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510A -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 Google Patents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510A
KR20150135510A KR1020157030975A KR20157030975A KR20150135510A KR 20150135510 A KR20150135510 A KR 20150135510A KR 1020157030975 A KR1020157030975 A KR 1020157030975A KR 20157030975 A KR20157030975 A KR 20157030975A KR 20150135510 A KR20150135510 A KR 2015013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fitting
remote
memory
soun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데르스 베스테르가드
스벤드 비팅 안데르센
Original Assignee
와이덱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덱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와이덱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5013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보청기 시스템의 원격 피팅 동안 원격 연결의 중단 또는 장애의 결과로서 보청기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시스템(102)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을 위해 적응된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이러한 방법을 위해 적응된 보청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A METHOD OF REMOTELY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 REMOTE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A HEARING AID}
본 발명은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fitt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원격 보청기 맞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음향 신호로서 지각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제공하거나, 또는 이러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사용자의 개별 청력 손실을 보상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데 기여하게 적응되는 수단을 갖는 임의의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몸에 또는 머리에, 특히 귀에 또는 귀 안에 착용될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이식될 수 있는 보청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주요 목적이 청력 손실을 보상하는 것이 아닌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텔레비전들, 하이-파이 시스템들, 모바일 전화들, MP3 재생기들 등)는 또한, 그것이 개별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면 보청기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맥락 내에서, 보청기는 청력 장애 사용자에 의해 인간 귀 안에 또는 뒤에 착용되도록 설계된 소형의, 배터리-전력공급되는 마이크로전자 디바이스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용 이전에, 보청기는 처방에 따라 보청기 피터(hearing aid fitter)에 의해 조정된다. 처방은 청력 장애 사용자의 보정전 청력의 성능의 청력 테스트에 기초하며, 이른바 오디오그램(audiogram)을 발생시킨다. 처방은 사용자가 청력 장애에 시달리는 청취 가능한 주파수 범위의 그러한 부분들의 주파수들에서 사운드를 증폭함으로써 청력 손실을 완화하는 세팅에 도달하도록 개발된다. 보청기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 배터리,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전자 회로 및 음향 출력 트랜스듀서를 포함한다. 신호 프로세서는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이다. 보청기는 인간 귀 안에 또는 뒤에 피팅하기에 적합한 케이스에 인클로징된다.
본 맥락에서, 보청기 시스템은 단일 보청기(이른바 한귀 보청기 시스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보청기 사용자의 각각의 귀에 대해 하나씩 2개의 보청기들(이른바 양귀 보청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 시스템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하도록 적응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갖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맥락 내에서, "보청기 시스템 디바이스"란 용어는 보청기 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종래의 보청기 피팅에 있어서,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 피터의 사무소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보청기들은 그의 사무소에서 보청기 피터가 갖는 피팅 장비를 이용하여 조정된다. 통상적으로, 피팅 장비는 컴퓨터와 보청기 간의 링크를 제공하도록 적응된 적절한 보청기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디바이스를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 절차는,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 피팅 사무소에 방문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거나 곤란한 경우들에서 불리하다.
보청기들의 원격 피팅을 위한 방법들이 당 분야에 제안되었다.
DE-A1-19600234는, 보청기 사용자와 보청기 피터 간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으로 보청기 피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데이터가 원격 데이터 전송 링크를 이용하여 피팅 장비로부터 그리고 보청기로 전송되는, 보청기를 피팅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ISDN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2개의 컴퓨터들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2개의 컴퓨터들 중 하나는 보청기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전송 링크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U1-29905172는 전화선, 모뎀 또는 컴퓨터에 직접 커플링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디바이스를 개시하며, 여기서 데이터는 데이터가 프로그래밍 디바이스로 그리고 이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디바이스는 보청기의 세팅에 액세스하고 조정하도록 적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청기 피터는 보청기 피터의 사무소 내에 로케이팅된 피팅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 전송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선 및 프로그래밍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보청기의 세팅을 조정할 수 있다.
WO-A2-2011/128462는 복수의 개인 보청기 사용자들에 대한 멀리 떨어진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지원 세션 이전에, 사용자는 페어링 정보(pairing information)를 저장함으로써 제공자들과 페어링되고, 지원 세션을 시작할 때, 저장된 페어링 정보는 지원 제공자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컴퓨터와 지원자 컴퓨터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중계 서버에 의해 중계되며, 사용자 및 지원 제공자 둘 다는 방화벽 뒤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종래 기술 중 어느 것도,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원격 링크 수단, 즉, 인터넷 연결의 장애의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다루지 않는다. 보청기 사용자는, 전부가 아닌 일부의 관련 보청기 파라미터들 및 세팅들이 재-프로그래밍되고, 이에 따라 보청기가 데이터 세팅들과 호환 불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하지 않은 보청기를 지니고 있는 것은 상당한 위험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은 원격 연결의 가능한 장애 또는 중단에도 불구하고, 보청기 사용자가 기능하지 않는 보청기를 지니지 않게 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청기 사용자가 원격 연결과 관련된 가능한 이슈들을 계속 통지받게 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보청기 시스템의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원격 연결의 장애의 결과로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적응된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보청기 시스템의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원격 연결의 장애의 결과로서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적응된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개선된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양상에서, 제 1 항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보청기 시스템의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원격 연결의 장애의 결과로서 사용자가 작동하지 않는 보청기 시스템을 지니는 위험을 방지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2 양상에서, 제 9 항에 따른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개선된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3 양상에서, 제 13 항에 따른 보청기를 제공한다.
이는 보청기의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원격 연결의 장애의 결과로서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응되는 개선된 보청기를 제공한다.
추가의 유리한 특징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드러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더 상세히 설명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실현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며 그의 몇 개의 세부사항들은 모두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명백한 양상들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면들 및 설명들은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의 선택된 부분들을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본 맥락에서,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은, 보청기 피터가 (즉, 동일한 공간에 있음으로써) 보청기 시스템을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보청기 사용자를 직접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그러한 거리만큼 보청기 사용자가 보청기 피터로부터 분리된 보청기 피팅 세션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보청기 사용자와 보청기 피터 간의 데이터 연결이 중단된 경우 원격 피팅 세션에서 중요한 문제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격 보청기 피팅 셋-업을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 1에 대한 참조가 먼저 이루어진다. 셋-업은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로부터 그리고 보청기 시스템(102)으로 피팅 신호(104)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링크 수단을 이용하여 원격 보청기 시스템(10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가능한 연결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청기 피터(103)는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청기 소프트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상에 설치된다.
마이크로폰의 형태의 음향-전기 입력 트랜스듀서(110),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장애를 완화하도록 적응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11), 로드스피커의 형태의 전기-음향 출력 트랜스듀서(112), 신호 프로세서(111)를 제어하도록 적응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보유하는 제 1 메모리(113),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상기 제 1 세트를 또한 보유하는 제 2 메모리(114), 인터넷 상에서 보청기 시스템(102)을 원격 보청기 피터 소프트웨어(101)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적응된 무선 링크 수단(115), 상기 제 1 메모리로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전달하고 그럼으로써 디지털 카운터(116)의 값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했다는 트리거 조건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 1 메모리 내의 데이터로 대체하도록 적응된 디지털 카운터(116) 및 트리거(117)를 포함하는 단일 보청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2)을 매우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 2에 대한 참조가 이제 이루어진다.
디지털 카운터(116)는, 원격 피팅 세션이 개시될 때 보청기 소프트웨어(101)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적응되고,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이 종료되었을 때 보청기 소프트웨어(101)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비활성화(deactivating)되도록 적응된다. 보청기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보청기로부터 수신된 체크-섬(check-sum)을 평가하거나, 또는 보청기 메모리들에 저장된 새로운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단순히 판독하는 것을 비롯해서 다양한 방식들로 보청기 피팅 세션이 종료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운터(116)는 무선 링크 수단(115)을 통해 보청기 소프트웨어로부터 리셋 커맨드를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는 원격 피팅 세션 동안 정규 간격들로 리셋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적응된다. 따라서, 몇몇 이유로 인터넷 연결이 중단되는 경우, 디지털 카운터(116)는 리셋되지 않을 것이고, 잠시 이후에, 트리거 컨디션이 충족될 것이고, 제 1 메모리(113)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은 제 2 메모리로부터의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에 의해 대체될 것이고, 그에 따라 신호 프로세서(111)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세트는 항상 동작 가능한 세트라는 것을 보장하며, 이 중 어떤것도 원격 피팅 세션이 종료하기 이전에 인터넷 연결이 중단된 경우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청기는 정상 동작 모드로 또한 리턴할 것이고, 상기 트리거 조건에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임의의 원격 피팅 프로세스들을 셧 다운(shut down)할 것이다. 따라서, 본 맥락에서, 정상 동작 모드는, 원격 피팅 모드가 수행되지 않고 보청기가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장애를 완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동작 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 실시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15초의 시구간을 나타내도록 세팅된다. 변동들에서, 임계값을 나타내는 시구간은 5초 내지 10분 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특정 변동에 따라, 현재 임계값은 원격 피팅 세션 동안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원격 피팅 프로세스들의 지속기간은, 현재 임계값을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어서, 임계값은, 피드백 테스트와 같은 특정한 피팅 프로세스의 지속기간이 정상 임계값을 나타내는 시구간보다 상당히 더 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증가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간 내에 리셋 커맨드들을 송신하는 것이 방지되며, 여기서 인터넷 연결의 가능한 (짧은) 중단이 원격 피팅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다.
이로써, 도 2 실시예 및 그의 변동들에 따라, 인터넷 연결이 중단된 경우, 보청기 사용자는 보청기 시스템(102)이 정상 동작 모드로 리턴하기 이전에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의해 표현되는 시구간, 즉 5초와 10분 간의 범위 보다 더 길게 대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도 2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리셋 커맨드는 15초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에 대응하는 정규 간격들로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전송된다. 변동들에서, 카운터를 리셋하기 위한 간격의 지속기간은 현재 임계값에 의존하고, 1초 내지 60초의 범위에서 세팅된다.
도 2 실시예의 추가의 변동들에 따라, 어떠한 특정한 리셋 커맨드들도 전송되지 않고, 대신 카운터는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보청기가 수신확인(receipt)을 전송할 때마다 또는 원격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될 때마다 리셋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추가 대역폭도 카운터를 리셋하는데 요구되지 않는다.
도 2 실시예의 변동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102)은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로부터 원격 피팅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래의 도 2 실시예에서 행해졌던 것과 같이) 제 1 메모리(113)의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는 대신 제 2 메모리(114)에 보유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적응되고, 제 2 메모리(114)에 보유된 새로운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로 제 1 메모리(113)에 보유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대체하고, 후속적으로 원격 피팅이 종료했다고 표시하는 커맨드에 응답하여 정상 동작을 재개하도록 추가로 적응된다.
도 2의 위의 실시예들의 추가의 변동들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102)은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정상 동작을 재개하도록 적응된다. 또 다른 변동들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102)은 원격 피팅이 중단되었다고 보청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2의 위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변동들에 따라,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 및 보청기 시스템(102)은 인터넷을 통한 통신에 대한 통상적인 응답 시간이 측정되도록 허용되고, 이는 전송된 커맨드들 및 대응하는 수신된 수신확인들의 타이밍을 고려하는 것에 기초하여 그리고 트리거에 대한 임계값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통신의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들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이로서, 원격 피팅은, 인터넷 연결이 매우 느려서, 보통은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이 연결이 중단된 것으로 가정했을 경우 조차고 바람직하지 않은 리셋들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위의 실시예들의 다른 변동에 따라, 보청기 시스템(102)은 다수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들 및 그에 의한 트리거 조건들이 세팅되도록 적응되며, 여기서 다양한 트리거 조건들을 충족하는 효과들은 상이하다. 위의 실시예들의 이 변동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초과될 때 "인터넷 연결이 느리거나 중단되었습니다"을 보청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음향 경고가 제공된다. 제 2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또한 초과되는 경우, 보청기는 "인터넷 연결이 1분 동안 중단되었고, 연결이 30초 내에 복구되지 않는 경우, 원격 피팅 세션은 중단될 것이고, 정상 보청기 동작이 재개됩니다"는 것을 통지하는 음향 경고를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 3 미리 결정된 임계값이 또한 초과되는 경우, 보청기는 원격 피팅을 중단하고, 정상 동작을 재개하고, "원격 피팅 세션은 중단된 인터넷 연결로 인해 중단되었고 정상 보청기 동작이 재개됩니다. 이 동일한 연결을 이용하여 또는 가능하게는 다른 인터넷 연결을 이용하여 나중에 원격 피팅을 재시도 해주기 바랍니다."라는 것을 통지하는 음향 경고를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특정한 음향 경고들 또는 메시지들은 보청기에 저장되고, 대응하는 특정한 임계값이 카운터(116)에 의해 초과될 때 선택적으로 활성화된다.
도 2의 위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및 보다 많은 진보된 변동에 따라,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 및 보청기 시스템(102)은,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101)가, 원격 피팅의 특정한 부분이 종료하였음을, 예를 들어, "피드백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라는 것을 보청기 사용자에 통지하도록, 또는 원격 피팅이 종료하기 이전에 남은 시간의 추정을, 예를 들어, "원격 피팅은 대략 3분 안에 종료될 것입니다"라는 것을 보청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보청기 시스템에 저장되어있는 특정한 음향 경고를 트리거하는 커맨드들을 보청기 시스템(102)에 제공할 수 있게 적응된다.
다른 변동에 따라, 원격 피팅은, 멀리 떨어진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의 피팅 커맨드가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보청기 시스템에 전송되도록 인터넷을 통해 피팅 소프트웨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거리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보청기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특히 유리한 변동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보청기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판독하고 외부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이들을 저장하도록 적응되고, 주어진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로 보청기 시스템을 프로그래밍하고 정상 동작 모드에서 보청기 시스템을 세팅함으로써 보청기 시스템을 리셋하도록 적응된다. 트리거 이벤트는, 위의 변동들에서 개시되었던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의 카운터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일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보청기 시스템의 리셋을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가 활성화할 수 있는 수동 액추에이터를 외부 디바이스가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변동은, 원격 데이터 링크의 중단의 경우에 보청기 시스템의 자동 리셋을 갖는 원격 피팅이 보청기 시스템의 어떠한 부가되는 기능성도 요구함 없이 보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추가의 변동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은, 2012년 2월 7일 유럽에서 출원된, 비공개된 PCT 출원 PCT/EP2012/052000에서 도 1을 참조하여 개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인 변동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은 스마트폰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 유사한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트리거 및 디지털 카운터는 보청기 시스템 또는 외부 디바이스에 수용되고 단거리 링크를 이용하여 보청기 시스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통상적으로 인터넷인 장거리 링크를 이용하여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장거리 링크는 또한 장거리 데이터 연결을 나타낼 수 있다. 단거리 링크는 단거리 무선 통신 링크일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유선 연결일 수 있다.
트리거 조건들의 다양한 구현들 및 그 효과들은 장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보청기 시스템 또는 외부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내에 카운터, 트리거 및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 및 사운드 경고들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들을 수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실시예는 심지어 이들 디바이스 간에 분배되는 이들 수단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맥락에서, 임의의 피팅 프로세스들을 셧 다운하는 단계는, 보청기는, 피팅 세션이 그것이 해야 하는 방식으로 종료하지 않았을지라도 정상 동작 모드가 재개될 수 있는 동작 모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임의의 피팅 프로세스들이 셧 다운되는 것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임의의 피팅 프로세스들은 사실상 셧 다운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고, 그것이 했어야 하는 후속 피팅 프로세스가 시작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정상 동작 모드는 어떠한 피팅 프로세스들도 셧 다운 하지 않고 재개될 수 있다. 그러나 피팅 프로세스는 루프에 갇히고, 원격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피팅 커맨드를 대기하는 상황이 또한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 피팅 프로세스는 셧 다운될 필요가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변동들에 따라, 원격 피팅 세션 및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대응하는 커맨드들은, 보청기에서 개시되는 피팅 프로세스가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추가의 명령들을 요구함 없이 종료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이 경우에 임의의 피팅 프로세스들을 셧 다운하는 단계는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피팅 프로세스들은 보청기와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 간의 중단된 연결 이외의 다른 이유로 셧 다운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이 단계는 어쨌든 다른 변동들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보청기의 정상 동작 모드는 보청기와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넷 연결이 중단된 경우 자동으로 개재된다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들 및 변동들에 대해 공통적이다.

Claims (15)

  1.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fitting)하는 방법으로서,
    -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를 보유한 하드웨어 클라이언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에서, 개별 보청기 사용자의 청각 장애를 완화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적응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는 제 1 메모리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보청기에서,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의 카피(copy)를 포함하는 제 2 메모리를 제공하는 단계;
    -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을 개시하도록, 장거리 데이터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 시스템과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를 동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및 상기 제 2 메모리 중 하나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된 제 1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보청기 내의 카운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된 제 2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리셋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가 제 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을 종결하고 정상 보청기 동작을 재개하도록, 임의의 원격 보청기 피팅 프로세스들을 셧 다운(shut down)하고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2초 내지 10분의 범위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메모리 내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메모리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카운터가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 1 메모리 내의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를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피팅 세션이 종료했다는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내의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피팅 세션이 종료했다는 표시는,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커맨드로서 제공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적어도 2개의 별개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들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들로부터의 특정한 임계값에 의존하여 특정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상기 보청기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가 주어진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청취 가능한 경고를 제공하도록 상기 보청기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상기 원격 피팅이 종료했다는 커맨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카운터를 비활성화(deactiva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으로 피팅하는 방법.
  9. 보청기 피팅 시스템으로서,
    - 상기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를 보유하는 제 1 하드웨어 클라이언트;
    상기 제 1 하드웨어 클라이언트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청기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상기 보청기로부터 현재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판독하도록, 그리고 상기 보청기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도록 적응되고,
    -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트리거 조건이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
    - 상기 보청기의 원격 피팅 프로세스들이 셧 다운되는 것;
    -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이 보청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을 복원하는데 이용되는 것; 그리고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이 종결되고 정상 보청기 동작이 재개되는 것
    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피팅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추가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하드웨어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적응되고, 단-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피팅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카운터가 특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피팅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수용된 수동 활성화 매커니즘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조건이 충족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피팅 시스템.
  13. 보청기로서,
    - 오디오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적응된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를 포함하는 제 1 메모리;
    -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의 카피를 포함하는 제 2 메모리;
    - 원격 보청기 피팅 세션이 개시되도록, 상기 보청기와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 간의 동작적 연결을 제공하게 적응된 링크 수단;
    - 상기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된 제 1 커맨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도록 적응되고, 상기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되는 제 2 커맨드에 응답하여 리셋되도록 적응되고, 상기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된 제 3 커맨드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도록 적응되는 카운터;
    -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2 세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링크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보청기 피팅 소프트웨어로부터 제공되는 제 4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내의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를 변경하도록 적응된 프로그래밍 수단; 및
    상기 카운터가 제 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운드 프로세싱 파라미터들의 제 1 세트가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에 복원되는 것, 상기 보청기의 원격 피팅 프로세스들이 셧 다운되는 것, 상기 보청기 피팅 세션이 종결되는 것, 및 정상 보청기 동작이 재개되는 것을 제공하도록 적응된 트리거
    를 포함하는, 보청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추가로,
    적어도 2개의 별개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들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상기 미리 결정된 값들로부터의 특정한 임계값에 의존하여 특정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 청취 가능한 경고를 제공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패키지를 저장하는 제 3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추가로, 상기 카운터가 특정한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특정한 청취 가능한 경고를 선택하도록 적응되는, 보청기.
KR1020157030975A 2013-05-14 2013-05-14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KR20150135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59858 WO2014183779A1 (en) 2013-05-14 2013-05-14 A method of remotely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 remote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a hearing a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510A true KR20150135510A (ko) 2015-12-02

Family

ID=4848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975A KR20150135510A (ko) 2013-05-14 2013-05-14 보청기 시스템을 원격 피팅하는 방법, 원격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2001B2 (ko)
EP (1) EP2997740B1 (ko)
JP (1) JP6154548B2 (ko)
KR (1) KR20150135510A (ko)
DK (1) DK2997740T3 (ko)
WO (1) WO20141837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750A (ko) * 2012-02-07 2014-10-20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시스템을 피팅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8807B2 (en) * 2014-12-12 2017-03-28 Gn Hearing A/S Hearing device with communication protection and related method
US9503437B2 (en) * 2014-12-12 2016-11-22 Gn Resound A/S Apparatus for secure hearing device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
US10348891B2 (en) 2015-09-06 2019-07-09 Deborah M. Manchester System for real time, remote access to and adjustment of patient hearing aid with patient in normal life environment
US10284998B2 (en) 2016-02-08 2019-05-07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433074B2 (en) * 2016-02-08 2019-10-01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41791B2 (en) 2016-02-08 2019-07-02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631108B2 (en) 2016-02-08 2020-04-21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50293B2 (en) 2016-02-08 2020-08-18 Hearing Instrument Manufacture Patent Partnershi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390155B2 (en) 2016-02-08 2019-08-20 K/S Himpp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0651485B (zh) 2017-05-31 2021-05-28 唯听助听器公司 操作助听器装配系统的方法和助听器装配系统
EP3808101A1 (en) 2018-06-15 2021-04-21 Widex A/S Method of fine tuning a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0234A1 (de) 1996-01-05 1997-07-10 Auric Hoer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instellen und Anpassen von Hörgeräten
JP2984649B1 (ja) * 1998-05-14 1999-11-29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の読み出し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の読み出し制御方法
DE29905172U1 (de) * 1999-03-20 1999-06-10 Auric Hoersysteme Gmbh & Co Kg Handprogrammer
JP2000287299A (ja) * 1999-03-30 2000-10-13 Rion Co Ltd 補聴フィッテイング支援装置及び補聴装置
EP1252799B2 (en) * 2000-01-20 2022-11-02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tting hearing aids
IT1317971B1 (it) * 2000-06-16 2003-07-21 Amplifon Spa Apparecchiatura di supporto alla rabilitazione dei deficit dicomunicazione e metodo per la taratura di apparecchi acustici.
WO2007068243A1 (en) * 2005-12-16 2007-06-21 Widex A/S Method and system for surveillance of a wireless connection in a hearing aid fitting system
CN101513084A (zh) * 2006-09-27 2009-08-19 奥迪康有限公司 具有用于功能设置和学习设置的存储空间的助听器及其编程方法
DK2569955T3 (en) * 2010-05-12 2015-01-12 Phonak Ag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128462A2 (en) 2011-08-10 2011-10-20 Phonak Ag Method for providing distant support to a plurality of personal hearing system user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WO2013046734A1 (ja) * 2011-09-27 2013-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レーブ装置、マスター装置及び通信方法
AU2012369343B2 (en) 2012-02-07 2015-04-30 Widex A/S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a method of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750A (ko) * 2012-02-07 2014-10-20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 피팅 시스템 및 보청기 시스템을 피팅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7740A1 (en) 2016-03-23
JP6154548B2 (ja) 2017-06-28
JP2016518094A (ja) 2016-06-20
WO2014183779A1 (en) 2014-11-20
EP2997740B1 (en) 2019-10-16
US20160044425A1 (en) 2016-02-11
DK2997740T3 (da) 2019-11-18
US9622001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001B2 (en) Method of remotely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 remote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a hearing aid
US9014379B2 (en) Method of initializing a binaural hearing aid system and a hearing aid
JP5883160B2 (ja)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補聴器システムをフィッティングする方法
EP2491727B1 (en) Hearing aid system with lost partner functionality
US2016012784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nd a device of a hearing system
AU2006203072A1 (en) Hearing device with automatic determination of its fit in the ear and corresponding method
EP2742701B1 (en) Method for providing distant support to a personal hearing system user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KR101896485B1 (ko) 통신 방법 및 단말
US1057510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apparatus and hearing aid apparatus
US9237403B2 (en) Method of adjusting a binaural hearing system, binaural hearing system, hearing device and remote control
EP2885925A1 (en) A dynamic hearing aid system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the hearing aid system
US20170223469A1 (en) Hearing aid communication system and hearing ai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WO2013107496A1 (en) Method for monitoring usage of a hearing device
KR101372522B1 (ko) 전자기기와 외부장치간의 이어잭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EP3496421B1 (en) Hearing device with dynamic mirror service and related method
CN116982025A (zh) 无线音频回放设备的自动空中下载固件更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