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276A -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276A
KR20150136276A KR1020140063514A KR20140063514A KR20150136276A KR 20150136276 A KR20150136276 A KR 20150136276A KR 1020140063514 A KR1020140063514 A KR 1020140063514A KR 20140063514 A KR20140063514 A KR 20140063514A KR 20150136276 A KR20150136276 A KR 20150136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adapter
housing
coo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809B1 (ko
Inventor
박훈영
Original Assignee
두진통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진통신산업(주) filed Critical 두진통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0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5Mechanical aspects of installing cables in ducts or the like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있어서, 특히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일반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일반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광케이블 전용 어뎁터를 더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단자함 설치비용을 줄이고 광점퍼 코드를 생략하여 훼손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광케이블을 인입시키기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13)와; 상기 광케이블용 어뎁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패널(11)과; 상기 광케이블 어뎁터를 통해 장착되어 광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광케이블 라인(b)과; 상기 함체 내부에 결합되며 광케이블 라인을 입력단자를 통해 인입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LTE 멀티 플렉서(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단자함{A Optical Cable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일반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일반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광케이블 전용 어뎁터를 더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단자함 설치비용을 줄이고 광점퍼 코드를 생략하여 훼손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분기 및 정리를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통상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며,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어 광케이블의 융착 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접속과 같은 접속기능과 접속부 보호기능 및 인입/인출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등록특허 제 10-1366810호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함체(10) 측면에는 광케이블(C1)이 끼워지도록 광케이블 인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광케이블 인입구(11)의 맞은편에는 최종가입자와 접속되어 있는 광옥외선(C2)이 끼워지는 복수의 광옥외선 인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가 함체(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함체(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13)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커버(20)가 전면을 향하도록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함체(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3)의 체결공(14)으로 스크류를 결합시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함체(10)의 내측면에는 광케이블(C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직선홈 형상의 슬롯들로 이루어져 광섬유가 독립적으로 통과하는 슬롯패널(30)과, 상기 슬롯패널(30)을 통과한 광섬유가 감겨지는 트랙(3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1)의 내측면에는 광케이블(C1)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과 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들과 일대일로 접속되는 입력단자(40a)와 출력단자(40b)가 전후에 각각 구비된 광어댑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40)의 설치는 함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된 광어댑터 패널(50)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면서 보다 많은 광섬유들의 처리를 위하여 함체(10)의 내부에는 함체(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회동트레이(T)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동트레이(T)의 후면에는 함체(10)를 경유한 광섬유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회동트레이(T)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클립과 분기된 광섬유를 재분기할 수 있는 스플리터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트레이(T)의 전면에는 재분기된 광섬유(C1)와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리된 광섬유들이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도록 광어댑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40)의 설치는 트레이(T)의 전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광어댑터 패널(50)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어댑터(40)의 양측에는 스크류체결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에는 상기 광어댑터(40)가 관통하도록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체결부(42)에는 스크류가 끼워지는 스크류끼움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에는 상기 스크류끼움공(43)에 대응되는 스크류체결공(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광어댑터 패널(50)의 관통공(51) 양측에 스크류체결부(42)가 밀착될 때까지 광어댑터(40)가 관통공(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스크류체결부(42)의 스크류끼움공(43)과 스크류체결공(52)에 차례로 끼워져 체결되면, 광어댑터(40)가 광어댑터 패널(50)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T)의 전면에는 광옥외선(C2)으로부터 분기된 광섬유가 독립적으로 통과하는 슬롯패널(30)과, 상기 슬롯패널(30)을 통과한 광섬유를 지지하는 다수의 클립(3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케이블 단자함을 통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은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먼저, 함체(10)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케이블(C1)이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다. 인입된 광케이블(C1)은 다수의 광섬유로 분기된다.
분기된 광섬유들은 함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슬롯패널(30)들과 트랙(31)들을 통해 1차로 정리되며, 1차로 정리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후면에 설치된 스플리터를 통해 특정가닥으로 재분기된다. 재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후면에서 2차로 정리된다. 그리고 2차로 정리된 재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전면으로 인출되고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40a)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재분기된 광섬유들이 광어댑터(40)의 입력단자(40a)에 모두 결합되면 광케이블(C1)의 연결은 완료된다.
한편, 광옥외선(C2)은 광옥외선 인입구(12)에 각각 끼워진 후 트레이(T) 전면에 형성된 클립(32)들에 의해 정리된 상태에서 광섬유로 분기된다. 분기된 광섬유들은 트레이(T)의 전면에 구비된 슬릿패널(30)을 통과한 다음 커넥터를 통해 광어댑터(40)의 출력단자(40b)에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분기된 광섬유들이 광어댑터(40)의 출력단자(40b)에 모두 결합되면2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이 완료되면, 커버(20)를 닫아 광케이블 단자함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이러한 광케이블 단자함의 종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광케이블 단자함(100a)과 LTE 멀티플렉서 단자함(100)이 존재하는바, 현재에는 일반 광케이블 단자함(100a)과 LTE 멀티 플렉서 단자함(100)이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과 LTE 멀티 플렉서 단자함 사이를 광점퍼 코드(a)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 단자함과 LTE 멀티 플렉서 단자함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상승되고, 아울러 광점퍼 코드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훼손의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일반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일반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광케이블 전용 어뎁터를 더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단자함 설치비용을 줄이고 광점퍼 코드를 생략하여 훼손 가능성을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자함이 부분 가열될 경우 가열된 부분만 냉각시키도록하여 단자함 내부의 과열로 인한 광케이블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광케이블을 인입시키기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13)와; 상기 광케이블용 어뎁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패널(11)과; 상기 광케이블 어뎁터를 통해 장착되어 광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광케이블 라인(b)과; 상기 함체 내부에 결합되며 광케이블 라인을 입력단자를 통해 인입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LTE 멀티 플렉서(200)와; 상기 함체 내부를 부분 냉각시키기 위해 함체의 테두리면 일측에 설치되는 부분 냉각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함체는, 내부에 광심선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광심선 지지부(2)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전면판(21a)이 측면판(21b)에 의해 함체(10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21)과; 상기 측면판(21b)에 상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광심선 관통홈(23)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부분 냉각수단(3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함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냉각판(310)과; 상기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320)와; 상기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판(330)과;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방열팬(340)과; 상기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판 이송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함체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360)와;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일반 광케이블을 설치하고, 상기 일반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LTE 멀티 플렉서 단자에 광케이블 전용 어뎁터를 더 설치하며, 이로 인하여 단자함 설치비용을 줄이고 광점퍼 코드를 생략하여 훼손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함이 부분 가열될 경우 가열된 부분만 냉각시키도록하여 단자함 내부의 과열로 인한 광케이블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용 어뎁터 영역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결합영역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 적용되는 냉각장치 일실시예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냉각장치 동작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용 어뎁터 영역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결합영역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 적용되는 냉각장치 일실시예 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냉각장치 동작 개념도로서,
본 발명의 LTE 멀티 플렉서 단자함은 크게 함체(100)와, 광케이블 어뎁터(13)와, LTE 멀티플렉서(200)와, 부분 냉각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LTE 멀티 플렉서 단자함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100)로 구성되고,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 다수의 광케이블용 어댑터(13)가 광케이블용 어댑터 고정부(1)에 의해서 설치되며, 함체(100) 내부의 광심선(b)은 광심선 지지부(2) 및 홀더(130)에 의해서 권취 및 정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 단자함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용 어댑터(13)를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패널(11)에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패널(11)에 광케이블용 어댑터(13)가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홈(12)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어댑터 장착홈(12)의 양측으로 연이어 고정홈(12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2a)에 광케이블용 어댑터(1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플랜지(1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 장착홈(12) 및 고정홈(12a)에 삽입되는 광케이블용 어뎁터(13)는 상기 고정홈(12a)에 광케이블용 어댑터(13)의 고정플랜지(13a)가 전후방측으로 걸려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부품이나 고정작업 없이 상기 광케이블용 어뎁터(13)를 어댑터 장착패널(11)의 전후방측으로 빠져 이탈됨이 없이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하 2단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보다 큰 용량의 접속 단자함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심선 지지부(2)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전면판(21a)이 측면판(21b)에 의해 함체(10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21)의 사이로 수직의 개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1b)은 상부측으로 개방된 광심선 관통홈(23)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광심선(200)은 지지판(21)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광심선 관통홈(23)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며, 다시 지지판(21)으로부터 광심선(200)을 빼낼 때에는 지지판(21) 사이의 개방부(22)를 통하여 지지판(21)의 상부측으로 빼내거나 지지판(21) 양측의 광심선을 손으로 잡고 상부측으로 빼내어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체(100)의 내측벽에 형성된 광심선 지지부(2)와 홀더(130)에 의해서 함체(100) 내부의 광심선이 보다 큰 권취반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광심선의 꺽임현상없이 안정되게 고정 및 정리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함체(100)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선택적 냉각수단(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선택적 냉각수단(300)은 냉각판(310)과, 열전반도체(320)와, 방열판(330)과, 방열팬(340)과,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 이송부(350)와, 온도센서(360) 및, 제어부(3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판(31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함체 케이스에 위치한다.
상기 열전반도체(320)는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판(330)은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한다.
상기 방열팬(340)는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판 이송부(350)는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킨다.
상기 온도센서(36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온도센서의 정보에 따라 필요 구간을 냉각시키는바, 구동모터(350b)를 작동하여 스크류(3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판(310) 및 열전반도체(3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냉각판(310)과 열전반도체(320)가 존재하는 부분은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냉각판(310)과 열전반도체(320)가 위치한 부분에 냉각열이 전달되어 급속히 냉각되고, 열전반도체(3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33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방열판(330)에 부착된 방열팬(340)에 의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부분 냉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열전반도체(320)가 방열판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하기 위해 방열판(330)에 레일(330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열전반도체(320)의 표면은 레일홈(320a)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반도체(320)가 레일(330a)을 타고 보다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레일(330a) 및 레일홈(320a)은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100: 함체
13: 광케이블 어뎁터
200: LTE 멀티플렉서
300: 부분 냉각수단

Claims (5)

  1.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함체(100)와;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다수의 광케이블을 인입시키기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13)와;
    상기 광케이블용 어뎁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광케이블용 어댑터 장착패널(11)과;
    상기 광케이블 어뎁터를 통해 장착되어 광통신 신호를 출력하는 광케이블 라인(b)과;
    상기 함체 내부에 결합되며 광케이블 라인을 입력단자를 통해 인입받고 출력단자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LTE 멀티 플렉서(200)와;
    상기 함체 내부를 부분 냉각시키기 위해 함체의 테두리면 일측에 설치되는 부분 냉각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내부에 광심선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심선 지지부(2)는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전면판(21a)이 측면판(21b)에 의해 함체(10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21)과;
    상기 측면판(21b)에 상부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광심선 관통홈(2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냉각수단(3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함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냉각판(310)과;
    상기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320)와;
    상기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판(330)과;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방열팬(340)과;
    상기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판 이송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함체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360)와;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40063514A 2014-05-27 2014-05-27 광케이블 단자함 KR10162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14A KR101621809B1 (ko) 2014-05-27 2014-05-27 광케이블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14A KR101621809B1 (ko) 2014-05-27 2014-05-27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276A true KR20150136276A (ko) 2015-12-07
KR101621809B1 KR101621809B1 (ko) 2016-05-31

Family

ID=5487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514A KR101621809B1 (ko) 2014-05-27 2014-05-27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5548A (zh) * 2021-11-04 2022-02-08 翔光光通讯器材(昆山)有限公司 理线单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92Y1 (ko) * 2002-07-10 2002-11-13 주식회사 골드텔 광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5548A (zh) * 2021-11-04 2022-02-08 翔光光通讯器材(昆山)有限公司 理线单元
CN114025548B (zh) * 2021-11-04 2023-11-14 翔光光通讯器材(昆山)有限公司 理线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09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5926T3 (es) Envolvente de comunicación integrada.
EP3183889B1 (en) Led pull tabs for pluggable transceiver modules and adaptor modules
EP1898578B1 (en) A electric device cabinet and network switching device
US20130120927A1 (en) Extractable storage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equipment therewith
US20200015386A1 (en) Front accessible fan tray with front-to-back cooling in a modular electronic system
RU25413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болочки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JP6215886B2 (ja) 大容量記憶装置シャーシアセンブリの前部領域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シャーシ入出力(i/o)モジュール
KR102099404B1 (ko) 서버 및 네트워크장비 겸용랙
US20120292267A1 (en) Mounting rail with internal power cable
JPH10308586A (ja) 架空設置型通信機器
KR101621809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9066454B2 (en) Inverter with enclosure
US10721843B2 (en) Cooling via a sleeve connector
CN110568572B (zh) 一种终端盒
JP2007236150A (ja) 光・電力共用引込盤
CN109768742B (zh) 一种电机换向控制器及其控制系统
KR20150049607A (ko) 케이블 정리장치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 쿨존 또는 핫존 차폐장치
CN108924392B (zh) 一种视频监控用主机
CN203287576U (zh) 电力通信设备柜
CN104836101A (zh) 铒镱大功率光放大器结构
CN217389207U (zh) 一种集成散热装置以及具有此装置的电子机箱
KR102291524B1 (ko) 서버 랙의 밀도 향상을 위한 스위치 박스 및 스위치 박스가 설치된 서버 랙
KR100797742B1 (ko) 초고속 가입자망 구조에 사용되는 옥외 설치용 함체
CN216313323U (zh) 用于大数据管理的交换机机箱
CN218570678U (zh) 一种方便理线的高性能网络安全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