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752A -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752A
KR20150136752A KR1020140064107A KR20140064107A KR20150136752A KR 20150136752 A KR20150136752 A KR 20150136752A KR 1020140064107 A KR1020140064107 A KR 1020140064107A KR 20140064107 A KR20140064107 A KR 20140064107A KR 20150136752 A KR20150136752 A KR 2015013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opening
fan
blower
thre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1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4399B1 (en
Inventor
김상완
강옥자
Original Assignee
김상완
강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완, 강옥자 filed Critical 김상완
Priority to KR102014006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399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bean thresh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lower for a bean threshing machine capable of improving a structure of a blower attached to a bean threshing machine to be simple, thereby using a bean threshing machine for threshing different kinds of mixed grains such as sorghums, millets, or the like, adjusting the suction power of a blower in multi-stages by considering properties of a foreign substance even if the foreign substance of a bean is suctioned, applying to selection of different kinds of mixed grains by using excess suction power generated by driving of a blower, and maximizing the selection efficiency by adjusting suction power by considering the specific gravity of mixed grains to be selected when different kinds of mixed grains are selected.

Description

탈곡기용 송풍장치{Blower of a threshing machi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콩 탈곡기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콩 탈곡기에 부착되는 송풍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므로써, 콩 탈곡기를 조, 수수, 기장 등의 이종 잡곡류의 탈곡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콩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송풍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종 잡곡류의 정선에 적용하고, 이종 잡곡류의 정선시 정선 대상 잡곡의 비중을 고려하여 흡입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콩 탈곡기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apparatus for a soy thre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structure of a fan apparatus attached to a soy thresher, so that a soy thresher can be used for threshing different kinds of grains And also to control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ubstance even when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soybean is sucked in. Further,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device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surplus suction force generated by driving the blow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for a soybean thresher machine for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suction by adjusting the suction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lected cereal grain.

농촌에서 생산되는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는 잡곡을 얻기 위해서 탈곡을 해야 하는데, 이렇게 생산된 잡곡류를 탈곡시에는 잘 결실된 줄기 끝의 이삭을 절취, 건조한 후, 탈곡기를 이용하여 탈곡함으로써 잡곡류가 얻어진다. 그런데, 탈곡된 잡곡류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콩 대, 콩깍지, 모래, 흙 등)이 혼입되므로 잡곡류와 이물질을 분리하여야만 된다.Grains such as mulberry, millet, millet, and soybean, which are produced in rural areas, must be thawed in order to obtain grains. When threshing the thus produced grains, the ends of the stem that have been well removed are cut off, dried, Thereby obtaining a gravy. However, various types of foreign materials (soybean, bean pod, sand, soil, etc.) are mixed into the threshed grains, so that the grains and foreign matter must be separated.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콩 배출구 측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체(3)의 상부에 모터(4)의 구동이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축(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축의 직하방에는 구동 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6)에 고정된 로울러(7)에는 원통형상의 망체(8)이 얹혀져 있는데, 상기 망체(8)의 내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나선상의 레일(9)이 고정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oybean threshing machine,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oybean discharge port side, in which the driving of the motor 4, A shaft 6 rotatab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shaft is provided directly below the driving shaft and a roller 7 fixed to the shaft 6 is provided. And a spiral rail 9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net 8 along the direction of rotation.

따라서 망체(8)가 구동 축(5)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콩 대를 탈곡함에 따라 탈곡된 콩과 무거리(콩대 및 콩깍지)가 레일(9)을 따라 무거리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면서 탈곡된 콩 및 잘게 부스러진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 물질이 망체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자유 낙하된다.Thus, as the soybeans are tilted in a state in which the net 8 rotat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5, the beans and the hauled legs (bean curds and bean pods) are fed along the rails 9 to the far- This material, such as hoofed beans and finely crushed legs and bean pods, passes through the net and falls downward.

상기 구동 축(5)의 외측에는 구동 축의 회전에 따라 콩 대를 두드리는 복수개의 타격막대(19)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본체(3)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2)의 일 측으로 형성되는 콩 대 투입구(23)를 통해 콩 대를 투입함에 따라 상기 타격막대(19)가 콩 대를 두드려 콩을 탈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콩대 투입구(23)의 반대편에는 무거리를 본체(3)의 외부로 배출하는 무거리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striking bars 19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riving shaft 5 so as to strik the legs of the bean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The striking bars 19,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id 22, The bean stalk is inserted through the large feeding port 23 so that the striking rod 19 is allowed to tap the bean stall so as to thresh the soybean beans and a long distan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3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ean stowing mouth 23 A long distance outlet 24 is formed.

한편, 모터(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 축(5)에 컨넥팅로드(33)의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넥팅로드의 다른 일단은 본체(3)에 설치되는 로드(34)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의 다른 일단은 망체(8)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흔들체(32)와 연결되어 있어 모터(4)의 구동으로 구동 축(5)이 회전하면 상기 흔들체(32)가 채를 흔드는 것과 같이 요동운동을 하면서 콩 및 이 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33 is eccentrically mounted on the driving shaft 5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motor 4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a rod 34 And the other end of the rod is connected to a rocking member 32 which is slantingly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netting 8. When the driving shaft 5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 As the sieve 32 shakes the beads, the beans and the substance move downward while oscillating.

상기 흔들체(32)의 끝단에 복수개의 콩 배출공(35)이 형성되어 있고 흔들체의 끝단 상부에는 배출되는 콩이 외부로 튀겨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36)가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bean discharge holes 35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shaking body 32. A cover 36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haking body to prevent the beans from being blown out.

상기 본체(3)의 하부 일측에는 경사진 흔들체(32)를 따라 콩과 콩대 및 콩 깍지 등의 이물질이 내려가는 과정에서 풍압을 이용하여 비중이 낮은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팬(39)이 팬 하우징(45)에 감싸지게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 foreign substances such as soybeans, soybeans, and bean pods descend along the inclined shaking member 32, and foreign matter such as soybeans and bean pods having low specific gravity are forced out by using wind pressure And the fan 39 is installed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fan housing 45.

상기 팬(39)은 설정된 풍압을 유지하여야만 콩대 및 콩깍지 등의 이물질이 콩안내배출판(32)을 따라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고속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fan 39 is structured to rotate at a high speed because foreign matter such as a sole and a bean po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falling down along the soybean guide pouch 32 only when the wind pressure is maintain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콩 탈곡기에 부착되는 팬은 탈곡기의 가동과 함께 상시 가동되고 있고, 팬의 풍압은 콩대 및 콩 껍질 등의 콩 이물질을 흡입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콩과 비중이 다른 나머지 조, 수수, 기장 등의 이종 잡곡류를 탈곡하기 위해서는 흡입팬의 흡입력 등이 조, 수수, 기장 등의 잡곡류에 적합하게 설계된 별도의 전용 탈곡기를 구비해야 했다. However, since the fan attached to such a conventional soy thresher is always operated together with the thresher, and the wind pressure of the fan is designed to suck soybeans such as soybean curds and soybean husk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thresher designed to suck the power of the suction fan, such as the feed, the millet, and the millet, in order to thresh the miscellaneous grains such as syrups and millet.

가령 콩 선별기에서 수수를 선별할 경우 수수가 콩 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콩에 적합하게 설계된 흡입력으로 인해 껍질 등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탈곡하고자 하는 수수 역시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만일 콩 선별기를 이용하여 수수 등의 콩 보다 비중이 낮은 곡물을 선별할 경우 팬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멈출 수 있는 절환스위치를 구비하여 팬의가동을 멈출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제조단가가 높아지므로 제작 업체 측에서는 별도의 절환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sorghum from the soybean sort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orghu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oybean, so that not only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e shell but also the millet to be thawed are discharged by the fan due to the suction force designed for the soybean. If a bean sorting machine is used to select grains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beans such as sorghum, the operation of the fan can be stopped by providing a changeover switch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an. However, in this case, The company does not have a separate switch.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6-0003687호1986-0003687 Korea Utility Model Agency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3-0002741호1983-0002741 Korea Utility Model Agenc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86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86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콩 탈곡기용 송풍장치는 콩 탈곡기에 부착되는 송풍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므로써, 콩 탈곡기를 조, 수수, 기장 등의 이종 잡곡류의 탈곡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농가의 탈곡기 구매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콩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송풍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종 잡곡류의 정선에 적용하고, 이종 잡곡류의 정선시 정선 대상 잡곡의 비중을 고려하여 흡입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선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fan apparatus for a soybean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of a fan apparatus attached to a soy thres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urchase cost of the threshing machine of the farmer by allowing the use of the beer to be used for the malting of heterogeneous cereal grains and also to control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er device in multiple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ubstance even when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bean is suck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election by applying the suction force to the selected line of the heterogeneous grains using the surplus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feed line, and to adjust the suction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lin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는 본체에 탈곡부, 이물질 분리부, 탈곡된 잡곡 이송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탈곡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탈곡된 잡곡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흡입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부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에 형성되어 흡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은 본체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ir blowing apparatus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of a conventional thresher body including a threshing portion, a foreign matter separating portion, a curled feeding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The fan unit includes a fan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uction fan,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to the vicinity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and an opening formed at the inl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suc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suction fan, and the blocking plate is adjustable outside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구 말단 일측에 설치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차단판 및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 타측에 형성된 잠금체 및 상기 잠금체와 결합되는 잠금홀이 형성된 간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재는 본체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넓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opening / closing means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ake port, the blocking plate and the control le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 lock bod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lever, Wherein the interval membe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lever widens the opening area of the inlet when rotating clockwise,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to narrow the opening area of the inlet.

또한 상기 본체에는 잉여 흡입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잉여 흡입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n excess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hose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hos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cess suction 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또한 상기 탈곡된 잡곡 이송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에는 흡입력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흡입력조절부재는 상기 흡입호스에 형성된 연결구체 및 상기 연결구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ction hose connected to the tended lubrication conveya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force adjusting member, wherein the suction force adjus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body formed on the suction hose and an opening / closing plate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body .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콩 탈곡기용 송풍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The fan apparatus for soybean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콩 탈곡기에 부착되는 송풍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므로써, 즉, 흔들체에 의해 탈곡된 콩 등의 잡곡류와 함께 이송되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에 개폐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콩 탈곡기를 조, 수수, 기장 등의 이종 잡곡류의 탈곡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수단의 흡입력을 다단계로 조절함으로써 콩 탈곡기를 통해 흡입팬측으로 흡입되는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흡입력을 결정할 수 있어, 농가의 탈곡기 구매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simpl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an apparatus attached to the soy thresher, that is, by forming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 the suction fan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to be conveyed together with the flakes such as soybea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threshing of different kinds of cereal grains such as rice, millet, millet, etc., but also by adjusting the suction for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multiple stag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suction force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suction fan side through the soy curl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purchasing thresher.

둘째, 콩 탈곡기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시 구동하는 송풍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정선을 수행함에 따라 별도의 정선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져 농가의 정선기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econdly, since the selective line is performed by using the surplus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blowing device that is alway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driving of the soybean thresher,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a separate sorting machine, thereby saving the purchasing cost of the sorter .

셋째, 조, 수수, 기장 등의 이종 잡곡류의 탈곡시 탈곡 대상물의 물성에 적합하도록 잉여 흡입력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정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lection efficiency by adjusting the suction force of the surplus suction force so as to match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to be thawed during the threshing of miscellaneous grains such as sowing, milling, and millet.

도 1은 종래의 콩 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콩 탈곡기 콩 배출구 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의 흡입호스 요부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oy-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oybean thresher bean outlet side of the conventional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4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blower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hose main portion of a blower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가 구비된 탈곡기 역시, 탈곡기의 탈곡방식은 종래의 콩 탈곡기와 마찬가지이므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기로 하고,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탈곡기용 송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만 대략적으로 기재를 한다면, 콩을 탈곡하기 위해 콩 껍질이 매달린 콩 대를 콩 대 투입구(210)로 밀어넣음에 따라 콩 대가 타격막대에 의해 두드려져 콩이 탈곡되면 탈곡된 콩(B) 및 무거리가 망체(2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방향으로 고정된 레일(220)을 따라 무거리 배출구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콩(B)은 물론 잘게 부스러진 콩 대 및 콩 껍질 등의 이물질(C)이 망체(2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하방, 이물질 분리부(이하 흔들체라 칭함)로 자유 낙하된다.
Since a threshing machine having a blower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soybean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a portion for explaining a blower for a thre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ybean beans are tapped by the striking rods by pushing the soybean beans with the bean husks hanging from the bean hopper 210 to the bean hopper 210 to thaw the soybeans, so that when the beans are thawed, the beaten soybeans (B) (C), such as a bean curd and a bean husk, which are crushed in addition to the beans (B), are transported along the rail 220 fixed in the spiral direction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haking body "

상기 타격막대(230)의 타격으로 콩대로부터 탈곡되어 망체를 통과한 콩과 일부의 콩대 및 콩 껍질 등의 이물질이 흔들체(500)로 자유 낙하되면 상기 흔들체는 컨넥팅로드(410)에 의해 상하요동 운동을 하면서 채를 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게 되므로 콩이 콩 대 및 콩깍지 등의 이물질과 함께 하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beans and some beans such as beans and soybean husk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netting are tumbled from the beanstock due to the impact of the beating rod 230, when the beating body 500 freely falls, the beating body is moved by the connecting rod 410 The beans move gradually downward together with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e soybean pods and the bean pods.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는 경사진 흔들체를 따라 콩과 콩깍지 등의 이물질이 내려가는 과정에서 풍압을 이용하여 비중이 낮은 콩깍지나 이물질 등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장치(300)의 흡입팬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흡입팬은 콩깍지가 흔들체를 따라 하방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정된 풍압을 유지해야 한다.
A suction fan of a blowing device 300 for forcibly discharging pods or foreign matter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to the outside is installed by using wind pressure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foreign matter such as beans and bean pods along a sloping shaking body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However, the suction fan must maintain a predetermined wind pressure so that the pod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falling downward along the shaking bodie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콩 탈곡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콩 탈곡기의 구조 및 방법은 일반적인 조, 수수, 기장, 콩 등의 잡곡류의 탈곡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콩 탈곡기를 이용하여 콩 이외의 이종 잡곡류도 탈곡을 한다면 그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oybean thresher are applicable to the threshing of grains such as general tuna, sorghum, millet, and so on. However, soybean thresher can be used to produce heterogeneous grains The economic effect is very large if you do it.

그러나 콩 탈곡기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송풍장치는 송풍팬을 본체 일측에 부착하여 상기 흔들체를 통해 이송되는 콩을 포함한 콩 이물질 중에서 이물질만을 흡입하여 강제배출하도록 그 흡입력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만일 이종 잡곡의 탈곡을 위해 탈곡 후 흔들체에서 이송되는 잡곡의 이물질을 흡입할 경우 그 흡입력의 차이로 인해 비중이 작은 이종의 잡곡은 이물질 뿐만 아니라 잡곡까지도 모두 강제 배출되므로 탈곡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된다. However, since a general blowing device applied to a soybean threshing machine has a blowing fan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suction force is set so as to suck and extrude only foreign matter from soybeans including soybeans conveyed through the shaking body, When the foreign matter of the grains transferred from the shaking body is sucked after the threshing, the different grains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suction force are not discharged as well as the foreign matter but also the grains are forcibly discharged.

가령 콩 선별기에서 수수를 선별할 경우 수수가 콩 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콩에 적합하게 설계된 흡입력으로 인해 껍질 등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탈곡하고자 하는 수수 역시 상기 팬에 의해 배출되어 버리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sorghum from the soybean sorte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orghu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oybean, so that not only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e shell but also the sorghum to be thawed are discharged by the fan due to the suction force designed for the soybean.

그래서 콩 탈곡기에 부착되어 탈곡기의 가동과 함께 상시 가동되고 있는 송풍장치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함으로서 콩 탈곡기를 활용하여 이종 잡곡을 탈곡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절환스위치를 구비해야 하고, 이는 결국 제조단가를 높아지게 하므로 제작 업체 측에서는 별도의 절환스위치를 설치하지 않고 콩 선별기를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break the driving of the air blowing device, which is normally operated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threshing machine attached to the soy thresher, so that the heterogeneous grain can be thrown by utilizing the soy thresher. In this case, however,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so that the maker manufactures bean sorter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switch.

주지의 사실이지만, 도 5를 참조하면, 콩 탈곡기에 부착되어 탈곡기의 가동과 함께 상시 가동되고 있는 송풍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의 탈곡기는 1개의 모터(400)를 이용하여 송풍장치(300)의 송풍팬을 고속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축(420)의 다른 일단에 대형 풀리(430)를 고정함과 동시에 흡입팬(310)이 고정된 축에는 소형 풀리(440)를 고정하고 상기 풀리 사이에는 타이밍벨트(450)를 감아 흡입팬(310)이 고속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a conventional threshing machine, which is attached to a soy thresher and operates normally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thresher, The large pulley 43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420 so that the blower fan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rotated at a high speed and a small pulley 440 is fixed to the shaft to which the suction fan 310 is fixed, The belt 450 is wound so that the suction fan 310 rotates at a high speed.

따라서 콩 탈곡기를 활용하여 이종 잡곡을 탈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흡입팬(310)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흔들체의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된 흡입구(330) 및 상기 흡입구에 형성되어 흡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340)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판(341)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은 본체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하였다.
5 and 6, the f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n housing 320 for accommodating a suction fan 310 and a fan housing 320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340) formed on the suction port for opening / closing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ans comprises a shield plate for blocking suction of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suction fan, (341), and the shield plate is adjustable outside the main body.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구 말단 일측에 설치된 회동축(342),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차단판(341) 및 조절레버(343), 상기 조절레버 타단에 형성된 잠금체(344) 및 상기 잠금체와 결합되는 잠금홀(345-1)이 형성된 간격부재(345)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재는 본체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넓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좁히도록 하였다.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shaft 342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let, a blocking plate 34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n adjusting lever 343, (345) formed with a locking hole (344) and a lock hole (345-1) engaged with the lock body, the gap member being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ntrol lever The opening area is widened and rotated counterclockwise to narrow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port.

즉 상기 개폐수단의 흡입구가 상기 흔들체의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됨에 따라 송풍팬의 흡입력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 흔들체까지 그대로 전달되어 흔들체 상에서 이송되는 이물질의 흡입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이종의 잡곡을 탈곡 후 이종 잡곡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입할 때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uction port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extended to the adjacent portion of the shaking bod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fan is not dispersed to the outside but is transferred to the shaking body as it is,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effective when suck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heterogeneous grains after threshing grains.

다시말해 이렇게 흔들체의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된 흡입구 말단에 회동축을 설치하고 이에 회동축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차단판을 설치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차다판으로 하여금 흡입구를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이종의 잡곡을 탈곡할 경우 상기 흡입팬이 가동되더라도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이 상기 차단판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흔들체에 까지 도달하지 않게 되므로 비중이 작은 이종의 잡곡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탈곡된 잡곡 이송부(600)를 통해 상측으로 이송되여 포대(도시는 생략함)에 담기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ivot shaf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ction port extending to the adjacent portion of the shaking body, and a blocking plate is provided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pivot shaft so that the suction plate is blocked by the chute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pivot shaf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is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is not reached to the shaking body so that the different kind of grain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Not shown) by being conveyed upward through the conveyor belt 600.

이에 대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조절레버(343)의 일측을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연결하고 타측에는 잠금체(344)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체를 손잡이 삼아 상기 조절레버를 회전하면 조절레버에 일측에 연결된 회동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는 다시 차단판을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차단판이 회전하게 됨으로서 상기 흡입구가 개방 또는 닫힘의 상태가 되게 된다.
One side of the control lever 34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lever 343 is formed with a lock body 344. When the lock lever 344 is rotated with the lock body as a handle, The connected pivot shaft is rotated, which rotates the blocking plate again, so that the blocking plate rotates so that the suction port is opened or closed.

아울러 상기 잠금체는 상기 본체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간격부재의 잠금홀과 결합하여 개방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체의 일례로서 잠금체는 통상의 나비볼트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일정간격 복수로 형성된 상기 잠금홀에 나비볼트를 조이므로서 차단판이 다단계로 개방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흡입구에 대해 다단계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종잡곡의 비중을 고려하여 흡입팬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콩 탈곡기를 이용한 다종의 이종잡곡을 탈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lock body may be engaged with the lock hole of the spacer member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fix the open state or the closed state. In other words, as an example of the lock body, the lock body may be a normal wing bolt. In this case, the wing bolt is tightened to the lock hole formed at a plurality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barrier plate can be kept open or closed in multi- . As the multistage open state can be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port, the pressure of the suction fan can be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heterogeneous grains, so that the heterogeneous grains can be thawed using the soy thresher.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입구를 흔들체의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함에 있어, 다시 도 5를참조하면, 상기 흡입구의 입구 부분은 상기 본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곡된 잡곡이 이동하는 흔들체의 경사방향과 수평이 되게 하향 테이퍼로 형성되고, 그 흡입구 말단 일측에서 회동하는 차단판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잠금체를 손잡이 삼아 회전하는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일 경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넓히게 되어 단계별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시계방향일 경우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좁혀 단계별 담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회전방향에 따른 개방 및 담힘 상태의 작동관계는 상기 흡입구를 흔들체의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 여부와 함수관계에 있게 되는 것이다.
5, the inlet portion of the suction port is inclined downwardly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winging body, in which the threshed grains are moved, And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 body is rotated clockwise, the opening area of the intake port is widened, so that the opening state of the intake port is maintained in a stepwise manner. An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port is narrowed to maintain the embedding state in stages. As a result,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open and closed s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s in a function relationship with whether the inlet is extended to the vicinity of the shake body.

여기서 상기 차단판에 의해 흡입구가 닫힘상태에 있을 경우 비중이 작은 이종 잡곡은 상기 흡입팬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되어 버려지지 않고 곧바로 이송부(600)에 의해 포대(도시는 생략함)에 담기게 되므로 별도의 정선을 거쳐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When the suction port is closed by the shutoff plate, foreign matter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is added to the turret (not shown) by the transfer unit 600 without being sucked into the suction fan by the suction fan. The difficulty arises in passing through the lines of.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는 잉여 흡입구(346)를 형성하고 상기 잉여 흡입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의 흡입호스 연결구(610)에 연결되는 흡입호스(7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차단판에 의해 흡입구가 닫힘상태에 있을 때 또는 일부 개방상태에 있을 때 흡입팬에 의해 발생하는 잉여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부를 통해 포대로 담겨지는 잡곡의 이물질을 흡입하므로써 별도의 정선 없이 잡곡만을 포대에 담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has a suction inlet hose (346) and a suction hose (700) which is connected to the excess suction inlet po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ion port (610) of the transfer port. Thus, by using the surplus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when the suction port is in the closed state or in the partially opened state by the blocking plate, the foreign substance in the grain contained in the turtle is absorbed through the transfer portion, Only grains can be stored in the bag.

여기서 상기 흡입호스는 상기 잉여 흡입구 및 이송부의 흡입호스 연결구(610)에 필요에 따라 적절히 탈부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탈부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잉여 흡입구 및 이송부에 형성되는 흡입호스 연결구 역시 흡입호스의 외형과 일치하게 형성하므로서 흡입팬의 흡입력이 누기되기 않게 되어 흡입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hose has a separate attachment / detachment structure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610 of the remainder suction port and the transfer unit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suction hose connection port formed in the excess suction port and the transfer part is form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outer shape of the suction hose,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is not leaked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not wasted.

또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여 흡입구를 폐쇄하는 커버는 일측 상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 막음판이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자중에 의해 자동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는 흡입호스 연결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cover for closing the excess intake port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be automatically shut off by its own weight when the blocking plate is normally kept open desi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is configuration is also applied to the suction hose connector formed in the transfer section.

더불어 상기 흡입팬의 흡입력이 상기 흡입호스를 통해 원거리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흡입력이 약해진 상태이므로 상기 이송부에서 흡입하는 이물질의 비중을 반영하여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호스에 흡입력조절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fan is transmitted through the suction hose to a long distance, the suction force is weakened, so that the suction force adjusting member is formed on the suction hose so as to adjust the suction force reflect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oreign matter desirable.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호스(700)는 플렉시블 호스(710)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에서 연장되어 그 말단에 개구부(721)가 형성된 연결구체(720) 및 상기 연결구체의 말단에 형성된 측면 안내홈(7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판(730)을 포함한다. 이로서 이물질의 비중이 커서 보다 강력한 흡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개폐판(730)으로 개구부(721)를 일정 범위 차단한다. 7, the suction hose 700 includes a flexible hose 710 and a connection sphere 720 extending from the flexible hose and having an opening 721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 opening / closing plate 730 slidably formed in the side guide groove 722. In this case,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oreign substance is large and a stronger suction force is required, the opening 721 is blocked by the opening / closing plate 730 to a certain extent.

즉, 개폐판을 측면 안내홈(722)을 따라 진입하면 개폐판이 연질재로 이루어져 하면 측면 안내홈측으로 휘어져 진입하면서 개구부를 소정범위 차단한다. 이때 개폐판은 탄성돌기(731)의 지지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That i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moved along the side guide groove 722,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bent toward the side lower guide groove,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plate is prevented from flowing by the support of the elastic protrusion 731.

이와 같이 개폐판에 의해 개구부가 소정범위 차단되면 개구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량이 적어져 흡입구체의 하단에 형성한 개구부 주변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개구부를 통해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여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When the opening portion is cut off by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 this way, the amount of air sucked into the opening portion is reduced, so that the air pressure around the open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ctioning hole is lowered, and strong suction force is generat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ver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echnical scop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200: 망체 220: 레일 230: 타격막대
300: 송풍장치
310: 흡입팬 340: 개폐수단
341: 차단판 342: 회동축 343: 조절레버
344: 잠금체 345: 간격부재 346: 잉여흡입구
400: 모터 500: 흔들체
600: 이송부 610: 흡입호스 연결구 700: 흡입호스
100:
200: net 220: rail 230: striking bar
300: blower
310: Suction fan 340: opening / closing means
341: blocking plate 342: pivot shaft 343: adjusting lever
344: Locking body 345: Clearance member 346: Surplus inlet
400: motor 500:
600: transfer part 610: suction hose connector 700: suction hose

Claims (5)

본체에 탈곡부, 이물질 분리부, 탈곡된 잡곡 이송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탈곡기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탈곡된 잡곡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흡입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분리부 인접부까지 연장 형성된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에 형성되어 흡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팬으로 흡입되는 이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단판은 본체 외부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
A blower for a threshe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a conventional thresher body including a threshing portion, a foreign matter separating portion, a curled feed portion and a driving portion,
The fan unit includes a fan housing for accommodating a suction fan,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to the vicinity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ng unit,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med at the inl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blocking plate for blocking intake of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suction fan, and the blocking plate is adjustabl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흡입구 말단 일측에 설치된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차단판 및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 타측에 형성된 잠금체 및 상기 잠금체와 결합되는 잠금홀이 형성된 간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재는 본체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조절레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넓히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기 흡입구의 개구면적을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rotation shaft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take port, the blocking plate and the control lev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 lock bod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rol lever, and a gap member formed with a lock hole engaged with the lock body However,
Wherein the spac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body,
Wherein the control lever increases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port when rotated clockwise and rotates counterclockwise to narrow the opening area of the suction por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잉여 흡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urplus suction po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잉여 흡입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hos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excess suction po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transfer unit.
청구항 4에서
상기 탈곡된 잡곡 이송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에는 흡입력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흡입력조절부재는 상기 흡입호스에 형성된 연결구체 및 상기 연결구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용 송풍장치.
In claim 4
The sucking hose connected to the threshing feed conveya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force adjusting member,
Wherein the suction force adjusting memb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formed on the suction hose and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of the connection member.
KR1020140064107A 2014-05-28 2014-05-28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KR101624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07A KR101624399B1 (en) 2014-05-28 2014-05-28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107A KR101624399B1 (en) 2014-05-28 2014-05-28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752A true KR20150136752A (en) 2015-12-08
KR101624399B1 KR101624399B1 (en) 2016-05-26

Family

ID=5487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107A KR101624399B1 (en) 2014-05-28 2014-05-28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3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640A (en) * 2022-05-19 2022-07-29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Bean thre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85Y1 (en) * 2004-02-03 2004-05-03 김승문 Bean automatic sheller
KR200379775Y1 (en) * 2004-12-30 2005-03-24 구진섭 A bean sorting net for a bean thre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640A (en) * 2022-05-19 2022-07-29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Bean thre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399B1 (en)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25159A (en) Rice hulling and polishing machine
KR100636028B1 (en) Bean automatic sheller
KR101624399B1 (en) Blower of a threshing machine
JP2010226989A (en) Threshing structure of combine harvester
JP6300862B2 (en) Thresher
KR101731608B1 (en) Sorting device for unpolished rice and husk
TW396017B (en) Thresh sieve device of united harvest machine
KR101197351B1 (en) Floating separator for pine nut hulling
JP6667230B2 (en) Combine
JP2006034241A (en) Combine
US1951070A (en) Threshing machine
US6991537B2 (en) Deflector for a discharge outlet of a tailings conveyor of an agricultural combine
JP3351391B2 (en) Hulling sorter
JP3704254B2 (en) No. 2 reduction device in threshing machine
JP2654939B2 (en) The second product reduction device of the threshing device for combine
JP2004242537A (en) Combine harvester
JP3422035B2 (en) Threshing and sorting equipment
JP2004008930A (en) Rice husking and sorting machine
JP5764599B2 (en) Thresher
JPH10128133A (en) Rough selection machine in country elevator
JP4010842B2 (en) Threshing device
JPS5917385Y2 (en) Mixed rice switching device in a swing sorting huller
JP2008228650A (en) Thresher
JPH05337383A (en) Small particle sorting device of hulling sorter
JP2003259719A (en) Thre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