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832A -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832A
KR20150135832A KR1020140062850A KR20140062850A KR20150135832A KR 20150135832 A KR20150135832 A KR 20150135832A KR 1020140062850 A KR1020140062850 A KR 1020140062850A KR 20140062850 A KR20140062850 A KR 20140062850A KR 20150135832 A KR20150135832 A KR 2015013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ource
audio device
audio
mode
connec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142B1 (ko
Inventor
민병훈
이종명
윤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제1 입력 소스의 검색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수신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장치가, 변경된 전원 온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AUDIO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사용자 증가와 더불어 블루투스 기기들의 사용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다. 블루투스는 무선이라는 편리함과 더불어 쉬운 페어링 방법 덕분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블루투스를 통한 오디오 전송기기(블루투스 헤드폰이나 이어셋, 스피커 등)와 핸즈프리도 많은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는 제품들은 두 기기 간의 연결을 위해 처음 연결 시 페어링 단계를 거치며 한번 페어링이 된 제품은 다음에 다시 연결할 때 보다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페어링이 된 기기들끼리도 재연결을 위해서는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도록 깨어 있어야 하므로 연결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오디오 기기를 켠 후 연결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즉, 기기를 꺼두는 경우 기기를 사용하기 원할 때마다 기기를 켜고 또 연결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의 전원을 온 하지 않더라도 오디오 장치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 입력 소스와의 연결 및 입력 소스의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제1 입력 소스의 검색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장치가, 수신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장치가, 변경된 전원 온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제1 입력 소스 또는 제2 입력 소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검색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하고, 변경된 전원 온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는 대기 모드에 있다가 입력 소스가 검색되는 경우, 자동으로 대기 모드에서 벗어나 입력 소스와 연결되어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디오 장치의 전원을 온 하지 않더라도 오디오 장치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입력 소스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간의 연결을 위해 활성화 주기 및 활성화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 간의 연결에 의해 입력 소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가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 간의 연결 및 전환을 설명하는 실시 예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오디오 장치는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장치(100),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 중 어느 하나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선 통신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광케이블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 입력 소스(200) 또는 제2 입력 소스(300)는 오디오 장치(100)와 연결되어 오디오 장치(100)에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는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입력 소스(200) 및 제2 입력 소스(300)는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오디오 증폭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연결 요청을 검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연결 응답을 입력 소스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부(111) 및 무선 통신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부(111)는 입력 소스와 HDMI,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선 통신부(111)는 HDMI 입출력 단자, 광케이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3)는 입력 소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9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통신부(110)가 수신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증폭부(140)는 오디오 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오디오를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9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9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부(16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9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오디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가 외부로부터 전원에 연결되면(S101),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로 진입시킨다(S103).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는 전원 온 모드, 전원 오프 모드 및 대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온 모드는 오디오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일 수 있다.
전원 오프 모드는 오디오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일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외부의 입력 소스와 통신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을 소모하는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모드는 오디오 장치(100)의 모든 구성 요소 중 통신부(110)에 주기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 요소인 저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오디오 증폭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및 제어부(19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는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만이 주기적으로 활성화(wake-up)될 수 있고, 통신부(110)는 주기적으로, 외부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거나 외부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대기 모드는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가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일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오디오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된 경우, 외부의 입력 소스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검색한다(S105).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는 주기적으로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통신부(110)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주기적으로 활성화된 통신부(110)는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을 검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을 검색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연결 요청 검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니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연결 요청 검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은 입력 소스의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10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요청일 수 있다.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은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연결 요청일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광케이블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S107).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가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1 입력 소스(200)에 구비된 통신부의 활성화 주기 내의 활성화 유지 시간이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의 활성화 주기 보다 크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 간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각 통신부가 동시에 활성화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간의 연결을 위해 활성화 주기 및 활성화 유지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오디오 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10)의 활성화 주기 및 활성화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입력 소스에 포함된 통신부의 활성화 주기 및 활성화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10)의 활성화 주기는 t1이고, 활성화 유지 시간은 t2이다. 활성화 주기 t1은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가 활성화되는 주기를 나타내는 시간 구간이며, 활성화 유지 시간 t2는 활성화 주기 t1의 시간 구간 내에서 실제로 통신부(110)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ON을 유지)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입력 소스에 포함된 통신부의 활성화 주기는 t3이고, 활성화 유지 시간은 t4이다. 활성화 주기 t3는 입력 소스에 구비된 통신부가 활성화되는 주기를 나타내는 시간 구간이며, 활성화 유지 시간 t4는 활성화 주기 t3의 시간 구간 내에서 실제로 입력 소스의 통신부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ON을 유지)하는 시간 구간을 나타낸다.
오디오 장치(100)와 입력 소스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각 통신부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입력 소스의 통신부의 활성화 유지 시간 t4는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의 활성화 주기 t1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와 입력 소스의 통신부 각각의 활성화 상태가 중복되는 구간이 존재하기 위해 입력 소스의 통신부의 활성화 유지 시간 t4는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의 활성화 주기 t1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설명한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원 온 모드로 진입시키고(S109), 통신부(110)를 통해 제1 입력 소스(200)에 연결 응답을 전송한다(S111).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90)에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부(19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인터럽트 신호는 통신부(110)가 제어부(19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제어부(190)는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를 상호 연결시키고, 오디오 처리부(130) 및 오디오 증폭부(14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S109 및 단계 S111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1 입력 소스(200)에 연결 응답을 전송한 후,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원 온 모드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고(S113),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한다(S115).
통신부(110)가 제1 입력 소스(200)에 연결 응답을 전송하면,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는 상호 연결이 완료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가 상호 연결이 완료되면,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수신하여 수신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101 내지 단계 S115의 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 간의 연결에 의해 입력 소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오디오 장치가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 내지 도 7을 도 1 내지 도 4의 내용에 결부시켜 설명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서 제1 입력 소스(20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연결 가능 영역(A) 내에 있는 제1 입력 소스(200)를 검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제1 입력 소스(200)의 연결 요청을 검색하기 위해 연결 요청 검색 신호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 있을 수 있고, 통신부(110)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된다.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통신부(110)는 활성화 유지 시간 동안 제1 입력 소스(200)의 연결 요청을 검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소스(200)가 연결 가능 영역(A)으로 진입한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의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의 연결 요청의 수신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200)는 상호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는 연결된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가 출력하는 오디오를 스트리밍으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는 대기 모드에 있다가 입력 소스가 검색되는 경우, 자동으로 대기 모드에서 벗어나 입력 소스와 연결되어 입력 소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장치의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디오 장치의 전원을 온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입력 소스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다른 입력 소스의 연결 요청을 검색한다(S117).
단계 S117의 연결 요청 검색은 단계 S115의 연결 요청 검색과는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7의 연결 요청 검색은 제1 입력 소스(20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전원 온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05의 연결 요청 검색은 제1 입력 소스(200)의 연결 요청을 검색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이 끊긴 경우,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전원 온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한다(S119).
오디오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제1 입력 소스(20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 후,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121).
제어부(190)는 오디오 장치(100)의 연결 대상이 전환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해제 요청은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수신한 연결 요청을 연결 해제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200)에 연결을 해제한다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S121는 생략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입력 소스(20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S123), 제2 입력 소스(300)에 연결 응답을 전송한다(S125).
제2 입력 소스(300)에 연결 응답을 전송함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와 제2 입력 소스(300)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121이 생략되는 경우, 단계 S123의 과정도 생략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2 입력 소스(300)로의 연결 응답 전송에 대응하여 제2 입력 소스(300)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하고(S127),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한다(S129).
단계 S101 내지 S129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와 입력 소스 간의 연결 및 전환을 설명하는 실시 예이다.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제1 입력 소스(400)는 스마트 TV, 셋톱박스 등과 같은 출력 장치이고, 제2 입력 소스(500)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400)와 상호 연결되어 제1 입력 소스(4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재생하고 있다.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40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은 HDMI,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입력 소스(500)는 오디오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 불가능한 위치에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소스(500)가 오디오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A)에 진입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40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입력 소스(5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제1 입력 소스(40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는 것은 유선 상으로는 연결되어 있되, 오디오 장치(100)가 제1 입력 소스(40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를 재생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제2 입력 소스(500)와 상호 연결되어 제2 입력 소스(500)에 출력되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입력 소스(500)는 오디오 장치(100)와 연결되기 전 오디오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입력 소스(500)는 오디오 장치(100)와 연결되기 전 오디오를 재생하지는 않으나, 오디오 장치(100)와의 연결과 동시에 오디오를 재생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유선으로 연결된 입력 소스를 통해 음악을 감상하다가 별도의 조작 없이 자신의 스마트 폰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쉽게 감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 제1 입력 소스(600) 및 제2 입력 소스(500)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600)와 상호 연결되어 제1 입력 소스(6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재생하고 있다.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6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불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입력 소스(700)는 오디오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 불가능한 위치에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 소스(700)가 오디오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A)에 진입하는 경우,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입력 소스(60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제2 입력 소스(700)와의 연결을 시도한다. 오디오 장치(100)와 제1 입력 소스(600) 간의 연결을 해제한다는 것은 무선 상으로 연결이 해제되어 오디오 장치(100)가 제1 입력 소스(60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를 재생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제2 입력 소스(700)와 상호 무선 연결되어 제2 입력 소스(70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가, 제1 입력 소스의 검색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장치가, 수신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장치가, 변경된 전원 온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통신부만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검색하는 동작 모드인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 내의 활성화 유지 시간은 상기 통신부의 활성화 주기보다 크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는
    상기 제1 입력 소스가 상기 오디오 장치와 통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시간 구간이며,
    상기 활성화 유지 시간은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 내에 제1 입력 소스가 활성화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입력 소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제2 입력 소스에 연결을 완료하였다는 연결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응답의 전송 후,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소스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2 입력 소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 소스가 상기 오디오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소스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은
    HDMI,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모드는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인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11.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제1 입력 소스 또는 제2 입력 소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검색을 위해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모하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대기 모드에서 전원 온 모드로 변경하고, 변경된 전원 온 모드의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통신부만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검색하는 동작 모드인
    오디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 내의 활성화 유지 시간은 상기 통신부의 활성화 주기보다 크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는
    상기 제1 입력 소스가 상기 오디오 장치와 통신을 위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시간 구간이며,
    상기 활성화 유지 시간은
    상기 제1 입력 소스의 활성화 주기 내에 제1 입력 소스가 활성화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오디오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입력 소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오디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제2 입력 소스에 연결을 완료하였다는 연결 응답을 전송하고, 상기 연결 응답의 전송 후,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소스는 유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하고,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2 입력 소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오디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 소스가 상기 오디오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2 입력 소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오디오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소스는 유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오디오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통신은
    HDMI, 광케이블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인
    오디오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온 모드는
    상기 오디오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소스로부터 수신한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인
    오디오 장치.
KR1020140062850A 2014-05-26 2014-05-26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4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50A KR102143142B1 (ko) 2014-05-26 2014-05-26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850A KR102143142B1 (ko) 2014-05-26 2014-05-26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32A true KR20150135832A (ko) 2015-12-04
KR102143142B1 KR102143142B1 (ko) 2020-08-10

Family

ID=54867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850A KR102143142B1 (ko) 2014-05-26 2014-05-26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1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956A (ja) * 2002-05-28 2003-12-05 Toshiba Corp オーディオ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90081136A (ko) *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의 멀티포인트 페어링 방법
KR20100083960A (ko) * 2009-01-15 201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87766B1 (ko) * 2003-10-06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 장치와의 자동 연결방법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
KR20130128518A (ko) * 2012-05-17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956A (ja) * 2002-05-28 2003-12-05 Toshiba Corp オーディオ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987766B1 (ko) * 2003-10-06 201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와 블루투스 장치와의 자동 연결방법 및 이를 위한 블루투스 억세스 포인트
KR20090081136A (ko) * 2008-01-23 2009-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의 멀티포인트 페어링 방법
KR20100083960A (ko) * 2009-01-15 201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128518A (ko) * 2012-05-17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142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061B2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US103755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portable terminal
US9319149B2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US9294869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affect RF transmission from a non-linked wireless client
US20160295348A1 (en) Proximity and interface controls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RU26062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фигурации и управления микшера для аудиосистем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ы док-станции
US20140267148A1 (en) Proximity and interface controls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CN103023866A (zh) 无线音频信号的易共享
US20150172878A1 (en) Acoustic environments and awareness user interfaces for media devices
US20140279122A1 (en) Cloud-based media device configuration and ecosystem setup
CN110650408B (zh) 一种耳机及防丢方法、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10739B2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KR20210050353A (ko) 근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장치의 정보 획득 방법
JP2014011793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のための無線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及び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方法
KR2017004331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
US20160119573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66233A2 (en) Proximity-based control of media devices for media presentations
KR20150135832A (ko)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92675A1 (zh) 一种输出充电电流的方法及功率放大器
WO2015151179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無線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