,S312,S318)될 때마다, 제어부(34)는 제작툴 또는 템플릿에 텍스트가 입력되거나 미디어 컨텐츠의 삽입 및 맵핑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한다(S320).
단계(S320)에서의 판단 결과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어부(34)는 상기한 단계(S302)로 리턴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미디어 컨텐츠를 삽입 및 맵핑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반면에 단계(S320)에서의 판단 결과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34)는 파일 생성기(336)를 제어하여 해당 전자책을 재생 파일로 생성(S40)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전자책을 최종적으로 생성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를 조합하여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전자책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형태의 전자책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책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웹서비스를 통해 3D 형태로 제공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링크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의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서버 20: 사용자 사용자 단말
30: 전자책 제작 장치 31: 통신 인터페이스부
3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3: 전자책 제작부
331: 텍스트 편집기 332: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
333: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334: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
335: 템플릿 생성기 336: 파일 생성기
34: 제어부

Claims (6)

  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텍스트와 미디어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재생 파일로 변환시키는 전자책 제작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제작툴을 실행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작툴의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 제작부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재생 가능한 파일로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및 3D 컨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화면 조정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전자책에 맵핑시키는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 및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제작툴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작툴에 맵핑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상기 전자책을 구성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에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및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제작툴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제작툴에 삽입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에 의해 화면 조정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전자책에 맵핑시키는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
    템플릿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템플릿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템플릿 생성기; 및
    상기 템플릿 생성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출하여,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결합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템플릿에 맵핑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제작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책에 텍스트를 입력 및 편집하는 텍스트 편집기;
    상기 전자책을 구성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
    상기 미디어 컨텐츠 저장부에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호출하고, 호출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화면 크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화면 해상도에 따라 조정하는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
    템플릿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선택하여 선택된 상기 템플릿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템플릿 생성기; 및
    상기 템플릿 생성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출하고, 상기 텍스트 편집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템플릿에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미디어 컨텐츠 컨테이너 생성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템플릿에 삽입하여 상기 전자책을 제작하고, 제작된 상기 전자책을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제작 장치.

KR1020140066226A 2014-05-30 2014-05-30 전자책 제작 장치 KR20150138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26A KR20150138585A (ko) 2014-05-30 2014-05-30 전자책 제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26A KR20150138585A (ko) 2014-05-30 2014-05-30 전자책 제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85A true KR20150138585A (ko) 2015-12-10

Family

ID=5497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226A KR20150138585A (ko) 2014-05-30 2014-05-30 전자책 제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8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08A1 (ko) * 2018-12-11 2020-06-18 이수민 디지털 라이브 북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608A1 (ko) * 2018-12-11 2020-06-18 이수민 디지털 라이브 북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19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tation and connection of electronic documents
JP2019067411A (ja) 携帯端末でクリップボード機能提供方法及び装置
US20070016657A1 (en) Multimedia data processing devices, multimedia data processing methods and multimedia data processing programs
US10452747B2 (en) Dynamically formatting scalable vector graphics
CN105376502A (zh) 一种全媒体在线编辑工具
JP2011138516A (ja) 文書情報伝達方法及び装置
TW201423554A (zh) 用於電子閱讀器體驗的一致性之非書本文件轉換
KR20200036937A (ko)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5045587A (zh) 一种图片展示方法及装置
KR20110016881A (ko) 데이터 뷰어 관리
WO2010063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on a mobile terminal
KR101638327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전자책 제작 시스템
KR20150138585A (ko) 전자책 제작 장치
WO2012085993A1 (ja) 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装置及び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プログラム
JP6215320B2 (ja) 端末機の電子ブック制御装置及び方法
CN104808976B (zh) 一种文件分享方法
KR101790727B1 (ko) 문서 형식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0825A (ko) 마크업언어를 이용한 이러닝 컨텐츠 저작 장치
CN111027280A (zh) 数字出版物的生成及渲染的方法和系统、可读存储介质
JP201321091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323902B2 (ja) 画像レイアウト装置
KR20190101601A (ko) 차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07051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작성방법
JP201612906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919285A (zh) 一种画布编辑的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