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953A - 적층형 축냉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축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953A
KR20150135953A KR1020140063201A KR20140063201A KR20150135953A KR 20150135953 A KR20150135953 A KR 20150135953A KR 1020140063201 A KR1020140063201 A KR 1020140063201A KR 20140063201 A KR20140063201 A KR 20140063201A KR 20150135953 A KR20150135953 A KR 2015013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ous material
flat
brine
phas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462B1 (ko
Inventor
신완순
이광현
이정환
고광웅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6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4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 F25D2303/08222Shape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86Part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인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관, 및 상기 평판관에 대응하는 단면이 상기 평판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인과 열을 교환하여 용융 또는 응고되는 상변화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기공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관의 외벽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판형 다공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방랭 시 상기 접촉면의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중앙부에서 상기 상변화물질의 용융을 완료하여 열전달 성능 저하를 제한하도록,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물질과 교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형 축냉기{LAYERED TYPE THERMAL ENERGY STORAGE}
본 발명은 상변화물질의 응고와 용융의 상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냉각에 필요한 냉열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용기인 축냉기에 관한 것이다.
축냉식 냉각기는 사전에 냉각에 필요한 냉열(냉각에 필요한 에너지)을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준비된 냉열을 사용하는 냉각방식의 총칭이다. 즉, 축냉식 냉각기는 간헐적으로 열이 발생할 경우, 냉각에 필요한 냉열을 긴 시간동안 미리 준비하였다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축냉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상(phase)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현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잠열이 현열보다 크기 때문에 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은 상 변화 시 온도가 일정하여 온도변화 없이 열을 저장 및 방출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이용하고자 축냉식 냉각기에서는 잠열을 이용하는 축냉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축냉식 냉각기는 고체 또는 액체상태의 상변화물질을 사용하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대기압에서 작동하는 장점이 있어 축냉식 냉각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축냉식 냉각기에서 사용하는 상변화물질의 열전도도가 일반적으로 매우 낮아 이를 이용하는 방식은 열전달 성능이 나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축냉기는 축냉식 냉각기에서 용융 또는 응고 시 발생하는 상변화물질의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에 필요한 냉열을 저장하는 용기로 축냉식 냉각기의 핵심 구성품 중 하나이다. 현재 다양한 형태의 축냉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실시예들의 경우, 상변화물질의 낮은 열전도도에 의하여 브라인과 상변화물질 사이의 열전달 성능이 낮아 관 주위의 일부 상변화물질만이 브라인 냉각에 사용되었다. 따라서 브라인 냉각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변화물질 즉, 불용부피(dead volume)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불용부피는 축냉기의 중량을 무겁게하고 상변화물질의 낭비를 초래한다.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의 경우, 브라인과 상변화물질 사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핀, 확장 구조물, 다공성물질 등이 사용된다. 다공성물질을 예로 들면, 다공성물질 내에 존재하는 수 많은 기공에 상변화물질을 저장하고, 다공성물질을 통하여 상변화물질과 브라인은 열을 교환한다.
도 1은 다수의 원형 관(11)이 상변화물질(12)에 삽입되어 있는 축냉기(1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원형 관(11) 주변의 상변화물질(12)은 원형 관(11)을 흐르는 브라인과 열을 교환하여 용융되고, 용융된 상변화물질(12)은 원형 관(11) 주위를 둘러싸게 된다. 상변화물질(12)의 용융경계면(13)은 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며 관(1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용융경계면(13)이 확장되고 도 1과 같이 이웃한 용융경계면(13)이 접촉하게 되면, 용융경계면(13)의 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는 고체 상변화물질(12)로의 실질적인 열전달 면적이 감소함을 의미하며, 축냉기(10) 내 열전달 성능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도 여전히 상변화물질(12)의 불용부피(14)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축냉기 내에 존재하는 불용부피를 줄여 축냉기 내부에 충진된 상변화물질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소형 및 경량의 축냉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열전달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용량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축냉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제작 과정이 간단한 축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축냉기는, 브라인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관; 및 상기 평판관에 대응하는 단면이 상기 평판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인과 열을 교환하여 용융 또는 응고되는 상변화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기공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관의 외벽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판형 다공성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방랭 시 상기 접촉면의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중앙부에서 상기 상변화물질의 용융을 완료하여 열전달 성능 저하를 제한하도록,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물질과 교차적으로 적층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세장비가 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상기 평판관 내에서 브라인의 유동을 분배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브라인의 유로를 복수로 구비하는 다중 채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상기 평판관 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 내지 9㎜ 크기의 높이를 갖는 미세유로를 복수로 구비하는 다중 채널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구리, 알루미늄 및 그라파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이 그라파이트인 경우,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상기 그라파이트가 갖는 결정구조 중 가장 큰 열전도도를 갖는 상기 그라파이트의 결정구조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평판관과 교차적으로 적층되어 용량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변화물질의 용융경계면의 형상은 두 개의 용융경계면이 만나 용융이 완료될 때까지 변화가 적고 열전달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없으므로, 다공성물질 내부에 있는 상변화물질을 방랭에 모두 참여시킬 수 있어 불용부피가 없는 소형 및 경량의 축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평판관과 판형 다공성물질을 교차적으로 다중 적층시킴으로써 축냉기의 용량을 확장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축냉기는 평판관과 판형 다공성물질을 포함하므로 제작 공정이 간단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축냉기(2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축냉기(200)는 복수의 평판관(210)과 판형 다공성물질(2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축냉기는 두 개의 평판관(210)과 하나의 판형 다공성물질(220)을 포함한다. 열을 운반하는 매개체인 브라인은 평판관(210)의 관로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평판관(210)은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된다. 브라인은 이 연장방향을 따라서 흐르며 열을 운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관(210)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있지만, 서로 마주보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두 면을 갖는 형상이라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평판관(210)의 단면이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평판관(210)은 세장비가 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평판관(210)은 높이가 낮은 미세유로(1㎛ 내지 9㎜)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달을 지배하는 등가유로, 즉 수력직경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어서 관 내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개의 평판관(2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두 개의 평판관(210)은 각각 외벽(211)을 구비하며, 각각의 외벽(211)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평판관(210)의 사이에는 판형 다공성물질(22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평판관(2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판형 다공성물질(220)은 평판관(210)에 대응하는 단면이 평판관(2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평판관(210)에 대응하는 단면이란 폭이나 높이를 조절한다면 평판관(210)의 단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되는 단면을 의미한다.
또한 판형 다공성물질(220)은 브라인과 열을 교환하여 용융 또는 응고되는 상변화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기공을 구비한다.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기공은 수십 내지 수백㎛의 크기를 갖는다.
판형 다공성물질(220)은 평판관(210)의 외벽(211)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즉, 평판관(210)의 외벽(211)과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은 접촉하게 배치되며, 결과적으로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양 외측면(221)에는 평판관(210)이 접촉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때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은 평판관(210)의 외벽(21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접촉면의 형상도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 또는 평판관(210)의 외벽(21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반면, 평판관(210)의 외벽(211)의 형상과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생성되는 접촉면의 형상은 평판관(210)의 외벽(211)의 형상 및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의 형상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평판관(210)의 외벽(211),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 및 접촉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은 평판관(210)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브라인에서, 평판관(210)의 내벽(212), 평판관(210)의 외벽(211),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 및 판형 다공성물질(220) 내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열은 역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열의 교환으로 평판관(210)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브라인은 냉각 또는 가열된다. 이에 대응하여 판형 다공성물질(220) 내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은 용융 또는 응고 된다. 구체적으로 방랭 시, 브라인은 냉각되며 상변화물질은 용융된다.
상변화물질의 용융이 진행되면,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내부에서 상변화물질의 용융경계면(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용융경계면(222)은 브라인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처음으로 통과하는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에서부터 생성된다. 따라서 용융경계면(222)은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앞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의 형상은 평판관(210)과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접촉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용융경계면(222)의 형상은 접촉면의 형상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평판관(210)의 외벽(211)의 형상,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의 형상 및 접촉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용융경계면(222)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열이 전달되는 접촉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이다.
열전달이 진행됨에 따라, 판형 다공성물질(220) 내부의 상변화물질은 더 많이 용융된다. 즉 열전달 초기에는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에 가까이 저장된 상변화물질만이 용융되지만 열전달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중앙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까지도 용융이 된다. 다시 말하면,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으로부터 형성된 용융경계면(222)은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이때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양 외측면(221)에는 서로 다른 평판관(210)이 각각 접촉되어 있으므로, 용융경계면(222)은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양 외측면(221)으로부터 각각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하나의 판형 다공성물질(220) 내부에는 두 개의 용융경계면(222)이 존재한다.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경계면(222)을 형성하고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중앙부에서 상변화물질의 용융경계면(222)이 만나 용융이 종료되도록, 두 개의 평판관(210)은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판형 다공성물질(220)과 교차적으로 적층된다.
즉, 위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으로부터 형성되고 외측면(2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용융경계면(222)은 용융이 완료될때까지 그 형상의 변화가 적어 열전달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제한한다. 이는 용융경계면(222)이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외측면(221)에 실질적으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판형 다공성물질(220)의 중앙부에서 두 용융경계면(222)이 만나 용융이 완료됨에 따라 용융되지 않은 상변화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판형 다공성물질(220) 내부에 불용부피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축냉기(300)는 복수의 평판관(310)과 복수의 판형 다공성물질(320)을 포함한다. 복수의 평판관(310)은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므로, 평판관(310)의 수가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수보다 더 많은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다섯 개의 평판관(310)과 네 개의 판형 다공성물질(320)이 교차적으로 적층 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이 아니고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를 단일 적층이라 하고,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를 다중 적층이라 한다면, 다중 적층을 함으로써 축냉기(300)의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축냉기(300)는 적층 수에 비례하여 용량이 확장된다.
단일 적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열은 평판관(310)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브라인에서, 평판관(300)의 내벽(312), 평판관(300)의 외벽(311),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외측면(321) 및 판형 다공성물질(320) 내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단일 적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열은 역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의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수의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양 외측면(321)에는 서로 다른 평판관(310)이 각각 접촉되어 있으므로, 용융경계면(322)은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양 외측면(321)으로부터 각각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하나의 판형 다공성물질(320) 내부에는 두 개의 용융경계면(322)이 존재한다.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경계면(322)을 형성하고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중앙부에서 상변화물질의 용융경계면(322)이 만나 용융이 종료되도록, 복수의 평판관(310)은 복수의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판형 다공성물질(320)과 교차적으로 다중 적층된다.
이 경우에도, 용융경계면(322)은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외측면(3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판형 다공성물질(320)의 외측면(321)에 실질적으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내부로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축냉기(4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축냉기(400)는 다채널 평판관(410)을 포함한다. 즉, 다채널 평판관(410)은 그 내부에 브라인이 흐르는 유로가 복수 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인은 하나의 평판관(410) 내에 구비된 다수의 채널(411)을 통하여 각각 흐르며 열교환을 하고 이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된다.
위와 같이 다채널 평판관(410)을 사용함으로써 평판관(410) 내의 유동을 분배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채널(411)은 높이가 낮은 미세유로(1㎛ 내지 9㎜)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달을 지배하는 등가유로, 즉 수력직경의 크기가 작아서 관 내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단일의 평판관(410) 내에 복수의 채널(411)을 구비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각각의 채널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여 다채널 평판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축냉기(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축냉기(500)는 복수의 다채널 평판관(510)과 복수의 판형 다공성물질(5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다채널 평판관(510)은 판형 다공성물질(52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므로, 평판관(510)의 수가 판형 다공성물질(520)의 수보다 더 많은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섯개의 다채널 평판관(510)과 네개의 판형 다공성물질(520)이 교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다채널 평판관(510)과 판형 다공성물질(520)을 다중 적층을 함으로써 축냉기의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는 축냉기(500)는 적층 수에 비례하여 용량이 확장된다.
단일 채널 평판관과 판형 다공성물질을 적층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열은 평판관의 관로를 따라 흐르는 각각의 브라인에서, 평판관(510)의 내벽, 평판관(510)의 외벽, 판형 다공성물질(520)의 외측면 및 판형 다공성물질(520) 내부에 저장된 상변화물질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열은 역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판형 다공성물질은 구리, 알루미늄 및 그라파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판형 다공성물질은 다른 금속에 비하여 열 전도도가 비교적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그라파이트는 결정 방향에 따라서 열전도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판형 다공성물질이 그라파이트 재질로 형성된 경우, 그라파이트의 여러 결정 방향 중 가장 열전도도가 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평판관과 상변화물질이 저장된 판형 다공성물질은 브레이징, 기계적 체결에 의한 압착, 써말 그리스 또는 써말 패이스트 등의 접착법을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축냉기를 제작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을 따르는 축냉기를 제작하는 방법에 비해서 간단하다. 즉, 본 발명은 평판관과 판형 다공성물질을 이용하므로, 구멍 작업, 확관 등 냉각관 삽입을 위한 별도의 다공성물질의 가공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적층형 축냉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6)

  1. 브라인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평판관; 및
    상기 평판관에 대응하는 단면이 상기 평판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인과 열을 교환하여 용융 또는 응고되는 상변화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기공을 구비하며, 상기 평판관의 외벽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판형 다공성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방랭 시 상기 접촉면의 형상을 유지하며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용융경계면을 형성하고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중앙부에서 상기 상변화물질의 용융을 완료하여 열전달 성능 저하를 제한하도록,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물질과 교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상기 평판관 내에서 브라인의 유동을 분배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브라인의 유로를 복수로 구비하는 다중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판관은 상기 평판관 내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 내지 9㎜ 크기의 높이를 갖는 미세유로를 복수로 구비하는 다중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구리, 알루미늄, 그라파이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이 그라파이트인 경우,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상기 그라파이트가 갖는 결정구조 중 가장 큰 열전도도를 갖는 상기 그라파이트의 결정구조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축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다공성물질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평판관과 교차적으로 적층되어 용량 확장이 가능한 적층형 축냉기.
KR1020140063201A 2014-05-26 2014-05-26 적층형 축냉기 KR10165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01A KR101658462B1 (ko) 2014-05-26 2014-05-26 적층형 축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201A KR101658462B1 (ko) 2014-05-26 2014-05-26 적층형 축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53A true KR20150135953A (ko) 2015-12-04
KR101658462B1 KR101658462B1 (ko) 2016-09-22

Family

ID=5486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201A KR101658462B1 (ko) 2014-05-26 2014-05-26 적층형 축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4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050A (ja) * 2011-10-19 2013-05-13 Mitsubishi Plastics Inc 潜熱蓄熱槽、及び給湯システム
JP2013112706A (ja) * 2011-11-25 2013-06-1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化学蓄熱材及びケミカルヒートポ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050A (ja) * 2011-10-19 2013-05-13 Mitsubishi Plastics Inc 潜熱蓄熱槽、及び給湯システム
JP2013112706A (ja) * 2011-11-25 2013-06-10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化学蓄熱材及びケミカルヒート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462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009B2 (en) Heat exchanger including passageways
JP6567029B2 (ja) 能動型再生磁気熱量ヒートエンジンまたは能動型再生電気熱量ヒートエンジンのための複数材料ブレード
CN101493296B (zh) 一种具有层列微槽微热管群的新型平板热管
US7726384B2 (en) Heat pipe
KR102149720B1 (ko) 자기냉각장치
US8448453B2 (en) Refrigeration device and a method of refrigerating
Zhou et al. Effect of the passage area ratio of liquid to vapor on an ultra-thin flattened heat pipe
US20120079834A1 (en) Magnetic regenerator, a method of making a magnetic regenerator, a method of making an active magnetic refrigerator and an acticve magnetic refrigerator
JP6183100B2 (ja) 蓄冷熱交換器
JP2016211837A5 (ko)
KR20170095987A (ko) 자기 열량적 캐스케이드 및 자기 열량적 캐스케이드의 제조 방법
JP2001355984A (ja) 熱伝達体ブロック
WO2020054506A1 (ja) 磁気冷凍モジュール
US9239176B2 (en) Magnetic heating and cooling device
JP2012193882A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58462B1 (ko) 적층형 축냉기
JP5961639B2 (ja) 熱交換器用熱伝導パイプ
CN105627794B (zh) 一种换热器的流路布置结构
JP4956787B2 (ja) 冷却装置
CN108759164B (zh) 具有叠层交叉型微通道节流制冷器的复合冷却装置及设备
JP2017048964A (ja) ループ型サーモサイフォン装置
JP6162836B2 (ja) 熱交換器
RU2584081C1 (ru) Микроканаль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113446883A (zh) 一种基于弹性湍流的双流体回路错排波型微通道散热器
CN108323099B (zh) 翅片式热管耦合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