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275A - 모듈 터치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 터치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275A
KR20150137275A KR1020140064863A KR20140064863A KR20150137275A KR 20150137275 A KR20150137275 A KR 20150137275A KR 1020140064863 A KR1020140064863 A KR 1020140064863A KR 20140064863 A KR20140064863 A KR 20140064863A KR 20150137275 A KR20150137275 A KR 2015013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dule
points
authentication
tou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377B1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3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 터치 보정 방법{Method for Calibrating Module Touch}
본 발명은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최적화된 특정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이 터치되는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특정 단말기의 내부에서 터치 점을 자동 이격 조정하는 것을,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보정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인증률이 상기 특정 단말기에서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여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통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특히 최근 활성화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 있다. 예를들어, 일부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람의 손가락을 터치했을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터치 면적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산출하지 않고 손가락의 끝부분을 터치 점으로 산출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이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도록 최적화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터치하여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증수단 및/또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입력수단 최적화 기능은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인증률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입력수단 최적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에서는 상기 터치모듈을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최적화된 특정 단말기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모듈이 터치되는 경우에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특정 단말기의 내부에서 터치 점을 자동 이격 조정하는 것을, 상기 복수의 터치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보정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인증률이 상기 특정 단말기에서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 또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정 방향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이며, 상기 계산된 간격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 또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정 방향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동일 방향이며, 상기 계산된 간격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격 대상 좌표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격 대상 좌표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터치 보정 방법이 실행되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서버 상에 분산 구현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최적화된 특정 단말기를 비롯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단말기에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특정 단말기 기종에 따른 인증률 감소 없이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손위 쥔 상태에서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의 특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의 모듈 이용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인식모듈을 통해 터치모듈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점과 연계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인식모듈(100)과,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이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또는 터치모듈(400)을 장착한 물건)의 터치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인증모듈(132)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복수의 터치부(405)를 기 설계된 바에 따른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일측영역(415)에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400)과,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405)를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405)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구별하기 위해,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를 ‘모듈 터치’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모듈 터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가 이용 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예컨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지시하는 단말기(200)가 상기 무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예컨대,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장치 등)라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모듈(400)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정전식으로 터치 가능한 지정 개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구비한 모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모듈(400)은 모듈 터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에 구비(또는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 서비스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모듈(400)을 소지하고 서비스 제공자 측이 단말기(20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 이하, 상기 터치모듈(400)을 구비 또는 보유하고 있는 측을 ‘모듈 이용처’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듈 이용처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구비(또는 보유)한 사람, 가맹점, 기관, 기업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이용처에 구비(또는 보유)된 터치모듈(400)은 상기 모듈 이용처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모듈 이용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모듈 이용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대상(예컨대, 정보, 카드 등)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이용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터치되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예컨대,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로 이용(즉, 모듈 이용처는 터치모듈(400) 이외에 별도의 단말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식모듈(100)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를 입력수단으로 이용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각종 단말기(200)(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 등의 무선단말)에 프로그램코드화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또는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인식되도록 지정된 터치 특성을 인식하는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기능적으로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된 터치 특성이 터치모듈(400)을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발생 또는 획득되기로 지정된 터치 특성에 부합하는지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를 기능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인식모듈(100)과 연동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인식모듈(100)이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한 터치이벤트를 1회 이상 판독하여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는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식 터치에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되는 터치이벤트는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다중 터치와 터치모듈(400)에 의한 모듈 터치를 내부적으로 구별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모듈(400)은 미리 설계된 도안에 따라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른 하나 이상의 터치 특성을 지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 특성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 시점에 발생 또는 획득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터치모듈(400)에 구비되는 터치부(405)의 개수를 ‘N’개라고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상기 터치부(405)의 개수 ‘N’이 특정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가 인식 가능한 최대 다중 터치 개수 내에서 실시 방법에 따라 변형 가능하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권리범위를 모두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로 이루어진 N개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며, 상기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하나 이상의 시점에 상기 인식된 터치 점 좌표가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를 더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하기 위해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의 개수 ‘N’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은 지정된 유효 터치 시간(예컨대, 1초 등) 내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의 개수 ‘N’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며, 상기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를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지정된 유효 터치 시간 내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를 인식 또는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개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인식 또는 산출되면,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의 개수 ‘N’과 일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N’이 아니라면,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인식된 터치 점으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함에 있어 특수한 터치 조건이 유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상기 터치부(405)의 개수가 ‘N’과 터치 조건에 부합하는 개수인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함에 있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일 측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도록 유도(예컨대, 안내 문구 표시 등)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개수가 상기 터치부(405)의 개수가 ‘N’과 손가락 터치 조건에 부합하는 ‘1’을 합산한 ‘N+1’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터치 개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터치 점의 개수)를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에 의해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이 만족되는지 판별될 수 있다. 다만 터치 점의 개수는 상기 터치 점의 좌표 개수에 의해서도 판단 가능하므로, 별도의 터치 점 개수가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의 유효 터치 시간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되거나 또는 비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더라도 그 수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유효 터치 시간을 비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을 적용하는 경우에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무관하게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을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개수 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유효 터치 시간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개수 조건을 적용하는 경우에 특정 시간 내에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해서는 터치 특성을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고 상기 특정 시간을 초과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해서는 터치 특성을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개수 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405)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도록 설계 제작된 경우에 적용되는 조건이다. 그러나 아무리 설계 상 동일 높이로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더라도 제작 공정 상 공정 오차에 의해 항상 동일한 높이로 제작될 수는 없다. 이에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지정된 동시 터치 시간(예컨대, 0.2초) 내에 인식되는지, 또는 지정된 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 내에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기 사용된 터치이벤트 개수(예컨대, 제1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부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될 때까지 발생한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 만약 1개의 터치이벤트로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다면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는 ‘1’)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인식된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의 동시 터치 시간(또는 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과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 점이 인식되지 않은 시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하나의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두개 이상의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시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시점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산출하고,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의 동시 터치 시간(또는 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과 상기 산출된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지정된 동시 터치 시간 내에 터치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지정된 기준 시간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 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의 동시 터치 시간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되거나 또는 비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더라도 그 수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기(200)의 운영체제가 일정한 시간 주기 이상(예컨대, 0.1초 이상)의 시간 간격으로 터치이벤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 동안 발생한 정전식 터치의 통계 값을 터치이벤트로 발생시키는 경우에 상기 동시 터치 시간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를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동시에 터치되었는지 판별 가능하므로 상기 동시 터치 시간은 설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결과적으로 일정한 시간 차를 두고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할 경우에 이를 유효한 N개의 터치 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터치 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동시에 터치되지 않고 비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상기 동시 터치 조건의 반대 개념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405)가 다른 높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N개의 터치부(405)가 동시에 터치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 제작된 경우에 적용되는 조건이다. 즉,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은 N개의 터치부(4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405)가 다른 터치부(405)들보다 먼저 터치되거나 또는 나중에 터치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터치 순서와 시간 패턴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 중 제1 터치 점(또는 다중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2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과 제N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이 지정된 비동시 터치 시간(예컨대, 0.2초)을 초과하여 인식되는지, 또는 지정된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를 초과하여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비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데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기 사용된 터치이벤트 개수(예컨대, 제1 터치 점이 인식된 시점부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될 때까지 발생한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 만약 2개의 터치이벤트로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다면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는 ‘2’)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인식된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의 비동시 터치 시간(또는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과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제1 터치 점(또는 다중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2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과 제N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 사이의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의 비동시 터치 시간(또는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과 상기 산출된 터치 소요 시간(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지정된 동시 터치 시간(또는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을 초과하여 비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비동시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제1 터치 점(또는 다중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제2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과 제N 터치 점이 터치된 시점 사이에 소요된 터치 소요 시간 또는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를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비동시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의 비동시 터치 시간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되거나 또는 비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더라도 그 수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기(200)의 운영체제가 짧은 주기(예컨대, 0.1초 미만)로 터치이벤트를 실시간 발생시켜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를 통해 비동시 터치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상기 비동시 터치 시간은 설정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결과적으로 일정한 시간 차를 두고 N개의 터치 점을 터치할 경우에 이를 모두 유효한 N개의 터치 점으로 인식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동시 터치 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비동시에 터치됨과 동시에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상기 비동시 터치 조건에 터치 순서를 부가한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405)가 각 터치부(405) 별로 설계된 다른 높이로 배치되거나 또는 N개의 터치부(405)가 동시에 터치되지 않고 지정된 순서에 따라 터치되는 구조로 설계 제작된 경우에 적용되는 조건이다. 즉,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N개의 터치부(4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405)가 다른 터치부(405)들보다 먼저 터치되거나 또는 나중에 터치됨과 동시에 어떤 터치부(405)가 먼저 터치될 지 또는 나중에 터치될 지 정해진 터치를 판단하는 조건으로서,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터치 순서는 고려하되 시간 패턴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N개의 터치부(405) 중 서로 다른 터치 순서로 터치되도록 설계된 터치부(405)는 둘 이상 존재하기만 하면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제외한 일부 터치부(405)는 동시에 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 중 터치 순서가 다른 둘 이상의 터치부(405)와 터치 순서를 식별하는 터치순서식별자(예컨대, 터치 순서에 따라 부여된 각 터치부(405)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순차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순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인식된 터치 순서를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의 터치순서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 터치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순차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N개의 각 터치 점 별 터치 순서)을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순차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차 터치 조건에 따라 인식된 터치 순서는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동일(또는 유사)하더라도 각 터치모듈(400)마다 다른 터치 순서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차 터치 조건의 터치순서식별자는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관계를 통해 도출되는 기준 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터치 순서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N개의 터치부(405) 중 가전 먼저 터치되게 설계된 터치 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터치 순서에 따라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순서식별자가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칙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출 가능한 모든 규칙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에 기 구비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정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에 대응하는 센싱 값이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신호의 변화 값이 설정된 수치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상기 단말기(200)의 센서 종류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되는 센싱대상모듈의 종류 및/또는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 행동 습관 등과 관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에 자기장을 측정하는 지정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 등)가 구비되고 상기 터치모듈(400)에 지정된 크기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이 센싱대상모듈로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모듈(400)이 상기 단말기(200)에 근접하기 전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지 않으며(예컨대, 자기장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일정한 거리 이상 근접하지 않으면 유효한 자기장으로 검출하지 않음),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해 근접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게 되고, 상기 터치모듈(400)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떨어져 멀어지게 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센서(예컨대, 지자기 센서)는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유효하게 검출하지 않게 되는데,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이와 같이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최대 값에 해당하는 센싱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변화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예컨대,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다가 터치 시점에 유효 자기장이 검출되는지, 또는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다가 터치 시점에 유효 자기장이 검출되고 일정 시간 내에 유효 자기장 검출이 없어지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에 별도의 센싱대상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상기 단말기(200)에 충격량을 검출 가능한 지정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이 구비된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4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위해 가해지는 충격량(예컨대,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1회 충격량, 또는 터치모듈(400)의 구조에 따라 지정된 횟수의 충격량 등)에 대응하는 센싱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의 값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센싱 변화 값이 지정된 기준 값 이상 변화하는 센싱신호패턴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은 단말기(200)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센싱 값과 비교될 수치에 대응하는 센싱 비교 값, 또는 상기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변화량과 비교될 수치(예컨대, 변화량) 또는 비율(예컨대, 변화율)에 대응하는 센싱 비교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센서 연동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를 통해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를 통해 인식된 센싱 값 또는 센싱 변화 값을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센싱 비교 값과 비교하여 상기 지정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또는 센싱신호패턴)가 검출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단말기(200)에 기 구비된 센서 중 센서 연동 조건에 대응하는 지정 센서와 연동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시점부터 센싱신호를 판독할 수 있게 준비한다.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의 센싱 값을 확인하고, 상기 센싱 값을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센싱 비교 값과 비교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가 검출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값에 대한 센싱 변화 값을 확인하고,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센싱 비교 값을 통해 상기 센싱 변화 값을 판독하여 상기 센서를 통해 특정한 센싱신호(또는 센싱신호패턴)가 검출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센서 연동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센서 연동 조건에 대응하는 지정된 센서를 통해 센싱된 센싱신호의 최대 값에 대응하는 센싱 값 또는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기 전 내지 후의 센싱 변화 값)을 확인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센서 연동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와 센싱 비교 값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각 단말기(200) 별로 각종 센서의 존재 여부, 센서의 탑재 위치, 센서의 센싱감도 등이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연동 조건의 지정 센서와 센싱 비교 값은 각 단말기(200)(또는 기종) 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정 센서의 종류와 적용되는 수치가 다르더라도 센서를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연동 조건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 사람의 행동 습관을 기반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예를들어, 도장에 인주를 묻혀 종이에 찍는 경우, 이와 같은 행동을 경험했던 사람이라면 도장에 묻은 인주가 종이에 충분히 인자될 때까지 도장을 종이에 접촉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행동 습관을 지니게 된다. 마찬가지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사람도 정전식 터치가 완성될 때까지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행동 습관이 관성적으로 유발될 수 있는데, 고정 터치 조건은 이와 같은 행동 습관에 따라 터치모듈(400)이 터치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은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고정 터치 시간(예컨대, 0.5초) 이상 유지되는지, 또는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동일한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가 지정된 고정 터치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 이상 반복 인식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고정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유지된 터치 유지 시간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N개의 터치 점이 반복 인식된 터치이벤트 개수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유지된 터치 유지 시간(또는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을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의 고정 터치 시간(또는 고정 터치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과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고정 터치가 유지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고정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유지된 터치 유지 시간 또는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를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고정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의 고정 터치 시간은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되거나 또는 비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되더라도 그 수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움직이지 않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405)를 움직이지 않게 설계 제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정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정적 상태를 유지하는지 또는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정적 상태를 유지하는지 또는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정적 상태가 유지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정적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정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정적 상태를 유지하는지 또는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정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지 판단하는 조건이다.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은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힘(예컨대, 압인력)에 의해 움직이게 설계 제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모듈(400)의 설계 제작 구조가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면서 상하방향(즉, 터치스크린(205) 면과의 수직방향)의 압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상하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슬라이더에 의해 N개의 터치부(405) 중 하나 이상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제작된 경우에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터치 조건은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는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이 상기 터치모듈(400)을 설계 제작하는 과정에서 부여된 설계 상의 변경 패턴과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이 동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게 설계 제작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복수의 터치 점 좌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는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 특성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기하학적 관계 변경 패턴이 상기 터치모듈(400)의 설계 제작 과정에서 부여된 설계 상의 변경 패턴과 매칭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동적 상태가 확인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인식모듈(1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동적 터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인증모듈(132)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동적 터치 조건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규칙으로 변경되는지의 가부)를 산출하여 상기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동적 터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되고 지정된 모듈 이용처에서 이용 중인 터치모듈(400)을 이용하여 터치된 터치 점인지 인증하기 위해 사운드 인식 조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여 인식된 특성 정보는 인증수단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이다.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특정한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에는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이 부호화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전자모듈과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모듈과 스피커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터치모듈(400) 주변에 구비된 각종 장치나 단말장치, 상기 터치모듈(400)을 터치하기 위해 단말기(200)를 올려놓는 패드 등, 모듈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존재하는 무엇에든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모듈은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부호화 규칙 또는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1’~’9’, ‘0’, ‘#’, ‘*’ 등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하는 규칙이다. 상기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된 비트 열에 지정된 데이터의 비트 열을 삽입하는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데이터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적용 가능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상기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사운드 데이터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하는 규칙이다.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운드 입력부(207)가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전자모듈을 통해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출력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인식 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인식이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특정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는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전자모듈(예컨대, NFC칩 등)과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모듈과 안테나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거치하는 거치대, 상기 터치모듈(400) 주변에 구비된 각종 장치나 단말장치, 상기 터치모듈(400)을 터치하기 위해 단말기(200)를 올려놓는 패드 등, 모듈 터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모듈 터치가 이루어지는 단말기(200)의 NFC모듈(211)과 근접 거리(예: 10cm 이내)에 존재하는 무엇에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NFC모듈(211)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NFC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는 상기 전자모듈을 통해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송출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선택적으로 송출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인식 되는 시점에 상기 NFC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인식이 상기 NFC모듈(211)을 통해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NFC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추출하는 트리거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 조건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시점에 단말기(2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증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데 이용하도록 하는 조건이다.
상기 위치 인식 조건이 적용되기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GPS 기반(및/또는 실내 지상파 기반) 위치를 측위하는 위치 측위모듈(212)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는 상기 위치 측위모듈(212)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위치정보를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특성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사람의 손으로 상기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하는 쥠 특성 인식부(116)를 구비한다.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터치 점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예컨대, 애플사의 iOS 운영체제 또는 상기 iOS와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점의 좌표를 이격 조정하게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면적의 중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시점에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였는지, 또는 그러하지 않고 단말기(200)를 절연체의 바닥에 놓고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였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지정된 조건에 따라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인 경우에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사람의 손으로 상기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상기 쥠 특성 정보는 상기 인증모듈(132)에서 사람의 손으로 상기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상태 판별 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을 판별하기 위한 기종 판별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증모듈(132)로 제공되는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통해 상기 인증모듈(132)에서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을 판별 가능한 경우 상기 쥠 특성 정보에 상기 기존 판별 값은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쥠 특성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정전식 터치 인식을 위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인가된 전압의 접지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를 손으로 쥐지 않고 절연체의 바닥에 놓은 경우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인가된 전압은 상기 단말기(200)의 몸체를 접지로 이용하되, 상기 단말기(200)의 몸체를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가 되면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인가된 전압은 또는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쥐어 사람의 몸(또는 사람이 서있는 지면)을 접지로 이용하는데,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접지 상태를 검출하여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쥠 특성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단말기(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등을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지구 중심 방향에 대한 단말기(200)의 기울기를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를 손으로 쥐지 않고 바닥에 놓은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기울기는 지구 중심 방향과 직교(예컨대, 수평 방향)으로 놓이게 되고, 상기 단말기(200)의 몸체를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기울기는 지구 중심 방향과 직교하지 않고 일정한 기울기 값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지구 중심 방향 기준 기울기를 검출하여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쥠 특성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단말기(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등을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200)의 미세한 움직임이나 단말기(200)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판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를 손으로 쥐지 않고 바닥에 놓고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 시점의 단말기(200)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거나 터치 과정에서 단말기(200)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검출되지 않는데, 상기 단말기(200)의 몸체를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는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고 터치 과정에서 단말기(200)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검출되는데,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움직임이나 단말기(200)에 터치에 따른 충격량을 검출하여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쥠 특성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상기 제1 내지 제3 쥠 특성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는지 인식하는 방식이 상기 제1 내지 제4 쥠 특성 인식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가 유추 가능한 모든 쥠 특성 인식 방식을 모두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예컨대, 센서 연동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할 수 있다면,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는 모듈 터치 판독부(112)와, 상기 산출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2)로 제공하는 터치 특성 제공부(120)를 기능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는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배치 관계와 매칭되는 관계로 정의하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는 상기 기하학적 관계에 터치 시점에 발현되도록 지정된 하나 이상의 설계 상의 터치 특성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관계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인식모듈(100)에서 인증모듈(132)로 제공되는 정보를 통칭하기 위해 명명된 용어로서, 1회의 정보 제공을 위한 데이터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는 N개의 터치부(405)가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는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통해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터치는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영역에 정렬할 필요 없이 아무렇게나 터치하더라도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만 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관계가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듈 터치 특징에 따라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 회전이 수반되어야 하며, 좌표 회전에 의해서도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거나 왜곡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기하학적 관계 판독 내지 좌표 회전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특정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에 정렬하여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거나, 또는 특정 영역에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아무렇게나 임의로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 중 항상 동일한 터치 점을 항상 같은 기준 점으로 특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난해하다.
본 발명은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 중 미리 지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 중 기준 점이 아닌 하나 이상의 일반 터치부(405)는 동일 조건으로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는 다른 일반 터치부(405)와 다른 조건으로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다른 조건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검출하여 기준 점으로 특정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한 기준 점을 특정하는 조건은,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및/또는 지정 터치부(405) 자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다른 일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특성과 구별되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예컨대, 지정 터치부(405)와 일반 터치부(405)의 형상 또는 면적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터치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N보다 작은 개수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 후(여기서, 분할영역(420)은 격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일측영역(415)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동심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중심 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등), 각각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지정된 개수(예컨대, 분할영역(420) 당 1개)의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는 상기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420)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위치 등)에 구비함으로써,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할영역(420) 중 지정 개수를 초과한 터치부(405)를 구비한 분할영역(420)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부(405)를 기하학적 관계 판독 내지 좌표 회전의 기준 점으로 특정해낼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여 터치모듈(400)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일측영역(415)을 설계 상 n(2≤n<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 후,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하나의 영역을 지정영역(425)으로 설정하여 상기 지정영역(425)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위치 등)에 1개의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여 터치모듈(400)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인증모듈(132)은, 상기와 같이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설계 상의 n개의 분할영역(420) 구조와 매칭시킨 후,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425)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지정영역(425)의 지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터치 점을 기준 터치 점으로 판별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을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한다. 예를들어,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는 상기 N개의 터치 점들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 점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거리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각도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각도 관계를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N개의 각 터치 점들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상기 기준 점과 나머지 터치 점 간의 거리 관계와 각도 관계의 조합을 판별하기 위한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요소 값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닌 기하학적 관계의 시공간 특성 중 터치 점 개수 특성 내지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 구조 특성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하여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 스칼라 값, 벡터 값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하기 위한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적용된 직교 좌표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정 좌표계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적용된 좌표계 외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특성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정의된 다른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구성 요소 값은 A(11, y1), B(12, y2), C(13, y3), D(14, y4), E(15, y5) 등과 같은 지정된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산출된 선분AB, 선분AC, 선분AD, 선분AE 등과 같은 선분 값과 ∠BAC, ∠BAD, ∠BAE, ∠CAD, ∠CAE, ∠DAE 등과 같은 각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칼라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좌표계 상의 기준 점(예컨대, 좌표계 상의 원점) 또는 기준 선을 기준으로 산출된 벡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 값을 산출하는 기준 점은 좌표계 상의 원점이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또는 확률 분포) 내에 근접하는지 인증하는 아날로그식 인증을 포함한다. 즉,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동일한 곳을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또는 사람의 손가락 포함)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터치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좌표 값이 터치 점으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왜냐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이용한 정전식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며,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터치된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서 정전식 터치를 인식한 면의 면적이나 터치된 면의 외곽선이 노이즈(Noise)에 의해 조금만 변형되더라도 계산되는 터치 점은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표면(또는 터치모듈(400)의 터치부(405))의 오염 상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인가된 전압의 접지 상태(예컨대, 단말기(200) 몸체를 접지로 이용하거나 또는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쥐어 사람의 몸(또는 사람이 서있는 지면)을 접지로 이용하는 상태), 정전식 터치부(405) 주변의 전자기장 교란, 정전식 터치를 위해 가해지는 정전식 터치 압력 변화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동일한 곳을 터치하더라도 터치할 때마다 항상 동일한 좌표 값이 터치 점으로 인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을 기 등록된 좌표 값과 단순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모듈 터치의 인증 성공률이 수% 대에 머물 수 밖에 없으며, 터치 점의 개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인증 성공률은 더욱더 낮아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인식 및 인증되게 하기 위해 좌표 회전을 하는 경우, 좌표 회전 시에 발생하는 계산 오차에 의해 그러하지 않는 경우보다 인증 성공률은 더욱더 낮아지게 된다. 더구나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가 서로 근접해 있을 경우 서로 다른 두개의 터치 점으로 인식되어야 할 터치 점이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터치 인증의 인증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치모듈(400)의 터치부(405)는 미리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최소 식별 거리에 맞게 배치되며,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지정된 터치인식 오차를 포함하는 요소 값, 상기 단말기(200)에 지정된 터치인식 오차와 매핑된 요소 값, 상기 터치인식 오차의 확률 분포(예컨대, 가우시안 확률 분포 등)를 포함하는 요소 값, 상기 확률 분포와 매핑된 요소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인식 오차 또는 확률 분포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거나 또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 분석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지정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였음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기하학적 터치 특성 관계 인증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하학적 터치 특성 관계 인증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 인증 이외에 터치모듈(400)(또는 터치모듈(400)이 장착되는 물건)에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운영하는 공간에 부여된 특성이 모듈 터치 시점에 유효하게 발현되었는지 판별 또는 인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제공부(120)는 상기 모듈 터치 판독부(112)를 통해 산출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상기 인식모듈(100)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쥠 특성 인식부(116)를 통해 인식된 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2)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제공부(12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과 단말기(200)의 고유정보 및 쥠 특성 정보 이외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특성 정보는 상기 위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또는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여 인식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식부(104)를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예컨대, 센서 연동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할 수 있다면, 상기 쥠 특성 정보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인식모듈(100)이 구비된 단말기(200) 내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모듈(132)이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단말기(200)가 접속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모듈(132)을 구비한 서버(128)와 직접 통신하거나,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예컨대, 모듈 터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서버 등)를 통해 상기 인증모듈(132)을 구비한 서버(128)와 중계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와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400)이 지정된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인지 인증함과 동시에 복수의 모듈 이용처 중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400)을 구비한 모듈 이용처를 식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모듈(400)은 복수의 모듈 이용처 중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특정 터치모듈(400)을 보유한 모듈 이용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예컨대, ID)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4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모듈 이용처를 선택 받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400)은 특정 모듈 이용처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예컨대, 식별수단과 매칭된 PW)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4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모듈 이용처를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모듈 이용처를 식별하는 모듈 이용처 식별정보를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시켜 인증모듈(132)로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400)이 특정 모듈 이용처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특정 모듈 이용처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동시에 사용된다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400)이 터치되기 전 또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모듈 이용처를 선택 받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터치모듈(400)이 식별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터치 특성이 중복되지 않는 고유성/유일성을 지녀야 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이 인증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터치 특성 중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는 기밀성을 지녀야 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밀성을 위한 터치 특성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음으로 인해 달성(예컨대, 터치모듈(400)에 N개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관계가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한 정전 변화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으로 전달하는 불투명 터치막이 구비된 경우)될 수 있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는 시점에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도면1의 인증모듈(132)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2)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분산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지정된 규칙으로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식되는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와 하나 이상의 지정된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저장부(136)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인증모듈(132)에 포함되지 않고(단, 저장매체(140)는 인증모듈(132)에 구비) 별도의 서버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가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된 인증모듈(132)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는 N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며, 상기 N개의 터치부(405)는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 점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기하학적 관계의 대상이 되는 n(2≤n<N)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은 둘 이상의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지정 터치부(405)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터치부(405)로서 상기 일측영역(415)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을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에 대응되는 터치부(405)이다. 상기 n개의 터치부(405)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터치부(405) 중 상기 지정 터치부(405)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부(405)로서 일측영역(415) 상의 임의의 계산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N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는 일측영역(415)은 평판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곡률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영역(415)의 평면도는 사각형 구조의 도형 형태 또는 원형(또는 타원형) 구조의 도형 형태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400)에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탑재하는 위치는 지정된 설계장치(도시생략)에 의해 계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계산된 위치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 상에서 터치부(405)가 탑재될 수 있는 영역의 면적과 각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 및 최소 구별 인식 거리(및/또는 최소 식별 거리)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최대의 경우의 수 내에서 각 터치모듈(400)마다 각기 다른 위치로 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계장치는 N개의 터치부(405)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405)를 일측영역(415)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에 탑재되게 설계한다. 제작장치(도시생략)는 상기 설계장치에 의해 설계된 계산된 위치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고 지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도록 하나 이상의 판부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판부의 지정된 위치와 계산된 위치에 N개의 터치부(405)를 탑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장치는 상기 판부의 영역을 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설계 상 분할하고, 각각의 분할영역(420)에 각기 1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는 계산된 위치는 상기 분할영역(420) 상의 위치로 제한된다. 상기 설계장치는 설계 상 분할된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지정영역(425)으로 설계 상 지정하며, 상기 지정영역(425) 상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지정 터치부(405)가 구비되도록 설계한다. 만약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한 영역을 지정영역(425)으로 지정하고 상기 지정영역(425) 상의 지정된 어느 한 위치에 1개의 지정 터치부(405)가 구비된다면, 상기 설계장치는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n-1)개의 분할영역(420)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고, 상기 1개의 지정영역(425)에는 지정 터치부(405)를 포함하여 2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와 같이 설계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형성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설계 또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판부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기 위한 설계 상의 계산된 위치와 지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설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각 터치모듈(400)마다 허용된 경우의 수 내에서 n개의 터치부(405)가 탑재되는 계산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산된 위치가 다르게 설계되므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경우의 수 내에서 각 터치모듈(400)마다 다른 관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미리 설정된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들의 상대적 좌표 값을 포함하는 좌표 관계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부(405)들의 거리 관계와 지정 좌표계 상의 어느 한 기준 점(예컨대, N개의 터치부(405)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405)의 좌표 값에 대응하는 점,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원점,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임의 기준 점 등)을 기준으로 각 터치부(405)들이 형성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관계는 상기 기준 점과 두개의 터치부(405)를 연결한 선분이 형성하는 각도 또는 상기 기준 점을 통과하는 기준 선을 기준으로 상기 기준 점과 각 터치부(405)가 형성하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 좌표계는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를 해석하는 기준이 되는 좌표계로서, 바람직하게 현실 세계의 도량형 단위(예컨대, ㎛, ㎜, ㎝) 또는 지정된 논리 단위로 이루어진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 방법에 따라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05) 좌표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각 터치부(405)의 중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에 구비되는 각 터치부(405)들은 일정한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고,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의 중점은 터치된 면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터치인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 또는 터치스크린(205) 면의 오염 상태에 따라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기 위한 설계 상의 허용 오차 범위(예컨대, 가우시안(Gaussian) 확률 분포의 95% 일치 범위 내)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오차 정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확인(또는 결정)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정보가 인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이 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설계 상 분할되고,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한 지정영역(425)에 1개의 지정 터치부(405)가 구비되도록 설계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1개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가 형성하는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에 대한 분할영역(420)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미리 설정된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상대적 좌표 값을 포함하는 좌표 관계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각 터치부(405) 사이의 거리 관계와 지정 좌표계 상에서 지정 터치부(405)응 기준으로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계된 터치모듈(400)이 제작되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에 부여되는 일련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지정된 단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제작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인증정보와 일련코드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터치모듈(400)이 설계 및 제작된 후, 상기 터치모듈(400)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했을 때의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터치부(405)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등록하도록 지정된 장치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패널에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고,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한 후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예컨대, 가우시안(Gaussian) 확률 분포의 95% 일치 범위 내)에서 N개의 터치 점이 매칭되는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이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한다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에 기초한 실 계측 오차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실 계측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 계측 오차는 설계 상의 오차에 포함되는 것이므로,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포함하여 인증용으로 사용될 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등록용으로 지정된 장치로부터 등록 대상 터치모듈(400)에 부여된 일련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일련코드와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등록용 장치의 정전식 터치패널에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160)와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각 터치 점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하기의 기준 점 식별부(164) 및 터치 특성 확인부(168)와 연계하여 상기 반복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에 포함된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와 상기 일련코드를 통해 확인된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포함된 거리 관계 및 각도 관계를 비교하여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기준으로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난다면, 상기 제작된 터치모듈(400)은 상기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에 속하도록 오차 보정되거나 또는 분해 후 다시 제작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오차 보정 또는 다시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고 이에 수반되는 업무를 지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용 장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이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반복 터치된 구성 요소 값에 기초한 오차 정보(예컨대, 실 계측 오차 정보 또는 설계 상의 오차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확인된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작된 터치모듈(400)이 특정 위치(또는 지역)의 모듈 이용처에 공급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모듈 이용처에 구비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련코드와 상기 모듈 이용처를 식별하는 모듈 이용처 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예컨대, 주소지 정보, 지역 정보 등)를 수신하고, 상기 일련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모듈 이용처로 제공된 터치모듈(400)에 대응하는 인증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모듈 이용처의 단말장치로 상기 일련코드에 대응하는 터치모듈(400)에 대한 미등록 오류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 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이용처의 장치에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구비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는 상기 모듈 이용처의 장치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수신하고,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수신된 구성 요소 값이 지정된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판단한 후, 상기 수신된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 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는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특성 정보 중 사운드 인식 조건 또는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에 대응하는 고유코드와 비교될 비교코드를 포함하거나, 일회용코드와 비교될 검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및/또는 고정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예: 시간, 난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코드 값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도시생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터치 개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점의 개수 ‘N’, 동시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동시 터치 시간 또는 지정된 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 비동시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비동시 터치 시간 또는 지정된 비동시 터치 유효 터치이벤트 개수, 순차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해 터치 점 별 터치 순서를 식별하는 터치순서식별자, 센서 연동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지정 센서의 센싱 비교 값, 고정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고정 터치 시간 또는 고정 터치 반복 터치이벤트 개수, 정적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정적 상태 값, 동적 터치 조건을 인증하기 위한 설계 상의 변경 패턴 중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00)로부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통해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는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전송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터치 특성 정보는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상기 인식모듈(100)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특성 정보는 상기 위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운드 인식 조건 또는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하여 인식된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쥠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쥠 특성 판단부(148)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N개의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관계 보정 처리부(172)를 구비한다.
상기 쥠 특성 판단부(148)는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쥠 특성 정보의 기종 판별 값 또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터치 점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예컨대, 애플사의 iOS 운영체제 또는 상기 iOS와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점의 좌표를 이격 조정하게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면적의 중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터치 점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이라면, 상기 쥠 특성 판단부(148)는 상기 쥠 특성 정보의 상태 판별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이 터치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단한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쥠 상태를 판단 가능한 경우, 상기 쥠 특성 판단부(148)는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예컨대, 센서 연동 조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이 터치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판단부(148)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이 터치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하기의 터치 점 확인부(152)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160)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하기의 기준 점 식별부(164)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하기의 터치 특성 인증부(176)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예컨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면적) 이상인 조건에서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산출된 터치 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영역(예컨대,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위쪽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는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을 특정 방향(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방향)으로 특정 간격(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터치 점을 산출하는데,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의 관계 보정 처리부(172)에 의해 보정되는 보정 방향은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의 관계 보정 처리부(172)에 의해 보정되는 계산된 간격은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쥠 특성 판단부(148)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에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이 터치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하기의 터치 특성 인증부(176)에 이용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 대상 좌표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예컨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면적) 이상인 조건에서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를 통해 산출된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영역(예컨대,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위쪽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는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을 특정 방향(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방향)으로 특정 간격(예컨대, 단말기(200)의 기종/운영체제 별로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터치 점을 산출하는데, 상기 제2 쥠 특성 보정 방식의 관계 보정 처리부(172)에 의해 보정되는 보정 방향은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동일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의 관계 보정 처리부(172)에 의해 보정되는 계산된 간격은 상기 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하는 터치 점 확인부(152)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 중에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1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56)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터치스크린(205) 좌표계의 좌표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계로 좌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표 변환은 하기의 터치 점 인증부(160) 또는 기준 점 식별부(164) 또는 터치 특성 확인부(168)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이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기종(또는 운영체제)이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정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56)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56)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구간이 형성된 기지국 또는 무선AP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셀(Cell) 기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56)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실내 근거리통신기를 이용하여 산출된 실내 지상파 기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형성될 수 있는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지 인증하는 터치 점 인증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해 터치된 유효한 터치 점인지 인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이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기종(또는 운영체제)이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를 통해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정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간 거리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터치 점 간 거리가 유효한 터치모듈(400)에 대하여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거리 비교는 동일한 좌표계 상의 좌표 거리를 기준으로 비교되며, 이를 위해 좌표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점 간 거리 중 어느 하나라도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설정된 최소 구별 인식 거리보다 작다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로 구성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n개의 터치부(405) 간 거리를 계산하고,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비교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에 의해 형성되는 N각형 구조 조건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로 구성된 경우,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은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분할한 n개의 분할영역(420) 중 (n-1)개의 분할영역(420)에는 지정된 접촉 면적을 지닌 1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지정영역(425)에는 지정 터치부(405)를 포함하는 2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N각형이 지니게 되는 기하학적 특성을 판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은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 크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최소 식별 거리, 일측영역(415)을 분할하는 방식 및 일측영역(415)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여백 영역 등을 기반으로 형성 가능한 N각형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 및/또는 형성 불가능한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각형 구조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을 연결하여 N각형을 형성하고, 상기 설정된 N각형 구조 조건을 통해 상기 형성된 N각형의 기하학적 특성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본 발명에 따른 설계 방식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된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3개 이상의 터치 점을 일렬로 배치하는 일렬 배치 구조를 포함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터치 점은 3개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일렬 배치 구조를 회피(또는 배제)하도록 기하학적 관계가 설정되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2개 이상의 터치 점에 대한 일렬 배치 구조가 회피(또는 배제)되어 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렬 배치 구조는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된 2개의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을 기준선분으로 정하고, 상기 기준선분의 상하 또는 좌우 3.5㎜ 미만의 위치에 제3 내지 제N 터치 점이 배치되는 구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터치모듈(400)은 이와 같은 일렬 배치 구조를 회피(또는 배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경우,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정보로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N개의 각 터치 점 간의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구성 요소 값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는 상기 구성 요소 값을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한 후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기준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164)와, 상기 기준 점을 기준으로 각 터치 점 간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는 터치 특성 확인부(168)와,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를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분석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또는 확률 분포)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터치 특성 인증부(176)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부(18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로 구성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에 대한 분할영역(420)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상기 지정영역(425)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하는 기준 점 식별부(164)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는 터치 특성 확인부(168)와,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를 통해 저장된 인증정보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 분석하여 인증하는 터치 특성 인증부(176)를 구비한다. 이하 편의상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와 n개의 터치부(405)로 구성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준 점을 정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방식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2)에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 인식된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하는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구비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68)는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 중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가 이용할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특성 판별부(108)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근거로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를 판별하여 기 N개의 터치 점이 지정된 설계 규칙에 따라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N개의 터치 점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해,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중 다른 터치 점과 다른 조건으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점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이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기종(또는 운영체제)이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라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를 통해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정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를 통해 확인된 구성 요소 값 또는 상기 터치 점 인증부(160)를 통해 인증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에 대한 분할영역(420) 정보와 매칭시킨다. 만약 상기 분할영역(420) 정보가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영역 정보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구성 요소 값을 상기 분할영역(420) 정보와 매칭시키며, 상기 구성 요소 값은 상기 터치 점 확인부(152) 또는 터치 점 인증부(160)를 통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된 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에 의해 상기 지정 좌표계로 좌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기준 점 식별 방식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상기 분할영역(420) 정보와 구성 요소 값을 매칭시키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정한 후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과 분할영역(420) 정보를 매칭시킨 후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을 좌표 회전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이 위치한 지정영역(425) 상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영역(42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이 위치한 지정영역(42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영역(42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한다면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지정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상기 분할영역(420) 정보와 구성 요소 값을 매칭시키는 과정을 단축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N각형의 기하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일 확률이 높은 터치 점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터치 점부터 우선적으로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정하여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상기 N각형의 각 꼭지점의 내각 중 180°보다 큰 꼭지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꼭지점의 양 측에 있는 터치 점을 가상의 지정 터치 점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준 점 식별 방식에 따르면, 상기 기준 점 식별부(164)는 설계 상의 가상 원점과 분할영역(420) 정보를 매칭시키고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어느 한 점을 가상 원점 기준의 지정 터치 점 위치에 매칭시킨 후, 상기 가상 원점을 기준으로 N개의 터치 점을 좌표 회전하는 과정을 적어도 1회 수행함으로써,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지정영역(42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영역(42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정영역(425)에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고 나머지 (n-1)개의 분할영역(420)에 각기 1개의 터치 점이 존재한다면 가상의 지정 터치 점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지정 위치에 구비된 지정 터치 점으로 식별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면,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68)는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분할영역(420)에 구비된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거리 관계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을 기준으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관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
상기 거리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거리를 포함한다. 상기 좌표 거리는 지정 좌표계를 기준으로 좌표 값을 통해 산출되는 상대적 좌표 거리를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특정 방향을 더 포함하는 벡터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각도 관계는 지정 좌표계 상에서의 좌표 각을 포함한다. 상기 좌표 각은 상기 지정 터치 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2개의 터치 점이 이루는 좌표계 상의 각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지정 좌표계 상의 특정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을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68)는 지정 좌표계 상의 좌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산출되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6)에 의해 저장된 복수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각 터치 점 별로 매칭시킨 후 거리 및 각도를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근접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이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기종(또는 운영체제)이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를 통해 이용되는 구성 요소 값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정된 구성 요소 값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이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기종(또는 운영체제)이고 사람의 손으로 단말기(200)를 쥔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모듈(400)을 터치하여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제2 쥠 특성 보정 방식에 따라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를 통해 이용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보정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또는 운영체제)에 따른 보정이 기 적용된 경우 상기 관계 보정 처리부(172)는 상기 저장매체(140)로부터 상기 보정이 적용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추출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쥠 특성 보정 방식과 제2 쥠 특성 보정 방식은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어느 한 쥠 특성 보정 방식이 적용되면 다른 쥠 특성 보정 방식은 적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복수의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거나 또는 지정된 오차 범위에서 근접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특성이 반영된 모듈 터치로 인증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응하는 터치모듈(400)을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와 매칭된 모듈 이용처 정보에 대응하는 모듈 이용처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400)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매체(140)에 인증정보와 모듈 이용처 정보 및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비교 대상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교 대상 인증정보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우선적으로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 또는 근접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각 터치모듈(400) 별 인증정보의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인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듈 이용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모듈 이용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모듈 이용처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 또는 근접하는지 비교함으로써,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모듈 이용처에서 보유하고 있는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모듈(400)은 모듈 이용처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수신부(144)를 통해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수단으로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확인부(168)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통해 상기 확인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함과 동시에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 즉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 가능한 특성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한 것만으로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사운드 인식 조건 또는 NFC 인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위치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 정보가 이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성 정보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순차 터치 조건에 따라 인식된 N개의 각 터치 점 별 터치 순서를 포함하는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는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터치 특성 인증 값 중 상기 터치 순서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N개의 각 터치 점 별 터치 순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인증부(176)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성 정보에 대한 인증 결과가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와 상기 특성 정보의 인증 결과를 조합한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상기 인식모듈(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00)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모듈(100)과 인증모듈(132) 사이에 형성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된 경우에 지정된 서비스제공모듈(184)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지정된 서비스제공모듈(184)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트리거로 이용하여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인증모듈(132)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에 대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하여 그에 따른 후속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제공받은 인증모듈(132)로부터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의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다면,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지정된 서비스제공모듈(184)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하는 후속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도면1의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분산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이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모듈은 상기 인증모듈(132)이 구현된 서버(128)와 같은 서버에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또는 별도 사업자의 서버)에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부(188)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에 대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부(188)를 통해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 제공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1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증모듈(132)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에 대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로 전송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상기 인증모듈(132)로부터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이 상기 인증모듈(132)이 구현된 서버(128)와 상기 인식모듈(100)이 구비된 단말기(200) 사이의 중계서버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상기 인식모듈(100)로 중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는 상기 인식모듈(100)로 제공되고, 상기 인식모듈(100)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부(188)는 상기 인식모듈(100)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르면,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가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로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의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었다면,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4)는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부(188)를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부(188)는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된 경우에 이를 트리거로 이용하여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2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프로그램화된 인식모듈(100)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프로그램화된 인증모듈(132) 및/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2는 상기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로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단말기(200)가 본 도면2의 실시예인 무선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4)와 화면 출력부(203)와 터치 입력부(204)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키 입력부(202)와 사운드 출력부(206)와 사운드 입력부(207)와 NFC모듈(211)과 위치 측위모듈(212)과 USIM 리더부(213)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08)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9)과 무선망 통신모듈(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이다. 상기 제어부(201)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스(BUS)를 통해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0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에 구비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로부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14)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4)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215)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215)은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된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구동 또는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202)는 모듈터치가 가능하게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실행 화면 또는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4)는 상기 화면 출력부(203)와 좌표 평면을 공유하는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은 상기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화면 출력부(203)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6)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치모듈(400)에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207)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전달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10)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9)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10)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209)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다.
상기 NFC모듈(211)은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무선통신 규격 중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터치모듈(400)에 NFC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NFC모듈(211)은 상기 터치모듈(400)의 NFC칩을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2)은 상기 단말기(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2)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이 터치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정보를 상기 프로그램(2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기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되어 단말기(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단, 단말기(200)의 제조사에서 상기 프로그램(215)을 기본 탑재한 경우에는 생략). 상기 프로그램(215)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또는 활성화되거나, 또는 푸시 통지를 수심함에 의해 구동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프로그램(215) 상에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됨으로써 기능화되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부를 상기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은, 도면1에 도시된 인식모듈(100)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인식모듈(100)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을 인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은, 도면1에 도시된 인증모듈(132) 및/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인증모듈(132) 및/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인식된 터치 특성이 상기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증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인증모듈(132)을 통해 인증된 터치 특성의 인증 결과에 의해 지정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서비스제공모듈(184)과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증모듈(132) 및/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의 전체 또는 일부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인식모듈(100)과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128)에 구현된 인증모듈(132) 및/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과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3a 내지 도면3d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손위 쥔 상태에서 터치 점의 좌표를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의 특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 내지 도면3d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의 특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다만 본 도면3a 내지 도면3d에 예시된 터치 점 이격 조정의 특징이 모든 단말기(200)에 적용되는 공통 사항은 아니며, 일부 기종의 단말기(200)(예컨대, 애플사의 iOS 운영체제 또는 상기 iOS와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200))에 특징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은 일부 단말기(200)의 특징적으로 적용되는 터치 점 이격 조정에 의해서도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3a는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의 정전식 터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면3a의 (가)는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으로 정전식 터치를 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면3a의 (나)는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지정된 기준 면적 미만의 터치 면적으로 정전식 터치를 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기준 면적은 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설정된 면적으로서 각 단말기(200)의 기종 또는 운영체제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한편 본 도면3a 내지 도면3b는 한 손으로 단말기(200)를 쥐고 그 손으로 터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단말기(200)를 손위 쥔 상태의 정전식 터치가 본 도면3a 내지 도면3b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손으로 단말기(200)를 쥐고 다른 손으로 터치하는 경우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b는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의 정전식 터치에 의한 터치 면적을 예시한 것이고, 도면3c는 상기 도면3b의 정전식 터치에 의해 터치 면적의 중점에 해당하는 터치 점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3b 내지 도면3c를 참조하면 통상의 정전식 터치에 대한 터치 점은 터치 면적의 중점으로 산출된다.
그러나 일부 기종의 단말기(200)(예컨대, 애플사의 iOS 운영체제 또는 상기 iOS와 호환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200))의 경우, 도면3d의 (나)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미만인 경우에는 터치 면적의 중점을 그대로 터치 점으로 산출하지만, 도면3d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경우에는 터치 면적의 중점을 그대로 터치 점으로 산출하지 않고,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된 위치를 터치 점으로 산출한다. 이는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도면3a 내지 도면3b의 (나)와 같이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이용하여 터치하는 경우에 이를 터치하는 사람은 손가락의 끝부분이 터치하려는 위치로 간주하고 터치한다. 이 경우 도면3c 내지 도면3d의 (나)와 같이 손가락의 끝부분이 터치 점으로 산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단말기(200)를 손에 쥐고 터치하는 경우에 도면3a 내지 도면3b의 (가)와 같이 터치하더라도 터치하려는 위치는 손가락의 끝부분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도면3a 내지 도면3b의 (가)와 같이 터치한 경우에 도면3c의 (가)와 같이 터치 면적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산출하면 이는 단말기(200)를 터치한 사람의 의도와 다른 위치를 터치 점으로 산출하게 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면적이 넓어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말기(200)의 경우에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무방하지만, 한 손으로 쥔 상태에서 터치하는 것이 가능한 일부 단말기(200) 기종의 경우에 도면3a 내지 도면3b의 (가)와 같이 기준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으로 터치하거나, 및/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영역(예컨대, 도면3a 내지 도면3b의 (가)와 같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위쪽 영역 등)을 터치하는 경우에 터치 점의 위치는 도면3c의 (가)에서 도면3d의 (가)의 위치로 자동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동 이격 조정되는 방향과 간격은 단말기(200) 기종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터치 면적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말기(200) 기종 별 및/또는 터치 면적 별 자동 이격 조정되는 방향과 간격을 DB화(또는 프로그램코드화)하여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도면3a 내지 도면3b의 (가)와 같이 터치한 경우에 터치 점의 위치를 도면3d의 (가)와 같이 이격 조정하는 것은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편의성 면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그 기하학적 관계를 식별수단(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터치 점의 자동 이격 조정은 터치모듈(400)의 인증률(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서 매칭될 확률)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물론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을 단말기(200)의 기준 면적 미만으로 감소시켜 제작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터치율(예컨대, N개의 터치 점을 모두 인식할 확률)이 감소하게 된다. 즉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하나의 터치 면적이 기준 면적 미만이더라도 이에 대한 터치율이 변화는 없으나, 기준 면적 미만으로 이루어진 N개의 터치 면적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는 경우에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터치 인식 구성 상 각 터치 면적에 발생하는 정전 변화가 분산되어 N개의 터치 점이 모두 인식될 확률(=터치율)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에 대하여 터치 점(또는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를 자동 보정하여 터치율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인증률을 유지한다.
도면4a 내지 도면4c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모듈(400)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a 내지 도면4c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405)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410)를 구비하여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a 내지 도면4c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제작되는 터치모듈(400)의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a 내지 도면4c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a와 도면4c를 참조하면, 터치모듈(4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의 터치부(405)와, 상기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프레임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도면4a는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예컨대, 5개)의 터치부(405)를 임의의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즉, 터치모듈(400)마다 각기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한 터치모듈(4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4b는 12개의 터치부(405)를 격자 구조 형태의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되 상기 격자 구조의 12개 터치부(405) 중 정전 변화 유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정된 개수(예컨대, 2개 내지 5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터치모듈(400) 실시예가 본 도면4a 내지 도면4c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이를 변형하는 다양한 실시예(예컨대, 도면4b를 4각형 격자 구조를 변형하여 6각형 벌집 형태의 격자 구조에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실시예 등)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터치부(405)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구성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복수의 지정된 개수의 터치부(405)가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예컨대, 터치모듈(400)의 영역 중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될 터치부(405)가 배치되는 영역)에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410)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구성 중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구성물의 총칭으로서, 상기 복수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는 일측영역(4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은 평판 구조 및/또는 곡판 구조 등 다양한 판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모듈(400)은 상기 프레임부(410)에 손잡이부를 연결하여 도장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부를 구비한 도장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은 상기 프레임부(410)와 터치부(405)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카드 형태의 물건에 장착되거나 또는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터치모듈(400)을 장착하는 물건이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포함하는 물건의 외형은 당업자의 의도 또는 서비스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또는 응용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제1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전도성 고무 재질, 전도성 플라스틱 재질, 전도성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고무탄성을 지닌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Shore) A 경도계 기준 80이하)와 전기적 저항(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300Ω 이하)을 지니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터치부 실시예의 터치부(405)가 전도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도성 고무는 전도성 탄소(예컨대, 전도성 탄소 또는 금속 분말 포함)와 고무를 계산된 비율로 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와 전도성 탄소의 배합 비율에 따라 경도와 전기적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금속성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재질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전기 전도율이 높은(예컨대, 터치되는 부분과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측정 저항 값이 1Ω 미만인) 금속성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터치부(405)를 금속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유리 재질의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터치스크린(205)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금속성 재질의 터치부(405)와 터치스크린(205) 사이에 상기 터치부(405)의 정전 변화 유도를 전달하여 충격량을 완충 가능한 재질(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하)로 이루어진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막은 각 터치부(405)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지정된 개수의 터치부(405)를 터치막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각 터치부(405)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터치 시점에 터치부(405)와 터치막이 접촉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막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여 제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전도성 재질이 경도가 터치스크린(205)의 손상을 가할 정도의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90이상)라면, 상기 비전도성 재질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한 터치부(405)에는 상기 터치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탄성 재질의 완충재의 외부에 금속성 재질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스펀지,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은 상기 완충재에 금속성 재질을 도금하거나 및/또는 금속성 재질을 원사 또는 면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완충재의 금속막을 형성하여 제작되는 터치부(405)는 EMI 차폐용 가스켓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탄소나노튜브 재질 또는 단일벽탄소나노튜브 재질을 포함하는 탄소섬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미리 설계된 경도(예컨대, 쇼아 A 경도계 기준 80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터치부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부(405)는 고체형태의 유전물질 또는 액상의 유전물질과 이를 수납하는 용기로 이루어진 유전체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유전물질은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표면에 속박전하가 생성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터치스크린(205)의 표면에 가해지는 전압 또는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속박전하를 생성하는 유전율을 지닌 강유전물질(예컨대, 티탄산바륨 또는 로셀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부 실시예가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정전 변화를 유도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1 내지 제6 터치부 실시 방법에 제작된 터치부(405)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과 터치되도록 계산된 접촉 면적을 지닌 접촉면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면은 직경 3㎜ 내지 7㎜의 원형, 또는 상기 직경 3㎜ 내지 7㎜의 원 면적에 대응하는 접촉 면적을 지닌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편의상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복수의 터치부(405)의 개수를 ‘N’개라고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상기 터치부(405)의 개수 N이 특정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면4a의 실시예는 터치모듈(400)에 터치부(405) 개수는 ‘N=5’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4b의 실시예는 터치모듈(400)에 격자 구조로 12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이 중에서 정전식 터치가 가능한 터치부(405)의 개수가 ‘N<12’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의 프레임부(410)에 고정되는 N개의 터치부(405)는 각 터치모듈(400)마다 서로 다른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고유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해 형성되는 기하학적 관계 이외에 상기 터치모듈(400)에 식별 및/또는 인증 가능한 특성이 부여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또는 터치모듈(400)을 장착한 물건, 또는 터치모듈(400)을 운영하는 이용처 등)에 상기 N개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관계와 연계된 인증수단이 구비된 경우, 상기 N개의 터치부(405)가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의 고유성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되는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의 면적은 유한하고, 상기 일측영역(415)에 배치되는 N개의 터치부(405)도 설계 상 계산된 크기의 접촉 면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기 일측영역(415)에 N개의 터치부(4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유한한 일측영역(415)의 면적 내에 N개의 터치부(405)를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최대의 경우의 수를 도출하기 위해 최소 구별 인식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할 경우에 해당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둘 이상의 터치부(405)에 의한 터치 점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 간 거리가 7㎜ 이내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하나의 터치 점으로 인식하고 7.5㎜ 이상인 떨어진 경우에는 두 개의 터치 점을 각기 다른 터치 점으로 구별하여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다중 터치된 두 개의 터치 점을 구별하는 인식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과 상관 관계를 이루는 값이다. 즉,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가정된 임계 값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예를들어, 동일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라고 할지라도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이 25㎟인 면적(예컨대, 5㎜*5㎜의 정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면)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와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이 38㎟보다 큰 면적(예컨대, 직경 7㎜의 원형 형태로 제작된 접촉면)인 경우의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 면적을 기준으로 복수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실험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최소 구별 인식 거리는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면을 구현하는 도형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부(405)의 접촉면의 중앙 부분과 중앙 부분 사이의 거리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종의 각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의해 형성되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될 수 있는 식별성을 지녀야 한다.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대한 터치는 점 터치가 아니라 면 터치이고,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운영체제는 터치 면의 중점을 터치 점으로 계산하며, 지정된 거리 이상 터치 면이 이동해야 중점이 이동한 것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모듈(400)의 프레임부(410)에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의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최소 식별 거리가 설정된다.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설계되어 터치모듈(400)의 프레임부(410)에 배치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도 서로 다른 기하학적 관계로 식별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들이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같은 면적의 터치 면을 3.5㎜ 이상 이동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였을 때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장치의 운영체제가 3.5㎜ 이상 이동한 터치 면을 서로 다른 터치 점으로 인식한다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3.5㎜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동종의 다른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되는 비교 대상 터치부(405)의 중심 간 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설정된 값일 수도 있지만, 허용 가능한 오차를 기준으로 가정된 임계 값을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을 터치할 대상에 대응하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이 둘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식별 거리는 둘 이상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서 터치 면의 중점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의 이격 거리 중 더 큰 이격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모듈(400)은 프레임부(41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영역에 정렬할 필요 없이 아무렇게나 터치하더라도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되어 N개의 터치 점이 인식되기만 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의해 형성된 기하학적 관계가 기 설계된 바에 따른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 가능한 판독성을 지녀야 한다.
본 발명의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판독성을 위해,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 회전이 수반되어야 하며, 좌표 회전에 의해서도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변경되거나 왜곡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을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 중 기하학적 관계 판독 또는 좌표 회전의 기준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특정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방향에 정렬하여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거나, 또는 특정 영역에 터치하도록 미리 정해놓지 않은 상황에서, 아무렇게나 임의로 터치되는 N개의 터치 점 중 항상 동일한 터치 점을 항상 같은 기준 점으로 특정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난해하다.
본 발명은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N개의 터치 점 중 미리 지정해 놓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 중 기준 점이 아닌 하나 이상의 일반 터치부(405)는 동일 조건으로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 터치부(405)는 다른 일반 터치부(405)와 다른 조건으로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구비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 중 다른 조건으로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점을 검출하여 기준 점으로 특정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N개의 터치 점 중 기준 점을 특정해내기 위한 기준 점 특정 조건은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및/또는 지정 터치부(405) 자체의 기하학적 특성을 다른 일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특성과 구별되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예컨대, 지정 터치부(405)와 일반 터치부(405)의 형상 또는 면적을 다르게 설계 제작하는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N개의 터치 점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 터치 점을 특정해내기 위해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N보다 작은 개수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 후(여기서, 분할영역(420)은 격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일측영역(415)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동심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중심 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등), 각각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지정된 개수(예컨대, 분할영역(420) 당 1개)의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는 상기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420)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 등)에 구비함으로써,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할영역(420) 중 지정 개수를 초과한 터치부(405)를 구비한 분할영역(420)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부(405)를 기하학적 관계 판독 또는 좌표 회전의 기준 점으로 특정해낼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여 터치모듈(400)을 제작하는 경우, 상기 일측영역(415)을 설계 상 n(2≤n<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 후,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하나의 영역을 지정영역(425)으로 설정하여 상기 지정영역(425)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 등)에 1개의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여 프레임부(410)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N개의 터치 점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인증모듈(132)은 상기와 같이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을 설계 상의 n개의 분할영역(420) 구조와 매칭시킨 후,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2개의 터치 점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425)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지정영역(425)의 지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터치 점을 기준 터치 점으로 판별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모듈(400)의 판독성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의 어느 방향으로 N개의 터치부(405)를 터치하더라도 상기 N개의 터치부(405) 중 어느 하나의 터치부(405)를 기준 점으로 정하는 규칙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부(405)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판독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N보다 작은 n(2≤n<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 후(여기서, 분할영역(420)은 격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일측영역(415)의 중심 점을 기준으로 동심원 구조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상기 중심 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각도로 분할한 분할영역(420) 등), 각각의 분할영역(420) 상의 계산된 위치에 지정된 개수(예컨대, 분할영역(420) 당 1개)의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는 상기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하나의 분할영역(420) 상의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 등)에 구비함으로써,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기준 점이 되는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과 나머지 일반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조건을 다르게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본 도면4c의 실시예는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설계 상 n개의 격자 구조로 분할한 후, n개의 분할영역(420) 상의 설계 상 계산된 위치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즉, 분할영역(420) 당 1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하되,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하나의 지정영역(425) 상의 설계 상 지정된 위치(예컨대, 모서리 부분)에 1개의 지정 터치부(405)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도면4c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또는 응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도면4c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에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는 위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을 설계 상 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한다(단, 분할영역(420)은 설계 상 존재하는 것으로 실제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 상에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에는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 상 계산된 위치에 각기 1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고,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어느 한 지정영역(425)에는 설계 상 지정된 위치에 기준 점에 해당하는 1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n-1)개의 분할영역(420)에는 각기 1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고, 1개의 지정영역(425)에는 2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위치는 일측영역(415)의 도형 외곽선에 접하는 위치 또는 상기 도형 외곽선의 모서리 위치에 지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n개의 분할영역(420)에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하여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경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부(405)가 구비된 n개의 분할영역(420)을 N개의 터치 점에 매칭시켜 상기 n개의 분할영역(420) 중 2개의 터치 점이 인식된 어느 한 지정영역(42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정영역(42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 점을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준 점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인된 기준 점을 기준으로 좌표 회전하면,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 상의 어느 방향으로 터치하더라도 미리 등록된 터치인증 조건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본 도면4c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프레임부(410)의 일측영역(415)을 n개의 분할영역(420)으로 분할하는 경우, 각각의 분할영역(420)과 분할영역(420) 사이에는 일정한 여백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여백은 최소 구별 인식 거리만큼의 간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각 분할영역(420) 상의 어느 위치에 터치부(405)가 구비되더라도 각각의 분할영역(420)에 배치된 터치부(405)들은 항상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도면4c의 실시예와 같이 각 분할영역(420) 사이에 설계 상 여백을 배치할 경우 그 만큼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할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일측영역(415)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개의 터치부(405)를 위치할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여백을 생략하고 분할영역(420)을 분할한 후, N개의 터치부(405)를 배치할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각 터치부(405)들이 최소 구별 인식 거리 이상 떨어지게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모듈(400)은 프레임부(410)의 두께와 터치부(405)의 높이를 얇게 형성하여 카드 형태의 물건에 장착되거나 또는 카드 형태로 제작된 터치카드, 또는 프레임부(410)에 손잡이부를 구비한 도장 형태의 물건에 장착되거나 또는 도장 형태로 제작된 터치도장 등, 다양한 형태의 물건에 장착되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400)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인증모듈(132)에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오차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2)은 터치모듈(400)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측영역(415)에 배치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련코드를 확인하고(500), 상기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일련코드를 매핑 저장하며(505),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설계 상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한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지정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터치한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실 계측 대상에 해당하는 터치모듈(400)의 일련코드를 확인하고(510), 상기 일련코드를 통해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 후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 비교하여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515). 한편 상기 실 계측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를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반복 비교하는 중에 지정된 횟수 이상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하거나(520),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다시 제작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20).
한편 상기 실 계측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 허용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실 계측 검증이 수행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실 계측 검증 과정에서 확인된 오차를 포함하여 인증정보에 포함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525).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정보에 포함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터치모듈(400)의 설계 과정에서 등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그대로 포함하며, 다만 상기 오차가 상기 실 계측 검증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될 별도의 터치 특성이 존재하지 않아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을 등록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한 후(530), 상기 터치모듈(400)의 인증코드와 상기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545). 만약 상기 인증모듈(132)이 프로그램화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0)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이 존재하여 이를 판별하거나 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등록한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모듈(400)의 터치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확인하고(535), 상기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확인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한 후(540), 상기 터치모듈(400)의 인증코드와 상기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545).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값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등록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소정의 모듈 이용처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설정되어 등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모듈(132)이 프로그램화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0)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일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모듈(400)의 모듈 이용처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인증모듈(132)에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터치모듈(400)을 제공받은 모듈 이용처의 단말장치로부터 모듈 이용처 정보와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모듈 이용처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2)은 터치모듈(400)을 제공받은 모듈 이용처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터치모듈(400)의 일련코드와 모듈 이용처를 식별하는 모듈 이용처 정보 및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수신한다(600). 상기 인증모듈(132)은 저장매체(140)에 등록된 인증정보 중 상기 수신된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를 확인한다(605).
만약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단말장치로 상기 터치모듈(400)에 대한 미등록 오류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한다(610). 반면 상기 일련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확인된 인증정보와 상기 수신된 모듈 이용처 정보 및 상기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한다(615). 만약 상기 인증모듈(132)이 프로그램화되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40)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일 수 있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인식모듈(100)을 통해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이 터치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인식모듈(100)이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인식하여 인증모듈(132)로 인증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모듈 터치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정전식 터치 기능이 활성화(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화면 On/Off가 아니라 정전식 터치 기능의 활성화를 의미하며 화면이 Off된 상태에서도 정전식 터치 기능은 활성화 가능)됨에 따라(700),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인식모듈(100)은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터치이벤트를 확인하고(705), 상기 터치이벤트를 판독하여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터치한 N개의 터치 점을 인식하고(710),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을 산출한다(715).
한편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하고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된 단말기(200)의 기종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에 대응하는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인 경우,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200)를 사람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 인식되었는지 판별하기 위한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한다(720). 바람직하게,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쥠 특성 인식 방식에 따라 상기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모듈 터치 판별을 위한 특성 정보를 통해 지정된 인증모듈(132)에서 상기 손에 쥔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기 아니라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쥠 특성 정보를 인식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 중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인식모듈(100)이 인식하기 지정된 터치 특성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기 위해 인식하기로 설정된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예컨대, 터치 개수 조건, 동시 터치 조건, 비동시 터치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센서 연동 조건, 고정 터치 조건, 정적 터치 조건, 동적 터치 조건 중 인식모듈(100)에 설정된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725). 만약 상기 모듈 터치의 터치 특성이 상기 인식모듈(100)을 통해 판별된다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인식된 특성 정보를 통해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터치 특성이 검출되는지 판별할 수 있으며(730),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터치 특성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는 시점에 발현될 터치 특성 중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터치 특성을 인식하기로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예컨대, 사운드 인식 조건, NFC 인식 조건, 위치 인식 조건, 순차 터치 조건 중 인식모듈(100)에 설정된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735).
상기 인식모듈(100)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하기 위한 구성 요소 값과 상기 인식모듈(100)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생성하되(740), 만약 상기 쥠 특성 정보가 인식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구성 요소 값과 단말기(200)의 고유정보 및 상기 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생성하며(74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에 이용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의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터치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터치 특성 정보를 생성하여(740), 지정된 인증모듈(132)로 제공한다(745).
도면8a와 도면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a와 도면8b는 인증모듈(132)에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기 등록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과정에서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a와 도면8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a와 도면8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8a와 도면8b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도면8a와 도면8b의 실시예는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터치 점이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정 절차는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인증하기 전이라면 언제 수행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8a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2)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모듈(132)로부터 제공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800). 상기 인증모듈(132)에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는 기능이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 중에서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805), 상기 모듈 터치 판별을 위한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할 수 있다(81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가 아니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8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820).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825). 본 도면8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쥠 특성 정보(또는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에 대응하는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인지 판별한다(830). 만약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상기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쥠 특성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835).
반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상기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 중 자동 이격 조정된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을 확인한다(840).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 및/또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835).
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확인된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 중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다(845). 이후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이격 보정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85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이 이격 보정된 이후의 절차는 상기 이격 보정된 터치 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8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8a의 과정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으로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88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885).
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이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설계 상 적용된 n개의 분할영역(420)에 대한 분할영역(420)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지정영역(42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부(405)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한다(855).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88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885).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860). 한편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정보와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의 위치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복수의 인증정보 중에서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될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를 확인한다(865). 또는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와 유사한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 패턴에 속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비교 대상 인증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865).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예컨대,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허용 오차 범위에 근접)되는지 분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70).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 절차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거나, 또는 모든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분석 완료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모듈(132)은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87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은 등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추출하여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N개의 터치 점을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등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에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N개의 터치 점을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터치모듈(400)을 식별수단 및 인증수단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모듈 이용처 식별정보 또는 사운드 인식 조건이나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고유코드가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추출하여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이 완료되면(즉, 인증 대상 기하학적 특성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88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885).
한편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점인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890).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특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됨을 근거로,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특성이 인증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89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885).
도면9a와 도면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a와 도면9b는 인증모듈(132)에서 터치모듈(400)에 구비된 N개의 터치부(405)를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하여 인식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기 등록된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과정에서 단말기(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터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상기 N개의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a와 도면9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a와 도면9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9a와 도면9b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a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2)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모듈(132)로부터 제공된 터치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900). 상기 인증모듈(132)에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는 기능이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특성 정보 중에서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를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905), 상기 모듈 터치 판별을 위한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인지 판별할 수 있다(91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가 아니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9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920).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구성 요소 값을 확인한다(925). 상기 확인된 구성 요소 값을 근거로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상호간 기하학적 관계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구성 요소 값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하게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인지 인증할 수 있다(93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이 아니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9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920).
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이 유효한 터치모듈(400)의 터치 점이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설계 상 적용된 n개의 분할영역(420)에 대한 분할영역(420)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요소 값을 판독하여 n개의 분할영역(420) 중 지정영역(425) 상의 지정된 위치에 구비된 터치부(405)에 대응하는 지정 터치 점을 식별한다(935). 만약 상기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9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92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지정 터치 점이 식별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식별된 지정 터치 점과 n개의 각 터치 점 사이의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940). 한편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증정보와 모듈 이용처의 위치 영역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인증정보의 위치 영역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매체(140)에 저장된 복수의 인증정보 중에서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될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945). 또는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와 유사한 상호간의 기하학적 관계 패턴에 속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비교 대상 인증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945).
도면9b를 참조하면, 본 도면9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포함된 쥠 특성 정보(또는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의 터치 면적에 대응하는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인지 판별한다(950). 만약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상기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쥠 특성 정보가 미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각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955).
반면 상기 단말기(200)의 기종이 상기 특정 터치 점의 위치를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자동 이격 조정하는 단말기(200)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N개의 터치 점 중 자동 이격 조정된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을 확인한다(960).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 및/또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각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955).
반면 상기 N개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각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기하학적 관계의 좌표 중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와 비교될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다(965). 상기 인증모듈(132)은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이격 보정한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한다(97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격 대상 좌표가 이격 보정된 이후의 절차는 상기 이격 보정된 이격 대상 좌표를 포함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는 절차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예컨대,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일치하거나 또는 허용 오차 범위에 근접)되는지 분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975).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 절차는 상기 확인된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거나, 또는 모든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를 분석 완료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상기 인증모듈(132)은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98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은 등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추출하여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N개의 터치 점을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등록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중에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N개의 터치 점을 식별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터치모듈(400)을 식별수단 및 인증수단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모듈 이용처 식별정보 또는 사운드 인식 조건이나 NFC 인식 조건에 따라 인식된 고유코드가 포함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 추출하여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이 완료되면(즉, 인증 대상 기하학적 특성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9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920).
한편 상기 산출된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인증정보에 포함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분석하는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N개의 터치 점이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설계 제작된 터치모듈(400)을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한 터치 점인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985).
한편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특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인증 대상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됨을 근거로, 상기 매칭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따라 N개의 터치부(405)를 구비한 터치모듈(400)이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특성이 인증 성공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99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920).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터치 점과 연계된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인증모듈(132)로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에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특성 정보의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0의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0의 과정에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의 과정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2)은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신된 터치 특성 정보를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과 연계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를 확인하고(1000), N개의 터치 점과 연계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의 인증을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확인한다(1005).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식별수단으로 사용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됨에 따라 이와 연계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터치 특성 정보에 식별수단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예컨대, 모듈 이용처의 식별정보 등)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개의 터치 점에 대한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가 확인되기 전이라도 상기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확인할 수 있다(1005).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확인된 터치 특성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1010). 만약 상기 N개의 터치 점과 연계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오류를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10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1025).
한편 상기 N개의 터치 점과 연계된 인증수단으로 사용될 특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인증모듈(132)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의 인증 결과와 상기 특성 정보의 인증 결과를 결합한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0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025).
도면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인증모듈(132) 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에서 상기 도면8 내지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확인 및 판독하여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된 경우에 이를 트리거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인증모듈(132) 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도면8 내지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터치 특성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100), 상기 터치 특성 인증 결과의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에 터치된 N개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의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1105).
만약 상기 N개의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인증모듈(132) 또는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터치모듈(400)을 이용한 모듈 터치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며(1115), 실시 방법에 따라 도면7에 도시된 터치인식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개의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2)은 지정된 서비스제공모듈(184)을 통해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 결과를 트리거로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가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1115),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함으로써(1115),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1115). 또는 상기 N개의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가 인증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모듈(184)은 상기 N개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 인증 결과를 트리거로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함으로써(1115),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205)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1115).
100 : 인식모듈 104 : 터치 특성 인식부
108 : 터치 특성 판별부 112 : 모듈 터치 판독부
116 : 쥠 특성 인식부 120 : 터치 특성 제공부
124 : 인증 결과 처리부 132 : 인증모듈
136 :인증정보 저장부 140 : 저장매체
144 : 터치 특성 수신부 148 : 쥠 특성 판단부
152 : 터치 점 확인부 156 : 위치 정보 확인부
160 : 터치 점 인증부 164 : 기준 점 식별부
168 : 터치 특성 확인부 172 : 관계 보정 처리부
176 : 터치 특성 인증부 180 : 인증 결과 제공부
184 : 서비스제공모듈 188 : 서비스 제공 절차부
200 : 단말기 205 : 정전식 터치스크린
400 : 터치모듈 405 : 터치부

Claims (17)

  1.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 중 하나 이상의 보정 대상 터치 점의 좌표를 지정된 보정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하여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방향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간격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대상 터치 점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9.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복수의 터치 점의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부를 기정된 기하학적 관계로 배치하여 제작된 터치모듈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하여 인식된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판독 시, 상기 단말기를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터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점이 손에 쥐고 터치된 경우에 상기 복수의 터치 점과 비교될 설계 상의 기하학적 관계에 대응하는 좌표 중 하나 이상의 이격 대상 좌표를 지정된 이격 방향으로 계산된 간격만큼 이격 보정한 후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좌표와 비교되어 상기 복수의 터치 점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가 판독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터치된 터치 점 중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 점의 좌표를 터치 면적의 중점을 기준으로 특정 방향으로 이격 조정하여 산출하는 운영체제를 탑재한 기종의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을 특정 방향으로 특정 간격만큼 이격 조정하는 조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방향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되는 특정 방향의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간격은,
    상기 운영체제에 의해 이격 조정된 특정 간격에 대응하는 좌표계 상의 간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대상 좌표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인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대상 좌표는,
    손에 쥐어진 상태에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지정된 기준 면적 이상이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터치된 터치 점과 비교될 좌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17.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현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서버 상에 분산 구현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터치 보정 방법.
KR1020140064863A 2014-05-29 2014-05-29 모듈 터치 보정 방법 KR10221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63A KR102217377B1 (ko) 2014-05-29 2014-05-29 모듈 터치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63A KR102217377B1 (ko) 2014-05-29 2014-05-29 모듈 터치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75A true KR20150137275A (ko) 2015-12-09
KR102217377B1 KR102217377B1 (ko) 2021-02-18

Family

ID=5487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863A KR102217377B1 (ko) 2014-05-29 2014-05-29 모듈 터치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821B1 (ko) * 2023-01-05 2023-05-08 (주) 아하 융합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필압 감지 및 필압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칠판
CN116449986A (zh) * 2023-06-09 2023-07-18 厦门普为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式照明参数控制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065A (ko) * 2005-03-04 2007-12-06 애플 인크.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KR20130081681A (ko) * 2013-05-2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JP2013156925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電子装置、電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065A (ko) * 2005-03-04 2007-12-06 애플 인크. 복수의 터치 감지 장치를 가지는 핸드 헬드 전자 장치
JP2013156925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電子装置、電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130081681A (ko) * 2013-05-29 2013-07-17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821B1 (ko) * 2023-01-05 2023-05-08 (주) 아하 융합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필압 감지 및 필압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칠판
CN116449986A (zh) * 2023-06-09 2023-07-18 厦门普为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式照明参数控制面板
CN116449986B (zh) * 2023-06-09 2023-09-12 厦门普为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式照明参数控制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377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69B1 (ko) 블루투스 방송 기능을 내장한 터치도장
KR20150134218A (ko) 터치 유닛의 터치 인증 검증 방법
KR20150137275A (ko) 모듈 터치 보정 방법
KR102244307B1 (ko) 모듈터치 연동 방법
KR10161810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교환 권리 제공 방법
KR20160036133A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승인 방법
KR101632242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통신망 접속 방법
KR20160017675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교환 권리 제공 방법
KR102244304B1 (ko) 선택적 모듈터치 제어 방법
KR102244308B1 (ko) 터치 특성 인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활성화 방법
KR101654347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759845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승인 방법
KR101590518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2814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가치 적용 방법
KR101657699B1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터치 식별 방법
KR101743212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터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34229A (ko) 사운드 신호와 연계된 유닛 터치 인증 방법
KR20150117783A (ko) 터치모듈을 이용한 오프라인 간 가치운영 방법
KR20150134242A (ko) 터치 특성 인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활성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34243A (ko) 선택적 모듈터치 제어 방법
KR20150134241A (ko) 블루투스 방송 기능을 내장한 터치유닛
KR20160017702A (ko) 다중 터치를 이용한 교환 권리 제공 방법
KR20150134246A (ko) 모듈터치 연동 방법
KR20150134233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카드 발급 방법
KR20150134234A (ko) 유닛 터치를 이용한 월렛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