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418A -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 Google Patents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418A
KR20150137418A KR1020140065250A KR20140065250A KR20150137418A KR 20150137418 A KR20150137418 A KR 20150137418A KR 1020140065250 A KR1020140065250 A KR 1020140065250A KR 20140065250 A KR20140065250 A KR 20140065250A KR 20150137418 A KR20150137418 A KR 20150137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lip
vertical
glass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4387B1 (ko
Inventor
이병기
이득렬
Original Assignee
이병기
이득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기, 이득렬 filed Critical 이병기
Priority to KR102014006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387B1/ko
Priority to PCT/KR2015/005400 priority patent/WO2015183032A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초점의 렌즈 및 안경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초점 렌즈 및 안경의 이동을 통하여 사용 목적과 맞는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가장 편안한 아이 포인트에 고정시킴으로써, 렌즈 및 안경의 효율성을 높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본 발명은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개인의 시력 교정 굴절력이 포함된 일반 시력교정 도수 안경에 렌즈의 도수를 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일반 안경의 도수와 대수합 도수의 굴절력을 이루는 렌즈를 주시거리에 따라 다양한 광학요소 포인트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굴절도를 갖는 대수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착용자가 원하는 대수합이 가능한 굴절도와 함께, 상기 렌즈의 광학 포인트를 사용자 아이 포인트 위치로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와 사용자 눈의 아이 포인트를 동일선상에 일치시켜 편안하고 선명한 시야의 시기능이 가능한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이다.
눈은 가까운 사물 또는 활자를 주시할 경우 눈의 조절을 통하여 명시하기 때문에 눈의 조절력을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조절력은 특히 근거리를 주시할 경우 크게 작용한다.
즉, 근거리를 긴 시간 주시할 경우 눈의 안정피로도가 상승하여 시야가 흐려 보이고, 심하면 두통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눈의 조절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성과로 최근에는 다중초점 렌즈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다중초점 렌즈는 일반시력 교정도수와 더불어 다중초점 굴절도가 한 렌즈에 혼합되면서 다양한 역기능이 수반되었다.
상기 역기능은 과다한 근시도와 난시도 및 원시도와 같은 도수와, 다중굴절도를 토대로 광학설계 제작된 렌즈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 및 프리즘 작용과 같은 유해 광학수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기능적인 부분에 문제를 내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의 최소화를 위하여 최근에는, 안경테의 폭 조절을 통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안경테의 폭 조절을 통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안경의 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안경테는 렌즈 수용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20)의, 연결관A(22a) 및 연결관B(22b)는 내부 관통공(24)을 가지고 있으며, 이 관통공(24)에 내부 랙(28)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랙(28)의 높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흠A(30) 및 상기 연결관B(22b)의 높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흠B(26)는, 상기 관통공(24)을 통하여 상기 고정흠A(30) 및 고정흠B(26)의 높이방향 동축상에 위치하며, 고정핀(32)에 의하여 고정결합 되어진다. 상기 고정흠A(30)는 상기 내부 랙(28)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고정흠B(26)과 높이방향 동축상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흠A(30)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안경테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테이다.
상기 안경테는 폭방향 길이 조절을 통하여 안경의 길이방향 초점 조절이 가능하나, 결국 높이 방향의 조절에 어려움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다중초점 렌즈의 초점 조절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3088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수단을 제공하였다.
종래 다중초점 렌즈는 한 장의 렌즈에 있어서 근시, 난시, 원시와 같은 교정 시력도와 함께 근거리와 중간거리 및 원거리의 시력 교정 및 보정을 위하여, 다중초점 기능과 다중 굴절도 기능을 함께 가지게 제작되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서술한 광학 및 시기능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고안된 본 발명은, 일반 시력교정 안경과 근거리와 중간거리 등 시력 보정에 필요한 다중초점 굴절도의 도수기능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탈착과 장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단수 또는 복수의 렌즈(200); 상기 렌즈(2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몸체(100);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렌즈(20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시력 보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상기 렌즈(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200)는, 상기 안경(300)의 도수와 대수합으로 도수가 변환되어 주시 목적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진적 다중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와, 상기 제1 볼트(11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113), 및 상기 제1 볼트(112)에 관통되어 상기 너트(113)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 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A(13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 조절을 위해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고정부B(23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부B(230)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이동력을 상기 한 쌍의 렌즈(2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연결을 위해 내측 또는 상단에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조절부(110)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거치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위치 안내를 위한 수평 가이드(102)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높이방향 위치 안내를 위하여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력 보정을 위한 안경(300)에 추가로 결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렌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주시 거리에 맞춰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소정의 주시 거리에 맞는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상기 렌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렌즈의 상하좌우 방향 이동을 통하여, 가장 편안한 아이 포인트 위치에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위치시킴으로써, 클립에 고정된 안경의 효율성을 향상 시켰으며,
또한, 기존의 다초점 안경이 가지고 있었던 눈의 피로도 증가 및 어지러움증 유발 이라는 단점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과 함께 구비되는 렌즈의 교체를 통하여 상황에 맞는 렌즈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전체 사시도(렌즈 및 안경 결합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전체 사시도(렌즈 및 안경 분리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내 다중곡률 렌즈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연결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거치부 및 거치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길이방향 운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높이방향 운동도.
도 9는 종래의 안경테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몸체(100), 수평 조절부(110), 수직 조절부(130), 거치부(140), 안경(300) 및 렌즈(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으로서, 상기 렌즈(200)의 고정 및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안경(3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며, 몸체(100)의 외면에 아이 포인트에 따른 렌즈(200)의 광학요소 포인트 수평 이동 안내를 돕기 위한 수평 가이드(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단에 단수 또는 복수의 수평 조절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렌즈(200)와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단수 또는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 조절부(110)가 구성되는 위치는 렌즈(200)의 원활한 수평 이동 조절이 가능한 위치이면 충분하다.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상기 렌즈(200)의 상하방향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의 높이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에 있어서, 이하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수직 조절부(130)와 렌즈(200)의 외측을 통하여 연결된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수직 조절부(130)의 위치는 렌즈(200)와의 결합에 따라, 한 쌍의 렌즈(200)의 내측 및 상단에도 구성이 가능하며, 렌즈(200)의 높이방향 및 수평방향 이동 조절이 가능한 위치이면 충분하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을 위하여 양단에 상기 거치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142)는 상기 안경(300)의 하단과 접촉을 통하여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경(300)과 상기 렌즈(200)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렌즈(200)는 일반 시력교정에 사용되는 안경(300)의 도수와 결합되어 각 주시목적 거리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기 위하여, 기존안경 도수와 대수합으로 도수 변환 목적을 가지는 다중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곡률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렌즈(200)는 상기 몸체(100)를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방법 외에도, 상기 안경(30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렌즈(200)는 상기 안경(300)과 결합을 위하여 구성되는 클립에 부착되어 상기 클립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결합 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경(300)과 상기 렌즈(200)의 결합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렌즈(200)의 탈착과 장착이 용이하면 충분하므로 결합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립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는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 개인의 안구조와, 시기능의 특성 및 주시 거리에 따라 개인별 맞춤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상황에 맞는 맞춤된 상기 렌즈(200)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렌즈(200)의 수평 및 수직이동 작용이 없어지므로,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상승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2에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렌즈(200) 및 상기 안경(300)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상기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구성되고, 상기 클립(120)은 서로 맞물리는 집게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300)의 테를 집어 고정 결합한다.
상기 클립(120)은 상기 안경(300)과의 결합에 있어서 클립(120)을 탄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안경(300)의 안경테를 고정하는 구조, 또는 두 개의 집게발을 연결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안경(300)의 안경테를 고정시키는 구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안경(300)의 고정이 가능하면 충분하다.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가 결합되는 내측 방향으로 구성된 요철형상의 고정부A(13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A(132)는 상기 렌즈(2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요철형상을 가지는 고정부B(230)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몸체(100)와 렌즈(200)를 결합시킴으로써,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A(132)와 상기 고정부B(230)는 여러 가지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나, 상기 렌즈(200)와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평 조절부(110) 및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수평 조절부(110)및 수직 조절부(130)의 연결 및 이동을 위하여 몸체(100)의 내부에 구성된 슬라이딩 구조에 포함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렌즈(200, 도1 및 도2 참조)의 하중을 견디기 용이하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102)의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권장하는 구성일 뿐이며, 수평 조절부(110) 및 수직 조절부(130)의 연결에 있어서, 몸체(100)의 표면을 통한 연결이 가능하며, 그 연결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는 수평 탄성유격부(103)가 구성되며, 수평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상기 거치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는 함체 형상의 내부에 상기 몸체(100)와의 결합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안경(300)의 크기에 따라 생기는 상기 거치부(140)와 안경(300)의 길이방향 간극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은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 끝단 및 본체(100)의 양단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함체 내측 면과 고정 결합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와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결합은 스프링의 고정 결합을 통한 연결방법 이외에도, 함체 형상을 가지는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내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몸체(100)에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형의 홈을 파는 방법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 탄성유격부(141)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는 높이방향 간격 조절을 위하여 함체 형상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은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측 단 및 하측 단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함체 내측 면과 고정 결합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와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결합은 스프링의 고정 결합을 통한 연결방법 이외에도, 함체 형상을 가지는 수직 탄성유격부(103)의 내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형의 홈을 파는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는 상기 안경(300)의 크기에 따라 생기는 상기 거치부(140)와 안경(300)의 높이방향 간극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거치대(142)와 나사결합 된다.
상기 거치대(142)는 끝단에 상기 안경(3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집게팔(144)을 포함하다.
상기 집게팔(144)의 형상을 v자 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집게팔(144)의 형상은 v자형, 톱니형, U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이 용이할 정도면 충분하다.
상기 집게팔(144)의 재질 선택은 상기 안경(3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실리콘재질을 권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안경(300)의 손상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정도면 충분하다.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며 구성되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렌즈(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위하여 수평 조절부(110)에서 발생되는 수평방향 이동력을 상기 수직 조절부(130)로 전달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14)는 상부가 U형상을 가지며, 두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14)의 상단에 형성되는 두개의 돌기는 상기 제1 볼트(112)에 의하여 관통되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연결부재(114)에 수평 이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14)의 한 쌍의 돌기 내측에 구성되는 너트(11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114) 및 너트(113)는 상기 제1 볼트(112)에 의하여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너트(113)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볼트(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을 타고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상기 너트(113)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 이동력을 상기 연결부재(114)에 전달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가 구비되는 내측 방향에 구성되는 고정부A(13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A(132)는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레일 구조를 가지는 홈을 통하여 끼움 결합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하단에 높이방향으로 내부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부홈(134)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내부홈(134)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 2볼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제 2볼트(133)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방향 운동을 조절한다.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나사산을 이용한 회전구조는 착용자 안 광학 구조에 따라 상기 렌즈(200)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사항일 뿐이고, 슬라이딩 이동 및 볼트를 이용한 압박 고정 구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상기 렌즈(200)의 주시영역 범위를 나타내었다.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주시영역(221), 40cm~4m 중거리 주시영역(222), 4m 이상 장거리 주시영역(223)이라고 할 경우, 아래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
n / f = D 식(1)
(n : 매질의 굴절율, f : 초점거리, D : 굴절력)
근거리 주시영역(221)은 +0.50~+6.00의 디옵터(diopter), 중거리 주시영역(222)은 +0.25~+6.00디옵터(diopter), 장거리 주시영역(223)은 +0.00~+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200)는 그 사용 환경 및 목적에 따라 편광렌즈, 입체영상 시청용 렌즈, 청색광 차단렌즈, 야간 시보정 렌즈, 변색렌즈 등이 사용가능하다.
청색광 차단 렌즈는 눈의 피로를 유발하는 빛의 파장인 가시광선 영역 중, 380nm~500nm의 단파장 영역인 청색 계열의 투과율 조절에 있어서 다중 박막 코팅 및 특수염료 착색을 통하여 단파장 영역을 반사시킴으로써, 색수차를 줄여 선명한 시야를 가지며, 눈의 피로를 줄여준다.
편광 렌즈는 180축 주변의 편광된 빛을 렌즈로부터 차단하여 눈부심을 제거하고 사물을 선명하게 보이게 한다.
입체영상 시청용 렌즈는 한 쌍의 렌즈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처리 함으로써, 3D입체 안경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주간 및 야간 시보정 렌즈는 특수 염료 및 형광물질을 통하여 유해 광선인 자외선 및 청광을 차단하고, 색상의 감도를 더욱 선명하고 아름답게 하며, 망막의 노화방지 및 백내장, 설맹증의 예방 및 진행을 억제하는 시력교정의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야간 렌즈는 밝은 빛의 예민한 감도를 증대시켜 시야를 맑고 깨끗하게 하여 야간 시력을 향상시키고, 기본 색상에 따라 강한 직사광선에서 눈의 피로를 경감하시키며, 망사코팅을 통한 핀홀 효과를 생성하여 산란 반응을 줄여준다.
변색 렌즈는 자외선에 맞춰 렌즈의 색깔을 변화시켜 빛의 차단을 조절하며, 자외선 또는 청색광과 광화학적 반응을 하여 미립자 상태의 은이 산화 및 환원 되어 변색반응을 가지는 렌즈 및, 렌즈의 코팅 또는 렌즈 사이에 감광성 염료가 사용되어 자외선에 따라 착색되는 렌즈가 사용 가능하다.
렌즈의 구조 및 재질은 계획되어진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제작이 가능하며 그 영역은 한정짓지 않는다.
도 5에서는 렌즈 결합부(220)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한 쌍의 상기 렌즈(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또는 나사결합 구조와 같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도 5에는 그 중 한 형태인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각각의 렌즈와 연결되어지는 한 쌍의 연장관(223)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의 연결을 위한 하우징(221)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221)은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을 수용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하우징(221)의 내측에 구성되는 통로를 통하여,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을 연결한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연장관(223)의 이동에 따라서, 한 쌍의 상기 렌즈(200)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연장관(223)이 상기 하우징(221)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21)의 내측에 구성되는 통로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21A)을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 쌍의 상기 렌즈(200)는 렌즈(200)의 테두리에 안경테가 구성되어 안경테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 및, 각각의 렌즈가 연결 없이 사용 하는 구조가 가능하며, 하나의 렌즈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가 한쌍의 상기 렌즈(20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렌즈 결합부(220)의 위치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면 충분하므로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는 위치는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상기 거치부(140)와 상기 거치부(14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거치대(142)의 결합을 도시하였다.
상기 거치부(140) 및 거치대(142)는 나사 결합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거치대(142)와의 나사 결합 방법에 있어서, 거치부(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 및 거치대(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홈이 동일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동일 축 상에 위치되는 홈을 관통하는 제3 볼트(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제3 볼트(147)의 일측에 제3 볼트(147)의 고정을 위한 고정너트(145)를 포함하고, 제3 볼트(147)의 타측에 제3 볼트(147)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ㄷ'의 형상을 가지는 조임너트(146)를 포함한다.
도 6에는 나사 결합을 통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거치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나사결합 외에도 힌지결합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며, 힌지결합 내부에 상기 거치대(142)의 운동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142)가 운동 방향으로 조이는 힘을 가지는 방법도 가능하다.
[실시예 1] 렌즈의 수평이동 방법
도 7에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수평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3 내지 도7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서로의 길이를 조정하고,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구성되는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고정된 상기 렌즈(200)는 착용자의 주시 거리에 따라 수평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에 포함되는 상기 너트(113)를 회전시켜, 수평 조절부(110)와 수직 조절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4)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조절한다. 렌즈(200)의 조절에 있어서, 렌즈(20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돕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평 가이드(102)를 참조한다.
[실시예 2] 렌즈의 수직이동 방법
도 8에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수직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서로의 길이를 조정하고,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구성되는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고정된 상기 렌즈(200)는 착용자의 수직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의 회전을 통하여 일어나는 상기 고정부A(132)의 수직방향 운동에 따라서 높이가 조절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고정부A(132)는 상기 제2 볼트(133)를 하측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렌즈(200)의 하중에 의해 하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 볼트(133)를 상측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A(132)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200)를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렌즈(200)의 수직방향 조절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 가이드(131)를 참조한다.
[실시예 3] 실내생활 렌즈의 선택
도 1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클립(120)에 상기 안경(300)을 고정시키고, 상기 거치부(140)를 통하여 상기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렌즈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렌즈(200)의 양단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실내 생활에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40cm ~ 4m 중거리, 4m 이상을 장거리라고 할 경우, 실내 생활에 있어서 근거리 및 중거리에서 주시 영역이 형성되므로, 상기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
+0.50~+6.00의 디옵터(diopter) 및 +0.25~+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실외생활 렌즈의 선택
도 1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클립(120)에 상기 안경(300)을 고정시키고, 상기 거치부(140)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렌즈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렌즈(200)의 양단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실내 생활에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40cm ~ 4m 중거리, 4m 이상을 장거리라고 할 경우, 실외 생활에 있어서 근거리, 중거리 및 장거리 전 영역에서 주시 영역이 형성되므로, 상기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
+0.50~+6.00의 디옵터(diopter), +0.25~+6.00디옵터(diopter), 및 +0.00~+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100 : 몸체 102 : 수평 가이드
103 : 수평 탄성유격부
110 : 수평 조절부 111 : 외부 하우징
112 : 제1 볼트 113 : 너트
114 : 연결부재 120 : 클립
130 : 수직 조절부 131 : 수직 가이드
132 : 고정부A 133 : 제2 볼트
140 : 거치부 141 : 수직 탄성유격부
142 : 거치대
144 : 집게팔 145 : 고정너트
146 : 조임너트 147 : 제3 볼트
200 : 렌즈 201 : 근거리 주시영역
202 : 중거리 주시영역 203 : 장거리 주시영역
220 : 렌즈 결합부
221 : 하우징 221A : 걸림턱
223 : 연장관
230 : 고정부B
300 : 안경

Claims (12)

  1. 단수 또는 복수의 렌즈(200);
    상기 렌즈(2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몸체(100);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렌즈(20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시력 보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상기 렌즈(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200)는, 상기 안경(300)의 도수와 대수합으로 도수가 변환되어 주시 목적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진적 다중 곡률로 이루어지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와 연결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와,
    상기 제1 볼트(11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113), 및
    상기 제1 볼트(112)에 관통되어 상기 너트(113)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 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A(13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 조절을 위해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고정부B(23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부B(230)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이동력을 상기 한 쌍의 렌즈(200)에 전달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연결을 위해 내측 또는 상단에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조절부(110)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가 조절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9. 제 2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거치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위치 안내를 위한 수평 가이드(102)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높이방향 위치 안내를 위하여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131)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11. 시력 교정을 위한 안경(300)에 추가로 결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렌즈(200)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주시 거리에 맞춰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소정의 주시 거리에 맞는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상기 렌즈(200)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KR1020140065250A 2014-05-29 2014-05-29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KR101734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50A KR101734387B1 (ko) 2014-05-29 2014-05-29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PCT/KR2015/005400 WO2015183032A1 (ko) 2014-05-29 2015-05-29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50A KR101734387B1 (ko) 2014-05-29 2014-05-29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18A true KR20150137418A (ko) 2015-12-09
KR101734387B1 KR101734387B1 (ko) 2017-05-12

Family

ID=5469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50A KR101734387B1 (ko) 2014-05-29 2014-05-29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4387B1 (ko)
WO (1) WO20151830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63B1 (ko) * 2019-02-28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설계점 측정 장치
KR20220102425A (ko) 2021-01-13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기 살균 장치
WO2022210772A1 (ja) * 2021-04-02 2022-10-06 ViXion株式会社 眼鏡及び眼鏡フレーム並びに位置調整機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130A1 (ja) * 2018-02-07 2019-08-15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イウェアシステム
CN108294923B (zh) * 2018-04-10 2023-09-22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台式视功能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08Y1 (ko) * 1998-02-24 2000-04-01 강정근 착탈식 보조안경
JP4783546B2 (ja) * 2000-03-30 2011-09-28 株式会社トプコン メガネ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検眼システム
US7866816B2 (en) 2006-10-10 2011-01-11 Lane Research, Llc Variable focus spectacles
FR2931258B1 (fr) 2008-05-15 2010-05-28 Acep France Installation de determination de l'orientation de verres ophtalmiques d'une monture
KR20090122320A (ko) * 2008-05-24 2009-11-27 김응호 두 개의 렌즈를 이용한 시력조절 안경
KR101284579B1 (ko) * 2013-02-18 2013-07-17 주식회사 티에이치엠코리아 근시, 원시, 난시 및 노안 치료를 위한 시력교정용 안구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663B1 (ko) * 2019-02-28 2020-06-29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경 설계점 측정 장치
KR20220102425A (ko) 2021-01-13 2022-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기 살균 장치
WO2022210772A1 (ja) * 2021-04-02 2022-10-06 ViXion株式会社 眼鏡及び眼鏡フレーム並びに位置調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387B1 (ko) 2017-05-12
WO2015183032A1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387B1 (ko)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US8721070B2 (en) Translating multifocal eyeglass lenses
CN201222128Y (zh) 多功能近视防控镜
US20160109727A1 (en) Optical device for restoring eyesight
US10365502B2 (en) Prescription lenses for smart eyewear
US2459021A (en) Binocular loupe
US11927833B2 (en) Spectacles and use of spectacles having a spectacle frame and an additional frame
KR101420157B1 (ko) 렌즈의 초점 가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US3379487A (en) Pivoted auxiliary lens frame for spectacles with adjustable wire bow member support means
CN105353519A (zh) 3d眼镜片
KR200479812Y1 (ko) 착탈형 안경
CN105589216A (zh) 用于矫正视力的眼镜
CN211878346U (zh) 太阳镜
KR101785993B1 (ko) 다기능 다초점 멀티 포컬 안경
CN109313354B (zh) 易于卡接镜片的眼镜
KR101819068B1 (ko) 초점 가변 안경
KR20080003938U (ko) 초점 가변이 용이한 루페안경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US20140247331A1 (en) Eyewear to alleviate effects of macular degeneration
US2322993A (en)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spectacles
CN205139497U (zh) 一种可调节眼镜
KR102422782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N107463000A (zh) 一种眼镜
Wright Careers and vocational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