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097A -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097A
KR20150136097A KR1020157030484A KR20157030484A KR20150136097A KR 20150136097 A KR20150136097 A KR 20150136097A KR 1020157030484 A KR1020157030484 A KR 1020157030484A KR 20157030484 A KR20157030484 A KR 20157030484A KR 20150136097 A KR20150136097 A KR 2015013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ange
polarizer
web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이치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0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당해 필름 A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특정한 범위 내의 치수 변화 특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이며,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특정한 범위 내의 치수 변화 특성을 마찬가지로 갖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Disclosure of the Invention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using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ester film as protective films of polarizers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dhesion of the polarizer is not exhibite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line curable adhesive layer and the film A has a film thickness within a range of 20 to 60 탆, 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Wherein the film is a cellulose acetate film having the same dimensional change characteristics within the specific range.

Description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when a polarizing plate using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acetate film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is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does not show display irregulariti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deterioration of polarizer adhesion even when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use changes.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대형화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되는 편광판도 대형화나 박형화에의 요구가 높다. 구체적으로는,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 보호 필름에 대하여 박막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편광판을 얇게 하는 관점에서, 보호 필름으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을 얇게 하면, 필름 강도나 평면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50㎛ 이하의 박막 필름에서는, 막 물성의 저하를 야기하기 때문에, 편광판의 박막화 실현에 대하여 장해가 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in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required to be larger and thinner, a polarizing plate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lso required to be larger and thinner. Specifically, it is desir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used as a polarizer or a protective film constituting a polarizing plat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polarizing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cellulose ester film (for example, triacetylcellulose (TAC) film or the like) usually used as a protective film is thinned, the film strength and planarity are reduced. The following thin film film causes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 and therefore, realization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is obstructed.

상기와 같은 박막의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편광판용의 보호 필름의 강도의 증대나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성의 개선 등의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어, 편광판용의 보호 필름의 강도의 증대를 목적으로, 투명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흡습성의 수지인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아크릴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아크릴 필름은 위상차가 드러나기 어렵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시야각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위상차 필름에는 적합하지 않다.Attemp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rotective film for the polarizing plate and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thin protective film.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ing plate, there has been proposed an acrylic film using an acrylic resin which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is a low hygroscopic resi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However, such an acrylic film is not suitable for a retardation film for the purpose of enlarging a viewing angle of a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since the acrylic film has a property that a retardation is difficult to be revealed.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셀측에 배치되는 필름으로서는, 위상차의 발현의 용이성이나 생산성(취급성, 리워크성 등) 및 비용 등의 관점에서, 종래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광판의 구성으로서, 시인측으로부터 아크릴 필름/편광자/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위상차 필름(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또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이라고도 함)이라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for example, as the film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conventional cellulose ester resin is preferably used as the film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occurrence of phase difference, productivity (handling property, reworkability, (A form of a cellulose ester film or a cellulose acetate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an acrylic film / polarizer / cellulose ester resin from the viewer side as a constitution of the polarizing plate .

한편,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성의 개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편광자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을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를 통해서 접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방법에 의하면, 고온 고습 등의 가혹한 환경 조건 하에서도, 편광자(편광 필름)의 탈색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접착 등에 대해서 내구성이 높은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for example, a method of bonding a polarizer and a cellulose ester film through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is disclosed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2).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which is less prone to discoloration of the polarizer (polarizing film) even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nd has high durability against adhes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발명자의 상세한 검토에 의하면, 상기 아크릴 필름/편광자/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구성인 박막의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고온 고습 분위기 하에서 저온 저습 분위기 하로 이동 설치하여 표시 화면을 관찰하면, 액정 패널에 특유한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게다가, 상기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해서 접착한 경우에 당해 표시 불균일의 범위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것은, 특히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 상기 2매의 보호 필름의 치수 변화의 속도가 상이하여, 편광자를 사이에 끼워 2매의 필름과 접착제 부분의 왜곡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광학적인 불균일에 의한 것이라 추정되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detailed study of the present inventor, when a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a polarizing plate of a thin film constituting the acrylic film / polarizer / cellulose ester film is moved under a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tmosphere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tmosphere, It was found that a display unevenness peculiar to the liquid crystal panel occurs. In addition, when the film was adhered using the active ray-curable adhesive, the range of the display unevenness was enlarged. This is because,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d sharply, The speed of change was different and it was assumed that the film was caused by optical irregularity caused by distortion of two films and an adhesive portion sandwiching the polarizer.

또한, 당해 왜곡에 의해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에서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종래보다도 가혹한 환경에서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했을 때, 보호 필름이 울게 되거나 막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is deteriorated by the distortion, and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changes in a harsh environment tha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ective film is cried or film peeling is likely to occur.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3781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2-237818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080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23080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는,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통해서 보호 필름과 접합되고, 또한 당해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으로서, 당해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보호 필름이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당해 편광판을 구비한 시인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is bonded to a protective film through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and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acetate film are used as the protective film,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exhibit display unevenness of a liquid crystal panel, crying of a protective film, and deterioration of polarizer adhesion such as peeling off even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and having excellent visibility.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문제의 원인 등에 대해서 검토하는 과정에서,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당해 필름 A가, 박막이고 특정한 조건 하에서의 치수 변화가 특정한 범위 내인 아크릴 필름이며, 당해 필름 B가 저치환도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박막이면서 또한 상기 치수 변화가 마찬가지로 특정한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에 의해,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polarizer in which a polarizer is interpos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B is a cellulose acetate film having a low degree of substitution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is a thin film and the dimensional change is also within a specific range in the same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That is,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by the following means.

1.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1.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당해 필름 A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이며,Wherein the film A is an acrylic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having a film thickness in a range of 20 to 60 탆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Wherein the polarizer is an acetate film.

(1) 0.03(%)≤L1MD-L5MD≤0.30(%) (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L1TD-L5TD≤0.30(%) (2) 0.03 (%)? L 1 TD-L 5 TD? 0.30 (%)

(3) 0(%)≤L5MD-L30MD≤0.10(%) (3) 0 (%)? L 5 MD-L 30 MD? 0.10 (%)

(4) 0(%)≤L5TD-L30TD≤0.10(%) (4) 0 (%)? L 5 TD-L 30 TD? 0.10 (%)

상기 식에 있어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하기식 (a) 내지 (f)에 의해 구해지는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나타낸다. 하기식 (a) 내지 (f)는,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직사각형으로 채취하고, 이것을 23℃·55% RH의 온습도 조건 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의 규정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측정하여,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여,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측정하여, 각각 L1MD', L1TD',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하고, 하기식 (a) 내지 (f)에 대입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을 구한다.In the above formula,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of the film after 30 minutes. The following formulas (a) to (f) show the film A and the film B taken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left for 24 hours under conditions of 23 ° C and 55% The predetermined dimensions are measured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a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캜 and 90% RH for 1 hour and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RH to measure the dimension after one minute, the dimension after five minutes, TD, and L30TD ', L30MD', and L30TD ', respectively, and substituting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to determine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L1MD', L1TD ', L5MD', L5MD '

1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식 a) L1MD(%)=(L1MD'-L0MD)/L0MD×100(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식 b) L1TD(%)=(L1TD'-L0TD)/L0TD×100(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식 c) L5MD(%)=(L5MD'-L0MD)/L0MD×100(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식 d) L5TD(%)=(L5TD'-L0TD)/L0TD×100(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식 e) L30MD(%)=(L30MD'-L0MD)/L0MD×100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식 f) L30TD(%)=(L30TD'-L0TD)/L0TD×100(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2.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가, 각각 하기식 (5)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편광판.2. The polarizer of claim 1, wherein the film A and the film B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5) to (8), respectively.

(5) 0.05(%)≤L1MD-L5MD≤0.15(%) (5) 0.05 (%)? L 1 MD-L 5 MD? 0.15 (%)

(6) 0.05(%)≤L1TD-L5TD≤0.15(%) (6) 0.05 (%)? L 1 TD-L 5 TD? 0.15 (%)

(7) 0(%)≤L5MD-L30MD≤0.05(%) (7) 0 (%)? L 5 MD-L 30 MD? 0.05 (%)

(8) 0(%)≤L5TD-L30TD≤0.05(%) (8) 0 (%)? L 5 TD-L 30 TD? 0.05 (%)

상기 식에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제1항과 동의이다.In this equation,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are synonymous with the first term.

3.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의 L30TD와 L30MD가, 각각 -0.10 내지 0.1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편광판.3.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L 30 TD and L 30 MD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in the range of -0.10 to 0.10%, respectively.

4. 상기 필름 A가, 당 에스테르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4.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lm A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G2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잔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 잔기 또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옥시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 A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Wherein B 3 and B 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or a hydroxyl group, G 2 represents an 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 aryl glycol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n oxy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represents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n aryl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and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Represents an integer.)

5. 상기 필름 A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5. Th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lm A comprises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the cor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contains a cellulose ester. 5.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상기 필름 A가,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05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6.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ilm A is stretched 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7. 상기 필름 B가, 하기식 (i) 및 (ii)로 정의되는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o)이 40 내지 60nm의 범위 내이며,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t)이 100 내지 140n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7. The film B, wherein the retardation value Ro in the in-plane directio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is in the range of 40 to 60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100 to 140 nm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식 (i):Ro=(nx-ny)×d(nm)Formula (i): Ro = (n x -n y) × d (nm)

식 (ii):Rt={(nx+ny)/2-nz}×d(nm)Formula (ii): Rt = {( n x + n y) / 2-n z} × d (nm)

〔식 (i) 및 식 (ii)에서, nx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서, 상기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 y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 z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두께(nm)를 나타낸다. 측정은, 23℃·55% RH의 환경 하, 590nm의 측정 파장에서 행한다.〕[In the formulas (i) and (ii), n x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x at which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maximum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n y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and in the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x. and n z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f the film. and d represents the thickness (nm) of the film. Measurement is carried out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90 nm under an environment of 23 ° C and 55% RH.]

8. 상기 필름 B가,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1 내지 2.4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8.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1 to 2.4.

9. 상기 필름 B가, 당 에스테르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9.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film B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G2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잔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 잔기 또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의 옥시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 A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Wherein, B 3 and B 4 are each independently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or a hydroxy. G 2 is alkylene having 2 to 12 glycol residue, an aryl glycol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n oxy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represents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n aryl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and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Lt; / RTI >

10. 상기 필름 B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은 아세틸기 치환도가 2.0 내지 2.4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은 아세틸기 치환도가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10. The film B has at least three layers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the core layer containing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45,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characterized by containing cellulose acetate having a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6 to 2.95.

11. 상기 편광자가, 막 두께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11.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2 to 15 占 퐉.

12. 편광자의 양면에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를 접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12.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for bonding a film A and a film B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through an active line curable adhesive layer,

당해 필름 A로서,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하고,As the film A, an acrylic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탆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was used,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Acetate film is used as the polarizing plate.

(1) 0.03(%)≤L1MD-L5MD≤0.30(%)(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L1TD-L5TD≤0.30(%)(2) 0.03 (%)? L 1 TD-L 5 TD? 0.30 (%)

(3) 0(%)≤L5MD-L30MD≤0.10(%)(3) 0 (%)? L 5 MD-L 30 MD? 0.10 (%)

(4) 0(%)≤L5TD-L30TD≤0.10(%)(4) 0 (%)? L 5 TD-L 30 TD? 0.10 (%)

상기 식에 있어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하기식 (a) 내지 (f)에 의해 구해지는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나타낸다. 하기식 (a) 내지 (f)는,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직사각형으로 채취하고, 이것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의 규정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측정하여,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여,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측정하여,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하고, 하기식 (a) 내지 (f)에 대입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을 구한다.In the above formula,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of the film after 30 minutes. The following formulas (a) to (f) show the film A and the film B taken in a rectangle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left for 24 hours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The predetermined dimensions are measured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a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캜 and 90% RH for 1 hour and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RH to measure the dimension after one minute, the dimension after five minutes,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TD direction, respectively, L 1 MD ', L 1 TD ', L 5 MD ', L 5 TD', L 30 MD ', and L 30 TD' La, and the following formula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s obtained.

1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식 a) L1MD(%)=(L1MD'-L0MD)/L0MD×100(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식 b) L1TD(%)=(L1TD'-L0TD)/L0TD×100(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식 c) L5MD(%)=(L5MD'-L0MD)/L0MD×100(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식 d) L5TD(%)=(L5TD'-L0TD)/L0TD×100(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식 e) L30MD(%)=(L30MD'-L0MD)/L0MD×100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식 f) L30TD(%)=(L30TD'-L0TD)/L0TD×100(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13. 상기 필름 A를,13. The film A,

적어도 아크릴 수지와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유연해서 금속 지지체 상에서 웹을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web on a metal support by softening at least a dop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형성한 웹을 건조해서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과,Drying the formed web to separate it from the metal support,

상기 박리한 웹을 연신하는 공정과,A step of stretching the peeled web;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과,A step of drying the drawn web in a dryer zone,

또한 상기 웹이 당해 드라이어 존을 나온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a range of 50 to 100 DEG C / sec after the web leaves the dryer zone

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2,

14. 상기 필름 B를,14. The film (B)

적어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유연해서 금속 지지체 상에서 웹을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web on a metal support by softening a dope containing at least cellulose acetate and an organic solvent,

상기 형성한 웹을 건조해서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과,Drying the formed web to separate it from the metal support,

상기 박리한 웹을 연신하는 공정과,A step of stretching the peeled web;

상기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A step of drying the elongated web in a dryer zone

에 의해 형성할 때, 상기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이,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고, 또한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을 갖고, 당해 벤딩 공정이, 당해 웹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라 했을 때, 1/a의 값이 0.035mm-1 내지 0.050mm-1의 범위 내이고, 또한 벤딩을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step of drying the web in the dryer zone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130 to 150 DEG C and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turned inwardly by the conveying roller bending has a bending process, the bending step the art, when the radius of the web when bent to the art have a d (mm), is within the range of the value of 1 / a -1 0.035mm to 0.050mm -1, als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bending is repeated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0 times.

15. 열가소성 수지에 고무 성분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는 공정과,15. 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n one surface of a base film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dispersed in a thermoplastic resin to obtain a laminated film;

상기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해서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과,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to obtain a stretched film,

상기 연신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염색 필름을 얻는 공정과,A step of s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stretch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obtain a dye film,

상기 염색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해서 편광자층을 형성하고, 가교 필름을 얻는 공정과,A step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dye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to form a polarizer layer to obtain a crosslinked film,

상기 가교 필름을 건조하는 공정A step of drying the crosslinked film

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To form a polarizing laminated film,

당해 편광성 적층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당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상기 편광자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s peeled from the base film to us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as the polarizer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16.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17. 상기 액정 표시 장치가,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17.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상기 수단에 의해,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보호 필름과 접합되고, 또한 당해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으로서, 당해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당해 편광판을 구비한 시인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polarizer is bonded to the protective film via the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by the above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acrylic film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as the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exhibit deterioration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unevenness of display on a liquid crystal panel, crying phenomenon, and film peeling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visibility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효과의 발현 기구 내지 작용 기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하와 같이 추정하고 있다.Although the mechanism and mechanism for manifesting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larified, they are estimated as follows.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보호 필름과 접합되고, 아크릴 필름/편광자/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구성인 박막의 편광판은, 고온 고습 분위기 하에서 저온 저습 분위기 하로 액정 표시 장치를 이동 설치해서 표시 화면을 관찰하면, 액정 패널에 특유한 표시 불균일이 발현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특히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급격하게 변화시켰을 때 상기 2매의 보호 필름의 치수 변화의 속도가 상이함으로써, 편광자를 사이에 끼워 2매의 보호 필름과 접착제 부분의 사이에 왜곡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광학적인 불균일에 기인하는 것이라 추정되었다.The polarizer is bonded to the protective film via the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thin film constituting the acrylic film / polarizer / cellulose acetate film is moved in a low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atmosphere under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atmosphere to mov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display unevenness peculiar to the liquid crystal panel is generated. This is because, in particular,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environment is drastically changed, the speeds of the dimensional changes of the two protective films are different, so that distortion occurs between the two protective films and the adhesive portions sandwiching the polarizer, It is presumed that this is due to the optical unevenness that follows.

본 발명자는 보호 필름의 치수 변화의 속도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특정한 환경 하에서 하루 밤낮 등의 비교적 오랜 시간 방치한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를 조정해도, 상기 과제의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는 않다는 지견을 얻어, 더욱 상세하게 검토하는 중에,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급격하게 변화시킨 직후부터 비교적 단시간 동안의 치수 변화의 속도에 착안한 결과, 아크릴 필름과 각종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에서는, 당해 단시간 동안에 각각 특유한 치수 변화의 이력을 거치게 된다는 것을 알아내어, 당해 치수 변화의 거동의 차를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되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even if the dimensional change of a film aft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such as day and night is adjusted under a specific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protective film, Humidity environment of the environment from a rapid change of the environment to a speed of dimensional change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s a result, in the acrylic film and various cellulose ester films, a specific dimensional change It is presumed that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s.

도 1은, 아크릴 필름의 환경 변동(80℃·90% RH로부터 23℃·55% RH의 환경 하) 직후부터 1분 후, 5분 후, 30분 후 및 60분 후의, 상기 식 (a) 내지 (f)로 표현되는 MD 방향 및 TD 방향의 치수 변화율(%)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Fig. 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above formula (a) on the acrylic film after 1 minute, 5 minutes, 30 minutes, and 60 minutes immediately after the environment change (under the environment of 80 deg. C and 90% (%)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s (1) to (f).

아크릴 필름은, 1분 후부터 5분 후까지의 동안에 치수가 변동(수축)하고, 그 후에는 치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거동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acrylic film has a stable behavior in which the dimension fluctuates (shrinks) from 1 minute to 5 minutes later, and thereafter hardly changes in dimension.

도 2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의 마찬가지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milar dimensional change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TAC film).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은, 아크릴 필름과 크게 달라, 고온 고습에서 저온 저습의 환경 하로 옮기면, 약간 필름이 팽창하고, 그 후에도 변동(수축)이 계속되는 거동을 취한다.The triacetylcellulose film differs greatly from an acrylic film, and when the film is moved under a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and low-temperature and low-humidity environment, the film slightly expands, and the fluctuation (shrinkage) continues thereafter.

도 3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필름(CAP 필름)의 마찬가지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ame dimensional change of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ilm (CAP film).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필름은, 아크릴 필름과 달리, 1분 후부터 5분 후까지의 동안에 치수가 크게 변동(수축)하고, 그 후에도 변동(수축)이 계속된다.Unlike the acrylic film, th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ilm largely fluctuates (shrinks) from 1 minute to 5 minutes later, and then continues to fluctuate (shrink).

도 4는,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DAC 필름)의 마찬가지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milar dimensional change of a diacetylcellulose film (DAC film).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은, 1분 후부터 5분 후까지의 동안에 아크릴 필름보다도 약간 큰 치수 변동(수축)이 나타나지만, 그 후에는 아크릴 필름과 마찬가지로 치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거동을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diacetyl cellulose film exhibits a slightly larger dimensional fluctuation (shrinkage) than the acrylic film during 1 minute to 5 minutes, but after that, it takes a stable behavior with almost no dimensional change as in the case of the acrylic film.

이상의 검토 결과로부터,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환경 변동 직후부터 1분 내지 5분 후의 범위까지의 치수 변화를 어떠한 수단에 의해 조정하여, 아크릴 필름의 거동과 근사시킬 수 있으면, 치수 변화의 거동이 합치된 2매의 보호 필름으로 되어, 편광자와 접착제 부분의 사이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지 않을까 추정되었다.As a result of the above examination, if the dimensional change from 1 to 5 minutes after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diacetyl cellulose film can be adjusted by any means so as to approximate the behavior of the acrylic film, It was presumed that two pieces of protective films could be formed and the distort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adhesive portion could be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편광판의 기술적 특징인, 2매의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으로서 디아세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필름을 채용하고, 각각의 상기 단시간 동안의 치수 변화를 특정한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조정을 가함으로써, 당해 보호 필름과 접착제 부분에서의 왜곡을 억제할 수 있고,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에 발현하는 표시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편광자와의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이 얻어질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Therefore, a film containing diacetylcellulose as the acrylic film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as the two protective films, which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and adjusted so that the dimensional change during each of the shor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tortion i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adhesive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display irregularities appearing on the liquid crystal panel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s, It is presumed that a polarizing plate free from deterioration will be obtained.

도 1은 아크릴 필름의 단시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단시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필름의 단시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단시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개량형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단시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필름의 치수 변화를 측정할 때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바람직한 용액 유연 제막 방법의 도프 제조 공정, 유연 공정 및 건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공유연 다이 및 유연해서 다층 구조 웹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모식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벤딩 처리 장치의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mensional change of an acrylic film in a short tim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mensional change of a triacetylcellulose film in a short tim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imensional change of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ilm in a short tim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diacetyl cellulose film in a short time.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B (modified diacetylcellulos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hort time.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measur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ope manufacturing process, a soften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of a preferable solution casting film-forming method of a cellulose est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ormation of a shared stretch die and a flexible multi-layer web.
9 is a schematic view of a bending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당해 필름 A가, 박막이고 특정한 조건 하에서의 치수 변화가 특정한 범위 내인 아크릴 필름이며, 당해 필름 B가 저치환도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박막이면서 또한 상기 치수 변화가 마찬가지로 특정한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의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이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wherein the film A is an acrylic film having a thin film and a dimensional change under specific condi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B is a cellulose acetate film containing cellulose acetate having a low degree of substitution and being a thin film and having a dimensional change within the specified range. When such a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does not cause display unevennes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dhesion even when the polarizer is changed. This feature is a technical feature that is common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s 1 to 17.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MD란 Machine Direction의 약칭이며, MD 방향이란 일반적으로 제막 시에 유연 방향, 길이 방향이라 호칭되는 필름이 반송되는 방향이다. TD란, Transverse Direction의 약칭이며, TD 방향이란 일반적으로 폭 방향, 가로 방향이라 호칭되는 반송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MD is an abbreviation of Machine Direction, and MD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a film called a flexible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is transported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D is an abbreviation of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which is generally called a width direction and a transverse dire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필름 A 및 필름 B를 간단하게 보호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lm A and the film B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a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 발현의 관점에서,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가, 상기 식 (5) 내지 (8)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범위를 만족하는 편광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의 L30TD와 L30MD가 각각 -0.10 내지 0.10%의 범위 내인 것이,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 발생을 억제하고, 편광자와의 밀착성의 열화에 대한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polarizing plates satisfying the range of dimensional change represent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s (5) to (8) from the viewpoint of manifest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 30 TD and the L 30 MD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within the range of -0.10 to 0.10%, respectively, so that occurrence of display unevennes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can be suppressed even when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use environment abruptly changes, Is a preferable form from the viewpoint that the durability against deterioration of the adhesion with the polarizer is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필름 A가, 당 에스테르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그 가소적 효과에 의해 상기 치수 변화를 작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필름 A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이종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상기 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데 보다 제어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A가,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05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연신되는 것이, 아크릴 수지의 분자쇄의 배향성을 높임으로써, 수분의 출입에 의한 치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어,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 밀착성의 개선 효과를 보다 발현하기 쉬워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A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dimensional change due to its plastic effect, and the film A (1), wherein the cor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contains a cellulose ester, by overlapping different kinds of resins, wherein the core layer comprises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has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To (4) within the range of the dimensional change represented by (4). Further, the film A is stretched with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By increasing the orientation of the molecular chains of the acrylic resi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mensional change due to the entry and exit of moisture, The display irregularity of the panel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olarizer adhesion can be more easily expressed.

상기 필름 B는, 상기 식 (i) 및 (ii)로 정의되는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o)이 40 내지 60nm의 범위 내이며,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t)이 100 내지 140nm의 범위 내인 것이,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을 확대해서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타데이션 값을 발현하기 위해서,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1 내지 2.4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B has a retardation value Ro in an in-plane direction defin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s (i) and (ii) within a range of 40 to 60 nm and a retardation value Rt in a thickness direction within a range of 100 to 140 nm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viewing ang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proving visibility. In order to express the retardation value, it is preferable that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1 to 2.4 is contained.

또한, 치수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해서, 상기 필름 B가, 당 에스테르 또는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그 가소적 효과를 발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필름 B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세틸기 치환도 2.0 내지 2.4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아세틸기 치환도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이종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상기 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관계를 보다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어, 필름에 대한 환경의 습도 변동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stabilize the dimensional ch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B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because it exhibits its plastic effect, Is composed of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and the core layer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in the range of 2.0 to 2.45, and the skin layer has a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6 to 2.95 (1) to (4)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by overlapping different kinds of resins, and the influence of the humidity fluctuation of the environment on the film Can be made small.

상기 편광자가, 막 두께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편광판 전체를 박막화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또한 편광자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보호 필름의 치수 변화에 추종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했을 때의,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밀착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표시 불균일의 저감 효과도 있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2 to 15 탆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entire polarizing plate and the flexibility of the polarizer is increased so that it is easy to follow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when used, and also to reduce the display unevenness.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의 양면에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를 접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당해 필름 A로서 상기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하고, 당해 필름 B로서 상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for bonding a film A and a film B to each other via both sides of a polarizer with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 acrylic film containing the acrylic resin is used as the film A , And th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cellulose acetate film as the film B is preferable in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필름 A는, 그 형성 공정에서,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가해서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분자쇄의 상태를 밀하게 하여, 필름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량을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수분을 함유한 필름의 수축 비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film A is formed by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a range of 50 to 100 ° C / sec after the step of drying the stretched web in the dryer zone in the forming step, whereby the state of the molecular chain of the film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film can be adjusted, and the shrinkage ratio of the film containing moisture can be controlled effectively.

또한, 상기 필름 B는, 그 형성 공정에서, 웹을 건조하는 공정이, 특정한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된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을 갖고, 당해 벤딩 공정이, 당해 웹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특정한 범위 내로 하고, 또한 벤딩을 특정한 횟수의 범위 내에서 반복하면서 행하여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분자쇄의 상태를 빽빽하게 하고, 필름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량을 조정함으로써, 수분을 함유한 필름의 수축 비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the film B, in the forming step, the step of drying the web is carried out so that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inwardly located inside the dryer zone maintained within the specified temperature range, Has a bending process in which the bend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repeating the bending process within a specific range within a specific range when the web is bent and forming the bending process so that the state of the molecular chain of the film is dens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hrinkage ratio of the film containing moisture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that the film can contain.

또한, 상기 편광자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고무 성분이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1축 연신, 염색, 가교 및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편광성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해서 당해 편광자로서 형성하는 것이, 박막이면서 또한 고품질의 편광판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As the polarize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 base film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dispersed in a thermoplastic resin, and then a monoaxial stretching, dyeing, crosslink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s peeled off from the base film to form the polarizer, since a thin polarizing plate of high qual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절하게 구비되며, 특히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provid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과 그 구성 요소, 및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양태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을 한다. 또한, 본원에서, 「내지」는, 그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its constituent elements, and modes and mode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application, " to " is used to mean that the numerical values described before and after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are included.

≪본 발명의 편광판의 개요≫≪ Outline of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당해 필름 A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이며,Wherein the film A is an acrylic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having a film thickness in a range of 20 to 60 탆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Acetate film.

(1) 0.03(%)≤L1MD-L5MD≤0.30(%)(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L1TD-L5TD≤0.30(%)(2) 0.03 (%)? L 1 TD-L 5 TD? 0.30 (%)

(3) 0(%)≤L5MD-L30MD≤0.10(%)(3) 0 (%)? L 5 MD-L 30 MD? 0.10 (%)

(4) 0(%)≤L5TD-L30TD≤0.10(%)(4) 0 (%)? L 5 TD-L 30 TD? 0.10 (%)

상기 식에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하기식 (a) 내지 (f)에 의해 구해지는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나타낸다. 하기식 (a) 내지 (f)는,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직사각형으로 채취하고, 이것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의 규정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측정하여,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여,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측정하고,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하여, 하기식 (a) 내지 (f)에 대입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을 구한다.In the above formula,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Of the film after a minute. The following formulas (a) to (f) show the film A and the film B taken in a rectangle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left for 24 hours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The predetermined dimensions are measured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a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캜 and 90% RH for 1 hour and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RH to measure the dimension after one minute, the dimension after five minutes, each measured, and each L 1 MD ', L 1 TD', L 5 MD ', L 5 TD', L 30 MD to La ', and L 30 TD' of formula in the TD direction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s obtained.

1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식 a) L1MD(%)=(L1MD'-L0MD)/L0MD×100(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식 b) L1TD(%)=(L1TD'-L0TD)/L0TD×100(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식 c) L5MD(%)=(L5MD'-L0MD)/L0MD×100(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식 d) L5TD(%)=(L5TD'-L0TD)/L0TD×100(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식 e) L30MD(%)=(L30MD'-L0MD)/L0MD×100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식 f) L30TD(%)=(L30TD'-L0TD)/L0TD×100(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본 발명자는, 편광판의 박막화에서의 편광판의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투명성,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흡습성의 수지인 아크릴 수지를 사용한 아크릴 필름을 편광자의 한쪽 면에 사용하고, 편광자의 반대측 면에는 위상차 필름으로서, 위상차의 발현 용이함이나 생산성(취급성, 리워크성 등) 및 비용 등의 관점에서, 종래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구성, 즉 시인측으로부터 아크릴 필름/편광자/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위상차 필름이라는 구성을 검토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n acrylic film using an acrylic resin which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which is a low hygroscopic resin is used for one side of the polarizer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polarizer in the thinning of the polarizer, A retardation film containing a conventional cellulose ester resin is used as the retardation film from the viewpoints of easiness of development of the retardation, productivity (handling property, reworkability, etc.) and cost, A structure of a retardation film containing a cellulose ester resin was examined.

또한, 박막 편광판의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접착성을 개선해서 편광판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함께 검토하였다.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of the thin film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polarizer, a method of joining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via the active ray curable adhesive has been studied.

그러나, 편광판의 시인측으로부터, 상기 아크릴 필름/편광자/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구성인 박막 편광판은, 고온 고습 분위기 하에서 저온 저습 분위기 하로 액정 표시 장치를 이동 설치해서 표시 화면을 관찰하면, 액정 패널에 특유한 표시 불균일이 발현한다는 문제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특히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급격하게 변화한 직후부터 단시간 동안의 상기 2매의 보호 필름의 치수 변화의 속도가 상이함으로써, 편광자를 사이에 끼워서 2매의 보호 필름과 접착제 부분과의 왜곡에 의한 광학적인 불균일이 원인이라고 추정되었다.However,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moved and installed under a low-temperature and low-humidity atmosphere in a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atmosphere to observe the display screen from the viewing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hin film polarizer plate constituting the acrylic film / polarizer /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unevenness occurs. This is because the speed of change of the dimensional changes of the two protective films in a short period of time immediately after the abrupt change of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protective films and the adhesive portion, It was presumed to be caused by the unevenness of the person.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특정한 환경 하에서 하루 밤낮 등의 비교적 오랜 시간 방치한 후의 치수 변화를 조정한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급격하게 변화시킨 직후부터 비교적 단시간의 치수 변화의 속도를, 특정한 범위 내에서 합치하도록 조정한 특정한 필름을 박막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a protective film in which the dimensional change aft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such as day and night is adjusted under a specific environment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in which display unevennes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dhesion are not exhibited even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s, by using a specific film adjusted to coincide the rate of change within a specific range as a protective film of the thin film polarizing plate And has reached the present invention.

〔필름의 치수 변화율의 측정〕[Measurement of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의,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급격하게 변화시킨 직후부터 비교적 단시간의 치수 변화율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film A and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mmediately after a sudden change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environment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도 6에, 구체적인 L0MD 및 L0TD를 측정할 때의 필름의 모식도를 나타냈다.[1] Fig. 6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film when measuring the specific L 0 MD and L 0 TD.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10cm 사방으로 2매씩 채취하여, 각각 MD 방향 또는 TD 방향의 치수 변화 측정용으로 한다. 당해 필름에 간격이 8cm가 되도록, 면도날로 십자로 흠집을 낸 후, 23℃·55% RH의 항온 항습기에 투입해서 24시간 방치한다.Two pieces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taken in a 10 cm square direction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is used for measurement of the dimensional change in the MD direction or the TD direction. The film was cross-wound with a razor blade to a distance of 8 cm, and then plac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at 23 ° C and 55% RH for 24 hours.

상기 조습한 필름을 현미경의 스테이지에 얹고, 유리판을 얹어서 고정화하여, 규정의 치수(8cm)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현미경으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The humidity-adjusted film was placed on a stage of a microscope, and a glass plate was placed thereon, and the specimens (8 cm) were precisely measured with a microscope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they we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현미경은, 니콘사 제조 Nikon MEASURESCOPE MM-11(접안 렌즈:×10 대물 렌즈:×3)을 사용하고, 데이터 측정기는, Nikon DP-302 DATA PROCESSOR를 사용해서 현미경에 직결하고, 얻어진 데이터는 표계산 소프트웨어에 출력한다.The microscope used was a Nikon MEASURESCOPE MM-11 (eyepiece: x 10 objective lens: x 3) manufactured by Nikon Corporation, a data measuring device was directly connected to a microscope using a Nikon DP-302 DATA PROCESSOR, Output to software.

〔2〕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로 이동하여, 즉시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상기 현미경 및 데이터 측정기에 의해 측정하고,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한다.[2]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 C and 90% RH for 1 hour and then moved under a 23 ° C. and 55% RH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Immediately after 1 minute, after 5 minutes, the MD direction and in TD direction, respectively, measured by the microscope and a data measuring instrument, each of L 1 MD ', L 1 TD ', L 5 MD ', L 5 TD', L 30 MD ', and L 30 TD' La do.

〔3〕 〔1〕 및 〔2〕에서 구한 각각의 치수를 하기 (식 a) 내지 (식 f)에 대입하여,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구하고,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한다.[3] To each of the dimensions obtained in [1] and [2] (wherein a) - by substituting the equation (f), after one minute, to obtain a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after 5 minutes and 30 minutes, and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1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식 a) L1MD(%)=(L1MD'-L0MD)/L0MD×100(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식 b) L1TD(%)=(L1TD'-L0TD)/L0TD×100(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식 c) L5MD(%)=(L5MD'-L0MD)/L0MD×100(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식 d) L5TD(%)=(L5TD'-L0TD)/L0TD×100(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식 e) L30MD(%)=(L30MD'-L0MD)/L0MD×100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식 f) L30TD(%)=(L30TD'-L0TD)/L0TD×100(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는, 하기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필름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이 특징이다. 즉, (1) 및 (2)를 만족함으로써,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했을 때의 직후(1분 후)부터 5분 후에 비교적 크게 변동하는 MD 방향 및 TD 방향의 치수 변동을, 당해 필름 A 및 필름 B에서 하기 특정한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조정함으로써, 양자의 치수 변동이 상이한 것에 기인하는 보호 필름과 접착제 부분과의 왜곡을 억제할 수 있고, (3) 및 (4)를 만족함으로써, 또한 경시에서의 효과를 안정화하는 것이다.The films A an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being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acetate film satisfying the following (1) to (4). That is, by satisfying the conditions (1) and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mensional fluctuation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which fluctuate relatively largely after 5 minutes from immediately after (1 minute after) A and film B,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istortion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adhesive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imensional variation between them, and by satisfying (3) and (4) To stabilize the effect at

(1) 0.03(%)≤L1MD-L5MD≤0.30(%)(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L1TD-L5TD≤0.30(%)(2) 0.03 (%)? L 1 TD-L 5 TD? 0.30 (%)

(3) 0(%)≤L5MD-L30MD≤0.10(%)(3) 0 (%)? L 5 MD-L 30 MD? 0.10 (%)

(4) 0(%)≤L5TD-L30TD≤0.10(%)(4) 0 (%)? L 5 TD-L 30 TD? 0.1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는, 하기 (5) 내지 (8)을 만족하는 아크릴 필름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s A an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acetate film satisfying the following (5) to (8).

(5) 0.05(%)≤L1MD-L5MD≤0.15(%)(5) 0.05 (%)? L 1 MD-L 5 MD? 0.15 (%)

(6) 0.05(%)≤L1TD-L5TD≤0.15(%)(6) 0.05 (%)? L 1 TD-L 5 TD? 0.15 (%)

(7) 0(%)≤L5MD-L30MD≤0.05(%)(7) 0 (%)? L 5 MD-L 30 MD? 0.05 (%)

(8) 0(%)≤L5TD-L30TD≤0.05(%)(8) 0 (%)? L 5 TD-L 30 TD? 0.05 (%)

또한,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의 L30TD와 L30MD가, 각각, -0.10 내지 0.10%의 범위 내인 것이,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에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편광자와의 밀착성의 열화에 대한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The L 30 TD and the L 30 MD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within the range of -0.10 to 0.10%, respectively. Even when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abruptly, the display unevennes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polarizer In view of further improving durability against deterioration of adhesion to the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의 초기의 치수 변화율을, 상기 (1) 내지 (8)로 나타내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수단을 적절히 채용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ans for adjusting the initial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range indicated by the above items (1) to (8)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m by appropriately employing the following means Do.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의 치수 변화율을 상기 (1) 내지 (8)로 나타내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 수지의 종류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선택, 가소제의 종류와 양의 조정, 연신 방향과 연신 배율의 조정, 막 두께를 조정하는 것 외에, 상세는 후술하지만, 웹의 건조 공정에서, 상기 웹이 당해 건조 공정(드라이어 존)을 마친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가해서 제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ns for adjusting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range indicated by the above items (1) to (8)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ones, but may be suitab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acrylic resi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Drying zone), the web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50 to 100 占 폚 / sec or less after completion of the drying step (dryer zone) in the web drying step, in addition to the adjustment of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film by applying a cooling process for cooling the web at a speed within the range.

또한, 당해 필름 A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것이, 다른 종류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필름 A를 상기 식 (1) 내지 (8)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범위 내로 보다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lm A is a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and the cor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contains a cellulose ester, It is possible to make the film A more easily controllable within the range of dimensional changes represent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s (1) to (8), which is preferable.

또한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혼합해서 열가소성 수지로서 사용하는 것도, 다른 종류의 수지의 특성을 상승적으로 살릴 수 있음으로써, 필름 A를 상기 식 (1) 내지 (8)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범위 내로 보다 제어하기 쉽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Also, the use of acrylic resin and cellulose ester as a thermoplastic resin can also synergistically make use of the properties of other types of resins, so that the film A can be obtained within a range of dimensional change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s (1) to (8) It is preferable to control it more easily.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의 치수 변화율을 상기(1) 내지 (8)로 나타내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아세틸기 치환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선택, 가소제의 종류와 양의 조정, 연신 방향과 연신 배율의 조정, 막 두께를 조정하는 것 외에, 상세는 후술하지만, 웹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을 갖고, 당해 벤딩 공정이, 당해 웹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로 했을 때, 1/a의 값을 0.035mm-1 내지 0.050mm-1의 범위 내로 하고, 또한 벤딩을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면서 행하여 제막하는 것이, 필름의 분자쇄 상태를 빽빽하게 해서, 필름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량을 조정함으로써, 수분을 함유한 필름의 수축 비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means for adjusting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range indicated by the above items (1) to (8)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but may be suitably selected depending on the choice of the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ellulose acetate,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type and amount, adjusting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and adjusting the film thickness,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tep of drying the web, in the dryer zone within the range of 130 to 150 ° C, And a bending step of bending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alternately so as to be inward, wherein the bending step has a value of 1 / a when the radius when the web is bent is a (mm)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ilm by repeating the bending process within a range of 0.035 mm -1 to 0.050 mm -1 and repeating the bending process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0 times so that the molecular chain state of the film is made denser, The shrinkage ratio of the water-containing film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또한, 당해 필름 B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은 아세틸기 치환도가 2.0 내지 2.4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은 아세틸기 치환도가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것이, 다른 종류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상기 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의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film B contains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The core layer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45, and the skin layer has an acetyl group The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containing cellulose acetate having a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6 to 2.95 can be easily adjusted within the dimensional change range expressed by the above formulas (1) to (4)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개량형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치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B (modified diacetyl cellulos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정 수단을 가함으로써,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환경 변동 직후부터 단시간 동안의 치수 변화의 거동을, 도 1에서 나타내는 아크릴 필름의 치수 변화의 거동에 근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실시예와의 대비로부터, 치수 변화의 절댓값 그 자체가 아니라, 치수 변화의 속도의 거동이 표시 불균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알았다.It is made possible to approximate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for a short time immediately after the environment change of the diacetyl cellulose film to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acrylic film shown in Fig. Also, from the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 of the velocity of the dimensional change, not the absolute value of the dimensional change itself, is a factor affecting the display irregularity.

이하, 필름 A 및 필름 B의 구성 내용, 제조 방법에 대해서 순차 설명한다.Hereinafter, constituent content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will be described in order.

≪필름 A: 아크릴 필름≫«Film A: Acrylic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는, 총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인 아크릴 필름인 것이 특징이며, 당해 범위 내의 막 두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하는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취급성이 우수한 박막의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범위 내이다.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n acrylic film having a total film thickness within a range of 20 to 60 탆. By making the film thickness within th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good thin film property.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40 mu m.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이며, 본 발명에서, 아크릴 수지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이며, 그 밖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rylic resin is a polymer of an acrylate ester or methacrylate ester, and also includes a copolymer with other monomers.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에는, 메타크릴 수지도 포함된다.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50 내지 99질량%의 범위 내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것 그 밖의 단량체 단위 1 내지 50질량%의 범위 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methacrylic resin. Th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preferably contains within the range of 50 to 99 mass% of methyl methacrylate units and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hereof in an amount of 1 to 50 mass% of other monomer units.

공중합으로 형성되는 아크릴 수지를 구성하는 그 밖의 단위로서는, 알킬수의 탄소수가 2 내지 18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수의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 산,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히드록시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기 함유 2가 카르복실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글루타르이미드, 글루타르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other units constituting the acrylic resin formed by copolymerization include alkyl methacrylates having an alkyl number of 2 to 18, alkyl acrylates having an alkyl number of 1 to 18, methacrylic acid isobornyl, 2- Hydroxyalkyl acrylates such as hydroxyethyl acrylate, acrylamides such as?,? - unsaturated acids such as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cryloylmorpholine and N-hydroxyphenylmethacrylamide, N-vinylpyrrolidone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monovalent carboxylic acids containing unsaturated group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styrene and? -Methylstyrene,?,?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Maleic acid, maleimide, N-substituted maleimide, glutarimide, and glutaric anhydride.

상기 단위로부터, 글루타르이미드 및 글루타르산 무수물을 제외한 단위를 형성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상기 단위에 대응한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즉, 알킬수의 탄소수가 2 내지 18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수의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α,β-불포화 산,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히드록시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기 함유 2가 카르복실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forming the unit excluding the glutarimide and the glutaric anhydride from the above unit, the monomer corresponding to the above unit may be mentioned. Specifically, alkyl methacrylates having 2 to 18 carbon atoms in the alkyl number, alkyl acrylates having 1 to 18 carbon atoms in the alkyl number, hydroxyalkyl acrylates such as 2-hydroxyethyl acrylate such as methacrylic acid isobornyl Acr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the like, acrylamide such as?,? - unsaturated acid, acryloylmorpholine, N-hydroxyphenylmethacrylamide and the lik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N-vinylpyrrolidone,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itaconic acid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styrene and? -Methylstyrene,?,? -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maleic anhydride, maleimide and N-substituted maleimide ≪ / RTI >

또한,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갖는 중간체 중합체에 1급 아민(이미드화제)을 반응시켜서 이미드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1-26563호 공보 참조).The glutarimide unit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reacting an intermediate polymer having a (meth) acrylate unit with a primary amine (imidizing agent) to imidiz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11-26563 Reference).

글루타르산 무수물 단위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갖는 중간체 중합체를 가열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일본 특허 제4961164호 공보 참조).The glutaric anhydride unit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heating an intermediate polymer having a (meth) acrylate unit (see Japanese Patent No. 4961164).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에는, 상기의 구성 단위 중에서도, 기계적 특성으로부터,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히드록시페닐메타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글루타르산 무수물 또는 글루타르이미드가 포함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al units, from the viewpoint of mechanical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o use acrylic acid such as methaboric acid, Particularly preferred are those comprising hydroxyethyl methacrylate, maleic anhydride, maleimide, N-substituted maleimide, glutaric anhydride or glutarimide.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로서는, 고내열성, 고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구조 중에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300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18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0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545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6084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7352호 공보 등에 기재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7352호 공보에 기재된, 화학식 (1) 중, R1이 수소 원자, R2 및 R3이 메틸기인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공중합 단량체의 질량비:메타크릴산메틸/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8/2;락톤환화율 약 100%]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in the structure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transparency. As the 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0-230016, 2001-151814, 2002-120326, 2002-254544 (Meth) acrylic copolymers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as disclosed in JP-A-2005-146084 and JP-A-2009-157352. (Meth) acryl-based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in which R 1 is a hydrogen atom and R 2 and R 3 are methyl groups, which is described in JP-A-2009-157352 Mass ratio: methyl methacrylate / 2- (hydroxymethyl) methyl acrylate = 8/2; lactone conversion rate: about 100%] can be preferably used.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의 변화에 대한 치수 변화를 제어하는 관점이나, 필름 생산시의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성, 유기 용매의 건조성,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의 개선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만 내지 200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9만 내지 100만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만 내지 50만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view of controlling the dimensional change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use environment, the peeling property from the metal support at the time of film production, the drying property of the organic solven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characteristic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80,000 to 2,000,000,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90,000 to 1,000,000, and particularly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0,000 to 500,000.

8만 이상이면,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200만 이하이면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성 및 유기 용매의 건조성이 우수하다. 8만 이상이면, 또한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50만 이하이면 또한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성 및 유기 용매의 건조성이 우수하다.If it is 80,000 or more,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If it is 2,000,000 or less, the peelability from the metal support and the dryness of the organic solvent are excellent. If it is 80,000 or more,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if it is 500,000 or less, the peelability from the metal support and the dryness of the organic solvent are excellent.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용매: 메틸렌클로라이드Solvent: methylene chloride

칼럼: Shodex K806, K805, K803G(쇼와 덴꼬(주)제를 3개 접속해서 사용함)Column: Shodex K806, K805, K803G (connected by using three connections made by Showa Denko K.K.)

칼럼 온도: 25℃Column temperature: 25 ° C

시료 농도: 0.1질량%Sample concentration: 0.1 mass%

검출기: RI Model 504(GL사이언스사 제조)Detector: RI Model 504 (manufactured by GL Science)

펌프: L6000(히타치 세이사꾸쇼(주) 제조)Pump: L6000 (manufactured by Hitachi Seisakusho Co., Ltd.)

유량: 1.0ml/minFlow rate: 1.0 ml / min

교정 곡선: 표준 폴리스티렌 STK standard 폴리스티렌(도소(주) 제조)Mw=500 내지 2800000의 범위 내의 13 샘플에 의한 교정 곡선을 사용하였다. 13 샘플은, 거의 등간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alibration curve: Standard polystyrene STK standard A calibration curve with 13 samples within the range of Mw = 500 to 2800000 (polystyrene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was used. The 13 samples are preferably us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 등의 공지된 방법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중합 개시제로서는, 통상의 퍼옥시드계 및 아조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레독스계로 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에 대해서는, 현탁 또는 유화 중합에서는 30 내지 100℃의 범위 내, 괴상 또는 용액 중합에서는 80 내지 160℃의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환원 점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알킬머캅탄 등을 연쇄 이동제로서 사용해서 중합을 실시할 수도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of known methods such as suspens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or solution polymerization may be used. Here,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 conventional peroxide-based or azo-based one may be used, or a redox-based one may be use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in the range of 30 to 100 占 폚 in suspension or emulsion polymerization and in the range of 80 to 160 占 폚 in mass or solution polymerization. In order to control the reduced viscosity of the obtained copolymer, polymerization may also be carried out using alkylmercaptan or the like as a chain transfer agent.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로서는, 시판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델펫(60N, 80N, 980N, SR8200(이상,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 제조), 다이아날 BR52, BR80, BR83, BR85, BR88, EMB-143, EMB-159, EMB-160, EMB-161, EMB-218, EMB-229, EMB-270, EMB-273(이상, 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KT75, TX400S, IPX012(이상, 덴끼 가가꾸 고교(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As the 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mercially available acrylic resins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Delpet (60N, 80N, 980N, SR8200, manufactured by Asahi Kasei Chemicals Co., Ltd.), DAIANAL BR52, BR80, BR83, BR85, BR88, EMB-143, EMB-159, EMB- EMB-161, EMB-218, EMB-229, EMB-270, EMB-273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KT75, TX400S and IPX012 (manufactured by Denki Kagaku Kogyo Co., Two or more acrylic res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에스테르 단량체를 함유하는 1종 또는 복수종의 단량체를 중합한 고분자이며, 복수종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이 광학 특성,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에는, 아크릴 수지 이외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지만, 아크릴 수지가 필름에 대하여 80 내지 100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되는 것이, 광학 특성, 내열성, 기계적 특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acrylic resin is a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one or more monomers containing an acrylic ester monomer, and a copolymer of a plurality of kinds of monomers is preferable in view of opt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dditives other than acrylic resi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resin is contained in the range of 80 to 100 mass% with respect to the film in terms of optical properties, heat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cost .

첨가제의 일례로서는, 국제 공개 제2010/001668호에 기재된 아크릴 입자(D)를,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치수 변화율의 조정을 위해서 함유해도 된다. 이러한 다층 구조 아크릴계 입상 복합체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의 「메타블렌 W-341」, 가네까사 제조의 「가네에이스」, 쿠레하사 제조의 「파랄로이드」, 롬 앤드 하스사 제조의 「아크릴로이드」, 간쯔 가세이 고교사 제조의 「스타필로이드」, 케미 스노우 MR-2G, MS-300X(이상, 소껭 가가꾸(주) 제조) 및 구라레사 제조의 「파라펫 SA」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내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additive, the acrylic particles (D)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WO20020001668 may contai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ilm in order to adjust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such a multi-layered acrylic granular composite include "Metablen W-341"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Kanase" manufactured by Kaneka Corporation, "Paraloid" manufactured by Kureha Corporation, (Trademark) manufactured by Kanto Kasei Kogyo Co., Ltd., "Acrylyloid" manufactured by Kanto Kasei Kogyo Co., Ltd., "Staphyloid" manufactured by Gansu Kasei Corporation, "KEMIS Snow MR-2G"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다른 첨가제로서, 후술하는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박리 보조제, 계면 활성제, 염료,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s other additives, it is also preferable to contain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deterioration inhibitors, exfoliation aids, surfactants, dyes and fine partic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특히, 하기 당 에스테르 또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following sugar ester or polycondensation ester.

〔당 에스테르〕[Sugar est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인 아크릴 필름에 있어서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이외의 당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치수 변화의 거동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acrylic film as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sugar ester other than the cellulose ester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본 발명에 따른 당 에스테르로서는, 피라노오스환 또는 푸라노오스환 중 적어도 1종을 1개 이상 12개 이하 갖고, 그 구조의 OH기의 모두 또는 일부를 에스테르화한 당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ugar 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sugar ester having at least one of a pyranose ring or a furanose ring having at least one and no more than 12 OH groups in its structure and esterifying all or a part of its OH groups.

본 발명에 따른 당 에스테르란, 푸라노오스환 또는 피라노오스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단당이거나, 당 구조가 2 내지 12개 연결된 다당이어도 된다. 그리고, 당 에스테르는, 당 구조가 갖는 OH기 중 적어도 1개가 에스테르화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당 에스테르에 있어서는,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가, 4.0 내지 8.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7.5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ugar 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any one of a furanose ring and a pyranose ring, and may be a monosaccharide or a polysaccharide having 2 to 12 sugar structures. The sugar ester is preferably a compound obtained by esterifying at least one OH group of the sugar structure. In the sugar 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degree of ester substitu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8.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7.5.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당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당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sugar ester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ugar ester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화학식 (A)(A)

(HO)m-G-(O-C(=O)-R2)n (HO) m -G- (OC ( = O) -R 2) n

상기 화학식 (A)에서, G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를 나타내고, R2는, 지방족 기 또는 방향족 기를 나타내고, m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히드록시기의 수의 합계이며, n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O-C(=O)-R2)기의 수의 합계이며, 3≤m+n≤8이며, n≠0이다.In the above formula (A), G represents a residue of a monosaccharide or a disaccharide, R 2 represents an aliphatic group or an aromatic group, m is the total number of hydroxyl groups directly bonded to a residue of a monosaccharide or a disaccharide, n Is the sum of the numbers of - (OC (= O) -R 2 ) groups directly bonded to a residue of a monosaccharide or a disaccharide, and 3 ? M + n? 8 and n?

화학식 (A)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당 에스테르는, 히드록시기의 수(m), -(O-C(=O)-R2)기의 수(n)가 고정된 단일종의 화합물로서 단리되는 것은 곤란하며, 식 중의 m, n의 상이한 성분이 몇 종류 혼합된 화합물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히드록시기의 수(m), -(O-C(=O)-R2)기의 수(n)가 각각 변화된 혼합물로서의 성능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의 경우,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가, 5.0 내지 7.5의 범위 내인 당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The sugar est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is difficult to be isolated as a single kind of compound in which the number of hydroxy groups (m) and the number of - (OC (= O) -R 2 ) groups (n) , And m and n in the formula are mixed with several kinds of different components. Therefore, the performance as a mixture in which the number of hydroxy groups (m) and the number of - (OC (= O) -R 2 ) groups (n) are respectively changed is important. 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d sugar esters within the range of 5.0 to 7.5 are preferred.

상기 화학식 (A)에서, G는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를 나타낸다. 단당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굴로오스, 이도오스, 갈락토오스, 탈로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릭소오스 등을 들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A), G represents a residue of a monosaccharide or a disaccharide. Specific examples of monosaccharides include, for example, allose, altrose, glucose, mannose, gulose, idose, galactose, talose, ribose, arabinose, xylose and ricin.

이하에,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당 에스테르의 단당류의 잔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하는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monosaccharide residue of the sugar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ified compounds.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또한, 이당류 잔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트레할로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락토오스, 이소트레할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disaccharide moiety include, for example, trehalose, sucrose, maltose, cellobiose, gentiobiose, lactose, isotrehalose and the like.

이하에,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당 에스테르의 이당류 잔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하는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disaccharide residue of a sugar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ified compounds.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화학식 (A)에서, R2는, 지방족 기 또는 방향족 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방족 기 및 방향족 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In the formula (A), R 2 represents an aliphatic group or an aromatic group. Here, the aliphatic group and the aromatic group may each independently have a substituent.

또한, 화학식 (A)에서, m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히드록시기의 수의 합계이며, n은,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잔기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O-C(=O)-R2)기의 수의 합계이다. 그리고, 3≤m+n≤8일 것이 필요하고, 4≤m+n≤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0이다. 또한, n이 2 이상인 경우, -(O-C(=O)-R2)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In the formula (A), m is the sum of the number of hydroxyl groups directly bonded to the monosaccharide or disaccharide residue, and n is - (OC (= O) -R 2 ) the total number of groups. It is necessary that 3? M + n? 8 and 4? M + n? 8 be desirable. Also, n? 0. When n is 2 or more, the - (OC (= O) -R 2 ) group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2의 정의에서의 지방족 기는, 직쇄이거나, 분지이거나, 환상이어도 되고, 탄소수 1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1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방족 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so-프로필, 시클로프로필, n-부틸, iso-부틸, tert-부틸, 아밀, iso-아밀, tert-아밀, n-헥실, 시클로헥실, n-헵틸, n-옥틸, 비시클로옥틸, 아다만틸, n-데실, tert-옥틸, 도데실, 헥사데실, 옥타데실, 디데실 등의 각 기를 들 수 있다.The aliphatic group in the definition of R 2 may be linear, branched or cyclic, preferably 1 to 25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1 to 20 carbon atom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15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group include linear or branched aliphatic groups such as methyl, ethyl, n-propyl, iso-propyl, cyclopropyl, n-butyl, iso-butyl, Cyclohexyl, n-heptyl, n-octyl, bicyclooctyl, adamantyl, n-decyl, tert-octyl, dodecyl, hexadecyl, octadecyl and didecyl.

또한, R2의 정의에서의 방향족 기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어도 되고, 방향족 복소환 기이어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수가 6 내지 24인 것이 바람직하고, 6 내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비페닐, 터페닐 등의 각 환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비페닐환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복소환 기로서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 또는 황 원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이 바람직하다. 복소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푸란, 피롤, 티오펜, 이미다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졸, 트리아진, 인돌, 인다졸, 퓨린, 티아졸린, 티아디아졸, 옥사졸린, 옥사졸, 옥사디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프탈라진, 나프티리딘, 퀴녹살린, 퀴나졸린, 신놀린, 프테리딘, 아크리딘, 페난트롤린, 페나진, 테트라졸, 벤즈이미다졸, 벤즈옥사졸, 벤즈티아졸, 벤조트리아졸, 테트라자인덴 등의 각 환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복소환 기로서는, 피리딘환, 트리아진환, 퀴놀린환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aromatic group in the definition of R 2 may be an aromatic hydrocarbon group or an aromatic heterocyclic group, and more preferably an aromatic hydrocarbon group. The aromatic hydrocarbon group preferably has 6 to 24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6 to 12 carbon atoms. Specific examples of the aromatic hydrocarbon group include rings of benzene, naphthalene, anthracene, biphenyl, terphenyl, and the like. As the aromatic hydrocarbon group, a benzene ring, a naphthalene ring and a biphenyl ring are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aromatic heterocyclic group, a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of an oxygen atom, a nitrogen atom or a sulfur atom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the heterocycle include, for example, furan, pyrrole, thiophene, imidazole, pyrazole, pyridine, pyrazine, pyridazine, triazole, triazine, indole, indazole, purine, thiazoline, thiadiazole, Wherein the benzene ring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benzene ring, phenylene ring, Benzooxazole, benzthiazole, benzotriazole, tetrazaine, and the like. As the aromatic heterocyclic group, a pyridine ring, a triazine ring, and a quinoline ring are particularly preferable.

이어서,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당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를 하기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하는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preferable examples of the sugar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ified compounds.

당 에스테르는 1개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상이한 치환기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방향족 치환기와 지방족 치환기를 1분자 내에 함유하고, 상이한 2개 이상의 방향족 치환기를 1분자 내에 함유하고, 상이한 2개 이상의 지방족 치환기를 1분자 내에 함유할 수 있다.The sugar ester may contain two or more different substituent groups in one molecule and may contain two or more different aromatic substituent groups in one molecule and may contain two or more different aliphatic substituent groups May be contained in one molecule.

또한, 2종류 이상의 당 에스테르를 혼합해서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방향족 치환기를 함유하는 당 에스테르와, 지방족 치환기를 함유하는 당 에스테르를 동시에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wo or more kinds of sugar esters are mixed and contain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both the sugar ester containing an aromatic substituent and the sugar ester containing an aliphatic substituent are contained at the same time.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합성예: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당 에스테르의 합성예>&Lt; Synthesis Example: Synthesis Example of a sugar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

이하에, 본 발명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당 에스테르의 합성의 일례를 나타낸다.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the synthesis of a sugar ester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교반 장치,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자당을 34.2g(0.1몰), 무수 벤조산을 180.8g(0.8몰), 피리딘을 379.7g(4.8몰) 각각 투입하고, 교반 하에서 질소 가스 도입관으로부터 질소 가스를 버블링시키면서 승온시켜, 70℃에서 5시간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였다. 이어서, 플라스크 내를 4×102Pa 이하로 감압하고, 60℃에서 과잉의 피리딘을 증류 제거한 후에, 플라스크 내를 1.3×10Pa 이하로 감압하고, 120℃까지 승온시켜, 무수 벤조산, 생성된 벤조산의 대부분을 증류 제거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톨루엔을 1L, 0.5질량%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300g 첨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정치하여, 톨루엔층을 분취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취한 톨루엔층에 물을 100g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수세한 후, 톨루엔층을 분취하고, 감압 하(4×102Pa 이하), 60℃에서 톨루엔을 증류 제거시켜, 화합물 A-1, A-2, A-3, A-4 및 A-5의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HPLC 및 LC-MASS로 해석한 결과, A-1이 7질량%, A-2가 58질량%, A-3이 23질량%, A-4가 9질량%, A-5가 3질량%이고, 당 에스테르의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가 6.57이었다. 또한, 얻어진 혼합물의 일부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각각 순도 100%의 A-1, A-2, A-3, A-4 및 A-5를 얻었다.34.2 g (0.1 mol) of sucrose, 180.8 g (0.8 mol) of anhydrous benzoic acid and 379.7 g (4.8 mol) of pyridine were fed into a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reflux condenser, a thermometer and a nitrogen gas- ,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while nitrogen gas was bubbled through the nitrogen gas introducing tube under stirring, and the esterific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70 ° C for 5 hours. Subsequently, the inside of the flask was reduced to 4 × 10 2 Pa or less, excess pyridine was distilled off at 60 ° C., the pressure in the flask was reduced to 1.3 × 10 5 Pa or less,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20 ° C. to obtain an anhydrous benzoic acid Most were distilled off. Subsequently, 1 L of toluene and 300 g of a 0.5 mass% aqueous solution of sodium carbonate were added, stirred at 50 캜 for 30 minutes, and then allowed to stand to separate the toluene layer. Finally, 100 g of water was added to the separated toluene layer, and the mixture was rins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n, the toluene layer was collected, and toluene was distilled off at 60 캜 under reduced pressure (4 x 10 2 Pa or less) -1, A-2, A-3, A-4 and A-5. Analysis of the obtained mixture by HPLC and LC-MASS showed that 7 mass% of A-1, 58 mass% of A-2, 23 mass% of A-3, 9 mass% of A- Mass%, and the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of the sugar ester was 6.57. Further, a part of the obtained mixture was purifi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o obtain A-1, A-2, A-3, A-4 and A-5 having a purity of 100%.

당해 당 에스테르의 첨가량은, 아크릴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20질량%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5질량%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sugar ester add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20 mas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5 mass%, based on the acrylic res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는, 하기 에스테르(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the following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중축합 에스테르〕[Polycondensation est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에서는, 가소제의 하나로서, 당 에스테르 이외의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ester other than the sugar ester as one of the plasticizers.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당 에스테르 이외의 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ster other than the sugar ester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당해 중축합 에스테르는, 그 가소적인 효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에서는, 1 내지 20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5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polycondensation est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range of 1 to 20 mass% in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15 mass% .

화학식 (1)(1)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G2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잔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 잔기 또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옥시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 A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In the above formula (1), B 3 and B 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or a hydroxy group. G 2 represents an 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 aryl glycol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n oxy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represents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n aryl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or more.

본 발명에서, 중축합 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중축합 에스테르이며, A는 중축합 에스테르 중의 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G2는 알코올 잔기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condensation ester is a polycondensation ester containing a repeating unit obtained by reacting a dicarboxylic acid with a diol, A represents a carboxylic acid residue in the polycondensation ester, and G 2 represents an alcohol residue.

중축합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지환식 디카르복실산이며,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다. 디카르복실산은, 1종이거나,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특히 방향족, 지방족을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polycondensation ester is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an alicyclic dicarboxylic acid, preferably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The dicarboxylic acid may be one ki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mix aromatic and aliphatic.

중축합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은, 방향족 디올, 지방족 디올 또는 지환식 디올이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8의 디올이다. 디올은, 1종이거나,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The diol constituting the polycondensation ester is an aromatic diol, an aliphatic diol or an alicyclic diol, preferably an aliphatic diol, more preferably a diol having 1 to 8 carbon atoms. The diol may be one ki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그 중에서도, 적어도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1 내지 8의 디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1 내지 8의 디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peating unit obtained by reacting at least a dicarboxylic acid containing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with a diol having a carbon number of 1 to 8, and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 repeating unit obtained by reacting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with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More preferably a repeating unit obtained by reacting a carboxylic acid with a diol having 1 to 8 carbon atoms.

중축합 에스테르의 분자의 양쪽 말단은, 밀봉되어 있거나, 밀봉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Both ends of the molecule of the polycondensation ester may be sealed or not sealed.

화학식 (1)의 A를 구성하는 알킬렌디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1,2-에탄디카르복실산(숙신산, 1,3-프로판디카르복실산(글루타르산, 1,4-부탄디카르복실산(아디프산, 1,5-펜탄디카르복실산(피멜산, 1,8-옥탄디카르복실산(세바스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가 포함된다. A를 구성하는 알케닐렌디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A를 구성하는 아릴디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1,2-벤젠디카르복실산(프탈산), 1,3-벤젠디카르복실산, 1,4-벤젠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alkylene 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A in the formula (1) include 1,2-ethanedicarboxylic acid (succinic acid, 1,3-propanedicarboxylic acid (glutaric acid, 1,4-butane Dicarboxylic acid (including divalent groups derived from adipic acid, 1,5-pentanedicarboxylic acid (pimelic acid, 1,8-octanedicarboxylic acid (sebacic acid), etc.) Specific examples of the nylenedicarboxylic acid include maleic acid and fumaric acid. Specific examples of the aryl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A include 1,2-benzenedicarboxylic acid (phthalic acid), 1,3-benzene Dicarboxylic acid, 1,4-benzenedicarboxylic acid, and 1,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는, 1종이거나,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A는,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과 탄소 원자수 8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과의 조합이 바람직하다.A may be one species, or two or more species may be combined. Among them, A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nd an aryl dicarboxylic acid having 8 to 12 carbon atoms.

화학식 (1) 중의 G2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탄소 원자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탄소 원자수 4 내지 12의 옥시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G 2 in the formula (1) represents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yl glycol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ene glycol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nd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oxyalkylene glycol.

G2에서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의 예에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펜탄),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헵탄),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옥타데칸디올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in G 2 include ethylene glycol, 1,2-propylene glycol, 1,3-propylene glycol, 1,2-butanediol, 1,3 Butanediol, 1,2-propanediol, 2-methyl-1,3-prop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2,2- ), 2-n-butyl-2-ethyl-1,3-propanediol (3,3-dimethylolheptane) , 3-methyl-1,5-pentanediol, 1,6-hexanediol, 2,2,4-trimethyl-1,3-pentanediol, , 8-octanediol, 1,9-nonanediol, 1,10-decanediol and 1,12-octadecanediol, and the like.

G2에서의 탄소 원자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의 예에는, 1,2-디히드록시벤젠(카테콜), 1,3-디히드록시벤젠(레조르시놀), 1,4-디히드록시벤젠(히드로퀴논)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가 포함된다. G에서의 탄소 원자수가 4 내지 12인 옥시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의 예에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yl glycol having 6 to 12 carbon atoms in G 2 include 1,2-dihydroxybenzene (catechol), 1,3-dihydroxybenzene (resorcinol), 1,3- 1,4-dihydroxybenzene (hydroquin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divalent group derived from oxyalkylene glycol having 4 to 12 carbon atoms in G include divalent groups derived from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tripropylene glycol, and the like .

G2는, 1종이거나, 2종류 이상이 조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G2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가 바람직하고, 2 내지 5가 더욱 바람직하고, 2 내지 4가 가장 바람직하다.G 2 may be one species, or two or more species may be combined. Among them, G 2 is preferably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2 to 5, and most preferably 2 to 4.

화학식 (1)에서의 B3 및 B4는, 각각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 또는 히드록시기이다.B 3 and B 4 in the formula (1) are each a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or an aliphatic monocarboxylic acid, or a hydroxy group.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에서의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은, 분자 내에 방향환을 함유하는 카르복실산이며, 방향환이 카르복시기와 직접 결합한 것뿐만 아니라, 방향환이 알킬렌기 등을 통하여 카르복시기와 결합한 것도 포함한다.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의 예에는, 벤조산, 파라tert-부틸벤조산, 오르토톨루일산, 메타톨루일산, 파라톨루일산, 디메틸벤조산, 에틸벤조산, 노르말프로필벤조산, 아미노벤조산, 아세톡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3-페닐프로피온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벤조산, 파라톨루일산이 바람직하다.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n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s a carboxylic acid containing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and not only the aromatic ring is directly bonded to the carb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Examples of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nclude benzoic acid, para-tert-butylbenzoic acid, orthotoluenic acid, meta-toluic acid, paratoluic acid, dimethylbenzoic acid, ethylbenzoic acid, And monovalent groups derived from acetoxybenzoic acid, phenylacetic acid, 3-phenylpropionic acid, and the like. Among them, benzoic acid and para-toluic acid are preferable.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의 예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카프릴산, 카프로산, 데칸산, 도데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 부분의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3인 알킬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바람직하고, 아세틸기(아세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iphatic monocarboxylic acid include monovalent groups derived from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anoic acid, caprylic acid, capr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the like. Among them, a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 monocarboxylic acid having 1 to 3 carbon atoms in the alkyl moiety is preferable, and an acetyl group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cetic acid) is more preferable.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에스테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3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6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ondensate 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0 to 3,00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0 to 2,00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이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polycondensation esters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이하, 상기 설명한 중축합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합성예에 대해서 기재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synthesis of the polycondensation este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중축합 에스테르 P1><Polycondensation ester P1>

에틸렌글리콜 180g, 무수 프탈산 278g, 아디프산 91g, 벤조산 61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3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에틸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1을 얻었다. 산가 0.20, 수 평균 분자량 450이었다.180 g of ethylene glycol, 278 g of phthalic anhydride, 91 g of adipic acid, 610 g of benzo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ut into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nd a full cooling tube, The temperature was gradually raised while stirring at 230 캜.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eth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1. An acid value of 0.2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50.

<중축합 에스테르 P2><Polycondensation ester P2>

1,2-프로필렌글리콜 251g, 무수 프탈산 244g, 아디프산 103g, 벤조산 61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3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2-프로필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2를 얻었다. 산가 0.10, 수 평균 분자량 450이었다.251 g of 1,2-propylene glycol, 244 g of phthalic anhydride, 103 g of adipic acid, 610 g of benzo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ut into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nd the temperature was gradually raised while stirring in a nitrogen stream until the temperature reached 230 ° C.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1,2-prop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2. An acid value of 0.1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50.

<중축합 에스테르 P3><Polycondensation ester P3>

1,4-부탄디올 330g, 무수 프탈산 244g, 아디프산 103g, 벤조산 61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3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4-부탄디올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3을 얻었다. 산가 0.50, 수 평균 분자량 2000이었다.330 g of 1,4-butanediol, 244 g of phthalic anhydride, 103 g of adipic acid, 610 g of benzo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charged into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 And the temperature was gradually raised while stirring in a nitrogen stream until the temperature reached 230 deg.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unreacted 1,4-butanedi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3. An acid value of 0.5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

<중축합 에스테르 P4><Polycondensation ester P4>

1,2-프로필렌글리콜 251g, 테레프탈산 354g, 벤조산 61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3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2-프로필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4를 얻었다. 산가 0.10, 수 평균 분자량 400이었다.251 g of 1,2-propylene glycol, 354 g of terephthalic acid, 610 g of benzo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charged into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nd a super cooling tube, Deg.] C while stirring.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1,2-prop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DEG C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4. An acid value of 0.1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00.

<중축합 에스테르 P5><Polycondensation ester P5>

1,2-프로필렌글리콜 251g, 테레프탈산 354g, p-톨루일산 68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3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2-프로필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5를 얻었다. 산가 0.30, 수 평균 분자량 400이었다.251 g of 1,2-propylene glycol, 354 g of terephthalic acid, 680 g of p-tolu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laced in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with stirring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stream becomes 230 deg.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1,2-prop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5. An acid value of 0.3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00.

<중축합 에스테르 P6><Polycondensation ester P6>

180g의 1,2-프로필렌글리콜, 292g의 아디프산,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0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2-프로필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6을 얻었다. 산가 0.10, 수 평균 분자량 400이었다.180 g of 1,2-propylene glycol, 292 g of adip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laced in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nd a cooling tube,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while stirring to 200 ° C.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1,2-prop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6. An acid value of 0.1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00.

<중축합 에스테르 P7><Polycondensation ester P7>

180g의 1,2-프로필렌글리콜, 무수 프탈산 244g, 아디프산 103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0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1,2-프로필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7을 얻었다. 산가 0.10, 수 평균 분자량 320이었다.244 g of 1,2-propylene glycol, phthalic anhydride, 103 g of adip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laced in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nd a full cooling tube, The temperature is gradually raised in the nitrogen stream while stirring until the temperature becomes 200 캜.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1,2-prop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7. An acid value of 0.1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20.

<중축합 에스테르 P8><Polycondensation ester P8>

에틸렌글리콜 251g, 무수 프탈산 244g, 숙신산 120g, 아세트산 150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0.191g을, 온도계, 교반기, 완급 냉각관을 구비한 2L의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기류 중 200℃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승온시킨다. 중합도를 관찰하면서 탈수 축합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에서 미반응의 에틸렌글리콜을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중축합 에스테르 P8을 얻었다. 산가 0.50, 수 평균 분자량 1200이었다.251 g of ethylene glycol, 244 g of phthalic anhydride, 120 g of succinic acid, 150 g of acetic acid and 0.191 g of tetraisopropyl titanate as an esterification catalyst were placed in a 2 L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thermometer, Deg.] C while stirring. Dehydration condensa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while observing the polymerization degree.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unreacted ethylene glycol was distilled off under reduced pressure at 200 占 폚 to obtain a polycondensation ester P8. An acid value of 0.50,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

〔적층 구조의 필름: (TAC/아크릴/TAC) 필름〕[Laminated film: (TAC / acrylic / TAC)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는,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것이, 다른 종류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상기 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율을 원하는 범위 내로 제어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having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a core layer, the cor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containing a cellulose ester, It is easy to control the dimensional change rate expressed by the above formulas (1) to (4) within a desired range by overlapping other types of resins.

본 명세서 중에서, 「코어층」이란 필름의 층 중에서 가장 막 두께가 두꺼운 층을 말하며, 「스킨층」이란, 당해 「코어층」보다도 막 두께가 얇은 층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층」과 「스킨층」의 적층 구조의 필름의 「코어층」측에, 또한 「스킨층」이 있지만, 이 경우, 「코어층」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킨층」은, 막 두께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quot; core layer &quot; refers to a layer having the largest thickness among the layers of the film, and the term &quot; skin layer &quot; means a layer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quot; core layer &quo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a &quot; skin layer &quot; on the &quot; core layer &quot; side of the film having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quot; core layer &quot;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film thickness.

코어층에 함유되는 아크릴 수지는 상기 아크릴 수지나 첨가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As 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core layer, the above acrylic resin, additives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used.

스킨층에 함유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인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셀룰로오스(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및 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인 것이,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치수 변화에 의한 필름과 접착제 부분의 왜곡 발생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ester contained in the ski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 include cellulose (di (tri)) acetate, cellulose propionate, cellulos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cellulose acetate phthalate and cellulose Phthalate, and cellulose tri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with an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6 to 2.95 is excellent in adhesion to a polarizer, and distortion of a film and an adhesive portion due to dimensional change is suppresse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tion.

또한, 코어층 및 스킨층에는, 후술하는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박리 보조제, 계면 활성제, 염료,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layer and the skin layer preferably contain an additive such as a plastic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deterioration inhibitor, a stripping aid, a surfactant, a dye and a fine particle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제막이 동시의 다층 유연 제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공유연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formation is simultaneous multi-layer flexible film forma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is a shared loop to be described later.

공유연의 경우, 각 층의 두께는 상기 코어층보다도 스킨층의 막 두께가 얇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킨층이 필름 A의 총 두께의 0.2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필름 A의 총 막의 두께는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므로, 코어층의 막 두께 및 스킨층의 막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each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thinner than that of the core layer.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0.2 to 5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A, Is preferably 2 to 30% in thickness. Since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film A i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core layer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kin layer are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아크릴 수지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혼합한 필름〕[Film mixed with acrylic resin and cellulose est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는,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혼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혼합 질량비가, 아크릴 수지:셀룰로오스에스테르=95:5 내지 50:5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0:10 내지 70:30의 범위 내인 것이, 환경 변동에 의한 치수 변화의 거동을 제어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film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rylic resin and a cellulose ester may be mixed and used. In the case of mixing, the mixing ratio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cellulose ester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acrylic resin: cellulose ester = 95: 5 to 50:50, and preferably 90:10 to 70:30, It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아크릴 수지는, 상술한 아크릴 수지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상기 스킨층에 함유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또는 총 아실기 총 치환도 2.0 내지 2.9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치환도가 0.1 내지 1.9이며, 또한 프로피오닐기의 기 치환도가 1.1 내지 2.8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당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rylic resi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acrylic resins. As the cellulose ester, a resin contained in the skin layer may be used, or cellulose tri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6 to 2.95, or a total acyl group total substitution degree in the range of 2.0 to 2.9, Is 0.1 to 1.9, and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the propionyl group is 1.1 to 2.8 is more preferably used,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th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필름 B: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Quot; Film B: cellulose acetate film &quo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는,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막 두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범위 내이다. 이 범위 내이면,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취급성이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어, 박막의 편광판을 제작하기 쉬워진다.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The film thickness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40 占 퐉. Within this range, sufficient strength and excellent handling properties can be obtained, and a polarizing plate of a thin film can be easily produced.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는,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주성분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주성분이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중,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60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인 것을 말한다. 당해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는, 2.1 내지 2.4의 범위 내인 것이, 치수 변화의 거동을 제어하기 쉽고, 또한 위상차의 발현성도 높아,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사용에 보다 바람직하다.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with an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s a main component. The main component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ellulose acetate having a degree of substitution of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in an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of 2.0 to 2.5 in the cellulose acetate constituting the cellulose acetate film in an amount of 60% by mass or more, preferably 80% by mass or more , And more preferably 95 mass% or more. The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of the acetyl group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1 to 2.4 because it is easy to control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and the degree of phase difference is high and is more preferable for use as a retardation film.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에 있어서의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는, ASTM-D817-96에 준하여 측정해서 구할 수 있다.The average substitution degree of the acetyl group in the cellulose acetate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in accordance with ASTM-D817-96.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함과 함께, 제막시의 유연 적성이 높고, 필름으로서도 취급성이 우수한 등의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verage substitution degree of the acetyl group of the applied cellulose acetat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ifested, and the properties such as high suitability for film formation and excellent handling property as a film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수 평균 분자량(Mn)은 80000 내지 155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90000 내지 152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0000 내지 3100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Mn)에 대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비율(Mw/Mn)은, 1.4 내지 2.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2.0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the cellulose acetat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00 to 155000,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000 to 15200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20000 to 310000. The ratio (Mw / Mn)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to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 to 2.5,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2.0.

상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평균 분자량(Mn, Mw)은, 각각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average molecular weight (Mn, Mw) of the cellulose acetate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는, 관용의 방법, 예를 들어 황산 촉매법, 아세트산법, 메틸렌클로라이드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원재료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면화 린터, 목재 펄프(침엽수 유래, 활엽수 유래), 케나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것들로부터 얻어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는 각각 임의의 비율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 10-45804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81645호에 기재된 방법을 참고로 해서 합성할 수 있다.The cellulose ace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sulfuric acid catalyst method, an acetic acid method, a methylene chloride method and the like. The raw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tton linter, wood pulp (conifer- Derived from hardwoods), kenaf, and the like. And the cellulose acetate obtained from them may be mixed and used at an arbitrary ratio. Further, the cellulose ace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ynthesized by referring to the methods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45804 and 2005-281645.

〔당 에스테르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Sugar ester and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는, 필름 A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당 에스테르 또는 상술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치수 변화의 속도를 조정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djusting the speed of dimensional change such as the sugar ester or the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as in the case of the film A.

당해 당 에스테르 및 당해 중축합 에스테르의 필름 B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질량%의 범위 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질량%의 범위 내이다.The content of the sugar ester and the polycondensation ester in the film B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 to 20 mass%,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 to 15 mass%.

〔기타 첨가제〕[Other additives]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는,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박리 보조제, 계면 활성제, 염료,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들의 첨가제를 설명하는데, 필름 A와 필름 B는 적절히, 첨가제의 종류, 첨가량을 조정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필름 A와 필름 B를 보호 필름이라 칭하여 설명한다.The films A an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deterioration inhibitors, release aids, surfactants, dyes and fine particles. Hereinafter, these additives will be describ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suitably used by adjusting the kinds and amounts of the additives. Hereinafter, the films A and B are referred to as protective film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Polyhydric alcohol ester)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에 있어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contain a polyhydric alcohol est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화학식 (2)(2)

B1-G-B2 B 1 -GB 2

상기 화학식 (2)에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G는, 탄소수가 2 내지 12인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In the above formula (2), B 1 and B 2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G represents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2 to 12 carbon atoms.

화학식 (2)에서, G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In the formula (2), G represents a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 linear or branched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G에서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의 예에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펜탄),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헵탄),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옥타데칸디올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를 들 수 있다. 알킬렌글리콜은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divalent group derived from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in G include ethylene glycol, 1,2-propylene glycol, 1,3-propylene glycol, 1,2-butanediol, 1,3- 1,3-prop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neopentyl glycol) , 2-n-butyl-2-ethyl-1,3-propanediol (3,3-dimethylolheptane), 2,2- Methyl-1,5-pentanediol, 1,6-hexanediol, 2,2,4-trimethyl-1,3-pentanediol, Hexanediol, 1,8-octanediol, 1,9-nonanediol, 1,10-decanediol and 1,12-octadecanediol. The alkylene glycol may be used preferably in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화학식 (2)에서,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이다.In formula (2), B 1 and B 2 are each independently a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or an aliphatic monocarboxylic acid.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에서의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은, 분자 내에 방향환을 함유하는 카르복실산이며, 방향환이 카르복시기와 직접 결합한 것뿐만 아니라, 방향환이 알킬렌기 등을 통하여 카르복시기와 결합한 것도 포함한다. 방향환 함유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의 예에는, 벤조산, 파라 tert-부틸벤조산, 오르토톨루일산, 메타톨루일산, 파라톨루일산, 디메틸벤조산, 에틸벤조산, 노르말프로필벤조산, 아미노벤조산, 아세톡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3-페닐프로피온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벤조산, 파라톨루일산이 바람직하다.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n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the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s a carboxylic acid containing an aromatic ring in the molecule and not only the aromatic ring is directly bonded to the carb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Examples of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romatic ring-containing monocarboxylic acid include benzoic acid, para-tert-butylbenzoic acid, orthotoluenic acid, meta-toluic acid, paratoluic acid, dimethylbenzoic acid, ethylbenzoic acid, And monovalent groups derived from acetoxybenzoic acid, phenylacetic acid, 3-phenylpropionic acid, and the like. Among them, benzoic acid and para-toluic acid are preferable.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의 예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카프릴산, 카프로산, 데칸산, 도데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알킬 부분의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0인 알킬모노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바람직하고, 아세틸기(아세트산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iphatic monocarboxylic acid include monovalent groups derived from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anoic acid, caprylic acid, caproic acid, decanoic acid, dodecano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the like. Among them, a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n alkyl monocarboxylic acid having 1 to 10 carbon atoms in the alkyl moiety is preferable, and an acetyl group (monovalent group derived from acetic acid) is more preferable.

이하에,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다가 알코올에스테르의 구체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하는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 examples of polyhydric alcohol esters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ified compounds.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4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는, 보호 필름에 대하여 0.5 내지 5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3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2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polyhydric alcohol est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range of 0.5 to 5 mass%, more preferably 1 to 3 mass%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 by mass.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2)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는,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합성 방법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The polyhydric alcohol est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ynthesiz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synthesis method.

(인산에스테르)(Phosphate ester)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은, 인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로서는, 트리아릴인산에스테르, 디아릴인산에스테르, 모노아릴인산에스테르, 아릴포스폰산 화합물, 아릴포스핀옥시드 화합물, 축합 아릴인산에스테르, 할로겐화 알킬인산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인산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포스폰산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아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osphate ester. Examples of the phosphoric ester include triaryl phosphoric acid ester, diaryl phosphoric acid ester, monoaryl phosphoric acid ester, aryl phosphonic acid compound, aryl phosphine oxide compound, condensed aryl phosphoric acid ester, halogenated alkyl phosphoric acid ester, halogen-containing condensed phosphoric acid ester, A phosphoric acid ester, and a halogen-containing phosphorous acid ester.

구체적인 인산에스테르로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페닐포스폰산, 트리스(β-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브로모네오펜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sphoric acid ester include triphenyl phosphate, 9,10-dihydro-9-o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phenylphosphonic acid, tris (β-chloroethyl) phosphate, tris (dichloropropyl) Phosphate, tris (tribromoneopentyl) phosphate, and the like.

(글리콜산의에스테르류)(Esters of glycolic aci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류의 1종으로서, 글리콜산의 에스테르류(글리콜레이트 화합물)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sters (glycolate compounds) of glycolic acid can be used as one kind of polyhydric alcohol esters.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글리콜레이트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킬프탈릴알킬글리콜레이트류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glycolate compound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lkyl phthalyl alkyl glycolates can be preferably used.

알킬프탈릴알킬글리콜레이트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프탈릴메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프로필프탈릴프로필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옥틸프탈릴옥틸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메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프로필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메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프로필프탈릴부틸글리콜레이트, 부틸프탈릴프로필글리콜레이트, 메틸프탈릴옥틸글리콜레이트, 에틸프탈릴옥틸글리콜레이트, 옥틸프탈릴메틸글리콜레이트, 옥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프탈릴에틸글리콜레이트이다.The alkyl phthalyl alkyl glycolates include, for example, methyl phthalyl methyl glycolate, ethyl phthalyl ethyl glycolate, propyl phthalyl propyl glycolate, butyl phthalyl butyl glycolate, octylphthalyl octyl glycolate, Ethyl phthalyl methyl glycolate, ethyl phthalyl propyl glycolate, methyl phthalyl butyl glycolate, ethyl phthalyl butyl glycolate, butyl phthalyl methyl glycolate, butyl phthalyl ethyl glycolate, propyl phthalyl butyl Butyl phthalyl propyl glycolate, methyl phthalyl octyl glycolate, ethyl phthalyl octyl glycolate, octylphthalyl methyl glycolate, octylphthalyl ethyl glycolate, and the like, preferably ethyl phthalyl ethyl Glycolate.

(자외선 흡수제)(Ultraviolet absorber)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400nm 이하의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내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파장 370nm에서의 투과율이, 2 내지 3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범위 내이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light resistance. The ultraviolet absorber is intended to improve the light resistance by absorbing ultraviolet rays of 400 nm or less. Particularly, the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70 n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 to 30%,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4 to 20%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10%.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이다.The ultraviolet absorber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a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 a triazine ultraviolet absorber,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benzotriazole ultraviolet absorber and a benzophenone ultraviolet absorber.

예를 들어, 5-클로로-2-(3,5-디-sec-부틸-2-히드록실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6-(직쇄 및 측쇄 도데실)-4-메틸페놀, 2-히드록시-4-벤질옥시벤조페논, 2,4-벤질옥시벤조페논 등이 있고, 또한 티누빈 109, 티누빈 171, 티누빈 234, 티누빈 326, 티누빈 327, 티누빈 328, 티누빈 928 등의 티누빈류가 있고, 이것들은 모두 바스프(BASF) 재팬사 제조의 시판품이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는 할로겐 프리인 것이 바람직하다.Benzotriazole, (2-2H-benzotriazol-2-yl) -6- (3,5-di-sec- (Straight chain and branched dodecyl) -4-methylphenol, 2-hydroxy-4-benzyloxybenzophenone, 2,4-benzyloxybenzophenone and the like, and also Tinuvin 109, Tinuvin 171, Tinuvin 234, Tinuvin 326, Tinuvin 327, Tinuvin 328 and Tinuvin 928, all of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BASF Japan, and can be preferably used. Among them, halogen-free is preferable.

이 외에, 1,3,5-트리아진환을 갖는 화합물 등의 원반 형상 화합물도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n addition, a discotic compound such as a compound having a 1,3,5-triazine ring is also preferably used as an ultraviolet absorber.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은, 자외선 흡수제를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two or more ultraviolet absorbers.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일본 특허 공개 평 6-148430호 공보에 기재된 중합체 타입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할로겐기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ultraviolet absorber, a polymer ultraviolet absorber can be preferably used. In particular, a polymer-type ultraviolet absorber described in JP-A-6-148430 is preferably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ltraviolet absorber does not have a halogen group.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방법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이나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트산메틸, 아세톤, 디옥솔란 등의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자외선 흡수제를 용해하고 나서 도프에 첨가하거나, 또는 직접 도프 조성 중에 첨가해도 된다.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added by dissolving the ultraviolet absorber in an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or butanol, or an organic solvent such as methylene chloride, methyl acetate, acetone, or dioxola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Or may be added during the composition.

무기 분체와 같이 유기 용제에 용해하지 않는 것은, 유기 용제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중에 디졸버나 샌드밀을 사용해서, 분산시키고 나서 도프에 첨가한다.To dissolve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an inorganic powder, it is dispersed in an organic solvent and a cellulose ester (cellulose acetate) using a dissolver or a sand mill, and then added to the dope.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사용 조건 등에 따라 균일하지 않지만, 보호 필름의 건조 막 두께가 15 내지 50㎛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보호 필름에 대하여 0.5 내지 10질량%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0.6 내지 4질량%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to be used is not uniform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conditions of use. When the dry film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in the range of 15 to 50 mu m, the amou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0 wt% ,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6 to 4 mass%.

(산화 방지제)(Antioxidant)

산화 방지제는 열화 방지제라고도 불린다. 고습 고온의 상태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등이 놓여진 경우에는, 보호 필름의 열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Antioxidants are also called deterioration inhibitors. Whe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r the like is placed in a state of high 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deterioration of the protective film may occur.

산화 방지제는, 예를 들어 보호 필름 중의 잔류 용매량의 할로겐이나 인산계 가소제의 인산 등에 의해 보호 필름이 분해되는 것을 늦추거나, 방지하거나 하는 역할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tioxidant has a role of delaying or preventing the decomposition of the protective film by, for example, halogen in the residual solvent amount in the protective film or phosphoric acid in the phosphoric acid-based plasticizer or the like, so that the antioxidant is contained i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rable.

이러한 산화 방지제로서는, 힌더드 페놀계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2,6-디-t-부틸-p-크레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 〔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such an antioxidant, a hindered phenol-based compound is preferably used, and for example, 2,6-di-t-butyl-p-cresol, pentaerythrityl-tetrakis [3- (3,5- (3-t-butyl-5-methyl-4-hydroxyphenyl) propionate], 1,6-hexane 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2,4-bis- (n-octylthio) -6- (4- Di-t-butyl anilino) -1,3,5-triazine, 2,2-thio-diethylene bis [3- (3,5- Propionate], octadecyl-3- (3,5-di-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N, N'-hexamethylenebis (3,5- (3,5-di-t-butyl-4-hydroxybenzyl) benzene, tris- (3,5- Di-t-butyl-4-hydroxybenzyl) -isocyanurate and the like.

특히, 2,6-디-t-부틸-p-크레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N,N'-비스〔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등의 히드라진계의 금속 불활성제나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인계 가공 안정제를 병용해도 된다.Particularly preferred are 2,6-di-t-butyl-p-cresol, pentaerythrityl-tetrakis [3- (3,5-di-t- Glycol-bis [3- (3-t-butyl-5-methyl-4-hydroxyphenyl) propionate] is preferable. Also, hydrazine-based metal inactivators such as N, N'-bis [3- (3,5-di-t-butyl-4-hydroxyphenyl) propionyl] hydrazine and tris -t-butylphenyl) phosphite,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들 화합물의 첨가량은, 보호 필름에 대하여 질량 비율로 1ppm 내지 1.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1000ppm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se compounds to be add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ppm to 1.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1000 ppm, in mass ratio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film.

(미립자(매트제))(Fine particles (made of mat))

보호 필름은, 표면의 미끄럼성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미립자(매트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The protective film may further contain fine particles (made of a mat) if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slidability of the surface.

미립자는, 무기 미립자이거나 유기 미립자이어도 된다. 무기 미립자의 예에는, 이산화규소(실리카), 이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탄산칼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이산화규소나 산화지르코늄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필름의 헤이즈의 증대를 적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규소이다.The fine particles may be inorganic fine particles or organic fine particles. Examples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silicon dioxide (silica), titanium dioxide, aluminum oxide, zirconium oxide, calcium carbonat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calcined kaolin, calcined calcium silicate, hydrated calcium silicate, aluminum silicate, And the like. Of these, silicon dioxide and zirconium oxide are preferable, and silicon dioxide is more preferable in order to reduce an increase in haze of the resulting film.

이산화규소의 미립자의 예에는, 에어로질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TT600, NAX50(이상, 닛본에어로질(주) 제조), 시호스타 KE-P10, KE-P30, KE-P50, KE-P100(이상, 닛본 쇼꾸바이(주) 제조) 등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도, 에어로질 R972V, NAX50, 시호스타 KE-P30 등이, 얻어지는 필름의 탁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마찰 계수를 저감시키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fine particles of silicon dioxide include AEROSIL®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TT600, NAX50 (manufactured by Nippon Aerosil Co., Ltd.), Shihosta KE-P10, KE -P30, KE-P50, and KE-P100 (manufactured by Nippon Shokubai Co., Ltd.). Above all, Aerosil R972V, NAX50, Sihosta KE-P30 and the like are particularly preferred because they reduc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ile keeping the turbidity of the obtained film low.

미립자의 1차 입자 직경은, 5 내지 5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7 내지 20nm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차 입자 직경이 큰 것이, 얻어지는 필름의 미끄럼성을 높이는 효과는 크지만, 투명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 때문에, 미립자는, 입자 직경 0.05 내지 0.3㎛의 범위 내의 2차 응집체로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미립자의 1차 입자 또는 그 2차 응집체의 크기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배율 50 내지 200만배의 범위 내에서 1차 입자 또는 2차 응집체를 관찰하여, 1차 입자 또는 2차 응집체 100개의 입자 직경의 평균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50 n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 to 20 nm. If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is larg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lidability of the obtained film is large, but the transparency tends to decrease. Therefore, the fine particles may be contained as a secondary aggregate within a particle diameter of 0.05 to 0.3 탆. The size of the primary particles or the secondary aggregates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measured by observing primary particles or secondary aggregates within a range of 50 to 200,000 times magnification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o determine the primary particle or secondary aggregate Can be obtained as an average value.

미립자의 함유량은,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0.05 내지 1.0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8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to 1.0 mas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0.8 mass% with respect to the resin forming the protective film.

〔적층 구조의 필름: (TAC/DAC/TAC) 필름〕[Film of laminated structure: (TAC / DAC / TAC) film]

본 발명에 따른 필름 B도 필름 A와 마찬가지로,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세틸기 치환도가 2.0 내지 2.45의 범위 내인 디아세틸셀룰로오스(DAC)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아세틸기 치환도가 2.60 내지 2.95의 범위 내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를 함유하는 적층 구조의 필름인 것이, 다른 종류의 수지를 겹침으로써, 상기 식 (1) 내지 (4)로 표현되는 치수 변화율을 원하는 범위 내로 제어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diacetylcellulose (DAC) having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and having the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in the range of 2.0 to 2.45, (TAC) having an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in a range of 2.60 to 2.95, and the film layer is a film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containing triacetyl cellulose (TAC) having an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within a range of 2.60 to 2.95. ) Can be easily controlled within a desired range.

스킨층에 함유되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6 이상이면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치수 변화에 의한 필름과 접착제 부분의 왜곡 발생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The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of the acetyl group of the triacetyl cellulose contained in the skin layer is preferably 2.6 or more, which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distortion of the film and the adhesive portion due to dimensional changes.

또한, 코어층 및 스킨층에는, 상기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박리 보조제, 계면 활성제, 염료,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layer and the skin layer suitably contain additives such as the above plasticizer, ultraviolet absorber, antioxidant, deterioration inhibitor, release aid, surfactant, dye and fine particles.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상기 코어층보다도 스킨층의 막 두께가 얇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킨층이 필름 B의 총 두께의 0.2 내지 5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의 범위 내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필름 B의 총 막 두께는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므로, 코어층의 막 두께 및 스킨층의 막 두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is thinner than that of the core layer. Preferably, the skin layer is within the range of 0.2 to 50%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B,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2 to 30%. Since the total film thickness of the film B i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core layer and the film thickness of the skin layer are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필름 A 및 필름 B의 제조 방법≫&Lt; Production method of film A and film B &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인 아크릴 필름 및 필름 B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절삭법, 유연법, 에멀전법, 핫 프레스법 등의 제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착색 억제, 이물 결점의 억제, 다이 라인 등의 광학 결점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제막 방법은, 용액 유연 제막법과 용융 유연 제막법을 선택할 수 있고, 특히 용액 유연 제막법인 것이, 균일하고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As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crylic film as the film A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as 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ion method such as a general inflation method, a T-die method, a calendar method, a cutting method, a fusing method, an emulsion method, From the viewpoints of suppression of coloration, suppression of foreign matter defects, suppression of optical defects such as die lines, etc., the solution casting method and the melt casting method can be selected as the film forming method.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mooth surface.

〔용액 유연 제막법〕[Solution flexible film-forming metho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을 용액 유연법으로 제조하는 제조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duction example of producing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olution cas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통상의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절삭법, 유연법, 에멀전법, 핫 프레스법 등의 제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착색 억제, 이물 결점의 억제, 다이 라인 등의 광학 결점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 제막 방법은, 용액 유연 제막법과 용융 유연 제막법을 선택할 수 있고, 특히 용액 유연법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producing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a manufacturing method such as a general inflation method, a T-die method, a calendering method, a cutting method, a soft method, an emulsion method and a hot press method. In view of the suppression of optical defects such as suppression and die line, the film forming method can be selected from a solution casting film forming method and a melt casting film forming method, and is preferably a solution cast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의 제조는,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상기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용제에 용해시켜서 도프를 제조하는 공정, 도프를 벨트 형상 또는 드럼 형상의 금속 지지체 상에 유연하는 공정, 유연한 도프를 웹으로서 건조하는 공정,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연신하는 공정, 또한 건조하는 공정 및 냉각 후 권취하는 공정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고형분 중에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 또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60 내지 95질량%의 범위 내에서 함유하는 것이다.The production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dope by dissolving additives such as an acrylic resin, a cellulose ester and the plasticizer in a solvent, a step of softening the dope on a belt- A step of drying as a web, a step of peeling from a metal support, a step of stretching, a step of drying, and a step of winding after cool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an acrylic resin or a cellulose acetate in a solid content within a range of 60 to 95 mass%.

여기에서는, 필름 B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제막 방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는데, 필름 A인 아크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특히 아크릴 필름에 관한 제조 방법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크릴 필름으로서 적절히 설명을 첨가한다.Here, the film forming method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s the film B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ame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crylic film as the film 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icularly regarding the manufacturing method relating to an acrylic film, an explanation is appropriately added as an acrylic film.

(1) 용해 공정(1) Dissolution Process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에 대한 양용매를 주로 하는 유기 용매에, 용해 가마 중에서 당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당 에스테르, 중축합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또는 기타 화합물을 교반하면서 용해하여 도프를 형성하는 공정, 또는 해당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용액에, 본 발명에 따른 당 에스테르, 중축합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또는 기타 화합물 용액을 혼합해서 주 용해액인 도프를 형성하는 공정이다.The cellulose acetate and optionally the sugar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polyhydric alcohol ester or other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mainly composed of a good solvent for the cellulose acetate in a dissolving oven while stirring to form a dope Or a solution of a sugar ester, a polycondensation ester, a polyhydric alcohol ester or other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with the cellulose acetate solution to form a dope as a main 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용액 유연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도프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유기 용매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그 밖의 화합물을 동시에 용해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the solution casting method, the organic solvent useful for forming the dop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dissolves cellulose acetate and other compounds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염화메틸렌, 비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1,4-디옥산, 시클로헥사논, 포름산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헥사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니트로에탄 등을 들 수 있고, 염화메틸렌,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hlorinated organic solvent include methylene chloride and examples of the non-chlorinated organic solvent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myl acetate, acetone, tetrahydrofuran, 1,3-dioxolane, 1,4-dioxane, , Ethyl formate, 2,2,2-trifluoroethanol, 2,2,3,3-hexafluoro-1-propanol, 1,3-difluoro-2-propanol, 1,1,1,3 , 3,3-hexafluoro-2-methyl-2-propanol, 1,1,1,3,3,3-hexafluoro-2-propanol, 2,2,3,3,3-pentafluoro Propanol, nitroethane and the like, and methylene chlori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acetone can be preferably used.

도프에는, 상기 유기 용매 이외에, 1 내지 40질량%의 범위 내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 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프 중의 알코올의 비율이 높아지면 웹이 겔화하여,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알코올의 비율이 적을 때는 비염소계 유기 용매계에서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그 밖의 화합물의 용해를 촉진하는 역할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제막에 있어서는,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평면성을 높이는 점에서, 알코올 농도가 0.5 내지 15.0질량%의 범위 내에 있는 도프를 사용해서 제막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 dope preferably contains, in addition to the organic solvent, a linear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 the range of 1 to 40 mass%. When the proportion of alcohol in the dope is high, the web gels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metal support. When the proportion of alcohol is small, it also promotes dissolution of cellulose acetate and other compounds in the non-chlorinated organic solvent system . In the formation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forming a film by using a dope in which the alcohol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0.5 to 15.0 mass% can be applied in order to enhance the planarity of the obtained cellulose acetate film.

특히,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 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그 밖의 화합물을, 총 15 내지 45질량%의 범위 내에서 용해시킨 도프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dope composition is obtained by dissolving cellulose acetate and other compounds in a total amount of 15 to 45 mass% in a solvent containing methylene chloride and a straight chain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 쇄상의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도프의 안정성, 비점도 비교적 낮고, 건조성도 좋은 것 등의 점에서 메탄올 및 에탄올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straight chain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clude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sec-butanol and tert-butanol. Of these, methanol and ethanol are preferable in view of stability of the dope, relatively low boiling point, good drying property, and the lik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당 에스테르, 중축합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또는 기타 화합물의 용해에는, 상압에서 행하는 방법, 주 용매의 비점 이하에서 행하는 방법, 주 용매의 비점 이상에서 가압하여 행하는 방법, 일본 특허 공개 평 9-955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9-95557호 공보, 또는 일본 특허 공개 평 9-9553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냉각 용해법으로 행하는 방법, 일본 특허 공개 평 11-2137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고압에서 행하는 방법 등 다양한 용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주 용매의 비점 이상에서 가압해서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dissolution of cellulose acetate and sugar esters, polycondensation esters, polyhydric alcohol esters, or other compounds can be carried out at atmospheric pressure,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boiling point of the main solvent, or under pressure at a boiling point or more of the main solvent, 9-9554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95557, 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95538, a method in which a high-pressure method described in JP-A-11-21379 . In particular, a method of carrying out pressurization at a boiling point or higher of the main solvent is preferable.

도프 중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농도는, 10 내지 40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 중 또는 후의 도프에 화합물을 첨가해서 용해 및 분산시킨 후, 여과재로 여과하고, 탈포해서 송액 펌프로 다음 공정에 보낸다.The concentration of the cellulose acetate in the dop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40 mass%. A compound is added to the dope during or after dissolution, dissolved and dispersed, filtered with a filter, defoamed, and sent to the next process with a liquid-feeding pump.

여과는 포집 입자 직경 0.5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또한 여수 시간 10 내지 25sec/100ml의 범위 내인 여과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ration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a filter material having a collection particle diameter within a range of 0.5 to 5 μm and a filtration time within a range of 10 to 25 sec / 100 ml.

이 방법에서는, 입자 분산 시에 잔존하는 응집물이나 주 도프 첨가시 발생하는 응집물을, 포집 입자 직경 0.5 내지 5㎛의 범위 내에서, 또한 여수 시간 10 내지 25sec/100ml의 범위 내의 여과재를 사용함으로써 응집물만 제거할 수 있다. 주 도프에서는 입자의 농도도 첨가액에 비해 충분히 옅기 때문에, 여과 시에 응집물끼리 달라붙어서 급격한 여과압 상승을 일으키지도 않는다.In this method, the aggregate remaining at the time of particle dispersion or the aggregate generated at the time of addition of the main dope is used only in the range of 0.5 to 5 mu m in diameter and in the filtration material in the range of 10 to 25 sec / Can be removed. In the main dope, since the concentration of the particles is sufficiently lighter than that of the additive liquid, the aggregates stick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filtration and do not cause a rapid increase in the filtration pressur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용액 유연 제막 방법의 도프 제조 공정, 유연 공정 및 건조 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ope producing step, a softening step and a drying step of a preferable solution softening film-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투입 가마(41)로부터 여과기(44)로 큰 응집물을 제거하고, 스톡 가마(42)로 송액한다. 그 후, 스톡 가마(42)로부터 주 도프 용해 가마(1)로 각종 첨가액을 첨가한다.The large agglomerate is removed from the charging kiln 41 by the filter 44, and is sent to the stock kiln 42. Thereafter, various additive liquids are added from the stock kiln 42 to the main dope melting furnace 1.

그 후, 주 도프는 주 여과기(3)로 여과되고, 이것에 자외선 흡수제 첨가액이 라인(16)으로부터 인라인 첨가된다.Thereafter, the main dope is filtered with the main filter 3, and the ultraviolet absorbent added liquid is added inline from the line 16 to the main filter.

많은 경우, 주 도프에는 재활용 가능 재료가 10 내지 50질량% 정도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In many cases, the main dope may contain about 10 to 50 mass% of the recyclable material.

재활용 가능 재료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미세하게 분쇄한 것으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제막할 때 발생하는, 필름의 양쪽 사이드 부분을 잘라낸 것이나, 찰상 등으로 필름의 규정값을 초과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 원단이 사용된다.The recyclable material is a cellulose acetate film finely pulverized. The cellulose acylate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a cellulose acetate film is cut out on both sides of the film, or a cellulose acetate film fabric exceeding a specified value of the film due to scratching or the like is used do.

또한, 도프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의 원료로서는, 미리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그 밖의 화합물 등을 펠릿화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raw material of the resin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dope, pellets of cellulose acetate and other compounds may be preferably used.

(2) 유연 공정(2) Flexible process

(2-1) 도프의 유연(2-1) Dope flexing

도프를, 송액 펌프(예를 들어, 가압형 정량 기어 펌프)를 통해서 가압 다이(30)에 송액하여, 무한히 이송하는 무단의 금속 지지체(31),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벨트, 또는 회전하는 금속 드럼 등의 금속 지지체 상의 유연 위치에, 가압 다이 슬릿으로부터 도프를 유연하는 공정이다.An endless metal support 31 for feeding the dope to the pressurizing die 30 through a feed pump (for example, a pressurized metering gear pump) and infinitely feeding it, for example, a stainless steel belt or a rotating metal drum In a flexible position on a metal support of a press die slit.

유연(캐스트) 공정에서의 금속 지지체는,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지지체로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벨트 또는 주물로 표면을 도금 마무리한 드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캐스트의 폭은 1 내지 4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m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8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유연 공정의 금속 지지체의 표면 온도는 -50℃ 내지 용제가 비등해서 발포하지 않는 온도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온도가 높은 것이 웹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만, 너무 높으면 웹이 발포하거나, 평면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지지체 온도로서는 0 내지 100℃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되고, 5 내지 30℃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는, 냉각함으로써 웹을 겔화시켜서 잔류 용매를 많이 포함한 상태에서 드럼으로부터 박리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금속 지지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온풍 또는 냉풍을 세차게 내뿜는 방법이나, 온수를 금속 지지체의 이측에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열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금속 지지체의 온도가 일정해질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 바람직하다. 온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매의 증발 잠열에 의한 웹의 온도 저하를 고려하여, 용매의 비점 이상의 온풍을 사용하면서, 발포도 방지하면서 원하는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의 바람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유연부터 박리할 때까지의 동안에 지지체의 온도 및 건조풍의 온도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support in the casting step is preferably mirror-finished on the surface, and as the metal support, a stainless steel belt or a drum finished by plating the cast iron surface is preferably used. The width of the cast can be in the range of 1 to 4 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2.8 m.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of the flexible process is set within a range of -50 ° C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solvent does not foam by boiling,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30 to 100 ° C. A high temperature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speed up the drying speed of the web. However,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web may be foamed or the planarity may deteriorate. The preferred support temperatur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0 to 100 占 폚,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30 占 폚.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be gelled by cooling to peel off the drum in a stat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residual solven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re is a method of spraying warm air or cold air with extreme pressure, or a method of bringing warm water into contact with the metal support. Use of hot water is preferable because heat is efficiently transferred and the tim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becomes constant is short. In the case of using hot wind,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drop of the web due to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solvent, the hot wind above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is used, while the foaming is also prevented, and the win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desired temperature is sometimes used.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uppo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wind during the period from the time of pouring to the time of peeling, thereby efficiently performing drying.

다이의 구금 부재 부분의 슬릿 형상을 조정할 수 있고, 막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쉬운 가압 다이가 바람직하다. 가압 다이에는, 코팅 행어 다이나 T다이 등이 있으며, 모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금속 지지체의 표면은 경면으로 되어 있다. 제막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압 다이를 금속 지지체 상에 2기 이상 설치하여, 도프량을 분할해서 중층해도 된다.It is preferable to use a press die which can adjust the slit shape of the crotch member portion of the die and make the film thickness uniform. The pressure die includes a coated hanger die and a T die, all of which are preferably used. The surface of the metal support is mirror-finished. Two or more pressure dies may be provided on the metal support in order to increase the film forming speed and the doping amou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layers.

(2-2) 공유연(2-2) Shared year

상기 본 발명에 관한, (TAC/아크릴/TAC) 필름 및 (TAC/DAC/TAC) 필름과 같은 적층 구조의 필름은,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도프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도프를 각각 사용하여, 지지체로서의 평활한 밴드 상 또는 드럼 상에 2종 이상의 복수의 도프를 유연해서 제막할 수 있다.The film of the laminated structure such as the (TAC / acrylic / TAC) film and the (TAC / DAC / TA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a dop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 dope containing a cellulose ester, It is possible to form two or more kinds of dope in a flexible manner on a smooth band or drum.

2종 이상의 도프를 동시에 지지체 상에 유연해도 되고, 각각 별도로 지지체 상에 유연해도 된다. 각각 별도로 유연하는 순차 유연법의 경우에는, 지지체측의 도프를 먼저 유연해서 지지체 상에서 어느 정도 건조시킨 후에, 그 위에 겹쳐서 유연할 수 있다. 또한, 3종 이상의 도프를 사용하는 경우, 동시 유연(공유연이라고도 함)과 순차 유연을 적절히 조합해서 유연하여, 적층 구조의 필름을 제작할 수도 있다. 공유연 또는 순차 유연에 의해 제막되는 이들 방법은, 건조된 필름 상에 도포하는 방법과는 달리, 적층 구조의 각 층의 경계가 불명확해져, 단면의 관찰에서 적층 구조가 명확하게는 나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특징이 있어, 각 층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wo or more kinds of dope may be simultaneously poured on a support, or they may be separately poured on a support. In the case of the sequential softening method which is separately flexible, the dope on the support side can be firstly softened and dried to some extent on the support, and thereafter laid over and softened. Further, when three or more kinds of dope ar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film of a laminated structure by flexibly combining a simultaneous softening (also referred to as a shearing softening) and a sequential softening properly. These methods of forming by co-firing or sequential fusing are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applying on a dried film in that the boundaries of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lamination structure become unclear and the lamination structure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를 상기 적층 구조의 필름으로 하는 경우의 제조 방법은,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공유연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지된 공유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A의 경우, 금속 지지체의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유연구로부터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각각 유연시켜서 적층시키면서 필름을 제작해도 되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 61-1584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224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198285호 공보 등의 각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적응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유연구로부터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 및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액을 유연함으로써 필름화하는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소 60-2756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947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94724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1048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 61-1584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6-134933호 공보 등의 각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in the case of using the film A and 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lm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shared manner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d a known curing method may be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lm A, a film may be produced by piling and laminating a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 solution containing a cellulose ester from a plurality of oil samples formed at intervals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metal suppor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5841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241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98285, and the like. In addition, from the two oil studies, a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 solution containing a cellulose ester may be made into a film by being softened. For example, JP-A 60-27562, JP-A 61-9472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94724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0481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5841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34933, etc. .

도 8은, 공유연 다이 및 유연해서 다층 구조 웹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formation of a shared lead die and a flexible multi-layer structure web.

도면 중, 공유연 다이(50), 구금 부재 부분(51), 층 B, 층 C용 슬릿(53, 55), 층 A용 슬릿(54), 금속 지지체(56), 층 B, 층 C용 도프(57, 59), 층 A용 도프(58), 다층 구조 웹(60), 층 C(61), 층 A(62), 층 B(63)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figure, the common tie die 50, the cementing member part 51, the layer B, the slits 53 and 55 for the layer C, the slit 54 for the layer A, the metal support 56, The dope 57 and 59, the layer A doping 58, the multi-layer structure web 60, the layer C 61, the layer A 62 and the layer B 63, respectively.

(3) 용매 증발 공정(3) Solvent Evaporation Process

웹(유연용 지지체 상에 도프를 유연하여, 형성된 도프 막을 웹이라고 함)을 유연용 지지체 상에서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공정이다.A web (a dope is formed on a flexible support and the formed dope is referred to as a web) is heated on a flexible support to evaporate the solvent.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해서는, 웹 측으로부터 바람을 불게 하는 방법 또는 지지체의 이면으로부터 액체에 의해 전열시키는 방법, 복사열에 의해 표리로부터 전열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면 액체 전열 방법이, 건조 효율이 좋아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들을 조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연 후의 지지체 상의 웹을 40 내지 100℃의 분위기 하에서, 지지체 상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내지 100℃의 분위기 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온도의 온풍을 웹 상면에 쏘이거나 적외선 등의 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vaporate the solvent, there are a method of blowing air from the web side, a method of heating by the liquid from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heat from the front and back by radiant heat. . Also, a method of combining them is also preferably used. It is preferable to dry the web on the supporter after the softening on the support in an atmosphere of 40 to 100 캜.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t 40 to 100 DEG C,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warm air at this temperatu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b or to heat it by means of infrared rays or the like.

면 품질, 투습성, 박리성의 관점에서, 30 내지 120초 이내에서 당해 웹을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standpoint of surface quality, moisture permeability and releasability, it is preferable to peel the web from the support within 30 to 120 seconds.

(4) 박리 공정(4) Peeling process

금속 지지체 상에서 용매가 증발한 웹을, 박리 위치에서 박리하는 공정이다. 박리된 웹은 다음 공정에 보내진다.And peeling the web from which the solvent has evaporated on the metal support at the peeling position. The peeled web is sent to the next process.

금속 지지체 상의 박리 위치에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0℃의 범위 내이다.The temperature at the peeling position on the metal suppor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40 占 폚,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 to 30 占 폚.

또한, 박리하는 시점에서의 금속 지지체 상에서의 웹의 박리 시 잔류 용매량은, 건조의 조건 강약, 금속 지지체의 길이 등에 따라 50 내지 120질량%의 범위 내에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잔류 용매량이 보다 많은 시점에서 박리하는 경우, 웹이 너무 부드러우면 박리 시 평면성을 손상시키고, 박리 장력에 의한 당김이나 세로 줄무늬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경제 속도와 품질과의 균형을 고려해서 박리 시의 잔류 용매량이 결정된다.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at the time of peeling the web on the metal support at the time of peeling is desirably peeled in the range of 50 to 120 mass%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drying condition, the length of the metal support, etc., When the web is peeled off at many points of time, if the web is too soft, the flatness is deteriorated in peeling, and peeling tension or vertical stripes tend to occur due to the peeling tension.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between economic speed and quality, do.

웹의 잔류 용매량은 하기식 (Z)로 정의된다.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i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Z).

식 (Z)The formula (Z)

잔류 용매량(%)=(웹의 가열 처리 전 질량-웹의 가열 처리 후 질량)/(웹의 가열 처리 후 질량)×100Residual solvent amount (%) = (mass before heat treatment of web-mass after heat treatment of web) / (mass after heat treatment of web) 占 100

또한, 잔류 용매량을 측정할 때의 가열 처리란, 115℃에서 1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The heat treatment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residual solvent amount means that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115 캜 for one hour.

금속 지지체와 필름을 박리할 때의 박리 장력은, 통상 196 내지 245N/m의 범위 내인데, 박리 시에 주름이 생기기 쉬운 경우, 190N/m 이하의 장력으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eling tension when peeling the film from the metal support is usually in the range of 196 to 245 N / m, and it is preferable to peel off with a tensile force of 190 N / m or less when wrinkles tend to occur at peeling.

본 발명에서는, 당해 금속 지지체 상의 박리 위치에서의 온도를 -50 내지 4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3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at the peeling position on the metal suppor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40 占 폚,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40 占 폚,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30 占 폚 .

(5) 건조 및 연신 공정(5) Drying and drawing process

건조 공정은 예비 건조 공정, 본 건조 공정으로 나누어서 행할 수도 있다.The drying process may be divided into a preliminary drying process and a main drying process.

(예비 건조 공정)(Preliminary drying step)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해서 얻어진 웹을 건조시킨다. 웹의 건조는, 웹을, 상하로 배치한 다수의 롤러에 의해 반송하면서 건조시켜도 되고, 텐터 건조기와 같이 웹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고정해서 반송하면서 건조시켜도 된다.The web obtained by peeling from the metal support is dried. The web may be dried while conveying the web by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vertically, or both ends of the web may be fixed with a clip such as a tenter dryer and dried while being conveyed.

웹을 건조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열풍, 적외선, 가열 롤러, 마이크로파 등으로 행할 수 있지만, 간편성 면에서, 열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ns for drying the we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generally be carried out by hot air, infrared rays, heating rollers, microwaves or the like, but from the viewpoint of simplicity, it is preferable to conduct it by hot air.

웹의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유리 전이점-5℃ 이하, 100℃ 이상에서 10분 이상 60분 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건조 온도는 100 내지 200℃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0℃의 범위 내에서 건조가 행하여진다.It is effective that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step of the web is preferably a heat treatment at a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film of -5 DEG C or less and at 100 DEG C or more for 10 minutes or more and 60 minutes or less. The drying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00 to 200 ° C,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0 to 160 ° C.

(연신 공정)(Draw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MD 방향 및/또는 TD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텐터 연신 장치에 의해, TD 방향으로 연신해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and / or the TD direction and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by at least a tenter stretching apparatus.

당해 연신은,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으로 할 수 있고, 2축 연신에는, 일 방향으로 연신하고, 다른 한쪽의 방향의 장력을 완화해서 수축시키는 형태도 포함된다.Such stretching may be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and in biaxial stretching, stretching in one direction and stretching in the other direction may be relaxed to shrink.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필름은, 연신 후의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가 되도록, 또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연신 후의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가 되도록 MD 방향 및/또는 TD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TD 방향으로,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했을 때, (Tg+15) 내지 (Tg+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연신하면, 리타데이션의 조정을 하기 쉽고, 또한 연신 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헤이즈가 낮아진다. 또한, 파단의 발생을 억제하고, 평면성, 필름 자체의 착색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 필름이 얻어진다. 연신 온도는, (Tg+20) 내지 (Tg+40)℃의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ryli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and / or the TD direction such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stretching is in the range of 20 to 60 mu m,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is in the MD film thickness after stretching in the range of 20 to 60 mu m, (Tg + 15) to (Tg + 50) deg. C, where Tg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preferably in the TD direction. If the stretching is carried out within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range, the retardation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stretching stress can be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haze. Fur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which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rupture and is excellent in planarity and colorability of the film itsel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Tg + 20) to (Tg + 40) deg.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Tg)란, 시판하고 있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분으로 측정하고, JIS K7121(1987)에 따라 구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Tmg)이다.The term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s used herein mean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mg)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21 (1987) to be.

구체적인 광학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방법은, JIS K7121(1987)에 따라,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계 DSC220을 사용하여 측정한다.The specific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optical film is measured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220 manufactured by Seiko Instruments Inc. according to JIS K7121 (1987).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필름은,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05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연신함으로써, 평면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치수 변화의 거동을 원하는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The acryli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By stretching within the above range, the planarity can be improved and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can be controlled within a desired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웹을 적어도 TD 방향으로 1.1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의 범위는, 원래 폭에 대하여 1.1 내지 1.5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내지 1.3배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필름 중의 분자의 이동이 크고, 원하는 위상차값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필름의 치수 변화의 거동을 원하는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tretches the web at least 1.1 times in the TD direction. The range of the stretching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5 to 1.3 time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ovement of molecules in the film is large, and not only a desired retardation value is obtained, but also the behavior of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film can be controlled within a desired range.

또한, 당해 연신은 제막한 후 잔류 용제량이 40질량% 이상일 때 해당 필름을 MD 방향으로 연신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잔류 용제량이 40질량% 미만일 때 TD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after the film formation is 40% by mass or more, the film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MD direction, and when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is less than 40% by mass, the film is preferably stretched in the TD direction.

MD 방향으로 연신하기 위해서, 박리 장력을 130N/m 이상으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70N/m의 범위 내이다. 박리 후의 웹은 고잔류 용제 상태이기 때문에, 박리 장력과 마찬가지의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MD 방향으로의 연신을 행할 수 있다. 웹이 건조하여, 잔류 용제량이 감소함에 따라, MD 방향으로의 연신율은 저하된다.In order to stretch in the MD direction, the peel tension is desirably peeled to 130 N / 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50 to 170 N / m. Since the web after peeling is in a state of high residual solvent, stretching in the MD direction can be performed by maintaining the same tensile force as the peeling tension. As the web dries and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decreases, the elongation in the MD direction decreases.

또한, MD 방향의 연신 배율은, 벨트 지지체의 회전 속도와 텐터 운전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The drawing magnification in the MD direction can be calculated from the rotating speed of the belt support and the tenter operating speed.

TD 방향으로 연신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 62-466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건조 전체 공정 또는 일부 공정을 폭 방향으로 클립 또는 핀으로 웹의 폭 양단을 폭 유지하면서 건조시키는 방법(텐터 방식이라고 함), 그 중에서도, 클립을 사용하는 텐터 방식, 핀을 사용하는 핀 텐터 방식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n order to stretch in the TD direction, for example, a method of drying the entire drying step or a part of the steps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2-46625 while keeping the both ends of the web width wide (Called a tenter system), among which a tenter system using a clip and a pin tenter system using a fin are preferably used.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연신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리타데이션을 갖는데, 면내 리타데이션 값(Ro)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t)은, 자동 복굴절률계 악소스캔(Axo Scan Mueller Matrix Polarimeter: 악소 메트릭스사 제조)을 사용하여, 23℃·55% RH의 환경 하, 590nm의 파장에서, 삼차원 굴절률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굴절률 nx, ny, nz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value Ro and the retardation value 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cessarily have retardation by stretching the retardation value 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llulose acyl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utomatic double reflex index system scan (Axo Scan Mueller Matrix Polarimeter: The refractive indices nx, ny and nz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refractive index at a wavelength of 590 nm under the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5% RH by using the refractive index nx, ny, and nz.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하기식 (i) 및 (ii)로 정의되는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o)이 40 내지 60nm의 범위 내이며,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t)이 100 내지 140nm의 범위 내인 것이,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적어도 상기 TD 방향으로 연신 배율을 조정하면서 연신함으로써, 상기 리타데이션 값의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ardation value Ro in the in-plane directio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is in the range of 40 to 60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100 To 140 nm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ellulose acetate film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the retardation value by stretching while at least adjust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TD direction.

식 (i): Ro=(nx-ny)×d(nm)Formula (i): Ro = (n x -n y) × d (nm)

식 (ii): Rt={(nx+ny)/2-nz}×d(nm)Formula (ii): Rt = {( n x + n y) / 2-n z} × d (nm)

〔식 (i) 및 식 (ii)에서, nx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 y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 z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두께(nm)를 나타냄〕[In the formulas (i) and (ii), n x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x at which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maximum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n y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x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and n z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f the film. d represents the thickness (nm) of the film]

<벤딩 공정><Bend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은,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변동시킨 직후의 치수 변화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웹을 연신하고, 계속해서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에서, 당해 드라이어 존이,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고, 또한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을 갖고, 당해 벤딩 공정이, 당해 웹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로 했을 때, 1/a의 값을 0.035mm-1 내지 0.050mm-1의 범위 내로 하고, 또한 벤딩을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면서 행함으로써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stretching the web and subsequently drying in the dryer zone in order to adjust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immediately after changing the atmospher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environment, And the bending process is performed such that the bending process is performed by bending the web so that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inward by the conveying roller in the dryer zone, when the radius of the time went off by a (mm), and the value of 1 / a in the range of 0.035mm to 0.050mm -1 -1, also preferable that dry by performing the bending, while repeated at least 50 times less than 120 times Do.

본 발명에 바람직한 상기 벤딩 처리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ending process prefer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 9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벤딩 처리 장치의 모식도이다.9 is a schematic view of a bending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이스(101)로부터 도프액이 금속 지지체(102) 상에 유연되어, 구동 롤러(103)에 의해 연속적으로 금속 지지체 상에서 건조되어, 웹(금속 지지체 상에 유연된 이후의 도프 막의 호칭을 웹이라 함)을 형성한다. 웹은 잔류 용매량이 원하는 값으로 되도록 건조되고, 박리 점(104)에서 필름 형상으로 박리된 후, 예비 건조, 연신 처리(도시하지 않음)가 실시되고, 벤딩 존(106)에 반송되어, 다수의 반송 롤러(105)에 의해 A면(웹이 금속 지지체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인 면), B면(웹이 금속 지지체에 접하는 면)이 교대로 반송 롤러(105)의 내측이 되도록 반송되어 연속적으로 벤딩 처리가 반복된다. 해당 벤딩 처리는 흡기구(107) 및 배기구(108)를 갖는 벤딩 존(106) 내에서 행하여지고, 필름이 원하는 분위기 온도에서 벤딩되도록 조정된다.The dope 101 from the dies 101 is softened on the metal support 102 and successively dried on the metal support by the drive roller 103 so that the web (the name of the dope after being softened on the metal support is referred to as the web ). The web is dried so that the residual solvent amount becomes a desired value, and is peeled off in the form of a film at the peeling point 104, followed by preliminary drying, stretching processing (not shown), conveyed to the bending zone 106, The surface A (the surface of the web opposite to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metal support) and the surface B (the surface of the web contacting the metal support) are alternately conveyed to the inside of the conveying roller 105 by the conveying roller 105, The bending process is repeated. The bend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bending zone 106 having an inlet 107 and an outlet 108, and the film is adjusted to bend at the desired ambient temperature.

반송 롤러의 직경은, 90 내지 108m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각 롤러간은 180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필름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로 했을 때 1/a의 값이 0.035mm-1 내지 0.050mm-1의 범위 내가 되도록 롤러 직경을 결정하면 된다.The diameter of the conveying roll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 to 108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is preferably about 1800 mm. When the radius of the bent when the film with a (mm) is When the value of the 1 / a determines the diameter of the roller so that within the range of 0.035mm to 0.050mm -1 -1.

벤딩 존(106)에서는, 온도 조정된 열풍이 흡기구(107)로부터 도입되어, 벤딩 존(106) 내를 일정한 분위기 온도로 유지하고, 배기구(108)로부터 배기된다. 벤딩 존(106) 내의 분위기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 밖에 적외선, 가열 롤러 등으로 행해도 되지만, 간편성 면에서 열풍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장치 내의 분위기를 공기로 하는 것도 좋지만, 질소 가스나 탄산 가스,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행해도 된다.In the bending zone 106, the temperature-adjusted hot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let 107 to keep the inside of the bending zone 106 at a constant atmospheric temperature and is exhausted from the exhaust port 108. In order to adjus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bending zone 106, it may be performed by infrared rays, a heating roller, or the like, bu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ot air in terms of simplicity. In addition, the atmosphere in the drying apparatus may be air, but it may be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such as nitrogen gas, carbon dioxide gas, and argon.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벤딩 처리 시의 분위기 온도는,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35 내지 150℃의 범위 내가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음에 있어서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during the bending treatment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0 to 150 占 폚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5 to 150 占 폚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굽힘 횟수는,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회 이상 100회 이하 반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름의 절곡 간격은, 1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0초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0 times, more preferably 70 times or more and 100 times or less. The bending interval of the fil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 second to 1 minute,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 to 30 seconds.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의 반송 속도는, 10 내지 150m/분의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100m/분의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 생산성이나 파단의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veying speed of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150 m / mi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100 m / min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and breakage.

<냉각 공정><Cool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필름은,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를 변동시킨 직후의 치수 변화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또한 상기 웹이 당해 드라이어 존을 나온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ryli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drying a web in a dryer zone and a process of drying the web at a temperature of 50 to 100 deg.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a range of 100 DEG C / sec.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가해서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분자쇄 상태를 빽빽하게 해서, 필름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량을 조정하고, 또한 수분을 함유한 필름의 수축 비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는 70 내지 90℃/초의 범위 내의 속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fter the step of drying the stretched web in the dryer zone,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the range of 50 to 100 ° C / sec is added to form a dense molecular chain state of the film so that the water content And the contraction ratio of the film containing moisture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The cooling rate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 to 90 DEG C / sec.

웹을 냉각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9에서의 냉각 존(109)을 상기 건조 공정인 벤딩 존(106)의 후에 접속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ool the web,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cooling zone 109 in Fig. 9 after the bending zone 106 as the drying process.

웹을 냉각하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냉풍 노즐, 냉각 롤러 등을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지만, 간편성 면에서, 상기 냉각 존 내에서 웹을 반송하면서, 웹에 냉풍을 냉풍 노즐로부터 분사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 웹의 양면에 냉풍을 분사하는 것이, 고정밀도로 웹을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means for cooling the we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generally performed by using a cold air nozzle, a cooling roller or the like. In terms of simplic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is transported in the cooling zone and the cold air is jetted from the cold air nozzle desirable. It is preferable to spray cool air on both sides of the web at this time because the web can be cooled with high precision.

<널링 가공><Knurling>

소정의 열처리 또는 냉각 처리 후, 권취 전에 슬리터를 설치해서 단부를 잘라내는 것이 양호한 권취 형태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 양단부에는 널링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a predetermined heat treatment or cooling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litter before winding to cut off the end portion in order to obtain a good winding form. It is preferable to perform knurling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널링 가공은, 가열된 엠보싱 롤러를 눌러댐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엠보싱 롤러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이것을 눌러댐으로써 필름에 요철을 형성하여, 단부의 부피를 크게 할 수 있다.The knurling can be formed by dipping the heated embossing roller. The embossing roller is formed with fine irregularities, and by pressing it, dents can be formed on the film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end portion.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의 널링의 높이는 4 내지 20㎛의 범위 내, 폭 5 내지 20m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knurling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 to 20 mu m and in the range of 5 to 20 mm in width.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널링 가공은, 필름의 제막 공정에서 건조 종료 후, 권취 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knurling is performed after completion of drying in the film-forming step of the film and before winding.

(6) 권취 공정(6) Coiling process

웹 중의 잔류 용매량이 2질량% 이하가 되고 나서 필름으로서 권취하는 공정이며, 잔류 용매량을 0.4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양호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in the web becomes 2% by mass or less, the film is taken up as a film. When the residual solvent amount is 0.4% by mass or less, a film having good dimensional stability can be obtained.

권취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되며, 정 토크법, 정 텐션법, 테이퍼 텐션법, 내부 응력 일정한 프로그램 텐션 컨트롤법 등이 있어, 그것들을 구별해서 사용하면 된다.As the winding method, those generally used may be used, and there are a static torque method, a constant tension method, a taper tension method, an internal stress and a constant program tension control method, and they may be used separately.

〔보호 필름의 물성〕[Physical properties of protective film]

(헤이즈)(Hayes)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은, 헤이즈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를 1% 미만으로 함으로써, 필름의 투명성이 보다 높아지고, 광학 필름으로서 보다 사용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haze of less than 1%, more preferably less than 0.5%. When the haze is less than 1%,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becomes higher and the optical film becomes easier to use.

(평형 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은, 25℃, 상대 습도 60%에서의 평형 함수율이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형 함수율을 4% 이하로 함으로써, 습도 변화에 대응하기 쉽고, 광학 특성이나 치수가 보다 변화하기 어려워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4% or less at 25 캜 and 60% relative humidity, and more preferably 3% or less. By setting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to 4% or less,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cope with humidity change and optical properties and dimensions are hardly changed.

(필름 길이, 폭)(Film length, width)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긴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0 내지 10000m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롤 형상으로 권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폭은 1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m 이상이며, 특히 1.4 내지 4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long, and more specifically, preferably has a length of about 100 to 10000 m, and is wound in a roll form.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m or more, more preferably 1.4 m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4 to 4 m.

≪편광판≫«Polariz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인 것이 특징이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zer is sandwiched between the film A and the film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a the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편광판이 시인측의 편광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름 A의 시인측에, 방현층 또는 클리어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 sid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antiglare layer or a clear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static layer, a scattering layer, or the like on the viewer side of the film A.

〔편광자〕[Polarizer]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주된 구성 요소인 편광자는, 일정 방향의 편파면의 광만을 관철하는 소자이며, 현재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염색시킨 것과, 2색성 염료를 염색시킨 것이 있다.The polarizer,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arrying out only the light of a polarization plane in a certain direction, and a typical polarizer currently known is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includes a polyvinyl alcohol film stained with iodine and a dichroic dye stained.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막하고, 이것을 1축 연신시켜서 염색하거나, 염색한 후 1축 연신하고 나서, 바람직하게는 붕소 화합물로 내구성 처리를 행한 편광자가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의 막 두께는 2 내지 30㎛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특히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polarizer, a polarizer in which 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is formed, uniaxially stretched, dyed, uniaxially stretched, and preferably subjected to a durability treatment with a boron compound can be used.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3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15 mu m.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481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42322호 공보 등에 기재된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 1 내지 4몰%, 중합도 2000 내지 4000, 비누화도 99.0 내지 99.99몰%의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열수 절단 온도가 66 내지 73℃인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사용한 편광자는, 편광 성능 및 내구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색 얼룩이 적어, 대형 액정 표시 장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Further, an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having an ethylene unit content of 1 to 4 mol%,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000 to 4000 and a saponification degree of 99.0 to 99.99 mol% described in JP-A-2003-248123 and JP-A-2003-342322 Alcohol is also preferably used. Among them, an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hot water cutting temperature of 66 to 73 占 폚 is preferably used. A polarizer using this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film is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durability, and has less color unevenness and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n a large-siz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적층 필름형의 편광자〕[Polarizer of laminated film type]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박막이므로, 편광자의 두께는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편광판의 강도와 박막화를 양립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Further, sinc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 film,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within a range of 2 to 15 탆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both strength and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이러한 박막의 편광자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00161호 공보, 일본 특허 제4691205호 공보, 일본 특허 제4751481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0458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적층 필름형의 편광자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a polarizer of a thin fil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laminated film type polarizer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11-116111, 1186161, 128631/1994, desirable.

일례로서, 이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박막의 적층 필름형의 편광자(편광성 적층 필름)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인 표시 불균일과 밀착성을 개선할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laminated film-type polarizer (polarizing laminated film) of a thin film produced by the following steps because it can improve the display unevenness and adhesion, which ar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본 발명에 따른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하기 공정을 포함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열가소성 수지에 고무 성분이 분산되어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는 적층 공정,(a) a lamination step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n one side of a base film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dispersed in a thermoplastic resin to obtain a laminated film,

(b)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해서 연신 필름을 얻는 연신 공정,(b) a stretching step of obtaining a stretched film by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c) 연신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염색 필름을 얻는 염색 공정,(c) a dyeing step of dy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a stretch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obtain a dyeing film,

(d) 염색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해서 편광자층을 형성하여, 가교 필름을 얻는 가교 공정, 및(d) a crosslinking step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dye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to form a polarizer layer, and obtaining a crosslinked film, and

(e) 가교 필름을 건조하는 건조 공정(e) a drying process for drying the crosslinked film

이하, 각 공정을 설명하면,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a) 적층 공정(a) Laminating process

본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고무 성분이 분산(블렌드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해서, 그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는다.In this step, a film formed by dispersing (blending and dispersing) a rubber component in a thermoplastic resin is used as a bas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obtain a laminated film.

(기재 필름)(Substrate film)

기재 필름의 베이스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를 들면, 예를 들어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serving as the base of the base film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stretchability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include, for example, a chain polyolefin-based resin;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Meth) acrylic resins; Polyester-based resin; Cellulose ester resins; Polycarbonate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Vinyl acetate resin; Polyarylate resins; Polystyrene type resin; Polyether sulfone type resin; Polysulfone resins; Polyamide based resin; Polyimide resin; And mixtures or copolymers thereof.

열가소성 수지에 분산되는 고무 성분은 고무 탄성을 갖는 수지 성분이며, 통상 고무 입자로서 열가소성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고무 성분을 혼합 분산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나아가서는 연신 필름의 인장 파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무 성분은, 고무 탄성을 갖는 수지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동종 또는 유사한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ubber component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is a resin component having rubber elasticity and is usually uniformly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as rubber particles. By mixing and dispersing the rubber components, the tensile rupture strength of the base film and thus the stretched film can be improved. The rubber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resin having rubber elasticity, but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it is preferable that the rubber component is composed of the same or similar resin as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used.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경우, 고무 성분은, 에틸렌 및 α-올레핀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의 함유량(중합 비율)은 9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is a chain polyolefin-based resin, the rubber component may be a copolymer of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selected from ethylene and? -Olefin. In this case, the content (polymerization ratio) of each monomer constituting the copolymer is preferably less than 90% by mass, more preferably less than 80% by mass.

열가소성 수지가 (메트)아크릴계 수지인 경우, 상용성의 관점에서, 고무 성분으로서 고무 탄성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산알킬을 주체로 하는 중합체인 것이 좋고, 아크릴산알킬의 단독중합체이어도 되고, 아크릴산알킬 50질량% 이상과 다른 단량체 50질량% 이하와의 공중합체이어도 된다.When the thermoplastic resin is a (meth) acrylic resin,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n acrylic polymer having rubber elasticity as a rubber component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The acrylic polymer may be a polymer mainly composed of alkyl acrylate or may be a homopolymer of alkyl acrylate or a copolymer of 50 mass% or more of alkyl acrylate and 50 mass% or less of other monomer.

고무 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의 5 내지 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질량%이다. 고무 성분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인장 파열 강도 향상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고무 성분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기재 필름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rubber component is preferably 5 to 50 mass%, more preferably 10 to 45 ma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rubber component is too small, a sufficient improvement effect of the tensile rupture strength tends to be hardly obtained.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rubber component is too large,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base film tends to be lowered.

고무 성분의 열가소성 수지에의 분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각 별도로 제작한 열가소성 수지와 고무 성분(고무 입자)을 플라스토밀 등으로 혼련해서 분산시키는 방법이나, 열가소성 수지 제조 시에 동일한 반응 용기 내에서 고무 성분도 제조해서 고무 성분이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를 얻는 리액터 블렌드법 등을 들 수 있다. 리액터 블렌드법은, 고무 성분의 분산 정도를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The method of dispersing the rubber component in the thermoplas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method of kneading and dispersing a separately prepared thermoplastic resin and a rubber component (rubber particle) with a plastometer or the like, And a reactor blend method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also produced in a reaction vessel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dispersed. The reactor blend method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rubber component.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유도체로서는,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등 외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orm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clude a polyvinyl alcohol resin and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the derivative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nclud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and the like.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mixed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such as olefin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crotonic acid, Or an alkyl ester, acrylamide, or the like. Of these, polyvinyl alcohol resins are preferably use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완전 비누화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도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00.0몰%의 범위 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9.5몰%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4.0 내지 99.0몰%의 범위 내이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 completely saponified product.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 to 100.0 mo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0 to 99.5 mol%,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4.0 to 99.0 mol%.

상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가소제로서는, 폴리올 및 그 축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예시된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Additives such as a plasticizer and a surfactant may be added to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f necessary. As the plasticizer, a polyol and condensates thereof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glycerin, diglycerin, tri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The amount of the additive to be blen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by mass or l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용액을 기재 필름에 도포 시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와이어 바 코팅법,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50 내지 200℃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의 범위 내이다. 건조 시간은, 예를 들어 2 내지 20분의 범위 내이다.Examples of the method of apply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solution to the substrate film include a roll coating method such as a wire bar coating method, a reverse 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 screen coating method, a fountain coating method, a dipping metho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methods of &lt; RTI ID = 0.0 &gt; The dry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0 to 200 占 폚,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 to 150 占 폚. The drying time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2 to 20 minutes.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3㎛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상 4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3㎛ 이하이면 연신 후에 너무 얇아져서 염색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버리고, 50㎛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편광성 적층 필름이 두꺼워진다.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the laminated film is preferably from 3 탆 to 50 탆, and more preferably from 5 탆 to 45 탆. If the thickness is 3 m or less, the thickness becomes too thin after stretching to remarkably deteriorate the dyability. If it exceeds 50 m, the result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becomes thick.

본 발명에 사용하는 편광자로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박막화와 편광자로서의 강도, 유연성의 관점에서, 하기 연신 처리 후의 막 두께로서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used as the polariz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 to 15 탆 in film thickness after the stretching treatment described below,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strength as a polarizer, and flexibility.

(b) 연신 공정(b)

본 공정은, 기재 필름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해서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이다. 적층 필름의 연신 배율은, 원하는 편광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층 필름의 원래 길이에 대하여 5배 초과 17배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초과 8배 이하이다.This step is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to obtain a stretched film.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laminated film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but is preferably 5 times or more and 17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5 times or more and 8 times or less the original length of the laminated film.

연신은, 적층 필름의 길이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연신을 행하는 세로 연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연신 방식으로서는, 롤러간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텐터를 사용한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1축 연신은, 세로 연신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기울기 연신 등이어도 된다.The stretching is preferably longitudinal stretching in which the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lm transport direction) of the laminated film. Examples of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ethod include an inter roller stretching method, a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and a stretching method using a tenter. The uniaxial stretching is not limited to the longitudinal stretching process, but may be inclined stretching.

(c) 염색 공정(c) Dyeing process

본 공정은, 연신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해서 염색 필름을 얻는 공정이다. 2색성 색소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나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염료로서는, 예를 들어, 레드 BR, 레드 LR, 레드 R, 핑크 LB, 루빈 BL, 보르도 GS, 스카이블루 LG, 레몬 옐로우, 블루 BR, 블루 2R, 네이비 RY, 그린 LG, 바이올렛 LB, 바이올렛 B, 블랙 H, 블랙 B, 블랙 GSP, 옐로우 3G, 옐로우 R, 오렌지 LR, 오렌지 3R, 스칼렛 GL, 스칼렛 KGL, 콩고 레드, 브릴리언트 바이올렛 BK, 수프라 블루 G, 수프라 블루 GL, 수프라 오렌지 GL, 다이렉트 스카이블루, 다이렉트 패스트 오렌지 S, 퍼스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2색성 물질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In this step, the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of the drawn film is dyed with a dichroic dye to obtain a dye film. Examples of the dichroic dye include iodine and organic dyes. Examples of the organic dyes include red BR, red LR, red R, pink LB, rubin BL, bordeaux GS, sky blue LG, lemon yellow, blue BR, blue 2R, navy RY, green LG, violet LB, violet B , Black H, Black B, Black GSP, Yellow 3G, Yellow R, Orange LR, Orange 3R, Scarlet GL, Scarlet KGL, Congo Red, Brilliant Violet BK, Supra Blue G, Supra Blue GL, Supra Orange GL, , Direct Fast Orange S, and First Black. These dichroic substance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 효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또한 요오드화물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염색 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요오드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sm dye, it is preferable to add iodide to the dyeing solution containing iodine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dyeing efficiency.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d) 가교 공정(d) Crosslinking Process

본 공정은, 2색성 색소로 염색시켜서 얻어진 염색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에 대하여 가교 처리를 행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편광자층으로 하는 가교 필름을 얻는 공정이다. 가교 공정은, 예를 들어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가교 용액) 중에 염색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이나,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is step is a step of obtaining a crosslinked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as a polarizer layer by performing a crosslinking treatment on a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of a dye film obtained by dying with a dichroic dye. The crosslinking step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dyeing film in a solution (crosslinking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s the crosslinking agent, conventionally known substances can be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and glyoxal and glutaraldehyd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e) 건조 공정(e) Drying process

얻어진 가교 필름은, 통상 세정을 행한 후 건조된다. 이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세정은,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순수에 가교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물 세정 온도는, 통상 3 내지 5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의 범위 내이다. 침지 시간은, 통상 2 내지 300초간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40초간의 범위 내이다. 세정은, 요오드화물 용액에 의한 세정 처리와 물 세정 처리를 조합해도 되고, 적절하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액체 알코올을 배합한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resulting crosslinked film is usually washed and then dried. Thus, a polarizing laminated film is obtained.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crosslinked film in pure water such as ion-exchanged water or distilled water. The water washing temperature is usually within the range of 3 to 50 占 폚,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4 to 20 占 폚. The immersion time is usually in the range of 2 to 300 second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240 seconds. The cleaning may be a combination of a cleaning treatment with a iodide solution and a water cleaning treatment, or a solution in which a liquid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or propanol is blended.

건조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예를 들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건조의 경우, 건조 온도는, 통상 20 내지 95℃의 범위 내이며, 건조 시간은, 통상 1 내지 15분간 정도이다.As the drying method, any appropriate method (for example, natural drying, air blow drying, heat drying) may be employ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t drying, the drying temperature is usually in the range of 20 to 95 占 폚, and the drying time is usually about 1 to 15 minutes.

편광성 적층 필름은,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편광자층을 구비하는 것이며, 그 자체를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상기 공정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편광성 적층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당해 폴리비닐알코올층을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편광자층의 두께를 15㎛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박형의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광자는, 편광 성능 및 내구성도 우수하다.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has a polarizer layer includ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in which a dichroism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and can itself be used as a polarizing plat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s formed by the above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is peeled off from the base film to form the polyvinyl alcohol layer, .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yer can be 15 m or less, a thin polarizer can be obtained. Further, the polariz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durability.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Active ray curable adhesive]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한 보호 필름인 아크릴 필름과 편광자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과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rylic film,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described above and the polarizer are bonded together by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또한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는, 하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s the active ray curable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ollowing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본 발명에서는,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합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적용함으로써, 박막이라도 강도가 높고, 평면성이 우수한 편광판 특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o the bonding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polarizing plate characteristics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planarity can be obtained even in a thin film.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조성〕[Composition of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편광판용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로서는, 광 라디칼 중합을 이용한 광 라디칼 중합형 조성물, 광 양이온 중합을 이용한 광 양이온 중합형 조성물, 및 광 라디칼 중합 및 광 양이온 중합을 병용한 하이브리드형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As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arizing plate, there are known a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type composition using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a photo cation polymerization type composition using photo cation polymerization, and a hybrid type composition using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and photo cation polymerization in combination.

광 라디칼 중합형 조성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09329호 공보에 기재된 히드록시기나 카르복시기 등의 극성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극성기를 함유하지 않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에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에는, N 치환 (메트)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등이 포함된다. (메트)아크릴아미드는,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를 의미한다.Examples of the photo-radical polymerization type composition include compositions containing a radical polymerizing compound containing a polar group such as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containing no polar group in a specific ratio described in JP-A-2008-009329 Is known. In particular, the radical polymerizing compound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ethylenic unsaturated bond. Preferable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ethylenically unsaturated bond include a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include N-substituted (meth) acrylamide-based compounds, (meth) acrylate-based compounds and the like. (Meth) acrylamide means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또한, 광 양이온 중합형 조성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2823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α)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β)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γ) 380nm보다 긴 파장의 광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는 광 증감제 및 (δ) 나프탈렌계 광 증감 보조제의 각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단, 그 밖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As the photo cationic polymerization type composition, there may be mentioned (a)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 A photo 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 A photoacid generator having a wavelength longer than 380 nm (隆) naphthalene-based photo-sensitization assistant, and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a photo-sensitizer and 隆 -naphthalene-based photosensitizer. However, other ultraviolet curable adhesives may be used.

(전처리 공정)(Pre-processing step)

전처리 공정은, 보호 필름의, 편광자와의 접착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를 행하는 공정이다. 편광자의 양면 각각에 보호 필름인 필름 A 및 필름 B를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보호 필름의, 편광자와의 접착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를 행한다. 접착 용이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The pretreatment step is a step of performing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on the adhesion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to the polarizer. When the film A and the film B, which are protective films, are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adhesion surface of each protective film to the polarizer. Examples of the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include corona treatment and plasma treatment.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도포 공정)(Application step of ultraviolet curing type adhesive)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도포 공정으로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의 접착면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다.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직접,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그 도포 방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 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다양한 습식 도포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사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유연시킨 뒤, 롤러 등으로 가압해서 균일하게 펴 넓히는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In the application step of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of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When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direct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the protective film, the applic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various wet coating methods such as a doctor blade, a wire bar,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nd a gravure coater can be used. Further, a method may be employed in which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poured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followed by pressing with a roller or the like to uniformly spread the adhesive.

(접합 공정)(Bonding step)

상기 방법에 의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는, 접합 공정에서 처리된다. 이 접합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앞의 도포 공정에서 편광자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한 경우, 거기에 보호 필름이 중첩된다. 또한, 처음에 보호 필름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거기에 편광자가 중첩된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사이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유연시킨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이 중첩된다. 그리고, 통상은, 이 상태에서 양면의 보호 필름측으로부터 가압 롤러 등으로 사이에 끼워서 가압하게 된다. 가압 롤러의 재질은, 금속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면에 배치되는 가압 롤러는, 동일한 재질이어도 되고, 다른 재질이어도 된다.After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applied by the above method, it is treated in the bonding step. In this bonding step, for example, when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in the previous coating step, the protective film is superimposed thereon. Further, in the case of a method in which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firs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a polarizer is superposed thereon. Further, when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poured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the polarizer and the protective film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Normally, in this state, it is pressed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side with a pressing roller or the like. As the material of the pressure roller, metal or rubber can be used. The pressure rollers disposed on both sides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경화 공정)(Curing Process)

경화 공정에서는, 미경화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예를 들어,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이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아크릴아미드계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경화시키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중첩한 편광자와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접착시킨다. 편광자의 편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은, 편광자측 또는 보호 필름측 중 어느 쪽으로부터 조사해도 된다. 또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중첩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양면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curing step,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an uncured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to form a cationic polymerizable compound (for example, an epoxy compound or an oxetane compound) or a radical polymerizable compound (for example, an acrylate compound or an acrylamide compound Compound, etc.) is cured, and a superposed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or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When a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 active energy ray may be irradiated from either the polarizer side or the protective film side. Wh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retardation film are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the protective film and the retardation film are superim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with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advantageous to cure.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본 발명에 적용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임의의 적절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적산 광량으로 50 내지 1500mJ/cm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mJ/cm2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irradiation condition of the ultraviolet ray may be any suitable condition as long as it is a condition capable of curing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se of ultraviolet radiation at a cumulative light intensity and in a range of 50 to 1500mJ / cm 2 preferably, and more preferably in a range of 100 to 500mJ / cm 2.

편광판의 제조 공정을 연속 라인으로 행하는 경우, 라인 속도는, 접착제의 경화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m/min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m/min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m/min의 범위 내이다. 라인 속도가 1m/min 이상이면,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는 보호 필름 A에의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라인 속도가 500m/min 이하이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가 충분해져서, 목적으로 하는 경도를 구비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is performed in a continuous line, the line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curing time of the adhesive,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00 m / mi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 to 300 m / min, Is in the range of 10 to 100 m / min. When the line speed is 1 m / min or more, the productivity can be ensured, or the damage to the protective film A can be suppressed, and a polarizer excellent in durability can be manufactured. When the line speed is 500 m / min or less, the curing of the ultraviolet curing type adhesive becomes sufficient, so that the ultraviolet curing type adhesive layer having the desired hardness and excellent adhesiveness can be formed.

≪액정 표시 장치≫&Quo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시인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excellent visibility can be manufactured.

본 발명의 편광판은, STN, TN, OCB, HAN, VA(MVA, PVA), IPS, OCB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VA(MVA, PVA)형 액정 표시 장치이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of various driving methods such as STN, TN, OCB, HAN, VA (MVA, PVA), IPS, and OCB. And is preferably a VA (MVA, PVA)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에는, 통상 시인측의 편광판과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의 2매의 편광판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편광판을 양쪽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편측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은 외부 환경에 직접 접촉하는 시인측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때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 필름이 시인측에 배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이, 위상차 필름으로서 액정 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o polarizing plates, that is, a polarizing plate on the viewer's side and a backlight side, are usually u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oth polarizing plates.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olarizing plate on the side of the viewer who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t that time, the acrylic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and the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또한,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은 본 발명 이외의 편광판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편광자의 양면을, 예를 들어 시판하고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예를 들어, 코니카 미놀타 태크 KC8UX, KC5UX, KC4UX, KC8UCR3, KC4SR, KC4BR, KC4CR, KC4DR, KC4FR, KC4KR, KC8UY, KC6UY, KC4UY, KC4UE, KC8UE, KC8UY-HA, KC2UA, KC4UA, KC6UAKC, 2UAH, KC4UAH, KC6UAH, 이상 코니카 미놀타(주) 제조, 후지탁 T40UZ, 후지탁 T60UZ, 후지탁 T80UZ, 후지탁 TD80UL, 후지탁 TD60UL, 후지탁 TD40UL, 후지탁 R02, 후지탁 R06, 이상 후지필름(주) 제조 등)을 접합한 편광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polarizer can be coat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cellulose ester film (for example, Konica Minolta Tact KC8UX, KC5UX, KC4UX, KC8UCR3, KC4UH, KC4UA, KC4UA, KC4UH, KC4UH, KC4UH, KC4UR, KC4FR, KC4KR, KC4FR, KC4KR, KC8UY, KC6UY, KC4UY, KC4UE, KC8UE, KC8UY- Fujitac T60UZ, Fujitac T80UZ, Fujitac TD80UL, Fujitac TD60UL, Fujitac TD40UL, Fujitac R02, Fujitac R06, manufactured by Fuji Photo Film Co., Ltd.) are preferably used.

또한,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으로서, 편광자의 액정 셀측에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고, 반대측의 면에 상기 시판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the polarizing plate on the backlight side, a cellulose acetat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polarizer, and a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commercially available cellulose ester film, polycarbonate film or cycloolefin polymer film is bonded to the opposite side Can be preferably used.

본 발명의 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화면이 30형 이상인 대형 화면의 액정 표시 장치이어도, 표시 불균일, 정면 콘트라스트 등 시인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By using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visibility such as display unevenness, frontal contrast, and the like, even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of a large screen having a screen of 30 or more in particular.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이외에도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실시예 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 또는 「%」의 표시를 사용하는데,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부」 또는 「질량%」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examples, &quot; part &quot; or &quot;% &quot; is used, and &quot; mass part &quot; or &quot; mass% &quot;

실시예 1Example 1

<필름 A 및 필름 B의 제작>&Lt; Production of Film A and Film B >

〔필름 A-101의 제작〕[Production of film A-101]

다음의 방법에 따라,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인 필름 A-101을 제작하였다.Film A-101, which is a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was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미립자 분산 희석액의 제조)(Preparation of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ent)

10질량부의 에어로질 972V(닛본에어로질사 제조, 1차 평균 입자 직경: 16nm, 외관 비중 90g/L)와, 90질량부의 에탄올을 디졸버로 30분간 교반 혼합한 후, 고압 분산기인 맨튼 가울린(Manton-Gaulin)을 사용해서 분산시켜, 미립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90 parts by mass of ethanol was mixed with a dissolver for 30 minutes with stirring, 10 parts by mass of an aerosol of 972 V (primary average particle diameter: 16 nm, outer specific gravity: 90 g / L, manufactured by Nippon Aerosil Co., Manton-Gaulin) to prepare a fine particle dispersion.

얻어진 미립자 분산액에, 88질량부의 디클로로메탄을 교반하면서 투입하고, 디졸버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아드반테크도요사 제조 폴리프로필렌 와인드 카트리지 필터 TCW-PPS-1N으로 여과하여, 미립자 분산 희석액을 얻었다.To the resulting fine particle dispersion, 88 parts by mass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with stirring,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nd mixed with a dissolver for 30 minutes to dilute.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polypropylene wind cartridge filter TCW-PPS-1N manufactured by Advanec Tire Co., Ltd. to obtain a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ted solution.

(인라인 첨가액의 제조)(Preparation of in-line addition liquid)

자외선 흡수제로서 15질량부의 티누빈 928(바스프(BASF) 재팬사 제조)과, 100질량부의 디클로로메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고, 가열 교반해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여과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36질량부의 상기 미립자 분산 희석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해서 30분간 더 교반한 후, 6질량부의 아크릴 수지: 다이아날 BR85(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 Mw: 280000)를 교반하면서 첨가해서 60분간 더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니혼세이센(주) 제조 파인메트 NF로 여과하여, 인라인 첨가액을 얻었다. 여과재는, 공칭 여과 정밀도 20㎛의 것을 사용하였다.15 parts by mass of Tinuvin 928 (manufactured by BASF Japan) and 100 parts by mass of dichloromethane as an ultraviolet absorber were placed in a sealed container, which was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filtration. To the obtained solution, 36 parts by mass of the above-mentioned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ted solution was added with stirring and further stirred for 30 minutes, and then 6 parts by mass of acrylic resin: DIANAL BR85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Mw: 280000) Lt; / RTI &gt; The solution thus obtained was filtered with Pine Met NF manufactured by Nippon Seisen Co., Ltd. to obtain an inline addition liquid. As the filter medium, a filter having a nominal filtration accuracy of 20 mu m was used.

(도프 1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고,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을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with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ing 1.

<주 도프 1의 조성>&Lt; Composition of main doping 1 >

아크릴 수지 1: 다이아날 BR85(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 아크릴 수지 Mw: 280000) 85질량부Acrylic resin 1: Dianal BR85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crylic resin Mw: 280000) 85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 사카로오스: 화학식 4에 기재된 화합물 g-1 내지 g-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6.0 10질량부Ester: BzSc (benzyl saccharose: mixture of compounds g-1 to g-4 described in formula (4)),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6.0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1 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The polycondensation ester P1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5 parts by mass

메틸렌클로라이드 360질량부Methylene chloride 360 parts by mass

에탄올 15질량부ethanol 15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과, 2.5질량부의 인라인 첨가액을,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onary in-tube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

(제막 공정)(Film forming step)

얻어진 도프 1을, 벨트 유연 장치를 사용해서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 도프 1의 액 온도 35℃, 폭 1.7m의 조건에서, 최종 막 두께가 40㎛가 되는 조건에서 균일하게 유연시켰다.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서, 얻어진 도프 막 내의 유기 용매를, 잔류 용매량이 100질량%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서 웹을 형성한 후,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였다. 얻어진 웹을, 110℃에서 또한 10분 예비 건조시킨 후, 웹을 텐터로, 160℃의 조건에서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개시 시의 웹의 잔류 용제량은 2.0질량%이었다. 텐터로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도 9에서 도시하는 건조기(벤딩 존(106))에 의해 130℃에서 15분간 반송하면서, 계속해서 냉각 존(109)에서 30℃/min의 속도로 23℃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2.0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최종 장력 110N/m로 내경 15.24cm 코어에 권취하여, 길이 4000m, 막 두께 40㎛의 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 A-101을 얻었다.The obtained dope 1 was uniformly smoothed on a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using a belt softener under the conditions of a solu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and a width of 1.7 m in the condition of the final film thickness of 40 占 퐉. On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the organic solvent in the obtained dope film was evaporated to a residual solvent amount of 100% by mass to form a web, and then the web was peeled from the stainless band support. The obtained web was preliminarily dried at 110 캜 for 10 minutes, and then the web was stretched 1.5 times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at 160 캜 in a tenter.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was 2.0% by mass. After being stretched by a tenter, the film was relaxed at 130 占 폚 for 5 minutes and then conveyed at 130 占 폚 for 15 minutes by a dryer (bending zone 106) shown in Fig. 9, min to 23 &lt; 0 &gt; C. The resulting film was slit at a width of 2.0 m and knurled at both ends of the film to a width of 10 mm and a height of 5 탆 and wound around a core of 15.24 cm in inner diameter at an initial tension of 220 N / m and a final tension of 110 N / m, A film A-101 containing a long acrylic resin of 40 mu m was obtained.

〔필름 A-102 내지 A-138의 제작〕[Preparation of films A-102 to A-138]

상기 필름 A-101의 제작에 있어서, 냉각 공정의 유무, 냉각 존에서의 냉각 속도 및 막 두께를 변화시킨 것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 A-102 내지 A-138을 얻었다.The film A-102 containing the long acrylic resin shown in Tables 1 and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A-101 except that the cooling step, the cooling rate in the cooling zone and the film thickness were changed. To A-138.

〔필름 B-101의 제작〕[Production of film B-101]

(미립자 분산 희석액의 제조)(Preparation of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ent)

10질량부의 에어로질 R812(닛본에어로질사 제조, 1차 평균 입자 직경: 7nm, 외관 비중 50g/L)와, 90질량부의 에탄올을 디졸버로 30분간 교반 혼합한 후, 고압 분산기인 맨튼 가울린을 사용해서 분산시켜서, 미립자 분산액을 제조하였다.10 parts by mass of Aerosil R812 (manufactured by Nippon Aerosil Co., Ltd., primary average particle diameter: 7 nm, outer specific gravity: 50 g / L) and 90 parts by mass of ethanol were mixed with a dissolver for 30 minutes while stirring. To prepare a fine particle dispersion.

얻어진 미립자 분산액에, 88질량부의 디클로로메탄을 교반하면서 투입하고, 디졸버로 30분간 교반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아드반테크도요사 제조 폴리프로필렌 와인드 카트리지 필터 TCW-PPS-1N으로 여과하여, 미립자 분산 희석액을 얻었다.To the resulting fine particle dispersion, 88 parts by mass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with stirring,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nd mixed with a dissolver for 30 minutes to dilute.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polypropylene wind cartridge filter TCW-PPS-1N manufactured by Advanec Tire Co., Ltd. to obtain a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ted solution.

(인라인 첨가액의 제조)(Preparation of in-line addition liquid)

100질량부의 디클로로메탄에, 36질량부의 상기 제작한 미립자 분산 희석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해서 30분간 더 교반한 후, 6질량부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아세틸기 치환도 2.3, Mn=90000, Mw=152000, Mw/Mn=1.7)를 교반하면서 첨가해서 60분간 더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니혼세이센(주) 제조 파인메트 NF로 여과하여, 인라인 첨가액을 얻었다. 여과재는, 공칭 여과 정밀도 20㎛의 것을 사용하였다.To the 100 parts by mass of dichloromethane was added 36 parts by mass of the above prepared fine particle dispersion diluted solution with stirring and further stirred for 30 minutes. 6 parts by mass of diacetyl cellulose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2.3,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was added with stirring, and the mixture was further stirred for 60 minutes. The solution thus obtained was filtered with Pine Met NF manufactured by Nippon Seisen Co., Ltd. to obtain an inline addition liquid. As the filter medium, a filter having a nominal filtration accuracy of 20 mu m was used.

(도프 2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2)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2를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ing 2. [

<주 도프 2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2>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1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1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10 2질량부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10   2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 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7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7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8 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8   5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1: 하기 화합물 3질량부Retardation adjusting agent 1: The following compound   3 parts by mass

첨가제 A: 하기 화합물 2질량부Additive A: The following compound   2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메탄올 11질량부Methanol   11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과, 2.5질량부의 인라인 첨가액을,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2를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onary type in-pipe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2.

(제막 공정)(Film forming step)

얻어진 도프 2를, 벨트 유연 장치를 사용해서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 도프 2의 액 온도 35℃, 폭 1.95m의 조건에서, 최종 막 두께가 40㎛가 되는 조건에서 균일하게 유연시켰다.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서, 얻어진 도프 막 내의 유기 용매를, 잔류 용매량이 100질량%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서 웹을 형성한 후,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였다. 얻어진 웹을, 110℃에서 또한 10분 예비 건조시킨 후, 웹을 텐터로, 160℃의 조건에서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2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개시 시의 웹의 잔류 용제량은 2.0질량%이었다. 텐터로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그 후, 도 9에서 도시하는 건조기(벤딩 존(106))에 의해 140℃의 온도로 유지하고, 또한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로 했을 때, 1/a의 값이 0.040mm-1가 되도록 반송 롤러의 직경 및 배치를 설정하고, 80회의 벤딩을 반복하여, 20m/분의 반송 속도로 웹을 반송시켰다.The obtained dope 2 was uniformly smoothed on a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using a belt softener under the conditions of a solution temperature of 35 占 폚 and a width of 1.95 m and a final film thickness of 40 占 퐉. On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the organic solvent in the obtained dope film was evaporated to a residual solvent amount of 100% by mass to form a web, and then the web was peeled from the stainless band support. The obtained web was preliminarily dried at 110 캜 for 10 minutes, and then the web was stretched in a tenter at 1.2 캜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at 160 캜.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was 2.0% by mass. After being stretched by a tenter, the sheet was relaxed at 130 캜 for 5 minutes. Thereafter, the sheet was held at a temperature of 140 캜 by a dryer (bending zone 106) shown in Fig. 9, The diameter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veying rollers are set such that the value of 1 / a is 0.040 mm &lt; -1 &gt; when a (mm) represents a radius when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bent inward And the bending was repeated 80 times to convey the web at a conveyance speed of 20 m / min.

얻어진 필름을, 2.0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최종 장력 110N/m로 내경 15.24cm 코어에 권취하여, 길이 4000m, 막 두께 40㎛의 긴 디아세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필름 B-101을 얻었다.The resultant film was slit at a width of 2.0 m and knurled at both ends of the film to a thickness of 10 mm and a height of 5 탆 and wound around a core of 15.24 cm in inner diameter at an initial tension of 220 N / m and a final tension of 110 N / m, A film B-101 containing a long diacetyl cellulose having a thickness of 40 mu m was obtained.

〔필름 B-102 내지 B-138의 제작〕[Production of films B-102 to B-138]

상기 필름 B-101의 제작에 있어서, 디아세틸셀룰로오스의 아세틸기 치환도(표 중 DAC 치환도라 기재함), 벤딩 존에서의 상기 1/a의 값, 벤딩 횟수 및 막 두께를 변화시킨 것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긴 필름 B-102 내지 B-132를 얻었다.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B-101, except that the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of diacetyl cellulose (referred to as DAC substitution degree in the table), the value of 1 / a in the bending zone, the number of bending times and the film thickness were changed Similarly, the long films B-102 to B-132 described in Table 1 and Table 2 were obtained.

또한, B-133 내지 B138에 대해서는, 하기 주 도프 3 내지 8을 각각 사용하여, B-132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작하였다.B-133 to B138 wer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B-132 by using the following main dope 3 to 8, respectively.

<주 도프 3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3>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5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5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7 2.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7 2.5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1: 하기 화합물 2.5질량부Retardation adjusting agent 1: The following compound 2.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주 도프 4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e 4>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6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6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1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1

1질량부 1 part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2 2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2 2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1: 하기 화합물 2.2질량부Retardation adjusting agent 1: The following compound 2.2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주 도프 5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5>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5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5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1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1

1질량부 1 part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P2 2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2 2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1: 하기 화합물 2.5질량부Retardation adjusting agent 1: The following compound 2.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주 도프 6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6>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5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5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9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9

1질량부 1 part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P2 2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2 2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2: 하기 화합물 2.5질량부Retardation adjusting agent 2: The following compound 2.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주 도프 7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7>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7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7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9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9

1질량부 1 part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P1 2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1 2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주 도프 8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8>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6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6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P2 2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2 2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5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편광자 1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1]

하기 공정에 의해, 박막의 편광자를 형성하기 위해서 편광성 적층 필름을 제작하고, 당해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박막의 편광자를 얻었다.A polarizing laminated film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process to form a polarizer of a thin film, and the base film was peeled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to obtain a polarizer of a thin film.

(1) 기재 필름의 제작(1) Production of base film

리액터 블렌드법에 의해, 동일한 반응 용기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및 고무 성분을 순차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글러·나타형 촉매를 사용하여, 제1 공정으로서 프로필렌 단량체를 기상 중에서 피드해 가서, 열가소성 수지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프로필렌 단량체의 피드를 멈추고 반응을 정지시킨 후, 그 반응 용기에 그대로, 제2 공정으로서 에틸렌 단량체와 프로필렌 단량체를 기상 중에서 피드해 가서, 고무 성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고무 성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입자상으로 분산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얻었다. 공중합체에서 차지하는 에틸렌 유닛의 함유량을 중합시의 물질 수지로부터 구한 결과, 35질량%이었다. 또한, 수지 전체(열가소성 수지 및 고무 성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에틸렌 유닛의 함유량을 고분자 핸드북(1995년, 기노쿠니야 서점 발행)의 제616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서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수지 전체에서 차지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유량을 산출한 결과, 29질량%이었다(즉,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의 40.8질량%).A thermoplastic resin and a rubber component were sequentially prepared by the reactor blend method in the same reaction vessel. Specifically, propylene monomer was fed in a gas phase as a first step by using a Ziegler-Natta catalyst, and a propylene homopolymer as a thermoplastic resin was produced. The feed of the propylene monomer was stopped to stop the reaction and the ethylene monomer and the propylene monomer were fed in the gas phase as they were in the reaction vessel as the second step to prepare an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s the rubber component. -Propylene copolymer dispersed in particulate form was obtained. The content of the ethylene unit in the copolymer was determined from the mass balance at the time of polymerization and found to be 35 mass%. The content of the ethylene unit in the total resin (total of the thermoplastic resin and the rubber compon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on page 616 of the Polymer Handbook (published by Kinokuniya Shoten in 1995)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was 29 mass% (i.e.,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was 40.8 ma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얻어진 혼합 수지를 250℃에서 용융 혼련한 후, T다이에서 28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을 행하여, 두께 100㎛의 기재 필름을 얻었다.The resulting mixed resin was melted and kneaded at 250 占 폚 and then melt-extruded at a temperature of 280 占 폚 on a T-die to obtain a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占 퐉.

(2) 프라이머층의 형성(2) Formation of primer layer

폴리비닐알코올 분말(닛본 고세 가가꾸 고교(주) 제조 「Z-200」, 평균 중합도 1100, 평균 비누화도 99.5몰%)을 95℃의 열수에 용해하여, 농도 3질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에 가교제(스미토모 가가꾸(주) 제조 「스미레즈 레진 650」)를 폴리비닐알코올 분말 6질량부에 대하여 5질량부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 수용액을,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상기 기재 필름의 코로나 처리 면 상에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해서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0.2㎛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Polyvinyl alcohol powder ("Z-200" manufactured by Nippon Gosei Chemical Industry Co., Ltd.,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1100, average saponification degree: 99.5 mol%) was dissolved in hot water at 95 ° C to prepare 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 . To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5 parts by mass of a crosslinking agent ("Sumirez Resin 650"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was added to 6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powder. The obtained mixed aqueous solution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substrate film subjected to the corona treatment using a micro gravure coater and dried at 80 DEG C for 10 minutes to form a 0.2 mu m thick primer layer.

(3)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형성(3) Forma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폴리비닐알코올 분말(구라레(주) 제조 「PVA124」, 평균 중합도 2400, 평균 비누화도 98.0 내지 99.0몰%)을 95℃의 열수에 용해하여, 농도 8질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립 코터를 사용해서 도포 시공하고, 80℃에서 2분간, 70℃에서 2분간, 계속해서 60℃에서 4분간의 조건 하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프라이머 층을 개재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9.8㎛이었다.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8% by mass was prepared by dissolving polyvinyl alcohol powder ("PVA124"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average saponification degree: 98.0 to 99.0 mol%) in hot water at 95 ° C.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was coated on the primer layer using a lip coater and dried under the conditions of 80 캜 for 2 minutes, 70 캜 for 2 minutes and subsequently at 60 캜 for 4 minutes to form a primer layer Thereby producing a laminated film in whi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was laminated.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was 9.8 mu m.

(4) 연신 필름의 제작(4) Production of stretched film

상기 적층 필름을 160℃의 연신 온도에서 5.8배로 자유 단부 세로 1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두께는 28.5㎛이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두께는 5.0㎛이었다.The laminated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160 DEG C at a free end portion of 5.8 times to obtain a stretched film.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stretched film was 28.5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was 5.0 占 퐉.

(5)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작(5) Production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상기 연신 필름을 60℃의 온욕에 60초간 침지한 후,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30℃의 염색 용액에 150초간 정도 침지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염색을 행하고, 이어서 10℃의 순수로 여분의 요오드액을 씻어내었다. 이어서,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인 76℃의 가교 용액에 60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10℃의 순수로 4초간 세정하고, 마지막으로 50℃에서 300초간 건조시킴으로써,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었다. 이 편광성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편광자로서 사용하였다.The stretched film was immersed in a warm bath at 60 DEG C for 60 seconds and then dipped in a dyeing solution at 30 DEG C for about 150 seconds a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to stain the polyvinyl alcohol resin layer, Of the pure iodine solution.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solution at 76 DEG C for 600 seconds as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Thereafter, the film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10 캜 for 4 seconds, and finally dried at 50 캜 for 300 seconds to obtain a polarizing laminated film.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was peeled from the base film, and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was used as the polarizer.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액 1의 제조〕[Preparation of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iquid 1]

다음의 각 성분을 혼합한 후, 탈포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액 1을 제조하였다. 또한,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는, 50%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용액으로서 배합하고, 하기에는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고형 분량을 표시하였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mixed and defoamed to prepare an ultraviolet curing type adhesive liquid 1. Further, triar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was compounded as a 50% propylene carbonate solution, and the solid content of triar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was shown below.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 헥산카르복실레이트 45질량부45 parts by mass of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에폴리드 GT-301(다이 셀 가가꾸사 제조의 지환식 에폭시 수지) 40질량부40 parts by mass of Polyd GT-301 (alicyclic epoxy resin manufactured by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5질량부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15 parts by mass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3질량부Triar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2.3 parts by mass

9,10-디부톡시안트라센 0.1질량부9,10-dibutoxyanthracene   0.1 parts by mass

1,4-디에톡시나프탈렌 2.0질량부1,4-diethoxynaphthalene   2.0 parts by mass

〔편광판 101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101]

다음의 방법에 따라, 편광판 101을 제작하였다.The polarizing plate 101 was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위상차 필름으로서 상기 제작한 필름 B-101을 사용하고, 그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코로나 방전 처리의 조건은, 코로나 출력 강도 2.0kW, 라인 속도 18m/분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필름 B-101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기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액 1을, 경화 후의 막 두께가 약 3㎛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 시공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에, 상기 제작한 편광성 적층 필름의 편광자(두께 5㎛)측을 접합하고, 그 후 기재 필름은 박리하였다.First, the above-prepared film B-101 was used as a retardation film, and its surface was subjected to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The conditions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were a corona output power of 2.0 kW and a line speed of 18 m / min. Subsequently, on the corona discharge treated surface of the film B-101,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iquid 1 prepared above was applied and coated with a bar coater so as to have a film thickness after curing of about 3 탆 to form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To the obtained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the polarizer (thickness 5 mu m) side of the prepared polarizing laminated film was bonded, and then the base film was peeled off.

계속해서, 상기 제작한 필름 A-101을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조건은, 코로나 출력 강도 2.0kW, 속도 18m/분으로 하였다.Subsequently,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thus prepared film A-101. The conditions of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were a corona output power of 2.0 kW and a velocity of 18 m / min.

계속해서, 필름 A-101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기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액 1을, 경화 후의 막 두께가 약 3㎛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 시공해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Subsequently, on the corona discharge treated surface of the film A-101, the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iquid 1 prepared above was applied and coated with a bar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curing was about 3 占 퐉 to form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에, 필름 B-101의 편면에 접합된 편광자를 접합하여, 필름 A-101/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편광자/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필름 B-101이 적층된 적층체를 얻었다. 그때, 필름 A-101 및 필름 B-101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접합하였다.A polarizer bonded to one side of the film B-101 was bonded to this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to obtain a laminate in which the film A-101 /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 polarizer /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 film B-101 were laminated. At that time, the film was bonded such that the slow axis of the film A-101 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were orthogonal to each other.

이 적층체의 양면측으로부터, 벨트 컨베이어 구비 자외선 조사 장치(램프는,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의 D 밸브를 사용)를 사용해서, 적산 광량이 750mJ/cm2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각각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총 막 두께가 91㎛인 편광판 101을 제작하였다.Ultraviolet rays were radiated from both sides of the laminated body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became 750 mJ / cm 2 by using an ultraviolet irradiator equipped with a belt conveyor (the lamp was a D valve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Co., Ltd.) The curable adhesive layer was cured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101 having a total film thickness of 91 탆.

〔편광판 102 내지 편광판 138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102 to polarizer 138]

편광판 101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 A-102 내지 A-138 및 필름 B-102 내지 B-138을 사용해서, 각각 표 1 및 표 2의 구성으로, 필름 A/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편광자/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필름 B인, 편광판 102 내지 편광판 138을 제작하였다.Using the films A-102 to A-138 and the films B-102 to B-138 in the same manner as the polarizing plate 101, the film A /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layer / polarizer / Layer / film B, a polarizing plate 102 to a polarizing plate 138 were produced.

≪평가 1≫«Evaluation

상기 「필름의 치수 변화율의 측정」의 방법에 편승하여, 필름 A-101 내지 필름 A-138 및 필름 B-101 내지 필름 B-138에 대해서,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L1MD-L5MD), (L1TD-L5TD), (L5MD-L30MD) 및 (L5TD-L30TD)의 각각의 값(%)을 산출하였다.L 1 MD, L 1 TD, and L 5 MD, respectively, for the film A-101 to the film A-138 and the film B-101 to the film B- L 5 TD, L 30 MD and L 30 TD were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L 1 MD-L 5 MD), (L 1 TD-L 5 TD), each value of (L 5 MD-L 30 MD ) and (L 5 TD-L 30 TD ) (%) Respectively.

≪평가 2≫«Evaluation 2»

(액정 표시 장치의 제작)(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시판하고 있는 VA형 액정 표시 장치(SONY 제조 40형 디스플레이 KLV-40J3000)를 사용해서, 액정 셀의 시인측에 접합되어 있던 편광판을 박리하고, 상기 제작한 편광판 101 내지 138을, 액정 셀측의 면에 필름 B가 배치되도록 접합해서 액정 표시 장치 101 내지 138을 제작하였다. 그때 제작한 편광판의 흡수축이, 미리 접합되어 있던 편광판의 흡수축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접합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작하고, 이하의 방법에 의해 표시 불균일을 평가하였다.A polarizing plate joined to the viewer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was peeled off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VA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ONY type 40 type display KLV-40J3000 manufactured by SONY), and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s 101 to 138 were plac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side So that the film B was placed thereon to produ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101 to 138.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manufactured by joining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thus prepared so as to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previously bonded, and the display unevenness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

(표시 불균일의 평가)(Evaluation of display unevenness)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5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고, 상온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시킨 상태에서, 표시 화면의 4정점 부근의 휘도와 표시 화면 중앙 부근의 휘도와의 차(표시 불균일)를 육안 관찰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표시 불균일을 평가하였다. 이하의 평가에서, ○이나 ◎이 바람직하다.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50 占 폚 and 90% RH for 1 hour and then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5% RH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was displayed in black at room temp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near the four vertices and the luminance near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display unevenness) was visually observed. The display unevenness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In the following evaluation,? And? Are preferable.

◎: 표시 불균일이 전혀 없음A: No display irregularity at all

○: 매우 미세하게 주의하면 약간 표시 불균일이 보임○: slight noticeable irregularity is observed with very fine attention

△: 4정점 중 1군데에서 표시 불균일이 보임△: display irregularity appears at one of four vertices

×: 4정점 중 3군데 이상에서 표시 불균일이 보임×: Display irregularity is observed at three or more of four vertices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Evaluation of Polarizer Adhesion)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1시간 방치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50 사이클 반복해서, 패널 표면이 우는 현상이나 막 박리를 관찰하여, 필름 A 및 필름 B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The resulting liquid crystal display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캜 and 90% RH for 1 hour and then allowed to stand in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RH for 1 hour. One cycle was repeated 50 times, The phenomenon of crying and film peeling were observed,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film A and the film B and the polarizer was evaluated.

◎: 패널 표면이 우는 현상이나 막 박리가 전혀 없음◎: no phenomenon of panel surface crying or film peeling at all

○: 매우 미세하게 주의하면 약간 패널 표면에 우는 현상이 보임○: When very careful attention is paid, the surface of the panel is slightly crying

△: 패널 표면에 명백하게 우는 현상이 보이지만, 막 박리는 없음?: Apparently crying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panel, but no peeling occurs

×: 패널 표면에 우는 현상과 막 박리가 보임X: Crying phenomenon and film peeling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필름 A 및 필름 B의 구성, 편광판의 구성, 상기 평가 결과를 통합해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The structures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the composi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above evaluation results are collectively shown in Tables 1 and 2.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7

표 1 및 표 2로부터, 필름 A는, 아크릴 수지의 종류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선택, 당 에스테르나 중축합 에스테르 등의 가소제의 채용 및 막 두께를 조정하는 것 외에, 웹의 건조 공정에서, 상기 웹이 당해 건조 공정(드라이어 존)을 나온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가해서 제막함으로써, 본 발명의 치수 변화율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From Table 1 and Table 2, it can be seen that,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of the type of acrylic resin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he use of plasticizers such as sugar esters and polycondensation esters, and the adjustment of the film thicknes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within the range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the range of 50 to 100 ° C / sec after the drying step (dryer zone) is exited.

또한, 필름 B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아세틸기 치환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선택, 당 에스테르나 중축합 에스테르 등의 가소제의 채용 및 막 두께를 조정하는 것 외에, 웹을 건조하는 공정에서,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에서,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면서 벤딩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치수 변화율의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Further, the film B can be obtained by selecting the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ellulose acetate, the plasticizer such as the sugar ester and the polycondensation ester, and adjusting the film thickness, The bending process is repeated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0 times in the bending process in which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inwardly bent by the conveying rollers in the dryer zone within the range of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within the range of the rate of change.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치수 변화율의 범위 내로 조정된 필름 A 및 필름 B를 사용한 편광판은,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이 명백하다. 특히 종래에 없는 가혹한 온습도 조건에서 사이클 테스트를 해도,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It can be seen from Table 1 that the polarizing plate using Film A and Film B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deterioration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display irregular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t is apparent that a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exhibit a polarizing plate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a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exhibit deterioration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crying phenomenon and film peeling can be obtained even when a cycle test is conducted under a sever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which is not conventionally known.

또한, 필름 B의 도프를, 리타데이션 조정제를 포함하지 않는 도프 7 및 도프 8로 변경한 B-137 및 B-138을 사용한 편광판은, 도프 2 내지 도프 6을 사용한 B-132 내지 B-136을 사용한 편광판에 비해서 실용상 문제는 없지만 시인성(콘트라스트)이 약간 저하되어 있었다.The polarizing plate using the dope of Film B and the B-137 and B-138 obtained by changing the dope 7 and the dope 8 not containing the retardation adjusting agent to B-132 to B-136 using Dope 2 to Dope 6 There was no practical problem as compared with the polarizing plate used, but the visibility (contrast) was slightly lowered.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의 필름 A-104 및 필름 B-104의 제작에 있어서, 필름 A에서는 냉각 속도를 변화시키고, 필름 B에서는 벤딩 시의 건조 온도 및 횟수를 변화시켜서, 표 3에 기재된 L30MD, L30TD의 값을 갖는 필름 A-201 내지 필름 A-204 및 필름 B-201 내지 필름 B-204를 제작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하고, 표시 불균일 및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A-104 and the film B-104 of Example 1, the cooling rate was changed in the film A, and the drying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in the film B were changed to obtain L 30 MD, L The films A-201 to A-204 and the films B-201 to B-204 having a value of 30 TD were produced and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evaluate display unevenness and polarizer adhesion .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8

표 3으로부터, 필름 A와 필름 B의 L30TD와 L30MD가, 각각, -0.10 내지 0.10%의 범위 내이면,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able 3, it is understood that when the L 30 TD and the L 30 MD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within the range of -0.10 to 0.10%, the display irregulari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It can be seen that a more excellent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deterioration of polarizer adhesion such as peeling does not occur can be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필름 A-301: (TAC/아크릴 수지 2/TAC) 필름 및 필름 A-302: (TAC/아크릴 수지 3/TAC) 필름의 제작〕[Film A-301: (TAC / acrylic resin 2 / TAC) film and film A-302: (TAC / acrylic resin 3 / TAC)

도 8에 도시하는 공유연 다이를 사용하여, 하기의 수순에 따라, 3층 동시 유연법(공유연법)에 의해 (TAC/아크릴 수지 2/TAC)의 3층 구성의 필름 A-301 및 (TAC/아크릴 수지 3/TAC)의 3층 구성의 필름 A-302를 제작하였다.A three-layered film A-301 of (TAC / acrylic resin 2 / TAC) and a film A-301 of (TAC / acrylic resin 2 / TAC) were produced by the three- / Acrylic resin 3 / TAC)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도프 9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9)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9를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 Rosy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e 9.

<주 도프 9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9>

아크릴 수지 2: 다이아날 BR88(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 아크릴 수지 Mw: 150만) 90질량부Acrylic resin 2: Dianal BR88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crylic resin Mw: 1.5 million) 90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 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 BzSc benzyl saccharose: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메틸렌클로라이드 360질량부Methylene chloride 360 parts by mass

에탄올 15질량부ethanol 15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9와, 실시예 1에서 필름 A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9를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9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prepared as the film A in Example 1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c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9.

(도프 10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0)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0을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e 10.

<주 도프 10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10>

아크릴 수지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7352호 공보에 기재된, 화학식 (1) 중 R1이 수소 원자, R2 및 R3이 메틸기인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공중합 단량체의 질량비:메타크릴산메틸/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8/2; 락톤환화율 약 100%] 90질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S) 수지(도요 AS AS20, 도요 스티렌(주) 제조) 10질량부의 혼합물) 90질량부Acrylic resin 3: A (meth) 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in which R 1 is a hydrogen atom and R 2 and R 3 are methyl group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described in JP-A-2009-157352 : Methyl methacrylate / 2- (hydroxymethyl) methyl acrylate = 8/2; 90 parts by mass of acrylonitrile-styrene (about 100% of lactone conversion) and 10 parts by mass of acrylonitrile-styrene (AS) resin (Toy AS AS20, Toyo Styrene Co., Ltd.)

당 에스테르: BzSc 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10질량부Sugar ester: BzSc benzyl saccharose: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10 parts by mass

메틸렌클로라이드 360질량부Methylene chloride 360 parts by mass

에탄올 15질량부ethanol 15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0과, 실시예 1에서 필름 A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0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0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prepared as the film A in Example 1 were sufficient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onary type in-line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0.

(도프 11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1)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1을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ant 11.

<주 도프 11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11>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아세틸기 치환도 2.80, Mn=90000, Mw=152000, Mw/Mn=1.7) 86질량부Triacetyl cellulose (TAC: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80,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6 parts by mass

다가 알코올에스테르(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예시 화합물 2-10Polyhydric alcohol ester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Exemplary compound 2-10

2질량부 2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7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7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1 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1 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1과, 실시예 1에서 필름 B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1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1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prepared for the film B in Example 1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c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1.

(제막 공정)(Film forming step)

상기 도프 9 및 도프 11을 사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유연용 금속 지지체인 무단 벨트(16)면측으로부터, 스킨층(B면)으로서 도프 11을, 코어층으로서 도프 9를, 스킨층(A면)으로서 도프 11을, 동시에 공유연 다이(10)에 공급하고, 한 번의 유연 조작에 의해, 스킨층(B면)/코어층/스킨층(A면)으로 구성되는 적층체인 유연막(20)을 무단 벨트(16) 상에 공급하였다. 각 도프의 공급량은, 최종적으로 건조가 완료된 후의 각 층의 막 두께가, 스킨층(B면)/코어층/스킨층(A면)=3㎛/30㎛/3㎛가 되는 조건으로 하였다.The dope 11 is used as a skin layer (B side), the dope 9 is used as a core layer and the dope 9 is used as a skin layer (A) as a skin layer (B side) from the side of the endless belt 16 as a flexible metal support shown in Fig. 8 by using the dope 9 and the dope 11. [ The dope 11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shared stretching die 10 and the flexible film 20 which is a laminate composed of the skin layer (B side) / the core layer / the skin layer (A side) Was supplied onto the endless belt (16). The supply amount of each dope was set such that the film thickness of each layer after final drying was 3 mu m / 30 mu m / 3 mu m for the skin layer (B side) / core layer / skin layer (A side).

유연용 금속 지지체 상에서, 얻어진 도프막 내의 유기 용매를, 잔류 용매량이 100질량%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서 웹을 형성한 후,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였다. 얻어진 웹을, 110℃에서 10분 더 예비 건조시킨 후, 웹을 텐터로, 160℃의 조건에서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3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개시 시의 웹의 잔류 용제량은 2.0질량%이었다. 텐터로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도 9에서 도시하는 건조기(벤딩 존(106))에 의해 130℃에서 15분간 반송하면서, 계속해서 냉각 존(109)에서 80℃/min의 속도로 23℃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2.0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최종 장력 110N/m로 내경 15.24cm 코어에 권취하여, 길이 4000m, 막 두께 36㎛의 긴 3층 구성인 필름 A-301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하여, 코어층으로서 도프 10을 사용하고 스킨층으로서 도프 11을 사용해서 3층 구성인 필름 A-302를 얻었다.On the flexible metal support, the organic solvent in the obtained dope was evaporated to a residual solvent amount of 100% by mass to form a web, followed by peeling off the web from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The obtained web was further preliminarily dried at 110 DEG C for 10 minutes, and then the web was drawn in a tenter at a temperature of 160 DEG C to 1.3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was 2.0% by mass. After being stretched by a tenter, the film was relaxed at 130 占 폚 for 5 minutes and then conveyed at 130 占 폚 for 15 minutes by a dryer (bending zone 106) shown in Fig. 9, min to 23 &lt; 0 &gt; C. The resulting film was slit at a width of 2.0 m and knurled at both ends of the film to a width of 10 mm and a height of 5 탆 and wound around a core of 15.24 cm in inner diameter at an initial tension of 220 N / m and a final tension of 110 N / m, A film A-301 having a long three-layer structure of 36 mu m was obtained. Similarly, a film A-302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was obtained by using Dope 10 as a core layer and Dope 11 as a skin layer.

〔필름 A-303: (아크릴 수지 1/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제작〕[Film A-303: Production of (acrylic resin 1 / cellulose ester) film]

(도프 12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2)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2를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 Rosy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ing 12.

아크릴 수지 1: 다이아날 BR85(미쯔비시 레이온사 제조, 아크릴 수지 Mw:280000) 70질량부Acrylic resin 1: Dianal BR85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crylic resin Mw: 280000) 70 parts by mass

셀룰로오스에스테르(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아실기 총 치환도 2.75, 아세틸기 치환도 0.19, 프로피오닐기 치환도 2.56, Mw=200000, 표 중 CAP라 기재) 30질량부Cellulose ester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cyl group total substitution degree 2.75,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0.19, propionyl group substitution degree 2.56, Mw = 200000, CAP in the table) 30 parts by mass

아크릴 미립자(C1) 2질량부The acrylic fine particles (C1) 2 parts by mass

메틸렌클로라이드 300질량부Methylene chloride 300 parts by mass

에탄올 40질량부ethanol 40 parts by mass

<아크릴 미립자(C1)의 제조>&Lt; Production of acrylic fine particles (C1) >

내용적 60리터의 환류 냉각기를 갖는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8.2리터,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111.6g을 투입하고, 250rpm의 회전수로 교반하면서, 질소 분위기 하 75℃로 승온시켜, 산소의 영향이 사실상 없는 상태로 하였다. 과황산암모늄(APS)을 0.36g 투입하고, 5분간 교반 후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1657g, n-부틸아크릴레이트(BA)를 21.6g 및 알릴메타크릴레이트(ALMA) 1.68g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일괄 첨가하여, 발열 피크의 검출 후 또한 20분간 유지해서 최내 경질층의 중합을 완결시켰다.38.2 liters of ion-exchanged water and 111.6 g of sodium dioctylsulfosuccinate were charged into a reactor equipped with a reflux condenser having an internal volume of 60 liters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5 DEG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while stirring at a rotational speed of 250 rpm, It was virtually absent. 0.36 g of ammonium persulfate (APS) was added, and after stirring for 5 minutes, 1657 g of methyl methacrylate (MMA), 21.6 g of n-butyl acrylate (BA) and 1.68 g of allyl methacrylate The monomer mixture was added all at once, and after the exothermic peak was detected, the polymerization was continued for 20 minutes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of the innermost hard layer.

이어서, APS를 3.48g을 추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에 BA를 8105g,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PEGDA: 분자량 200)를 31.9g 및 ALMA 264.0g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120분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첨가 종료 후 또한 120분간 유지하여, 연질층의 중합을 완결시켰다.Subsequently, 3.48 g of APS was added, and after stirring for 5 minutes,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8105 g of BA, 31.9 g of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molecular weight 200) and 264.0 g of ALMA was continuously added over 12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addition, the mixture was further maintained for 120 minutes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of the soft layer.

이어서, APS를 1.32g 투입하고, 5분간 교반한 후에 MMA를 2106g, BA를 201.6g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20분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첨가 종료 후 또한 20분간 유지해서 최외 경질층 1의 중합을 완결하였다.Subsequently, 1.32 g of APS was added and stirred for 5 minutes. Thereafter,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2106 g of MMA and 201.6 g of BA was continuously added over a period of 2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addition, the mixture was further maintained for 20 minutes to obtain an outermost hard layer 1 The polymerization was completed.

계속해서, APS를 1.32g 투입하고, 5분 후에 MMA를 3148g, BA를 201.6g 및 n-OM의 10.1g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20분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첨가 종료 후에 또한 20분간 유지하였다. 계속해서 95℃로 승온시켜 60분간 유지하여, 최외 경질층 2의 중합을 완결시켰다.Subsequently, 1.32 g of APS was added, and after 5 minutes,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3148 g of MMA, 201.6 g of BA and 10.1 g of n-OM was continuously added over 20 minutes, and after the addition was completed,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95 캜 and maintained for 60 minutes to complete the polymerization of the outermost hard layer 2.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합체 라텍스를 소량 채취하여, 흡광도법에 의해 평 입자 직경을 구한 결과 0.10㎛이었다. 나머지 라텍스를 3질량% 황산나트륨 온수 용액 중에 투입하여, 염석·응고시키고, 계속해서, 탈수·세정을 반복한 뒤 건조하여, 3층 구조의 아크릴 미립자(C1)를 얻었다.A small amount of the polymer latex thus obtained was sampled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determined by the absorbance method. The result was 0.10 탆. The remaining latex was added to a 3 mass% sodium sulfate hot water solution, followed by salting out and solidifying, followed by dehydration and washing repeatedly, followed by drying to obtain acrylic fine particles (C1)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100질량부의 주 도프 12와, 실시예 1에서 필름 A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2를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2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ve liquid prepared as the film A in Example 1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c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2.

(제막 공정)(Film forming step)

실시예 1의 필름 A-10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진 도프 12를 사용하고, 벨트 유연 장치를 사용해서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 도프 12의 액 온도 35℃, 폭 1.7m의 조건에서, 최종 막 두께가 40㎛가 되는 조건에서 균일하게 유연시켰다.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 상에서, 얻어진 도프막 내의 유기 용매를, 잔류 용매량이 100질량%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서 웹을 형성한 후,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였다. 얻어진 웹을, 110℃에서 또한 10분 예비 건조시킨 후, 웹을 텐터로, 160℃의 조건에서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개시 시의 웹의 잔류 용제량은 2.0질량%이었다. 텐터로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도 9에서 도시하는 건조기(벤딩 존(106))에 의해 130℃에서 15분간 반송하면서, 계속해서 냉각 존(109)에서 30℃/min의 속도로 23℃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2.0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마지막 장력 110N/m로 내경 15.24cm 코어에 권취하여, 길이 4000m, 막 두께 40㎛의 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 A-303을 얻었다.The resultant Dope 12 w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A-101 of Example 1, and on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using a belt softener, under the conditions of a liquid temperature of 35 ° C and a width of 1.7 m, And uniformly pli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hickness became 40 탆. On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the organic solvent in the obtained dope film was evaporated to a residual solvent amount of 100% by mass to form a web, and then the web was peeled from the stainless band support. The obtained web was preliminarily dried at 110 캜 for 10 minutes, and then the web was stretched 1.5 times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at 160 캜 in a tenter.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was 2.0% by mass. After being stretched by a tenter, the film was relaxed at 130 占 폚 for 5 minutes and then conveyed at 130 占 폚 for 15 minutes by a dryer (bending zone 106) shown in Fig. 9, min to 23 &lt; 0 &gt; C. The resulting film was slit at a width of 2.0 m and knurled to 10 mm in width and 5 탆 in height at both ends of the film and wound around a core of 15.24 cm in inner diameter at an initial tension of 220 N / m and a final tension of 110 N / m, A film A-303 containing a long acrylic resin of 40 mu m was obtained.

제작한 필름 A-301, 필름 A-302 및 A-303에 대향하는 필름 B는, 필름 B-111을 사용해서 편광판 301, 302 및 303을 제작하였다.Polarizers 301, 302, and 303 were produced using the film B-111, which was the film A-301, the film A-302, and the film B opposite to the A-303.

제작한 편광판 301, 302 및 303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평가 조건을 이하의 평가 조건으로 바꾸어 실시하였다.Using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s 301, 302, and 303, the evaluation conditions of Example 1 were changed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onditions.

(표시 불균일의 평가)(Evaluation of display unevenness)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5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1시간 방치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10 사이클 반복한 후에, 상온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흑색 표시시킨 상태에서, 표시 화면의 4정점 부근의 휘도와 표시 화면 중앙 부근의 휘도와의 차(표시 불균일)를 육안 관찰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표시 불균일을 평가하였다. 이하의 평가에서, ○이나 ◎이 바람직하다.The resul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50 占 폚 and 90% RH for 1 hour and then allowed to stand in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5% RH for 1 hour to make one cycle. After repeating this cycle for 10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near the four vertexes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luminance near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display unevenness) was visually observed whi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displayed in black. The display unevenness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In the following evaluation,? And? Are preferable.

◎: 표시 불균일이 전혀 없음A: No display irregularity at all

○: 매우 미세하게 주의하면 약간 표시 불균일이 보임○: slight noticeable irregularity is observed with very fine attention

△: 4정점 중 1군데에서 표시 불균일이 보임△: display irregularity appears at one of four vertices

×: 4정점 중 3군데 이상에서 표시 불균일이 보임×: Display irregularity is observed at three or more of four vertices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Evaluation of Polarizer Adhesion)

얻어진 액정 표시 장치를,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1시간 방치하는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100 사이클 반복하여, 패널 표면의 우는 현상이나 막 박리를 관찰하고, 필름 A 및 필름 B와 편광자와의 밀착성을 평가하였다.The obtained liquid crystal display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占 폚 and 90% RH for 1 hour and then allowed to stand for 1 hour under a 23 占 폚 and 55% RH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Crying phenomenon and film peeling were observed, and adhesion between the film A and the film B and the polarizer was evaluated.

◎: 패널 표면의 우는 현상이나 막 박리가 전혀 없음◎: There is no crying phenomenon or film peeling at the surface of the panel.

○: 매우 미세하게 주의하면 약간 패널 표면에 우는 현상이 보임○: When very careful attention is paid, the surface of the panel is slightly crying

△: 패널 표면에 명백하게 우는 현상이 보이지만, 막 박리는 없음?: Apparently crying appears on the surface of the panel, but no peeling occurs

×: 패널 표면에 우는 현상과 막 박리가 보임X: Crying phenomenon and film peeling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19

표 4로부터, 필름 A를 (TAC/아크릴 수지/TAC) 필름과 같은, 스킨층에 TAC를 사용한 3층 구성의 필름으로 함으로써, 보다 가혹한 조건으로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당해 3층 구성의 필름을 사용한 액정 패널은 패널의 휨도 개선하였다. 또한,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혼합한 A-303과 같은 구성의 필름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이 우수하였다.From Table 4, it can be seen from Table 4 that even if the film A is made into a three-layered film using TAC in the skin layer, such as (TAC / acrylic resin / TAC) film,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s under more severe conditions, It can be seen that a more excellent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which does not exhibit deterioration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unevenness, crying phenomenon, film peeling,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liquid crystal panel using the film having the three-layer structure also improved warping of the panel. Also, a film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A-303 obtained by mixing acrylic resin and cellulose ester was excellent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display unevenness of liquid crystal panel, crying phenomenon, film peeling and the lik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의 필름 A-104의 제작에 있어서,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표 5와 같이 변화시켜서, 필름 A-401 내지 필름 A-404를 제작하고, 대향하는 필름 B로서 필름 B-104를 사용하여, 편광판 401 내지 404를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불균일 및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Film A-401 to Film A-404 were produced by changing the draw ratio in the TD direction as shown in Table 5 in the production of Film A-104 of Example 1, and using Film B-104 as the opposite film B Polarizing plates 401 to 404 were fabricated, and the display unevenness and the polarizer adhesion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0

표 5로부터, 필름 A는,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05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연신함으로써,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Table 5 that the film A is stretched with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so that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is changed, the polarity of polarizers such as display unevenness, It can be seen that a more excellent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deterioration of the adhesion property does not appear can be obtained.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의 필름 B-104의 제작에 있어서,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1.05 내지 1.4배의 범위 내로 변화시켜서, 표 6에 도시하는 리타데이션 값을 갖는 필름 B-501 내지 필름 B-505를 제작하고, 대향하는 필름 A로서 필름 A-104를 사용하여, 편광판 501 내지 505를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시 불균일 및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리타데이션은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film B-501 to the film B-505 having the retardation values shown in Table 6 were produced by chang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n the TD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1.05 to 1.4 times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B-104 of Example 1 Polarizing plates 501 to 505 were produced using Film A-104 as the opposite film A, and the display unevenness and the polarizer adhesion were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retardation was measur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1

표 6으로부터, 필름 B는 TD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리타데이션 값(Ro) 및 (Rt)의 값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Table 6 that the values of the retardation values Ro and Rt can be adjusted within the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retching the film B in the TD direction and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changes, It can be seen that a more excellent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which does not exhibit deterioration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unevenness, crying phenomenon, film peeling, and the like.

실시예 6Example 6

〔필름 B-601: (TAC/DAC2/TAC) 필름 및 필름 B-602: (TAC/DAC3/TAC) 필름의 제작〕[Film B-601: (TAC / DAC2 / TAC) film and film B-602: (TAC / DAC3 / TAC)

도 8에 도시하는 공유연 다이를 사용하여, 하기의 수순에 따라, 3층 동시 유연법(공유연법)에 의해 (TAC/DAC2/TAC)의 3층 구성의 필름 B-601 및 (TAC/DAC3/TAC)의 3층 구성의 필름 B-602를 제작하였다.Using the shared stretching die shown in Fig. 8, films B-601 and (TAC / DAC3)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TAC / DAC2 / TAC) / TAC)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도프 13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3)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3을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 13.

<주 도프 13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13>

디아세틸셀룰로오스 2(아세틸기 치환도: 2.40, Mn=80000, Mw=136000, Mw/Mn=1.7) 86질량부Diacetyl cellulose 2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40, Mn = 80000, Mw = 136000, Mw / Mn = 1.7) 86 parts by mass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5817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E-104 2질량부Compound E-104 described in JP-A-2012-215817 2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7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7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1 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1 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30질량부Dichloromethane 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3과, 실시예 1에서 필름 B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3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3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ve liquid prepared for the film B in Example 1 were sufficient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onary type in-line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3.

(도프 14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4)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4를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obtained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rosi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ing 14. [

<주 도프 14의 조성><Composition of main doping 14>

디아세틸셀룰로오스 3(아세틸기 치환도: 2.20, Mn=100000, Mw=170000, Mw/Mn=1.7) 86질량부Diacetyl cellulose 3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20, Mn = 100000, Mw = 170000, Mw / Mn = 1.7) 86 parts by mass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5817호 공보에 기재된 화합물 E-203 2질량부The compound E-203 described in JP-A-2012-215817 2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7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7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8 5질량부Polycondensation ester: polycondensation est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P8 5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4와, 실시예 1에서 필름 B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4를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4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prepared for the film B in Example 1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c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4.

(제막 공정)(Film forming step)

상기 도프 13과 실시예 3에서 제작한 도프 11을 사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유연용 금속 지지체인 무단 벨트(16)면측으로부터, 스킨층(B면)으로서 도프 11을, 코어층으로서 도프 13을, 스킨층(A면)으로서 도프 11을, 동시에 공유연 다이(10)에 공급하여, 한 번의 유연 조작에 의해, 스킨층(B면)/코어층/스킨층(A면)으로 구성되는 적층체인 유연막(20)을 무단 벨트(16) 상에 공급하였다. 각 도프의 공급량은, 최종적으로 건조가 완료된 후의 각 층의 막 두께가, 스킨층(B면)/코어층/스킨층(A면)=3㎛/30㎛/3㎛가 되는 조건으로 하였다.The dope 11 was used as the skin layer (B side) from the side of the endless belt 16 as the flexible metal support shown in Fig. 8 and the dope 13 (B side) / core layer / skin layer (A side) by a single smoothing operation by supplying the dope 11 as a skin layer (A side) to the shared softening die 10 at the same time The flexible film 20 as a laminate was fed onto the endless belt 16. The supply amount of each dope was set such that the film thickness of each layer after final drying was 3 mu m / 30 mu m / 3 mu m for the skin layer (B side) / core layer / skin layer (A side).

유연용 금속 지지체 상에서, 얻어진 도프막 내의 유기 용매를, 잔류 용매량이 100질량%가 될 때까지 증발시켜서 웹을 형성한 후, 스테인리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였다. 얻어진 웹을, 110℃에서 또한 10분 예비 건조시킨 후, 웹을 텐터로, 160℃의 조건에서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3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개시 시의 웹의 잔류 용제량은 2.0질량%이었다. 텐터로 연신한 후, 130℃에서 5분간 완화를 행한 후, 그 후, 도 9에서 도시하는 건조기(벤딩 존(106))에 의해 135℃의 온도로 유지하고, 또한 드라이어 존 내에,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로 했을 때, 1/a의 값이 0.040mm-1가 되도록 반송 롤러의 직경 및 배치를 설정하고, 80회의 벤딩을 반복해서, 20m/분의 반송 속도로 웹을 반송시켰다.On the flexible metal support, the organic solvent in the obtained dope was evaporated to a residual solvent amount of 100% by mass to form a web, followed by peeling off the web from the stainless steel band support. The obtained web was preliminarily dried at 110 캜 for 10 minutes, and then the web was drawn in a tenter at 1.3 캜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at 160 캜.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n the web at the start of the stretching was 2.0% by mass. After being stretched by a tenter, the sheet was relaxed at 130 占 폚 for 5 minutes. Thereafter, the sheet was held at a temperature of 135 占 폚 by a dryer (bending zone 106) shown in Fig. 9, The diameter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veying rollers are set such that the value of 1 / a is 0.040 mm &lt; -1 &gt; when a (mm) represents a radius when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bent inward And the web was conveyed at a conveyance speed of 20 m / minute by repeating bending for 80 times.

얻어진 필름을, 2.0m 폭으로 슬릿하고, 필름 양단에 폭 10mm 높이 5㎛의 널링 가공을 실시하고, 초기 장력 220N/m, 최종 장력 110N/m로 내경 15.24cm 코어에 권취하여, 길이 4000m, 막 두께 40㎛의 긴 3층 구성인 필름 B-601을 얻었다. 마찬가지로 하여, 코어층으로서 도프 14를 사용하고, 스킨층으로서 도프 11을 사용해서 3층 구성인 필름 B-602를 얻었다.The resultant film was slit at a width of 2.0 m and knurled at both ends of the film to a thickness of 10 mm and a height of 5 탆 and wound around a core of 15.24 cm in inner diameter at an initial tension of 220 N / m and a final tension of 110 N / m, A film B-601 having a long three-layer structure with a thickness of 40 mu m was obtained. Similarly, a film B-602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was obtained by using Dope 14 as a core layer and using Dope 11 as a skin layer.

또한, 하기 도프 15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필름 B-116과 마찬가지로 하여 디아세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단층의 필름 B-603을 제작하였다.Using the following Dope 15, a single film B-603 containing diacetyl cellulos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lm B-116 of Example 1.

(도프 15의 제조)(Preparation of Dope 15)

하기 성분을 밀폐 용기에 투입하여, 가열 및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아즈미 로시(주) 제조의 아즈미 로시 No.24로 여과하여, 주 도프 15를 얻었다.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ut in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and stirring. The resulting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n Azumi Rosy No.24 manufactured by Azumi Co., Ltd. to obtain a main dop 15.

<주 도프 15의 조성>&Lt; Composition of main dop 15 >

디아세틸셀룰로오스 1(아세틸기 치환도: 2.35, Mn=90000, Mw=152000, Mw/Mn=1.7) 83질량부Diacetylcellulose 1 (acet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2.35, Mn = 90000, Mw = 152000, Mw / Mn = 1.7) 83 parts by mass

당 에스테르; BzSc(벤질사카로오스: 화학식 3에 기재된 화합물 a-1 내지 a-4의 혼합물), 평균 에스테르 치환도=5.5 7질량부Sugar esters; BzSc (Benzyl Saccharose: a mixture of Compounds a-1 to a-4 described in Formula 3), average ester substitution degree = 5.5 7 parts by mass

중축합 에스테르: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중축합 에스테르 P8 5질량부The polycondensation ester: The polycondensation ester P8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5 parts by mass

리타데이션 조정제 1 3질량부Retardation modifier 1 3 parts by mass

첨가제 A 2질량부Additive A 2 parts by mass

디클로로메탄 430질량부Dichloromethane 430 parts by mass

에탄올 11질량부ethanol 11 parts by mass

100질량부의 주 도프 15와, 실시예 1에서 필름 B용으로서 제작한 인라인 첨가액 2.5질량부를, 인라인 믹서(도레이 정지형 관내 혼합기 Hi-Mixer, SWJ)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 15를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the main dope 15 and 2.5 parts by mass of the inline addition liquid prepared for the film B in Example 1 were thoroughly mixed with an inline mixer (Toray stationary in-line mixer Hi-Mixer, SWJ) to obtain Dope 15.

제작한 필름 B-601, 필름 B-602 및 필름 B-603에 대향하는 필름 A는, 필름 A-116을 사용해서 편광판 601 내지 603을 제작하였다.Polarizing plates 601 to 603 were produced using Film A-116 for Film A, which was opposite to Film B-601, Film B-602 and Film B-603 produced.

제작한 편광판 601 내지 603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평가 조건에 의해, 표시 불균일 및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Using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s 601 to 603, evaluation of the display unevenness and the polarizer adhes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onditions of Example 3.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2

표 7로부터, 필름 B를 (TAC/DAC/TAC) 필름과 같은, 스킨층에 TAC를 사용한 3층 구성의 필름으로 함으로써, 단층의 필름에 비해 보다 가혹한 조건으로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able 7, it can be seen from Table 7 that even if the film B is made into a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using TAC in the skin layer such as a (TAC / DAC / TAC) film, It can be seen that an excellent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in which deterioration of polarizer adhesion such as uneven display of liquid crystal panel, crying phenomenon, film peeling is not observed.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편광자의 막 두께를 표 7과 같이 변화시켜서 편광자를 제작하고,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편광판 117의 구성으로 편광판 701 내지 705를 제작하였다.Polarizers were produced by chang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er as shown in Table 7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used in Example 1 and polarizing plates 701 to 705 were fabricated with the polarizing plate 117 of Example 1.

또한 편광자의 차이를 보기 위해, 하기에 나타내는 종래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연신 처리해서 편광자를 제작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 706을 제작하였다.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ce in polarizer, a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 (PVA) film shown below was subjected to stretching treatment to prepare a polarizer, and similarly, a polarizing plate 706 was produced.

(편광자 2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er 2)

두께 45㎛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35℃의 물로 팽윤시켰다. 얻어진 필름을, 요오드 0.075g, 요오드화칼륨 5g 및 물 100g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고, 또한 요오드화칼륨 3g, 붕산 7.5g 및 물 100g을 포함하는 45℃의 수용액에 침지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연신 온도 55℃, 연신 배율 5배의 조건에서 1축 연신하였다. 이 1축 연신 필름을 수세한 후, 건조시켜서, 두께 9㎛의 편광자를 얻었다.A polyvinyl alcohol (PVA) film having a thickness of 45 탆 was swelled with water at 35 캜. The obtained film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075 g of iodine, 5 g of potassium iodide and 100 g of water for 60 seconds and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t 45 캜 containing 3 g of potassium iodide, 7.5 g of boric acid and 100 g of water. The resulting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under the conditions of a stretching temperature of 55 캜 and a draw ratio of 5. The uniaxially stretched film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n dried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9 탆.

제작한 편광판 701 내지 706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평가 조건에 의해, 표시 불균일 및 편광자 밀착성의 평가를 행하였다.Using the polarizing plates 701 to 706 thus prepared, evaluation of the display unevenness and the polarizer adhes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onditions of Example 1.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3

표 8로부터, 편광성 적층 필름형의 편광자이면서, 또한 막 두께가 2 내지 15㎛의 범위 내의 편광자를 사용함으로써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는,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연신한 편광자에 비해서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에 대하여 보다 우수한 편광판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from Table 8 that eve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the use environment is changed by using a polarizer which is a polarizing film of a polarizing laminated film type and a film thickness of 2 to 15 占 퐉, unevenness of display on a liquid crystal panel,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tter polarizing plate in which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dhesion of the polarizing plate is not observed. Further, it can be seen that a polarizing plate superior in polarizer adhesion such as display unevenness of liquid crystal panel, crying phenomenon, film peeling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as compared with a polarizer obtained by stretching a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 (PVA) film.

[산업상의 이용의 가능성][Possibility of industrial use]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아크릴 필름과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구비했을 때, 사용 환경의 온습도 분위기가 변화해도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이나, 우는 현상, 막 박리 등의 편광자 밀착성의 열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액정 표시 소자 등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특히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larizing plate using an acrylic film and a cellulose ester film as a protective film of a polarizer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display unevenness, Is not suitably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1 : 용해 가마 3, 6, 12, 15 : 여과기
4, 13 : 스톡 가마 5, 14 : 송액 펌프
8, 16 : 도관 10 : 자외선 흡수제 투입 가마
20 : 합류관 21 : 혼합기
30 : 가압 다이 31 : 금속 벨트
32 : 웹 33 : 박리 위치
34 : 텐터 연신 장치 35 : 건조 장치
41 : 투입 가마 42 : 스톡 가마
43 : 펌프 44 : 여과기
50 : 공유연 다이 51 : 구금 부재 부분
53, 55 : 층 B, 층 C용 슬릿 54 : 층 A용 슬릿
56 : 금속 지지체 57, 59 : 층 B, 층 C용 도프
58 : 층 A용 도프 60 : 다층 구조 웹
61 : 층 C(스킨층) 62 : 층 A(코어층)
63 : 층 B(스킨층) 100 : 다이스
102 : 금속 지지체 103 : 구동 롤러
104 : 박리 점 105 : 반송 롤러
106 : 벤딩 존 107 : 흡기구
108 : 배기구 109 : 냉각 존
1: melting furnace 3, 6, 12, 15: filter
4, 13: Stock kiln 5, 14: Pump pump
8, 16: conduit 10: ultraviolet absorber input kiln
20: confluent tube 21: mixer
30: pressure die 31: metal belt
32: Web 33: Peeling position
34: Tenter stretching device 35: Drying device
41: Feeding kiln 42: Stock kiln
43: Pump 44: Filter
50: Shared softening die 51:
53, 55: layer B, slit for layer C 54: slit for layer A
56: metal support 57, 59: layer B, layer C doping
58: layer A doping 60: multi-layer web
61: layer C (skin layer) 62: layer A (core layer)
63: layer B (skin layer) 100: dice
102: metal support 103: drive roller
104: peeling point 105: conveying roller
106: bending zone 107: intake port
108: exhaust port 109: cooling zone

Claims (17)

편광자가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당해 필름 A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이며,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 0.03(%)≤L1MD-L5MD≤0.30(%)
(2) 0.03(%)≤L1TD-L5TD≤0.30(%)
(3) 0(%)≤L5MD-L30MD≤0.10(%)
(4) 0(%)≤L5TD-L30TD≤0.10(%)
상기 식에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하기식 (a) 내지 (f)에 의해 구해지는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나타낸다. 하기식 (a) 내지 (f)는,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직사각형으로 채취하고, 이것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의 규정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측정하여,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고,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측정하여,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하고, 하기식 (a) 내지 (f)에 대입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을 구한다.
1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a) L1MD(%)=(L1MD'-L0MD)/L0MD×100
(식 b) L1TD(%)=(L1TD'-L0TD)/L0TD×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c) L5MD(%)=(L5MD'-L0MD)/L0MD×100
(식 d) L5TD(%)=(L5TD'-L0TD)/L0TD×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e) L30MD(%)=(L30MD'-L0MD)/L0MD×100
(식 f) L30TD(%)=(L30TD'-L0TD)/L0TD×100
A polarizer comprising a polarizer sandwiched between a film A and a film B via an active ray curable adhesive layer,
Wherein the film A is an acrylic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having a film thickness in a range of 20 to 60 탆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Wherein the polarizer is an acetate film.
(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 (%)? L 1 TD-L 5 TD? 0.30 (%)
(3) 0 (%)? L 5 MD-L 30 MD? 0.10 (%)
(4) 0 (%)? L 5 TD-L 30 TD? 0.10 (%)
In the above formula,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Of the film after a minute. The following formulas (a) to (f) show the film A and the film B taken in a rectangle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left for 24 hours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The predetermined dimensions are measured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a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占 폚 and 90% RH for 1 hour and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5% RH. The dimensions after one minute, the dimensions after five minutes,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TD direction, respectively, L 1 MD ', L 1 TD ', L 5 MD ', L 5 TD', L 30 MD ', and L 30 TD' La, and the following formula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s obtained.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가, 각각 하기식 (5) 내지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0.05(%)≤L1MD-L5MD≤0.15(%)
(6) 0.05(%)≤L1TD-L5TD≤0.15(%)
(7) 0(%)≤L5MD-L30MD≤0.05(%)
(8) 0(%)≤L5TD-L30TD≤0.05(%)
상기 식에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제1항과 동의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A and the film B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s (5) to (8), respectively.
(5) 0.05 (%)? L 1 MD-L 5 MD? 0.15 (%)
(6) 0.05 (%)? L 1 TD-L 5 TD? 0.15 (%)
(7) 0 (%)? L 5 MD-L 30 MD? 0.05 (%)
(8) 0 (%)? L 5 TD-L 30 TD? 0.05 (%)
In this equation,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are synonymous with the first ter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와 상기 필름 B의 L30TD와 L30MD가, 각각 -0.10 내지 0.10%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L 30 TD and L 30 MD of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within a range of -0.10 to 0.10%,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가, 당 에스테르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pct00024

(상기 화학식에서,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G2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잔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 잔기 또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옥시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 A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lm A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1)
Figure pct00024

(Wherein B 3 and B 4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or a hydroxyl group, G 2 represents an 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2 to 12 carbon atoms, an aryl glycol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n oxy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represents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n aryl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and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Represents an integ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이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film A comprises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the cor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and the skin layer contains a cellulose est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가, TD 방향의 원래 폭에 대하여 1.05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ilm A is stretched in the range of 1.05 to 1.5 times the original width in the TD direc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B가, 하기식 (i) 및 (ii)로 정의되는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o)이 40 내지 60nm의 범위 내이며,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값(Rt)이 100 내지 140n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식 (i): Ro=(nx-ny)×d(nm)
식 (ii): Rt={(nx+ny)/2-nz}×d(nm)
〔식 (i) 및 식 (ii)에서, nx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서, 상기 방향 x와 직교하는 방향 y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 z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두께(nm)를 나타낸다. 측정은, 23℃·55% RH의 환경 하, 590nm의 측정 파장에서 행한다.〕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retardation value Ro in the in-plane direction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is in the range of 40 to 60 nm and the retardation value 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100 to 140 nm Wherein the polarizer is a polarizer.
Formula (i): Ro = (n x -n y) × d (nm)
Formula (ii): Rt = {( n x + n y) / 2-n z} × d (nm)
[In the formulas (i) and (ii), n x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x at which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maximum in the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n y represents a refractive index in an in-plane direction of the film and in a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x. and n z represent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z of the film. and d represents the thickness (nm) of the film. Measurement is carried out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90 nm under an environment of 23 ° C and 55% RH.]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B가,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1 내지 2.4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said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1 to 2.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B가, 당 에스테르 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중축합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pct00025

(상기 식에서, B3 및 B4는, 각각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G2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잔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글리콜 잔기 또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옥시알킬렌글리콜 잔기를 나타낸다. A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낸다.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B contains a sugar ester or a polycondensation est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1)
Figure pct00025

(Wherein, B 3 and B 4 are each independently an aliphatic or aromatic mono-carboxylic acid residue, or a hydroxy. G 2 is alkylene having 2 to 12 glycol residue, an aryl glycol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Or an oxyalkylene glycol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A represents an alkylene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4 to 12 carbon atoms or an aryl dicarboxylic acid residue having 6 to 12 carbon atoms, and n is an integer of 1 or more Lt; / RTI &g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B가, 코어층의 양측에 스킨층을 갖는 적어도 3층의 구성이며, 당해 코어층은 아실기 치환도가 2.0 내지 2.4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당해 스킨층은 아실기 치환도가 2.6 내지 2.9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film B comprises at least three layers each having a skin layer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and the core layer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n acyl group degree of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45 and the skin layer has an acyl group substitution degree Has a cellulose acetate content in the range of 2.6 to 2.9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막 두께 2 내지 15㎛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in the range of 2 to 15 占 퐉.
편광자의 양면에 활성선 경화형 접착제층을 개재해서 필름 A 및 필름 B를 접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당해 필름 A로서,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아크릴 수지를 함유하는 아크릴 필름을 사용하고,
당해 필름 B가, 막 두께가 20 내지 60㎛의 범위 내이며, 아세틸기의 평균 치환도가 2.0 내지 2.5의 범위 내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를 함유하고, 또한 하기식 (1) 내지 (4)를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 0.03(%)≤L1MD-L5MD≤0.30(%)
(2) 0.03(%)≤L1TD-L5TD≤0.30(%)
(3) 0(%)≤L5MD-L30MD≤0.10(%)
(4) 0(%)≤L5TD-L30TD≤0.10(%)
상기 식에서,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는, 하기식 (a) 내지 (f)에 의해 구해지는 1분 후, 5분 후 및 30분 후의 필름의 치수 변화율을 나타낸다. 하기식 (a) 내지 (f)는 TD 방향 또는 MD 방향으로 한 변이 평행해지도록 필름 A 및 필름 B를 직사각형으로 채취하고, 이것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24시간 방치한 필름의 규정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측정하여, 각각 L0MD 및 L0TD라 한다. 이 필름을 80℃·90% RH의 항온 항습조에 1시간 방치한 후, 23℃·55% RH의 온습도 환경 하에 방치하고, 1분 후의 치수, 5분 후의 치수 및 30분 후의 치수를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각각 측정하여, 각각 L1MD', L1TD', L5MD', L5TD', L30MD', 및 L30TD'라 하고, 하기식 (a) 내지 (f)에 대입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을 구한다.
1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a)L1MD(%)=(L1MD'-L0MD)/L0MD×100
(식 b)L1TD(%)=(L1TD'-L0TD)/L0TD×100
5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c)L5MD(%)=(L5MD'-L0MD)/L0MD×100
(식 d)L5TD(%)=(L5TD'-L0TD)/L0TD×100
30분 후의 치수 변화율
(식 e)L30MD(%)=(L30MD'-L0MD)/L0MD×100
(식 f)L30TD(%)=(L30TD'-L0TD)/L0TD×100
A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for bonding a film A and a film B to both sides of a polarizer through an active line curable adhesive layer,
As the film A, an acrylic film containing an acrylic resin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탆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was used,
Wherein the film B contains cellulose acetate having a film thickness in the range of 20 to 60 占 퐉 and an average degree of acetyl group substitution in the range of 2.0 to 2.5 and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1) to (4) Acetate film is used as the polarizing plate.
(1) 0.03 (%)? L 1 MD-L 5 MD? 0.30 (%)
(2) 0.03 (%)? L 1 TD-L 5 TD? 0.30 (%)
(3) 0 (%)? L 5 MD-L 30 MD? 0.10 (%)
(4) 0 (%)? L 5 TD-L 30 TD? 0.10 (%)
In the above formula, L 1 MD, L 1 TD, L 5 MD, L 5 TD, L 30 MD and L 30 TD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s (a) to (f) Of the film after a minute. The following formulas (a) to (f) show the film A and the film B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one sid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r the MD direction, and the film A and the film B are left for 24 hours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캜 and 55% Dimensions are measured in the MD and TD directions and are referred to as L 0 MD and L 0 TD, respectively.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bath at 80 占 폚 and 90% RH for 1 hour and left under a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 of 23 占 폚 and 55% RH. The dimensions after one minute, the dimensions after five minutes, respectively measured in the TD direction, respectively, L 1 MD ', L 1 TD ', L 5 MD ', L 5 TD', L 30 MD ', and L 30 TD' La, and the following formula (a) to (f)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s obtained.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1 minute
(Formula 1) L 1 MD (%) = (L 1 MD '- L 0 MD) / L 0 MD × 100
(Expression b) L 1 TD (%) = (L 1 TD'-L 0 TD) / L 0 TD × 100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5 minutes
(C) L 5 MD (%) = (L 5 MD'-L 0 MD) / L 0 MD x 100
(Formula d) L 5 TD (%) = (L 5 TD'-L 0 TD) / L 0 TD x 100
Dimensional change rate after 30 minutes
L 30 MD (%) = (L 30 MD'-L 0 MD) / L 0 MD x 100
(Formula f) L 30 TD (%) = (L 30 TD'-L 0 TD) / L 0 TD x 1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A를,
적어도 아크릴 수지와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유연해서 금속 지지체 상에서 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형성한 웹을 건조해서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박리한 웹을 연신하는 공정과,
상기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과,
또한 상기 웹이 당해 드라이어 존을 나온 후에, 50 내지 100℃/초의 범위 내의 속도로 웹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
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lm (A)
A step of forming a web on a metal support by softening at least a dop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d an organic solvent,
Drying the formed web to separate it from the metal support,
A step of stretching the peeled web;
Drying the elongated web in a dryer zone,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web at a speed in a range of 50 to 100 DEG C / sec after the web leaves the dryer zone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s formed of a polarizing plate.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B를,
적어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와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도프를 유연해서 금속 지지체 상에서 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형성한 웹을 건조해서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박리한 웹을 연신하는 공정과,
상기 연신한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
에 의해 형성할 때, 상기 웹을 드라이어 존에서 건조하는 공정이,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되고, 또한 반송 롤러에 의해 당해 웹의 A면과 대향하는 B면이 교대로 내측이 되도록 구부리는 벤딩 공정을 갖고, 당해 벤딩 공정이, 당해 웹을 구부렸을 때의 반경을 a(mm)라 했을 때, 1/a의 값을 0.035mm-1 내지 0.050mm-1의 범위 내로 하고, 또한 벤딩을 50회 이상 120회 미만 반복하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The film (B)
A step of forming a web on a metal support by softening a dope containing at least cellulose acetate and an organic solvent,
Drying the formed web to separate it from the metal support,
A step of stretching the peeled web;
A step of drying the elongated web in a dryer zone
, The step of drying the web in the dryer zone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130 to 150 DEG C and the B side opposite to the A side of the web is alternately turned inwardly by the conveying roller when the bending radius of a La (mm) at the time went off this has a bending process, the art bending process, the bend art web, and the value of 1 / a in the range of 0.035mm to 0.050mm -1 -1, also Wherein the bending is repeated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120 times.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에 고무 성분이 분산되어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 필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해서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연신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염색 필름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염색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에 침지해서 편광자층을 형성하여 가교 필름을 얻는 공정과,
상기 가교 필름을 건조하는 공정
에 의해 편광성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편광성 적층 필름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당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상기 편광자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A step of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n one surface of a base film in which a rubber component is dispersed in a thermoplastic resin to obtain a laminated film,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laminated film to obtain a stretched film,
A step of s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stretched film with a dichroic dye to obtain a dye film,
A step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dye film in a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to form a polarizer layer to obtain a crosslinked film;
A step of drying the crosslinked film
To form a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peel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from the base film to us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as the polarizer.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가 VA 모드형 액정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157030484A 2013-04-26 2014-04-04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13609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3494 2013-04-26
JP2013093494 2013-04-26
PCT/JP2014/059926 WO2014175040A1 (en) 2013-04-26 2014-04-04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097A true KR20150136097A (en) 2015-12-04

Family

ID=5179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84A KR20150136097A (en) 2013-04-26 2014-04-04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4175040A1 (en)
KR (1) KR20150136097A (en)
CN (1) CN105143937A (en)
WO (1) WO201417504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0509B2 (en) * 2015-03-11 2019-08-14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storage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KR102046699B1 (en) * 2015-03-24 2019-11-19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olyimide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WO2017170525A1 (en) * 2016-03-29 2017-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262499B1 (en) * 2016-03-29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7170516A1 (en) * 2016-03-29 2017-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WO2017170527A1 (en) * 2016-03-29 2018-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Flexibl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8155812A (en) * 2017-03-15 2018-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7093350B2 (en) * 2017-06-21 2022-06-29 株式会社クラレ Raw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tretched optical film, and stretched optical film
KR102565518B1 (en) 2017-06-21 2023-08-09 주식회사 쿠라레 Fabric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optical film, and stretched optical film
CN110361804B (en) * 2018-04-09 2022-11-04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2019188898A (en) * 2018-04-20 2019-10-31 矢崎総業株式会社 Cover for vehicle display unit and vehic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6727B (en) * 2001-09-19 2008-05-11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polarizing plate
WO2009054519A1 (en) * 2007-10-25 2009-04-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display panel
JP2009122641A (en) * 2007-10-25 2009-06-04 Sumitomo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display panel
JP5597438B2 (en) * 2010-04-30 2014-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2018341A (en) * 2010-07-09 2012-01-26 Konica Minolta Opto In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720401B2 (en) * 2011-04-27 2015-05-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Cellulose acetate laminated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43937A (en) 2015-12-09
WO2014175040A1 (en) 2014-10-30
JPWO2014175040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097A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569967B (en)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44381B1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602095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WO2014203637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523794B2 (en) Optical film of cellulose ester and cellulose ether for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841854B1 (en) Cellulose acylate film, polarize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5098491A1 (en) Cellulose-ester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olarizing plate
WO2015060167A1 (en)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09419B1 (en)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26437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WO2011055590A1 (en) Protective film roll for liquid crystal polarization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844580B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210835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and polarizer has enhanced durability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WO2013035273A1 (en) Method for producing acrylic resin-containing film, acrylic resin-contain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720706B2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07976A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same
JP2015169677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CN115698786A (en) Laminated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